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260A -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260A
KR20060072260A KR1020040110662A KR20040110662A KR20060072260A KR 20060072260 A KR20060072260 A KR 20060072260A KR 1020040110662 A KR1020040110662 A KR 1020040110662A KR 20040110662 A KR20040110662 A KR 20040110662A KR 20060072260 A KR20060072260 A KR 20060072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pin
data
interface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4186B1 (ko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0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186B1/ko
Priority to EP05026857A priority patent/EP1675269A1/en
Priority to JP2005356992A priority patent/JP2006178957A/ja
Priority to US11/312,517 priority patent/US7388520B2/en
Priority to CNB2005101362180A priority patent/CN100476700C/zh
Publication of KR20060072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20Dynamic coding, i.e. by key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병렬 데이터와 직렬 데이터 간 변환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칩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와 키 입력부 사이에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의 직렬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칩을 통해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키 입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키입력부의 병렬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칩을 통해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적은 개수의 제어부 핀을 이용하여 많은 개수의 키를 구비한 키 입력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설계의 용이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이동통신단말기, 키패드제어, 입력핀, 출력핀, 격자키구성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구성의 일례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구성의 일례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키 입력에 따른 인터페이스칩의 입력핀의 입력 병렬 데이터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어부 200: 인터페이스칩
210: 입력필터 220: 레지스터
230: 제1 입출력 포트 240: 제2 입출력 포트
250: 제1 트랜지스터 215: 제2 트랜지스터
260: 파워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구성의 일례를 보인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출력 핀들(KBC_0-KBC_4)을 구비하는 출력부와 외부 키 입력에 의해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소정 개수의 입력 핀들(KBR_0-KBR_4)을 구비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제어부(10)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연결하는 키 입력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 입력부(20)는, 상기 출력핀들과 상기 입력핀들이 격자(matrix) 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각 출력핀과 각 입력핀을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들을 구비한다. 하나의 스위치가 하나의 키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 입력부(20)의 각 스위치는 입력이 없을 때에는 제어부(10)의 각 출력핀과 각 입력핀을 연결시키지 않는다. 제어부(10)는 출력부의 출력핀들(KBC_0-KBC_4)을 통해 신호들을 출력하고, 입력부의 입력핀들(KBR_0-KBR_4)은 로우(low) 상태 신호들을 유지한다.
외부로부터 키가 입력되면, 즉, 키 입력부(20)의 해당 스위치가 조작되면, 출력부의 해당 출력핀과 입력부의 해당 입력핀이 연결되고, 상기 해당 입력핀과 연결된 출력핀의 신호는 로우 상태로 변한다. 상기 로우 상태로 변화된 신호에 의해 인터럽트(interrupt)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는 로우 신호로 변화된 출력핀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상기 확인된 출력핀과 연결된 입력핀을 확인하기 위해, 입력부의 각 입력핀의 신호를 입력핀마다 차례대로 변화시켜 상기 출력핀의 신호를 변화시키는 입력핀을 검색한다. 따라서 제어부(10)는 입력핀 5개(KBR_0-KBR_4)와 출력핀 5개(KBC_0-KBC_4)로 이루어진 25개의 조합 중 한 개의 조합을 검색하여, 입력된 키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에서, 예를 들어, 입력 키의 개수가 25개일 때 상기 25개의 키를 제어하기 위해 5x5 격자 구조에 의해 제어부는 10개의 핀(입력핀 5개, 출력핀 5개)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key pad)의 키 개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사용자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력 키의 개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에서 제어부의 핀 개수는 키 입력부의 키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즉, 컴퓨터의 자판과 같이 많은 개수의 입력 키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하게 되면, 제어부에 요구되는 핀 개수도 더욱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64개의 입력 키가 필요한 경우 8x8 격자 구조에 의해 제어부의 16개 핀이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는, 필요한 입력 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어부의 핀 개수도 크게 증가하므로 입력 키 제어를 위해 너무 많은 핀을 제어부가 할당하게 되어 제어부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제어부의 핀을 다른 기능을 위해 설계할 수 있는 설계의 용이성 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키 패드의 키 개수를 증가시켜 키 사용 제한을 없앰과 동시에 키 제어를 위한 제어부의 핀의 개수를 적게 사용하여 키패드의 키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어부가 적은 개수의 핀을 이용하여 외부 입력 키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는, 병렬 데이터와 직렬 데이터 간 변환을 수행하고 키가 입력되면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인터페이스칩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를 상기 인터페이스칩으로 입력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칩의 출력 포트와 입력 포트를 연결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칩의 레지스터를 억세스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주소 핀과, 상기 직렬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방식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칩과 주고 받기 위한 소정 개수의 데이터핀과, 상기 인터럽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럽트핀을 이용하여,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된 키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방법은, 제어부, 인터페이스칩, 키입력부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의 인터럽트 핀에 인터페이스칩으로부터 인터럽트가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가 키입력부의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직렬 통신 데이터핀을 통해 인터페이스칩으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읽어오는 과정과; 상기 읽어온 직렬 데이터와 기저장된 직렬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키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칩의 입력핀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터페이스칩의 각 출력핀의 데이터를 차례대로 변화시킨 다수개의 직렬 데이터 열을 상기 직렬 통신 데이터핀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칩으로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키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칩의 출력핀을 검색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직렬 통신 데이터핀을 통해 초기화 직렬 데이터를 주소핀을 통해 주소를 상기 인터페이스칩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페이스칩은 상기 주소에 해당되는 레지스터 영역에 상기 초기화 직렬 데이터를 병렬로 저장한 후 초기화 병렬 데이터를 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키입력부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병렬 데이터와 직렬 데이터 간 변환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칩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와 키 입력부 사이에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의 직렬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칩을 통해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키 입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키입력부의 병렬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칩을 통해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부는 적은 개수의 핀을 이용하여 많은 개수의 키를 구비한 키 입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구성의 일례를 보인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는, 병렬 데이터와 직렬 데이터 간 변환을 수행하고 키가 입력되면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인터페이스칩(200)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가 입력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칩(200)의 출력 포트와 입력 포트를 연결하여 상기 입력된 키를 상기 인터페이스 칩(200)으로 전송하는 키 입력부(300)와; 상기 인터페이스 칩(200)의 레지스터를 억세스하기 위한 주소선을 위한 3개 핀(101-103)과 상기 직렬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방식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칩(200)과 주고 받기 위한 2개 핀(104)(105)과 상기 인터럽트를 수신하기 위한 1개 핀(106)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키를 인식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정의 통신 방식은 I2C(or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 마이크로-WIRE 방식, 일반 직렬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칩(200)은 상기 소정의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직렬 데이터를 필터링하기 위한 입력 필터(210)와; 상기 입력 필터(210)를 통해 수신된 직렬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주소에 따라 병렬 데이터로 저장하고, 역으로, 병렬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직렬 방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레지스터(220)와; 소정 비트의 제1 병렬 데이터를 상기 레지스터(220)와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입출력(I/O)포트(230)와; 소정 비트의 제2 병렬 데이터를 상기 레지스터(220)와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입출력 포트(240) 와; 키가 입력되면 상기 인터럽트를 발생하기 위한 제1 트랜지스터(250)와; 직렬 데이터를 상기 레지스터(220)로부터 상기 제어부(100)로 전송하기 위한 제2 트랜지스터(215)와; 상기 인터페이스 칩(200)의 파워를 on/off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 칩(200)을 리셋하기 위한 파워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입출력 포트(230)가 출력포트로 설정되면 상기 제2 입출력 포트(240)는 입력 포트로 설정되고, 상기 제1 입출력 포트(230)가 입력 포트로 설정되면 상기 제2 입출력 포트(240)는 출력 포트로 설정된다.
상기 키 입력부(300)는, 상기 제1 입출력 포트(230)의 다수의 핀들과 상기 제2 입출력 포트(240)의 다수의 핀들로 격자 구조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례로, 상기 키 입력부(300)의 키가 64개로서,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 포트(230)(240)가 각각 8개 핀을 구비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00)는 임의의 직렬 데이터를 직렬 포트(104)(105)를 통해, 상기 직렬 데이터가 저장될 해당 주소(address)를 주소선 핀(101-103)을 통해 인터페이스칩(200)으로 출력한다. 상기 직렬 포트는, I2C 포트 또는 마이크로-WIRE 포트 또는 일반 직렬 포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직렬 데이터는 인터페이스칩(200)의 레지스터(220)의 상기 해당 주소에 병렬 형태로 저장된다. 상기 제1 입출력 포트(230)가 출력포트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입출력 포트(240)가 입력 포트로 설정된 경우, 상기 레지스터(220)에 저장된 병 렬 데이터는 상기 제1 입출력 포트(230)의 각 출력핀(I/O0-I/O7)을 통해 키 입력부(300)로 출력된다.
일례로, 도3과 같이, 제1 입출력 포트(230)의 각 출력핀(I/O0-I/O7)을 통해 1111의 데이터가 동시에 출력되고 있고(A), 제2 입출력 포트(240)의 각 입력핀(I/O8-I/O15)은 0000 데이터를 갖는다고 하자(B).
키 입력부(300)의 해당 키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입력된 키에 연결된 제1 입출력 포트(230)의 해당 출력핀과 제2 입출력 포트(240)의 해당 입력핀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해당 출력핀의 신호가 상기 해당 입력핀으로 입력되어 상기 입력핀의 신호가 변하며, 입력핀의 신호의 변화에 의해 제1 트랜지스터(250)는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일례로, 도3과 같이, 제1 출력핀(I/00)과 제2 입력핀(I/O9)을 연결할 키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상기 제1 출력핀(I/00)과 상기 제2 입력핀(I/O9)이 서로 연결되어, 제1 출력핀(I/00)의 데이터 1111은 상기 제2 입력핀(I/09)으로 입력되고, 나머지 출력핀들(I/O1-I/O7)의 데이터는 해당 입력핀들(I/O8,I/O10-I/O15)로 입력되지 못한다. 따라서 도3의 (C)와 같은 병렬 데이터가 제2 입출력 포트(240)에 수신되고, 수신된 병렬 데이터의 변화에 의해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각 입력핀(I/O8-I/O15)에 입력된 신호들 즉 병렬 데이터(도3의 C)는 인터페이스 칩(200)의 레지스터(220)에 저장된다.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제어부(100)는 주소선 핀(101-103)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칩(200)의 레지스터(220)를 억세스하여 상기 입력된 병렬 데이터(C)를 직렬 포트(105)를 통해 읽어온다.
제어부(100)는 상기 제2 입출력 포트(240)의 각 입력핀(I/O8-I/O15)의 이전 병렬 데이터(B)를 저장하고 있는데, 상기 이전 병렬 데이터(B)와 현재 읽어온 병렬 데이터(C)를 비교하여, 변화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입력핀 즉, 제2 입력핀(I/O9)을 확인한다.
그런 다음, 상기 입력 키에 해당하는 출력핀을 확인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각 출력핀(I/O0-I/O7)의 출력 데이터를 차례대로 변화시켜 소정의 직렬 통신 방식으로 8개의 직렬 데이터 열(sequence)을 순차적으로 인터페이스칩(200)의 레지스터(220)로 전송한다.
그러면 인터페이스칩(200)은 레지스터(220)를 통해 상기 각 직렬 데이터 열을 각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1 입출력 포트(230)로 출력하고, 출력된 각 병렬 데이터는 키 입력부(300) 및 제2 입출력 포트(240)를 통해 상기 레지스터(220)로 입력되며, 제어부(100)는 상기 레지스터(220)에 억세스하여 상기 입력된 각 병렬 데이터를 소정의 직렬 통신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읽어온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읽어온 직렬 데이터 열에서 상기 확인된 입력핀(제2 입력핀(I/O9)에 해당)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변화되었는 지를 체크하는 과정을 각 직렬 데이터 열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즉, 제어부(100)가 제1 출력핀(I/O0)의 출력 데이터를 변화시킨 제1 직렬 데이터 열을 인터페이스칩(200)으로 출력한 후, 제1 직렬 데이터 열이 병렬 데이터로 변환되어 제1 입출력 포트(230), 키 입력부(300), 제2 입출력 포트를 통해 레지스터(220)로 입력되었을 때, 제어부(100)는 상기 레지스터(220)를 억세스하여 상기 병렬 데이터를 소정의 직렬 통신 방식으로 읽어오고, 읽어온 직렬 데이터 열에서 상기 확인된 입력핀(제2 입력핀(I/O9)에 해당)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변화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상기 제2 입력핀(I/O9)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변화되었으면, 제어부(100)는 상기 제1 출력핀(I/O0)이 상기 입력된 키에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 제2 입력핀(I/O9)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변화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00)는 제2 출력핀(I/O1)의 출력 데이터를 변화시킨 제2 직렬 데이터 열을 인터페이스 칩(200)으로 출력하고 제2 출력핀(I/O1)이 상기 입력된 키에 연결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렇게 제어부(100)는 제1 입출력포트(230)의 각 출력핀(I/O0-I/O7)의 출력 데이터를 변화시킨 8개의 직렬 데이터 열에 대해 순차적으로 확인절차를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된 키에 연결된 입력핀을 검색하고, 차례대로 인터페이스칩(200)의 각 출력핀의 값을 변화시켜 출력하여 상기 검색된 입력핀의 데이터를 변화시키는 출력핀을 체크함으로써 8x8 격자의 키 조합 중 입력된 키를 검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부(100)가 주소선 핀, 직렬 데이터선 핀 및 인터럽트 핀을 이용하여 키 입력부의 키를 입력받을 수 있어, 적은 개수의 제어부 핀으로 많은 개수의 입력 키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 입력부의 병렬 데이터와 직렬 데이터 간 변환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칩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와 키 입력부 사이에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칩의 레지스터를 읽고 쓰기 위한 주소선의 3개 핀, 상기 직렬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칩과 주고 받기 위한 2개 핀 및 인터럽트를 상기 인터페이스칩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1개 핀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가 적은 개수의 핀으로 많은 개수의 키를 구비한 키 입력부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많은 입력 키를 제어하기 위해 적은 개수의 제어부 핀이 사용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계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향후 사용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채팅 폰(chatting phone)에서 필요한 많은 개수의 키 입력에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병렬 데이터와 직렬 데이터 간 변환을 수행하고 키가 입력되면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인터페이스칩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를 상기 인터페이스칩으로 입력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칩의 출력 포트와 입력 포트를 연결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칩의 레지스터를 억세스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주소 핀과, 상기 직렬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방식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칩과 주고 받기 위한 소정 개수의 데이터핀과, 상기 인터럽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럽트핀을 이용하여,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된 키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칩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직렬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주소에 따라 병렬 데이터로 저장하고, 역으로, 병렬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상기 키 입력부와 상기 레지스터 사이에 연결되어, 소정 비트의 병렬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제1 및 제2 입출력포트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포트 중 하나로 키가 입력되면 상기 인터럽트를 발생하기 위한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 포트 중 하나가 출력포트로 설정되면 나머지 다른 하나는 입력 포트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직렬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상기 레지스터로 전송하는 입력 필터와;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읽은 직렬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인터페이스 칩의 파워를 on/off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 칩을 리셋하기 위한 파워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통신 방식은 I2C(or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 마이크로-WIRE 방식, 일반 직렬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럽트핀으로 인터럽트가 입력되면, 상기 주소핀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칩의 레지스터를 억세스하여, 상기 키 입력부에 입력된 키에 따라 입력 포트를 통해 상기 레지스터에 입력된 병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핀을 통해 읽어오고, 읽어온 직렬 데이터를 기저장된 직렬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입력된 키에 연결된 입력핀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칩의 출력포트의 각 출력핀의 데이터를 차례대로 변화시킨 직렬 데이터 열들을 상기 인터페이스칩으로 출력하고, 각 직렬 데이터 열이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칩의 입력 포트의 각 입력핀에 입력된 후 레지스터에 저장된 병렬 데이터를 소정의 직렬 통신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핀을 통해 읽어오며, 어떤 직렬 데이터 열이 상기 검색된 입력핀의 데이터를 변화시켰는 지를 확인하여 상기 입력된 키에 연결된 출력핀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핀의 개수는 3개이고, 상기 데이터핀의 개수는 소정의 직렬 통신 방식에 따라 1개 또는 2개이며, 상기 인터럽트핀의 개수는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9. 제어부, 인터페이스칩, 키입력부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의 인터럽트 핀에 인터페이스칩으로부터 인터럽트가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가 키입력부의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직렬 통신 데이터핀을 통해 인터페이스칩으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읽어오는 과정과;
    상기 읽어온 직렬 데이터와 기저장된 직렬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키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칩의 입력핀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터페이스칩의 각 출력핀의 데이터를 차례대로 변화시킨 다수개의 직렬 데이터 열을 상기 직렬 통신 데이터핀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칩으로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키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칩의 출력핀을 검색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는, 상기 키입력부에 키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인터페이스칩에 의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직렬 통신 데이터핀을 통해 초기화 직렬 데이터를 주소핀을 통해 주소를 상기 인터페이스칩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페이스칩은 상기 주소에 해당되는 레지스터 영역에 상기 초기화 직렬 데이터를 병렬로 저장한 후 초기화 병렬 데이터를 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키입력부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은,
    외부로부터 키가 입력되면, 상기 키입력부는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상기 인터페이스칩의 출력핀과 상기 인터페이스칩의 입력핀을 연결하여 상기 인터페이스칩의 입력핀들의 입력 병렬 데이터를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병렬 데이터가 갱신되면 상기 인터페이스칩이 상기 인터럽트를 상기 제어부의 인터럽트핀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제어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칩의 출력핀을 검색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터페이스칩의 각 출력핀의 데이터를 차례대로 변화시킨 다수개의 직렬 데이터 열을 하나씩 상기 인터페이스칩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페이스칩으로 전송된 각 직렬 데이터 열에 대한 상기 인터페이스칩의 입력핀들의 각 입력 병렬 데이터를 상기 직렬 통신 데이터핀을 통해 상기 제어부가 순차적으로 읽어오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직렬 통신 데이터 핀을 통해 읽어온 입력 직렬 데이터 열들 중 어떤 입력 직렬 데이터 열이 상기 검색된 입력핀의 데이터를 변화시켰는 지를 확인하여 상기 입력된 키에 연결된 출력핀을 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직렬 데이터 열에 대한 각 입력 병렬 데이터는,
    상기 각 직렬 데이터 열이 상기 인터페이스칩의 출력 포트의 출력핀들을 통해 병렬 형태로 상기 키 입력부로 출력되었을 때, 상기 키입력부와 연결된 상기 인터페이스칩의 입력 포트의 입력핀들의 병렬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제어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 데이터 핀은,
    I2C(or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 핀, 마이크로-WIRE 방식 핀, 일반 직렬 통신 방식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제어 방법.
KR1020040110662A 2004-12-22 2004-12-22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64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662A KR100664186B1 (ko) 2004-12-22 2004-12-22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
EP05026857A EP1675269A1 (en) 2004-12-22 2005-12-08 Serial interface to control sequential scanning of the lines of a keyboard matrix
JP2005356992A JP2006178957A (ja) 2004-12-22 2005-12-09 移動通信端末機のキー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11/312,517 US7388520B2 (en) 2004-12-22 2005-12-21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a key press
CNB2005101362180A CN100476700C (zh) 2004-12-22 2005-12-22 控制移动终端的按键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662A KR100664186B1 (ko) 2004-12-22 2004-12-22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260A true KR20060072260A (ko) 2006-06-28
KR100664186B1 KR100664186B1 (ko) 2007-01-03

Family

ID=3612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662A KR100664186B1 (ko) 2004-12-22 2004-12-22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88520B2 (ko)
EP (1) EP1675269A1 (ko)
JP (1) JP2006178957A (ko)
KR (1) KR100664186B1 (ko)
CN (1) CN10047670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12341B (zh) * 2007-05-24 2010-06-23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输入装置
TW201007526A (en) * 2008-08-13 2010-02-16 Elan Microelectronics Corp Signal processing method of multi-fingers touch apparatus having invisible physical button structure
KR101036992B1 (ko) * 2010-10-29 2011-05-25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인터럽트를 이용한 키 입력 처리 장치
FR2980285B1 (fr) * 2011-09-15 2013-11-15 Maxim Integrated Products Systemes et procedes de gestion de cles cryptographiques dans un microcontroleur securise
CN102420890A (zh) * 2011-11-23 2012-04-18 北京百纳威尔科技有限公司 手机键盘装置
CN103593058A (zh) * 2013-08-21 2014-02-19 健雄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物联网的安全键盘及atm机
CN103744520A (zh) * 2013-12-26 2014-04-23 天维讯达无线电设备检测(北京)有限责任公司 基于单片机的仪表专用键盘及其工作方法
CN105206299A (zh) * 2014-06-26 2015-12-30 北京兆易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Nand flash系统、控制器及其数据处理方法
TWI602459B (zh) * 2017-02-22 2017-10-11 芯光飛股份有限公司 通訊系統及物聯網系統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7637A (en) * 1981-05-29 1982-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Interface circuit for multipoint data input
KR100200956B1 (ko) 1995-12-18 1999-06-15 윤종용 제어보드와 조작판넬보드를 구비하는 장치의 인터페이스 장치
KR100200490B1 (ko) 1996-01-17 1999-06-15 윤종용 데이타 인터페이스 장치
KR100200489B1 (ko) * 1996-01-17 1999-06-15 윤종용 데이타 인터페이스 장치
US5760714A (en) * 1996-11-20 1998-06-02 Motorola, Inc. Interrupt-driven keypad scanning method and apparatus
JP3272330B2 (ja) 1999-08-04 2002-04-08 株式会社バーテックススタンダード キーマトリックス回路
GB2372608B (en) * 2001-02-24 2003-01-15 3Com Corp Keypad scanner with serial input and output
JP2003177859A (ja) 2001-12-11 2003-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操作キー入力制御装置
JP2003186607A (ja) 2001-12-13 2003-07-04 Sony Corp キー入力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TW563147B (en) * 2002-10-16 2003-11-21 Htc Corp Push button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0917193B1 (ko) * 2003-05-21 2009-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88520B2 (en) 2008-06-17
US20060132331A1 (en) 2006-06-22
EP1675269A1 (en) 2006-06-28
CN100476700C (zh) 2009-04-08
CN1794146A (zh) 2006-06-28
KR100664186B1 (ko) 2007-01-03
JP2006178957A (ja)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5269A1 (en) Serial interface to control sequential scanning of the lines of a keyboard matrix
JP3155578U7 (ko)
JP3155578U (ja) 切替送信用入力装置
JP2002268774A (ja) ノートブック・コンピュータ、入出力装置をノートブック・コンピュータにインターフェースする方法
US20090198861A1 (en) Device With A USB Interface Which Can Be Used As A Time-Sharing Standard I/O Interface And A Method Thereof
KR10119931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확장 키를 사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609370A (zh) 一种键盘及其工作方法
US20030233507A1 (en) Electronic card with multiple interfaces
JP4027285B2 (ja) キーパッド装置
US20040143693A1 (en) Data storage apparatus of multiple serial interfaces
US7224344B2 (en) Key code filter apparatus and method
KR20080010196A (ko) 버스 폭 설정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버스 폭 설정방법
US20110199309A1 (en) Input Device
US20080074294A1 (en) System for controlling keyboard
US6919878B2 (en) Keyboard/mouse switching controller
KR20070060854A (ko) 멀티 채널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기
CN111026279A (zh) 一种使有线键盘拥有多设备蓝牙键盘功能的方法
KR101881569B1 (ko) 멀티 칩 터치스크린 시스템
KR20100073520A (ko) 메인 보드와 확장 보드간 spi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N101853139B (zh) 硬盘接口装置
KR100600961B1 (ko) 다수의 키값 출력포트를 구비하는 키와 그를 이용한 키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2636A (ko) 다중신호 입력장치
KR100640482B1 (ko) 이동 단말에서 키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070063125A (ko) 데이타 엑세스 장치 및 방법
KR0147476B1 (ko) 컴퓨터의 입/출력 컨피그레이션 셋팅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