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258Y1 -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 - Google Patents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258Y1
KR200480258Y1 KR2020150006795U KR20150006795U KR200480258Y1 KR 200480258 Y1 KR200480258 Y1 KR 200480258Y1 KR 2020150006795 U KR2020150006795 U KR 2020150006795U KR 20150006795 U KR20150006795 U KR 20150006795U KR 200480258 Y1 KR200480258 Y1 KR 200480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led module
candle
generated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무
Priority to KR2020150006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27/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combinations of electric and non-electric light sources; Replacing or exchanging electric light sources with non-electric light sources or vice versa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K9/3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H05B37/0218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F21Y21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가 개시된다. 본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는, 캔들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외부에 형성된 자기장의 영향으로 상기 내부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빛을 생성하는 LED 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캔들이 증발연소 되지 않고 용융되거나 승화되며, LED에서 빛을 생성하여 캔들이 증발연소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리고 캔들이 증발연소 되지 않게 되어 캔들이 증발연소 됨에 따라 발생 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LED를 통해 캔들이 증발연소 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함에 따라 캔들이 증발연소 되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줄여 사용자의 두통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Candle and LED module having Candle holder}
본 고안은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캔들에 열이 가해져 용융되거나 승화되고, LED 모듈 내부에 구비된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빛이 생성되어 캔들이 증발연소 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 캔들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파라핀 등으로 적당한 온도에서 녹는 가연성 고체를 원통형 등으로 성형하고 중심에 무명 등의 심지를 삽입한 등화용 연료에 해당한다.
이러한 양초는 심지에 불을 붙이면 양초가 녹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를 따라 올라가 심지의 끝 부근에서 기화함과 아울러 연소되어 탄소를 유리하여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산업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종류의 조명과 전등기구가 출시됨에 따라 양초는 조명 본래의 기능으로서는 침체의 국면을 맞고 있으나, 최근에는 각종 연회장이나 이벤트성 행사장에서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이는 양초 조명 자체가 제공하는 독특한 분위기와, 파라핀이 녹으면서 배출하는 특이한 향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양초는 심지에 불을 붙여 사용하게 되므로, 용융된 파라핀이 흘러내려 주변을 오염시키고, 용융된 파라핀을 어린이나 노약자가 만질 경우 화상의 위험성이 있어 화재의 위험이 상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35651호(2011.12.19 공개)에는 양초의 심지에 불을 붙이게 되면 파라핀이 녹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의 끝 부분에서 기화하고 심지가 연소되면서 불빛이 발하는 경우에 이를 양초 하부에 구비한 발광수단이 구비된 작동제어장치부에 의해 다양한 색상의 광원이 양초 몸체를 통해 둘레방향으로 발광되도록 하여서 된 LED를 이용한 양초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광 섬유로 구비된 양초 심지가 연소되어 불빛을 발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양초 심지가 연소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두통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의 코일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면, LED 모듈 내부에 구비된 코일로 전류가 자기유도되어 열이 발생되고, 발생된 열을 기반으로 캔들이 용융되거나 승화되며, 자기유도되는 전류를 기반으로 LED 모듈에서 빛을 생성하여 캔들이 증발연소 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 캔들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는, 캔들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외부에 형성된 자기장의 영향으로 상기 내부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빛을 생성하는 LED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LED 모듈은,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빛을 생성하도록,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LED; 및 상기 LED에서 생성된 빛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모듈은,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LED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캔들은, 상기 코일과 자기유도되는 외부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용융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녹아 흐르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바디부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절곡된 형태로 내부공간에 별도로 마련된 케이스;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코일과 자기유도되는 외부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상기 캔들이 승화되도록, 상기 캔들의 하측에 판 형태로 구비되되,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캔들에 승화열을 전달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캔들은, 기 플레이트에 전달된 열을 기반으로 승화되는 정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 얇은 칩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승화열을 기반으로 용융되지 않고 승화될 수 있다.
또한, LED 모듈은,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로킹되도록, 너비면적의 중심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1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LED 모듈이 바닥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로킹되도록, 상기 제1 체결공과 대응되게 상기 바디부 바닥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제2 체결공; 및 상기 LED 모듈이 로킹되면,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측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상기 LED 모듈을 수용하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 모듈은,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로킹되도록, 너비면적의 중심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1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LED 모듈이 바닥면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LED 모듈의 둘레와 대칭되는 바닥면의 너비면적에 인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LED 모듈의 끼움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상기 공간의 중심에 상기 제1 체결공에 끼워지는 돌출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캔들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 내부의 바닥면에 마련되되, 내부에 제1 코일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빛을 생성하는 LED 모듈을 포함하는 캔들 홀더; 및 상기 캔들 홀더의 하측면에 마련되되, 내부에 제2 코일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제2 코일에서 열이 발생되어 상기 캔들 홀더에 수용되는 상기 캔들이 열에 의해 용융되도록 하는 발열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캔들 홀더는, 상기 제1 코일과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제2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2 코일을 따라 자속이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자속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되며, 형성된 자기장의 영향으로 상기 제1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LED 모듈이 빛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LED 모듈 내부에 너비면적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발열기의 상측의 표면에 너비면적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캔들 홀더는, 상기 제1 코일과 제2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상기 캔들이 승화되도록, 상기 캔들의 하측에 판 형태로 구비되되,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캔들에 승화열을 전달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캔들은,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승화되는 정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 얇은 칩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승화열을 기반으로 용융되지 않고 승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캔들이 증발연소 되지 않고 용융되거나 승화되며, LED에서 빛을 생성하여 캔들이 증발연소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리고 캔들이 증발연소 되지 않게 되어 캔들이 증발연소 됨에 따라 발생 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LED를 통해 캔들이 증발연소 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함에 따라 캔들이 증발연소 되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줄여 사용자의 두통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들 홀더와 발열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들 홀더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이 구비된 LED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이 구비된 발열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들 홀더에 LED 모듈이 로킹되는 것을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과 플레이트를 도시한 캔들 홀더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 홀더에 LED 모듈이 로킹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들 홀더와 발열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들 홀더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는 외부의 코일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면, LED 모듈 내부에 구비된 코일로 전류가 자기유도되어 열이 발생되고, 발생된 열을 기반으로 캔들이 용융되거나 승화되며, 자기유도되는 전류를 기반으로 LED 모듈에서 빛을 생성하여 캔들이 증발연소 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는, 캔들이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용융되거나 승화되며, 외부로부터 자기유도되는 전류를 기반으로 LED에서 빛을 생성하여 캔들이 증발연소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캔들 홀더(100), 발열기(200)를 포함한다.
캔들 홀더(100)는 캔들(10)이 발열기(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용융되거나 승화되며, 발열기(200)로부터 자기유도되는 전류를 기반으로 빛을 생성하도록, 바디부(110), LED 모듈(120)을 포함한다.
바디부(110)는 내부공간에 캔들(10)이 수용되도록 하되, 캔들(10)이 발열기(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용융되어 내부공간에 녹아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캔들(10)이 발열기(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승화되도록 하기 위해, 절곡된 형태로 캔들(10)이 수용되는 케이스(130)가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된다.
LED 모듈(120)은 바디부(110)의 바닥면에 끼움 결합되며, 발열기(200)로부터 자기유도되는 전류를 기반으로 빛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 제1 체결공(121), LED(122), 제어부(123)를 포함한다.
제1 체결공(121)은 바디부(110)의 바닥면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너비면적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LED 모듈(120)이 바디부(110)의 바닥면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바디부(110)의 바닥면에 인입공간이 형성되어 LED 모듈(120)이 끼움 결합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바디부(110)의 바닥면이 LED 모듈(120)의 둘레와 대응되는 만큼 홈이 파여져 인입공간이 형성되면, LED 모듈(120)이 인입공간으로 인입되어 LED 모듈(120)의 둘레가 끼움 결합되어 바디부(110)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LED 모듈(120)이 바디부(110)의 인입공간에 끼워지는 끼움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하기 위해, 인입공간 중심에 구비되어 제1 체결공(121)에 끼워지는 미도시된 돌출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LED 모듈(120)이 바디부(110)에 형성된 인입공간에 단순히 끼움 결합되는 것보다 미도시된 돌출부재에 끼워짐으로써, 바디부(110)로부터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LED 모듈(120)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LED 모듈(120)은 바디부(110)에 미도시된 돌출부재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바디부(110)의 하측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덮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LED(122)는 발열기(200)로부터 자기유도 된 전류를 기반으로 빛을 생성하기 위해, 바디부(110)를 향하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다.
제어부(123)는 LED(122)에서 생성된 빛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해, 바디부(110)를 향하는 일측에 구비되며, LED(122)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LED(122)는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주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되, 빛을 생성하는 동안 제어부(123)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빛의 색상이 출력 중에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3)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LED(122)를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빛이 생성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더불어, 전술한 캔들 홀더에 구비된 LED 모듈(120)은 제1 체결공(121), LED(122), 제어부(123) 이외에 센서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4)는 발열기(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LED(122)가 동작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LED(122)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하기 위해, 바디부(110)를 향하는 일측에 구비되며, 제어부(123)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LED(122)에서 발생되는 빛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센서부(124)는 제어부(123)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LED(122)의 밝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LED(122)에서 생성되는 빛의 색상 또한 변경시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케이스(130)는 캔들(10)이 발열기(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용융되거나 승화되어 바디부(110)의 내부공간에 녹아 흐르거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측이 개방된 절곡된 형태로 캔들(10)을 수용한다.
예를 들면, 케이스(130)는 캔들(10)이 발열기(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용융되게 형성되면, 캔들(10)이 열의 영향으로 점차 용융됨으로써, 케이스(130)의 내부공간에 용융된 캔들(10)이 수용되어 바디부(110)의 내부공간에 녹아 흘러 넘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30)는 캔들(10)이 발열기(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승화되게 형성되면, 발열기(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영향으로 점차 승화되는 캔들(10)이 절곡된 형태의 케이스(130)를 통해 바디부(1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도록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30)는 캔들(10)이 발열기(200)의 영향으로 가열되어 용융되거나 승화된 캔들(10)을 사용자가 바디부(110)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 화상을 당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130)를 바디부(110)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케이스(130)의 수직으로 절곡된 일부분을 파지함에 따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캔들(10)은 발열기(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용융되거나 승화되면서, 캔들(10)의 상태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종래의 캔들(10)과 동일하게 캔들의 향이 확산 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캔들은 점화에너지를 공급받아 가열하면 점차 융해되고, 계속적인 가열로 기화되면서 증기가 되어 공기와 혼합하여 증발연소가 발생 되었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캔들(10)은 발열기(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용융되거나 승화됨으로써, 종래의 캔들이 증발연소의 영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이 구비된 LED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이 구비된 발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들 홀더(100)는 발열기(200)의 상측에 배치되고, 발열기(200)로부터 자기유도되는 전류를 공급받기 위해, 제1 코일(125), 제1 코일 양 끝 단자(126)를 포함한다.
그리고, 발열기(200)는 캔들 홀더(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캔들 홀더(100)으로 전류가 자기유도되도록 하기 위해, 제2 코일(210), 제2 코일 단자(220), 케이블 선(2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캔들 홀더(100)에 구비된 LED 모듈(120)로 발열기(200)를 통해 전류가 자기유도되는 방식은 제2 코일(21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제2 코일(210)을 따라 자속이 발생되어 자기장이 형성되며, 형성된 자기장의 영향으로 제1 코일(125)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 방식을 말한다.
제1 코일(125)은 제2 코일(210)을 기반으로 자기유도되는 전류를 기반으로 LED 모듈(120)의 LED(122)가 빛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 LED 모듈(120)의 내부에 너비면적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1 코일(125)의 일단과 타단의 제1 코일 양 끝 단자(126)가 별도의 스위칭 소자와 연결되어 제어부(123)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코일(125)은 하나의 코일이 감겨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2 코일(210)로부터 자기유도되는 전류를 기반으로 자속의 균일도가 증가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코일(125)을 내부 혹은 외부에서 또 다른 도선으로 감은 미도시된 별도의 코일이 더 구비되며, 제1 코일(125)과 별도의 코일은 충전 방식이 서로 다른 것이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코일(125)과 별도의 코일이 세트라고 가정한다면, 상기 코일 세트가 반드시 하나만 구비될 필요 없이 복수의 코일 세트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세트, 제2 세트 혹은 제3 세트 그리고 제n 번째 세트가 LED 모듈(120)에 나선형으로 구비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코일 세트가 LED 모듈(120)의 내부에 중첩되거나 중첩되지않고 별도로 배치될 수 있으나, 자속의 균일도가 증가되도록 하기 위해, 코일 길이만큼 겹치거나 코일 길이를 제외한 만큼 중첩되게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거리에 코일의 수가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만약, 중첩되지 않을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형태로 감겨진 코일을 LED 모듈(120)의 너비면적에 전체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코일의 충전방식을 다양하게 하여 자속의 균일도를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LED 모듈(120)에 구비되는 제1 코일(125)이 제2 코일(210)로부터 자기유도되는 전류를 기반으로 자속의 균일도가 증가되도록 하기 위해, 둘 이상의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 LED 모듈(120)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기판(120')이 너비면적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겹치게 구비되고, 기판(120')은 둘 이상의 복수로 구비됨에 따라, 너비면적에 제1 코일(125)과 동일한 형태로 감겨진 상태의 미도시된 별도의 코일이 둘 이상의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코일 양 끝 단자(126)는 제1 코일(125)이 발열기(200)의 제2 코일(210)로부터 자기유도되는 전류를 기반으로 LED(122)의 빛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코일 일단의 끝 단자(126a)와 제1 코일 타단의 끝 단자(126b)가 각각 별도의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어 제어부(123)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123)는 LED(122)의 빛을 생성시키도록 하기 위해, 제1 코일 양 끝 단자(126a,126b)를 기반으로 전달된 전류를 기반으로 제어신호를 LED(122)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LED 모듈(120)에 구비되는 제1 코일(125)이 하나로 구비되는 것보다 자속의 균일도가 증가되도록 하기 위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 LED 모듈(120)의 너비면적을 중심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각각의 코일에 구비되는 제1 코일 양 끝 단자(126)는 비아홀(Via-hole)로 대체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1 코일 중에 발열기(200)와 가장 가까운 코일부터 캔들(10)에 가장 가까운 코일까지 비아홀을 기반으로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LED 모듈(120)의 각각의 코일에 자기유도되는 전류를 제어부(123)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LED(122)에서 빛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코일(210)은 케이블 선(230)에 전력이 공급되면, 자기장을 형성하여 제1 코일(125)에 전류가 흐르도록, 발열기(200) 상측에 너비면적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2 코일(210)의 일단과 타단의 제2 코일 양 끝 단자(220)가 별도의 스위칭 소자와 연결되어 미도시된 제어부(MCU)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 코일(210)은 하나의 코일이 감겨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2 코일(210)이 하나로 구비되는 것보다 자속의 균일도가 증가되도록 하기 위해, 제2 코일(210)을 내부 혹은 외부에서 또 다른 코일로 감은 미도시된 별도의 코일이 더 구비되며, 제2 코일(210)과 별도의 코일은 충전 방식이 서로 다른 것이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코일(210)과 별도의 코일이 세트라고 가정한다면, 상기 코일 세트가 반드시 하나만 구비될 필요 없이 복수의 코일 세트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세트, 제2 세트 혹은 제3 세트 그리고 제n 번째 세트가 발열기(200)에 나선형으로 구비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코일 세트가 발열기(200)의 표면에 중첩되거나 중첩되지않고 별도로 배치될 수 있으나, 자속의 균일도가 증가되도록 하기 위해, 코일 길이만큼 겹치거나 코일 길이를 제외한 만큼 중첩되게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거리에 코일의 수가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만약, 중첩되지 않을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형태로 감겨진 코일을 발열기(200)의 너비면적에 전체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코일의 충전방식을 다양하게 하여 자속의 균일도를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발열기(200)의 표면의 너비면적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향해 제2 코일(210)이 복수로 겹치게 구비되어 자속의 균일도를 증가시켜 제1 코일(125)로 전류를 전달할 수도 있다.
제2 코일 양 끝 단자(220)는 제2 코일(210)이 케이블 선(230)에 공급되는 전력을 기반으로 자기장을 형성하여 제1 코일(125)로 전류를 전달하도록 하기 위해, 제2 코일 일단의 끝 단자(220a)와 제2 코일 타단의 끝 단자(220b)가 각각 별도의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어 미도시된 제어부(MCU)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발열기(200)의 표면의 너비면적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향해 제2 코일(210)이 복수로 겹치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2 코일 양 끝 단자(220)이 비아홀(Via-hole)로 대체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케이블 선(230)을 통해 발열기(200)에 전력이 공급되면, 복수의 제2 코일 중 발열기(200)의 하측에 가장 가까운 코일부터 발열기(200)의 상측에 가장 가까운 코일까지 비아홀을 기반으로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제1 코일(125)에 전류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들 홀더에 LED 모듈이 로킹되는 것을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들 홀더(100)는 LED 모듈(120)이 바디부(110)의 바닥면에 구비된 상태로 빛을 생성하도록, 체결부재(140), 덮개(15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140)는 LED 모듈(120)이 바디부(110)의 바닥면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LED 모듈(120)의 너비면적의 중심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1 체결공(121)과 제1 체결공(121)과 대응되며, 바디부(110)의 바닥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제2 체결공(112)을 통해 로킹된다.
따라서, 바디부(110)의 바닥면에 LED 모듈(120)이 로킹되어 고정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캔들 홀더(100)를 유동시키더라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덮개(150)는 바디부(110)의 바닥면에 LED 모듈(120)이 로킹됨에 따라, 바디부(110)보다 LED 모듈(120)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디부(110)의 하측과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더불어, 바디부(110)의 바닥면에 로킹된 LED 모듈(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해, 바디부(110)의 바닥면과 맞닿는 덮개(150)의 너비면에 LED 모듈(120)의 둘레만큼 인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LED 모듈(120)이 체결부재(140)를 통해 로킹됨과 동시에 덮개(150)의 인입공간에 됨으로써, 고정력이 강화된 상태로 바디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과 플레이트를 도시한 캔들 홀더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들 홀더에 LED 모듈이 로킹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캔들(10)이 발열기(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영향으로 용융되지 않고 승화되도록 하기 위해,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30')는 캔들(10)이 발열기(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승화되도록 하기 위해, 캔들(10)의 하측에 구비되며, 발열기(200)로부터 캔들(10)로 열이 전도되도록 내열성이 강한 니켈, 테플론, 카본 등의 금속 합금 재질로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플레이트(130')는 발열기(200)에 구비된 케이블 선(230)을 통해 전류가 공급되면, 미도시된 제어부(MCU)에 흘러 제2 코일의 양 끝 단자(220a, 220b)를 통해 제2 코일(210)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제2 코일(210)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열기(200)로부터 LED 모듈(120)로 전류가 자기유도되며, 이를 통해 발생되는 열이 기반으로 캔들(10)에 승화열을 전달하여 승화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플레이트(130')는 평평한 얇은 판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열 전도율이 높은 물질로 형성된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케이스(130)과 마찬가지로 상측이 개방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플레이트(130')는 발열기(200)로부터 발생되는 열과 LED 모듈(120)이 발열기(200)로부터 자기유도되는 전류가 흘러 발생되는 열이 동시에 전도되어 캔들(10)에 승화열을 전달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LED 모듈(120)에 구비된 제1 코일(125)에 발열기(200)의 제2 코일(210)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자기유도되면, 발열기(200)에서 전류가 자기유도되는 동안 발생되는 열이 플레이트(130')에 전도되고, LED 모듈(120)이 LED(122)를 통해 빛을 생성하기 위해, 발열기(200)의 제2 코일(210)로부터 자기유도되는 전류를 기반으로 LED(122)에서 빛이 출력되는 동안 LED(122)에서 열이 발생되어 바디부(110)의 내벽을 사이에 두고 상측에 구비된 플레이트(130')에 열이 전도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플레이트(130')에 전도되는 열의 양은 LED 모듈(120)에서 LED(122)에서 생성된 빛이 출력되는 동안 발생되는 열보다 케이블 선(230)을 통해 일정한 양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발열기(200)로부터 더 많은 양의 열이 전도되어 캔들(10)을 승화시키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플레이트(130')에 상측에 배치되는 캔들(10)은 승화되는 것이 아닌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패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플레이트(130')에 발열기(200)에 구비된 제2 코일(210)로부터 전도되는 열이 전도되면, 캔들(10)이 가열되면서 향을 확산시키게 되는 것이며, 캔들(10)마다 각각의 향을 가지고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향의 캔들(10)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디부(110)와 LED 모듈(120)의 결합방식은 도 2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따라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LED 모듈(120)은 바디부(110)에 돌출부재(112)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바디부(110)의 하측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덮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는 이와 같이, 캔들이 증발연소 되지 않고 용융되거나 승화되며, LED에서 빛을 생성하여 캔들이 증발연소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리고 캔들이 증발연소 되지 않게 되어 캔들이 증발연소 됨에 따라 발생 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LED를 통해 캔들이 증발연소 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함에 따라 캔들이 증발연소 되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줄여 사용자의 두통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한 실시예에 대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방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 캔들 100 : 캔들 홀더
110 : 바디부 112 : 제2 체결공
120 : LED 모듈 121 : 제1 체결공
122 : LED 123 : 제어부
124 : 센서부 125 : 제1 코일
126 : 제1 코일 양 끝 단자 130 : 케이스
140 : 체결부재 150 : 덮개
200 : 발열기 210 : 제2 코일
220 : 제2 코일 양 끝 단자 230 : 케이블 선

Claims (13)

  1. 캔들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제1 코일이 내부에 마련되는 LED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발열기의 내부에 존재하는 제2 코일과의 자기유도를 통해, 상기 제2 코일에서 열이 발생하여 상기 캔들이 승화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코일과의 자기유도를 통해 상기 제1 코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LED 모듈에서 빛이 생성되도록 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코일과 자기유도되는 상기 제2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상기 캔들이 승화되도록, 상기 캔들의 하측에 판 형태로 구비되되,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캔들이 승화열을 전달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빛을 생성하도록,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LED; 및
    상기 LED에서 생성된 빛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LED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홀더.
  4. 캔들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제1 코일이 내부에 마련되는 LED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발열기의 내부에 존재하는 제2 코일과의 자기유도를 통해, 상기 제2 코일에서 열이 발생하여 상기 캔들이 용융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코일과의 자기유도를 통해 상기 제1 코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LED 모듈에서 빛이 생성되도록 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코일과 자기유도되는 상기 제2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상기 캔들이 용융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녹아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바닥면에 구비되되, 절곡된 형태로 상기 캔들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코일과 자기유도되는 외부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상기 캔들이 승화되도록, 상기 캔들의 하측에 판 형태로 구비되되,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캔들에 승화열을 전달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들은,
    상기 플레이트에 전달된 열을 기반으로 승화되는 정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 얇은 칩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승화열을 기반으로 용융되지 않고 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로킹되도록, 너비면적의 중심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1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LED 모듈이 바닥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로킹되도록, 상기 제1 체결공과 대응되게 상기 바디부 바닥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제2 체결공; 및
    상기 LED 모듈이 로킹되면,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측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상기 LED 모듈을 수용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홀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로킹되도록, 너비면적의 중심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1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LED 모듈이 바닥면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LED 모듈의 둘레와 대칭되는 바닥면의 너비면적에 인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LED 모듈의 끼움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상기 공간의 중심에 상기 제1 체결공에 끼워지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홀더.
  9. 내부에 캔들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 내부의 바닥면에 마련되되, 내부에 제1 코일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빛을 생성하는 LED 모듈을 포함하는 캔들 홀더; 및
    상기 캔들 홀더의 하측면에 마련되되, 내부에 제2 코일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제2 코일에서 열이 발생되어 상기 캔들 홀더에 수용되는 상기 캔들이 열에 의해 용융되도록 하는 발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이 구비된 캔들 홀더 발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캔들 홀더는,
    상기 제1 코일과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제2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2 코일을 따라 자속이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자속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되며, 형성된 자기장의 영향으로 상기 제1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LED 모듈이 빛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이 구비된 캔들 홀더 발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LED 모듈 내부에 너비면적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발열기의 상측의 표면에 너비면적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이 구비된 캔들 홀더 발열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캔들 홀더는,
    상기 제1 코일과 제2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상기 캔들이 승화되도록, 상기 캔들의 하측에 판 형태로 구비되되,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캔들에 승화열을 전달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이 구비된 캔들 홀더 발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캔들은,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기반으로 승화되는 정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 얇은 칩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승화열을 기반으로 용융되지 않고 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이 구비된 캔들 홀더 발열 시스템.
KR2020150006795U 2015-10-19 2015-10-19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 KR200480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795U KR200480258Y1 (ko) 2015-10-19 2015-10-19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795U KR200480258Y1 (ko) 2015-10-19 2015-10-19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258Y1 true KR200480258Y1 (ko) 2016-05-11

Family

ID=5602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795U KR200480258Y1 (ko) 2015-10-19 2015-10-19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5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229B1 (ko) * 2018-11-21 2019-03-19 최지훈 전기식 캔들팟
KR102066037B1 (ko) * 2019-02-19 2020-01-14 안상정 광 생성 장치
KR20200074694A (ko) 2018-12-17 2020-06-25 강예진 블루투스 스피커 기능이 있는 led 캔들워머
KR20200123329A (ko) 2019-04-18 2020-10-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식성을 고려한 캔들워머
KR20200123328A (ko) 2019-04-18 2020-10-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캔들워머
KR20210131154A (ko) * 2020-04-23 2021-11-02 안상정 광 생성 장치
EP4115913A1 (en) * 2021-07-05 2023-01-11 I-Min Chang Scented candle and scented candle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3217A1 (en) * 2006-03-21 2007-09-27 Wan-Chang Hsu Magnetic induction charged cand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3217A1 (en) * 2006-03-21 2007-09-27 Wan-Chang Hsu Magnetic induction charged candl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229B1 (ko) * 2018-11-21 2019-03-19 최지훈 전기식 캔들팟
KR20200074694A (ko) 2018-12-17 2020-06-25 강예진 블루투스 스피커 기능이 있는 led 캔들워머
KR102066037B1 (ko) * 2019-02-19 2020-01-14 안상정 광 생성 장치
KR20200123329A (ko) 2019-04-18 2020-10-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식성을 고려한 캔들워머
KR20200123328A (ko) 2019-04-18 2020-10-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캔들워머
KR20210131154A (ko) * 2020-04-23 2021-11-02 안상정 광 생성 장치
KR102409637B1 (ko) 2020-04-23 2022-06-17 안상정 광 생성 장치
EP4115913A1 (en) * 2021-07-05 2023-01-11 I-Min Chang Scented candle and scented cand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258Y1 (ko) Led 모듈이 구비되는 캔들 홀더
US9211355B2 (en) Scent warmers having non-incandescent heating and light-emitt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7329839B2 (en) Cover for a candle warmer
US7497685B2 (en) Wick-holder assembly
TWI589311B (zh) 基座結構及包含此種基座結構的芳香加熱器與相關方法
JP6421255B2 (ja) タッチ式オンオフ手段付きキャンドルウォーマー
CA2615175C (en) Candle assembly including a fuel element with a locating recess and a melting plate with a locating protrusion
US20030007887A1 (en) Aromatic substance heating device
US6960076B2 (en) Electronic switch for drop-free candle
US20160375169A1 (en) Lamp-based aroma diffuser using an aroma capsule
TW201311304A (zh) 電性照明和加熱模組、包括這些模組的組件和香氣加溫器以及相關方法
US20070003894A1 (en) Electronic candle
CN107073157A (zh) 一种蜡炉
KR101391291B1 (ko) Led 발열을 이용한 양초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WO2018152058A1 (en) Wickless fragrance delivery methods and systems
KR200152512Y1 (ko) 향로용구 및 향로
KR20170003765U (ko)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장치
US20090170044A1 (en) Decoratively illuminating apparatus using a candle
KR101960229B1 (ko) 전기식 캔들팟
KR102458833B1 (ko) 조명기구 기능 겸용 led 발열을 이용하여 디퓨져 기능을 갖도록 한 향초
US2388907A (en) Vaporizing burner
JP4035838B2 (ja) 香炉
JP7357313B2 (ja) 固形燃料燃焼器
KR102517985B1 (ko) 선택적 조명이 가능한 캔들워머
EP2412389A1 (en) Scent warmers having non-incandescent heating and light-emitt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