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463A - 신발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463A
KR20200130463A KR1020207030716A KR20207030716A KR20200130463A KR 20200130463 A KR20200130463 A KR 20200130463A KR 1020207030716 A KR1020207030716 A KR 1020207030716A KR 20207030716 A KR20207030716 A KR 20207030716A KR 20200130463 A KR20200130463 A KR 20200130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hoe
drying apparatus
vacuum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링 자오
칭 가오
얀 가오
Original Assignee
쿠웨이브 (난징) 소프트웨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813051.1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803003A/zh
Application filed by 쿠웨이브 (난징) 소프트웨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쿠웨이브 (난징) 소프트웨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0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7Pump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30/00Other cleaning aspects applicable to all B08B range
    • B08B2230/01Cleaning with stea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하여 전원만 공급되는 어떠한 곳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조작이 편리한 신발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발 건조 장치에 있어서,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 전원에 의하여 구동하여 공압과 진공을 발생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본체에서 생성된 공압과 진공을 전달하는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공압을 건조하고자 하는 신발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진공압에 의하여 신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결체를 통하여 상기 본체로 안내하는 건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발 건조 장치
본 발명은 신발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이 가능한 신발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보행시 지면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 기능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능을 벗어나 하나의 패션으로 자리잡고 있어 매우 다양한 종류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외형적으로 구두, 케쥬얼화, 부츠 등으로 구분되고, 기능에 따라 운동화, 등산화, 런닝화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신발은 사람이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할 때, 지면에 수시로 직접 접촉하게 되는바, 지면에 의하여 기본적으로 오염이 되며, 또한 지면이 젖어 있을 경우 쉽게 신발 자체도 젖게되고, 특히 발에서 나는 땀으로 인해서도 젖게된다.
이와 같이, 신발 안쪽이 오염 또는 젖은 상태에서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곰팡이를 비롯한 각종 세균이 신발 안쪽에 번식하게 되어 발 건강을 해치게 될 우려가 크며, 색상의 변색으로 인하여 외관 품질이 저하되고, 기능성 신발의 경우에는 기능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신발이 오염 또는 젖은 경우 이를 세탁하여 보통 자연상태에서 건조시켰으나, 이러한 건조 작업은 자연상태에 따라 건조작업이 제한되었으며, 건조시간 또한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생활의 필수품인 신발을 좀 더 효율적이고, 위생적인 방법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 많은 신발 건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 제437106호를 들 수 있다. 상기 발명은 본체 내에 설치된 구획판에 의해 형성되는 건조실 및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면상발열체와, 상기 구획판에 설치되어 건조실 내의 공기를 가열실로 공급하는 제습기와, 상기 구획판의 전면 측에 설치되어 가열실 내의 열풍을 신발의 내측으로 토출하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복수 개의 열풍배출관으로 구성되어 있어, 면상발열체에서 발생된 원적외선에 의해 신발의 건조시 세균 등의 살균 효과와 함께 악취 등의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게 됨으로써 더욱 위생적으로 되고, 가열실에서 건조실로 순환되는 공기는 제습기에서 습기가 제거되어 공기의 가열시간이 단축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11-0006770호에는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열원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과 함께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과, 상기 하우징의 평단면으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기배출안내부재와, 전원공급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를 포함하는 신발 건조 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의 신발 건조장치들은, 다량의 신발을 동시에 건조시키는 점에서 효율적이나, 한쌍의 신발을 건조하거나, 가정용 또는 일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설치면적과 용량적인 측면에서 다소 무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전원만 공급되는 어떠한 곳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조작이 편리한 신발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발 건조 장치에 있어서,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 전원에 의하여 구동하여 공압과 진공을 발생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본체에서 생성된 공압과 진공을 전달하는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공압을 건조하고자 하는 신발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진공압에 의하여 신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결체를 통하여 상기 본체로 안내하는 건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연결체 및 건조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소독액을 분무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연결체 및 건조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여 공압을 생성하여 상기 몸체에 형성된 분출구로 안내하는 분사펌프;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여 진공을 생성하여 상기 몸체에 형성된 흡입구로 안내하는 흡입펌프; 상기 분사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분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공압 배출을 단속하는 분출밸브; 상기 흡입펌프의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어 진공 배출을 단속하는 흡입밸브; 및 상기 구동모터, 분출밸브 및 흡입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연결체 및 건조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펌프의 흡입구에는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관이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의 끝단에는 상기 제어부의 의하여 제어되는 흡입관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펌프의 토출구는 필터를 매개로 몸체에 형성된 배출구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관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팀생성기가 연결되고, 상기 스팀생성기와 상기 흡입관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팀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관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분무생성기가 연결되고, 상기 분무생성기와 상기 흡입관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분무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체는 공압이 전달되는 분출관체와 진공이 전달되는 흡입관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출관체와 흡입관체의 일끝단 측면에는 상기 건조체와 연결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체는 신발 발목 부분에 안착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 하단에 연장형성되는 공급부, 상기 커버부 하부에 형성되는 진공흡입부, 일단이 상기 공급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분출관체와 연결되는 공압연결관 및 일단이 상기 진공흡입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흡입관체와 연결되는 진공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급부는 하나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급부의 끝단에는 원형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급부는 2개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 장치는 압축 공기와 소독을 위한 소독 액을 분무하고 신발 건조에 사용된 공기를 흡입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 끝단에 부착되어 신발 내부에 공기 또는 소독용 액을 배출하는 건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건조체를 신발 내부에 안착한 후, 본체를 동작시키는 것만으로 신반의 소독과 건조가 완료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본체는 이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가정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외형도이며,
도 3은 도 2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결체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건조체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진공흡입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박스 형태의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에서 생성되는 압축공기 또는 스팀 또는 소독액 등을 안내하는 연결체(60) 및 상기 연결체 (40)의 타측에 부착되어 압축공기 또는 스팀 또는 소독액을 신발(1) 내부에 분사하여 신발(1)을 소독 및 건조하는 건조체(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 박스 형상의 몸체(11)와 내부에 배치되는 다양한 부품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1)는 표면에 전체 장치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작부(12)와 물을 투입하는 물투입구(13) 및 소독용 액체를 투입하는 약투입구(14)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12)는 장치 조작을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물투입구(13)와 약투입구(14)는 필요한 경우 입구를 밀봉하는 마개를 포함하여, 물 또는 소독액 투입 후, 마개로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전면에는 공압, 스팀 또는 소독액이 분출되는 분출구(15)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6)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분출구(15)와 흡입구(16)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일측면에는 상기 흡입구(16)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측면에는 외부 전원 연결을 위한 전원선(19)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선(19)은 상용전원에 연결하는 일반적인 플러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압축 공기를 형성하여 배출하고, 스팀을 생성하여 배출하고, 소독액을 분무하는 형태로 배출하는 기능과 공기를 흡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능을 위하여 상기 본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선(19)에 의하여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제어부(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10) 상기 제어부(21)에 의하여 동작하는 구동모터(22)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22)의 의하여 동작하는 분사펌프(23)와 흡입펌프(2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22)는 상기 분사펌프(23)와 흡입펌프(24)를 동시에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펌프(23)의 토출측은 상기 분출구(15)와 연통되고, 흡입측은 외기와 연통된다.
반면, 상기 흡입펌프(24)의 흡입측은 상기 흡입구(16)와 연통되고, 토출측은 상기 배출구(17)와 연통되며, 상기 흡입펌프(24)와 배출구(17) 사이에는 필요한 경우 필터(25)를 설치하여 배출구(17)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25)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기능 이외에 탈취 기능이 있는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펌프(23)의 토출측과 분출구(15)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21)에 의하여 동작하는 분출밸브(26)를 설치하여 상기 분사펌프(23)의 토출측을 폐쇄 및 개방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상기 흡입펌프(24)의 흡입측과 흡입구(16)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21)에 의하여 동작하는 흡입밸브(27)를 설치하여 상기 흡입펌프(24)의 흡입측을 폐쇄 및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펌프(23)의 흡입측은 흡입관(31)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31)의 끝단은 외기에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31)의 끝단 측에는 상기 제어부(21)에 의하여 동작하는 흡입관밸브(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관밸브(32)에 의하여 상기 흡입관(31)이 개방 또는 폐쇄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31)에는 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기(40)가 스팀밸브(41)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팀생성기(40) 및 스팀밸브(41)는 상기 제어부(21)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된다.
즉, 상기 스팀생성기(40)는 내부에 전기에 의하여 발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21)는 필요시 상기 스팀생성기(40)에 전기를 공급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스팀은 상기 스팀밸브(41)에 의하여 개방 및 폐쇄가 제어되며, 개방 시 상기 스탬생성기(40)에서 생성된 스팀은 상기 흡입관(31)으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스팀생성기(40)의 물은 상기 물투입구(13)에 의하여 공급되며, 상기 제어기(21)는 안전을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스팀생성기(40)에 전기를 공급하는 형태로 상기 스팀생성기(40)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흡입관(31)에는 내부에 소독액을 분무하는 분무생성기(50)가 분무밸브(51)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분무생성기(50) 및 분무밸브(51) 역시 상기 제어부(21)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된다.
즉, 상기 분무생성기(50)는 전기에 의하여 내부의 소독액을 분무 형태로 변환하는 초음파 발생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21)는 필요시 상기 분문생성기(50)에 전기를 공급하여 분무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분무는 상기 분무밸브(51)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흡입관(31)으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분무생성기(50)의 소독액은 상기 약투입구(14)에 의하여 공급되며, 상기 제어기(21)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분무생성기(50)에 전기를 공급하는 형태로 상기 분무생성기(50)를 구동한다.
한편, 연결체(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분출구(15)에 삽입되는 분출관체(61)와 일단이 상기 흡입구(16)에 삽입되는 흡입관체(6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출관체(61)와 흡입관체(62)는 상기 분출구(15)와 흡입구(16)에 삽입되는 끝단부분을 제외하고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출관체(61)와 흡입관체(62)의 타단 측면에는 복수의 결합홀(6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홀(63)에는 후술하는 건조체(80)가 결합하는 것으로 한쌍의 신발(1)을 건조하는 경우, 상기 결합홀(63)은 분출관체(61)에 2개 그리고 흡입관체(62)에 2개 형성하며, 한번에 건조하는 신발(1)의 수를 늘릴 경우 상기 결합홀(63)의 수를 늘리면되고, 사용되지 않는 결합홀(63)은 별도의 마개로 밀봉한다.
한편, 상기 건조체(80)는 상기 연결체(60)의 끝단에 결합하여 공압, 스팀, 소독분무액을 신발(1) 내부로 공급하고, 또한 신발(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81), 상기 커버부(81) 하단에 연장 형성되고 신발(1) 내부에 배치되는 공급부(90)와 상기 커버부(81)의 하단에 형성되어 진공압에 의하여 신발(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흡입부(82)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81)는 신발(1)의 발목부 상단에 안착되어 신발(1) 내부를 부분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신발(1)의 발목 부분을 밀폐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며, 적절히 변형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 고정용 끈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끈의 끝단에는 서로 고정할 수 있는 훅앤루프 패스너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체(80)는 상기 공급부(90)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출관체(61)의 결합홀(63)에 결합하는 공압연결관(88)과 상기 진공흡입부(82)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관체(62)의 결합홀(63)에 결합하는 진공연결관(89)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90)는 상기 본체(10)의 분출구(15)를 통하여 배출되는 스팀, 소독분무, 공압 등이 배출되고, 상기 진공흡입부(82)는 상기 흡입구(16)에서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하여 신발(1) 내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한편, 상기 공급부(90)는 상기 커버부(81)에서 일정한 거리로 연장되고, 끝단에 형성된 배출구(9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출구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배출구(9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하여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태이면서 복수의 홀이 형성된 원형배출구(92)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공흡입부(82)의 흡입구(83)는 커버부(81) 하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90) 주변에 환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체(10)의 물투입구(13)에 물을 투입하고, 약투입구(14)에는 소독액을 투입한 후, 전원선(19)을 사용 전원에 연결한다.
그리고 연결체(60)는 본체(10)와 연결하고, 또한 건조체(80)는 상기 연결체(60)와 연결한다.
이후에는 상기 건조체(80)의 공급부(90)를 건조하고자 하는 신발(1) 내부에 배치한 후, 상기 커버부(81)를 신발(1)의 발목부분에 덮는다.
그리고 조작부(12)를 조작하여 장치를 구동하며,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21)가 모든 동작을 진행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본체(10)를 스팀공급모드, 소독공급모드, 공압공급모드 및 간헐공급모드 등과 같이 다양한 모드로 제어한다.
먼저 상기 스팀공급모드에서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흡입관밸브(32), 흡입밸브(27), 스팀밸브(41) 및 분무밸브(51)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스팀생성기(40)를 가동하고, 일정 시간 경과된 후, 상기 구동모터(22)를 구동한 후, 상기 스팀밸브(41)를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스팀생성기(40)에서 생성된 스팀은 분출구(15)를 통하여 신발(1) 내부로 전달되며, 이때 상기 흡입밸브(27)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흡입 작용이 없으므로, 상기 스팀은 신발(1) 내부에 지속적으로 머문다.
사전에 정의된 시간 이후에는 상기 스팀생성기(40)의 가동을 중지하여 스팀공급모드를 종료한다.
소독공급모드에서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흡입관밸브(32), 흡입밸브(27), 스팀밸브(41) 및 분무밸브(51)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분무생성기(50)와 상기 구동모터(22)를 구동한 후, 바로 분무밸브(51)를 개방한다. 통상 분무는 작동과 동시에 생성되므로, 상기와 같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분무생성기(50)에서 생성된 분무액은 분출구(15)를 통하여 신발(1) 내부로 전달되며, 이때 상기 흡입밸브(27)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흡입 작용이 없으므로, 상기 소독 분무액은 신발(1) 내부에 지속적으로 머문다.
사전에 정의된 시간 이후에는 상기 분무생성기(50)의 가동을 중지하여 분무공급모드를 종료한다.
공압공급모드에서 상기 제어기(21)는 스팀밸브(41) 및 분무밸브(51)만 폐쇄하고 나머지 밸브들은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22)를 구동한다.
따라서, 생성된 공압이 신발(1) 내부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또한 흡입구(83)를 통해서도 지속적으로 신발(1)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간헐공급모드에서 상기 상기 제어기(21)는 스팀밸브(41) 및 분무밸브(51)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22)를 구동한다.
그리고 분출밸브(26)과 흡입관밸브(32)를 흡입밸브(27)와 사전에 정의된 시간 간격으로 교호적으로 개방 및 폐쇄 제어를 수행한다.
즉, 신발(1) 내부로 일정 시간 공압이 공급된 후, 신발(1) 내부의 공기를 일정시간 흡입하는 두가지 형태가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신발(1) 건조는 상기한 스팀공급모드 또는 소독공급모드 또는 스팀공급모드 및 소독공급모드가 먼저 진행된 후, 공압공급모드 또는 간헐공급모드가 진행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스팀공급모드와 소득공급모드는 일회 일정 시간 진행되고, 나머지는 신발(1) 내부를 건조하는 공압공급모드 또는 간헐공급모드가 진행되는 경우, 신발(1) 내부의 소독, 악취 제거 및 건조가 일괄적으로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모드와 각 모드의 순차 진행은 상기 제어부(21)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를 높은 용량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벽면에 부착하고, 상기 연결체(60)를 군대의 침상 내부 상단에 부착하고, 결합홀(63)을 적절한 거리로 형성하는 경우, 군화 건조용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신발 10: 본체
11: 몸체 12: 조작부
13: 물투입구 14: 약투입구
15: 분출구 16: 흡입구
17: 배출구 19: 전원선
21: 제어부 22: 구동모터
23: 분사펌프 24: 흡입펌프
25: 필터 26: 분출밸브
27: 흡입밸브 31: 흡입관
32: 흡입관밸브 40: 스팀생성기
41: 스팀밸브 50: 분무생성기
51: 분무밸브 60: 연결체
61: 분출관체 62: 흡입관체
63: 결합홀 80: 건조체
81: 커버부 82: 진공흡입부
88: 공압연결관 89: 진공연결관
90: 공급부 91: 배출구
92: 원형배출구 100: 신발 건조 장치

Claims (13)

  1. 신발 건조 장치에 있어서,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 전원에 의하여 구동하여 공압과 진공을 발생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본체에서 생성된 공압과 진공을 전달하는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공압을 건조하고자 하는 신발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진공압에 의하여 신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결체를 통하여 상기 본체로 안내하는 건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연결체 및 건조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소독액을 분무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연결체 및 건조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여 공압을 생성하여 상기 몸체에 형성된 분출구로 안내하는 분사펌프;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여 진공을 생성하여 상기 몸체에 형성된 흡입구로 안내하는 흡입펌프;
    상기 분사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분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공압 배출을 단속하는 분출밸브;
    상기 흡입펌프의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어 진공 배출을 단속하는 흡입밸브; 및
    상기 구동모터, 분출밸브 및 흡입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연결체 및 건조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사펌프의 흡입구에는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관이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의 끝단에는 상기 제어부의 의하여 제어되는 흡입관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입펌프의 토출구는 필터를 매개로 몸체에 형성된 배출구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팀생성기가 연결되고, 상기 스팀생성기와 상기 흡입관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팀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분무생성기가 연결되고, 상기 분무생성기와 상기 흡입관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분무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공압이 전달되는 분출관체와 진공이 전달되는 흡입관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출관체와 흡입관체의 일끝단 측면에는 상기 건조체와 연결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건조체는 신발 발목 부분에 안착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 하단에 연장형성되는 공급부, 상기 커버부 하부에 형성되는 진공흡입부, 일단이 상기 공급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분출관체와 연결되는 공압연결관 및 일단이 상기 진공흡입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흡입관체와 연결되는 진공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하나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의 끝단에는 원형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2개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 장치.
KR1020207030716A 2020-08-13 2020-09-07 신발 건조 장치 KR202001304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813051.1 2020-08-13
CN202010813051.1A CN111803003A (zh) 2020-08-13 2020-08-13 鞋子干燥装置
PCT/CN2020/113733 WO2022032774A1 (zh) 2020-08-13 2020-09-07 鞋子干燥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463A true KR20200130463A (ko) 2020-11-18

Family

ID=7369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716A KR20200130463A (ko) 2020-08-13 2020-09-07 신발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04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674B1 (ko) * 2021-02-16 2021-03-19 윤홍중 신발용 살균, 탈취,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674B1 (ko) * 2021-02-16 2021-03-19 윤홍중 신발용 살균, 탈취,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641B1 (ko) 장난감 세척장치
KR102222952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의류 관리 장치
CN105463763B (zh) 对洗衣料盒进行杀菌的装置及方法
KR102017129B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KR10230003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718696B1 (ko) 자동 손 소독기
CN109044810A (zh) 一种下肢理疗仪
KR20200130463A (ko) 신발 건조 장치
CN101899766A (zh) 一种具有臭氧除味和负离子杀菌功能的洗衣机及其工作方法
JP7161061B2 (ja) 霧化発生器及びそれを含む衣類処理設備
CN106993894A (zh) 一种智能鞋柜
CN212630718U (zh) 鞋子干燥装置
CN101855398B (zh) 滚筒式洗涤-干燥机
KR100996307B1 (ko)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KR20100132902A (ko) 싱크 배수통 살균장치
CN101818441B (zh) 一种具有除味杀菌功能抽屉的洗衣机及除味方法
KR101500610B1 (ko)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
WO2022032774A1 (zh) 鞋子干燥装置
KR101870943B1 (ko) 제습장치와 연동되는 상온건조식 건조기
CN105852444B (zh) 一种除菌烘干智能鞋盒
KR101500611B1 (ko) 전장시스템이 분리되는 살균,탈취,건조장치
CN212102095U (zh) 紫外线杀菌式雾化装置
CN108096011A (zh) 一种多功能臭氧治疗仪
CN206043925U (zh) 一种除菌烘干智能鞋盒
JPH0715537Y2 (ja) 排泄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