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569B1 - 발향장치 - Google Patents

발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569B1
KR100515569B1 KR10-2002-0065289A KR20020065289A KR100515569B1 KR 100515569 B1 KR100515569 B1 KR 100515569B1 KR 20020065289 A KR20020065289 A KR 20020065289A KR 100515569 B1 KR100515569 B1 KR 100515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passage
fragrance
opening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319A (ko
Inventor
장응하
Original Assignee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5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5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6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33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u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기를 발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향물질 또는 살충제와 같은 화학물질을 일정공간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와,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와, 상기 송풍통로를 열고 닫는 개폐도어와, 내부에 향물질 또는 살충제가 수용되며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개폐도어 사이에 상기 통로 상에 향을 내보내도록 배치된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도어는 자중에 의해 상기 통로를 닫고 공기흐름의 풍압에 의해 상기 송풍통로를 열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향물질 또는 살충제는 액체일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통로로 연통되는 부분에 액체불투과성이고 기체투과성인 멤브레인이나 심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카트리지형일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는 그 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적외선 센서 또는 광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엘리베이터에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향장치 {SCENT EXHA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내의 분위기를 전환하고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향기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트레스 등을 원인으로 하는 각종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향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향기를 적절히 발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발향장치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발향장치는 향액을 수용하는 본체와, 그 본체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덮개를 회전시킴으로써, 향기가 발산되는 구멍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본체 내의 향이 지속적으로 발산되기 때문에 실내의 향 밀도가 높아져 쾌적함 때신 불쾌감을 줄 수 있고 개폐제어가 되지 않아 향액이 빠르게 소모되며 본체 내의 액체 향이 모두 발산되면 폐기처분하고 다른 발향장치를 구입하여 사용해야만 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275989호와 같은 구성의 발향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이 발향장치는 필요시 작동하는 송풍팬에 의해 향기가 발산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향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향기 발산부의 구멍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송풍팬이 작동하지 않을 때에도 향이 외부로 계속 새어나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향의 손실이 커진다. 또한 공보에 개시된 대로 구성하였을 때 팬의 송풍압력 정도로는 기포가 발생하기 어렵다. 더구나 상기 공보에서 향 저장부(20)의 하부 격벽이 향수액의 누액을 막고 송풍압에 의해 기포를 발생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그를 수행하는 구조를 갖는다고 하고 있으나, 실제 구체적인 내용의 기재가 없음에 비추어 상기 공보에 실린 발향장치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것일 가능성이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향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키는 발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 개시 후 짧은 시간 내에 향을 전달하는 발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한 시기에 향을 발산하는 발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향물질 또는 살충제와 같은 화학물질을 일정공간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와,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와,
상기 송풍통로를 열고 닫는 개폐도어와,
내부에 향물질 또는 살충제가 수용되며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개폐도어 사이에 상기 통로 상에 향을 내보내도록 배치된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도어는 자중에 의해 상기 통로를 닫고 공기흐름의 풍압에 의해 상기 송풍통로를 열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향물질 또는 살충제는 액체일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통로로 연통되는 부분에 액체불투과성이고 기체투과성인 멤브레인이나 심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카트리지형일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적외선 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적외선 센서에 의해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람이 있을 때만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광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광센서에 의해 빛의 유무를 감지하여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엘리베이터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발향장치(10)는 본체(20)와 덮개(60)를 구비하는 케이스(15)와, 송풍장치(30)와, 개폐도어(40)와, 향액 수용함(50)과, 센서(70)와, 제어회로판(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덮개(60) 뒤편에 장착됨)을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본체(20)는 후술하는 송풍장치(30)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22)과, 제1 수용공간(22)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송풍통로(24)와, 송풍통로(24) 상단에 마련되는 배출구(26)와, 제1 수용공간(22) 상부 및 송풍통로(24) 측면에 마련되어 후술하는 향액 수용함(50)이 장착되는 제2 수용공간(25)을 구비한다. 도1에 케이스본체(20) 뒤쪽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1 수용공간 뒤쪽 케이스본체(20)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통로(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된다. 제2 수용공간(25)은 바닥과 옆에 형성된 가로벽(28)과 세로벽(29)에 의해 제1 수용공간(22)과 격리된다. 그리고, 제2 수용공간(25)과 송풍통로(24)를 사이에 세워진 세로벽(29)에는 통로구멍(291)이 마련되어 제2 수용공간(25)과 송풍통로(24)를 연통시킨다. 제2 수용공간(25)의 상부는 개방되는데, 이 개방부분을 통해 후술하는 향액 수용함(50)을 끼우고 뺄 수 있다. 케이스본체(20)의 양측벽에는 개방된 전면 쪽에 가깝게 마련된 결합구멍(27)이 각각 두 개씩 위 아래로 마련된다. 이 결합구멍(27)으로 후술하는 케이스덮개(60)의 결합돌기(62)의 단턱부(63)가 끼워진다.
송풍통로(24) 상단에는 수평으로 놓여져 송풍통로(24)의 상단을 폐쇄하는 사각판 형태의 개폐도어(40)가 구비된다. 개폐도어(40)의 후단 양측에 마련된 돌기(42)는 송풍통로(24)의 양측벽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덮개(60)와 케이스본체(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개폐도어(40)가 수평으로 놓여질 때(점선으로 도시됨), 개폐도어(40)의 앞쪽 끝 부분이 케이스덮개(60)의 상단에 걸리면서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송풍통로(24)를 완전히 막는다. 개폐도어(40)가 위로 올라가도록 회전하면 송풍통로(24)의 상단이 개방된다. 개폐도어(40)의 무게는 후술하는 송풍장치(30)에 의해 발생하여 송풍통로(24)를 통해 올라오는 공기흐름에 의해 선단부가 올라가게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한다. 이 공기흐름이 없으면 개폐도어(40)는 자중에 의해 내려가며 송풍통로(24) 상단을 폐쇄한다.
송풍통로(24)의 상단에는 송풍통로(24)로부터 연결되어 앞쪽으로 열린 배출구(26)가 전면에 마련된다. 개폐도어(40)가 배출구(26)와 송풍통로(24) 사이를 개폐한다. 즉, 개폐도어(40)가 위로 올라가면 배출구(26)와 송풍통로(24)가 연통된다. 개폐도어(40)가 아래로 내려가 수평으로 놓이면 배출구(26)와 송풍통로(24)는 가로막히게 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케이스덮개(60)는 사각판 형태로서, 배출구(26)를 제외한 케이스본체(20)의 개방된 전면을 완전히 폐쇄할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케이스덮개(60)의 뒷면 양측 상하에는 케이스본체(20)의 결합구멍(27)과 결합되도록 연장된 결합돌기(62)가 마련된다. 결합돌기(62)의 바깥쪽 끝 부분에는 케이스본체(20)의 결합구멍(27)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단턱부(63)가 마련된다. 케이스덮개(60) 전면에는 조작버튼(61)이 마련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덮개(60) 뒷면에는 제어회로판이 장착된다. 제어회로판은 조작버튼(61)과 후술하는 송풍장치(30) 및 센서(70)에 연결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발향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 케이스덮개(60) 전면으로는 센서(70)가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센서(70)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인데, 예를 들면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송풍장치(30)는 하우징(31)과 하우징(31) 내에 마련되는 팬(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면 원심형 팬)을 구비한다. 하우징(31)은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개방구(32)를 구비한다. 하우징(31) 내의 팬이 회전하면서 외부로부터 흡입구(도시되지 않음)에서 들어온 공기를 개방구(32)를 통해 내보낸다. 개방구(32)는 송풍통로(24)에 연결된다. 개방구(32)를 통해 나오는 공기는 송풍통로(24)를 통해 위로 상승하게 된다. 송풍통로(24)를 통해 상승한 공기는 개폐도어(40)를 들어올리고 배출구(26)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간다. 공기흐름은 위와 같이 이루어진다. 팬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그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팬의 회전속도에 따라 배출되는 향기의 강도가 조절된다.
도1, 도2, 도3, 도4를 참조하면, 향액 수용함(50)은 직육면체 형태로서, 케이스본체(20)의 제2 수용공간(25)에 대체로 꼭 맞게 끼워진다. 향액 수용함(50)은 그 내부에 액체상태의 향액을 담고 있는데, 제2 수용공간(25)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교체가 가능하다. 향액 수용함(50)의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52)가 마련된다. 이 손잡이(52)를 사용하여 쉽게 향액 수용함(50)을 제2 수용공간(25)에 넣고 뺄 수 있다. 이 향액 수용함(50)의 일측면(케이스본체(20)의 통로구멍(291)과 접하는 면)은 멤브레인(51)으로 차단된다. 멤브레인(51)은 액체불투과성 및 기체투과성의 막으로서, 예를 들면, 미세 구멍이 형성된 PE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멤브레인(51)을 통해 기체와 같은 작은 입자는 통과하고 액체와 같은 큰 분자는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액체상태인 향액은 밖으로 유출되지 않지만, 향액으로부터 기화되어 향을 담고있는 기체는 멤브레인(51)을 통해 밖으로 나갈 수 있다. 향액 수용함(50)에 수용되는 향액으로는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는데 아로마테라피의 효능(심신안정, 졸음제거, 긴장완화, 정신집중, 각종질병치료)과 공기 청정의 효과 및 살충효과를 갖는 향액이 좋다.
이제 도1, 도2, 도3,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조작버튼(61)을 통하여 발향장치(10)의 작동방식을 선택한다. 작동방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이 정해진 시간간격에 따라 향이 일정시간동안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어회로판은 타이머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송풍장치(30)에 작동신호를 보낸다. 이때, 사용자는 분사주기 및 작동시간을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둘째, 센서(70)를 이용하여 사람의 열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어회로판은 센서(7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송풍장치(30)에 작동신호를 보낸다. 제어회로판은 사람이 존재하는 동안 혹은 사람이 감지된 후 일정시간동안 송풍장치(30)가 작동하도록 한다. 엘리베이터와 같은 공간 내에 발향장치를 설치하고 사람이 들어왔을 때 향이 발산되도록, 이 기능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발향장치가 장착되는 장치(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주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향을 자동으로 분사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를 예로 들면 문이 열렸을 때나 층 버튼을 눌렀을 때 그 신호를 받아 향을 자동으로 분사한다. 제어회로판은 엘리베이터의 주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송풍장치(30)가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신호를 보낸다. 넷째, 사용자가 직접 조작버튼(61)을 조작하여 향을 분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버튼(61)을 누르면, 제어회로판은 송풍장치(30)로 작동신호를 보낸다. 송풍장치(30)는 일정시간동안 작동한 후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거나 다시 사용자가 직접 버튼(61)을 조작하여 그 작동을 멈출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방식들을 통해 제어회로판은 필요시 송풍장치(30)로 작동신호를 보내게 된다. 제어회로판으로부터 작동신호를 받은 송풍장치(30)는 하우징(31) 내부에 구비된 팬(도시되지 않음)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팬이 회전하면 외부공기가 케이스본체(20) 뒤쪽에 마련된 흡입통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유입된다. 이때, 팬의 회전속도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의해 조절되는데, 팬의 회전속도에 의해 발산되는 향기의 강도가 조절된다. 팬에 의해 공기흐름이 발생한다. 공기는 하우징(31)의 개방구(32)를 통해 하우징(32) 바깥으로 나온다. 이 공기 흐름은 송풍통로(24)를 통해 위로 올라가게 되고 그 풍압에 의해 닫혀있던 개폐도어(40,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가 올라가면서 열리게 된다. 개폐도어(40)가 열리면, 공기는 배출구(26)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공기가 송풍통로(24)를 통해 상승할 때, 향액 수용함(50) 내의 기화된 향 기체는 멤브레인(51)을 통과하여 통로구멍(291)을 통해 송풍통로(24)로 유입되고 상승하는 공기와 함께 외부로 빠져나감으로써 외부로 향을 발산한다. 작동시간이 끝나면 송풍장치는 작동을 멈추고 더 이상 공기흐름이 발생하지 않는다. 공기흐름이 발생하지 않으면, 배출구(26)는 자중에 의해 내려와서 자동으로 송풍통로(24)를 폐쇄하여 향이 외부로 발산되지 못하고 결국 향이 공기 중으로 발산되는 것도 제한되게 된다.
도5를 참조하면, 향액 수용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향액 수용함(50a)의 일측면 상부에는 내부로 연결된 심지(55a)가 노출되어 있다. 그 밖의 형태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심지(55a)를 통해 수용함(50a) 내의 기화된 향액이 송풍통로(24)로 유입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체상태의 향물질을 사용하였으나 겔(gel) 형태의 향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살충효과를 갖도록 살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센서로서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적외선 센서 대신 빛의 유무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빛이 없을 때에는 발향장치가 작동하지 않으며 빛이 있을 때에는 발향장치가 향을 분사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는 발향장치를 사용하면, 향기의 발산을 제어하는 개폐도어가 구비되기 때문에, 향액의 낭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 개페도어는 열고 닫는 데에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으며 공기의 흐름만으로 열고 닫는다. 또한, 센서 또는 외부로부터의 작동신호를 이용하면 즉각 응답하여 송풍장치에 의해 향기가 발산되므로 향기를 실내에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는 발향장치를 살충액으로 교체하여 엘리베이터에 설치할 경우 문이 열릴 때 엘리베이터 내로 들어온 모기 등의 해충을 쫓을 수 있다. 또한, 향액이 수용되는 수용함(카트리지)을 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향기를 선택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체불투과성이고 기체투과성인 멤브레인을 사용하므로 향액이 누설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향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발향장치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발향장치의 정면도로서, 케이스덮개를 제거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
도4는 도2의 향액 수용함의 사시도로서, 멤브레인이 구비된 측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
도5는 도2의 향액 수용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향장치 15 : 케이스
22 : 제1 수용공간 24 : 송풍통로
25 : 제2 수용공간 26 : 배출구
30 : 송풍장치 31 : 하우징
32 : 개방구 40 : 개폐도어
50 : 향액 수용함 51 : 멤브레인

Claims (9)

  1. 향물질 또는 살충제와 같은 화학물질을 일정공간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와,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와,
    상기 송풍통로를 열고 닫는 개폐도어와,
    내부에 향물질 또는 살충제가 수용되며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개폐도어 사이에 상기 통로 상에 향을 내보내도록 배치된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도어는 자중에 의해 상기 통로를 닫고 공기흐름의 풍압에 의해 상기 송풍통로를 열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물질 또는 살충제는 액체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통로로 연통되는 부분에 액체불투과성이고 기체투과성인 멤브레인이 구비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통로로 연통되는 부분에 심지가 구비되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교체가 용이한 카트리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적외선 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광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에 장착되는 장치.
KR10-2002-0065289A 2002-10-24 2002-10-24 발향장치 KR100515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289A KR100515569B1 (ko) 2002-10-24 2002-10-24 발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289A KR100515569B1 (ko) 2002-10-24 2002-10-24 발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319A KR20040036319A (ko) 2004-04-30
KR100515569B1 true KR100515569B1 (ko) 2005-09-20

Family

ID=3733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289A KR100515569B1 (ko) 2002-10-24 2002-10-24 발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772A (ko) 2019-08-05 2021-02-17 이스타 주식회사 다공질 세라믹을 이용한 유체 발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202B1 (ko) 2014-10-13 2016-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방향장치
KR102078036B1 (ko) * 2018-01-25 2020-02-17 주식회사 어뎁션 향기 발산장치 및 가열식 발향 캡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9189A (ja) * 1992-03-27 1993-10-19 Takasago Thermal Eng Co Ltd 香り発生装置
KR20010025310A (ko) * 2000-12-11 2001-04-06 최중호 발향장치
KR200227389Y1 (ko) * 2000-11-10 2001-06-15 전장렬 향기 발생장치
KR200275989Y1 (ko) * 2002-02-08 2002-05-18 주식회사 기가씨앤이 자연형 향기 발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9189A (ja) * 1992-03-27 1993-10-19 Takasago Thermal Eng Co Ltd 香り発生装置
KR200227389Y1 (ko) * 2000-11-10 2001-06-15 전장렬 향기 발생장치
KR20010025310A (ko) * 2000-12-11 2001-04-06 최중호 발향장치
KR200275989Y1 (ko) * 2002-02-08 2002-05-18 주식회사 기가씨앤이 자연형 향기 발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772A (ko) 2019-08-05 2021-02-17 이스타 주식회사 다공질 세라믹을 이용한 유체 발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319A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14820A (en) Air perfuming device
US20080223953A1 (en) Mist Generator and Mist Emission Rendering Apparatus
KR101691786B1 (ko) 방향제 분산 장치
JP7328708B2 (ja) 加湿器
JPH1133097A (ja) 蒸散器
KR100515569B1 (ko) 발향장치
JP2019130030A (ja) アロマディフューザ
JP3067089B2 (ja) 消臭方法及び消臭装置
EP1066063B1 (en) Dispensing means
KR100648298B1 (ko) 은나노 분무 신발 소독장치
JP2018086230A (ja) 匂い噴出装置
KR101503156B1 (ko) 방향제 분사장치
KR200438092Y1 (ko) 소규모 공간용 피톤치드 휘산장치
KR100812356B1 (ko) 방향제 휘산장치
CN103520751B (zh) 口腔义齿、印模、石膏模型的消毒装置及消毒方法
JP2936645B2 (ja) 空気清浄器
WO2018070456A1 (ja) 匂い噴出装置
JPH0530762Y2 (ko)
JPH09276480A (ja) 遊戯装置用芳香発生装置
KR200275989Y1 (ko) 자연형 향기 발산장치
KR100515570B1 (ko) 발향장치 및 향을 발산하는 방법
JPH0947499A (ja) 芳香消臭器及びこれを用いた芳香消臭方法
CN214276023U (zh) 负离子加湿器
JP4402187B2 (ja) 芳香器
CN217435473U (zh) 空气消毒蒸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