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204Y1 -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204Y1
KR200385204Y1 KR20-2005-0005133U KR20050005133U KR200385204Y1 KR 200385204 Y1 KR200385204 Y1 KR 200385204Y1 KR 20050005133 U KR20050005133 U KR 20050005133U KR 200385204 Y1 KR200385204 Y1 KR 200385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grance
door
steriliz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영
서동일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장현영
이경희
서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영, 이경희, 서동일 filed Critical 장현영
Priority to KR20-2005-0005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05Chemical aspects
    • A01N1/021Preservation or perfusion media, liquids, solids or gases used in the preservation of cells, tissue, organs or bodily fluids
    • A01N1/0215Disinfecting agents, e.g. antimicrobials for preserving li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출입문에서 문을 열면 감지센서가 이를 향발산장치에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각종 향을 발생케 함으로써, 건강에도 유익하며 살균 효과를 통하여 위생효과도 아울러 거둘수 있는 방안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는 "출입문개폐 감지 및 신호송신장치부"와 "신호수신 및 향발산장치부"로 크게 구성되어 진다.
출입문에서 향기를 통하여 건강에도 유익하며, 무엇보다도 살균물질을 포함한 향기를 통하여 인체의 유해한 세균을 살균하고 실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건강에 도움이 되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저렴한 가격에 제작이 가능한 장점을 아울러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The entrance fragrance spray by wireless system}
본 고안은 출입문에서 실내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향발산장치를 통하여 살균 및 건강에 도움이 되는 각종 아로마 향을 분사하여 향기샤워를 함으로써, 각종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위생문제가 급부상을 하고 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로 인한 각종 질병이 사회적 이슈로 자리잡으면서, 이에 대한 관심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세균이란 원핵세포를 갖는 단세포의 미생물군으로서, 박테리아라고도 한다. 넓은 뜻으로는 원핵균류를 가리키나, 좁은 뜻으로는 원핵균류 중 미코플라스마류·점액세균류·스피로헤타류·방선균류는 제외된다. 보통 세균이라고 할 때는 좁은 뜻의 세균류에 포함되는 것을 가리킬 경우가 많다. 세균류는 세포벽이 있는 미소한 단세포체이며, 운동을 하지 않는 것도 있고 편모로 운동하는 것도 있다.
바이러스란 세포성생물과는 분명하게 다른 분자적 구성과, 독특한 증식상(增殖相)을 가진 비세포성 구조체의 일군(一群)이다. 이 말은 라틴어로 〈독(毒)〉을 의미하는 말로서, 비루스 또는 여과성병원체라고도 한다. 바이러스는 그 자체를 증식시킬 수 있는 세포 내에 들어가 숙주(宿主 ; 바이러스의 기생대상이 되는 생물)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가 담뱃잎에 모자이크 증상을 일으키며, 구제역(口蹄疫)바이러스가 소 입의 점막 등에 수포(水疱)를 만든다. 이러한 여러 증상을 초래하는 것은 세균보다 작아서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없으며, 세균여과기를 물과 함께 통과해버리는 여과성 입자인데, 이 입자가 병원성이라는 것을 19세기 말에 발견했다. 그 후 여러 가지바이러스가 알려지고, 전자현미경에 의해 형태나 성상(性狀)에 대한 연구가 비약적으로 진행되었다.
살균이란 병원체를 신체외부에서 물리적 또는 화학적 수단으로 직접 죽이는 것을 의미한다. 감염원 및 감염경로 대책의 하나로서 중요하다. 〈멸균〉이란 병원체·비병원체를 가리지 않고 모든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살균〉도 거의 멸균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그러나 멸균이 물품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살균은 미생물 자체를 직접 대상으로 하여 쓰이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면, 거즈의 멸균, 결핵균의 살균이라고 하는 것처럼 구별한다. 또 〈방부〉는 미생물을 사멸시키거나 그 발육을 저지하여 음식물의 분해·부패를 막는 것을 말하고, 〈청정(클리닝)〉은 병원체 또는 병원체가 생존하거나 독력(毒力)을 유지하기에 유리한 유기물을 열탕하거나 비누·세제로 씻거나 문지르고 진공청소기로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말하는데, 어느 경우든 감염균량을 감소시키거나 그것을 발병량 이하로 억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살균에는 크게 물리적 살균법과 화학적 살균법이 있다.
1.물리적 살균법
열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자외선·방사선(γ 선)도 응용된다. 여과법은 미생물제거에 효과가 있어 깨끗한 물과 공기의 공급에 이용된다.
(1). 열 ① 소각처리:사람 및 동물의 사체 외에 종이·의복·천 등에 이용된다. ② 건열멸균법:보통 실험기구·의료기구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150∼180℃에서 30분간이면 멸균된다. ③ 자비(煮沸)처리:식기·의복·천 등의 소독에 가장 많이 이용되며, 65℃에서는 10분간, 80℃에서는 5분 이내, 100℃에서는 아포(芽胞 ; 포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미생물이 곧바로 살균된다. ④ 고압증기멸균법:2기압·고온(132℃)에서 증기소독을 하는 것으로 아포도 사멸된다. 가장 확실하고 안전한 멸균법으로 병원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고온에서 변질되는 것이나 분말·기름 등의 멸균에는 부적합하다.
(2). 자외선:침구·서적 등의 일광소독의 살균효과는 자외선에 의한 것이다. 인공자외선인 살균등(殺菌燈)의 경우는 주로 2.537Å의 파장을 조사한다(1Å은 ). 자외선살균은 공중이나 물건표면에 있는 거의 모든 미생물에 효과가 있지만, 자외선량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약해지고 그림자 부분에서는 효과가 없다.
(3). 여과법:여과효율이 높은 섬유필터를 이용한다. 제품의 발달로 모든 부유미생물이 여과되므로 병실·수술실의 배기와 각종 멸균실에 이용되고 있다.
2.화학적 살균법
소독제를 사용하여 살균하는 것으로, 계면활성제·할로겐 및 그 화합물·알코올류·가스 상태로 작용하는 약품 등이 있다. ① 크레졸비누액:보통의 세균과 결핵균에 효과가 있으나, 아포나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다. ② 계면활성제:역성비누와 양성계면활성제가 있으나 양자 모두 아포에는 효과가 없다. 또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종류에 따라 효과가 일정하지 않다. 역성비누는 결핵균에 효과가 있으나 양성계면활성제는 효과가 없다. ③ 할로겐계 소독제:표백분·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의 염소계와, 요오드와 계면활성제 등의 혼합물이 있다. 유리염소로 살균하는 염소계는 세균·아포·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있으나, 결핵균에는 효과가 없다. 요오드계는 거의 모든 미생물에 효과가 있다. ④ 알코올류:에탄올(에틸알코올)과 이소프로판올(이소프로필알코올)이 있으며, 에탄올은 70%용액이 사용된다. 결핵균을 비롯하여 거의 모든 세균·바이러스·리케차에 효과가 있으나, 아포에는 효과가 없다. ⑤ 가스상태로 작용하는 것:포름알데히드 및 에틸렌옥시드가 사용된다. 포름알데히드가스는 포르말린액을 가열하거나 포르말린액에 과망간산칼륨을 투입하여 얻는 것으로, 병실의 훈증 등에 이용된다. 에틸렌옥시드가스는 에틸렌옥시드의 끓는점이 낮기 때문에 비교적 저온에서 작용시킬 수 있고, 가스의 발산도 빠르다. 살균 효과가 포름알데히드가스보다 강하기 때문에 열과 습기 등에 약한 물건의 소독에 적당하다. 양자 모두 아포·바이러스·결핵균을 포함한 모든 미생물에 효과가 있으며, 요즘에는 특히 많이 이용되고 있다. ⑥ 기타:생석회(석회유 등)는 값이 매우 싸고 입수하기가 쉽기 때문에 수로(水路)·하수구·건물 등의 옥외소독에 사용된다.
기존의 방향제나 향발산제 들은 주로 향기를 통하여 사람의 기분을 좋게하는 성격의 제품들로 살균기능을 부가하여 위생적인 관념까지 겸비한 제품들은 드물며, 이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출입문에서 자동살균하는 정비는 전무(全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들을 극복하여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경제성을 지니며, 높은 살균효율과 위생처리가 가능한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또한 각종 건강에 도움이 되는 아로마 향등을 첨가하여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는 "출입문개폐 감지 및 신호송신장치부"와 "신호수신 및 향발산장치부"로 크게 구성되어 진다.
"출입문개폐감지 및 신호송신부(S21)"에는 출입문개폐를 감지하고 이를 무선으로 "신호수신 및 향발산장치부(S22)"로 송신하는 [리모콘무선통신부]와 출입문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락시스템에서 출입문이 개폐되면 유선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유선통신부]로 크게 대별된다.
"신호수신 및 향발산장치부(S22)"는 6개의 입력부와 중앙처리장치제어부와 향발산장치구동부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출입문개폐감지 및 신호송신부(S21)"와 "신호수신 및 향발산장치부(S22)"에는 각각 전원부가 내장되어 진다.
이에 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출입문에 사람이 열쇠(시건장치)를 작동시켜 문을 열면, 도어락시스템에서 이를 감지하여 출입문개폐신호를 유선(유선통신부)을 통하여 "신호수신 및 향발산장치부"의 [입력부6]으로 유선을 통하여 전달한다.
리모콘무선통신부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무선신호를 "신호수신 및 향발산장치부(S22)"을 향하여 송신한다.
이때 리모콘무선통신부는 알에프(RF)모듈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적외선 통신장치를 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리모콘무선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신호수신 및 향발산장치부(S22)"의 [입력부1]에서 수신받는다. 이때 리모콘무선통신부가 알에프(RF)모듈을 사용할 경우 [입력부1]도 알에프(RF)모듈로 구성하며, 리모콘무선통신부를 적외선통신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입력부1]도 적외선통신장치로 구성되어 진다.
[입력부2]에서 인체감지센서를 통하여 사람의 유무를 감지한다.
[입력부3]에서는 리드스위치를 활용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한다.
[입력부4]에서는 타이머로서 이를 조절하여 일정시간마다 중앙처리장치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5]에서는 푸쉬스위치,슬라이드 스위치, 키패드를 이용하여 기능선택을 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전달한다.
[입력부6]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락시스템에서 출입시 개폐시 전달한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앙처리장치 제어부는 전체시스템을 제어하며, 입력부1,2,3,4,5,6에서 전달된 신호를 통하여 [향발산장치구동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향발산장치구동부]는 중앙처리장치제어부에서 신호를 받으면 향기나 살균물질을 분사한다.
향발산장치구동부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동력부와 스프링을 매개로 지지몸체에 탄성동작하도록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될 경우 스프링의 왕복운동으로 펌핑캡을 가압하여 향이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부와 향액체를 담은 카트리지로 구성된다.
출입문에 사람이 들어서게 되면 상술한 무선원리에 의하여 향발산장치부에서 이를 감지하고 향을 분사하게 된다. 향은 스프링의 왕복운동을 통하여 펌핑캡을 가압하여, 기화분사되도록 하며, 향은 카트리지 방식으로 사용후 재충진이 얼마든지 가능한 재활용구조로 구성되어진다.
향카트리지에는 아로마향, 각종 천연살균제 등등 다양한 용액을 담아 사용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교환이 가능하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한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는 저렴하면서도 높은 효율을 발휘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건강에도 도움이 되며,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출입문에서 원천 제거하여 위생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데도 도움이 되는 방안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의 구동과정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의 사용일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의 시스템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21: 출입문 개폐 감지 및 신호송신 장치부
S22: 신호수신 및 향발산 장치부

Claims (1)

  1. 유선통신부, 리모콘무선통신부, 무선수신부, 인체감지센서부, 출입문개폐감지부, 타이머, 기능선택부, 도어락시스템 출입문개폐신호부, 중앙처리장치 제어부, 향발산장치 구동부, 전원장치로 구성되어진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
KR20-2005-0005133U 2005-02-25 2005-02-25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 KR200385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133U KR200385204Y1 (ko) 2005-02-25 2005-02-25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133U KR200385204Y1 (ko) 2005-02-25 2005-02-25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204Y1 true KR200385204Y1 (ko) 2005-05-25

Family

ID=4368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133U KR200385204Y1 (ko) 2005-02-25 2005-02-25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2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473A (ko) * 2018-01-25 2019-08-02 주식회사 어뎁션 향기 발산장치 및 가열식 발향 캡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473A (ko) * 2018-01-25 2019-08-02 주식회사 어뎁션 향기 발산장치 및 가열식 발향 캡슐
KR102078036B1 (ko) 2018-01-25 2020-02-17 주식회사 어뎁션 향기 발산장치 및 가열식 발향 캡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arti et al. Recent advances in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technology: A review
AU2011200390B2 (en) Oxidative reductive potential water solution, processes for producing sam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A2553943C (en) Oxidative reductive potential water solution, processes for producing sam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Horton et al. Spectrum of virucidal activity from ultraviolet to infrared radiation
Roy et al. Role of disinfection and hand hygiene: a COVID-19 perspective
WO2017064923A1 (ja) 感染症防御システムおよび抗菌剤
Epelle et al. Application of ultraviolet-c radiation and gaseous ozone for microbial inactivation on different materials
US202303725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v-c mask sanitization
CN110477792A (zh) 一种可用于呼吸面罩清洁消毒的不含酒精的湿巾及其制备方法
KR200385204Y1 (ko) 무선 전자식 출입문용 향발산장치
de Andrade et al. Use of chlorine solutions as disinfectant agents in health units to contain the spread of COVID-19
CN213910114U (zh) 一种鞋底消毒的装置
CN211068220U (zh) 一种应急消毒处置巾及应急消毒处置包
KR200404610Y1 (ko) 광촉매식 진드기 살균 장치
CN201921147U (zh) 一种用于家庭的杀菌装置
CN101428880B (zh) 一种使用酸性氧化电位水进行消毒的装置及方法
CN211132315U (zh) 一种非酒精雾化消毒系统
Nagaraj et al.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Using Self Sterlizing Door Handle for Covid
KR102235110B1 (ko) 실내 공간에서 살균/소독을 실시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수 공급 장치
CN217408149U (zh) 一种采用二氧化氯气体实施消毒的衣柜
Chen et al. Perspectives on air disinfection methods in the workplace of blood transfusion services
Wang et al. Antiviral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in Humans and Animals: Surface and Space Disinfection Strategies
BOONCHAN EFFICACY OF HYDROXYL RADICAL AEROSOLIZATION FOR INDUSTRIAL SURFACE SANITATION AND HIGH-RISK AREA FUMIGATION
CN111388711A (zh) 一种消毒杀菌杀病毒装置
STARETU et al. New method of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objects infected with COVID 19 and prototype t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