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9237A - 담쟁이덩굴 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제조된 추출물 - Google Patents
담쟁이덩굴 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제조된 추출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79237A KR20060079237A KR1020067005413A KR20067005413A KR20060079237A KR 20060079237 A KR20060079237 A KR 20060079237A KR 1020067005413 A KR1020067005413 A KR 1020067005413A KR 20067005413 A KR20067005413 A KR 20067005413A KR 20060079237 A KR20060079237 A KR 200600792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derin
- extract
- hederacoside
- content
- extrac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0—Expecto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 성분인 헤데라코시드 C 및 α-헤데린을 포함하는 담쟁이덩굴 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먼저 α-헤데린이 풍부한 제1 추출물을 제공하고, 이어서 헤데라코시드 C가 풍부한 제2 추출물을 제공한다. 최종 단계에서, 두 추출물을 배합하여 조절된 함량의 헤데라코시드 C 및 α-헤데린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얻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담쟁이덩굴 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담쟁이덩굴 잎 추출물은 진경 효과, 거담 효과 및 폐색 방지 효과를 나타내므로, 특히 호흡기 질환 치료에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트리테르펜 사포닌류에 속하는 담쟁이덩굴 잎 추출물의 치료적으로 중요한 성분에 기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요 사포닌은 이로부터 에스테르 가수분해에 의하여 제조되는 비스데스모시딕(bisdesmosidic) 헤데라코시드 C 및 α-헤데린이다. 검출된 추가의 사포닌은 헤데라게닌이다.
담쟁이덩굴 잎 추출물은 여러 방법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이들 추출물은 종종 상이한 효능을 나타낸다. 이것은 성분의 함량이 천연 조성 뿐만 아니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한 최근 연구에서는, 실제로 α-헤데린이 담쟁이덩굴 잎의 활 성 물질이며 β-아드레날린 작용성 수용체에의 결합을 통하여 민무늬근의 이완 및 이것에 의하여 유도되는 캐스케이드를 야기하므로 기관지 경련 진정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식물 재료로부터의 추출물 - 특히 건조 추출물 - 및 이러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의약 및 제약 분야에서 다수 개시되었다.
식물 재료로부터의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한 방법은 예컨대 DE 101 12 168 A1호에 개시되어 있다. 친지성 및 친수성 물질의 함량은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이 경우, 식물 재료는 친지도가 상이한 용매로 2회 이상 추출되며 이로부터 추출물은 따로따로 얻어진다. 추출물은 서로 별도로 건조시키고 소정비로 혼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친지성 및 친수성 물질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또한 담쟁이덩굴(헤데라 헬릭스)로부터 얻은 건조 추출물에 적당하다고 한다.
그러나, 이 공개공보에는, 구체적으로 조절되는 함량의 α-헤데린 및/또는 헤데라코시드 C를 포함하는 추출물도, 이러한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DE 30 25 223 A1호에는 활성 성분으로서 90% 또는 60% 헤데라 사포닌 C-함유 추출물 또는 α-헤데린을 포함하고 담쟁이덩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약학 제제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헤데라 사포닌 C 또는 헤데라코시드 C를 α-헤데린으로 전환시켜α-헤데린만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상기 적용에서 90% 추출물을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으로 가수분해시킨다.
그러나, α-헤데린 및 헤데라코시드 C가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는 함량으로 존재하는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은 이 공개공보에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반복적인 치료 효과를 확실히 얻기 위하여, 정확하게는 소정 함량의 활성 성분을 갖는 담쟁이덩굴 추출물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사용된 추출물의 또다른 단점은, α-헤데린에 의하여 유도할 수 있는 즉각적 및 지속적 기관지 경련 진정 효과를 얻기 위하여 이들 추출물을 1회 이상 투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예컨대 추출물내 존재하는 α-헤데린 함량이 복용 초기에 너무 낮으므로 α-헤데린의 생체이용성이 불충분하다는 것일 수 있다. 다른 한편, 원래 추출물내 존재하는 α-헤데린은 생체내에서 비교적 빠르게 흡수되므로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회 투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α-헤데린의 빠른 생체이용성 및 장시간에 걸친 생체이용성의 유지가 확보되는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함량을 조절할 수 있는 헤데라코시드 C 및 α-헤데린을 갖는 담쟁이덩굴 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되며, 본 방법은
a) α-헤데린이 풍부한 제1 추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b) 헤데라코시드 C가 풍부한 제2 추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및 제2 추출물을 배합하여 조절된 함량의 헤데라코시드 C 및 α-헤데린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한편으로 즉시 작용하는 물질로서 이용할 수 있는 α-헤데린을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 생체내에서 α-헤데린으로 전환되는 헤데라코시드 C도 포함하는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추출물은 α-헤데린을 매우 풍부하게 포함하고, 제2 추출물은 헤데라코시드 C를 매우 풍부하게 포함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1 추출물은, 출발물질, 예컨대 건조시킨 허브를 먼저 분쇄하고 발효시키는 단계 및 이후 알콜/물 혼합물, 예컨대 30% 에탄올에서 전팽윤 및 추출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예컨대 박막 기화 및 분무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소정 α-헤데린 함량에 따라, 전체 허브를 발효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출발 식물 재료에 존재하는 모든 헤데라코시드 C는 α-헤데린으로 전환된다. 다른 한편, 출발 식물 재료의 일부분만을 발효시키고 나머지 부분은 에탄올 중에서의 전팽윤 동안만 혼합시켜 α-헤데린만이 매우 풍부하게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본원에서 "발효"는 발효 공정에 적절할 경우 예컨대 시간 및 온도와 같은 특정 매개변수를 조절하면서 예컨대 물과 같은 발효 배지를 원래 물질에 첨가함으로써 원래 물질 중에 존재하는 성분을 다른 물질로 전환시키거나 분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신규한 발효 단계로 특히 α-헤데린이 풍부한 추출물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담쟁이덩굴 잎을 예컨대 건조시킨 허브로서 사용할 수 있다. 건조시킨 허브는, 약물 제조에 있어서 어떤 환경에서는 안정성 면에서 생허브보다 취급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 담쟁이덩굴 잎의 사용이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하여 배제되지 않는다.
건조시킨 약초 및 약초의 일부는 약학 용어의 정의에 의하여 "허브"라 일컬어진다. 또한, 이러한 "허브"형 약초는 비변형형 또는 분쇄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추출물은 예컨대 건조시킨 허브를 컷팅 직후에 추출제, 예컨대 30% 에탄올과 혼합하고 종래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대안으로는, 에탄올 추출 전에 분쇄한 허브를 과열 증기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이러한 처리를 통하여, 추출물 중의 헤데라코시드 C의 함량이 증가하거나 또는 초기 함량에 대하여 안정화되고, α-헤데린 함량이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 방법의 단계 b)에서 헤데라코시드 C가 풍부한 제2 추출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추출물이 얻어진다. 이러한 신규한 증기 처리 단계로 특히 헤데라코시드 C가 풍부한 추출물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방법에서는 단계 a)에서 α-헤데린이 풍부한 추출물의 α-헤데린 함량이 3% 이상, 특히 5%일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b)에서 헤데라코시드 C가 풍부한 추출물의 헤데라코시드 C 함량이 5% 이상, 특히 10% 이상이고 α-헤데린 함량이 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계 c)에서 얻어지는 추출물의 헤데라코시드 C 함량은 약 3% 내지 약 10%, 특히 약 6.5%이고 α-헤데린 함량은 약 1% 내지 약 7%, 특히 약 4.0%일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추출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헤데라코시드 C의 함량이 약 3% 내지 약 10%, 특히 약 6.5%로 조절되고 α-헤데린의 함량이 약 1% 내지 약 7%, 특히 약 4.0%로 조절된 담쟁이덩굴 잎으로부터 얻어지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활성 성분의 함량이 조절됨으로써, 추출물의 사용 후에, 활성 성분 α-헤데린이 추출물 중에 그 자체로 존재하는 α-헤데린을 통하여 초기에 빠르게 이용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α-헤데린 외에 추출물 중에 존재하는 헤데라코시드 C도 시차를 두고 생체내에서 흡수되며 점차로 α-헤데린으로 전환되어, 원래 존재하는 α-헤데린이 다 사용된 후, 헤데라코시드 C로부터 전환된 α-헤데린이 이용가능해진다. 이로써 추출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의 치료 효능이 길어지는 유리한 방식이 확보된다.
본 발명자들은 실험을 통해 이 방법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들은 α-헤데린 및 헤데라코시드 C 활성 성분의 함량을 상기 최적 범위로 조절한 본 발명 추출물로 수준의 신속한 향상 및 일정 농도의 유지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필적하는 농도 수준을 얻기 위하여, 헤데라코시드 C의 함량이 더 높고 α-헤데린의 함량이 더 낮은 비교 추출물은 본 발명 추출물보다 더 자주 투여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본 신규 추출물을 사용하여, 단회 투여만으로 기관지 경련 진정에 사용하기 위한 소정 농도의 α-헤데린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추출물은 본 발명 방법으로 제조되고 약 6.5%의 헤데라코시드 C 함량 및 약 4.0%의 α-헤데린 함량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기관지 질환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 추출물의 용도 및 본 발명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헤데라코시드 C 및 α-헤데린 성분의 함량이 조절된 본 발명 추출물은, 이로써 재생 가능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진경 활성을 갖는 활성 성분 α-헤데린의 즉각적인 제공이 가능하며, 이러한 제공이 장시간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약제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는 예컨대 감염성 염증성 호흡기 질환, 예컨대 폐렴, 기관염, 기관지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브론키엑타제(bronchiectase)와 같은 폐색성 및 구속성 폐질환에, 즉 민무늬근의 이완이 바람직한 호흡기 질환에 사용될 수 있다.
약제는 캡슐, 정제, 코팅정, 좌약, 과립, 분말, 용액, 크림, 에멀젼, 에어로졸, 연고 및 오일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구 투여 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약제는 약제 제조에 종래 사용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A. Kibbe,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3판, 3000,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Pharmaceutical Press에 다수의 적당한 물질이 개시되어 있다.
추가의 이점은 실시예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다.
상기 언급되고 이하에서 설명될 특징은 본 발명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지시된 특정 조합으로 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으로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헤데라코시드 C의 α-헤데린으로의 가수분해를 나타낸다.
1. 생체내 담쟁이덩굴 잎 성분의 흡수 특성(래트)
생약 분류 시스템(BSC)을 통한 흡수 연구에서는 α-헤데린이 온건한 흡수(10-90%)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동일한 조건에서, 헤데라코시드 C는 막을 통과하지 못하였고, 이 때문에 헤데라코시드 C의 가능한 흡수는 α-헤데린의 형태로 조사하였다. 흡수 연구는 이러한 목적에서 래트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이후, 두가지 상이한 추출물의 투여가 α-헤데린의 혈장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다회 투여를 단회 투여와 비교하고 투여 후의 혈액 채취 시간을 달리하여 α-헤데린의 혈장 농도 변화를 α-헤데린 흡수 속도로서 조사하였다. 사포닌 분포가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는 두 추출물을 이러한 목적으로 선별하였다.
헤데라코시드 C 함량[%] | α-헤데린 함량[%] | |
추출물 A | 14.5 | 0.9 |
추출물 B | 6.5 | 4.0 |
정맥내 투여의 경우, 요구량의 추출물을 11%(m/m)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여과하고 주입하였다. 이것은 2 ml의 용액 1 부피를 투여하려는 목적이었다(각 경우 용량[체중 1 kg당 mg]:25). 투여 5분 후, 동물로부터 혈액 시료를 취하였다. 응집 방지를 위해 EDTA를 첨가한 전체 혈액 중 약 2 ml가 각 시료에 필요하였다.
글리세롤 중 추출물의 현탁액을 경구 투여용으로 제조하였다. 동물의 위관에 이들 현탁액 약 2 ml를 공급하였다(각 경우 용량[체중 1 kg당 mg]:1000 및 166.66). 각 경우 최종 투여 1시간 후 및 3시간 후 각 동물로부터 2 ml의 혈액을 취하였다. 동물의 평균 체중은 약 200 g이고 혈액 부피는 약 20 ml였다.
분석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유형 | 투여 | 투여 추출물 | 투여 용량 [mg/kg] | 혈액 채취 시간 | α-헤데린 혈장 농도 [㎍/ml] |
공시료 | 없음 | - | - | - | 0.0 |
기준 | 정맥내 | A | 25 | 투여후 5분 | 2.3 |
시료 | 복강내, 단회 투여 | A | 1000 | 투여후 1시간 | 3.3 |
시료 | 복강내, 단회 투여 | A | 1000 | 투여후 3시간 | 6.3 |
시료 | 복강내 3일 2 x 1일 | A | 166.66 | 최종 투여후 1시간 | 20.8 |
기준 | 정맥내 | B | 25 | 투여후 5분 | 10.0 |
시료 | 복강내 단회 투여 | B | 1000 | 투여후 1시간 | 11.1 |
시료 | 복강내 단회 투여 | B | 1000 | 투여후 3시간 | 14.4 |
시료 | 복강내 3일 2 x 1일 | B | 166.66 | 최종 투여후 1시간 | 14.9 |
헤데라코시드 C는 임의의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상기 표 2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바와 같이, α-헤데린 함량이 더 낮은 추출물의 다회 투여에 대해 측정된 α-헤데린 혈장 농도는 α-헤데린이 더 풍부한 추출물의 필적하는 투여에 대해서보다 더 높다. 이 결과는 하기 표 3에 도시된 재산출에 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투여/혈액 채취 방식 | α-헤데린 혈장 농도 [㎍/ml] | 최대 도달 가능 농도 (이론) | 흡수율[%] | 총 사포닌 함량을 고려하여 최대 도달 가능 혈액 수준 [㎍/ml] | 흡수율[%] |
단회 투여/투여 1시간 후 | 3.3 | 90 | 3.7 | 980 | 0.33 |
단회 투여/투여 3시간 후 | 6.3 | 90 | 7.0 | 980 | 0.64 |
다회 투여/투여 1시간 후 | 20.8 | 90 | 23.1 | 980 | 2.12 |
총 사포닌 함량은 두 성분의 몰질량이 반영된 것이며 α-헤데린을 기준으로 한다. 이 경우 추출물 A 중의 총 사포닌 함량은 α-헤데린을 기준으로 하여 9.8%였다. 20 ml의 혈액 부피를 가정하였다.
추출물 B에 대한 계산은 하기 표 4에 나타나 있다:
투여/혈액 채취 방식 | α-헤데린 혈장 농도 [㎍/ml] | 최대 도달 가능 농도 (이론) | 흡수율[%] | 총 사포닌 함량을 고려하여 최대 도달 가능 혈액 수준 [㎍/ml] | 흡수율[%] |
단회 투여/투여 1시간 후 | 11.1 | 400 | 2.8 | 800 | 1.38 |
단회 투여/투여 3시간 후 | 14.4 | 400 | 3.6 | 800 | 1.80 |
다회 투여/투여 1시간 후 | 14.9 | 400 | 3.7 | 800 | 1.86 |
총 사포닌 함량은 두 성분의 몰질량이 반영된 것이며 α-헤데린을 기준으로 한다. 이 경우 추출물 B 중의 총 사포닌 함량은 α-헤데린을 기준으로 하여 9.8%였다. 20 ml의 혈액 부피를 가정하였다.
요약하면, α-헤데린이 풍부한 추출물 및 α-헤데린이 빈약한 추출물의 다회 투여가 필적할만한 α-헤데린 혈장 농도를 유도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추출물의 헤데라코시드 C 함량이 고려되고 α-헤데린으로 산출하여 두 사포닌의 총 함량이 결정될 경우, 두 추출물은 약간만 상이하다. 이들 결과를 기초로, 헤데라코시드 C의 C28에 위치한 당의 제거가 생체내에서 일어나고, 그 결과 흡수 가능한 α-헤데린이 얻어진다고 생각하여야 한다. 이 방법, 즉 헤데라코시드 C의 α-헤데린으로의 전환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헤데라코시드 C와 대조적인 혈장내 α-헤데린의 회복 및 헤데라코시드 C와 대조적인 α-헤데린의 진경 활성의 생체내 입증으로부터, α-헤데린의 혈중 농도는 다수의 임상 연구에서 입증된 치료 효과와 중대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치료 효과에 대해 최적화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출물의 다회 투여시에도 유지되는 일정한 혈장 농도를 신속하게 얻게 된다. 추출물 B는 이러한 추출물이며, 이의 투여는 추출물 A와 달리 겨우 1시간 후에 다회 투여후의 혈장 농도에 필적하는 혈장 농도로 이끈다. 헤데라코시드 C 함량이 6.5%이고 α-헤데린의 함량이 4.0%인 추출물 B는 신속한 작용 개시 및 치료 효과의 재생성 때문에 주목할만하다.
따라서, 치료 효과에 최적인 추출물 중 헤데라코시드 C와 α-헤데린의 함량 범위는 하기와 같이 추출물 B를 기초로 할 수 있다:
헤데라코시드 C: 5 - 8%
α-헤데린: 3 - 5%
2. 최적화된 담쟁이덩굴 추출물의 제조
최적화된 담쟁이덩굴 추출물은 헤데라코시드 C 및 α-헤데린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 어떤 한계내에서 일정한 - 배취인 한 범위의 함량을 주목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헤데라코시드 C의 구체적인 함량은 50 내지 80 mg/g이고, α-헤데린의 구체적인 함량은 30 내지 50 mg/g이여야 한다. 복수개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이들 구체적인 함량으로 맞출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으로 얻어진 추출물은 합당한 활성 성분의 함량이 불충분한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조건적으로만 이러한 혼합 방법에 적당하다.
각 경우 두 헤데라 사포닌 중 하나의 함량이 높아서 주목되는 반면 다른 헤데라 사포닌은 매우 소량으로만 존재하는 담쟁이덩굴 잎 추출물을 얻는 추출 방법은 하기에 개시되어 있다.
a) α-헤데린이 풍부한 추출물의 제조
이러한 추출 공정에서 헤데라코시드 C 대 α-헤데린의 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기준은 특히 추출 공정에서 헤데라코시드 C의 C28에 위치된 당의 제거를 포함한다. 헤데라코시드 C의 α-헤데린으로의 전환은 거의 양적으로 진행되므로, 실제로 임의의 배취의 잎이 α-헤데린이 풍부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출발 물질로서 적당하다.
품질 조절 기관에 의한 품질 테스트 및 출하 후, 허브 부분(담쟁이덩굴 잎 DAC)을 밀에서 고도로 분쇄하고 보호 스크린에 의하여 단편의 최대 크기가 2 x 2 mm이도록 하였다. 또한, 보다 큰 입자 및 오염물에 대하여 육안으로 스크리닝된 물질을 체크하였다.
6부의 추출제(30%(m/m) 에탄올)의 수성 부분을 분쇄한 시료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은 60분 동안 때때로 혼합/교반하면서 30℃에서 발효시켰다.
이후, 6부의 추출제의 96% 에탄올 부분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여 균질화하였다.
6 시간의 전팽윤 단계 후, 용출물을 제거하고 나머지 허브를 나머지 6부의 추출제로 여과하였다.
조합한 용출물을 다시 한번 여과하여 작은 허브 입자를 제외시키고 균질화한 다음 55℃ 및 150 mbar에서 박막 기화로 건조시켜 농축물을 얻었다. 이것을 균질화한 다음 45 내지 60℃에서 분무 건조로 건조시켜 담쟁이덩굴 잎의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이러한 제조 방법을 체크하기 위하여, 하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즉, 헤데라코시드 C의 함량이 3.91%이고 α-헤데린의 함량이 0.20%인 담쟁이덩굴 잎으로부터 출발하여 종래의 방법(건조시킨 시료를 분쇄하고, 그 직후 30%(m/m) 에탄올을 첨가하여 추출)으로 1회 그리고 신규한 방법으로 1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5는 α-헤데린 및 헤데라코시드 C의 함량에 대한 크로마토그래피 결과를 나타낸다:
α-헤데린(%) | 헤데라코시드 C(%) | 헤데라코시드 C로서 산출된 총 사포닌 | |
종래 | 0.53 | 8.68 | 9.54 |
신규 | 4.74 | 0 | 7.71 |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신규한 추출 방법으로 잎 중에 존재하는 헤데라코시드 C를 α-헤데린으로 완전히 전환시킬 수 있었다.
헤데라코시드 C으로서 산출된 총 사포닌 함량은 동일한 정도이므로, 허브 중의 적절한 사포닌 농도를 알고 약 2 내지 3인 풍부화 인자를 고려하여 추출물 중의 최종 α-헤데린 함량을 추정할 수 있다.
허브 중에 존재하는 헤데라코시드 C의 일부만을 α-헤데린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다른 모든 변수는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일정량만의 허브를 물로 발효시킬 수 있다. 60분 발효가 완료된 후, 나머지 허브 및 에탄올을 6시간의 전팽윤 동안 첨가한다. 추출물 중의 최종 α-헤데린 함량은 허브 중의 적절한 사포닌 농도를 알고 약 2 - 3의 풍부화 인자를 고려하여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과도한 시간 및 자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발효를 도입함으로써 담쟁이덩굴 잎의 건조 추출물의 성분 범위를 현저히 변경할 수 있다. 효과는 α-헤데린의 효능에 대한 다수의 공개공보 때문에 약제 또는 건조 추출물 중의 α-헤데린 함량에 미치는 특별한 영향을 통하여 추출물의 효능에 이롭다는 것도 중요하다.
b) 헤데라코시드 C 함량이 증가된 담쟁이덩굴 잎의 건조 추출물의 제조
헤데라코시드 C 대 α-헤데린의 비율을 조절하는 기준은 구체적으로 추출 공정 동안 헤데라코시드 C의 C28에 위치된 당의 제거를 억제하는 것이다. α-헤데린의 함량이 낮은 잎 배취를 사용하는 허브 배취의 선택에 주의하여야 한다. 건조시킨 허브를 기준으로 α-헤데린이 0.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와 같이 두 사포닌의 함량에 대하여, 균질한 담쟁이덩굴 잎 시료를 분석하였다:
헤데라코시드 C: 6.37%
α-헤데린: 0.85%
각 경우, 하기 추출 방법에 의하여 허브로부터 출발하여 3회 추출을 실시하였다:
약 3 x 3 mm로 분쇄한 3 g의 건조 허브를 수초 동안 과열 증기로 처리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된 허브를 약 6 시간 동안 18 g의 추출제(30%(m/m) 에탄올)로 미리 팽윤시켰다. 미셀라를 배출시키고, 나머지 허브를 추가로 18 g의 추출제로 여과하였다. 미셀라를 진공 건조 오브에서 건조시켰다. 대안으로는, 예컨대 55℃ 및 150 mbar에서의 박막 기화 및 이어서 45 내지 60℃에서의 분무 건조에 의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추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0℃, 특히 약 30℃이다. 허브 대 추출제의 비율은 이 경우 예컨대 1:12이다.
생성되는 추출물의 분석 후, 결과를 기록할 수 있었고, 이 결과는 하기 표 6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시료 | 헤데라코시드 C 함량[%] | α-헤데린 함량 [%] | 헤데라코시드 C로서 산출된 헤데라 사포닌의 함량[%] |
초기 허브 | 6.37 | 0.85 | 7.75 |
증기 처리된 추출물 1 | 14.33 | 0.85 | 15.71 |
증기 처리된 추출물 2 | 14.26 | 0.85 | 15.64 |
증기 처리된 추출물 3 | 14.57 | 0.71 | 15.72 |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잎의 건조 추출물은 사용되는 잎에 최대로 존재하는 양의 α-헤데린을 포함하였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헤데라코시드 C 함량이 높고 α-헤데린 함량이 낮은 저장 안정성 추출물을 얻었다. α-헤데린 함량이 0.5% 미만인 잎 배취를 사용할 때, 생성되는 추출물에 대하여 α-헤데린의 최대 함량이 최대 0.5%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c) 두 풍부한 추출물의 혼합
2a) 및 2b)에 개시된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 두 헤데라 사포닌 중 하나를 풍부하게 함유하는 담쟁이덩굴 잎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두 풍부한 추출물을 사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여 헤데라코시드 C의 함량이 5 내지 8%이고 α-헤데린의 함량이 3 내지 5%인 특정 최종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약 7.5%의 α-헤데린을 포함하는 1부의 추출물 A +
약 13.0%의 헤데라코시드 C 및 0.5%의 α-헤데린을 포함하는 1부의 추출물 B
-> 6.5%의 헤데라코시드 C 및 4.0%의 α-헤데린을 포함하는 추출물.
이러한 계산은 물론 매회 두 풍부한 추출물의 함량 수준에 대하여 조절하여야 하지만, 다른 풍부한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에 의하여 실시예에서 언급된 농도로 두 풍부한 추출물을 조절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제, 단회 투여로도 실체 활성 성분(α-헤데린)을 체내에서 신속히 이용할 수 있는 약제를 제조할 수 있다. 동시에 헤데라코시드 C 함량이 높다는 것은, 헤데라코시드 C가 체내에서 연속적으로 α-헤데린으로 전환되므로 장시간 α-헤데린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것은 약제를 1회 이상 복용할 필요가 없고, 이로써 환자 적응성이 증가됨을 의미한다. 어린이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은 담쟁이덩굴 추출물의 한 사용 분야이므로, 이제는 더 적은 투여로 성공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Claims (13)
- 활성 성분인 헤데라코시드 C 및 α-헤데린을 포함하는 담쟁이덩굴 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으로서,a) α-헤데린이 풍부한 제1 추출물을 제공하는 단계;b) 헤데라코시드 C가 풍부한 제2 추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c) 상기 제1 및 제2 추출물을 배합하여 조절된 함량의 헤데라코시드 C 및 조절된 함량의 α-헤데린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α-헤데린이 풍부한 추출물의 α-헤데린 함량은 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α-헤데린이 풍부한 추출물의 α-헤데린 함량은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데라코시드 C가 풍부한 추출물의 헤데라코시드 C 함량은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데라코시드 C가 풍부한 추출물 의 헤데라코시드 C 함량은 10% 이상이고 α-헤데린 함량은 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얻어지는 추출물의 조절된 헤데라코시드 C 함량은 약 3 내지 약 10%이고 조절된 α-헤데린 함량은 약 1 내지 약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얻어지는 추출물의 조절된 헤데라코시드 C 함량은 약 6.5%이고 조절된 α-헤데린 함량은 약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
- 제8항에 있어서, 추출물의 헤데라코시드 C 함량은 4% 이상이고 α-헤데린 함량은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추출물의 헤데라코시드 C 함량은 6.5%이고 α-헤데린 함량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 약제의 제조를 위한,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추출물의 용도.
- 제11항에 있어서, 약제는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345343.1 | 2003-09-19 | ||
DE10345343A DE10345343A1 (de) | 2003-09-19 | 2003-09-19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xtrakts aus Efeublättern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Extrakt |
PCT/EP2004/010092 WO2005037298A1 (de) | 2003-09-19 | 2004-09-10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xtrakts aus efeublättern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extrak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9237A true KR20060079237A (ko) | 2006-07-05 |
KR101095704B1 KR101095704B1 (ko) | 2011-12-20 |
Family
ID=3430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05413A KR101095704B1 (ko) | 2003-09-19 | 2004-09-10 | 담쟁이덩굴 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제조된 추출물 |
Country Status (29)
Country | Link |
---|---|
US (1) | US7943184B2 (ko) |
EP (1) | EP1663270B1 (ko) |
JP (1) | JP4891081B2 (ko) |
KR (1) | KR101095704B1 (ko) |
CN (1) | CN1856317B (ko) |
AR (1) | AR045673A1 (ko) |
AT (1) | ATE405280T1 (ko) |
BR (1) | BRPI0414563A (ko) |
CY (1) | CY1110413T1 (ko) |
DE (2) | DE10345343A1 (ko) |
DK (1) | DK1663270T3 (ko) |
EA (1) | EA012065B1 (ko) |
ES (1) | ES2309551T3 (ko) |
HK (1) | HK1098050A1 (ko) |
HR (1) | HRP20080407T3 (ko) |
JO (1) | JO2531B1 (ko) |
ME (1) | ME00544B (ko) |
MX (1) | MXPA06003046A (ko) |
MY (1) | MY140219A (ko) |
PA (1) | PA8612501A1 (ko) |
PE (1) | PE20050430A1 (ko) |
PL (1) | PL1663270T3 (ko) |
PT (1) | PT1663270E (ko) |
RS (1) | RS51116B (ko) |
SI (1) | SI1663270T1 (ko) |
UA (1) | UA87114C2 (ko) |
UY (1) | UY28521A1 (ko) |
WO (1) | WO2005037298A1 (ko) |
ZA (1) | ZA200601936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3753A (ko) * | 2018-02-28 | 2019-09-05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아이비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구용 서방성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353230B1 (ko) * | 2021-03-10 | 2022-01-19 | 엔비케이제약(주) | 복합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637807T3 (es) * | 2008-06-13 | 2017-10-17 | Ahn-Gook Pharmaceutical Co., Ltd. | Extracto de rhizoma coptidis y uso novedoso del mismo en el tratamiento de enfermedad respiratoria |
WO2016009001A1 (en) | 2014-07-17 | 2016-01-21 | Hexal Ag | Orodispersible film |
CN104306416B (zh) * | 2014-10-20 | 2017-08-04 | 浙江康恩贝中药有限公司 | 一种治疗支气管炎、肺炎和哮喘的药物及其制备方法 |
CN113318119A (zh) * | 2021-06-22 | 2021-08-31 | 广西馨海药业科技有限公司 | Hederasaponin C在制备治疗预防急性肺损伤的药物中的用途 |
CN114805466B (zh) * | 2022-04-15 | 2023-06-20 | 湖南朗林生物资源股份有限公司 | 一种常春藤提取物的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460136B1 (fr) * | 1979-07-05 | 1986-01-10 | Synthelabo |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contenant des extraits de lierre grimpant |
DE10112168A1 (de) * | 2001-03-12 | 2002-10-02 | Bionorica Arzneimittel Ag | Trockenextrakt mit einstellbarem Gehalt an lipophilen und hydrophilen Substanz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
DE10315931A1 (de) * | 2003-04-02 | 2004-11-04 | Engelhard Arzneimittel Gmbh & Co. Kg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xtraktes aus Efeublättern |
-
2003
- 2003-09-19 DE DE10345343A patent/DE10345343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4
- 2004-09-10 WO PCT/EP2004/010092 patent/WO2005037298A1/de active IP Right Grant
- 2004-09-10 MX MXPA06003046A patent/MXPA06003046A/es active IP Right Grant
- 2004-09-10 UA UAA200604145A patent/UA87114C2/ru unknown
- 2004-09-10 AT AT04765025T patent/ATE405280T1/de active
- 2004-09-10 PT PT04765025T patent/PT1663270E/pt unknown
- 2004-09-10 BR BRPI0414563-1A patent/BRPI0414563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9-10 ES ES04765025T patent/ES2309551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9-10 KR KR1020067005413A patent/KR10109570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9-10 CN CN2004800271987A patent/CN185631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9-10 RS YUP-2006/0191A patent/RS51116B/sr unknown
- 2004-09-10 ZA ZA200601936A patent/ZA200601936B/en unknown
- 2004-09-10 PL PL04765025T patent/PL1663270T3/pl unknown
- 2004-09-10 DE DE502004007910T patent/DE502004007910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9-10 ME MEP-2008-878A patent/ME00544B/me unknown
- 2004-09-10 DK DK04765025T patent/DK1663270T3/da active
- 2004-09-10 JP JP2006526563A patent/JP489108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9-10 EP EP04765025A patent/EP1663270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9-10 SI SI200430922T patent/SI1663270T1/sl unknown
- 2004-09-10 EA EA200600500A patent/EA012065B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9-15 MY MYPI20043736A patent/MY140219A/en unknown
- 2004-09-16 PE PE2004000897A patent/PE20050430A1/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9-16 JO JO2004133A patent/JO2531B1/en active
- 2004-09-16 UY UY28521A patent/UY28521A1/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9-17 PA PA20048612501A patent/PA8612501A1/es unknown
- 2004-09-17 AR ARP040103338A patent/AR045673A1/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6
- 2006-03-17 US US11/384,944 patent/US794318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4-24 HK HK07104327.9A patent/HK1098050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08-21 HR HR20080407T patent/HRP20080407T3/xx unknown
- 2008-11-13 CY CY20081101304T patent/CY1110413T1/el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3753A (ko) * | 2018-02-28 | 2019-09-05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아이비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구용 서방성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353230B1 (ko) * | 2021-03-10 | 2022-01-19 | 엔비케이제약(주) | 복합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69218764T2 (de) | Pharmazeutische zubereitungen fuer die behandlung von hautschaedigungen | |
EP3151843B1 (en) | Compositions comprising cyclocarya paliurus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 |
US7943184B2 (en) | Process for preparing an extract from ivy leaves | |
CN100362983C (zh) | 一种小儿退热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 |
JP5844954B2 (ja) | アリタソウの抽出物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それらの製造方法 | |
EP0873131A1 (en) | Vasodilating composition | |
DE102015120353A1 (de) |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zur Unterstützung von Medikamenten zur Chemotherapie und deren Anwendung | |
KR100839884B1 (ko) | 저장-안정성 담쟁이덩굴 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방법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 | |
JP2006522051A (ja) | ツタの葉抽出物の製造方法 | |
CN111920799A (zh) | 一种苦乐果有效成分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CN117137971B (zh) | 一种止咳平喘的蛤蟆油组合物、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RU2576238C1 (ru) | Сбор лекарственных растений для лече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расстройства желчного пузыря при гипертонически-гиперкинетическом типе дискинезии | |
CN116350736B (zh) | 一种防治乳腺结节的中药组合物 | |
RU2423111C2 (ru) | ЭКСТРАКТЫ ПРИМЕНЯЕМОГО В КИТАЙСКОЙ МЕДИЦИНЕ РАСТЕНИЯ Chenopodium ambrosioides L., КОМПОЗИЦИИ, ВКЛЮЧАЮЩИЕ УПОМЯНУТЫЕ ЭКСТРАКТЫ,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 |
TWI387461B (zh) | 野薑花(hedychium coronarium koenig)地上部份於降低血糖之用途;野薑花地上部份之萃取物及組合物與其用途 | |
CN107243020B (zh) | 一种治疗小儿咽喉肿痛的中药口服液及其制备方法 | |
KR100558930B1 (ko) | 하르파고피툼프로쿰벤스및/또는하르파고피툼제이헤리덴스로부터얻은정제된추출물,이의제조방법및이의용도 | |
JPS60166618A (ja) | 複合副腎皮質ホルモン剤 | |
WO2023134472A1 (zh) | 人参皂苷Rd的抗炎应用 | |
CN117137971A (zh) | 一种止咳平喘的蛤蟆油组合物、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CN117883489A (zh) | 一种沙棘提取物及其在吸入式缓解阿尔茨海默症中的应用 | |
CN114732857A (zh) | 一种新型抑菌用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WO2006072213A1 (fr) | Preparations anti-depressives | |
CN105106151A (zh) | 一种接骨片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216 Effective date: 201109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