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825A - 지하철 승강장용 이단 승강 발판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철 승강장용 이단 승강 발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825A
KR20040068825A KR1020030005378A KR20030005378A KR20040068825A KR 20040068825 A KR20040068825 A KR 20040068825A KR 1020030005378 A KR1020030005378 A KR 1020030005378A KR 20030005378 A KR20030005378 A KR 20030005378A KR 20040068825 A KR20040068825 A KR 20040068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platform
guide
arm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곤
Original Assignee
이윤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곤 filed Critical 이윤곤
Priority to KR1020030005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8825A/ko
Publication of KR20040068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82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2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 F15B15/06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for mechanically converting rectilinear movement into non- rectilinear movement
    • F15B15/065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for mechanically converting rectilinear movement into non- rectilinear movement the motor being of the rack-and-pin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 F15B2211/7052Single-acting outpu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45Pivotal connections with at least a pair of arms pivoting relatively to at least one other arm, all arms being mounted on one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승강장과 전동차출입문 사이의 간격이 넓은 곳에 이격거리 만큼의 맞춤발판을 제공하여 승객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특히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승하차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2단 승강이 가능한 구조의 발판장치를 승강장 하부공간에 설치하여 전동차가 도착하면 발판을 2단 상승하도록 하여 승강장과 전동차 출입문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고 전동차 출입문이 폐쇄되면 발판은 자동으로 복귀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자동 승강 발판장치는 직사각형 박스 후레임에 구동력 발생수단과 전달수단, 안전장치 및 맞춤발판일체를 장착하여 승강장의 구조변경 없이 통상의 지지수단으로 안전하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고 설치 후에도 관리가 용이 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지하철 승강장용 이단 승강 발판 장치{THE TWO STAGE UP-DOWN STEP SYSTEM FOR SUBWAY PLATFORM}
본 발명은 승강장과 전동차 출입문 사이의 간격이 넓은 곳에 이격거리 만큼의 맞춤보조발판을 제공하여 승객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전동차의 정기 운행이나 안전운행에는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지하철 승강장용 2단 승강 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선 승강장은 곡선이 커질수록 비례하여 전동차의 주행에 간섭하는 범위가 커지므로 직선 승강장에 비해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 결함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결함으로 유럽의 대중교통 선진국에서는 곡선승강장은 건설 하지 않을 뿐 만 아니라 승강장과 전동차의 이격거리도 제한하고 승강장 바닥과 전동차 바닥이 수평이 되도록 도시철도 건설법으로 엄격히 규제하여 휠체어 장애인까지도 안전하고 용이하게 승하차 행위가 이루어지도록 세심한 배려를 하고 있고 최근 일본에서는 전동차 차체에서 이격거리 만큼의 보조발판을 배출하는 차세대 전동차를 개발하여 시범운행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 선로 여건을 감안하면 곡선 승강장 건설은 불가피 하겠으나 이로 인하여 발생 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대책은 곡선 승강장 발빠짐 주의 같은 주의안내표지나 경광등 설치 및 주의안내방송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지하철 이용 승객에게 심리적인 불안감을 조성하여 승객유치에도 악 영향을 끼치므로 근본적인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금까지 공보 된 내용 중에는 승강장 바닥의 중층 부에서 판형 보조 발판을 배출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형태는 승강장에서 전동차로 수평연장 되지 않고 요(凹)부로 형성된다. 더욱이 중층 부 속으로 수분이나 이 물질이 끼었을 때오작동을 유발할 소지가 있고, 기존의 승강장을 구조변경 하여야 하고, 설치, 점검, 보수 시에 전동차의 정기운행에 차질이 발생 될 수 있다.
그리고 역사 내에 차량진입신호와 출발신호는 있으나, 자체 신호체계를 수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역사내의 차량진입신호는 차량의 역사 진입과 동시에 선로상의 신호발생기에 의해 선 발생되고, 승강장의 상황에 따라 기관사가 수동으로도 운전 조작이 가능하므로 차량정지선에 전동차의 도착 시기가 일정하지 않고, 차량 출발 신호는 전동차가 출발한 연후에 발생된다. 그리고 전동차 출입문 개폐신호는 차량외부의 적색 표시등에 점 소등으로 만 표시할 뿐 역사내의 신호선으로는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완행과 급행을 혼용하여 운행할 경우도 있고, 정상차량이라도 무 정차 통과와 같은 돌발 사태도 발생될 수 있으므로 역사내의 신호선을 다운받아 발판장치를 제어 하기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악조건에서도 대처 할 수 있는 정확한 신호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승강장 바닥의 중층 부에서 발판을 배출하지 않고 승강장의 하부공간에서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이격거리 만큼의 맞춤 발판을 가이드의 형상을 따라 밀착 승강 하도록 하였고 더욱이 가이드 상단의 랙과 발판부 피니언기어로 발판을 접혔다 폈다 하게 하여 전동차에는 절대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탈 부착이 가능한 직사각형 박스 후레임을 승강장의 구조변경 없이 통상의 지지수단인 앙카세트로 간단히 설치 할 수 있도록 하여, 전동차의 정기운행에 차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발판이 배출되어 승강장과 연장된 상태에서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방향제어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동 실린더의 압축 공기를 자동배기 시켜 발판은 자체 중량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장치를 프로그램화한 신호발생 수단에 의해 발판의 상승과 하강이 자동 제어 되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장치가 설치된 측면도
도 2는 미설치된 본 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승강장의 승차위치 하부 공간 G : 랙이 부착된 J(제이)자 형태의 가이드
1 : 랙 2 : 피니언
3 : 엘 엠 가이드 4 : 공압구동 실린더
5 : 샤프트 6, 6a : 회전아암 좌, 우
7, 7a : 밀착아암 좌, 우 8, 8a : 너클조인트 좌, 우
8, 8a : 너클조인트 좌, 우 9, 9a : 코일스프링 좌, 우
9, 9a : 로울러 좌,우 10, 10a : 발판부의 피니언
11 : 45° 회전 발판 12 : 직사각형 박스 후레임
본 발명은 도 2에서 도시하듯이 후레임(12)의 내부 전면 일측에 미도시한 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배치하여 발판의 승강을 제어토록하고 내부중앙에 랙(1)을 삽입한 LM 가이드(3)와 공압 구동 실린더(4)를 직렬로 배치하여 실린더 로드와 랙(1)을 축결하고 랙(1)과 피니언(2)을 서로 맞물리게 하여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샤프트(5)가 회전운동을 후레임(12)의 외부 회전아암(6)로 전달되도록 구동부와
상기한 구동부의 샤프트(5) 양측단에 회전아암(6,6a)을 체결하고 회전아암과 밀착아암(7,7a)에 스프링을 연결하여 밀착아암(7,7a)이 가이드(G)에 밀착이 가능토록하고 회전아암과 밀착아암을 너클조인트(8,8a)로 체결한 너클조인트부와
상기한 너클조인트부의 밀착아암(7,7a) 상단에 45°회전발판을 체결하고 발판 양끝단에 로울러(9,9a)와 피니언(10,10a)을 체결하여 발판이 가이드(G)를 따라 밀착 승강하는 것을 로울러(9,9a)가 원활하게 하고 가이드(G) 상단의 랙과피니언(10,10a)이 맞물려 발판이 승강 할 시에 45° 회전을 가능케 한 발판부로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도1에서 도시 하듯이 상기한 메카니즘을 직사각형 박스후레임(12)에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승강장의 승차 위치선 하부공간(S)의 천정부에 통상의 지지 수단인 앙카세트로 취부토록 하고 랙을 가진 J(제이)자 형태의 가이드(G)를 승강장 바닥 측면에 부착토록 하였다.
본 발명은 직사각형 박스후레임(12)에 메카니즘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설치를 단순화 시켰고 기존 승강장의 구조변경 없이 전동차의 정상운행에 차질을 발생시키지 않고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압축 실린더(4) 대신 감속 모터를 구동력 발생 수단으로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판이 배출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공압 실린더(4)의 구동력을 상실 했을 때 싱글 솔레노이드 밸브가 실린더(4)의 압축공기를 자동으로 배기시켜 발판은 자체 하중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전동차와 발판이 접촉하는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판이 랙을 가진 J(제이)자 형태의 가이드(G)를 따라 밀착승강이 가능하고 또한 가이드(G) 상단의 랙과 발판의 피니언(10,10a)에 의해 발판이 45° 회전 하므로 전동차량을 전혀 간섭하지 않는 발판의 밀착승강과 발판회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격거리 만큼의 맞춤발판을 제공하여 전동차 출입문과 승강장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판의 승강작동은 미 도시한 프로그램화한 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제어한다.
이상의 구조적 특징에 따른 작동을 살펴보면
도1에서 도시 하듯이 승강장의 승차위치 하부공간(S)의 천정부에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되고 승강장 바닥 측면에 랙을 가진J(제이)자 형태의 가이드(G)가부착되고 프로그램화된 신호발생수단(미 도시)과 결선되고 청정 압축공기를 본 장치에 제공하는 에어 크린 시스템(미 도시)이 설치된 토탈 시스템을 갖춘 상태에서 전동차가 승강장의 차량 정지선에 도착하면 프로그램화한 신호발생수단이 본 장치에 방향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로 정회전 전기신호를 발생 시킨다.
이때 발판은 전동차가 도착하고 출입문이 개방되는 시간(텀 약3초)내에 승강장의 하부공간(S)에서 가이드(G)의 형상을 따라 밀착상승하면서 45°회전으로 펴져 출입문이 개방되는 시점에서 승강장 바닥과 수평을 유지 시킨다. 그리고 전동차의 출입문이 폐쇄되면 신호발생수단이 본 장치의 방향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로 역회전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승된 발판은 전동차의 출입문이 폐쇄되고 전동차가 출발하는 시간(텀 약3초)이내에 역순으로 45°회전으로 접히면서 밀착하강하여 승강장의 하부공간(S)의 원위치로 복귀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철 승강장과 전동차 출입문 사이의 간격이 넓은곳에 승강장의 구조 변경 없이 전동차의 정기운행이나 안전운행에 전혀 지장을 초래 하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인 맞춤 발판을 제공하여 승객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휠체어 장애인도 용이하게 승하차 할 수 있게 하므로 써, 지하철에 대한 심리적인 불안감을 해소 할 수 있어 전철의 승객 유치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Claims (3)

  1. 직사각형박스 후레임(12)의 내부 전면 일측에 미도시한 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배치하여 발판의 승강을 제어토록하고 내부중앙에 랙(1)을 삽입한 LM가이드(3)와 공압 구동 실린더(4)를 직렬로 배치하여 실린더 로드와 랙(1)을 축결하고 랙(1)과 피니언(2)을 서로 맞물리게 하여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샤프트(5)가 회전운동을 후레임(12)의 외부 회전아암(6)로 전달되도록 구동부와
    상기한 구동부의 샤프트(5) 양측단에 회전아암(6,6a)을 체결하고 회전아암과 밀착아암(7,7a)에 스프링을 연결하여 밀착아암(7,7a)이 가이드(G)에 밀착이 가능토록하고 회전아암과 밀착아암을 너클조인트(8,8a)로 체결한 너클조인트부와
    상기한 너클조인트부의 밀착아암(7,7a) 상단에 45°회전발판을 체결하고 발판 양끝단에 로울러(9,9a)와 피니언(10,10a)을 체결하여 발판이 가이드(G)를 따라 밀착 승강하는 것을 로울러(9,9a)가 부드럽게 하고 가이드(G) 상단의 랙과 피니언(10,10a)이 맞물려 발판이 승강 할 시에 45° 회전을 가능케 한 발판부로 구성된 지하철 승강장용 이단 승강 발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카니즘을 직사각형 박스후레임(12)에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승강장의 승차 위치선 하부공간(S)의 천정부에 통상의 지지 수단인 앙카세트로 취부토록 하고 랙을 가진 J(제이)자 형태의 가이드(G)를 승강장 바닥 측면에 부착토록 한 지하철 승강장용 이단 승강 발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45°회전발판이 랙을 가진 J(제이)자 형태의 가이드(G)를 따라 밀착승강이 가능하고 또한 가이드(G) 상단의 랙과 발판의 피니언(10,10a)에 의해 발판이 45° 회전 하므로 전동차량을 전혀 간섭하지 않는 발판의 밀착승강과 발판회전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용 이단 승강 발판장치.
KR1020030005378A 2003-01-27 2003-01-27 지하철 승강장용 이단 승강 발판 장치 KR20040068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378A KR20040068825A (ko) 2003-01-27 2003-01-27 지하철 승강장용 이단 승강 발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378A KR20040068825A (ko) 2003-01-27 2003-01-27 지하철 승강장용 이단 승강 발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825A true KR20040068825A (ko) 2004-08-02

Family

ID=3735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378A KR20040068825A (ko) 2003-01-27 2003-01-27 지하철 승강장용 이단 승강 발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88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714B1 (ko) * 2007-10-02 2009-06-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안전 스탭 장치
WO2016064062A1 (ko) * 2014-10-22 2016-04-28 (주)진합 플랫폼 스텝 장치
KR20160047635A (ko) * 2014-10-22 2016-05-03 (주)진합 플랫폼 스텝 장치
CN110126848A (zh) * 2019-05-14 2019-08-16 南京启越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站台补偿器
CN111516709A (zh) * 2020-05-09 2020-08-11 吴婷婷 一种用于轨道站台的支撑踏板及其使用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714B1 (ko) * 2007-10-02 2009-06-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안전 스탭 장치
WO2016064062A1 (ko) * 2014-10-22 2016-04-28 (주)진합 플랫폼 스텝 장치
KR20160047635A (ko) * 2014-10-22 2016-05-03 (주)진합 플랫폼 스텝 장치
CN110126848A (zh) * 2019-05-14 2019-08-16 南京启越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站台补偿器
CN110126848B (zh) * 2019-05-14 2020-05-05 南京启越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站台补偿器
CN111516709A (zh) * 2020-05-09 2020-08-11 吴婷婷 一种用于轨道站台的支撑踏板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1152A (en) Wheelchair lift for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US20220412097A1 (en) Ascending mechanised access ramp (a-mar)
KR100954275B1 (ko) 차량의 안전발판 장치
KR101940649B1 (ko) 구조가 간단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US4347030A (en) Wheelchair loading device for trains
KR20040068825A (ko) 지하철 승강장용 이단 승강 발판 장치
KR100694893B1 (ko) 승강장 안전발판
KR101701391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JPH02204160A (ja) プラットホームと車両との隙間を埋める可動踏板装置
KR20030004234A (ko) 지하철 승강장용 승강 발판장치
JP4742363B2 (ja) バス昇降床装置
KR200411949Y1 (ko) 승강장 안전발판
JP2005029050A (ja) 列車用車椅子渡り板
KR200217032Y1 (ko) 리프트 장치를 구비한 육교
JPS58188748A (ja) 都市交通システム
KR20100089925A (ko) 지하철 승강장용 승강 발판장치
KR20090027296A (ko) 전동차의 안전 발판
JP2007276757A (ja) パレット使用による鉄道車輌の運行方法
EP0236600A1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KR20060031762A (ko) 지하철 안전 발판
KR20050002404A (ko) 출입문 연동형 안전발판장치
US20230293365A1 (en) Descending mechanised access ramp (d-mar)
CN219769861U (zh) 地铁站台轮椅渡板装置
JP3216922U (ja) 車両
KR20190035071A (ko)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장치를 이용한 전동차용 슬라이딩 스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