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132B1 -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 Google Patents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132B1
KR100365132B1 KR1020020031920A KR20020031920A KR100365132B1 KR 100365132 B1 KR100365132 B1 KR 100365132B1 KR 1020020031920 A KR1020020031920 A KR 1020020031920A KR 20020031920 A KR20020031920 A KR 20020031920A KR 100365132 B1 KR100365132 B1 KR 10036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l
water
fabric
instant
sani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273A (ko
Inventor
김복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넥스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넥스통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넥스통상
Priority to KR1020020031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132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273A/ko
Priority to TW091120249A priority patent/TW55554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3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 B26D1/4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and coacting with a rotary member
    • B26D1/40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and coacting with a rotary memb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2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starting
    • B65H2301/521Stripping web from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2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liquid medium
    • B65H2406/21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liquid medium for spraying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로 할 때마다 즉석에서 손쉽게 위생적인 물수건을 제조하여 공급하면서 설치되는 공간을 정화하고 쾌적하게 하는 기능을 갖춘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상부에서 롤형태로 감겨져 있는 수건원단을 적재하고 있다가 풀어주는 원단롤러와, 원단롤러의 전방에 배치되어 수건원단을 추출판과의 사이에서 강하게 압착하여 공급하는 수평으로 배치된 공급롤러와, 공급롤러의 하부에서 수건원단을 지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부에서 절단된 수건원단을 이송하면서 롤형태로 감는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절단된 수건원단에 물을 분사하는 분무수단이 수용되는 제 1케이싱을 일측에 설치하고, 그 측부에는 분무수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이 원단롤러의 측후방에 배치되고, 향분사를 위한 향분사장치가 전방하부에 배치된 음이온발생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며, 분무수단의 하단부에는 해충에게 스트레스를 가하는 특정 주파수를 발생하는 회로부와 특정주파수에 의해 진동하면서 특정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을 발생하는 스피커로 형성된 해충퇴치장치가 수용되는 제 2케이싱이 격벽으로 분리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Device that instant make of hygiene wet towel}
본 발명은 필요로 할 때마다 즉석에서 손쉽게 위생적인 물수건을 제조하여 공급하면서 설치되는 공간을 정화하고 쾌적하게 하는 기능을 갖춘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음식점을 비롯한 가정에서까지 위생적인 면을 고려하여 물수건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렇게 사용되는 물수건은 일회용으로 한번 사용하고나면 폐기처분하거나 세탁하여 재사용하고 있다. 이런 물수건의 수요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여러 종류의 물수건이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일회용 물수건은 젖은채 비닐에 포장되어 시판되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세균이 발생할 위험이 있고, 또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진공포장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상승하며, 재료를 질기게 하기 위해 폴리에스터 등의 고분자 화학물질을 다량 함유하여 촉감이 미끄럽고 폐기시 환경공해를 일으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물수건 제조기의 주사용처가 식당등의 위생을 중요시하는 곳인데 반하여 각종 해충의 서식, 담배연기 및 냄새등 그 사용환경이 매우 비위생적이며, 제조기의 물통에 물이 소진될때마다 사람이 일일이 물통에 물을 채워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계절에 따르는 따뜻하거나 차가운 물수건을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물수건의 길이가 일정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품이 아닌 저급의 수건원단을 사용하여 제조장치의 오작동 및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고, 수건원단의 걸림등으로 장치의 커버를 개방하고 장치내부에 손을 넣어 수건원단을 제거하는 도중 장치가 작동되어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등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수건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건원단의 공급이 원활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물수건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물수건의 온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해충 퇴치, 음이온 발생 및 향분사로 공기정화 기능을 보유한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원단불량에 의한 제조기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정품원단 감지기능을 보유한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를 사용함에 있어 물수건 제조기의 충전식물통으로 직접적으로 물을 제공하거나, 또는 충전식물통과 자동급수방법을 혼용하여 충전식물통 사용의 번거로움을 개선할 수 있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를 사용함에 있어 본체의 덮개가 사용중 외압에 의해 개방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 및 제조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우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좌측단면도,
도 5a, 도 5b, 도 5c는 물통에 각종 수위감지장치가 적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냉온수조절탱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본체 312:디스플레이부
314:콘트롤판넬 318,322,332:개폐감지센서
100:제 1케이싱 110:원단롤러
112:수건원단 122,122':공급롤러
130:원단감지센서 140:절단부
143:회전칼날 144:고정칼날
150:분무수단 152:분무노즐
160:컨베이어 170:수건받이
180:냉온수조절탱크 200:제 2케이싱
210:향분사장치 220:음이온발생장치
230:해충퇴치장치 250:물공급장치
260:정수기 270:펌프
280:수위감지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본체는 상부에서 롤형태로 감겨져 있는 수건원단을 적재하고 있다가 풀어주는 원단롤러와, 상기 원단롤러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롤러에서 인출된 수건원단을 추출판과의 사이에서 강하게 압착하여 공급하는 수평으로 배치된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공급롤러를 통해 공급되는 수건원단을 지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된 상기 수건원단을 이송하면서 롤형태로 감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부착되어 절단된 수건원단에 물을 분사하는 분무수단이 수용되는 제 1케이싱을 일측에 설치하고, 그 측부에는 상기 제 1케이싱의 분무수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이 원단롤러의 측후방에 배치되고, 향분사를 위한 향분사장치가 전방하부에 배치된 음이온발생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분무수단의 하단부에는 해충에게 스트레스를 가하는 특정 주파수를 발생하는 회로부와 상기 특정주파수에 의해 진동하면서 상기 특정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을 발생하는 스피커로 형성된 해충퇴치장치가 수용되는 제 2케이싱이 격벽으로 분리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는 상기 공급롤러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조절하여 물수건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상기 물공급수단은 물통에 설치된 플로트에 의하여 리드스위치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상기 물공급수단은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상기 물공급수단은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와, 수위의 상·하한선의 위치에 고정된 수위감지센서, 수위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별도의 전원에 의해 수위에 따라 급수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자동밸브를 포함하며, 수위에 따른 상기 플로트의 상하이동을 수위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는 상기 제 1케이스의 전면에는 제조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와 콘트롤판넬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상기 물공급수단은 수위에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된 볼탭과, 이 볼탭의 승강에 따라 개폐되어 물통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밸브를 구비하며, 저면에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온도값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와 냉온수조절탱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상기 제 2케이싱은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향을 분사하는 자동 향분사장치와, 제조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산소공급을 시켜주고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통상의 음이온발생장치와, 해충에게 스트레스를 가하는 해충퇴치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는 상기 본체의 전방덮개와 좌,우 측면덮개의 내측에는 덮개의 개방을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개폐감지센서는 작동중 덮개열림시 제조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는 공급롤러의 상부에 전원장치와 연결된 원단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상기 공급롤러와 추출판 사이에서 이동되는 원단의 그림 및 무늬 등을 감지하여 정품원단이 아닌경우, 제조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300)의 전방덮개(310)는 물수건 제조장치의 수리등을 위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사용할 물수건의 갯수 및 온도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콘트롤판넬(312)과, 수건원단이나 분사용향이 떨어지거나 원단걸림이 발생했을 때 이를 표시하는 등 제조장치의전반적인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14)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300)의 상면덮개(340)도 수건원단을 교체할 수 있도록 개폐될수 있고, 상기 본체(300)의 전방덮개(310)와 좌,우 측면덮개(320)(330)에는 구동장치와 연결된 개폐감지센서(318)(322)(332)가 부착되어, 상기 좌, 우 측면덮개(320)(330)가 물수건 제조중에 개방되는 경우, 전원을 차단한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체는(300)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에 의해 물수건 제조장치를 수용하는 제 1케이싱(100)과, 향분사장치(210), 음이온발생장치(220), 해충퇴치장치(230) 및 물공급수단(250)을 수용하는 제 2케이싱(200)으로 분리된다.
첨부 도면중 도 3은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우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냉온수조절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케이싱에 수용되어 있는 물수건 제조장치부는 수건원단(112)이 감겨있는 원단롤러(110)와, 상기 원단롤러(112)에 감겨있는 수건원단(112)이 풀리도록 회전하는 공급롤러(122)(122')와, 상기 공급롤러(122)(122')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수건원단(112)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고정칼날(144) 및 회전칼날(143)과,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상기 수건원단(112)을 롤형태로 감아 배출하는 컨베이어(160)와, 상기 컨베이어(160)의 상단에 고정되어 절단된 수건원단(112)에 물을 분사하는 분무수단(150) 및 상기 분무수단(150)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조절을 위한 냉온수조절탱크(180)를 포함한다.
수건원단(112)이 감긴 원단롤러(110)는 회전가능하게 좌우 측면덮개에 형성된 홈에 그 양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원단롤러(110)의 전방에는 구동수단(128)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원단롤러(110)에 감긴 수건원단(112)을 인출시키는 공급롤러(122)(122')가 위치된다.
상기 공급롤러(122)(122')의 전방 일측에는 추출판(121)이 위치되어 공급롤러(122)(122')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수건원단(112)이 이에 의해 압착되며, 상기 추출판(121)은 그 하단부의 피봇(125)부위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고, 그 내면의 롤러(127)가 상기 수건원단(112)의 표면에 대해 압력을 가하도록 스프링(126)에 의해 힘이 가해지고 있다.
상기 추출판(121)의 입구측 공급롤러(122)(122')의 상부에는 상기 수건원단(112)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원단감지센서(130)가 설치되며, 상기 원단감지센서(130)는 공급롤러(122)(122')의 회전에 의해 원단롤러(110)로부터 이송되어 상기 공급롤러(122)(122') 상면에 감기는 수건원단(112)의 그림 및 무늬를 인식하여 입력된 정품 수건원단과 그 상태를 비교한 후, 입력된 사항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급롤러(122)(12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이는 지정된 정품원단만을 사용하여 불량원단 사용으로 인한 물수건 제조기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불량원단이 사용된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31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급롤러(122)(122')의 하측에는 고정칼날(144)이 설치된다. 고정칼날(144)은 스프링(145)에 의하여 수건원단(112)의 이송경로쪽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받는다. 고정칼날(144)의 좌측에는 절단롤러(142)가 설치된다. 절단롤러(142)에는 회전칼날(143)이 설치되고, 기어(147)가 설치되는데 상기 기어(147)는 절단롤러 구동수단(146)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어(148)와 맞물림되도록 설치된다. 회전칼날(143)이 1회전하여 고정칼날(144)과 접촉할 때마다 수건원단(112)의 절단이 행해지는 것으로, 상기 공급롤러(122)(122')는 기어(123)(124)를 통하여 구동수단(128)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구동수단(128)으로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물수건의 길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콘트롤판넬(314)을 통해 구동수단(128)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물수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단부(140)의 하부에는 절단부(140)에 의해 절단되어진 수건원단(112)에 물을 분사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구멍들이 형성된 분무노즐(152)이 위치되며, 상기 분무노즐(152)의 하부에는 물이 적셔지고 설정된 길이로 절단된 상기 수건원단(112)을 이송하면서 롤형태로 감아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160)가 위치된다. 상기 컨베이어(160)의 하부에는 컨베이어(160)에서 롤형태로 감긴 물수건을 수건받이(170)에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62)가 구성되어있으며 후방에는 컨베이어(160)을 구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모터(154)가 설치되어있고, 수건받이(170)의 후방에는 상기 분무노즐(152)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냉온수조절탱크(1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온수조절탱크(180)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온수사용시에는 수중히터(182)에 전원이 인가되어 물을 일정온도(약85℃)까지 가열하여 사용하고, 냉수사용시에는 열전반도체(183)에 전원이 인가되어 물을 일정온도(약7℃)까지 냉각시키며 효율적인 냉전달을 위하여 다수의 냉각핀(185)으로 구성된 냉각플레이트(184)가 열전반도체(183)와 직접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반대편에는 열을 발산하기 위하여 방열판(186)이 설치되고, 효과적인 방열을 위하여 냉각팬(187)이 부착되어 있다.
첨부도면중 도 5는 본 발명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장치의 좌측단면도이고, 도 6a, 도 6b, 도 6c는 물통에 각종 수위감지센서가 적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케이싱(200)의 전방상부에는 물수건 제조기가 설치되는 공간에 향을 분사하기 위하여 향분사장치(210)가 배치되고, 그 하부에는 실내의 유해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음이온 발생장치(220)가 수용된다. 또한, 제조장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250)과 정수기(260)및 펌프(270)는 수도관과 배관접속이 용이하도록 후방상부에 배치되고, 후방하단에는 모기와 파리 그리고 바닥이나 구석진곳에서 기어다니는 해충들을 퇴치시키기 위하여 해충퇴치장치(230)가 수용된다.
상기 향분사장치(210)는 타이머 또는 공기 농도 감지센서등과 연결되어 조작된 시간 또는 공간내의 방향제 농도 등에 따라 방향제를 분사시키며, 상기 향분사장치의 전면에 위치된 전방덮개(310)에는 방향제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공(3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220)는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의 음극판(222)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극판과 극판 주위가 대전하면서 음이온이 대량 생성된다. 생성된 음이온은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본체(300)의 외부로 방출되어 실내에 음이온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음이온의 특성이 미세 먼지 집진과 더불어 공기청정효과를 가속화 시켜주기 때문에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가 설치된 실내에 산소공급을 시켜주고실내의 공기를 정화시켜주게 되어 신선한 공기를 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해충퇴치장치(230)의 회로부(232)에서는 특정주파수의 전기자장을 발생하고, 이런 전기자장에 의해 스피커(234)가 진동하면서 해충이 싫어하는 파장을 발생한다. 따라서 모기, 파리, 개미 및 바퀴벌레 등의 해충이 싫어하는 파장을 발생하여 해충의 서식환경을 파괴함으로써, 해충이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가 설치된 장소에서 서식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제 2케이싱(200)에는 수도직결 자동급수가 이루어지는 물통(252)을 갖는 물공급수단(250)이 위치되고, 상기 물통(252)의 하부에 정수기(260) 및 펌프(270) 등이 연결되며, 상기 물통(252)의 내부에는 충전식물통(256)이 설치된다.
상기 충전식물통(256)의 하부에는 보조탱크(25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조탱크(257) 내부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플로트(284)와 리드스위치(282)가 설치되어 충전식물통(256)의 물이 소진되었을 때 그 내용을 디스플레이부(312)에 표시하는 동시에 물수건의 추가배출을 중단시킨다.
상기 물공급수단(250)에는 외부의 급수시설로부터 직접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급수호스(255), 급수구(253), 급수밸브(254)가 별도로 상기 물통(252)에 설치된다.
상기 물통(252)의 내부에는 수위감지수단(280)으로서 도 6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통(252)내부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며 내부자석에 의해 리드스위치(282)를 작동시켜 급수밸브(254)를 개폐시키는 플로트(284)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위감지수단(280)으로서 도 6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물통(252)의 내부에는 물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강하는 것으로 물이 일정수위가지 상승하면 급수밸브(254)를 폐쇄하여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볼탭(286)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수위감지수단(280)으로서 도 6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통(252)내의 물 수위를 감지하여 급수밸브(254)를 개폐하는 수위감지센서(288)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자동급수장치는 물공급수단(250)에 수위감지수단(280)을 부착하여 물통(252)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서, 물통(252)에 물이 소진될때마다 사람이 일일이 물통(252)에 물을 채워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는 것이다.
상기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원단롤러(110)에 감겨져 있는 수건원단(112)을 평평하게 하여 공급롤러(122)(122')와 추출판(121)사이에 끼운 후 상면덮개(340)를 닫고, 전원을 켜면 전방덮개(310)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부(312)에 제조장치의 상태가 표시된다. 이때, 전방덮개(310)에 부착된 콘트롤판넬(314)을 통해 물수건의 제조수량 및 온도를 설정하면 구동수단(128)인 모터가 작동된다.
상기 모터가 동작하면, 구동기어(123)(124)가 동작하면서 상기 구동기어(123)(124)에 연결된 공급롤러(122)(122')가 회전되어 상기 수건원단(112)이 추출판(121)쪽으로 이송되고, 이송중인 수건원단(112)은 원단감지센서(130)에 의해 그 재질, 무늬 등이 감지된다.
상기 원단감지센서(130)에 의해 감지된 수건원단(112)이 정품인 경우, 수건원단(112)은 추출판(121)의 하방으로 이동하고, 정품이 아닌경우, 공급롤러(122)(122')가 멈춰서 본체(300)의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312)에 신호가 인가되어 수건원단(112)의 걸림이 표시된다.
추출판(121)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수건원단(112)은 상기 절단롤러 구동수단(146)의 기어(148)와 맞물려있는 회전칼날(143)이 설치된 절단롤러(142)가 시계방향으로 동작되어 수건원단(112)을 설정된 크기로 절단한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수건원단(112)은 하방으로 이송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160)에 의해 이송됨과 동시에 물을 분무노즐(152)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해서 일정하게 분사하여 수건원단(112)을 적시게 되는것이다.
상기 컨베이어(160)에 의해 이송과 동시에 물에 적셔진 수건원단(112)은 이송되면서 롤형태로 감긴 물수건이 되어 가이드부재(162)를 따라 전방덮개(310)의 하방에 위치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수건받이(170)에 적재된다. 물수건이 감기는 과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한편, 물공급수단(250)의 물공급은 물통(252) 중앙에 자석이 내장된 플로트(284) 및 상기 물통(252)의 중앙기둥(281)에 밀봉시킨 리드스위치(282)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물통(252)의 물이 사용되어 수위가 일정량 감소하면, 상기 플로트(284)가 수위하강에 따라 함께 내려가며 플로트(284) 내부의 자석에 의해 리드스위치(282)를 동작시키고 회로의 접점신호를 급수밸브(254)로 전달하여 급수밸브(254)를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급수구를 통해 물이 물통(252)으로 유입되고, 물의 유입에 따라 상기 플로트(284)가 상승되어 리드스위치(282)와 분리되며, 물이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급수밸브(254)로 급수차단신호가 인가되어 급수밸브(254)가 폐쇄된다.
물론, 상기 물통(252)의 내부에 물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볼탭(286)이 설치된 경우에도, 물이 사용되어 볼탭(286)이 하강되면 급수밸브(254)가 개방되고, 물이 일정 수위까지 상승하면 급수밸브(254)가 폐쇄됨으로써 물을 자동으로 물통(252)에 급수할 수도 있다.
상기한 수위감지센서(288)는 독립적으로 또는 상기 플로트(284) 및 볼탭(286)등과 함께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정수기(260)와 펌프(270)사이에는 냉온수조절탱크(180)가 부착되고,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온도를 설정하는 콘트롤판넬(314)과 연결되어 설정되는 온도값에 따라 분무수단(150)으로 이송되는 물을 가열 또는 냉각한다. 이때, 냉온수조절탱크(180)에 부착된 온도조절센서(188)에 의해 온도가 제어된다.
즉, 전면 콘트롤판넬을 통해 입력된 온도 값에의해 물통(252)으로부터 정수기(260)를 통해 냉온수조절탱크(180)로 유입된 물을 상기 값까지 가열 또는 냉각하고, 펌프(270)를 이용해 분무노즐(152)에서 수건원단(112)에 물을 분사시키는 것이다.
제 2케이싱(200)의 내부에 수용되어있는 향분사장치(210), 음이온 발생장치(220), 해충퇴치장치(230)는 격벽에 의해 각각의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향분사장치(210)는 타이머 등과 연결되어 일정 시간마다 소정량의 향을물수건 제조기가 설치되는 공간내에 분사시키며, 상기 음이온발생장치(220)는 전극과 전극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며, 이에 의해 발생된 높은 에너지에 의해 전자가 전극으로부터 방출되어 물수건 제조기가 설치된 공간내에 음이온이 방출되고, 해충퇴치장치(230)로부터는 특정주파수의 파장이 발생되어 해충이 서식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향분사장치(210), 음이온발생장치(220) 및 해충퇴치장치(230)는 제어회로와 연결되어 있어서 분사내용물이 떨어지거나 에러가 발생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부(312)에 에러메세지가 표시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는 또한 자동화 시스템을 갖춤으로써, 필요에 따라 즉석에서 물수건을 제조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의 해충퇴치, 음이온 발생 및 향분사등의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설치공간의 위생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는 원터치 방식으로 누구나 쉽게 조작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취향 또는 계절에 따라 물수건의 온도와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는 물통에 자동으로 물을 급수하여 사용자가 직접 물통에 물을 급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개선할 수 있으며, 단수시에는 삽탈가능하게 내장되는 충전식물통을 이용하여 제조기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에는 제조기가 가동중일때 덮개가 외압에 의해 강제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감지센서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 및 제조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상부에서 롤형태로 감겨져 있는 수건원단(112)을 적재하고 있다가 풀어주는 원단롤러(110)와, 상기 원단롤러(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롤러(110)에서 인출된 수건원단(112)을 추출판(121)과의 사이에서 강하게 압착하여 공급하는 수평으로 배치된 공급롤러(122)(122')와, 상기 공급롤러(122)(122')의 하부에서 상기 공급롤러(122)(122')를 통해 공급되는 수건원단(112)을 지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140)와, 상기 절단부(140)에서 절단된 상기 수건원단(112)을 이송하면서 롤형태로 감는 컨베이어(160)와, 상기 컨베이어(160)의 상부에 부착되어 절단된 수건원단(112)에 물을 분사하는 분무수단(150)이 수용되는 제 1케이싱(100)을 일측에 설치하고, 그 측부에는 상기 제 1케이싱(100)의 분무수단(15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250)이 원단롤러(110)의 측후방에 배치되고, 향분사를 위한 향분사장치(210)가 전방하부에 배치된 음이온발생장치(2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분무수단(250)의 하단부에는 해충에게 스트레스를 가하는 특정 주파수를 발생하는 회로부(232)와 상기 특정주파수에 의해 진동하면서 상기 특정주파수에 해당하는 파장을 발생하는 스피커(234)로 형성된 해충퇴치장치(230)가 수용되는 제 2케이싱(200)이 격벽으로 분리되는 몸체(300)를 포함하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122)(122')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조절하여 물수건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250)은 물통(252)에 설치된 플로트(284)에 의하여 리드스위치(282)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250)은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감지수단(2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수단(280)은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284)와, 수위의 상·하한선의 위치에 고정된 리드스위치(282), 리드스위치(28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별도의 전원에 의해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급수밸브(254)를 포함하며, 수위에 따른 상기 플로트(284)의 상하이동을 리드스위치(282)가 감지하여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250)의 수위감지수단(280)은 수위에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된 볼탭(286)과, 이 볼탭(286)의 승강에 따라 개폐되는 급수밸브(2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250)의 수위감지수단(280)은 수위를 감지하는 상하의 수위감지센서(288)와 수위감지센서(288)에 의해 개폐되는 급수밸브(2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제조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312)부와 콘트롤판넬(3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롤러(110)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온도값에 따라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온수조절탱크(18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케이싱(200)은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향을 분사하는 자동 향분사장치(210)를 포함하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케이싱(200)은 1회용 물수건 제조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산소공급을 시켜주고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통상의 음이온발생장치(220)를 포함하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00)의 전방덮개(310)와 좌,우 측면덮개(320)(330)에는 덮개의 개방을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318)(322)(332)가 장착되고, 상기 개폐감지센서(318)(322)(332)는 작동중 덮개(310)(320)(330) 열림시 제조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122)(122')의 상부에는 전원장치와 연결된 원단감지센서(130)가 장착되어, 상기 공급롤러(122)(122')와 추출판(121)사이에서 이동되는 수건원단(112)의 그림 및 무늬 등을 감지하여 정품원단이 아닌경우, 제조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KR1020020031920A 2002-06-07 2002-06-07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KR10036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920A KR100365132B1 (ko) 2002-06-07 2002-06-07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TW091120249A TW555541B (en) 2002-06-07 2002-09-05 On-line processing machine for sanitary tow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920A KR100365132B1 (ko) 2002-06-07 2002-06-07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445U Division KR200289609Y1 (ko) 2002-06-07 2002-06-07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273A KR20020059273A (ko) 2002-07-12
KR100365132B1 true KR100365132B1 (ko) 2002-12-26

Family

ID=2772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920A KR100365132B1 (ko) 2002-06-07 2002-06-07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65132B1 (ko)
TW (1) TW5555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1830A (zh) * 2020-11-13 2021-02-23 淮安嘉德纺织有限公司 一种堆叠毛巾的快速切断装置及其切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273A (ko) 2002-07-12
TW555541B (en)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3837B2 (ja) 水タオル自動供給装置
CN104566738A (zh) 气化式加湿器
CN101535722A (zh) 排气蒸汽稀释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加热烹调器
EP3697104A1 (en) Hearing aid maintenance system
KR102017129B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KR100718696B1 (ko) 자동 손 소독기
KR101381948B1 (ko) 가습기
KR100767643B1 (ko) 일회용 물수건 제조 장치
KR100365132B1 (ko)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CN101855398B (zh) 滚筒式洗涤-干燥机
KR200289609Y1 (ko)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KR101938196B1 (ko) 가열 증발식 전기발향기
KR101421095B1 (ko) 자연 기화식 가습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36896B1 (ko) 기화식 가습기
KR20140046842A (ko) 골프클럽 크리닝 시스템
KR20200130463A (ko) 신발 건조 장치
KR20110026614A (ko) 공기청정 가습기
KR100515569B1 (ko) 발향장치
KR100770412B1 (ko) 물공급 자동개폐 히터식 가습기
KR100403853B1 (ko) 쑥 훈증이 가능한 초음파 가습기
JPS623636Y2 (ko)
KR20200086971A (ko) 회전가습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1276044B1 (ko)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CN220665745U (zh) 一种多功能衣物护理装置
KR200263197Y1 (ko)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