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430A - 카세트 및 판재 취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세트 및 판재 취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430A
KR20060073430A KR1020050081149A KR20050081149A KR20060073430A KR 20060073430 A KR20060073430 A KR 20060073430A KR 1020050081149 A KR1020050081149 A KR 1020050081149A KR 20050081149 A KR20050081149 A KR 20050081149A KR 20060073430 A KR20060073430 A KR 20060073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ssette
air
take
gla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4655B1 (ko
Inventor
카츠미 마츠바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7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coupling elements, kinematic members, handles or elements to be externally grip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판재를 고밀도로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카세트의 판재적재부의 상하의 피치를 좁게 한 판재 취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복수의 판재(G)를 수용하는 카세트(10)와, 이 카세트(10)로부터 판재(G)를 한 장씩 꺼내는 취출장치(20)로 이루어지고, 카세트(10) 및 취출장치(20)의 판재적재부(11, 25)에 판재적재부(11, 25)로부터 판재(G)를 들어올리는 에어의 취출구(12, 22)를 형성하며, 취출장치(20)에 부상된 판재(G)의 가장자리부를 유지해서 꺼내는 인출수단(21)을 설치했다.

Description

카세트 및 판재 취출 시스템{CASSETTE AND SYSTEM FOR TAKING OUT BO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취출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복수단으로 겹쳐 쌓인 상태의 카세트를 취출장치측으로부터 본 바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취출장치의 주요부를 도 2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본 바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카세트에 판재를 넣고 빼는 상태를 측면에서 본 바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 (b)는, 종래의 판재 취출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카세트
11 판재적재부
12 취출구
13 취입구
20 취출장치
21 핸드(인출수단)
24 에어 공급관
25 판재적재부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유리판 등, 그 두께에 비해서 종횡치수가 큰 복수의 판재를 그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하로 겹쳐서 수용하는 카세트와, 이 카세트로부터 판재를 한 장씩 랜덤으로 꺼내고, 또한 수납하는 취출장치로 이루어지는 판재 취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설명한 판재 취출 시스템은,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유리판을 일시보존하거나, 그 장치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공정에서 공정 사이의 저류, 운반수단 등으로서 산업계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때, 유리판을 수평상태에서 수용하고, 또한, 한 장씩 랜덤으로 꺼낼 수 있다는 요청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편으로는 액정표시장치의 대형화, 생산성의 향상의 점으로부터 유리판의 종횡치수가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고, 유리판의 수용상태에서의 휘어짐이 취출, 수납의 때에 지장이 되지 않도록 할 필요도 있었다.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판재 취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고,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은, 그 일례이며 그 개요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a)의 판재 취출 시스템(120)은, 판재인 유리판(G)을 상자형상의 카세트(112)에 설치된 복수의 선반형상의 판재적재부(115)의 다수의 지지봉(116)의 위에 적재되어 수용하고, 유리판(G)을 취출, 수납할 때에는 복수의 지지봉(116) 사이에 슬라이드 포크(도시생략)를 진퇴 상하이동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 시스템(120)에서는 슬라이드 포크를 진퇴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스페이스에 더해서 유리판(G) 및 슬라이드 포크의 휘어짐을 고려해서 지지봉(116)의 길이를 결정할 필요가 있어, 이 휘어짐의 정도만큼 그 길이가 길어져 있었다. 그 때문에, 판재적재부(115)의 피치를 그것 이상 작게 할 수 없어서, 카세트(112)로의 유리판(G)의 수납효율의 향상이 제한되어 있었다.
도 5(b)의 판재 취출 시스템(130)은 소위 와이어 방식의 카세트(123)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130)의 카세트(123)에 있어서는 그 프레임체 사이에 와이어(124)를 당겨서 선반형상의 판재적재부로서 기능시키고, 여기에 유리판(G)을 적재시키고 있다.
취출장치(121)는 상하 2단으로 구성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진퇴, 상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측 포크(121-1)와 하측 포크(121-2)를 구비하고, 이 하측 포크(121-2)에 지지봉(122)이 다수 세워 설치되어 있다. 상측 포크(121-1)와 하측 포크(121-2)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섭하지 않는 것이고, 지지봉(122)도 수평방향으로는 카세트(123)측의 와이어(124)에 간섭하지 않는 것이다.
이 취출장치(121)로 유리판(G)을 꺼낼 경우는, 우선, 하측 포크(121-1)만을 유리판(G)을 적재한 와이어(124)의 아래에 끼운다. 이어서, 하측 포크(121-2)를 상승시켜서 지지봉(122)의 위에 유리판(G)을 적재해서, 유리판(G)을 와이어(124)로부터 이간시킨다.
다음에, 이렇게 해서 형성된 유리판(G)과 와이어(124)의 간극에 상측 포크(121-1)를 끼워서 진퇴 상하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시스템(130)에서도 상기 시스템(120)의 지지봉(116)과 같은 휘어짐의 문제가 지지봉(122)의 길이에 관해서 존재하고, 또한 취출장치(121)의 구성이 복잡해서 취출의 공정이 많아져 여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4-30405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재를 보다 작은 피치로 수평수납하고, 또한 판재를 한 장씩 랜덤으로 취출, 수납할 수 있는 카세트 및 판재 취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카세트는, 복수의 판재를 수용하는 판재적재부를 가지는 카세트로서, 상기 카세트의 판재적재부에 상기 판재적재부로부터 공작물을 들어올리는 에어의 취출구를 설치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판재 취출 시스템은, 복수의 판재를 수용하는 카세트와, 이 카세트로부터 판재를 한 장씩 꺼내는 취출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세트 및 상기 취출장치의 판재적재부에 상기 판재적재부로부터 공작물을 들어올리는 에어의 취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취출장치에 부상된 판재의 가장자리부를 유지해서 꺼내는 인출수단을 설치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여기서, 시스템 및 판재의 「취출」이란, 카세트로부터 밖으로 판재를 꺼내 는 것과, 판재를 카세트에 수납하는 것을 의미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판재 취출 시스템은, 청구항 2에 기재된 판재 취출 시스템에 있어서 카세트의 각 판재적재부에 에어의 취입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취출장치에, 취입구에 접속하는 에어 공급관을 설치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판재 취출 시스템은, 청구항 2에 기재된 판재 취출 시스템에 있어서 인출수단을 비접촉상태에서 판재를 흡착유지하는 것으로 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취지를 넘지 않는 한 조금도 이하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판재 취출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판재 취출 시스템(100)은,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유리판을 일시보존하거나, 상기 판재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공정에서 공정 사이의 저류, 운반수단 등에 넓리 이용되는 것이고, 유리판(G)을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상하로 겹쳐서 수평수용하는 카세트(10)와, 카세트(10)로부터 유리판(G)을 한 장씩 취출, 수납하는 판재적재부(25)를 진퇴, 상하이동시킴과 아울러, 자체가 선회, 이동 가능하게 된 취출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카세트(10)는, 상자형상의 각(殼) 구조체로서, 유리판(G)을 수용한 상태에서, 전체가 이동, 운반 가능한 것이다. 카세트(10)내에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판재적재부(11)를 복수 설치하고 있고, 복수단의 선반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카세트(10)는, 카세트(10)내에 수납되는 유리판(G)을 판재적재부(11) 의 면으로 지지하여 적재하도록 하고 있고, 수납된 유리판(G)의 자중에 의한 휘어짐을 작게 하도록 배려되어 있다. 또한, 유리판(G)의 넣고 꺼냄을 위해 앞면부의 개구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취출장치(20)에 구비되어 있는 판재적재부(25)는, 유리판(G)을 수평으로 옮겨 싣기 위해 판재적재부(11)와 동일한 평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재적재부(25)에는 유리판(G)의 가장자리부를 유지해서 꺼내는 인출수단인 핸드(21)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카세트(10)를 취출장치(20)측으로부터 본 바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판재적재부(11)의 좌우에는 에어관(14)의 조인트부인 에어의 취입구(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판재적재부(11)내에는 에어관이 종횡으로 격자형상으로 둘러쳐져 있고, 각 판재적재부(11)의 유리판(G)과의 접촉면측에 에어가 분사되도록 에어의 취출구(12)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에어의 취입구(13)로부터 에어가 공급되었을 경우에는 복수의 에어의 취출구(12)로부터 에어가 분사되고, 판재적재부(11) 위에 적재된 유리판(G)이 부상되도록 하고 있다.
도 3은, 취출장치(20)의 판재적재부(25)및 핸드(21)를 도 2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본 바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판재적재부(25) 및 핸드(21)는, 취출장치(20)의 제어부에 의해 판재적재부(25)가 상하로 승강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동하고, 또한 판재적재부(25)의 핸드(21)가 판재적재부(25) 위에서 전후로 이동하여 이것에 의해 유리판(G)의 넣고 꺼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판재적재부(25)에는, 카세트(10)의 취입구(13)에 접속하는 에어의 공급구(23)가 형성되고, 에어의 공급구(23)를 통해서 취입구(13)에 접속하는 에어 공급관(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판재적재부(25)의 유리판(G)과의 접촉면측에 에어가 분사되도록 판재적재부(25)로부터 판재(G)를 들어올리는 에어의 취출구(22)가 복수 형성되고, 이 취출구(22)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26)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핸드(21)는,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한 베르누이 척(chuck)이고, 비접촉상태에서 유리판(G)을 흡착유지하는 것이다. 판재적재부(25)의 핸드(21)의 내부에도 에어 공급관(26)으로부터 에어가 둘러져, 에어를 이용한 비접촉상테에서 유리판(G)을 흡착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한 베르누이 척이란, 핸드(21)의 흡착판의 중앙의 노즐로부터 기체(주로 질소가스)를 분출시켜, 유리판(G)의 표면을 따라 고속의 기체를 흐르게 해서 부압을 발생시키고, 이 부압에 의해 유리판(G)을 핸드(21)의 흡착판에 비접촉상태로 유지시키도록 한 척을 말한다.
도 4는, 카세트(10)에 유리판(G)을 꺼내고 넣는 상태를 측면으로부터 본 바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리판(G)의 카세트(10)에 대한 꺼내고 넣음은, 취출장치(20)가 카세트(10)의 개구부(10a) 앞으로 이동하고, 에어의 취입구(13)와 에어의 공급구(23)를 조인트하여, 에어관(14)과 에어 공급관(24)을 접속시킨다.
이 때문에, 취출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는, 취출장치(20)의 에어의 공급구(23)로부터 카세트(10)의 에어의 취입구(13)를 통해서 공작물인 유리판(G)이 적재되어 있는 판재적재부(11)에 들어간다.
이때, 에어관(14)은 판재적재부(11)내에 종횡으로 격자형상으로 배관되어 있으므로 판재적재부(11) 전체에 에어가 공급되고, 복수의 에어의 취출구(12)로부터 나간다. 이 결과, 판재(G)가 판재적재부(11)로부터 부상한다.
한편, 취출장치(20)의 핸드(21) 및 판재적재부(25)에도 에어가 공급되고 있고, 부상된 유리판(G)의 가장자리부를 핸드(21)에 의해 흡착유지하여, 핸드(21)를 판재적재부(25) 위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진퇴)시킴으로써 유리판(G)의 취출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판재적재부(11)와 판재적재부(25)의 동일평면상을 유리판(G)이 비접촉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평행이동해서 취출된다. 또한, 취출장치(20)로부터 카세트(10)로의 유리판(G)의 수납은 상기의 반대의 순서에 의해 행해진다.
이상으로부터 판재 취출 시스템(100)에 의하면, 취출구(12)로부터 분사시킨 에어에 의해 유리판(G)을 판재적재부(11)로부터 부상시켜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면서, 핸드(21)를 진퇴시킴으로써 유리판(G)의 가장자리부를 유지해서, 판재적재부(11)에는 비접촉상태에서 유리판(G)을 한 장씩 랜덤으로 취출, 수납할 수 있다.
즉, 취출 또는 수납 중인 유리판(G)은, 에어에 의해 유리판(G)의 전체면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으므로, 핸드(21)에 의한 캔틸레버 지지가 아니라, 유리판(G) 및 핸드(21)의 휘어짐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취출구(22)를 빼면 판재적재부(11)가 평판형상으로 해서 있으므로, 적재상태의 유리판(G)의 휘어짐의 문제도 적다.
이와 같이 유리판(G)을 판재적재부(11)로부터 부상시켜 꺼낼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슬라이드 포크의 휘어짐이나 판재의 휘어짐을 고려해서 판재적재부(11)의 상하의 피치를 넓게 할 필요가 없고, 이 때문에 판재적재부(11) 상호간의 피치를 짧게 할 수 있으며, 카세트(10)로의 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유리판(G)을 보다 작은 피치로 수평수납할 수 있다.
또한, 취출 또는 수납 중인 유리판(G)은, 에어에 의해 유리판(G)의 전체면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으므로, 핸드(21)에 의한 취출 또는 수납은 유리판(G)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좋고, 핸드를 유리판(G)의 하방에 삽입하거나, 상하 움직이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취출장치(20)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일 없고, 취출의 공정이 많지 않으며, 여분의 시간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판재적재부(25)로부터 공작물(G)을 들어올리는 에어의 취출구(22)를 복수 형성하고, 이 취출구(22)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26)을 설치하고 있으며, 판재적재부(25)의 표면으로부터도 에어가 분출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유리판(G)은 판재적재부(25)에도 접촉하는 일 없이, 판재적재부(11)와 판재적재부(25)의 동일 평면상에 원활하게 옮겨 실어진다. 이것에 의해 유리판(G)의 휘어짐의 정도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취출 또는 수납할 수 있고, 또한 유리판(G)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각 판재적재부(11)에는 에어의 취입구(13)를 설치함과 아울러, 취출장치(20)에, 취입구(13)에 접속하는 에어의 공급구(23) 및 에어 공급관(2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카세트(10)에 일단 공급된 에어를 어느 판재적재부(11)에 공급하는가를 선택해서 공급하는 에어의 공급수단을 각 판재적재부(11)마다 설치할 필요 없이, 심 플한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에어의 공급구(23)가 하나로 끝난다.
핸드(21)는 비접촉상태에서 유리판(G)을 흡착유지하는 것이므로, 이 점에 있어서도 유리판(G)에 전혀 접촉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판재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인출, 취출, 또는 수납할 수 있다.
그런데, 유리판(G)은 그 제조공정의 생산성, 수율을 좋게 하기 위해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지만, 이와 같은 카세트(10)와 취출장치(20)의 조합에 의하면, 유리판(G)의 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휘어짐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커져서 액정표시장치용 유리판의 대형화 경향에 적합하다.
이상, 본 발명의 카세트 및 판재 취출 시스템(100)에 대한 최량의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그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카세트, 취출장치는 이와 같은 유리판뿐만 아니라, 수평상태에서의 수납이 요구되고, 그 두께에 비해서 종횡치수가 큰 판재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판재로서 예를 들면, 액정용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혹은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리, 수지가 이용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출수단으로서 비접촉상태에서 유리판(G)을 흡착유지하는 핸드(21)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즉, 인출수단은 부상된 판재의 가장자리부를 유지해서 취출하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유리판(G)의 가장자리부를 직접 파지해서 유지하는 것이어도 좋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카세트에 의하면, 복수의 판재를 수용하는 판재적재부에 상기 판재적재부로부터 판재를 들어올리는 에어의 취출구를 형성했으므로, 에어에 의해 판재를 판재적재부로부터 부상시켜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면서, 그 판재를 한 장씩 랜덤으로 취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취출구를 빼면 판재적재부를 평판형상으로 할 수 있게 되므로 판재의 휘어짐의 문제도 적다. 따라서, 판재적재부 상호간의 피치를 짧게 할 수 있어 카세트로의 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판재 취출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의 판재를 수용하는 카세트와, 이 카세트로부터 판재를 한 장씩 취출하는 취출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세트 및 상기 취출장치의 판재적재부에 상기 판재적재부로부터 공작물을 들어올리는 에어의 취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취출장치에 부상된 판재의 가장자리부를 유지해서 꺼내는 인출수단을 설치했으므로, 에어에 의해 판재를 판재적재부로부터 부상시켜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면서, 이 판재의 가장자리부를 유지해서 꺼내는 인출수단에 의해 판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판재를 한 장씩 랜덤으로 취출, 수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캔틸래버 지지는 아니므로, 판재 및 인출수단의 휘어짐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또한 취출구를 빼면 판재적재부를 평판형상으로 할 수 있게 되므로, 판재의 휘어짐의 문제도 적다. 따라서, 판재적재부 상호간의 피치를 짧게 할 수 있어, 카세트로의 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판재 취출 시스템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판재 취 출 시스템이 나타내는 효과에 더해서, 카세트의 각 판재적재부에 에어의 취입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취출장치에, 취입구에 접속하는 에어 공급관을 설치했으므로, 각 판재적재부마다 에어의 공급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심플한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4에 기재된 판재 취출 시스템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판재 취출 시스템이 나타내는 효과에 더해서, 인출수단을 비접촉상태에서 판재를 흡착유지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판재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인출, 취출 및 수납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4)

  1. 복수의 판재를 수용하는 판재적재부를 가지는 카세트로서, 상기 카세트의 판재적재부에 상기 판재적재부로부터 공작물을 들어올리는 에어의 취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2. 복수의 판재를 수용하는 카세트, 및 이 카세트로부터 판재를 한 장씩 꺼내는 취출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세트 및 상기 취출장치의 판재적재부에 상기 판재적재부로부터 공작물을 들어올리는 에어의 취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취출장치에 부상된 판재의 가장자리부를 유지해서 꺼내는 인출수단을 설치한 판재 취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각 판재적재부에 에어의 취입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취출장치에 상기 취입구에 접속하는 에어 공급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취출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을 비접촉상태에서 판재를 흡착유지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취출 시스템.
KR1020050081149A 2004-12-24 2005-09-01 카세트 및 판재 취출 시스템 KR100894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73823 2004-12-24
JP2004373823A JP2006176190A (ja) 2004-12-24 2004-12-24 カセット及び板材取出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430A true KR20060073430A (ko) 2006-06-28
KR100894655B1 KR100894655B1 (ko) 2009-04-24

Family

ID=3673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149A KR100894655B1 (ko) 2004-12-24 2005-09-01 카세트 및 판재 취출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176190A (ko)
KR (1) KR100894655B1 (ko)
TW (1) TW2006215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6190A (ja) 2004-12-24 2006-07-06 Murata Mach Ltd カセット及び板材取出システム
CN112239084B (zh) * 2020-10-12 2022-06-28 临沂众旭机械有限公司 悬浮换向式高精度玻璃面板传送机械手
CN112239083B (zh) * 2020-10-12 2022-05-06 桑宏昌 气孔换向式悬浮高精度玻璃面板传送机器人整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4601B2 (ja) 1998-07-08 2009-06-10 昌之 都田 基体の移載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JP2000174088A (ja) 1998-12-04 2000-06-23 Super Silicon Kenkyusho:Kk ウエハローダ
JP4246507B2 (ja) * 2002-05-07 2009-04-02 コーニ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大型薄板用コンテナーおよび大型薄板給排装置
JP2006176190A (ja) 2004-12-24 2006-07-06 Murata Mach Ltd カセット及び板材取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76190A (ja) 2006-07-06
TW200621595A (en) 2006-07-01
KR100894655B1 (ko) 200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9260B2 (ja) 基板搬送システム
US7014415B2 (en)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method for removing the substrate, and method for accommodating the substrate
JP2008285251A (ja) 板材搬送収納システムおよび板材搬送収納方法
JPH059333B2 (ko)
US10340167B2 (en) Robot for transferring article
JP2007191239A (ja) トレイ搬送システム
JP2005138944A (ja) 基板搬入出装置
KR100894655B1 (ko) 카세트 및 판재 취출 시스템
TWI588073B (zh) 在天花板上存儲和處理物品的裝置
JP5163860B2 (ja) 基板搬送装置
JP2006315850A (ja) 基板移載システム及びエア噴出ユニット
JP2006347752A (ja) 搬送システム
JP4348520B2 (ja) 搬送システム
JP2008204996A (ja) バッファ装置
JP4602359B2 (ja) 液晶基板の搬送装置
KR20210041345A (ko) 물품 이송 장치
JP2009238904A (ja) ガラス板収納装置
KR100782448B1 (ko) 기판 카세트, 기판 반송 장치, 기판 보관 반송 장치, 기판반입 시스템, 기판 반출 시스템 및 기판 반입/반출 시스템
JP2006245486A (ja) ストッカーの棚フレーム構造
JP2007134734A5 (ko)
KR100874206B1 (ko) 판재 취출시스템 및 취출장치
JP2005145713A (ja) 基板の搬送装置
JP4371009B2 (ja) 基板搬送装置、基板保管搬送装置、基板搬入システム、基板搬出システム及び基板搬入/搬出システム
JP4461960B2 (ja) 基板保管搬送装置、基板搬入システム、基板搬出システム及び基板搬入/搬出システム
JPH0538654A (ja) 棒材搬出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