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610B1 -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 - Google Patents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610B1
KR101500610B1 KR1020130103794A KR20130103794A KR101500610B1 KR 101500610 B1 KR101500610 B1 KR 101500610B1 KR 1020130103794 A KR1020130103794 A KR 1020130103794A KR 20130103794 A KR20130103794 A KR 20130103794A KR 101500610 B1 KR101500610 B1 KR 101500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storage chambers
exhaus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477A (ko
Inventor
윤홍중
Original Assignee
(주) 크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크렌즈 filed Critical (주) 크렌즈
Priority to KR1020130103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61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기유로를 따라 각 수납실로 공급되는 건조공기를 균일하게 비산시켜 건조대상물의 건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각 수납실의 공기압력이 외부의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음압상태를 유지시켜 도어 개방시 그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송풍시스템의 급기구와 연통되는 분기덕트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분기덕트의 개구된 양측 단부에 분기공이 등간격 형성된 급기덕트가 각각 수직 설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두 급기덕트의 분기공에 양측 수납실과 연통되는 수평덕트가 구비되어진 급기유로와; 양측 각 수납실들 사이에 사각관 형상의 수직배기덕트가 수직 설치되며, 상기 수직배기덕트의 양측에 각 수납실과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어지되, 각 배기구에는 수납실의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는 항균필터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배기덕트의 상단부가 송풍시스템의 배기구와 연통되어진 배기유로; 등을 포함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AIR FLOWING SYSTEM FOR STERILIZATION/ DEODORANT/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신발, 작업복, 소방장비 등의 세균을 살균하고, 이들에게 배어있는 각종 냄새를 탈취한 다음 일정 온도로 건조하는 살균,탈취,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기유로를 따라 각 수납실로 공급되는 건조공기를 균일하게 비산시켜 건조대상물의 건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각 수납실의 공기압력이 외부의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음압상태를 유지시켜 도어 개방시 그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소 착용하는 신발, 작업복, 소방장비와 같은 살균,탈취,건조대상물 등에는 인체에 유해한 세균, 곰팡이, 미생물이 다량 기생하기도 하고, 신체에서 발생되어진 땀과 먼지가 뒤섞인 채 배임으로서 고약한 악취가 풍기게 마련이다.
특히, 상기의 살균,탈취,건조대상물 중에는 구두, 고무신과 운동화처럼 목이 짧은 단화류가 있는 반면, 작업화, 등산화, 군화처럼 목이긴 장화 등의 신발류 등이 있고,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입는 오염방지복이나 작업복이 있으며, 소방대원들이 착용하였던 방독면 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살균,탈취,건조대상물을 착용함에 있어 자연적으로는 착용한 신체의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은 땀 발생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통풍조건이 양호하지 못하다는 이유에서 각종 세균 등의 번식이 일어나 더더욱 심한 악취를 발생하기도 하지만, 우천시 살균,탈취,건조대상물이 젖은 상태에서 실내에 입실하는 과정에서는 더욱 많은 악취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시판되고 있는 살균,탈취,건조장치는 고온의 열풍을 이용하여 살균,탈취,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것은 물론, 내부적으로 설치된 UVC램프, 광촉매제 등의 요소로서 살균/탈취하고, 다시 이들을 각종 필터로서 여과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이후 착용하는 살균,탈취,건조대상물의 상태를 쾌적한 상태로 만들어 주는 한편, 유해한 오염물질을 제거해 주어 신체건강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은 살균,탈취,건조장치의 살균, 탈취과정은 살균,탈취,건조대상물은 일정시간 동안 본체내에 방치하여 가동시키면, 공기는 오존발생부재를 통해 오존을 발생시킴은 물론, 히터를 통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살균,탈취,건조대상물의 건조는 물론, 살균탈취가 이루어지며, 이들은 연속 순환되는 과정에서 촉매재로 이루어진 필터를 통해 살균/정화시켜 소정의 작동시간을 거쳐 착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살균,탈취,건조대상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의 흐름은 내측에 설치된 구동팬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주어진 시간 동안 살균,탈취,건조대상물의 건조와 살균, 탈취를 실시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살균,탈취,건조장치는 당사가 선출원하여 등록을 받은 특허(대한민국 등록특허 10-672242호)가 있으며, 상기의 구조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측면패널(11), 상면패널(12), 저면패널(13), 후면패널(14)의 조합으로 직사각형체를 이루되, 전면에 신발(S)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신발수납실(10-2) 형성과 함께 신발수납실(10-2)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0-1)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에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 송풍팬(P)이 연결 설치되어 신발수납실(10-2) 내부로 공기를 분사시키는 공기공급덕트(20)와; 상기 공기 공급덕트(20)의 일측에 상기 송풍팬의 공기 흡입측으로부터 연결 설치되어 신발수납실(10-2)로부터 위치되어 냄새를 배출시키는 배출구(31)가 대응되게 마련되는 한편, 배출구(31)에 항균필터(F)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공기 배기덕트(30)와; 상기 공기 배기덕트(30)의 상부 및 상기 송풍팬(P)의 유입측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구(41)가 마련되는 한편, 공기유입구(41)에 항균필터(F)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배기덕트(30)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송풍팬(P)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격벽(42)이 마련된 공기 순환덕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살균,탈취,건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덕트(20)는 본체(10)내의 중앙에 수직 설치되고, 수직되는 양 측면 상에 중공형의 직사각형체 단면적을 갖되, 그 일단은 밀폐되고, 공기 공급덕트(20) 내부로부터 공기저항을 받기 위한 공기유도부(22a)가 돌출 형성되며, 공기유도부(22a)가 형성되는 저면 상에 2개의 공기분사공(22b)(22c)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분사공 중 공기 공급덕트(20)에 근접하는 공기분사공(22b)의 일측에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안내편(22d)이 부착되고, 각 공기분사공(22b)(22c)의 저면에 공기를 수직 안내하기 위한 공기분사구(22e)가 부착 설치된 공기 분사관(22)이 등간격으로 분기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덕트(20)와 공기 배기덕트(30)을 기준으로 그 좌,우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공기분사관(22)이 각각의 신발수납실(10-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제1안내공(51)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기덕트(30)의 배출구(31)가 내부 측면 상에 위치되도록 제2안내공(52)이 형성된 좌측 수납실 조립체(50-1) 및 우측 수납실 조립체(50-2)를 포함하여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살균,탈취,건조장치의 작용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송풍팬(P)으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의 송풍은 공기 공급덕트(20)를 따라 공기가 도시된 화살표 진행과 같이 수직 하강하고, 상기 공기 공급덕트(20)로부터 좌우측으로 분기되게 설치된 각각의 공기분사관(22)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공기분사관(22)은 비교적 얇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공기유도부(22a)에 공기가 부딪히며, 이렇게 부딪힌 공기는 그 내부까지 유입되며, 이때 유입되는 공기는 두개의 공기분사공(22b)(22c)을 통해 그 하부에 부착한 공기분사구(22e)를 통해 신발수납실(10-2)로 공기를 분사시켜 준다.
즉, 상기 공기분사관(22)으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공기는 상기 공기분사공(22b)(22c) 중 제일 먼저 공기가 지나게 되는 공기분사공(22b)으로는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그 후방에 부착 설치된 안내편(22d)에 부딪힘과 동시에, 그중 일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 분사공(22b)으로 일차 유도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반구형의 공기분사구(22e)를 통해 그 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분사공(22b)으로는 안내편(22d) 양측을 지나는 공기가 공기분사관(22) 내에 공기분사공(22c)과 근접되는 위치에서 밀폐되는 벽(22f)에 공기가 부딪힘 작용으로 자연스럽게 상기 공기분사공(22c)으로도 유도되어 상기와 같이 공기를 신발수납실(10-2) 내측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살균,탈취,건조장치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공기 공급덕트(20)에서 그 양측으로 다수의 공기분사관(22)이 균형있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각 공기분사관(22)으로의 공기 유입이 일정치 않아 신발수납실(10-2) 내의 온도편차 및 공기압력이 현저하게 차이가 발생함으로써, 각 신발수납실(10-2) 내의 건조 대상물이 효과적으로 건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도 3과 같이 공기가 상기 공기분사관(22)을 통해 끝단이 폐구된 방향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신발수납실(10-2)로 유입된 공기가 강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도 3의 화살표와 같이 향함으로써, 상기 신발수납실(10-2) 내의 신발의 위치에 따라 신발의 내부로 공기가 일정하게 접촉하지 못하여 신발의 건조속도가 달라져 신발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공기 공급덕트(20)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각 신발수납실(10-2)을 경유하여 공기 배기덕트(30)로 전량 배기되기 때문에 도어(10-1)를 개방하였을 때 신발수납실(10-2) 내에 잔존하고 있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고약한 악취는 물론이고 그 내부에 있던 각종 세균까지 외부로 방출되어 실내를 크게 오염시키므로 사용자들의 거부감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양측 급기유로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각 수납실과 연통되는 공기분사관의 내부에서 충돌하여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한 후 공기분사관의 다수의 공기분사공을 통해 각 수납실로 수직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수납실 내의 살균,탈취,건조대상물을 효과적이고 균일하게 동시 건조할 수 있도록 한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수납실에서 배기유로를 따라 송풍시스템으로 귀환하는 공기의 일부를 정화처리하여 외부로 일부 배출시킴으로써 각 수납실의 공기압력이 외부의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음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도어 개방시 수납실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어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면패널, 상면패널, 저면패널, 후면패널의 조합으로 직사각형체를 이루되, 전면에 살균,탈취,건조대상물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수납실 형성과 함께 상기 수납실의 전면을 개폐하는 다수의 도어가 각각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살균, 탈취, 건조하여 각 수납실로 공기를 강제공급하는 송풍시스템과; 상기 송풍시스템과 연결되어 각 수납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유로 및 각 수납실의 오염된 공기를 송풍시스템으로 귀환시키는 배기유로를 구비한 공기유로시스템; 등으로 구성된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풍시스템의 급기구와 연통되는 분기덕트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분기덕트의 개구된 양측 단부에 분기공이 등간격 형성된 급기덕트가 각각 수직 설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두 급기덕트의 분기공에 양측 수납실과 연통되는 수평덕트가 구비되어진 급기유로와; 양측 각 수납실들 사이에 사각관 형상의 수직배기덕트가 수직 설치되며, 상기 수직배기덕트의 양측에 각 수납실과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어지되, 각 배기구에는 수납실의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는 항균필터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배기덕트의 상단부가 송풍시스템의 배기구와 연통되어진 배기유로; 등을 포함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배기덕트의 하단부를 개구하고, 상기 수직배기덕트의 개구부룰 본체의 저면패널의 공기 배출구와 연결하여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수직배기덕트의 개구부에 외부로 배기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탈취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측 급기유로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각 수납실과 연통되는 공기분사관의 내부에서 충돌하여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한 후 공기분사관의 다수의 공기분사공을 통해 각 수납실로 수직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수납실 내의 살균,탈취,건조대상물을 효과적이고 균일하게 동시 건조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수납실에서 배기유로를 따라 송풍수단으로 귀환하는 공기의 일부를 정화처리하여 외부로 일부 배출시킴으로써 각 수납실의 공기압력이 외부의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음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도어 개방시 수납실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어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살균,탈취,건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살균,탈취,건조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흐름을 보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탈취,건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탈취,건조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흐름을 보인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탈취,건조장치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탈취,건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탈취,건조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측면패널(510), 상면패널(미도시), 저면패널(540), 후면패널(미도시)의 조합으로 직사각형체를 이루되, 전면에 살균,탈취,건조대상물(600)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수납실(521)을 가진 수납실 캐비티(520)와 함께 상기 수납실(521)의 전면을 개폐하는 다수의 도어(530)가 각각 구비된 본체(500)와; 상기 본체(5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살균, 탈취, 건조하여 각 수납실(521)로 공기를 강제공급하는 송풍시스템(700)과; 상기 송풍시스템(700)과 연결되어 각 수납실(521)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유로(551) 및 각 수납실(521)의 오염된 공기를 송풍시스템(700)으로 배기시키는 배기유로(552)를 구비한 공기유로시스템(550); 등으로 구성된 살균,탈취,건조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급기유로(551)는 상기 송풍시스템(700)의 급기구(710)와 연통되는 분기덕트(551a)가 수평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분기덕트(551a)의 중앙부에는 상기 송풍시스템(700)의 급기구(710)와 연통되는 흡입공(55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덕트(551a)의 개구된 양측 단부에는 분기공(551d)이 등간격 형성된 급기덕트(551c)가 각각 수직 설치된다.
상호 대향되는 두 급기덕트(551c)의 분기공(551d) 사이에 양측 수납실(521)과 연통되는 수평덕트(551e)가 설치되된다. 즉, 상기 수평덕트(551e)는 수납실(521) 상면부의 관통공(522)을 통과하게 되며, 상기 수평덕트(551e)의 저면에는 수납실(521)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게 분사공(551f)이 형성된다.
한편, 양측 각 수납실 캐비티(520) 사이에 설치되는 배기유로(552)는 사각관 형상의 수직배기덕트(552a)가 수직 설치되며, 상기 수직배기덕트(552a)의 양측에 각 수납실(521)과 연통되는 배기구(552b)가 형성되어지되, 각 배기구(552b)에는 수납실(521)의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는 항균필터(552c)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배기덕트(552a)의 상단부가 송풍시스템(700)의 배기구(720)와 연통되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배기덕트(552a)의 상단부에 수평배기덕트(552e)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배기덕트(552e)의 중앙부분에 송풍시스템(700)의 배기구(720)와 수직배기덕트(552a)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관통공(552f)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수평배기덕트(552d)를 설치하여 분기덕트(551a)와 수평을 맞춤으로써 송풍시스템(700)을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배기덕트(552a)의 하단부를 개구하고, 상기 수직배기덕트(552a)의 개구부(552d)룰 본체의 저면패널(540)의 공기 배출구(541)와 연결하여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한다.
즉, 각 수납실(521)에서 배기유로(552)를 따라 송풍시스템(700)으로 귀환하는 공기의 일부를 정화처리하여 외부로 일부 배출시키게 되면, 각 수납실(521)의 공기압력이 외부의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음압상태가 유지되어 도어(530) 개방시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수납실(521)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빨려 들어감으로써 실내의 오염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수직배기덕트(552a)의 개구부(552d)와 대응되는 저면패널(540)의 공기 배출구(541)에 외부로 배기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탈취부재(542)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살균,탈취,건조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살균,탈취,건조장치의 송풍시스템(700)이 구동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시스템(700)의 송풍팬(P)의 구동과 동시에 공기가 공기유로시스템(550)으로 강제 급기된다.
상기 공기유로시스템(550)으로 급기된 공기는 본체(500) 상단에 설치되어진 흡입공(551b)을 통해 분기덕트(551a)로 급기되고, 상기 분기덕트(551a)로 급기된 공기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이와 연결되어진 두 급기덕트(551c)로 공급된다.
상기 두 급기덕트(551c)로 공급된 공기는 급기덕트(551c)의 각 분기공(551d)으로 급기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분기공(551d)과 연결되어진 수평덕트(551e) 양측으로 공급된 공기가 도 6과 같이 수평덕트(551e)의 중간 지점에서 충돌하게 되는데, 이때 수평덕트(551e)의 양측에서 공급된 소정의 압력으로 유입된 공기로 인하여 수평덕트(551e)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게 되며, 소정 압력이 발생한 공기는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분사공(551f)을 통해 수납실(521)로 분사된다.
즉, 상기 수평덕트(551e)의 중간 지점에서 충돌한 공기가 소정 압력으로 각 분사공(551f)을 통해 분사되며, 상기 분사공(551F)을 통과한 공기는 도6의 화살표와 같이 부채꼴로 퍼져 그 저부의 살균,탈취,건조대상물(600) 예컨데, 신발의 내부까지 균일하게 침투하여 살균 및 탈취, 그리고 건조를 효과적으로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실(521)로 급기된 공기는 수납실(521) 일측의 통공(미도시)을 통해 배기유로(552)로 배기되는데, 이때 수납실(521) 일측의 통공에는 항균필터(552c)가 설치되어 있어 수납실(521)내의 의 살균,탈취,건조대상물(600)로 부터 발생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배기유로(552)로 배기된 공기는 그 관로를 따라 상부로 상승하여 수직배기덕트(552a)와 연결된 관통공(552f)으로 진입한 후 수평배기덕트(552d)를 거쳐 송풍시스템(700)의 배기구(720)로 유입되며, 상기 배기구(720)로 유입된 공기는 그 일측의 탈취부재(740)를 지나 송풍팬(P)으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배기유로(552)로 유입된 일부의 공기 예컨데, 약 10% 정도의 공기를 저면패널(540)의 공기 배출구(541)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송풍시스템(700)의 송풍팬(P)의 작동에 따라 수납실(521)내의 풍압보다 수직배기덕트(552a) 내부의 풍압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면서 수납실(521) 내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어 도어(530)를 개방하더라도 수납실(521)내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는다.
즉, 각 수납실(521)의 공기압력이 외부의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음압상태가 유지되어 도 7의 화살표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수납실(521)로 흡입됨으로써, 상기 도어(530) 개방시 수납실(521)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어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실(521) 내부에는 항상 음압이 걸려 있는 상태이므로 도어(530)가 스스로 개방되는 등의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배기덕트(552a)의 개구부(552d)에는 외부로 배기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필터부재(542)가 설치되어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어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의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500:본체 510:측면패널
520:수납실 캐비티 521:수납실
530:도어 540:저면패널
541:공기 배출구 550:공기유로시스템
551:급기유로 551a:분기덕트
551b:흡입공 551c:급기덕트
551d:분기공 551e:수평덕트
551f:분사공 552:배기유로
552a:수직배기덕트 552b:배기구
552c:항균필터 552d:개구부
552e:수평배기덕트 552f:관통공
600:살균,탈취,건조대상물 700:송풍시스템
710:급기구 720:배기구
730:송풍팬 740:탈취부재

Claims (3)

  1. 측면패널, 상면패널, 저면패널, 후면패널의 조합으로 직사각형체를 이루되, 전면에 살균,탈취,건조대상물을 각각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수납실 형성과 함께 상기 수납실의 전면을 개폐하는 다수의 도어가 각각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살균, 탈취, 건조하여 각 수납실로 공기를 강제공급하는 송풍시스템과; 상기 송풍시스템과 연결되어 각 수납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유로 및 각 수납실의 오염된 공기를 송풍시스템으로 귀환시키는 배기유로를 구비한 공기 유로시스템;으로 구성된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풍시스템의 급기구와 연통되는 분기덕트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분기덕트의 개구된 양측 단부에 분기공이 등간격 형성된 급기덕트가 각각 수직 설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두 급기덕트의 분기공에 양측 수납실과 연통되는 수평덕트가 구비되어진 급기유로와;
    양측 각 수납실들 사이에 사각관 형상의 수직배기덕트가 수직 설치되며, 상기 수직배기덕트의 양측에 각 수납실과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어지되, 각 배기구에는 수납실의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는 항균필터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배기덕트의 상단부가 송풍시스템의 배기구와 연통되어진 배기유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기덕트를 설치하되, 상기 수직배기덕트의 하단부에 개구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개구부를 본체의 저면패널의 공기 배출구와 연결하여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여 수납실내의 풍압보다 수직배기덕트 내부의 풍압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기덕트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저면패널의 공기 배출구에 외부로 배기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탈취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
KR1020130103794A 2013-08-30 2013-08-30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 KR101500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794A KR101500610B1 (ko) 2013-08-30 2013-08-30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794A KR101500610B1 (ko) 2013-08-30 2013-08-30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477A KR20130103477A (ko) 2013-09-23
KR101500610B1 true KR101500610B1 (ko) 2015-03-16

Family

ID=4945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794A KR101500610B1 (ko) 2013-08-30 2013-08-30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611B1 (ko) * 2013-08-30 2015-03-10 (주) 크렌즈 전장시스템이 분리되는 살균,탈취,건조장치
KR101704739B1 (ko) * 2014-12-30 2017-02-08 케이디하이텍 주식회사 신발 살균 및 탈취장치
CN108978122A (zh) * 2017-06-05 2018-12-11 山东君睿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除味加香机
KR102317859B1 (ko) * 2021-04-07 2021-10-26 (주)킴스프로젝트 생활 잡화 살균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080A (ja) 2003-02-14 2004-09-02 Hokkaido Ishida Kk 長靴乾燥除菌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65563Y1 (ko) 2004-07-14 2004-10-20 유창엘텍 주식회사 신발 살균 건조기
KR20060066147A (ko) * 2006-05-11 2006-06-15 (주) 크렌즈 장신발 수납기능을 갖는 다단식 신발살균탈취기
KR100744707B1 (ko) 2006-03-31 2007-08-02 최용림 하나의 살균실로 이루어진 통합형 살균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080A (ja) 2003-02-14 2004-09-02 Hokkaido Ishida Kk 長靴乾燥除菌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65563Y1 (ko) 2004-07-14 2004-10-20 유창엘텍 주식회사 신발 살균 건조기
KR100744707B1 (ko) 2006-03-31 2007-08-02 최용림 하나의 살균실로 이루어진 통합형 살균실
KR20060066147A (ko) * 2006-05-11 2006-06-15 (주) 크렌즈 장신발 수납기능을 갖는 다단식 신발살균탈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477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942B1 (ko) 다용도 클린부스
US20130199581A1 (en) Equipment disinfecting and drying unit
KR101500610B1 (ko) 살균,탈취,건조장치의 공기유로시스템
KR101770090B1 (ko) 헬멧의 살균 소독장치 및 살균 소독방법
KR101765858B1 (ko) 신발 건조 소독기
US202102287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nd Disinfecting Objects
US20220233731A1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nd Disinfecting Objects, Use of the Device and the Method, and Objects Cleaned Therewith
KR100899948B1 (ko) 살균 탈취기가 구비된 붙박이 수납장
WO2010089925A1 (ja) 手乾燥装置
KR200490091Y1 (ko) 신발 소독기
KR200481915Y1 (ko) 신발 건조기
KR100672242B1 (ko) 신발살균탈취기
KR100970468B1 (ko) 도서 소독기
JP2000201752A (ja) 殺菌乾燥ボックス
JP2020058461A (ja) 食器洗い機
KR20210093104A (ko) 신발관리장치
KR100996307B1 (ko)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KR100768293B1 (ko) 장신발 수납기능을 갖는 다단식 신발살균탈취기
KR200427782Y1 (ko) 장신발 수납기능을 갖는 다단식 신발살균탈취기
KR101500611B1 (ko) 전장시스템이 분리되는 살균,탈취,건조장치
CN107034646B (zh) 一种船用衣物干燥杀菌除臭装置
KR100648298B1 (ko) 은나노 분무 신발 소독장치
KR20160093849A (ko) 세균제거기능이 있는 신발건조기
KR20120055852A (ko) 신발 및 장갑 건조살균기
KR20160001224A (ko) 신발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