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740B1 -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740B1
KR102370740B1 KR1020190176364A KR20190176364A KR102370740B1 KR 102370740 B1 KR102370740 B1 KR 102370740B1 KR 1020190176364 A KR1020190176364 A KR 1020190176364A KR 20190176364 A KR20190176364 A KR 20190176364A KR 102370740 B1 KR102370740 B1 KR 102370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water
electrolyzed water
tray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754A (ko
Inventor
정우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티
Priority to KR1020190176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74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9Chlorin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는 티슈 트레이의 건식 티슈를 티슈 받침대로 공급하도록 본체부에 구성된 티슈 공급부;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이용하여 소금과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력과 탈취력을 갖는 전해수를 생성하도록 물통부 안에 구성된 전극 모듈; 상기 물통부로부터 연결관을 통해서 상기 티슈 받침대로 전해수를 설정시간 또는 설정량 분사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성된 분사 장치; 및 상기 티슈 공급부, 상기 전극 모듈, 및 상기 분사 장치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티슈 받침대에 상기 건식 티슈를 공급하고, 공급된 상기 건식 티슈에 전해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NON-TOXIC WET-TISSUE AUTOMATIC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물질을 첨가하지 않고 물과 소금만으로 살균, 탈취, 및 세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wet tissue)는 휴지의 일종으로, 제작 과정 상에서 제품에 수분을 함유시킨 휴지를 지칭하며, 주로 손이나 얼굴 등을 간편하게 닦는 데에 쓰이고 있으며, 물티슈 제품의 경우 알로에 추출물 등의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여 피부를 상쾌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휴지가 표백을 위해 인체에 유해한 형광증백제와 같은 각종 형광 물질을 첨가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 물티슈의 발전 양상은 무형광, 무알콜로 피부에 자극을 덜 주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물티슈의 국내 시장규모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빠르게 증가하여 매년 수천억 원에 이르렀으며, 물티슈는 휴대용 제품으로 발전되어 위생과 청결 유지에 기여하고 있고, 영아, 유아부터 성인까지 그리고 가정, 및 각종 업소 등 다양한 소비층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물티슈 제품에서 유독한 화학물질이 검출되거나, 기준치를 넘는 세균이 확인되고 있다는 기사가 있으며, 물티슈 중에 메탄올이나 살균 보존제 등이 검출되거나, 일회용 물티슈에서 세균이 검출되었다는 기사가 있다.
물티슈를 장기관 보관, 사용 중 오염될 경우 세균, 곰팡이가 증식 할 수 있는며, 어떤 물티슈는 수년 동안 썩지 않는데, 이는 물티슈가 물과 티슈만으로 제조되는 것이 아니라 방부제, pH조절제, 또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화학물질이 첨가되고, 이러한 화학물질은 피부염, 피부발진, 알레르기, 안구손상, 또는 어지럼증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환경 친화성 세정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소비자는 유독물 걱정 없는 천연 세제를 직접 만들어 쓰기도 한다.
위에서 언급된 배경기술에 기재된 내용들은 단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작성된 것이므로, 이 기술의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공지기술 외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2-0072630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5-004565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친환경 원료를 사용하여 살균, 탈취, 및 세정효과가 탁월한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체에 무해한 전해수를 생성하여 건식 티슈에 분사함으로써 물티슈가 필요할 때마다 현장에서 직접 물티슈를 제조하여 물티슈 자체뿐만 아니라 물티슈의 사용 대상(피부, 장난감, 바닥 등)에 존재하는 세균 및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는 티슈 트레이의 건식 티슈를 티슈 받침대로 공급하도록 본체부에 구성된 티슈 공급부;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이용하여 소금과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력과 탈취력을 갖는 전해수를 생성하도록 물통부 안에 구성된 전극 모듈; 상기 물통부로부터 연결관을 통해서 상기 티슈 받침대로 전해수를 설정시간 또는 설정량만큼 분사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성된 분사 장치; 및 상기 티슈 공급부, 상기 전극 모듈, 및 상기 분사 장치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티슈 받침대에 공급된 상기 건식 티슈에 전해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부와 본체부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는, 상기 전해수의 염소농도를 감지하는 염소농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전해수에 포함된 염소농도가 설정치 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전극 모듈을 작동시켜 전해수의 염소농도를 목표치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는, 상기 물통부에 담긴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물의 레벨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는, 상기 건식 티슈로 공급될 전해수를 히팅시키도록 상기 물통부 또는 상기 분사 장치에 구성된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서, 상기 티슈 트레이에는 상기 건식 티슈가 하부에서 상부로 적재되는 적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는 원형을 따라서 배열되어 상기 티슈 트레이가 원통형 구조를 갖되, 원통형 구조를 갖는 상기 티슈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티슈 트레이의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건식 티슈 중 하나를 외부로 밀어내는 푸시바; 및 상기 푸시바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건식 티슈의 유무를 감지하는 티슈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는, 상수도 공급 배관과 연결되는 급수관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급수관 연결부를 통해 상기 물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서, 상기 분사 장치의 전해수 분사 설정량은, 전해수 분사량 조절버튼을 통해서 단계별로 조절되어 분사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는, 전해수 전용 사용버튼의 작동 시 상기 티슈 공급부는 건식 티슈를 공급하지 않고 상기 분사 장치만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학물질이 첨가되지 않아서 안전하고, 강력한 살균력과 탈취력을 가진 전해수를 생성하여 물티슈뿐만 아니라 물티슈를 사용하는 대상의 유해 세균 및 악취 원인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 pH조절제, 및 계면활성제와 같은 화학물질이 첨가되어 있는 기존 물티슈와 달리 유해한 화학물질이 첨가되지 않아 유해한 화학물질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즉석에서 물티슈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어 기존 물티슈와 같이 장기간 보관으로 야기될 수 있는 물티슈의 오염이나 세균번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전해수는 물티슈 제조 용도로만 사용하지 않고 분무기에 담아 장난감, 주방용품, 반려동물용품, 냉장고, 욕실 청소와 같은 일상생활 속에서 살균, 탈취, 세정용으로 무해하게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고, 유해한 화학물질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지구 환경에 기여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서 제1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서 제2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서 제3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서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서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의 제4일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의 제5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의 제6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의 제어인자들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구성이나 작용 등 외에도 다른 구성이나 작용 등을 더 포함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는 본체부(100), 트레이 손잡이(105), 트레이 탈착구(110), 캡(115), 물통부(120), 전극 모듈(125), 조작부(130), 티슈 받침대(135), 및 전해수 받침대(14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손잡이(105)를 이용하여 건식 티슈(400)가 장착된 트레이(200)를 본체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탈착구(110)를 통해서 삽입하고, 상기 물통부(120)의 상기 캡(115)을 열고 물과 소금을 투입하며, 조작부(130)의 전해수 생성버튼을 터치하거나 누르면, 상기 전극 모듈(125)로 전원이 공급되어 전해수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조작부(130)의 물티슈 제조버튼을 누르면, 트레이(200)에서 건식 티슈(400)가 상기 티슈받침대(135)로 투입되고, 상기 물통부(120)에 담긴 전해수가 상기 티슈받침대(135)에 투입된 건식티슈로 분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서 제1일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서 제2일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서 제3일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는 주입구(205), 캡(115), 공급 밸브(210), 접점부(215), 연결관(220), 분사 장치(225), 분사구(230), 배수구(235), 슬라이더 토출구(240), 전원 공급부(245), 메인 제어부(250), 슬라이더(260), 티슈 감지부(265), 및 티슈 공급부(27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서, 티슈 공급부(270)는 티슈 트레이(200)의 건식 티슈를 티슈 받침대(135)로 공급하도록 본체부(100)에 구성되고, 전극 모듈(125)은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이용하여 소금과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력과 탈취력을 갖는 전해수를 생성하도록 물통부(120) 안에 구성되고, 분사 장치(225)는 연결관(220)을 통해서 상기 물통부(120)로부터 상기 티슈 받침대(135)로 전해수를 설정시간 또는 설정량만큼 분사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구성되며, 제어부(250)는 상기 티슈 공급부(270), 상기 전극 모듈(125), 및 상기 분사 장치(225)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티슈 받침대(135)에 놓여진 상기 건식 티슈(400)를 전해수로 적시도록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물통부(120) 내부에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 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전극 모듈(125)이 구비되고, 이는 물과 소금을 전기 분해하여 무해하고 살균력과 탈취력이 우수한 전해수를 생성한다.
상기 물통부(120)는 상기 본체부(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탈부착식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통부(120)에 물이 없을 경우 전해수 생성시 전해수 생성 전극 (+), (-)간 전류가 흐르지 않고 이를 감지하여 조작부(130)에 물없음 상태를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서 알릴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물통부(120) 안에는 수위 감지부(12, 도 11)가 구비되어 있어 물통부(120)에 물이 없을 경우 "물없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단계별 물통부(120)의 수위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물통부(120) 상부에는 물과 소금을 넣을 수 있는 주입구(205)와 이에 체결되는 캡(11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캡(115)에는 전해수 생성시 발생할 수 있는 가스 배출 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홀(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통부(120) 하부에는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시 스프링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장치로 닫혀 있던 공급 밸브(210)가 개방되어 전해수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접점부(215)는 본체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전극 모듈(125)과 상기 수위 감지부(1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물통부(120)에 물과 소금을 설정된 양만큼 넣은 후 물통부(120)를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하면 설정된 시간 동안 전해수를 생성한 후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고, 상기 물통부(120)에 물과 소금을 설정된 양만큼 넣고 처음 전해수 생성이 완료된 후에,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설정된 시간 동안 자동으로 전기분해를 통해 전해수를 재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이 설정된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여기서, 물통부(120)가 본체부(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상수도 공급 배관 등과 연결되는 급수관 연결부(미도시)를 구성하여 급수관 연결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통부(120) 내부에는 염소농도 감지부(11, 도 11)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물통부(120) 내 전해수의 유효 염소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염소농도가 설정치 이하로 떨어질 경우, 자동으로 전해수가 재생성 되고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할 경우 자동으로 전해수 재생성이 정지되며, 이러한 동작이 설정된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해수가 생성되는 동안 LED가 점등되어 물통부(120)에 조명이 켜지고 전해수 생성이 완료되면 LED가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고, 생성된 전해수는 물티슈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 외에 별도로 장난감, 주방용품, 반려동물용품, 냉장고, 욕실 청소와 같은 일상생활 속에서 살균, 탈취, 세정용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0)에는 전해수 생성버튼, 전해수 생성알림부, 물티슈 제조버튼, 물부족 알림부, 티슈부족 알림부, 염소농도 알림부, 전해수 히팅버튼, 전해수 분사량 조절버튼, 및 점검 알림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점검 알림부는 소금의 양이 적정량 이상 또는 미만일 경우에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전해수 히팅버튼을 누르고, 물티슈 제조버튼을 누르면 제품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가열용 히터(13, 도 11)에 전원이 인가되어 따뜻한 물티슈를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전해수 분사량 조절버튼을 통해서 물티슈에 함유된 물의 양을 단계별로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220)은 상기 물통부(120)의 전해수 공급 밸브(210)와 전해수 분사 장치(225) 사이를 연결하고, 전해수 분사 장치(225)와 분사구(230) 사이에 전해수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분사 장치(225)는 물티슈 제조버튼의 신호를 받아 건식 티슈가 상기 티슈 받침대(135)로 토출되면 상기 분사 장치(225)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물통부(120)의 전해수를 설정된 시간 또는 분사량만큼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 장치(225)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워터펌프,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200)에서 토출된 건식 티슈가 슬라이더(260)를 통과하여 티슈 받침대(135)에 공급되면, 상기 물통부(120)에서 생성된 전해수가 설정된 양만큼 분사되어 건식 티슈(400)에 흡수됨으로써 살균, 탈취, 세정기능을 갖춘 무독성 물티슈가 제조된다.
상기 티슈 받침대(135)는 그릇 형태로 가운데가 오목한 구조를 가지며, 가운데 바닥에는 배수구(235)가 형성되고, 건식 티슈(400)에 흡수되고 남은 잔류 전해수가 배수구(235)를 통해서 상기 전해수 받침대(140)에 모인다.
상기 티슈 받침대(135) 중앙에 있는 배수구(235)를 통해 유입된 잔류 전해수가 상기 전해수 받침대(140)에 모이고, 상기 전해수 받침대(140)는 탈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전해수가 가득 찰 경우 분리하여 전해수를 버리고, 다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전해수 받침대(140)의 일측 외면에는 투명창이 형성되어 내부가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250)는 물티슈 자동 제조 장치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고, PC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공급부(245)는 물티슈 자동 제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며 전원을 ON, OFF 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부(120)에 설정된 양만큼 물과 소금을 넣고, 상기 물통부(120)가 본체부(100)와 결합되면, 공급 밸브(210)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상기 접점부(215)를 통해서 상기 전극 모듈(125)로 전원이 인가되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전해수가 생성되고 전해수 생성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전해수 생성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물통부(120)에서 전해수가 생성되는 동안에는 물티슈 제조버튼을 터치하거나 눌러도 물티슈 제조 과정이 진행되지 않으며, 물티슈 제조버튼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250)로 신호가 전달되고, 신호를 받은 제어부(250)에서 티슈 공급부(270)에 전원을 인가하여 건식 티슈를 밀어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서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건식 티슈(400)를 적재하여 공급할 수 있는 티슈 트레이(200)가 구비되고, 적재된 건식 티슈를 모두 사용했을 경우, 상기 티슈 트레이(200)를 분리하여 건식 티슈(400)를 다시 적재한 후 본체부(100)에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티슈 트레이(200)는 본체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건식 티슈(400)를 넣을 수 있는 개폐 가능한 캡(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티슈 트레이(200) 하단부 앞쪽에는 건식 티슈(400)가 토출될 수 있는 트레이 토출구(6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티슈 트레이(200) 하단부 뒤쪽에는 푸시홀(605)이 구비된다.
상기 티슈 공급부(270)는 액추에이터(272)와 푸쉬바(274)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바(274)는 상기 푸시홀(605)을 통해서 건식 티슈(400)를 밀고, 건식 티슈(400)는 상기 트레이 토출구(610)를 통해서 외부로 인출된다. 아울러, 상기 티슈 트레이(200)의 하단부 아래쪽에는 티슈 감지부(26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티슈 트레이(200)는 한정된 공간에 다량의 건식 티슈를 적재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열되어 각기 구분된 복수의 적재부(620)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적재부(620)들에 대응하여 티슈 공급부(270)와 티슈 감지부(265)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마지막 적재부(620)의 건식 티슈를 모두 사용했을 경우 티슈 감지부(265)가 이를 감지하며, 이를 조작부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에서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티슈 공급부(270)에 의해 상기 티슈 트레이(200)로부터 토출된 건식 티슈(400)가 슬라이더(260)를 통해서 하부로 하강하며, 상기 슬라이더(260)는 상기 티슈 트레이(200)로부터 슬라이더 토출구(240)까지 하부로 설정각도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60)의 상부 입구부는 상기 티슈 트레이(200)의 적재부(620)와 연결되도록 폭이 연장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더 토출구(240)의 내경은 상기 티슈 받침대(135) 측으로 축소된 구조를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의 제4일부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티슈 받침대(135) 하부에 상기 전해수 받침대(140)가 구비되고, 상기 전해수 받침대(140)는 탈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어서 남은 전해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전해수 받침대(140)의 일측은 투명하여 남은 전해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의 제5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9에서는 도 1-8과 비교하여 특징적인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티슈 트레이(200)는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즉, 건식 티슈(400)가 적재되는 적재부(620)는 원을 따라서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원통형 티슈 트레이(200)의 하부에는 원통형 상기 티슈 트레이(2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91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910)는 모터와 기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어는 상기 티슈 트레이(200)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와 외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적재부(620)에 건식 티슈가 모두 소진되면, 상기 회전부(910)가 상기 티슈 트레이(200)를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켜 인접한 적재부(620)에 적재된 건식 티슈를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건식 티슈(400)를 공급하는 티슈 공급부(270)가 구성되고, 상기 티슈 공급부(270)는 푸쉬바(274)와 상기 푸쉬바(274)를 밀고 당기는 액추에이터(272)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272)는 모터와 기어,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공압실린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의 제6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건식 티슈(400)를 공급하는 티슈 공급부(270)가 구성되고, 상기 티슈 공급부(270)는 푸쉬바(274)와 상기 푸쉬바(274)를 밀고 당기는 액추에이터(272)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바(274)의 단부 상면에는 상기 건식 티슈(400)를 감지하는 티슈 감지부(265)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티슈 감지부(265)에서 건식 티슈(400)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회전부(910)가 상기 티슈 트레이(200)를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켜 인접한 적재부(620)에 적재된 건식 티슈를 공급할 수 있고, 마지막 적재부(620)에서도 티슈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250)는 조작부를 통해서 티슈 없음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의 제어인자들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조작부(130)로부터 사용자의 지시신호를 수신하며, 전극 모듈(125), 티슈 공급부(270), 분사 장치(225), 히터(13), 및 회전부(910)의 작동을 제어하고, 염소농도 감지부(11), 수위 감지부(12), 및 티슈 감지부(265)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서 상기 조작부(130)에 알림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조작부(130)에는 전해수 생성버튼, 물티슈 제조버튼, 전해수 분사량 조절버튼, 전해수 히팅버튼, 전해수 생성알림부, 물부족 알림부, 티슈부족 알림부, 염소농도 알림부, 및 점검 알림부가 구성될 수 있고, 소금부족 알림부도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버튼종류는 누름버튼이나 터치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고, 알림부는 디스플레이, LED, 또는 소리를 발생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건식 티슈(400)로 전해수가 공급되어 물티슈를 제조하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건식 티슈(400)는 토출되지 않고 전해수만 나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의 조작부(130)는 전해수 전용 사용버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전해수 전용 사용버튼을 누르게 되면, 건식 티슈(400)는 공급되지 아니하고 전해수만 나오게 되는데, 이를 통해 전해수만 생성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본체부 105: 손잡이
110: 탈착구 115: 캡
120: 물통부 125: 전극 모듈
130: 조작부 135: 티슈 받침대
140: 전해수 받침대 200: 트레이
205: 주입구 210: 공급 밸브
215: 접점부 220: 연결관
225: 분사 장치 230: 분사구
235: 배수구 240: 슬라이더 토출구
245: 전원 공급부 250: 제어부
260: 슬라이더 265: 티슈 감지부
270: 티슈 공급부 272: 액추에이터
274: 푸쉬바 400: 건식 티슈
605: 푸시홀 610: 트레이 토출구
620: 적재부 910: 회전부
11: 염소농도 감지부 12: 수위 감지부
13: 히터

Claims (8)

  1. 티슈 트레이의 건식 티슈를 티슈 받침대로 공급하도록 본체부에 구성된 티슈 공급부;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이용하여 소금과 물을 전기 분해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도록 물통부 안에 구성된 전극 모듈;
    상기 물통부의 전해수를 연결관을 통해서 상기 티슈 받침대로 설정시간 또는 설정량만큼 분사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성된 분사 장치; 및
    상기 티슈 공급부, 상기 전극 모듈, 및 상기 분사 장치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티슈 받침대에 공급된 상기 건식 티슈에 전해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부와 본체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티슈 받침대는 오목한 그릇 형태를 가지며, 바닥에는 상기 전해수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티슈 받침대의 하부에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서 배출된 전해수가 담기는 전해수 받침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의 염소농도를 감지하는 염소농도 감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전해수에 포함된 염소농도가 설정치 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전극 모듈을 작동시켜 전해수의 염소농도를 목표치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부에 충진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물의 레벨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티슈로 공급될 전해수를 히팅시키도록 상기 물통부 또는 상기 분사 장치에 구성된 히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 트레이에는 상기 건식 티슈가 적재되는 적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는 원형을 따라서 배열되어 상기 티슈 트레이가 원통형 구조를 갖되,
    원통형 구조를 갖는 상기 티슈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티슈 트레이의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건식 티슈 중 하나를 외부로 밀어내는 푸시바; 및
    상기 푸시바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건식 티슈의 유무를 감지하는 티슈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수도 공급 배관과 연결되는 급수관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급수관 연결부를 통해 상기 물을 공급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장치의 전해수 분사 설정량은,
    전해수 분사량 조절버튼을 통해서 단계별로 조절되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전해수 전용 사용버튼의 작동 시 상기 티슈 공급부는 건식 티슈를 공급하지 않고 상기 분사 장치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KR1020190176364A 2019-12-27 2019-12-27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KR102370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364A KR102370740B1 (ko) 2019-12-27 2019-12-27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364A KR102370740B1 (ko) 2019-12-27 2019-12-27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54A KR20210083754A (ko) 2021-07-07
KR102370740B1 true KR102370740B1 (ko) 2022-03-03

Family

ID=7686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364A KR102370740B1 (ko) 2019-12-27 2019-12-27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7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9029B2 (ja) * 1997-08-29 2001-10-15 三浦工業株式会社 純水加温装置
KR100767643B1 (ko) * 2006-06-19 2007-10-19 정경래 일회용 물수건 제조 장치
KR200442010Y1 (ko) * 2007-07-18 2008-09-29 이순길 압축티슈 공급장치
KR101042155B1 (ko) * 2011-04-07 2011-06-21 박우진 물티슈 자동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751A (ko) * 2009-01-12 2009-02-17 김진호 휴지 수분공급장치
KR101232362B1 (ko) 2010-12-24 2013-03-07 주식회사 동천테크 소독용 티슈제조기
KR20150045656A (ko) 2013-10-21 2015-04-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고도산화수를 이용한 압축 물티슈 공급 장치
KR20150107687A (ko) * 2014-03-14 2015-09-23 한국돌기 주식회사 살균 물티슈 공급장치 및 방법
KR20170137328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하임 휴대용 압축티슈를 공급하는 장치
JP3219029U (ja) * 2018-09-12 2018-11-22 建宏 陳 電気化学ティッシュ消毒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9029B2 (ja) * 1997-08-29 2001-10-15 三浦工業株式会社 純水加温装置
KR100767643B1 (ko) * 2006-06-19 2007-10-19 정경래 일회용 물수건 제조 장치
KR200442010Y1 (ko) * 2007-07-18 2008-09-29 이순길 압축티슈 공급장치
KR101042155B1 (ko) * 2011-04-07 2011-06-21 박우진 물티슈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54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12707B (zh) 气泡电解水生成装置以及自动清洗装置
CN103191880B (zh) 用于洗涤、消毒和灭菌的可控泡沫清洗方法及设备
KR101653189B1 (ko) 수소수를 이용한 휴대용 미세먼지 제거 살균 스프레이건
CN105463763B (zh) 对洗衣料盒进行杀菌的装置及方法
KR100543973B1 (ko) 가정용 세정수 제조장치
CN103058332A (zh) 家用电功能酸性离子水发生装置及控制方法
KR102370740B1 (ko)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KR102360757B1 (ko)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JP3219029U (ja) 電気化学ティッシュ消毒装置
CN109464100A (zh) 具有臭氧消毒功能的旋臂式砧板清洗机
CN215191297U (zh) 一种带臭氧消毒功能的洗地机
CN208492748U (zh) 鞋底酒精消毒器
CN207002347U (zh) 一种消毒洁净水机
CN109464082A (zh) 具有紫外消毒功能的超声波式砧板清洗器
CN104787856A (zh) 一种离子水除菌消毒去污去异味装置
KR100945264B1 (ko) 테이블세척기
JP4467354B2 (ja) 洗浄装置及び除菌装置
US8361403B2 (en) Ultrasonic ozone-generating unit
CN209695105U (zh) 智能生态一体拖布池
CN215191296U (zh) 一种可自制次氯酸钠的消毒洗地机
CN205268653U (zh) 一种家用菜刀消毒器
KR102521748B1 (ko) 전기분해 살균 세정 및 플라즈마 멸균 건조 시스템
CN219090359U (zh) 落地式洗消一体机
CN109464084A (zh) 旋臂式砧板清洗机
CN210277085U (zh) 一种新型拖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