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036B1 - 향기 발산장치 및 가열식 발향 캡슐 - Google Patents

향기 발산장치 및 가열식 발향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036B1
KR102078036B1 KR1020180009189A KR20180009189A KR102078036B1 KR 102078036 B1 KR102078036 B1 KR 102078036B1 KR 1020180009189 A KR1020180009189 A KR 1020180009189A KR 20180009189 A KR20180009189 A KR 20180009189A KR 102078036 B1 KR102078036 B1 KR 102078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fragrance
seating groove
heat supply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473A (ko
Inventor
정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뎁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뎁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뎁션
Priority to KR1020180009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03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1Semi-permeable membr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기 발산장치 및 가열식 발향 캡슐에 관한 것으로, 향기 발산장치는 발향체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된 캡슐 고정부; 상기 캡슐 고정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안착홈에 열을 공급하는 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발향체가 결합될 경우, 상기 열 공급부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발향체의 표면에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상기 안착홈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발향체를 점화시키지 않아도 발향시킬 수 있는 기술과 발향체의 사용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향기 발산장치 및 가열식 발향 캡슐{DEVICE FOR DIFFUSION OF FRAGRANCE AND/OR ESSENTIAL OILS, CAPSULE FOR DIFFUS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향기 발산장치 및 가열식 발향 캡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파라핀이나 밀랍과 같이 일정한 온도에서 녹는 가연성 고체를 특정한 형태로 성형하고, 성형체의 중심에 심지를 삽입하여 제조되고 있다. 최근에는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하는 생활용품으로서, 양초와 향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된 향초가 소비자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향초 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0606호에는 향초 및 향초 제조방법에 대해 제시된 바 있다.
그런데, 기존의 향초 제품들은 원활한 발향(發香)을 위해 향초의 심지를 점화시켜야만 하므로 향초의 사용간 부주의로 인한 화재의 우려가 상시 존재하여 취급시 많은 주의를 요했다.
아울러, 성인에 비해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유아나 아동이 사용 중인 향초를 만지다가 심지에 붙어있는 불이나 고온의 촛농으로 인해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었으나, 이러한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은 미흡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향체를 점화시키지 않아도 발향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향체의 사용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향기 발산장치는 발향체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된 캡슐 고정부; 상기 캡슐 고정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안착홈에 열을 공급하는 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발향체가 결합될 경우, 상기 열 공급부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발향체의 표면에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상기 안착홈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향기 발산장치는 상기 캡슐 고정부의 상측에서 상기 캡슐 고정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며 상기 안착홈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열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개폐부가 상기 안착홈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안착홈에 열이 공급되도록 상기 열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가열식 발향 캡슐은 발향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부가 개구된 캡슐부; 및 상기 캡슐부의 상부를 덮는 캡슐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향체는 향료 성분이 함유된 양초용 왁스로 마련되고, 상기 캡슐 커버부에는 기체만 선별적으로 통과시키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발향체는 점화를 위한 심지가 구비된 향초이고, 상기 캡슐부에 열이 공급될 경우, 상기 향초의 표면에 신속하게 열이 전달되도록 상기 캡슐부의 재질은 알루미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열 공급부가 캡슐부 내부에 위치한 발향체를 가열하여 발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불을 사용하지 않아도 발향체의 발향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발향시 점화로 인한 화재 가능성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향초 제품에 비해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캡슐 커버부에는 기체만 선별적으로 통과시키는 필터가 구비됨에 따라, 가열된 고체 방향제로부터 발생하는 기체가 필터를 통과한 후에 외부로 확산되는 반면, 캡슐부 내에 녹아있는 액체는 필터 밖으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제품 안전성이 우수하다.
셋째, 본 발명은 개폐부가 캡슐 고정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안착홈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 캡슐부로 열이 공급되도록 제어부가 열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열 공급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거나,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열 공급부의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사용에 의해 향 성분이 모두 소진된 고체 발향체를 양초로 활용할 수 있다. 즉, 고체 발향체 내에 함유되어 있던 향료 성분이 모두 발향된 이후에는 캡슐 커버부를 캡슐부로부터 분리시키고, 심지에 불을 붙여 일반적인 양초로 재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캡슐부의 외관을 역사다리꼴로 성형함으로써, 프레스 가공시 지그로부터 캡슐부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우수하다.
여섯째, 캡슐부 별로 향료 성분이 상이한 고체 발향체를 내장할 수 있으므로 향이 다른 다양한 캡슐부가 제조될 수 있고, 향기 발산장치 내에 투입되는 캡슐부의 종류를 변경할 경우, 다양한 향기의 발향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실내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장치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도2의 단면도에서 개폐부가 안착홈의 상측에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부 및 캡슐 커버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일" 또는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언급들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에 대한 것은 아니며, 이들은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장치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도2의 단면도에서 개폐부가 안착홈의 상측에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부 및 캡슐 커버부(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장치(10)는 캡슐부(100), 캡슐 커버부(200), 캡슐 고정부(300), 하우징(400) 및 개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부(100)는 고체 형태의 방향제(芳香劑)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지며, 수용공간의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체 방향제(110)는 특정한 향기를 갖는 향료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발향체(發香體)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고체 방향제(110)는 향료 성분이 함유된 양초용 왁스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양초용 왁스는 양초 제조시 베이스가 되는 주성분으로서, 자연적인 재료인 천연 왁스 및 화학적으로 추출하거나 합성한 인공 왁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고체 방향제(110)는 파라핀(paraffin), 소이 왁스(soy wax), 크리스탈 팜왁스(crystal palm wax), 밀랍(bees wax) 등의 양초용 왁스가 액체 상태가 되도록 적정한 온도(일 예로, 양초용 왁스의 녹는점 범위인 45~80℃)로 녹인 후에 향료 성분을 첨가하고, 심지(111)를 삽입한 뒤 특정한 형상으로 굳혀서 성형한 향초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초용 왁스를 녹인 후에 향료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한 발향체(즉, 점화용 심지를 삽입하지 않고 제작된 발향체)가 고체 방향제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방향제(110)가 향초일 경우, 식물의 꽃이나 잎, 줄기 또는 뿌리에서 추출된 천연 오일(essential oils)이나 천연 향(natural fragrances)이 향료 성분으로 적용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된 인공 향료(synthetic fragrances)가 향료 성분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향료 성분은 특정한 재료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향을 발산할 수 있는 성분이라면 어떠한 종류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향초 제조시, 향료 성분은 양초용 왁스의 총중량의 1~10 중량%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향료 성분의 투입량은 전술한 범위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향초에서 발향이 지속될 수 있는 기간을 고려하여 향료 성분의 투입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체 방향제(110)는 상온에서도 자연적으로 발향이 이루어질 수 있고, 고체 방향제(110)가 가열될 경우에는 발향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캡슐 커버부(200)는 고체 방향제(110)가 내장된 캡슐부(100)의 상부를 덮은 상태로 캡슐부(100)와 결합되어 캡슐부(100)를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캡슐 커버부(200)의 일 지점에는 기체만 선별적으로 통과시키는 필터(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캡슐 커버부(200)의 중앙에 필터(210)가 위치함으로써, 캡슐 커버부(200)의 하단에 위치한 고체 방향제(110)로부터 발생한 기체가 필터(2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210)의 표면에는 액체나 고체는 필터(210)를 통과하지 못하고, 기체만 선별적으로 통과되도록 미세한 직경의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미세 구멍들(211, 212, 213)은 프레스나 레이저 장비를 이용한 타공 방식에 의해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필터(210)의 표면에는 직경이 약 0.1 내지 10㎛인 미세 구멍(211, 212, 213)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나, 미세 구멍의 직경은 전술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고 기체만 선별적으로 필터(210)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면 족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필터(210)에 형성된 미세 구멍(211, 212, 213)은 필터(210)의 상측 방향에서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향기 발산장치(10) 내에 구비된 필터(210)의 위치를 기준으로 볼 때, 필터(210)의 상측 방향은 개폐부(500)가 위치한 방향이고, 필터(210)의 하측 방향은 고체 방향제(110)가 위치한 방향을 의미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210)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미세 구멍(211, 212, 213)의 직경이 감소되기 때문에 캡슐부(100) 내에 존재하는 액체 입자는 미세 구멍(211, 212, 213)을 통과하지 못하나, 기체 입자만 선별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아울러, 필터(21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미세 구멍(211, 212, 213)의 직경이 점점 증가하기 때문에 기체의 유출량이 많아지며, 미세 구멍(211, 212, 213)을 통과한 기체가 공기 중에 확산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필터의 예로는, 듀폰사의 고어텍스(Goretex), 타이벡(Tyvek) 등의 방수투습성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210)는 방수투습성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캡슐 커버부(200)가 캡슐부(10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캡슐부(100)를 뒤집어도 캡슐부(100) 내에 생성된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캡슐 커버부(200)와 캡슐부(100)는 탈착(脫着)식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캡슐 커버부(200)가 탈착식 구조로 형성될 경우에는 캡슐부(100)의 상측에 캡슐 커버부(200)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이 용이하므로 기사용된 캡슐 커버부(200)를 다른 캡슐부에 결합시켜 재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캡슐부(100)가 탈착식 구조를 가질 경우, 캡슐부(100) 내에 있던 고체 방향제(110)가 모두 소진되었을 때, 새로운 고체 방향제를 캡슐부(100) 내에 충전시켜 캡슐부(100)를 재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캡슐 고정부(300)는 일 영역에 캡슐부(1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안착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310)은 하우징(400)이 위치한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로 형성되며, 캡슐부(100)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이다.
안착홈(310) 내에 캡슐부(100)가 위치하여 안착홈(310)과 캡슐부(100)가 결합될 경우, 열 공급부(410)에 의한 캡슐부(100)의 가열시 고체 방향제(110)의 승온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향체인 고체 방향제(110)가 안착홈(310)에 결합될 경우, 열 공급부(410)에서 발생한 열이 고체 방향제(110)의 표면에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안착홈(310)의 재질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310)은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금속 재질 중 열전도율이 높은 종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홈(310)은 금속 재질이면서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캡슐부(100)의 하면과 모든 측면에 동시에 열을 공급할 수 있고, 캡슐부(100)의 내부로 신속하게 열이 전달되므로 고체 발향제(110)가 빠르게 액화되어 발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캡슐부(100)가 안착홈(310)에 결합될 경우, 안착홈(310)으로부터 캡슐부(100)로 열이 빠르게 전달되도록 캡슐부(100)의 외주면이 안착홈(310)의 내주면과 밀착될 수 있다. 즉, 캡슐부(100)의 직경과 형상은 캡슐부(100)의 외주면과 안착홈(310)의 내주면이 밀착되기 위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슐 고정부(300)의 일측에는 제1마그네틱 센서(320)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마그네틱 센서(320)는 제2마그네틱 센서(530)의 접근을 감지하며, 제2마그네틱 센서(530)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20)로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제1마그네틱 센서(320)는 제어부(420) 내에 포함될 수도 있으므로 제1마그네틱 센서(320)의 위치가 어느 특정한 위치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400)은 캡슐 고정부(300)의 하측에서 캡슐 고정부(300)와 결합되도록 캡슐 고정부(300)를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400)의 내부 공간에는 열 공급부(410), 제어부(420), 전원공급부(430)가 위치할 수 있고, 하우징(400)의 일면에는 충전용 단자(440)가 구비될 수 있다.
열 공급부(410)는 캡슐부(100)에 내장된 고체 방향제(11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캡슐부(10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열 공급부(410)는 캡슐부(100)에 열을 공급하여, 캡슐부(100) 내에 수용된 고체 방향제(110)의 발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캡슐부(100)에 열이 공급될 경우, 캡슐부(100) 내부에 존재하는 발향체(일 예로, 향초)의 표면에 신속하게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캡슐부(100)의 재질은 알루미늄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캡슐부(100)의 재질은 알루미늄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라면 공지된 다른 금속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열 공급부(410)는 캡슐부(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러나, 열 공급부(410)의 위치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캡슐부(100)에 내장된 고체 방향제(110)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거리 이내라면 캡슐부(100)의 하측 이외에도 캡슐부(100)의 측면 등 다양한 지점에 열 공급부(410)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열 공급부(410)는 열선이 결합된 인쇄회로기판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열 공급부(410)는 전술한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캡슐부(10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발열체라면 어떤 형태라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열 공급부(410)는 발광다이오드, 백열전구 또는 할로겐 등의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열 공급부(410)가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적용될 경우, 열 공급부(410)는 안착홈(31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홈(31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제어부(420)는 열 공급부(410)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 공급부(410)의 온도를 감지하고, 열 공급부(4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20)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어부(420)는 전원공급부(430), 열 공급부(410) 및 제1마그네틱 센서(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20)는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20)의 온도센서가 실시간으로 열 공급부(410)의 온도를 감지하고,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열 공급부(410)의 온도가 올라갈 경우에는 제어부(420)가 열 공급부(41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기설정된 온도 이하로 열 공급부(410)의 온도가 떨어질 경우에는 열 공급부(410)의 작동을 재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장치(10)는 전원공급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430)는 충전식 배터리로 적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430)는 하우징(400)의 일면에 구비된 충전용 단자(440)와 연결되므로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을 전원공급부(430) 내부에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430)는 제어부(420) 및 열 공급부(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열 공급부(410)의 온도 조절 방식은 열 공급부(410) 내에 별도의 열 공급부 전용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하고, 그에 의해 열 공급부(410)의 온도가 조절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원공급부(430)가 열 공급부(410)와 직접 연결되어 열 공급부(41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열 공급부(410)로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에 의해 열 공급부(410)의 승온이 시작되면 열 공급부 전용 온도센서가 열 공급부(410)의 온도를 감지하며,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할 경우에는 전원공급부(4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기설정된 온도 이하로 온도가 떨어진 경우에는 다시 전원공급부(4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열 공급부(410)의 작동을 회로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 열 공급부 전용 온도센서는 바이메탈 방식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온도 제어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개폐부(500)는 캡슐 고정부(3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캡슐 고정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며 안착홈(310)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500)가 안착홈(3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때는 안착홈(310)이 개방되며, 개폐부(500)가 안착홈(310)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안착홈(310)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에는 안착홈(310)이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캡슐 고정부(300)의 길이 방향은 캡슐 고정부(300)의 전체 면적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분할했을 때, 수평 및 수직 방향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방향을 의미하며, 캡슐 고정부(300)의 폭 방향은 캡슐 고정부(3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캡슐부(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폐부(500)의 일면에는 복수의 배기구(510, 520)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개폐부(500)의 일 지점에는 제2마그네틱 센서(530)가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개폐부(500)가 슬라이드되어 안착홈(310)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420)는 캡슐부(100)에 열이 공급되도록 열 공급부(4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개폐부(500)가 안착홈(310)을 개방할 경우에는 제1마그네틱 센서(320)와 제2마그네틱 센서(530) 간의 거리가 멀어지고, 개폐부(500)가 안착홈(310)을 폐쇄할 경우에는 제1마그네틱 센서(320)와 제2마그네틱 센서(530)가 매우 근접하게 되거나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2마그네틱 센서(530)가 제1마그네틱 센서(320)에 근접하는 경우, 제어부(420)가 전원공급부(4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제어부(420) 내의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안착홈(310)의 상측으로 개폐부(500)를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제어부(420)와 열 공급부(4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장치(10)는 향기 발산장치(10)의 전원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온오프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증진되고, 전원용 스위치를 하우징(400)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향기 발산장치(10)의 구성이 간소화되며, 외관이 심플하고 단정한 장점이 있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제1마그네틱 센서(320)가 제2마그네틱 센서(530)와 근접하거나 접촉시에는 제어부(4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제1마그네틱 센서(320)와 제2마그네틱 센서(530)가 서로 이격될 경우에 한해 제어부(420)가 전원공급부(4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제어부(420) 내의 회로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틱 센서에 의해 제어부(420)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어부(42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은 전술한 예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기존에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500)가 안착홈(310)의 상측에 위치할 때, 개폐부(500)가 전원버튼부(미도시)를 접촉하거나 가압하여 제어부(42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식 발향 캡슐은 고체 방향제(110)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부가 개구된 캡슐부(100) 및 캡슐부(100)의 상부를 덮는 캡슐 커버부(200)를 포함할 수 있고, 캡슐 커버부(200)에는 기체만 선별적으로 통과시키는 필터(21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체 방향제(110)에서 발향되는 특정한 향기는 캡슐 커버부(200)에 구비된 필터(210)를 통해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아울러, 실시하기에 따라, 캡슐부(100)와 고체 방향제(110)의 높이와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안착홈(310) 내에 위치한 고체 방향제(110)의 향 성분이 모두 발향될 때까지의 시간을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부(100)의 높이에 비해 캡슐부(100)의 직경을 크게 설정하여 캡슐부(100)를 제조한다면, 캡슐부(100)에 내장된 고체 방향제(110)가 열 공급부(410)에 의해 액화되는 속도가 빨라져 보다 신속하게 발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캡슐부(100)의 높이를 30mm, 직경은 40mm로 설정하고, 열 공급부(410)의 승온 온도를 45~85℃로 제어한다면 열 공급부(410)에 의해 고체 방향제(110)의 가열이 시작되는 시점으로부터 10분 이내에 고체 방향제(110)의 액화가 이루어져 발향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장치(10)는 열 공급부(410)가 캡슐부(100) 내부의 고체 방향제(110)를 가열하여 발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불을 사용하지 않아도 방향제의 발향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발향시 점화로 인한 화재 가능성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향초 제품에 비해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향시 불을 사용하지 않아도 전자적으로 발향체의 발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점화(ignition)나 소화(extinguish)시 향초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그을음,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물질이 발생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며, 불완전 연소로 인한 악취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슐 커버부(200)에는 기체만 선별적으로 통과시키는 필터(210)가 구비됨에 따라, 가열된 고체 방향제(110)로부터 발생하는 기체가 필터(210)를 통과한 후에 외부로 확산되며, 캡슐부(100) 내에 녹아있는 고온의 액체는 필터(210) 밖으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제품 안전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개폐부(500)가 캡슐 고정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안착홈(310)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 캡슐부(100)로 열이 공급되도록 제어부(420)가 열 공급부(4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열 공급부(4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거나,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열 공급부(410)의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식 발향 캡슐은 사용에 의해 향 성분이 모두 소진된 고체 발향체의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친환경적이며 경제성이 우수하다. 고체 발향체 내에 함유되어 있던 향료 성분이 모두 발향된 이후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커버부(200)를 캡슐부(100)로부터 분리시키고, 심지(111)에 불을 붙여 일반적인 양초로 재활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열식 발향 캡슐은 방향제로서의 기본적인 발향 효과뿐만 아니라, 양초로 재활용할 경우에는 탈취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식 발향 캡슐은 캡슐부(100)의 외관을 역사다리꼴로 제조함으로써, 프레스 가공시 지그로부터 캡슐부(10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캡슐부(100)의 제조시 작업성과 양산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캡슐부 별로 향료 성분이 상이한 고체 발향체를 내장할 수 있으므로 향이 다른 다양한 캡슐부가 제조될 수 있고, 향기 발산장치(10) 내에 투입되는 캡슐부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교체할 경우, 다양한 향기의 발향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실내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향기 발산장치
100 : 캡슐부
110 : 고체 방향제
111 : 심지
200 : 캡슐 커버부
210 : 필터
211, 212, 213 : 미세 구멍
300 : 캡슐 고정부
310 : 안착홈
320 : 제1마그네틱 센서
400 : 하우징
410 : 열 공급부
420 : 제어부
430 : 전원공급부
440 : 충전용 단자
500 : 개폐부
510, 520 : 배기구
530 : 제2마그네틱 센서

Claims (5)

  1. 발향체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된 캡슐 고정부;
    상기 캡슐 고정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안착홈에 열을 공급하는 열 공급부;
    상기 캡슐 고정부의 상측에서 상기 캡슐 고정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며 상기 안착홈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열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발향체가 결합될 경우, 상기 열 공급부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발향체의 하면과 측면에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상기 안착홈은 금속 재질이면서 상기 하우징이 위치한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열 공급부가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적용될 경우, 상기 열 공급부는 상기 안착홈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의 외주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부가 상기 안착홈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안착홈에 열이 공급되도록 상기 열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산장치.
  2. 삭제
  3. 삭제
  4. 발향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부가 개구된 캡슐부; 및
    상기 캡슐부의 상부를 덮는 캡슐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향체는 향료 성분이 함유된 양초용 왁스로 마련되고,
    상기 캡슐 커버부에는 기체만 선별적으로 통과시키는 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발향체는 점화를 위한 심지가 구비된 향초이고,
    상기 캡슐부에 열이 공급될 경우, 상기 향초의 표면에 신속하게 열이 전달되도록 상기 캡슐부의 재질은 알루미늄으로 마련되고,
    상기 필터에는 미세 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미세 구멍을 통과한 기체가 공기 중에 확산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미세 구멍의 직경은 상기 필터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기사용된 캡슐부와 캡슐 커버부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캡슐부와 캡슐 커버부는 탈착식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식 발향 캡슐.
  5. 삭제
KR1020180009189A 2018-01-25 2018-01-25 향기 발산장치 및 가열식 발향 캡슐 KR102078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189A KR102078036B1 (ko) 2018-01-25 2018-01-25 향기 발산장치 및 가열식 발향 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189A KR102078036B1 (ko) 2018-01-25 2018-01-25 향기 발산장치 및 가열식 발향 캡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473A KR20190090473A (ko) 2019-08-02
KR102078036B1 true KR102078036B1 (ko) 2020-02-17

Family

ID=6761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189A KR102078036B1 (ko) 2018-01-25 2018-01-25 향기 발산장치 및 가열식 발향 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197Y1 (ko) * 2021-03-08 2023-08-24 임맹환 차례상 또는 제사상 이미지가 인쇄된 물품 및 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350Y1 (ko) 2001-03-23 2001-10-10 류영호 향발산장치를 구비한 선풍기
KR200385204Y1 (ko) 2005-02-25 2005-05-25 장현영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1336B2 (en) * 2000-12-05 2010-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vices and systems for dispensing volatile materials
KR100515569B1 (ko) * 2002-10-24 2005-09-20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발향장치
KR20090000382U (ko) * 2007-07-10 2009-01-14 김부일 가열식 향 발생장치
JP5997888B2 (ja) * 2011-09-21 2016-09-28 株式会社ミクニ 携帯用拡散器
MY180667A (en) * 2012-08-08 2020-12-04 Ming Jen Hsiao Aroma-diffusing heating device using a replaceable aroma capsule and the aroma caps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350Y1 (ko) 2001-03-23 2001-10-10 류영호 향발산장치를 구비한 선풍기
KR200385204Y1 (ko) 2005-02-25 2005-05-25 장현영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473A (ko)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9839B2 (en) Cover for a candle warmer
US20030007887A1 (en) Aromatic substance heating device
US7247017B2 (en) Melting plate candles
US7524187B2 (en) Wick holder locking mechanism
US7229280B2 (en) Wick holder magnetic retention means
US20140044425A1 (en) Dual mode fragrance-emitt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ed safety during use
CA2578860C (en) Improved heat exchange for melting plate candle
US7591646B2 (en) Heat exchange method for melting plate candle
US7922482B2 (en) Candle and wick holder therefor
CA2579098C (en) Candle assembly
US20100062382A1 (en) Flame light system and device
KR200480258Y1 (ko)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
US6733548B2 (en) Shimmering candle cream
WO2018152058A1 (en) Wickless fragrance delivery methods and systems
KR102212706B1 (ko) 다기능 향초 워머
KR102078036B1 (ko) 향기 발산장치 및 가열식 발향 캡슐
US200402467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ameless burning of candles
AU2005285102B2 (en) Improved fuel delivery method for melting plate candle
CA2615499C (en) Multi-piece candle fuel element
CA2585223A1 (en) Improved container candle
CA2615502C (en) Multi-piece candle fuel element
KR20180089112A (ko) 방향 및 조명기능을 갖는 다용도 실내용 장신구
JP6522028B2 (ja) 薫香方法、薫香炉及び電子チャコール
KR200251814Y1 (ko) 양초
WO2003089018A1 (en) Aromatic substance he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