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680Y1 - 신발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680Y1
KR200377680Y1 KR20-2004-0034195U KR20040034195U KR200377680Y1 KR 200377680 Y1 KR200377680 Y1 KR 200377680Y1 KR 20040034195 U KR20040034195 U KR 20040034195U KR 200377680 Y1 KR200377680 Y1 KR 200377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ozone
drying apparatus
shelf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오
Original Assignee
이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오 filed Critical 이강오
Priority to KR20-2004-0034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6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6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이 적치된 부위의 세척과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됨과 아울러 비용면에서도 유리한 신발 건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건조실 및 이 건조실로 통하는 덕트를 구비하며 상단부에는 배출팬과 배출관이 설치된 하우징; 오존발생기와 히터 및 블로워로 이루어져 상기 덕트로 오존-열풍 혼합기를 송급하는 오존-열풍 공급부; 상기 건조실 내에 층상으로 설치된 선반; 상기 선반 위에 수납되며 상측면에 신발이 놓여지는 신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신발 건조장치 {Drying Machine for Footware}
본 고안은 신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풍과 오존을 이용하여 신발 내부의 습기와 악취를 제거하는 신발 건조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57289호를 개량한 고안이다.
각종 신발류의 내부는 장시간 착용으로 인해 습기가 차거나 혹은 우천시 빗물의 유입 등으로 인해 젖게 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에 따라, 눅눅해진 신발 내부를 건조시킴과 아울러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신발 건조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357289호는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대표적인 신발 건조장치로서 도 1은 이에 대한 발췌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신발을 건조장치 내부에 대해 넣고 빼기에 편리한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나, 신발(50)이 올려지는 신발받침대(30)가 캐비넷(10)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됨으로 인해 신발받침대(30)를 캐비넷(10)으로부터 꺼집어 낼 수가 없다. 이에 따라, 흙이나 기름 또는 그 밖의 각종 오염물이 묻어 있는 신발(50)을 건조시키는 경우, 상기 오염물에 의해 신발받침대(30)가 더럽혀지므로 건조 작업이 끝난 후에 신발받침대(30)를 세척하여야 하지만, 신발받침대(30)를 캐비넷(10)으로부터 탈거할 수 없기 때문에 세척 작업을 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또, 신발받침대(30)에는 신발(50)을 한 켤레 마다 구분하여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분할 격벽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분할 격벽의 존재는 신발받침대(30)의 세척시 걸리적거리므로 작업에 방해가 되기도 한다.
한편, 종래의 신발 건조장치에는 건조 작업중에 건조장치 내부에서 처리된 폐오존과 악취를 정화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못하여 건조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 열풍과 함께 건조장치 내부로 공급된 오존이 건조장치 내부를 충분히 순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됨으로 인해 비용적인 측면에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신발이 수납된 부위의 세척과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됨과 아울러 비용면에서도 유리한 신발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는, 건조실 및 이 건조실로 통하는 덕트를 구비하며 상단부에는 배출팬과 배출관이 설치된 하우징; 오존발생기와 히터 및 블로워로 이루어져 상기 덕트로 오존-열풍 혼합기를 송급하는 오존-열풍 공급부; 상기 건조실 내에 층상으로 설치된 선반; 상기 선반 위에 수납되며 상측면에 신발이 놓여지는 신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반의 상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신발 받침대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구성이 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의 정면부에 명찰꽂이가 구비된 구성이 더 개시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선반 위에 수납되는 다수의 신발 받침대에 대한 구분 수납이 용이하도록 상기 신발 받침대의 좌·우측면에 각각 상향 절곡된 절곡면이 구비된 구성이 더 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출관의 상측으로 탈취 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탈취 필터는 상기 배출관의 상단부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오존-열풍 혼합기의 일부는 외부로 방출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건조실 내부로 재순환하게 되는 구성이 개시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선반의 저면부에는, 상기 덕트를 통해 상기 건조실 내로 유입된 오존-열풍 혼합기를 상기 신발 받침대에 적치된 신발의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구성이 개시될 수도 있다.
또, 상기 하우징의 저면부에는 수평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고, 건조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회전바퀴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에 대한 전면 사시도로서, 하우징(1)의 내부에 신발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2)이 구비되어 있고, 이 건조실(2)에는 여러 단으로 선반(3)들이 설치된 구성을 볼 수 있다.
다음에서는 각 실시예별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상기와 같은 신 발 건조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내부 구성을 보인 정면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단부에 오존-열풍 공급부(12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오존-열풍 발생기(120)는 오존 발생기(121)와 히터(122) 및 블로워(123)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존 발생기(121)에서 발생된 오존은 히터(122)에 의해 생성된 온열과 함께 블로워(123)의 송풍시 오존-열풍 혼합기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좌우 양측에는 건조실(111) 내부로 통하는 덕트(112)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오존-열풍 공급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오존-열풍 혼합기가 덕트(112)를 통해 건조실(111) 내부로 송급된다.
또, 건조실(111)의 내부를 순환한 오존-열풍 혼합기의 폐오존 및 악취가 건조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상단부에는 배출관(130)이 배출팬(131)과 함께 구비되어 있다.
한편, 건조실(111)의 내부에 여러 층으로 설치되는 선반(140)들에는 각각 신발 받침대(150)가 수납된다. 도 4와 도 5에는 신발 받침대(150)의 구조가 나타나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발 받침대(150)는 신발 한 켤레를 올려 놓을 수 있는 크기의 판판한 쟁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반(140)의 상측면에 여러 개의 신발 받침대(150)가 수납된다. 특히, 선반(140)의 뒷쪽 상측면에 한쌍의 고정홈(141)이 형성되고 신발 받침대(150)의 저면에는 이 고정홈(141)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51)가 형성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는데, 신발 받침대(150)를 선반(140)에 장착할 때 신발 받침대(150)의 고정돌기(151)가 선반(140)의 고정홈(141)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신발 받침대(150)를 선반(140)에 쉽게 고정할 수가 있다. 또, 신발 받침대(150)의 좌·우측면에 각각 날개 형태로 상향 절곡된 절곡면(152)이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절곡면(152)은 여러 사람이 동시에 신발 받침대(150)를 선반(140) 위에 올려 놓을 때 각자의 신발 받침대(150)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건조장치 내에 수납된 신발의 소유자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반(140)의 정면부에 명찰꽂이(142)를 구비하는 것이 좋으며, 신발 받침대(150)의 상측면에 명찰표(153)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에 부가하여 탈취 필터(260)가 구비된 예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 탈취 필터(260)는 하우징(21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폐오존과 악취를 배출하는 배출관(230)의 상측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탈취 필터(260)는, 오존-열풍 혼합기가 건조실(211) 내부를 순환하면서 신발을 살균 건조 처리함에 따라 생성된 폐오존과 악취가 배출팬(231)에 의해 배출관(230)을 통하여 배출되기 직전에 여과 및 정화되도록 함으로써, 건조장치의 외부로 폐오존과 악취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배출관(230)의 상단부는 탈취 필터(260)와 약간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배출관(230)을 빠져나온 오존-열풍 혼합기의 일부는 건조실(211) 내부로 재순환하고 다른 일부는 탈취 필터(260)를 거쳐 방출된다. 따라서, 오존-열풍 혼합기가 건조장치의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건조실(211) 내부를 충분히 순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덕트(312)를 통해 건조실(311) 내로 유입된 오존-열풍 혼합기가 신발 받침대(350)에 적치된 신발의 내부로 유도되도록, 선반(340)의 저면부에 가이드(344)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덕트(312)로부터 각각의 건조실(311)로 향하는 연통공(312a)과 일직선상으로 선반(340)의 하단면에 가이드(344)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가이드(344)는 아래 층에 놓여진 신발 받침대(350) 위의 신발 내부를 향하도록 꺾여져 있기 때문에, 오존-열풍 혼합기가 덕트(312)의 연통공(312a)을 통해 건조실(311) 내로 유입되면 이를 신발 내부로 직접 유도함으로써 신발 내부의 건조가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하우징(310)의 저면부에는 건조장치의 수평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수단(361)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 수평조절수단(361)은 수나사와 암나사의 쌍으로 이루어져 수나사를 암나사에 대해 조이거나 푸는 조작을 통해 높낮이를 조절하는 통상의 수평조절수단으로 개시된다. 이와 아울러, 하우징(310)의 저면부에는 건조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회전바퀴(362)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는, 신발이 적치되는 신발 받침대를 건조장치 내의 선반에 대해 쉽게 수납 및 탈거할 수 있으므로, 신발 받침대가 오염되었을 경우에 신발 받침대만을 선반으로부터 탈거하여 세척하면 되므로 세척 관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 신발 받침대의 탈착이 용이하고 신발 받침대에 절곡면이 구비되므로, 여러 켤레의 신발들을 건조장치 내에 쉽게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취 필터가 구비되는 구성을 통해 건조장치가 설치되는 장소를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오존-열풍 혼합기의 일부를 건조실 내부로 충분히 재순환시킬 수 있어 살균 건조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도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57289호의 신발 건조장치에 대한 발췌 도면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건조장치에 대한 전면 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한 내부 구성을 보인 정면부 단면도
도 4 : 본 고안에 적용되는 신발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 도 4의 신발 받침대에 대한 저면부 사시도
도 6 :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선반과 신발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
도 7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한 정면부 단면도
도 8 :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측면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310 : 하우징 111,211,311 : 건조실
112,312 : 덕트 120 : 오존-열풍 공급부
121 : 오존 발생기 122 : 히터
123 : 블로워 130,230 : 배출관
131,231 : 배출팬 140,340 : 선반
141 : 고정홈 142 : 명찰꽂이
150,350 : 신발 받침대 151 : 고정돌기
152 : 절곡면 153 : 명찰표
260 : 탈취 필터 312a : 연통공
344 : 가이드 361 : 수평조절수단
362 : 회전바퀴

Claims (9)

  1. 건조실 및 이 건조실로 통하는 덕트를 구비하며 상단부에는 배출팬과 배출관이 설치된 하우징;
    오존발생기와 히터 및 블로워로 이루어져 상기 덕트로 오존-열풍 혼합기를 송급하는 오존-열풍 공급부;
    상기 건조실 내에 층상으로 설치된 선반;
    상기 선반 위에 수납되며 상측면에 신발이 놓여지는 신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신발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상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신발 받침대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정면부에 명찰꽂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위에 수납되는 다수의 신발 받침대에 대한 구분 수납이 용이하도록 상기 신발 받침대의 좌·우측면에 각각 상향 절곡된 절곡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출관의 상측으로 탈취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필터는 상기 배출관의 상단부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오존-열풍 혼합기의 일부는 외부로 방출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건조실 내부로 재순환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저면부에는, 상기 덕트를 통해 상기 건조실 내로 유입된 오존-열풍 혼합기를 상기 신발 받침대에 적치된 신발의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부에는 수평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부에는 회전바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장치.
KR20-2004-0034195U 2004-12-02 2004-12-02 신발 건조장치 KR200377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195U KR200377680Y1 (ko) 2004-12-02 2004-12-02 신발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195U KR200377680Y1 (ko) 2004-12-02 2004-12-02 신발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680Y1 true KR200377680Y1 (ko) 2005-03-11

Family

ID=4367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195U KR200377680Y1 (ko) 2004-12-02 2004-12-02 신발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68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986B1 (ko) 2007-06-12 2007-10-04 장철원 신발 건조 살균기
KR100768293B1 (ko) 2006-05-11 2007-10-17 (주) 크렌즈 장신발 수납기능을 갖는 다단식 신발살균탈취기
KR100996307B1 (ko) 2010-03-09 2010-11-23 김윤상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KR20200020221A (ko) 2018-08-16 2020-02-26 이동철 오존 배출 방지 기능이 구비된 제습장치
WO2023113368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93B1 (ko) 2006-05-11 2007-10-17 (주) 크렌즈 장신발 수납기능을 갖는 다단식 신발살균탈취기
KR100761986B1 (ko) 2007-06-12 2007-10-04 장철원 신발 건조 살균기
KR100996307B1 (ko) 2010-03-09 2010-11-23 김윤상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KR20200020221A (ko) 2018-08-16 2020-02-26 이동철 오존 배출 방지 기능이 구비된 제습장치
WO2023113368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3591B1 (en) Sports equipment drying container
KR10130671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795207B1 (ko) 자동 신발청소기 겸용 수납장
KR101143685B1 (ko) 건조기의 필터 구조
KR102542121B1 (ko) 욕실관리기
KR2009010512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00012544A (ko) 세탁장치
KR200377680Y1 (ko) 신발 건조장치
US6591517B1 (en) Shoe dryer
JP2017223403A (ja) 除湿機および乾燥システム
KR101035243B1 (ko) 접이식 발 건조기
JP3535135B2 (ja) 乾燥装置
KR20100107226A (ko) 신발 살균 건조장치
KR200187262Y1 (ko) 위생 신발장
KR100761986B1 (ko) 신발 건조 살균기
KR100625104B1 (ko) 신발 건조기
KR100433929B1 (ko) 위생신발장
KR200433313Y1 (ko) 자동 신발청소기 겸용 수납장
CN2216074Y (zh) 多功能衣物干燥机
KR200365563Y1 (ko) 신발 살균 건조기
KR0144207B1 (ko) 건조기능 및 제습기능을 갖는 옷장
JP2006149822A (ja) 衣類乾燥機
KR200252075Y1 (ko) 위생 신발장
KR200304571Y1 (ko) 다용도 건조기
KR100645084B1 (ko) 의류 살균 및 건조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