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010Y1 - 압축티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압축티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010Y1
KR200442010Y1 KR2020070011844U KR20070011844U KR200442010Y1 KR 200442010 Y1 KR200442010 Y1 KR 200442010Y1 KR 2020070011844 U KR2020070011844 U KR 2020070011844U KR 20070011844 U KR20070011844 U KR 20070011844U KR 200442010 Y1 KR200442010 Y1 KR 200442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issue
compressed tissue
compressed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길
Original Assignee
이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길 filed Critical 이순길
Priority to KR2020070011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0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 A47K2010/328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by spra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압축티슈 공급장치는, 하부에 압축티슈 배출함(11)이 돌출 형성된 하우징(10); 하우징(10)의 상부 내벽면 상에 형성된 트레이 안착턱들(15)에 의해 지지되며 바닥면 일부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 압축티슈를 배출하는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아래에 위치하는 물통(20); 물통(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 안의 물을 흡입하는 급수실린더(45); 급수실린더(45)에 장착된 피스톤(40) 및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로드; 피스톤로드와 h자형으로 연결된 누름부(42); L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42)와 접촉되는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쉬레버(13); 및 급수실린더(45)의 물을 상기 압축티슈 배출함(11)으로 안내하는 물 배출관(18);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볼 형태로 건조 압축된 압축티슈들을 다수 저장하고 압축티슈를 하나씩 외부로 배출하는 것과 동시에 물을 공급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압축티슈를 사용에 적합한 상태로 만들어 제공하므로, 음식점, 가정, 사무실, 병원, 학교 등에서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압축티슈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Figure R2020070011844
압축티슈, 코인티슈, 물휴지, 물수건, 디스펜서, 볼 티슈

Description

압축티슈 공급장치{Compressed tissue supplying apparatus}
본 고안은 압축티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 형태로 건조 압축된 압축티슈들을 다수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할 때마다 압축티슈를 하나씩 배출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물을 압축티슈에 공급함으로써 압축티슈가 물의 흡수에 의해 부풀어진 상태에서 곧바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압축티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식점 등에서 손님들에게 제공하던 물수건은 세탁비용이 비싸고 세탁후에도 위생상 안전한지 의심이 갈 뿐만 아니라 물에 적셔 보관하는 상태에서 세균 번식의 우려가 있어서 물 휴지로 대체된 바 있다. 이 물 휴지도 물에 적신 상태에서 보관하므로 세균번식의 위험이 있었는데, 최근에는 종래의 물 휴지와 물수건을 대체하는 압축티슈가 개발되어 점차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시판되는 압축티슈는 주로 코인(coin)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 코인형의 압축티슈는 펄프를 가공해서 부직포를 만든 다음 이 부직포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하나씩 압축프레스에 넣고 압축해서 동전모양을 만든 것이다. 압축티슈는 약간 량의 물을 가하면 부피가 약 20배 정도로 커져서 압축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므로, 일반 물휴지와 동일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압축티슈의 장점은 완전 건조한 상태로 보관되었다가 필요한 때에 물을 부어 사용하므로 세균번식이 불가능하고 보관 및 운반이 간편하다는 데 있다. 그러나 일일이 물을 부어 사용하여야 하므로 종래의 물휴지에 비해 사용이 불편하고, 음식점 등에서는 손님이 압축티슈를 담아 물을 부어 넣을 수 있도록 별도의 그릇을 제공해야 하므로 일손에 부담이 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점의 종업원들이 압축티슈를 손에 들고 와서 손님에게 건네주는 과정에서 압축티슈가 오염될 수도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압축티슈를 미리 담아 두고 있다가 필요할 때에 압축티슈에 물을 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티슈 공급기 혹은 디스펜서(dispenser)가 개발되었는데, 기존의 디스펜서들은 압축티슈가 저장된 부분과 물이 나오는 부분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기능상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서, 압축티슈를 사용하려면 일일이 압축티슈를 꺼내서 물이 나오는 부분에 올려 놓고 물을 배출시켜야 하는 등 사용하기가 매우 번거로웠다. 비록 압축티슈가 위생상 안전하고 보관이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더라도, 이 압축티슈를 보다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물에 적셔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지 않는 한 압축티슈의 활용도는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볼 형태로 건조 압축된 압축티슈들을 다수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이나 레버를 누르면 압축티슈가 하나씩 외부로 배출되는 것과 동시에 그 배출된 압축티슈에 자동적으로 물이 공급되어 원 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압축티슈를 물에 적셔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티슈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압축티슈 공급장치는, 하부에 압축티슈 배출함(11)이 돌출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내벽면 상에 형성된 트레이 안착턱들(15)에 의해 지지되며 바닥면 일부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 압축티슈를 배출하는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아래에 위치하는 물통(20); 상기 물통(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 안의 물을 흡입하는 급수실린더(45); 상기 급수실린더(45)에 장착된 피스톤(40) 및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와 h자형으로 연결된 누름부(42); L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42)와 접촉되는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쉬레버(13); 및 상기 급수실린더(45)의 물을 상기 압축티슈 배출함(11)으로 안내하는 물 배출관(18);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로드는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 밖으로 노출되며, 상기 피스톤로드는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바닥면에 지지된 스프링(56)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향 이동에 의해 급수실린더 안의 물이 압축티슈 배출함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푸쉬레버(13)가 누름부(42)의 하향이동에 의해 회동되면서 푸쉬레버 앞에 대기하고 있는 압축티슈를 압축티슈 배출함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압축티슈 공급장 치는, 하부에 압축티슈 배출함(11)이 돌출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내벽면 상에 지지되며 바닥면 일부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 압축티슈를 배출하는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아래에 위치하는 물통(20); 상기 물통(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 안의 물을 흡입하는 급수실린더(45); 상기 급수실린더(45)에 장착된 피스톤(40); 상기 피스톤(40)과 핀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과 연결된 지점 이외의 다른 지점을 회전중심축(412)으로 가지는 연결바(410); 상기 연결바(41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으로 노출된 레버(400); 상기 연결바(410)의 단부에 결합된 밀대(414); 상기 급수실린더(45)의 물을 상기 압축티슈 배출함(11)으로 안내하는 물 배출관(18);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바(410)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스프링(42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피스톤(40)의 상향 이동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상기 레버(4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피스톤(40)의 하향 이동에 의해 급수실린더(45) 안의 물이 압축티슈 배출함(11)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밀대(414)가 그 앞에 대기하고 있는 압축티슈를 압축티슈 배출함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축티슈 공급장치는 볼 형태로 건조 압축된 압축티슈들을 다수 저장하고 압축티슈를 하나씩 외부로 배출하는 것과 동시에 물을 공급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압축티슈를 사용에 적합한 상태로 만들어 제공하므로, 음식점, 가정, 사무실, 병원, 학교 등에서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압축티슈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압축티슈 공급장치는 압축티슈들을 다수 넣은 다음 물만 채워 놓으면 되고 별도로 전원장치들이 필요없으므로 자동차와 같은 이동수단 안에 두고서 물 휴지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압축티슈 공급장치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티슈 공급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직사각형 형태의 외부케이스(2) 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뚜껑(3)이 끼워지며, 상기 뚜껑(3)의 일부에는 누름버튼(4)이 돌출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누름버튼(4)을 누르면 외부케이스(2)의 하부에 돌출된 압축티슈 배출함(11)으로 볼 형태의 압축티슈가 배출됨과 동시에 물 배출구(12)로 소정 량의 물이 흘러나와 압축티슈를 적시게 된다. 압축티슈는 물에 닿으면 곧바로 물을 흡수하여 부피가 부풀어오르며, 일반 물 휴지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1에서 압축티슈 배출함(11)의 안쪽에 보이는 막대는 푸쉬레버(13)로서, 이 푸쉬레버(13)가 압축티슈를 하나씩 외부로 밀어내게 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티슈 공급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상기 뚜껑(3)은 외부케이스(2)와 분리가능하며, 뚜껑(3)의 중앙에는 버튼통과공(3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버튼통과공(3a)에는 누름버튼(4)이 끼워진다.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2)의 안에는 하우징(10)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의 상부에는 볼트체결구들(2a)이 형성되며, 이 볼트체결구 들(2a)은 하우징(10)의 외벽에 형성된 볼트체결구들(16)과 맞춰진 상태에서 볼트들(2b)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횡방향으로 격리판(17)이 형성되며, 상기 격리판(17)의 위에는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 커버(50) 및 급수실린더(45)가 설치되고, 격리판(17)의 아래에는 물통(20)이 장착된다. 상기 격리판(17)의 중앙에는 급수실린더(45)와 물통(2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멍이 뚫려 있으며, 이 구멍을 통해 물통(20)의 물 인입관(21)이 급수실린더(45)의 밑 부분까지 이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벽면 중 상부에 형성된 2개의 트레이 안착턱들(15)에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가 걸쳐짐으로써,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가 하우징(10) 내부에서 지지된다.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는 원형의 그릇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양쪽에 걸림봉들(31)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 보다 약간 작고, 상기 걸림봉들(31)이 상기 트레이 안착턱들(15)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는 하우징(10) 내에서 약간씩 좌우로 요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가 좌우로 요동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를 가지므로,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내부에 적재된 다수의 볼 타입 압축티슈들은 서로 엉키지 않고 중력이 작용하는 대로 자유롭게 굴러서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아래로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중앙에는 십자형의 피스톤 통과공(33)이 형성되며, 이 피스톤 통과공(33)에는 피스톤로드(55)와 피스톤(40)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걸쳐진다. 상기 피스톤로드(55)에는 스프링(56)이 끼워지며, 스프링(56)의 밑으로 중간지지대(57)가 결합된다. 상기 중간지지대(57)에는 피스톤로드(55)의 단면 모양과 같은 피스톤 통과공(57a)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55)는 중간지지대(57)에 끼워진 상태에서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피스톤 통과공(33)을 드나들 수 있다. 상기 스프링(56)은 피스톤로드(55)의 위쪽에 형성된 걸림턱들(55a)에 의해 위쪽이 제한되고, 상기 중간 지지대(57)에 의해 아래쪽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피스톤로드(55)가 항상 위쪽 방향으로 올라가 있도록 탄성력을 발휘한다.
상기 커버(50)는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위를 덮으며, 피스톤로드(55)는 상기 커버(50)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소켓(52)의 피스톤로드 통과공(52a)을 지나 누름버튼(4)과 결합된다. 커버(50)의 일부에 형성된 압축티슈 투입구(51)를 통해 압축티슈들을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에 집어넣을 수 있다.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는 그 바닥면 일부에 압축티슈(5)가 빠져나갈 수 있는 배출구멍(36)이 형성되어 있으며(도4 참조), 이 배출구멍(36)으로 압축티슈들(5)이 굴러나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압축티슈 안내벽(32)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밑면에는 차단 블레이드(34)가 형성되어 있는데, 차단 블레이드(34)는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를 빠져나온 압축티슈들이 한꺼번에 하우징(10)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붙잡고, 피스톤로드(55)가 아래로 이동했다가 위로 올라갈 때에 1개의 압축티슈만을 흘려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하우징(10)의 격리판(17) 위에는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배 출구멍과 이어진 위치에 압축티슈 안내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축티슈 안내부(14)는 압축티슈 배출함(11)까지 이어진 안내터널(14a)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로부터 빠져나온 압축티슈들은 곧바로 압축티슈 배출함(11)으로 굴러나가지 않고 차단블레이드(34)에 의해 안내터널(14a)안에 머물게 되며, 1개의 압축티슈 만이 푸쉬레버(13)의 앞에서 대기하게 된다.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아래쪽에서 격리판(17)에 설치된 급수실린더(45)는 물통(20)의 물을 흡입하여 담아두고 있는데, 누름버튼(4)이 눌려 피스톤로드(55)가 내려오게 되면 피스톤(40)의 작용에 의해 급수실린더(45)안의 물이 물 배출관(18)을 따라 압축티슈 배출함(11)으로 나가게 된다.
상기 피스톤(40)은 급수실린더(45)에 밀폐된 상태에서 끼워지도록 주변에 패킹(41)이 결합되며, 피스톤(40)과 결합된 피스톤로드(40a)는 그 상부의 연결부(43)가 피스톤로드(55)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로드(40a)에는 h자형으로 구부러진 누름부(42)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42)와 접촉가능한 위치에는 L자형의 푸쉬레버(1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2에서 미설명부호 45a는 급수실린더(45)를 격리판(17)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5a)를 가리킨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압축티슈 공급장치(1) 중 하우징(10) 내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3을 참고하면,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내부에 적재된 볼 타입의 압축티슈들(5)은 배출구멍(36)을 통해서 안내터널(14a)로 빠져나간 다음 차단블레이드(34)에 의해 걸려져 있다.
상기 푸쉬레버(13)는 L자형으로 제작되어 하우징(10)의 격리판(17)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누름버튼(4)을 누를 경우 피스톤로드(55,40a)의 하향 이동에 의해 누름부(42)가 푸쉬레버(13)를 회동시키게 되고 푸쉬레버(13)의 앞쪽에서 대기하고 있던 압축티슈는 푸쉬레버(13)에 밀려서 압축티슈 배출함(11)으로 나오게 된다(도5 참조).
도4는 도3의 A-A선을 따른 하우징(10)의 평면도로서 편의상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3 및 도4를 참고하면, 하우징(10)의 내벽면에 형성된 트레이 안착턱들(15)이 중심선(CL)에 대해 정확히 대칭을 이루지 않고 약간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 안착턱들(15)이 배출구멍(36, 도3 참조)의 반대쪽으로 약간 치우쳐 있기 때문에, 이 트레이 안착턱들(15)에 걸쳐진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 역시 기본적으로 배출구멍(36, 도3 참조)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된다. 그 결과 압축티슈들이 배출구멍 쪽으로 자연스럽게 구르게 되며, 특히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눌러 피스톤로드(55,40a)를 하향 이동시키는 동안에는 차단블레이드(34)가 안내터널(14a)의 안쪽으로 더 깊숙이 넣어지게 되므로 현재 안내터널(14a)상에 걸려있는 코인티슈를 꼭 잡아준다(도5 참조). 이어서 누름버튼(4)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로드(55,40a)가 다시 올라가는데, 이때에는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요동과 함께 차단블레이드(34)가 일시적으로 압축티슈를 놓아주게 되므로, 1개의 압축티슈가 푸쉬레버(13)의 앞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도6 참조).
도5 및 도6은 도1에 도시된 압축티슈 저장장치(1)의 작동과정에 관한 단면도 들이다. 도5에서 사용자가 누름버튼(4)을 누르면 피스톤로드(55,40a)의 하향이동에 의해 누름부(42)가 푸쉬레버(13)를 회동시키고, 푸쉬레버(13)의 앞에 놓여져 있던 압축티슈는 푸쉬레버(13)에 밀려서 압축티슈 배출함(11)으로 나온다. 이와 동시에 상기 피스톤(40)이 급수실린더(45)의 안으로 진입함에 의해 급수실린더(45)의 안에 있던 물은 배출측 체크밸브(46)를 통해 물 배출관(18)으로 흘러나간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축티슈 공급장치(1)는 누름버튼(4)이 눌러질 때에, 즉 피스톤로드(55,40a)가 아래로 이동할 때에 압축티슈(5)의 배출과 물공급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가 누름버튼(4)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56)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로드(55,40a)는 다시 위쪽으로 올라가며, 그 과정에서 물통(20)의 안에 있던 물(W)은 물 인입관(21)을 따라 급수 실린더(45)쪽으로 흡입되어 급수실린더를 채우게 된다(도6 참조). 도6에서 도면부호 5c는 물에 적셔져 부풀어올라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된 압축티슈를 가리킨다.
도7은 도1에 도시된 압축티슈 저장장치(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미 도3 내지 도6을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55,40a)의 하향 이동에 의해 푸쉬레버(13)가 회전하면서 압축티슈(5a)를 밀어 외부로 배출하고(도면부호 5b 참조), 이와 동시에 물이 압축티슈에 공급된다.
도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티슈 공급장치(1a)의 측면도이다. 도1 내지 도7에서 설명한 압축티슈 공급장치(1)는 누름버튼(4)이 장치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도8 내지 도10에서 설명하는 압축티슈 공급장치(1a)는 작동 수단이 외부 케이스(2)의 측면에 설치된 레버(400)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9는 도8의 압축티슈 공급장치(1a)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10은 하우징(10) 내부에서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 및 도10을 참고하면, 압축티슈 공급장치(1a)에 있어서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 압축티슈 안내부(14), 격리판(17) 및 물통(20)의 구조는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압축티슈 공급장치(1)와 동일하며, 다만 급수실린더(45)와 피스톤(40)이 하우징(10)의 일측으로 치우쳐 있고 연결바(410)에 의해 피스톤(40)을 작동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연결바(410)는 일단에 레버(400)가 결합되고, 타단에 밀대(414)가 결합되어 있다. 연결바(410)는 회전중심축(412)에 의해 하우징(10) 또는 격리판(17)상에 지지되며, 상기 회전중심축(412)과 레버(400)의 사이에서 피스톤(45)과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45)은 결합핀(411)으로 연결바(410)에 결합되었기 때문에, 연결바(41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하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바(410)는 스프링(420)에 의해 항상 레버(400)가 위쪽으로 올라가 있도록, 즉 피스톤(40)이 급수실린더(45)안에서 위쪽으로 올라가 있도록 힘을 받는다. 상기 스프링(420)의 일단은 연결바(410)의 회전중심축(412)의 위쪽에 있는 스프링 고정단(422)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우징(10) 하부의 스프링 고정부(421)에 고정된다.
도9에서 레버(400)를 아래로 당기면 연결바(410)의 단부(413)에 결합된 밀대(414)가 앞쪽으로 나아가면서 압축티슈(5a)를 밀어 압축티슈 배출함으로 내보내고, 이와 동시에 피스톤(40)이 아래로 내려가 급수실린더(45) 안의 물을 압축티슈 배출함으로 배출한다. 레버(40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420)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바(410)는 도9에 도시된 상태로 돌아가며, 밀대(414)도 후진하게 된다.
도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축티슈 공급장치(1b)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11을 참고하면, 압축티슈 공급장치(1b)는 급수실린더(450)가 물통(20)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된 점에서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밑에는 물통(20)이 장착되며, 상기 물통(20)의 표면 일부에는 그 깊이방향으로 스프링 장착공(5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장착공(500)에는 스프링(56)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피스톤로드(55)가 장착되며, 피스톤로드(55)에는 h자형으로 누름부(42)가 연결된다.
물통(20)의 바닥면에 형성된 급수실린더(450)는 측벽에 물 인입구(510)가 형성되어 있어서 물통(20)안의 물(W)이 급수실린더(450)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 피스톤(40)이 하강하면 급수실린더(450)안의 물이 물 배출관(18)쪽으로 배출되며 이때는 피스톤(40)이 상기 물 인입구(510)를 막는다. 그리고 피스톤(40)이 상승할 때에는 물 인입구(510)가 열리므로 급수실린더(450)안으로 물이 들어온다. 한편 급수실린더(450)에 연결된 배출측 체크밸브(46)는 물이 밖으로 배출되는 쪽으로만 개방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개방되지 않으므로, 이미 밖으로 배출된 물이 피스톤(40)이 상승하는 동안 급수실린더(46)쪽으로 다시 흡입되지는 않는다.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피스톤로드(55)의 하방 이동에 의해 h자형으로 연결된 누름부(42)가 푸쉬레버(13)를 회동시키므로, 푸쉬레버(13)의 앞에 대기하고 있던 압축티슈가 푸쉬레버(13)에 의해 밀려서 압축티슈 배출함(11)으로 배출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3가지를 제시하였지만, 상기 실시예들과 균등한 구성을 가진 변형예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게 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티슈 공급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티슈 공급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압축티슈 공급장치(1) 중 하우징(10) 내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A-A선을 따른 하우징(10)의 평면도로서 편의상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5 및 도6은 도1에 도시된 압축티슈 저장장치(1)의 작동과정에 관한 단면도들이다.
도7은 도1에 도시된 압축티슈 저장장치(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티슈 공급장치(1a)의 측면도이다.
도9는 도8의 압축티슈 공급장치(1a)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10은 하우징(10) 내부에서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축티슈 공급장치(1b)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압축티슈 공급장치 2: 외부케이스
2a: 볼트체결구 2b: 볼트
3: 뚜껑 3a: 버튼통과공
4: 누름버튼 5,5a,5b,5c: 압축티슈
10: 하우징 11: 압축티슈 배출함
12: 물 배출구 13: 푸쉬레버
14: 압축티슈 안내부 14a: 안내터널
15: 트레이 안착턱 16: 볼트체결구
17: 격리판 18: 물 배출관
20: 물통 21: 물 인입관
22: 마개 23: 물 공급부
24: 흡입축 체크밸브 30: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
31: 걸림봉 32: 압축티슈 안내벽
33: 피스톤 통과공 34: 차단 블레이드
36: 배출구멍 40: 피스톤
40a: 피스톤로드 41: 패킹
42: 누름부 43: 연결부
45: 급수실린더 45a: 고정부
46,46a: 배출측 체크밸브 50: 커버
51: 압축티슈 투입구 52: 돌출소켓
52a: 피스톤로드 통과공 55: 피스톤로드
55a: 걸림턱 56: 스프링
57: 중간지지대 57a: 피스톤 통과공
400: 레버 410: 연결바
411: 결합핀 412: 회전중심축
414: 밀대 420: 스프링
421: 스프링 고정부 422: 스프링 고정단
500: 스프링 장착공 510: 물 인입구
CL: 중심선 W: 물

Claims (3)

  1. 하부에 압축티슈 배출함(11)이 돌출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내벽면 상에 형성된 트레이 안착턱들(15)에 의해 지지되며 바닥면 일부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 압축티슈를 배출하는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아래에 위치하는 물통(20);
    상기 물통(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 안의 물을 흡입하는 급수실린더(45);
    상기 급수실린더(45)에 장착된 피스톤(40) 및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와 h자형으로 연결된 누름부(42);
    L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42)와 접촉되는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쉬레버(13); 및
    상기 급수실린더(45)의 물을 상기 압축티슈 배출함(11)으로 안내하는 물 배출관(18);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로드는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 밖으로 노출되며, 상기 피스톤로드는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바닥면에 지지된 스프링(56)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향 이동에 의해 급수실린더 안의 물이 압축티슈 배출함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푸쉬레버(13)가 누름부(42)의 하향이동에 의해 회동되면서 푸쉬레버 앞에 대기하고 있는 압축티슈를 압축티슈 배출함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티슈 공급장치.
  2. 하부에 압축티슈 배출함(11)이 돌출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내벽면 상에 지지되며 바닥면 일부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 압축티슈를 배출하는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아래에 위치하는 물통(20);
    상기 물통(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 안의 물을 흡입하는 급수실린더(45);
    상기 급수실린더(45)에 장착된 피스톤(40);
    상기 피스톤(40)과 핀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과 연결된 지점 이외의 다른 지점을 회전중심축(412)으로 가지는 연결바(410);
    상기 연결바(41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으로 노출된 레버(400);
    상기 연결바(410)의 단부에 결합된 밀대(414);
    상기 급수실린더(45)의 물을 상기 압축티슈 배출함(11)으로 안내하는 물 배출관(18);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바(410)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스프링(42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피스톤(40)의 상향 이동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상기 레버(4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피스톤(40)의 하향 이동에 의해 급수실린더(45) 안의 물이 압축 티슈 배출함(11)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밀대(414)가 그 앞에 대기하고 있는 압축티슈를 압축티슈 배출함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티슈 공급장치.
  3. 하부에 압축티슈 배출함(11)이 돌출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내벽면 상에 지지되며 바닥면 일부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 압축티슈를 배출하는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
    상기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의 아래에 위치하는 물통(20);
    상기 물통(2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스프링 장착공(500);
    상기 물통(20)의 바닥면 일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물통 안의 물을 배출하는 급수실린더(450);
    상기 급수실린더(450)에 장착된 피스톤(40);
    상기 피스톤(40)과 연결되며 스프링 장착공(500)과 압축티슈 저장 트레이(30)를 통과하여 하우징(10)의 상부로 노출된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와 h자형으로 연결된 누름부(42);
    L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42)와 접촉되는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쉬레버(13); 및
    상기 급수실린더(450)의 물을 상기 압축티슈 배출함(11)으로 안내하는 물 배출관(18);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로드는 상기 스프링 장착공(500)의 바닥면에 지지된 스프링(56) 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하향 이동에 의해 급수실린더 안의 물이 압축티슈 배출함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푸쉬레버(13)가 누름부(42)의 하향이동에 의해 회동되면서 푸쉬레버 앞에 대기하고 있는 압축티슈를 압축티슈 배출함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티슈 공급장치.
KR2020070011844U 2007-07-18 2007-07-18 압축티슈 공급장치 KR200442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844U KR200442010Y1 (ko) 2007-07-18 2007-07-18 압축티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844U KR200442010Y1 (ko) 2007-07-18 2007-07-18 압축티슈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010Y1 true KR200442010Y1 (ko) 2008-09-29

Family

ID=4164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844U KR200442010Y1 (ko) 2007-07-18 2007-07-18 압축티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01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835B1 (ko) * 2017-10-13 2018-11-23 강선정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KR20210083754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디앤티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KR20210083753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디앤티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WO2022050458A1 (ko) * 2020-09-04 2022-03-10 황세영 물 티슈 공급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835B1 (ko) * 2017-10-13 2018-11-23 강선정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KR20210083754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디앤티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KR20210083753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디앤티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KR102360757B1 (ko) * 2019-12-27 2022-02-08 주식회사 디앤티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KR102370740B1 (ko) * 2019-12-27 2022-03-03 주식회사 디앤티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WO2022050458A1 (ko) * 2020-09-04 2022-03-10 황세영 물 티슈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60229A1 (en) Dishwasher with at least one dispenser intended for the provision of a detergent additive
CN102946773B (zh) 饮料机的人机工程维护装置
KR200442010Y1 (ko) 압축티슈 공급장치
JP2015202396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供給装置
US20060249524A1 (en) Personal sanitary wipe dispensing device
CA2986398C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having a dual-purpose lid
KR101584514B1 (ko) 내용물의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샴푸 용기
US9955826B2 (en) Foaming dispenser for toilet paper
US20220095850A1 (en) Hand sanitizer dispenser
KR20110116294A (ko) 빨대가 구비된 액체용기 구조
IT8922713A1 (it) Macchina per caffe' espresso, specialmente per impiego domestico
US2985289A (en) Finger cleaner
US3208092A (en) Cleaning device
KR200388279Y1 (ko) 액체 정량 배출장치
KR101298573B1 (ko) 세탁용 세제 인출기
JP3111617U (ja) 液体供給装置
KR100788294B1 (ko) 일회용 물수건 즉석 제조장치 및 방법
JP3681031B2 (ja) 給茶機
US2245508A (en) Sanitary laminated pad
KR20110020402A (ko) 물티슈 제조방법 및 손세정제 보관함
FR2561066A1 (fr) Bac litiere escamotable, avec reservoir et poubelle associes
ITMI20100490A1 (it) Dispositivo per lo svuotamento di capsule di preparazione istantanea di bevande
KR200212186Y1 (ko) 좌변기용 자동분사기
US20220031143A1 (en) Device for rinsing a container or other kitchen utensil
JPH03369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