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534A - 지하철 승강장의 난간형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철 승강장의 난간형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534A
KR20060073534A KR1020050136301A KR20050136301A KR20060073534A KR 20060073534 A KR20060073534 A KR 20060073534A KR 1020050136301 A KR1020050136301 A KR 1020050136301A KR 20050136301 A KR20050136301 A KR 20050136301A KR 20060073534 A KR20060073534 A KR 20060073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evice
subway platform
switchgear
type safety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복
Original Assignee
홍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복 filed Critical 홍기복
Priority to KR1020050136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3534A/ko
Publication of KR2006007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승객의 추락방지를 위한 난간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철 승강장 전체에 난간을 설치하되 전동차문 바로 앞의 난간에는 전동차 출입문과 거의 동시에 작동하는 개폐기(출입문)를 난간과 연결 하여 개폐기가 닫쳐 있을 때에는 난간 역할을 할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의 추락사고 및 자살사고를 미연에 방지 하는데 있다.
개폐기의 구조는
1.구동은 에어 실린더를 사용하며,
2. 좌우로 움직이는 미닫이 식(A)이나 상하 회전식(B)으로 움직이게 하였으며
3.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 동력원에 전자 센서를 부착하여 본 개폐기도 전동차 출입문과 거의 동시에 작동케 하였다.
본 발명은 승강장 바닥에서 천정까지 전체를 완전 밀폐하는 것이 아닌 난간형
안전장치로서 구성이 간단하고 미려한 구조로 안전성과 경제성이 확보된 것이라 생각
된다.
지하철·전동차, 승강장, 개폐기, 난간, 전자쎈서.

Description

지하철 승강장의 난간형 안전장치{A safety equipment of taking subway guardrail}
[도 1] 난간형 안전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입면 투시도
[도 2] 전동차 승강장의 개폐기 동력전달개념도
[도 3] 난간형 안전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평면도
[도 4] 미닫이식 개폐기 정면투시도
[도 5] 미닫이식 개폐기 측면투시도
[도 6] 회전식 개폐기 정면투시도
[도 7] 회전식 개폐기 측면투시도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a.1b. 안전밸브 2. 미닫이식 개폐기. 3a.3b. 에어 실린더 4a.4b.난간 5.합성수지판 6.전동차 천정 7.도아록 손잡이 8a.8b.본체 9.승강장 바닥 10.에어호수 홀다 11.에어 호수 12.앙카 13a.13b.정첩 14.회전식 개폐기 15.개폐기 회전축 17.전동차문 18.에어 컴푸레셔 201.동력전달 리모콘 202.동력수신센서 204a.204b.솔레노이드 발브 205a.205b.안전센서 301.승강장 대기선 302.난간기둥 401.로라 402.레일 501.로라 박스 601.연결핀 602a.602b.앙카 603.열린개폐기모형 604.에어 실린더 앙카
본 발명은 지하철 승객의 추락방지를 위한 난간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철 승강장 전체에 난간을 설치하되 전동차문 바로 앞의 난간에는 전동차 출입문과 거의 동시에 작동하는 개폐기를 설치 한다.
개폐기는 난간과 연결시켜 닫쳐 있을 때에는 난간 역할을 하여 승객의 추락사고 및 자살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게 하였다.
통상적인 종래의 기술로는 승강장 바닥에서 천정까지 전체가 밀폐된 승강장 안전장치(일명:스크린도어)는 있었으나,
밀폐형은 열효율과 먼지 방지에는 효과가 있으나,답답하고,전동차가 진입하는 모습을 보기 어렵고 설치 비용도 많이 소요됨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반면,
본 발명은 성인 가슴정도 높이의 난간형으로서 종전의 기술과는 모양이 다르고,전동차의 진입모습이 보이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적으며 설치비용도 기존 밀폐형 시설에 비하여 아주저렴 함므로 노출된 지하철역사에는 적격으로 경제적이고 모양도 미려하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전동차 이용객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동차가 승강장에 도착하여 문이 열리고 닫칠 때 본 개폐장치도 동시에 열리고 닫치며 평소에는 닫쳐 있음으로 자살이나 실족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동차의 문이 난간 중앙에 멈춰 섰을 때를 대비하여 비상시에는 난간을 도어 열듯이 열수 있게 설계되어 있으며,
비상시에는 개폐문도 안전장치의 벨브를 완터치로 돌려 공기를 빼냄으로서 수동으로 열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지하철 승객의 추락방지를 위한 난간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철 승강장 전체에 난간을 설치하되 전동차문 바로 앞의 난간에는 전동차 출입문과 거의 동시에 작동하는 개폐기를 난간과 연결하여 설치 한다.
개폐기는 난간과 연결시켜 닫쳐 있을 때에는 난간 역할을 하여 승객의 추락사고 및 자살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수 있게 하였다.
전동차가 중앙에 멈춰섰을 때 비상 탈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난간을 도어 열듯이 안에서 수동으로 열수 있게 설계하였으며,
개폐기 역시 안전밸브를 원터치로 돌려 공기를 빼낼 수 있게 설계하여 비상시 수동으로 열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난간이나 개폐기의 양면에는 합성수지를 붙이고, 내부에는 형광등 을 부착하여, 합성수지에 여러가지 광고를 부착할수 있게 설계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개폐기는 미닫이 식(A형)과 회전식(B형) 2가지를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한 도면에 도시 하였으나 당업자가 실시 과정에서는 한가지 방식으로 택일하여 설치하면 될것이다.
도 1은 개폐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난간의 입면 투시도로서 개폐장치는 미닫이식(A형)(점선좌측)과 회전식(B형)(점선우측)2가지를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한 도면에 도시하였다.
(A) 형 미닫이식 개폐기(2)는 본체(8a)에 일측이 고정된 에어 실린더(3a)에 의하여 좌우 수평으로 움직이며, 2개가 한 조로 되어 서로 마주보며 움직이게 되어 있으며 비상시에는 안전밸브(1a)를 좌우 2개 설치하여 수동으로 돌려, 공기를 뽑은 후 옆으로 밀처 쉽게 열 수 있게 하였다.
본체의 고정은 본체(8a)의 하단부에 구멍 뚫린 잉카(12)를 설치하며 그 구멍을 통하여 나사를 승강장바닥(9)에 박아 고정시키며,승강장바닥(9)에 구멍을 뚫어 에어 호수(11)를 통과 시킨다. 에어호수는 에어호수홀다(10)로 고정시켜 밑으로 처지지 않게 하였다.
(B)형 회전식 개폐기(14)는 본체(8b)에 일측이 고정된 에어 실린더(3b)에 의하여 회전축(15)을 중심으로 상하 원형으로 회전 움직이며 2개가 한 조로 되어 서로 마주보며 움직이게 되어 있으며 비상시에는 안전벨브(1b)를 좌우 2개 설치하여 수동으로 작동시켜 공기를 뽑은 후 밑으로 밀처 쉽게 열 수 있게 하였다.
도2는 전동차 승강장의 개페기 동력전달 개념도로서
본 도 역시 개폐기의 종류 미닫이식("A"형)과 회전식("B"형)을 함께 도시 하였으나 실제 실행 과정에서는 좌,우 같은 종류의 개폐기로 설치 하면 될 것이다.
개폐장치의 작동은 전동차가 승강장에 도착하여 정차한후 전동차문을 열때 동력전달 리모콘(201)도 동시에 동작케하여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감지기(202)에 신호를 보내고 전자감지기(202)는 신호를 받아서 솔레노이드벨브(204a.204b)가 작동하도록 설계한다
개폐기의 주요 구성은 개폐기를 구동 시키기 위한 주동력원인 에어컴푸레셔(18)와,본 에어컴푸레셔의 에어를 변환 공급하여주는 솔레노이드벨브(204a.204b)와, 본 솔레노이드벨브 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받아 전후 피스톤 운동을 하는 에어 실린더(3a.3b)로 구성된다.
개폐시 발이나 기타 이물질이 끼었을 때에는 일정 압력이상 부하가 걸릴 때 작동하는 안전센서(205a.205b)를 부착하여 이 안전센서가 솔레노이드밸브를 콘트롤하여 문이 다시 약간 열렸다 닫칠 수 있게 설계하였다(현재 개발되어 버스 문이나 지하철 문등에 사용하고 있는 장치를 응용하면 될 것임)
도3은 난간형 안전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평면도로서
(A)형 미닫이 형 개폐기는 "ㄴ"자 형 본체(8a) 2개를 한 조로 하여 승강장 바닥 좌우에 세운후 개폐기(2)를 조립 설치하며 본체(8a)의 측부에는 난간(4a)이 부착된다. 난간 중앙에는 난간기둥(302)이 설치되며 난간의 부착은 정첩(13a)으로 하고, 한쪽은 도아록(7)으로 하여 비상시 쉽게 열수 있게 하였다. 도아록은 상하 2개를 한조로 하여 견고하게 하였으며, 손잡이는 상하 서로 연결하여 완 터치로 열수 있게 하였다.
(B)형 회전식 개폐기는 "I"자 형 본체(8b)2개를 한 조로 하여 승강장 바닥 좌우에 세운후 개폐기(14)를 조립 설치하며 본체(8b) 의 측부에는 난간(4b)이 부착되며 난간 중앙에는 난간기둥(302)이 설치된다. 난간의 부착은 정첩(13b)으로 하고, 한쪽은 도아록(7)으로하여 비상시 쉽게 열수 있게 하였다.
(A),(B) 형모두 측부의 난간구조는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개폐기 구조만 회전식과 미닫이식으로 구분,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미닫이식 개폐기 정면도로서 개폐기 전방 상부에 미닫이식 개폐기(2)를 설치하고 그 중앙에는 에어 실린더(3a)를 부착하며, 전자 감지기에 의하여 작동신호를 받은 솔레노이드 벨브가 에어 호수로 에어 실린더(3a)에 공기를 공급, 에어 실린더가 작동하여 개폐기가 좌우로 열리고 닫치게 설계되었다.
개폐기 중앙에는 상하에 2개를 한조로 하여 레일(402)을 부착하였고,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로라(401)틀에 레일을 조립 개폐기(2)가 좌우로 열리고 닫치게 설계되었다.
도5는 미닫이식 개폐기 측면도로서 전동차 문(17) 바로 앞에 개폐기 본체를 설치하며 본체 전방 상부에 미닫이식 개폐기(2)를 설치하고 그 중앙에는 에어 실린더(3a)를 부착하며, 전자 감지기에 의하여 작동신호를 받은 솔레노이드 벨브(204a)가 에어호수로 에어 실린더(3a)에 공기를 공급, 에어 실린더가 작동하여 개폐기가 열리고 닫치게 설계되었다.본체 의 고정을 위하여 하부에 앙카(12)를 부착하여, 나사를 박았다. 회전식 개폐기의 본체나 난간기둥(302)도 같은 방법으로 고정하였다.
승강장 앞 부분 밑에는 공간이 있는데 그 공간에 에어컴푸레샤(18)와 전자감지기(202)를 설치하고, 에어컴푸레샤로 부터 호수나 파이프를 이용하여 각 개폐기에 부착되어 있는 에어 실린더에 공기를 공급, 작동시켜 승강장의 개폐기가 열리고 닫치게 하였다. 개폐시 발이나 기타 이물질이 끼었을때에는 일정압력이상 부하가 걸릴때 작동하는 안전센서(205a)를 부착하여 이 안전센서가 솔레노이드밸브를 콘트롤하여 문이 다시 약간열렸다 닫칠수 있게 설계하였다(현재 개발되어 버스문이나 지하철문에 사용하고 있는 장치를 응용하면 될것임)
도6은 회전식 개폐기 정면도로서 본체 전방 상부에 회전식 개폐기(14)
를 설치하고 그 중앙에는 에어 실린더(3b)를 부착하며, 전자 감지기에 의하여 작동신호
를받은 솔레노이드벨브가 에어호수로 에어 실린더(3b)에 공기를 공급, 에어
실린더가 작동하여 개폐기가 상하 회전식으로 열리고 닫치게 설계되었다.
본체 상단 측부에는 회전축(15)역할을 하는 파이프를 부착하였고, 본체에 부착
되어 있는 에어 실린더(3b)운동에 의하여 개폐기(2)가 상하 회전식으로 열리고 닫
치게 설계되었다.개폐기가 열렸을때 전후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ㄷ"형 앙카
(602a)(602b)2개를 본체에 부착하여 개폐기가 "ㄷ"홈에 끼워지게 하였다.
도7은 회전식 개폐기 측면도로서 전동차 문 바로 앞에 개폐기 본체를 설치하며
개폐기전방 상부에 회전식 개폐기(14)를 설치하고 그 중앙에는 에어 실린더(3b)를 설치
하며 전자 감지기에 의하여 작동신호를 받은 솔레노이드 벨브(204b)가 에어호수로
에어 실린더(3b)에 공기를 공급,에어 실린더가 작동하여 개폐기가 열리고 닫치게
설계 되었다.
개폐가 닫칠때 발이나 기타 이물질이 끼었을 때를 대비하여 일정압력이상 부하가
걸릴때 작동하는 안전센서(205b)를 부착하여 이 안전센서가 솔레노이드밸브를 콘트
롤하여문이 다시 약간 열렸다 닫칠수 있게 설계하였다(현재 개발되어 지하철
사용하고 있는 장치를 응용하면 될 것임)
통상적으로 전동차문의 개폐는 전적으로 사령탑에서 콘트롤하는 시스팀과 사령탑과 사인을 주고 받으며 운전기사가 하는경우가 있는데,
상기의 전동차 문을 열고 닫는 작동 스위치에 본 동력 전달리모콘(201)(주파수를 이용한)도 연결하여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감지기인 동력수신센서(202)도 동시에 작동케 하면 승강장의 개폐장치도 전동 차문과 거의 동시에 작동케 될것이며, 이것은 종전의 밀폐식 개폐기(일명:스크린도어)의 기 개발되어 있는 개폐방식으로 통상적으로 충분히 실시할 수 있는 기술로서 센서의 자세한 도면은 미도 시 하였다.
당 업자가 실시 과정에서 전동차 출입문에 직접 전자쎈서를 부착하여 문이 열리고 닫칠 때에 승강장의 개폐기도 동시 구동 시킬 수 있겠으나 이는 전동차 출입문의 움직임을 센서가 감지하여 개폐장치의 콤푸레셔에 연결되어 되어 있는 감지기에 전달, 작동되는 것이므로 약간(1초 정도)늦게 작동 할 수도 있음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되어있는 난간(펜스)형으로서 주목적인 안전성이 확보된 장치이며,
설치비용도 기존 밀폐형 시설에 비하여 저렴함은 물론 개폐기나 난간(펜스) 부분에는 광고를 부착할 수가 있음으로 광고료 수입만으로도 수년 내에 설치비용 전액을 회수 할수 있는것으로 생각되며,
실용화 된다면 경제성,안전성,디자인 모두가 확보된 발명으로 사료 된다.

Claims (5)

  1. 지하철 승강장의 승객 추락 방지를 위한 난간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철 승강장 전체에 난간을 설치하되
    난간의 전동차 문앞 각각의 위치에는 미닫이식 개폐기를 난간과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구성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난간형 안전장치
  2. 지하철 승강장의 승객 추락 방지를 위한 난간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철 승강장 전체에 난간을 설치하되
    난간의 전동차문앞 각각의 위치에 맞추어 회전식 개폐기를 난간과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구성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난간형 안전장치
  3. 지하철 승강장의 승객 추락 방지를 위한 난간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기의 구성은 2개를 한조로하며 개폐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주동력원인 에어컴푸레셔와, 본 에어컴푸레셔의 에어를 변환 공급하여주는 솔레노이드밸브와, 본 솔레노이드밸브 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받아 전후 피스톤 운동을 하는 에어실린더와, 수동으로 에어를 뽑을수 있는 안전밸브, 이물질이끼었을 경우 잠시 열렸다 다칠수 있게 콘트롤하는 안전쎈서가 부착된 것을 구성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난간형 안전장치
  4. 지하철 승강장의 승객 추락 방지를 위한 난간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기 사이의 난간에는 정첩과 도와 록을 부착하여 도아록 손잡이로 난간을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난간형 안전장치
  5. 지하철 승강장의 승객 추락 방지를 위한 난간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기 사이의 난간 양면에는 합성수지판을 부착하고 내부에는 형광등을 설치한것을 구성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의 난간형 안전장치
KR1020050136301A 2005-12-31 2005-12-31 지하철 승강장의 난간형 안전장치 KR20060073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301A KR20060073534A (ko) 2005-12-31 2005-12-31 지하철 승강장의 난간형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301A KR20060073534A (ko) 2005-12-31 2005-12-31 지하철 승강장의 난간형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534A true KR20060073534A (ko) 2006-06-28

Family

ID=3716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6301A KR20060073534A (ko) 2005-12-31 2005-12-31 지하철 승강장의 난간형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35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7591A (ja) * 2015-06-25 2017-01-12 株式会社アンセイ プラットフォーム用安全柵
JP2018090250A (ja) * 2018-03-08 2018-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可動ホーム柵
CN114855677A (zh) * 2022-07-04 2022-08-05 海门兴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铁质护栏的间歇性节水喷洒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7591A (ja) * 2015-06-25 2017-01-12 株式会社アンセイ プラットフォーム用安全柵
JP2018090250A (ja) * 2018-03-08 2018-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可動ホーム柵
CN114855677A (zh) * 2022-07-04 2022-08-05 海门兴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铁质护栏的间歇性节水喷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603B1 (ko) 광고판 겸용 비상도어를 형성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
KR101738308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 도어 구동장치
CN110182235A (zh) 用于门扇、门和相应的运输车辆的信号组件
US10029710B2 (en) Illumination of vehicle doors
KR20060073534A (ko) 지하철 승강장의 난간형 안전장치
CN113530419A (zh) 一种双头驱动段滑式高铁站台门
KR101274949B1 (ko) 승강장 안전발판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 연동 제어 시스템
CN210888661U (zh) 一种隐藏式站台安全门
KR100694893B1 (ko) 승강장 안전발판
EP1138567A3 (de) Modular aufgebauter Wagenkasten eines Schienenfahrzeuges in Faserverbundbauweise
CN104196290A (zh) 小型遥控液压升降停车装置
KR20120003438U (ko) 매립형 광고판을 가지는 스크린도어 모듈
CN209011634U (zh) 一种基于城市交通防暴雨效果好的公交站台
KR200384904Y1 (ko) 지하철 투신 방지용 현가식(懸架式) 전동 스크린 셔터
CN201721466U (zh) 屏蔽门或全高安全门的直立式门状态指示灯
KR20040068825A (ko) 지하철 승강장용 이단 승강 발판 장치
KR20080101101A (ko) 비상시 여닫이형 개폐가 가능한 스크린 도어
CN106245835A (zh) 一种上折叠幕墙
CN220014816U (zh) 一种轨道交通门系统内紧急解锁的电控复位装置
KR100663184B1 (ko) 기둥의 전도구조를 갖는 아파트 단지 내 보안등
KR100512255B1 (ko) 지하철 안전장치
CN216583719U (zh) 一种带led灯的地坎
CN212135863U (zh) 一种新型紧急停车按钮安装装置
US8544611B2 (en) Elevator safety system with bar to prevent shaft entry
CN208602485U (zh) 空铁列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