KR101921835B1 -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835B1
KR101921835B1 KR1020170132932A KR20170132932A KR101921835B1 KR 101921835 B1 KR101921835 B1 KR 101921835B1 KR 1020170132932 A KR1020170132932 A KR 1020170132932A KR 20170132932 A KR20170132932 A KR 20170132932A KR 101921835 B1 KR101921835 B1 KR 101921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liquid
tank
coi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정
Original Assignee
강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정 filed Critical 강선정
Priority to KR1020170132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 중앙에 티슈인출버튼부가 구비되고, 상기 티슈인출버튼부의 외측에 액체인출버튼부가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티슈인출버튼부와 대응하여 티슈탱크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액체인출버튼부들에 각각 대응하여 액체탱크 안착부가 구비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본체; 상기 티슈인출버튼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티슈탱크안착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멸균된 압축형 코인티슈가 다수 개 채워져 상기 티슈인출버튼부를 누르면 상기 코인티슈가 하나씩 배출되는 티슈탱크; 상기 액체인출버튼부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액체탱크안착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액체가 충전되어 상기 액체인출버튼부를 누르면 상기 액체가 일정 양씩 배출되는 액체탱크; 상기 본체의 저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티슈탱크에서 배출되는 코인티슈와 상기 액체탱크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받아 상기 코인티슈에 액체가 함침되게 하는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부제, 살균제와 같은 화학성분을 첨가하지 않은 물티슈를 필요할 때마다 손쉽게 즉시 만들어 쓸 수 있게 됨으로써 매우 위생적이고,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원터치 방식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심플하고 미려한 디자인으로 제품의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Portable Wet Tissue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물티슈가 필요할 때마다 손쉽게 즉시 만들어 쓸 수 있는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음식을 먹기 전후에 손과 같은 신체를 닦거나 또는 음식물이 신체 또는 의류에 묻었을 때 청결을 위해 물티슈를 많이 사용한다.
기존의 물티슈는 티슈에 액체가 적셔진 상태로 하나씩 소포장 단위로 포장하여 유통이 이루어져 필요한 경우 포장지를 벗겨내고 사용하는 형태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형태는 제조 후에 사용이 될 때까지 포장지 내에서 티슈가 액체에 적셔진 상태로 냉장 또는 위생적으로 보관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보관비용이 소요되고 제조하는 과정에서 포장지의 포장작업이 필수적으로 요하므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사용한 다음에는 불필요한 포장지가 남게 되어 주위환경을 더럽히게 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종래의 물티슈와 물수건을 대체하는 압축티슈가 개발되어 점차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시판되는 압축티슈는 주로 코인(coin)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 코인형의 압축티슈는 펄프를 가공해서 부직포를 만든 다음 이 부직포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하나씩 압축프레스에 넣고 압축해서 동전모양을 만든 것이다.
압축티슈는 약간 량의 물을 가하면 부피가 약 20배 정도로 커져서 압축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므로, 일반 물티슈와 동일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압축티슈의 장점은 완전 건조한 상태로 보관되었다가 필요한 때에 물을 부어 사용하므로 세균번식이 불가능하고 보관 및 운반이 간편하다는 데 있다. 그러나 일일이 물을 부어 사용하여야 하므로 종래의 물티슈에 비해 사용이 불편하고, 음식점 등에서는 손님이 압축티슈를 담아 물을 부어넣을 수 있도록 별도의 그릇을 제공해야 하므로 일손에 부담이 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점의 종업원들이 압축티슈를 손에 들고 와서 손님에게 건네주는 과정에서 압축티슈가 오염될 수도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압축티슈를 미리 담아 두고 있다가 필요할 때에 압축티슈에 물을 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티슈 공급기 혹은 디스펜서(dispenser)가 개발되었는데, 기존의 디스펜서들은 압축티슈가 저장된 부분과 물이 나오는 부분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기능상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서, 압축티슈를 사용하려면 일일이 압축티슈를 꺼내서 물이 나오는 부분에 올려놓고 물을 배출시켜야 하는 등 사용하기가 매우 번거로웠다. 비록 압축티슈가 위생상 안전하고 보관이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더라도, 이 압축티슈를 보다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물에 적셔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지 않는 한 압축티슈의 활용도는 제한될 수 밖에 없다.
(특허문헌 0001)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10618호(2006.03.02.공고), "압축티슈 보관 배출기"
(특허문헌 000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106735호(2013.09.30. 공고), "휴대용 압축티슈 공급장치"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부제, 살균제와 같은 화학성분을 첨가하지 않은 물티슈를 필요할 때마다 손쉽게 즉시 만들어 쓸 수 있는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원터치 방식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며, 심플하고 미려한 디자인으로 제품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부품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도 낮추면서 경제성이 있게 보급하여 개인용으로서 위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는 상면 중앙에 티슈인출버튼부가 구비되고, 상기 티슈인출버튼부의 외측에 액체인출버튼부가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티슈인출버튼부와 대응하여 티슈탱크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액체인출버튼부들에 각각 대응하여 액체탱크 안착부가 구비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본체; 상기 티슈인출버튼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티슈탱크안착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멸균된 압축형 코인티슈가 다수 개 채워져 상기 티슈인출버튼부를 누르면 상기 코인티슈가 하나씩 배출되는 티슈탱크; 상기 액체인출버튼부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액체탱크안착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액체가 충전되어 상기 액체인출버튼부를 누르면 상기 액체가 일정 양씩 배출되는 액체탱크; 상기 본체의 저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티슈탱크에서 배출되는 코인티슈와 상기 액체탱크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받아 상기 코인티슈에 액체가 함침되게 하는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하부 케이스에는 중앙의 상기 티슈탱크안착부와 외측의 상기 액체탱크안착부를 구획하는 제 1 격벽과, 상기 액체인출버튼부의 수에 대응하여 상기 액체탱크안착부를 복수 개로 구획하는 제 2 격벽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티슈탱크 안착부의 바닥면에는 티슈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액체탱크안착부들의 바닥면에는 액체 배출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액체탱크에 저장되는 액체는 멸균수, 식염수, 정제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체탱크에 저장되는 액체는 녹차, 알로에, 허브추출물, 아로마테라피추출물, 과산화수소수, 베타딘요오드용액, 에센스류, 오일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이 첨가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액체탱크는 액체가 저장된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바닥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의 카트리지를 교체하거나 카트리지 내의 액체를 리필할 수 있게 상기 몸체의 상단을 개폐하는 캡과, 상기 캡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액체인출버튼의 누름시 같이 눌러지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눌림시 상기 카트리지 내의 액체를 펌핑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펌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케이스에 구비되는 티슈인출버튼부의 하부에는 상기 티슈인출버튼부에 대응하여 상기 티슈탱크가 결합될 때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가압부를 형성하고, 상기 티슈탱크의 내부에는 상기 티슈인출버튼부를 눌렀을 때 상기 가압부 내의 대기압으로 충진된 코인티슈를 하나씩 밀어내는 피스톤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의 측벽에는 상기 눌러진 티슈인출버튼부가 원위치로 복원되고, 상기 대기압에 의해 이동한 피스톤패드가 원위치로 복원되지 않도록 상기 가압부에 대기압이 유입되는 공기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이동홀에는 상기 티슈인출버튼부의 누름시 내부의 대기압이 상기 피스톤패드를 향하도록 공기이동홀을 폐쇄하고, 상기 가압부의 대기압이 낮아지면 상기 공기이동홀을 개방하여 대기압이 유입되게 하는 개폐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티슈탱크 하단에는 내부에 충진된 코인티슈를 받쳐서 상기 코인티슈를 지지시키고, 상기 코인티슈가 압력에 밀려 배출되는 힘으로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슬롯이 형성된 패킹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는 외부에서 코인티슈와 액체의 배출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부제, 살균제와 같은 화학성분을 첨가하지 않은 물티슈를 필요할 때마다 손쉽게 즉시 만들어 쓸 수 있게 됨으로써 매우 위생적이고,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원터치 방식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심플하고 미려한 디자인으로 제품의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성부품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낮아 경제성이 있는 보급이 가능하게 되며, 물티슈 제조용도 뿐만 아니라 마사지 팩 제조 용도나 응급처치용 키트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에서 티슈인출버튼부 및 티슈탱크의 코인티슈 배출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에서 액체탱크의 액체가 배출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는 본체(100)와, 티슈탱크(200)와, 액체탱크(300)와, 트레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티슈인출버튼부(111)와 액체인출버튼부(116)이 구비된 상부케이스(110)와, 티슈탱크안착부(121)와 액체탱크안착부(124)가 구비된 하부케이스(120)와,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를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지지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상부케이스(110)의 티슈인출버튼부(111)는 상부케이스(110)의 상면 중앙을 관통하는 중앙홀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티슈인출버튼부(111)의 하부에는 티슈인출버튼부(111)를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티슈인출버튼부(111)에 복원력을 부가하는 탄성스프링(11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10)의 액체인출버튼부(116)은 중앙홀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사이드홀에 각각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된다. 액체인출버튼부(116)의 하부에도 액체인출버튼부(116)을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액체인출버튼부(116)에 복원력을 부가하는 탄성스프링(11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액체인출버튼부(116) 역시 외력이 가해지면 액체인출버튼부(116)의 저부가 사이드홀의 하부로 돌출되어 하부에 위치되는 액체탱크(300)의 누름버튼(340)을 누르게 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부케이스(120)는 상부케이스(110)의 티슈인출버튼부(111)와 대응하여 티슈탱크안착부(121)가 구비되고, 상부케이스(110)의 액체인출버튼부(116)들에 각각 대응하여 액체탱크안착부(124)가 구비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하부케이스(120)의 내부는 중앙영역에 티슈탱크(200)가 안착되기 위한 티슈탱크안착부(121)가 제 1 격벽(122)에 의해 구획되고, 외측영역에 액체인출버튼부(116)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액체탱크(300)가 안착되기 위한 액체탱크안착부(124)가 제 2 격벽(125)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티슈탱크안착부(121)의 바닥면에는 티슈배출구(121a)가 구비되며, 액체탱크안착부(124)들의 바닥면에는 액체배출공(124a)이 구비된다.
지지프레임(130)은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시키며,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 사이에 티슈탱크(200)와 액체탱크(300)가 개제될 수 있는 이격공간을 마련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슈인출버튼부(111)의 하부에는 티슈인출버튼부(111)에 대응하여 티슈탱크(200)가 결합될 때,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가압부(113)를 형성하고, 티슈탱크(200)의 내부에는 티슈인출버튼부(111)를 눌렀을 때 가압부(113) 내의 대기압에 의해 가압되어 적층된 코인티슈(210)를 하나씩 밀어내는 피스톤패드(220)가 구비된다.
티슈탱크(200) 내부에는 멸균된 압축형 코인티슈(210)가 적층되는 형태로 다수 개 채워지고, 티슈탱크(200) 하단에는 중앙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해 방사상으로 절개되어 슬롯이 형성되는 패킹막(230)이 형성된다. 패킹막(230)은 내부에 적층된 코인티슈(210)를 받쳐서 코인티슈(210)를 지지시킨다.
이러한 티슈탱크(200)는 하단부가 하부케이스(120)의 티슈탱크안착부(121)에 안착되고 상단부가 상부케이스(110)의 티슈인출버튼부(111)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즉, 티슈탱크(200)는 하부케이스(120)와 상부케이스(110) 사이에 개제되는 형태로 티슈탱크안착부(121)에 안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을 가하여 티슈인출버튼부(111)를 누르면 티슈인출버튼부(111)가 눌러진 만큼 가압부(113) 내의 대기압이 피스톤패드(220)를 가압하여 티슈탱크(200) 내에 적층된 코인티슈(210)를 하나씩 밀어낸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르고 있던 티슈인출버튼부(111)로부터 누르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면 티슈인출버튼부(111)는 탄성스프링(112)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아울러 가압된 대기압이 역으로 이동하면서 피스톤패드(220)를 가압 전 위치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압부(113)의 측벽에는 눌러진 티슈인출버튼부(111)가 원위치로 복원되고, 대기압에 의해 이동한 피스톤패드(220)가 원위치로 복원되지 않도록 대기압이 유입되는 공기이동홀(114)이 형성된다.
이때, 공기이동홀(114)에는 티슈인출버튼부의 누름시 내부의 대기압이 피스톤패드를 향하도록 공기이동홀(114)을 폐쇄하고, 가압부(113)의 대기압이 낮아지면 공기이동홀(114)을 개방하여 대기압이 가압부(113) 내로 유입되게 하는 개폐판(115)이 결합된다.
개폐판(115)은 대기압의 가압으로 하나의 코인티슈가 배출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동하는 피스톤패드(220)의 이동공간과 티슈인출버튼부(111)의 복귀이동 폭만큼 가압부(113)의 공간이 확장됨으로 인해 가압부(113) 내의 대기압이 낮아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부의 대기압이 개폐판(115)을 밀어 가압부(113) 내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가압부(113)의 대기압이 높아지면 개폐판(115)은 공기이동홀(114)을 차단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피스톤패드(220)는 원위치로 복원되지 않고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가압부(13)는 대기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개폐판(115)은 대기압의 이동에 의해 열리고 닫힐 수 있는 얇은막으로 이루어지고, 공기이동홀(114)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일방향으로만 열리고 닫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티슈인출버튼부(111)를 누르면 티슈인출버튼부(111)가 눌러진 만큼 가압부(113) 내의 대기압이 피스톤패드(220)를 가압하여 티슈탱크(200) 내에 적층된 코인티슈(210)를 하나씩 밀어내며, 압력에 밀려 나오는 코인티슈(210)는 가압에 의해 벌어지는 패킹막(230)의 슬롯사이로 배출되어 트레이(400) 내부에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코인티슈(210)는 펄프를 가공해서 부직포를 만든 다음 이 부직포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하나씩 압축프레스에 넣고 압축해서 동전모양으로 만들어 물티슈로 활용되는 물티슈용은 물론 부직포를 얼굴모양의 적당한 크기로 잘라 마사지 팩에 사용할 수 있게 만든 마사지용 부직포를 포함하며, 또한, 소독액을 함침시켜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료용 패드 형태를 포함한다.
다시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액체탱크(300)는 액체가 저장된 카트리지(310)를 수용하고 바닥면에 배출구(321)가 형성된 몸체(320)와, 몸체 내부의 카트리지를 교체하거나 카트리지 내의 액체를 리필할 수 있게 몸체의 상단을 개폐하는 캡(330)과, 캡의 상면에 구비되어 액체인출버튼의 누름시 같이 눌러지는 누름버튼(340)과, 누름버튼의 눌림시 카트리지 내의 액체를 펌핑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펌핑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카트리지(310)에 저장된 액체는 멸균수, 식염수, 정제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310)에 저장된 액체는 녹차, 알로에, 허브추출물, 아로마테라피추출물, 과산화수소수, 베타딘요오드용액, 에센스류, 오일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이 첨가된 액체 일 수 있다.
이러한 액체가 저장된 카트리지(310)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펌핑부재(350)에 체결결합다.
여기서, 펌핑부재(350)는 미스트 분사, 액체 분사 등 펌핑 용기에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 적용되며, 액체가 분사되는 펌핑부재(350)의 출구에는 액체탱크의 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321)와 연결하는 호스(351)가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탱크(300)는 각각 하부케이스(120)의 액체탱크안착부(124)에 안착되고 그 상단부가 상부케이스의 액체인출버튼부(116)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어 하부케이스(120)와 상부케이스(110)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액체인출버튼부(116)를 누르면 액체탱크(300)의 누름버튼(340)이 눌러지면서 펌핑부재(350)가 카트리지(310) 내의 액체를 펌핑하여 몸체(320)에 바닥면에 구비된 배출구(321)를 통해 일정량의 액체를 배출한다.
트레이(400)는 본체(100)의 저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티슈탱크(200)에서 배출되는 코인티슈(210)와 액체탱크(300)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받아 코인티슈(210)에 액체가 함침되게 한다.
여기서, 트레이(400)는 외부에서 코인티슈(210)와 액체의 배출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의 티슈인출버튼부를 누르면 코인티슈가 하나씩 배출되어 트레이에 담기고, 원터치 방식의 액체인출버튼부를 누르면 일정량의 액체가 배출되어 트레이에 담긴 코인티슈를 적시게 된다. 이때, 코인티슈는 액체가 닿으면 곧바로 액체를 흡수하여 부피가 부풀어 오르며 일반 물휴지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물티슈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부제, 살균제와 같은 화학성분을 첨가하지 않은 물티슈를 필요할 때마다 손쉽게 즉시 만들어 쓸 수 있게 됨으로써 매우 위생적이고,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원터치 방식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심플하고 미려한 디자인으로 제품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성부품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낮아 경제성이 있는 보급이 가능하게 되며, 물티슈 제조용도 뿐만 아니라 마사지 팩 제조 용도나 응급처치용 키트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실용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상부케이스
111: 티슈인출버튼부 112: 탄성스프링
113: 가압부 114: 공기이동홀
115: 개폐판 116: 액체인출버튼부
120: 하부케이스 121: 티슈탱크안착부
121a: 티슈배출구 124: 액체탱크안착부
124a: 액체배출공 130: 지지프레임
200: 티슈탱크 210: 코인티슈
220: 피스톤패드 230: 패킹막
300: 액체탱크 310: 카트리지
320: 몸체 321: 배출구
330: 캡 340: 누름버튼
350: 펌핑부재 351: 호스
400: 트레이

Claims (9)

  1. 상면 중앙에 티슈인출버튼부가 구비되고, 상기 티슈인출버튼부의 외측에 액체인출버튼부가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티슈인출버튼부와 대응하여 티슈탱크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액체인출버튼부들에 각각 대응하여 액체탱크 안착부가 구비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본체; 상기 티슈인출버튼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티슈탱크안착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멸균된 압축형 코인티슈가 다수 개 채워져 상기 티슈인출버튼부를 누르면 상기 코인티슈가 하나씩 배출되는 티슈탱크; 상기 액체인출버튼부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액체탱크안착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액체가 충전되어 상기 액체인출버튼부를 누르면 상기 액체가 일정 양씩 배출되는 액체탱크; 및 상기 본체의 저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티슈탱크에서 배출되는 코인티슈와 상기 액체탱크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받아 상기 코인티슈에 액체가 함침되게 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하부 케이스에는 중앙의 상기 티슈탱크안착부와 외측의 상기 액체탱크안착부를 구획하는 제 1 격벽과, 상기 액체인출버튼부의 수에 대응하여 상기 액체탱크안착부를 복수 개로 구획하는 제 2 격벽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티슈탱크 안착부의 바닥면에는 티슈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액체탱크안착부들의 바닥면에는 액체 배출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탱크에 저장되는 액체는 멸균수, 식염수, 정제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탱크에 저장되는 액체는 녹차, 알로에, 허브추출물, 아로마테라피추출물, 과산화수소수, 베타딘요오드용액, 에센스류, 오일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이 첨가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탱크는 액체가 저장된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바닥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의 카트리지를 교체하거나 카트리지 내의 액체를 리필할 수 있게 상기 몸체의 상단을 개폐하는 캡과, 상기 캡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액체인출버튼의 누름시 같이 눌러지는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눌림시 상기 카트리지 내의 액체를 펌핑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펌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에 구비되는 티슈인출버튼부의 하부에는 상기 티슈인출버튼부에 대응하여 상기 티슈탱크가 결합될 때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가압부를 형성하고, 상기 티슈탱크의 내부에는 상기 티슈인출버튼부를 눌렀을 때 상기 가압부 내의 대기압으로 충진된 코인티슈를 하나씩 밀어내는 피스톤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측벽에는 상기 눌러진 티슈인출버튼부가 원위치로 복원되고, 상기 대기압에 의해 이동한 피스톤패드가 원위치로 복원되지 않도록 상기 가압부에 대기압이 유입되는 공기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이동홀에는 상기 티슈인출버튼부의 누름시 내부의 대기압이 상기 피스톤패드를 향하도록 공기이동홀을 폐쇄하고, 상기 가압부의 대기압이 낮아지면 상기 공기이동홀을 개방하여 대기압이 유입되게 하는 개폐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탱크 하단에는 내부에 충진된 코인티슈를 받쳐서 상기 코인티슈를 지지시키고, 상기 코인티슈가 압력에 밀려 배출되는 힘으로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슬롯이 형성된 패킹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외부에서 코인티슈와 액체의 배출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KR1020170132932A 2017-10-13 2017-10-13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KR101921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932A KR101921835B1 (ko) 2017-10-13 2017-10-13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932A KR101921835B1 (ko) 2017-10-13 2017-10-13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835B1 true KR101921835B1 (ko) 2018-11-23

Family

ID=6456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932A KR101921835B1 (ko) 2017-10-13 2017-10-13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8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8480A (zh) * 2021-05-11 2021-08-06 佛山市亘拓科技有限公司 便于取巾的即时湿巾机
CN114191345A (zh) * 2021-12-20 2022-03-18 广州净朗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干湿分离次氯酸消毒湿巾及其制备方法
CN115444302A (zh) * 2022-09-30 2022-12-09 杭州海绥物联网科技有限公司 具有可充电恒温加热的便携式智能毛巾机及湿热毛巾制备方法
US11672383B2 (en) 2021-03-05 2023-06-13 Dual Strategies, LLC Wet or dry paper towel dispens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628Y1 (ko) * 2000-05-02 2001-02-15 김민서 물통을 구비한 물 화장지와 일반 화장지의 일체형 케이스
KR200410618Y1 (ko) * 2005-12-09 2006-03-09 김석화 압축티슈 보관/배출기
KR200442010Y1 (ko) * 2007-07-18 2008-09-29 이순길 압축티슈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628Y1 (ko) * 2000-05-02 2001-02-15 김민서 물통을 구비한 물 화장지와 일반 화장지의 일체형 케이스
KR200410618Y1 (ko) * 2005-12-09 2006-03-09 김석화 압축티슈 보관/배출기
KR200442010Y1 (ko) * 2007-07-18 2008-09-29 이순길 압축티슈 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2383B2 (en) 2021-03-05 2023-06-13 Dual Strategies, LLC Wet or dry paper towel dispenser
CN113208480A (zh) * 2021-05-11 2021-08-06 佛山市亘拓科技有限公司 便于取巾的即时湿巾机
CN114191345A (zh) * 2021-12-20 2022-03-18 广州净朗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干湿分离次氯酸消毒湿巾及其制备方法
CN114191345B (zh) * 2021-12-20 2023-11-24 广州净朗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干湿分离次氯酸消毒湿巾及其制备方法
CN115444302A (zh) * 2022-09-30 2022-12-09 杭州海绥物联网科技有限公司 具有可充电恒温加热的便携式智能毛巾机及湿热毛巾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835B1 (ko)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RU2237603C1 (ru) Структура с одноразовыми салфетками
US3865271A (en) Dispenser and liquid applicator for toilet paper, paper towels, and the like
CA2805419C (en) Dispenser of towels wetted with hand sanitizer
US20020057938A1 (en) Appl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WO2014005118A1 (en) Liquid container having compressed tissue
KR200410618Y1 (ko) 압축티슈 보관/배출기
KR200482091Y1 (ko)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수직 가압 콤팩트 용기
KR20130003847U (ko) 복수의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를 갖는 내용물 혼합 배출 용기
KR101583489B1 (ko) 뚜껑에 물티슈가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US2736468A (en) Liquid soap dispenser
KR20140003260U (ko) 토출 조절수단이 결합된 스포이드 화장용기
US2985289A (en) Finger cleaner
CN201234946Y (zh) 迷你型干燥毛巾转变湿巾的浸湿装置
KR101789473B1 (ko) 휴대용 압축티슈 디스펜서
KR20170137323A (ko) 물티슈를 공급하는 장치
KR200442010Y1 (ko) 압축티슈 공급장치
JP2015000170A (ja) 湿潤機能付き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及びその製品
CN210518759U (zh) 一种麦克风座
KR101718248B1 (ko) 스푼이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US20020113149A1 (en) Individual moistening apparatus
KR101914050B1 (ko)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US3067913A (en) Mat dispenser or the like
US20190255304A1 (en) Hands-free medicament applicator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596602B1 (ko) 두루마리형으로 향기티슈가 말아진 테이크아웃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