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896B1 - 기화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기화식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896B1
KR101336896B1 KR1020110095338A KR20110095338A KR101336896B1 KR 101336896 B1 KR101336896 B1 KR 101336896B1 KR 1020110095338 A KR1020110095338 A KR 1020110095338A KR 20110095338 A KR20110095338 A KR 20110095338A KR 101336896 B1 KR101336896 B1 KR 101336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cket
tank
air
electrolytic ster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635A (ko
Inventor
김호중
송성배
구경진
남현식
지태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5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8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화식 가습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물이 수용되는 수조와; 수조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과; 수조의 물에 하부가 담겨지게 배치되는 가습필터와;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가습필터를 통과시킨 후 공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와; 물통에 설치되어 물통 내의 물을 전기 분해하여 물통 내에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해살균기를 포함하여, 물통 내의 전해살균기가 수조 뿐만 아니라 물통을 수조와 함께 살균시킬 수 있고, 순환유로나 펌프를 설치할 필요 없이 간단한 구조로 물통과 수조를 살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기화식 가습기{Humidifier}
본 발명은 기화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습필터로 물을 공급하는 수조와 수조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를 가습시키는 것으로서, 가습 방식에 따라 기화식 가습기와, 초음파식 가습기와, 가열식 가습기와, 복합식 가습기 등이 있다.
기화식 가습기는 수조의 물이 가습필터로 흡수되고, 공기가 가습필터를 통과하면서 가습된 후 실내를 가습시킨다.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을 넣은 용기의 밑부분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물을 작은 입자로 쪼개서 내뿜는 방식으로서, 가습기에서 나오는 증기는 차가운 수증기이다.
가열식 가습기는 가습기 안의 물을 히터로 끓여 수증기로 뿜어주는 방식으로서, 가습기에서 나오는 증기는 뜨거운 증기이다.
복합식 가습기는 초음파식과 가열식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가열식과 초음파식의 장점을 살린 것으로서, 먼저 가열관에서 물 온도를 올려 살균시킨 뒤 초음파를 이용해서 뿜어주는 방식이고, 상황에 따라 `따뜻한 수증기' `차가운 수증기'를 선택할 수 있다.
KR 10-1007199 B1 (2011.01.12)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습기는 가습수를 저장하는 드레인 팬에 순환라인의 양단이 연결되고, 순환라인에 펌프가 설치되며, 순환라인에 가습수를 살균시키는 오존발생기로 구성된 가습수 살균장치가 설치되므로, 드레인 팬에 가습수를 공급하는 물통 내부를 살균하기 곤란하고, 순환라인과 펌프에 의해 구조가 복잡하고 컴팩트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물이 수용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과; 상기 수조의 물에 하부가 담겨지게 배치되는 가습필터와; 상기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가습필터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물통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 내의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해살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물통 내의 전해살균기가 수조 뿐만 아니라 물통을 수조와 함께 살균시킬 수 있고, 순환유로나 펌프를 설치할 필요없이 간단한 구조로 물통과 수조를 살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해살균기가 물통에 설치되어 컴팩트화가 가능하고 전해살균기의 서비스시 물통을 분리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전해살균기를 서비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통의 단면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통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통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통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기화식 가습기는 공기 흡입구(2)와 공기 토출구(4)가 형성된 케이스(6)와; 물이 수용되는 수조(10)와; 수조(10)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20)과; 수조(10)의 물에 하부가 담겨지게 배치되는 가습필터(30)와; 공기 흡입구(2)로 공기를 흡입하여 가습필터(30)를 통과시킨 후 공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40)와; 물통(20)에 설치되어 물통(20) 내의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해살균기(50)를 포함한다.
케이스(6)는 기화식 가습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공기 흡입구(2)와 공기 토출구(4)가 케이스(6)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6)는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될 수 있고, 상면에 공기 토출구(4)가 형성될 수 있다.
수조(10)는 가습필터(30)에서 필요한 물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된 물 수용공간(12)이 형성될 수 있고, 물 수용공간(12)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수조(10)는 케이스(6)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물통(20)은 수조(10)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수조(10)의 상측에서 수조(10)로 물을 낙하시킬 수 있다.
물통(20)은 하부에 물이 출수되는 출수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물통(20)은 기화식 가습기에서 분리된 후 출수부(22)를 통해 외부의 물이 유입될 수 있고, 기화식 가습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출수부(22)를 통해 수조(1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물통(20)은 하부에 출수부(22)가 형성된 물통 바디(24)와, 출수부(22)를 덮도록 배치되고 기화식 가습기에 장착되었을 때 출수부(22)를 통해 출수되는 물을 수조(10)로 공급하는 마개(26)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26)는 물이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마개(26)는 물통(20)이 기화식 가습기에서 분리되었을 때 유로를 막고, 물통(20)이 기화식 가습기에 장착되었을 때 유로를 개방시키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수조(10)에는 물통(20)이 기화식 가습기에 장착되었을 때 밸브를 개방 동작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습필터(30)는 하부가 수조(10)의 물 수용공간(12)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습필터(30)는 하부가 수조(10)의 물 수용공간(12)에 위치되어 수조(10)의 물이 흡수되고 공기가 통과하면서 가습되는 필터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재(32)는 무빙되면서 공기를 가습하거나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
필터부재(32)는 플랙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가습필터(30)는 필터부재(22)의 무빙을 안내하는 상부 롤러(34)와 하부 롤러(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롤러(34)와 하부 롤러(36)는 상하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습필터(30)는 상부 롤러(34)에 연결되어 상부 롤러(34)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롤러(34)와 하부 롤러(36)는 송풍기(40)와 케이스(6)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스(6) 내에 별도로 설치된 가습필터 프레임(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 롤러(34)와 하부 롤러(36)는 수평한 회전중심을 갖게 설치될 수 있고, 회전기구(38)가 상부 롤러(34)를 회전시키면, 필터부재(32)는 상부 롤러(34)와 하부 롤러(36)에 감긴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필터부재(32)는 상부 롤러(34)와 하부 롤러(36)에 감긴 상태에서, 물 수용공간(12)으로 이동된 부분이 물을 흡수하고, 이후 물 수용공간(12) 상측으로 이동된 부분이 공기와 접촉되면서 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
필터부재(32)는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중앙이 연결될 수 있고, 가습필터(30)는 복수개의 필터부재(32)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필터부재(32)는 물 수용공간(12)으로 이동된 부분이 물과 접촉하고 물 수용공간(12) 상측으로 이동된 부분이 공기와 접촉되면서 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
가습필터(30)는 필터부재(32)가 수조(10)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3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기(40)는 모터(42)와, 모터(42)에 의해 회전되는 팬(44)와, 팬(44)의 유로를 형성하는 팬 하우징(46)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살균기(50)는 물통(20) 및 수조(10)를 살균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물을 전기 분해하여 물 속의 염소 이온을 살균 성분인 차아 염소산 이온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전해살균기(50)는 물이 통과하는 내부 유로(52)를 갖을 수 있고, 내부 유로(52)에 물을 전기분해 시키는 애노드(54) 및 캐소드(56)가 배치될 수 있다.
전해 살균기(50)는 내부 유로(52)가 형성된 하우징(58)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58)에는 물통(20)의 물이 내부 유로(52)로 유입되는 물 입수부(60)와, 내부 유로(52)를 통과한 물이 출수되는 물 출수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물은 애노드(60)와 캐소드(62) 사이를 통과할 때 전기 분해되어 물 속의 염소 이온이 살균성분인 차아 염소산 이온으로 변화될 수 있다.
전해살균기(50)는 물통(2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물통(20)의 물은 물통(20)의 하부 위치에서 전기 분해될 수 있다.
전해살균기(50)는 출수부(22)의 상측에 출수부(22)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전해살균기(50)는 내부 유로(52)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물통(20) 내의 물은 자중에 의해 물 입수부(60)로 입수되어 내부 유로(52)를 통과하면서 전기분해될 수 있고, 이후 물 출수부(62)를 통해 물통(20)의 내측 하부로 출수될 수 있다.
전해살균기(50)는 작동시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성분인 차아 염소산 이온을 생성할 수 있고, 미작동시 물 속의 미생물이 증식될 수 있으므로, 설정주기로 작동될 수 있다.
기화식 가습기는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는 타이머와, 타이머에서 카운트된 시간이 살균 설정시간에 도달되면, 전해살균기(50)를 온시키는 살균신호를 출력하고, 전해살균기(50)를 온시킨 후 운전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전해살균기(50)를 오프시키는 살균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살균기(50)는 물통(20) 외부에 위치되는 전원인가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인가부(64)는 물통(20)의 외부에 노출되는 판체(66)와, 판체(66)를 관통하는 양전극(67)와, 판체(66)를 관통하는 음전극(68)을 포함할 수 있다.
기화식 가습기는 물통(20)의 장착시 전원인가부(64)가 접촉되게 설치되어 전원인가부(64)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70)는 팬하우징(64)에 설치될 수 있고, 팬하우징(64) 중에서 물통(20)의 장착시 전원 인가부(64)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70)는 전원 인가부(64)의 양전극(67)이 접촉되는 양전극(미도시)와, 전원인가부(64)의 음전극(68)이 접촉되는 음전극(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70)는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고, 제어부에서 살균신호가 출력되면, 전원인가부(64)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에서 살균정지신호가 출력되면 전원인가부(64)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또는 서비스업자(이하, 사용자로 칭함)가 물통 바디(24)에서 마개(26)를 분리한 후 물통(20)의 출수부(22)로 물을 급수시킨다. 이때 물은 물통(20) 내에 채워지고 전해살균기(50)는 전원인가부(60) 이외가 물에 잠길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마개(26)로 출수부(22)를 막으면, 전해살균기(50)는 물통(20)에 의해 보호된 상태에서 물통(20)과 함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물통(20)을 수조(10)에 올리면, 물통(20) 내의 물은 수압에 의해 수조(10)로 출수되게 되고, 기화식 가습기는 실내를 가습 가능한 상태가 된다.
기화식 가습기는 컨트롤 패널(미도시)의 운전 조작시 운전될 수 있고, 타이머는 기화식 가습기로 전원이 입력된 이후의 시간을 카운트한다.
제어부는 타이머에서 카운트된 시간이 살균 설정시간에 도달되면, 전원공급부(70)로 살균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물통(20)에 설치된 전원인가부(64)는 전원공급부(7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전해살균기(50)는 온된다.
전해살균기(50)는 전원이 공급되면, 애노드(54)와 캐소드(56)가 내부유로(52)의 물을 전기분해하고, 이때 물 속의 염소이온은 살균성분인 차아염소산 이온으로 변환된다. 전해살균기(50)의 온시 물통(20) 속의 물은 차아염소산 이온의 농도가 점차 높아지고 물통(20)과 수조(10)를 살균시킬 수 있는 물(즉, 살균수)로 변화된다.
제어부는 전해살균기(50)를 온시킨 후 운전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살균정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물통(20)에 설치된 전원인가부(64)로는 더 이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며, 전해살균기(50)는 오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생성된 살균수는 기화식 가습기의 운전시, 물통(20)에서 수조(10)로 출수될 수 있고, 수조(10)로 출수된 살균성분인 차아염소산 이온은 수조(10)를 살균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물통(20)에 설치된 전해살균기(50)는 물통(20)과 수조(10)를 모두 살균시킬 수 있다
기화식 가습기는 설정주기 간격으로 전해살균기(50)가 온된후 오프될 수 있고, 물통(20)과 수조(10)는 설정주기 간격으로 살균될 수 있으며, 물통(20)과 수조(10)의 미생물 오염은 방지될 수 있다.
2: 공기 흡입구 4: 공기 토출구
6: 케이스 10: 수조
12: 물 수용공간 20: 물통
22: 출수부 24: 물통 바디
26: 마개 30: 가습필터
40: 송풍기 50: 전해살균기
64: 전원인가부 70: 전원공급부

Claims (7)

  1.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물이 수용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에 하부가 담기게 배치되는 가습 필터;
    상기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가습 필터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수조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수조와 연통하는 출수부가 형성된 물통; 및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해 살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 살균기는,
    상하방향으로 내부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 유로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물 입수부와 상기 내부 유로를 통과하며 전기분해된 살균수가 배출되도록 하측으로 개구된 물 출수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살균수로 상기 물통을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물통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물 출수부는,
    살균수가 상기 수조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통의 출수부와 대향 하게 형성되는 기화식 가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살균기는 설정주기로 작동되는 기화식 가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살균기는 상기 물통 외부에 위치되는 전원인가부를 포함하는 기화식 가습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장착시 상기 전원인가부가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원 인가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기화식 가습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살균기는 상기 물통의 하부에 설치된 기화식 가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살균기는 상기 출수부의 상측에 상기 출수부와 이격되게 설치된 기화식 가습기.
  7. 삭제
KR1020110095338A 2011-09-21 2011-09-21 기화식 가습기 KR101336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338A KR101336896B1 (ko) 2011-09-21 2011-09-21 기화식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338A KR101336896B1 (ko) 2011-09-21 2011-09-21 기화식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635A KR20130031635A (ko) 2013-03-29
KR101336896B1 true KR101336896B1 (ko) 2013-12-04

Family

ID=4818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338A KR101336896B1 (ko) 2011-09-21 2011-09-21 기화식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8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868A (ko) 2016-08-04 2016-08-24 황추광 피스톤 운동을 이용한 기화식 가습기
CN106958882A (zh) * 2015-10-30 2017-07-18 Lg电子株式会社 加湿净化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4322B2 (en) 2015-10-30 2018-08-21 Lg Electroincs Inc.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20190112372A (ko) 2018-03-26 2019-10-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물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냉각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9945A (ko) * 2010-01-04 2011-07-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살균기능을 갖는 가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9945A (ko) * 2010-01-04 2011-07-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살균기능을 갖는 가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8882A (zh) * 2015-10-30 2017-07-18 Lg电子株式会社 加湿净化装置
KR20160100868A (ko) 2016-08-04 2016-08-24 황추광 피스톤 운동을 이용한 기화식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635A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017B1 (ko) 가습기
KR101649974B1 (ko) 자동세척장치의 세척액 저장탱크장치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JP6156357B2 (ja) 加湿装置
JP2018050483A (ja) ドライプロセス処理方法
KR101336896B1 (ko) 기화식 가습기
KR20080017242A (ko) 공기 제균 장치
KR20130114311A (ko) 살균 가습기
KR20140107774A (ko) 살균 가습기
JP2012167899A (ja) 加湿装置
CN101219230A (zh) 空气除菌装置
CN111432849A (zh) 除菌液散布装置
JP2019170597A (ja) 空間殺菌装置
JP2014016128A (ja) 空気加湿装置
KR20210056133A (ko) 가습기
KR101409900B1 (ko) 기화식 가습기
JP4731355B2 (ja) 空気除菌装置
JP5289215B2 (ja) 空気除菌装置
JP2008116203A (ja) 空気調和機
KR100802280B1 (ko)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CN108826784A (zh) 冰箱保鲜降解农残杀菌装置
JP4721932B2 (ja) 除菌装置
KR20110026614A (ko) 공기청정 가습기
KR101336895B1 (ko) 기화식 가습기
KR20110119319A (ko) 가습입자를 살균하여 배출하는 가습기
JP2016156536A (ja) 空気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