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307B1 -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307B1
KR100996307B1 KR1020100020715A KR20100020715A KR100996307B1 KR 100996307 B1 KR100996307 B1 KR 100996307B1 KR 1020100020715 A KR1020100020715 A KR 1020100020715A KR 20100020715 A KR20100020715 A KR 20100020715A KR 100996307 B1 KR100996307 B1 KR 100996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flow
shoe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상
Original Assignee
김윤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상 filed Critical 김윤상
Priority to KR102010002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tributing fluidising gas, e.g. grids,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내 습기(땀)와 악취(냄새) 제거목적을 갖는 온열풍(溫熱風)을 다층의 수납공간 모두에 균등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풍기로부터 발생한 온열풍의 순환으로, 본체 내부에 다수의 선반 조립으로 마련된 각각의 수납공간마다 보관해 둔 신발의 살균 및 건조를 위한 통상의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조립된 상태로, 온열풍의 최초 흐름을 유도하여 각각의 상기 수납공간 측으로 분배하는 상승기류유도부; 상기 상승기류유도부의 일측에 연계됨과 동시에 상기 수납공간들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채로, 상기 상승기류유도부에 의해 흐름이 분배된 온열풍을 수납된 신발 측으로 배출시키는 분배기류유도부; 그리고, 상기 분배기류유도부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연계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들을 거친 오염기체의 배출 흐름이 상기 열풍기 측으로 최종 유도하는 하강기류유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A shoe chest gas-induction apparatus for sterilization and a dry function of Footwear}
본 발명은 기체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내 습기(땀)와 악취(냄새) 제거목적을 갖는 온열풍(溫熱風)을 다층의 수납공간 모두에 균등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발(Footwear , 신)은, 발의 보호목적과 더불어 보행시 발바닥이 지면에 직접 닿는 것을 원천봉쇄함으로써 피부가 상하는 것을 예방하고 때로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데 그 근본(根本)이 있다.
여기서, 샌들(Sandal)과 같이 통기성이 우수한 개방형 신발과 달리 발등을 덮어 보호하는 밀폐형 신발인 운동화·구두 등의 경우, 그 착용 성격상 체열(體熱)의 외부배출이 어려워 땀 발생을 초래하는바, 땀의 흡수로 습한 신발 내부에서는 피부사상균증([皮膚絲狀菌症, Dermatophytosis / 곰팡이, 무좀) 등과 같은 각종 세균의 번식으로 심한 악취(발냄새)를 풍기게 된다.
한편, 아파트 등과 같은 다세대주택 내 현관이나 음식점·관공서 등의 출입구에는 각종 신발들을 수납할 수 있는 신발장(Shoe chest)이 주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신발장은 거실이나 융단(絨緞, Carpet)이 바닥에 깔린 실내공간으로 들어서기 직전 착용하고 있던 신발을 벗어 수납보관함을 목적으로 사용한다.
이때, 보행시에 발생한 땀이 스며든 신발을 상기한 신발장 안에 넣어둘 경우, 충분한 햇볕이 들지않는 신발장의 특성상 수분의 증발이 더뎌 전술한 세균번식 및 그에 따른 악취발생의 문제점을 심화시킨다. 특히, 20-50대 직장인 남성들 상당수가 착용하는 구두는 그 소재의 특성상 폐기할 때까지 세탁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더욱 심각하다.
더욱이, 외출(퇴실)을 위하여 신발장 도어(Door)를 개방한 후 자신의 신발을 꺼내 착용하려는 순간 신발장 안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악취에 심한 불쾌감을 느낄 뿐만 아니라 해당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388068호를 통해, 캐비닛(본체)의 일측에 수직덕트를 설치함으로써 수납된 신발을 살균건조하도록 한 위한 신발건조 탈취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발건조 탈취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로써, 상술한 신발건조 탈취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캐비닛(910)과; 상기 캐비닛(910)의 내부에 일정거리 이격 적층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다수의 신발을 수납할 수 있게 된 선반(920)과; 상기 캐비닛(910)의 최하부에는 상기 선반(920)에 수납된 신발들의 건조를 위한 열풍발생실(930)이 마련되되,
상기 열풍발생실(930)은, 일측에 수직덕트(931)가 연장구성되는 한편, 내부에는 공기필터(932)가 장착되고, 상기 공기필터(932)의 후단에는 송풍팬(933)이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933)의 후단에는 건조열풍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934)가 설치되고, 상기 전기히터(934)의 후단에는 오존램프(935)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수직덕트(931)의 내벽에는 다수개의 분사공(931a)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신발건조 탈취장치에 따르면,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신발을 수납한 다음, 상기한 도어를 닫고 타이머와 구동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그 구동설정에 따라 상기 송풍팬(933) 및 전기히터(934)가 구동되고 상기 오존램프(935)가 점등한다.
그러면, 상기 송풍팬(933)의 회전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공기필터(932)를 통해 미세먼지 및 박테리아를 제거한 순수공기가 캐비닛(910)의 안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전기히터(934)에 의해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 후 상기 오존램프(935)를 통과하면서 건조열풍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건조열풍은 상기 수직덕트(931)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분사공(931a)들을 통해 선반(920)이 형성된 캐비닛(910)의 내부로 유입되어 각 선반(920)에 수납된 신발을 살균 및 건조시킨 후, 상기한 공기배출공 그리고 캐비닛(910)의 배기덕트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하지만, 단순히 상기 송풍팬(933)만으로 건조열풍의 이동 흐름을 형성하고 상기의 수직덕트(931)를 통해 그 이동 흐름이 안내되는 구조임에 따라, 상기 수직덕트(931)의 분사공(931a) 모두를 골고루 거쳐 상기 선반(92)들에 의해 마련된 각각의 신발 수납공간 안으로 건조열풍이 차등 유입되는 취약점을 안고 있다.
즉, 상기 송풍팬(933)으로부터 발생한 건조열풍이 상기 수직덕트(931)를 통해 우선하여 들어차는 상기 캐비닛(910)의 최하부 수납공간에 비해 최상부의 수납공간으로는 상기 송풍팬(933)으로부터 발생한 건조열풍의 풍압과 풍량이 크게 떨어져 유입량이 극소함은 물론 상기 수직덕트(931)로부터 최하부의 수납공간으로 직접 들어찬 건조열풍이 각각의 신발 수납공간을 경유하여 상향 이동 후 외부로 배출되는 그 과정에서 세균의 오염상태로 이동 흐름됨으로써, 보관위치에 따라 신발의 건조 및 탈취 효과가 현저하게 차이 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전술한 문제점들으로 인해 상기 캐비닛(910)에 수납보관된 모든 신발의 습기와 악취를 건조 및 탈취시킬 수 없어, 상기 캐비닛(910) 내부의 악취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풍겨날 수밖에 없는 기존의 문제점이 여전히 되풀이되는 폐단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열풍의 최초 및 최후 풍압과 풍량 그리고 덕트 내부공간의 단면적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한 덕트의 내부공간을 다수로 분할하고 그 분할범위의 비례를 달리할 수 있게 된 상승기류유도부를 구비하여, 각각의 수납공간마다 온열풍이 균등공급되게 하거나 차등공급되게 온열풍의 분배 흐름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상승기류유도부를 통해 분배된 온열풍이 각각의 수납공간으로 토출 공급할 수 있는 분배기류유도부를 더 구비하되, 필요시 상기 수납공간의 어느 일부로만 온열풍이 공급되도록 하여 신발이 수납되어 있지 아니한 공간에까지 온열풍이 불필요하게 공급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풍기로부터 발생한 온열풍의 순환으로, 본체 내부에 다수의 선반 조립으로 마련된 각각의 수납공간마다 보관해 둔 신발의 살균 및 건조를 위한 통상의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조립된 상태로, 온열풍의 최초 흐름을 유도하여 각각의 상기 수납공간 측으로 분배하는 상승기류유도부; 상기 상승기류유도부의 일측에 연계됨과 동시에 상기 수납공간들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채로, 상기 상승기류유도부에 의해 흐름이 분배된 온열풍을 수납된 신발 측으로 배출시키는 분배기류유도부; 그리고, 상기 분배기류유도부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연계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들을 거친 오염기체의 배출 흐름이 상기 열풍기 측으로 최종 유도하는 하강기류유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는, 상승기류유도부를 이용한 온열풍의 효율적 분할을 통해 수납공간 각각으로 공급되는 기체의 이동 흐름을 원활히 하면서도 이렇게 분배된 온열풍을 다시 분배기류유도부를 통해 수납공간 전체 혹은 일부로 선택적인 토출 공급이 가능함으로써, 신발장 내부에 수납보관된 모든 신발에 온열풍이 미칠 수 있음에 따른 살균(또는 탈취) 및 건조 효력 극대화와 더불어 신발장 내부 악취의 완벽한 제거로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온열풍의 풍량과 풍속 그리고 덕트의 단면적 크기를 감안한 원활한 기체 이동 흐름을 가능케 하는 상기 상승기류유도부 및 분배기류유도부의 설치만으로 신발장 내부에서 순환되는 온열풍 순환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음에 따라, 별도의 동력장치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른 에너지손실 방지는 물론 복잡한 장치구성으로 인한 제조단가 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발건조 탈취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단면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에 있어서, 분배량조절체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에 있어서, 상승기류유도부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에 있어서, 토출량조절체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단면와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에 있어서 분배량조절체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에 있어서 상승기류유도부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에 있어서 토출량조절체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A)는, 열풍기(810)로부터 발생한 온열풍의 순환으로 본체(820) 내부에 마련된 각각의 수납공간(821a)마다 보관해 둔 신발의 살균 및 건조를 위한 신발장(800) 내부에 설치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820) 내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조립된 상태로 상기 열풍기(810)로부터 발생한 온열풍의 최초 흐름을 유도하여 다수의 상기 수납공간(821a) 측으로 분배하도록 한 상승기류유도부(1)와, 상기 상승기류유도부(1)의 일측에 연계됨과 동시에 상기 수납공간(821a)들의 상부에 배치된 채로 상기 상승기류유도부(1)에 의해 흐름이 분배된 온열풍을 수납된 신발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분배기류유도부(2)와, 상기 분배기류유도부(2)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납공간(821a)의 일측에 연계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821a)들을 거친 오염기체(온열풍)의 배출 흐름이 상기 열풍기(810) 측으로 최종 유도되도록 하는 하강기류유도부(3)로 구성된다.
상기 신발장(800)은,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820)의 내부공간에 다수개의 선반(821)들을 일정간격을 두고 적층식으로 조립함으로써 다 켤레의 신발을 수납보관할 수 있는 상기 수납공간(821a)을 다수 마련한 구조를 이루되, 상기 본체(820) 내부 최 하측의 수납공간(821a)에는 상기의 열풍기(81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기(810)는, 상온(常溫)의 실내공기를 강제흡입 후 적정 온열풍으로 가열 및 배출시킬 수 있게 된 히터(811), 신발 내 습기제거와 세균박멸로 오염된 기체(온열풍)를 청정공기로 정화(淨化)하기 위한 광촉매(812), 소독 또는 탈취 및 방향 성분의 온열풍 내 함유를 위해 액체나 분말을 담아둘 수 있게 된 하나 이상의 저장통(813)의 조합으로 됨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히터(811)와 광촉매(812) 및 상기 저장통(813)을 파이프(814)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유체가 단일 흐름 경로를 갖도록 하는 한편, 상기 히터(811)를 통해 배출되는 온열풍의 흐름 및 상기 광촉매(812)로 유입되는 오염기체의 흐름과 같은 신발 살균 및 건조에 필요한 기체의 순환 흐름이 지속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820) 내부의 양측에는, 상기한 선반(821)들 양 선단이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820)의 내부공간 양측 가장자리로 상기 상승기류유도부(1)와 상기 하강기류유도부(3)를 구성할 수 있는 제1구획공간(822a)과 제2구획공간(823a)의 마련을 위한 제1,2격판(822)(823)이 각각 수직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제1,2격판(822)(823) 각각에는, 상기 수납공간(821a)으로의 온열풍 유입 및 오염기체의 배출을 위한 다수의 유입공(822b)과 배기공(823b)이 일정간격마다 관통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한 신발장(800) 안으로의 신발 수납을 위해, 상기 본체(820)의 전면부에는 한 쌍의 도어(823)가 힌지조립되고, 상기 열풍기(810) 구동을 위하여는 상기 본체(820) 상측부에 컨트롤러(830)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승기류유도부(1)는, 상술한 열풍기(810)로부터 발생한 온열풍을 상기 수납공간(821a)들 각각에 유도 분배하기 위한 것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획공간(822a)에 내재조립됨에 따라 상기 열풍기(810)를 통해 배출되는 온열풍의 최초 흐름을 상방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 급기안내덕트(11)와, 상기 급기안내덕트(11)의 내부공간을 다수로 분할함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821a)마다 각각 배분된 온열풍의 흐름이 이어지도록 한 다수의 분배량조절체(12)로 구성된다.
상기 분배량조절체(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821)들 각각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구획공간(822a) 측으로 구비조립되되 상기 제1격판(822)으로부터 단계적으로 돌출배치됨으로써 온열풍의 흐름을 분배토록 하는 기체로(12a) 형성을 위한 다수의 "F"자형 유동앵글(121)과, 상기 유동앵글(121) 각각의 일단에 끼움조립되고 타 선단이 상기 본체(820) 외벽을 관통하여 돌출됨에 따라 상기 유동앵글(121)의 배치위치를 외부에서 제어토록 한 진퇴조절구(122)의 조립구조로 된다.
한편, 상기 유동앵글(121)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진퇴조절구(122)의 선단부를 끼움결합할 수 있게 된 체결홀더(121-1)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진퇴조절구(122)에는 측정눈금(122-1)이 표시됨에 따라, 상기 진퇴조절구(122)를 이용한 상기 유동앵글(121)의 전,후 슬라이딩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본체(820)의 외벽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측정눈금(122-1)을 통해서 상기 유동앵글(121)의 배치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분배기류유도부(2)는, 상기 상승기류유도부(1)를 통해 분배된 온열풍을 상기 수납공간(821a)마다 원활히 공급하는 동시에 해당 수납공간(821a) 전체 또는 일부로 온열풍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이루기 위한 것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821)의 하면에 밀착조립된 상태로 상기 급기안내덕트(11)를 통해 유입된 온열풍의 흐름을 상기 수납공간(821a) 안으로 안내하기 위한 토출안내덕트(21)와, 상기 토출안내덕트(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구비결합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821a)으로 온열풍을 토출 공급할 수 있으면서도 그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토출량조절체(22)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토출안내덕트(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열풍의 내부 유입을 위해 "ㄷ"자형으로 절곡형성되고, 중앙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토출량조절체(22)를 끼움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착공(21a)이 일정간격마다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량조절체(22)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착공(21a)에 대응결합하되 온열풍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다수의 토출공(221a)이 타공된 평판형 베이스판(221)과, 상기 베이스판(221)의 토출공(221a)을 통해 공급되는 온열풍의 흐름 안내 및 공급량을 조절을 위한 다수의 분배앵글(222) 조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221)는, 상기 분배앵글(222)을 끼움결합할 수 있게 된 다수의 지지소켓(221-1)이 상기 토출공(221a)의 근접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상기 지지소켓(221-1) 주변을 "ㄷ"자형으로 둘러 상향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급기안내덕트(11)를 통해 공급 흐름을 갖는 온열풍이 상기 수납공간(821a)으로 원활히 토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응집유도판(221-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분배앵글(222)은, 상기 지지소켓(221-1)에 끼움조립된 채로 상기 토출안내덕트(21)의 내부공간을 따라 수평 흐름되는 온열풍의 하향 토출을 원활히 하도록 "ㄱ"자형으로 절곡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하강기류유도부(3)는, 상기 수납공간(821a)에 보관된 신발 내 습기제거 및 세균박멸 과정을 거친 오염된 기체가 상기 열풍기(810) 측으로 유입되도록 기체의 최종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격판(823)의 조립결합으로 상기 본체(820) 내에 마련된 제2구획공간(823a) 내에 구비결합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821a)들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흐름을 하향 유도토록 하는 배기안내덕트(31)이다.
한편, 상기 제2격판(823)의 단부면에 밀착되는 상기 배기안내덕트(31)의 개구부에는, 상기 수납공간(821a)으로부터 상기 배기공(823b)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 흐름을 하향시키기 위한 방향전환편(311)이 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격판(8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공(823b)의 근접 상측에 위치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831)(832)는 상기 컨트롤러에 구성되는 전원버튼과 조작버튼이고, (833)은 상기 전원버튼 또는 조작버튼을 이용한 장치구동의 설정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내도록 된 표시패널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로 들어서기 이전에 자신이 착용하고 있던 신발을 벗어 상기 신발장(800)의 도어(824)를 개방 후, 상기한 수납공간(821a)에 올려놓는 것으로 신발의 살균 및 건조를 이룰 수 있다.
그 이전에, 상기 저장통(813) 각각에는 소독제 또는 탈취제 그리고 방향제를 미리 담아, 상기 히터(811)의 작동으로 파이프(814)를 통해 상기 급기안내덕트(11) 측으로 최초 배출되는 온열풍에 그들 성분이 함유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신발장(800)의 본체(820) 상측에 구비된 컨트롤러(830)의 전원버튼(831)을 이용하여 외부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한 조작버튼(832)을 이용하여 신발 살균 및 건조 작동과정의 세팅과 함께 상기 열풍기(810)의 가열온도 설정 및 온열풍의 발생(배출)량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하는 신발 살균 및 건조 과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상술한 설정에 의해, 상기 열풍기(810)의 작동이 시작되고, 상기 히터(811)는 외부공기의 강제흡입과 동시에 그 흡입공기를 신발 건조에 적당한 온도로 가열 후 상기 상승기류유도부(1)의 급기안내덕트(11) 내로 배출시킨다.
한편, 상기 급기안내덕트(11)로 배출 흐름되는 온열풍의 풍압(風壓, Wind pressure)과 풍량(風量, Air flow rate) 그리고 상기 급기안내덕트(11) 내부 단면적(斷面積, Cross section)을 감안하여 상기한 신발장(800)의 본체(820) 일측 외부로 노출된 상기 분배량조절체(12)의 상기 진퇴조절구(122)를 이용하여 상기 유동앵글(121)를 전,후로 이동시켜 배치위치를 조절한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821a)들 모두에 균등한 온열풍이 공급되도록 각각의 상기 유동앵글(121)의 사이 간격을 동일하게 조절하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앵글(121)의 간격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납공간(821a)으로만 상기 기체로(12a) 및 유입공(822b)들을 통해 상기 급기안내덕트(11)로부터 온열풍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진퇴조절구(122)에 형성된 상기 측정눈금(122-1)의 노출정도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유동앵글(121) 각각의 배치위치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승기류유도부(1)를 통과 후 분배되는 온열풍은, 상기 분배기류유도부(2)를 거쳐 상기 수납공간(821a) 각각으로 유입되는 반면, 상기 토출량조절체(22)에 의하여 수납공간(821a) 전체에 고른 분포로 유입되거나 혹은 일부로만 유입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안내덕트(2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구비결합된 상기 토출량조절체(22)의 응집유도판(221-2)에 의해 온열풍이 원활히 토출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분배앵글(222)들에 의하여 흐름이 안내되고 상기 토출공(221a)들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821a)으로 토출 공급된다.
이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분배앵글(222)의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상기 수납공간(821a) 전체에 온열풍을 토출시킬 수 있는 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앵글(222)들 상호 간의 간격을 서로 다르게 이루거나 모두를 하나로 밀착시키는 것으로 신발이 보관되지 않은 상기 수납공간(821a)의 공간으로는 온열풍의 토출 공급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온열풍의 불필요한 사용이 방지되도록 함이 가능하다.
즉, 전술한 과정을 통해 각각의 상기 수납공간(821a)으로 온열풍이 토출 공급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821a)에 수납보관된 모든 신발을 살균 및 건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살균 및 건조 과정을 거친 온열풍에는 세균 및 악취와 같은 오염물질이 함유되는바, 이러한 오염기체는 상기 제2격판(823)에 관통형성된 배기공(823b)을 통하여 상기 수납공간(821a)으로부터 배출 흐름이 이어지는 것이며, 이후 상기 하강기류유도부(3)의 배기안내덕트(31)에 안내되는 동시에 상기 방향전환편(311)에 의한 흐름방향의 전환으로 상기 열풍기(810) 측으로 흐름이 이동된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이 열풍기(810) 측으로 흐름이 이어지는 오염기체는, 상기 열풍기(810)의 파이프(814) 내로 유입과 동시에 상기 광촉매(812)에 의해 청정공기로 정화(Filtering)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으로 정화된 청정공기는 다시 상기 히터(811)에 의하여 온열풍으로 가열된 다음 다시 상기 상승기류유도부(1)의 급기안내덕트(11)로 배출되는 순환으로 신발 살균 및 건조 과정이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기체유도장치, 1 : 상승기류유도부, 2 : 분배기류유도부
3 : 하강기류유도부, 11 : 급기안내덕트, 11a : 기체로,
12 : 분배량조절체, 21 : 토출안내덕트, 21a : 결착공
22 : 토출량조절체, 31 : 배기안내덕트, 121 : 유동앵글
121-1 : 상부압착편, 121-2 : 하부압착편, 121-3 : 수직유격편
121-1 : 체결홀더, 122 : 진퇴조절구, 122-1 : 측정눈금
221 : 베이스판, 221a : 토출공, 221-1 : 지지소켓
221-2 : 응집유도판, 222 : 분배앵글, 222-1 : 돌기편,
311 : 방향전환편

Claims (9)

  1. 열풍기로부터 발생한 온열풍의 순환으로, 본체 내부에 다수의 선반 조립으로 마련된 각각의 수납공간마다 보관해 둔 신발의 살균 및 건조를 위한 통상의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조립된 상태로, 온열풍의 최초 흐름을 유도하여 각각의 상기 수납공간 측으로 분배하는 상승기류유도부; 상기 상승기류유도부의 일측에 연계됨과 동시에 상기 수납공간들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 채로, 상기 상승기류유도부에 의해 흐름이 분배된 온열풍을 수납된 신발 측으로 배출시키는 분배기류유도부; 그리고, 상기 분배기류유도부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연계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들을 거친 오염기체의 배출 흐름이 상기 열풍기 측으로 최종 유도하는 하강기류유도부;로 구성되되,
    상기 상승기류유도부는, 상기 열풍기를 통해 배출되는 온열풍의 최초 흐름을 상향 유도할 수 있게 된 급기안내덕트와, 상기 급기안내덕트의 내부공간을 다수로 분할함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마다 각각 배분된 온열풍의 흐름이 이어지도록 한 다수의 분배량조절체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분배량조절체는, 상기 급기안내덕트 내에서 단계적 돌출배치구조를 이루어 온열풍의 흐름을 분배할 수 있는 기체로를 형성케 된 다수의 "F"자형 유동앵글과, 상기 유동앵글 각각의 일단에 끼움조립되고 타 선단이 상기 본체 외벽을 관통함에 따라 상기 유동앵글의 배치위치를 외부에서 제어 가능토록 한 진퇴조절구의 조립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류유도부는, 상기 상승기류유도부를 통해 유입된 온열풍의 흐름을 상기 수납공간 내로 안내하기 위한 토출안내덕트와,
    상기 토출안내덕트의 중앙단부를 따라 일정간격마다 구비조립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으로 온열풍을 토출 공급하면서도 그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토출량조절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기류유도부는, 상기 수납공간들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의 흐름을 하향 유도토록 하는 배기안내덕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조절체는, 온열풍의 하향 토출 공급을 위하여 다수의 토출공이 타공된 평판형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토출공을 통해 공급되는 온열풍의 흐름 안내 및 공급량을 조절을 위한 다수의 분배앵글의 조립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안내덕트의 개구부에는,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기체 흐름을 하향시키기 위한 다수의 방향전환편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앵글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진퇴조절구의 선단부를 끼움결합할 수 있게 된 체결홀더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진퇴조절구에는, 상기 유동앵글의 배치위치 파악을 위한 측정눈금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분배앵글을 끼움결합할 수 있게 된 다수의 지지소켓이 상기 토출공의 근접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상기 지지소켓 주변을 "ㄷ"자형으로 둘러 상향 돌출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으로의 온열풍 토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응집유도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KR1020100020715A 2010-03-09 2010-03-09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KR100996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715A KR100996307B1 (ko) 2010-03-09 2010-03-09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715A KR100996307B1 (ko) 2010-03-09 2010-03-09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307B1 true KR100996307B1 (ko) 2010-11-23

Family

ID=4341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715A KR100996307B1 (ko) 2010-03-09 2010-03-09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3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059A (ko) * 2016-12-05 2018-06-14 박서연 냉동 및 온장고를 겸하는 냉풍건조장치
KR101998817B1 (ko) * 2018-12-04 2019-10-01 주식회사 와스코 신발 건조 스타일러스장치
KR102394980B1 (ko) * 2021-12-07 2022-05-09 주식회사 알토 신발장용 살균장치
WO2022164022A1 (ko) * 2021-01-29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4101584A1 (ko) * 2022-11-09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류 관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563Y1 (ko) * 2004-07-14 2004-10-20 유창엘텍 주식회사 신발 살균 건조기
KR200377680Y1 (ko) 2004-12-02 2005-03-11 이강오 신발 건조장치
KR200381792Y1 (ko) 2005-01-22 2005-04-14 나종관 신발 건조장치
KR200440865Y1 (ko) 2007-04-11 2008-07-04 주식회사 무경 탈취기능을 갖는 신발 살균 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563Y1 (ko) * 2004-07-14 2004-10-20 유창엘텍 주식회사 신발 살균 건조기
KR200377680Y1 (ko) 2004-12-02 2005-03-11 이강오 신발 건조장치
KR200381792Y1 (ko) 2005-01-22 2005-04-14 나종관 신발 건조장치
KR200440865Y1 (ko) 2007-04-11 2008-07-04 주식회사 무경 탈취기능을 갖는 신발 살균 건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059A (ko) * 2016-12-05 2018-06-14 박서연 냉동 및 온장고를 겸하는 냉풍건조장치
KR101998817B1 (ko) * 2018-12-04 2019-10-01 주식회사 와스코 신발 건조 스타일러스장치
WO2022164022A1 (ko) * 2021-01-29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KR102394980B1 (ko) * 2021-12-07 2022-05-09 주식회사 알토 신발장용 살균장치
WO2024101584A1 (ko) * 2022-11-09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류 관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1471B2 (en) Shoe management device
KR101765858B1 (ko) 신발 건조 소독기
US20090193676A1 (en) Shoe Drying Apparatus
KR100996307B1 (ko)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KR101608403B1 (ko) 스팀을 이용한 신발의 살균,탈취,건조장치
KR101938420B1 (ko) 살균, 건조 및 탈취 기능을 가지는 신발장
KR100511691B1 (ko) 원적외선 신발소독기 및 이를 이용한 신발장
KR100672242B1 (ko) 신발살균탈취기
US20210220496A1 (en) Shoe management device
JP2000201752A (ja) 殺菌乾燥ボックス
KR101500909B1 (ko) 소형 신발 건조살균탈취기
KR101920377B1 (ko) 신발 휴대용 살균 및 천연탈취기
KR20200068114A (ko) 능동적 탈취 및 건조 살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보관 시스템
KR200388257Y1 (ko) 위생 관리 보관 장치
KR20210093104A (ko) 신발관리장치
US20080282745A1 (en) Multi-laundry machine
KR101451758B1 (ko) 슈즈케어시스템이 구비된 케비넷
KR100768293B1 (ko) 장신발 수납기능을 갖는 다단식 신발살균탈취기
KR200427782Y1 (ko) 장신발 수납기능을 갖는 다단식 신발살균탈취기
KR100481622B1 (ko) 신발 살균 건조장치
KR20100030887A (ko) 기능성 신발건조 및 살균기
KR200406438Y1 (ko) 신발살균탈취기
JP2012152330A (ja) 靴乾燥装置
KR200415119Y1 (ko) 살균건조기능을 가지는 신발장
KR20200068111A (ko) 탈취제 주입 및 건조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