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949A - 내장된 송수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차를 보상하는다중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내장된 송수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차를 보상하는다중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949A
KR20060070949A KR1020040109829A KR20040109829A KR20060070949A KR 20060070949 A KR20060070949 A KR 20060070949A KR 1020040109829 A KR1020040109829 A KR 1020040109829A KR 20040109829 A KR20040109829 A KR 20040109829A KR 20060070949 A KR20060070949 A KR 20060070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offset
transceiver
test
d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229B1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229B1/ko
Priority to US11/246,397 priority patent/US7751781B2/en
Priority to JP2005367028A priority patent/JP2006180502A/ja
Priority to CNA2005101361883A priority patent/CN1794610A/zh
Priority to GB0526057A priority patent/GB2422069B/en
Publication of KR2006007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ceiver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복수개의 송수신기들이 내장된 다중 송수신 시스템에서 송수신기들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송수신기로 하고, 나머지 송수신기들은 기준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된 테스트 신호에 근거해서 자체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한다. 나머지 송수신기들은 전송 모드에서 추정된 자체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여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다중 송수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모든 신호들의 반송파 주파수들을 일치시킨다.

Description

내장된 송수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차를 보상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MULTI-TRANSCEIVER SYSTEM FOR CORRECTING CARRIER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IMBEDDED TRANSCEIVER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다중 송수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그리고
도 4는 테스트 신호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0, 2000 : 다중 송수신 시스템 100-600 : 송수신기
110, 210 : 송신기 120, 220 : 수신기
130-240 : 스위치 101-601 : 안테나
111, 112, 212, 213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122, 123, 222, 223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113, 114, 124, 125, 214, 215, 224, 225 : 믹서
115, 216 : 합산기 117, 217 : PLL
150 : 발진기
본 발명은 복수의 안테나와 복수의 송수신기들을 포함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정된 주파수대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법 가운데 하나로, 시스템 내에 복수의 안테나와 복수의 송수신기들 구비하여 MIMO(Multi-Input Multi-Output) 채널을 구성해서 복수의 신호들을 병렬로 송수신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다중 송수신 시스템의 일 예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4-072458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다중 송수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은 N 개의 송수신기들(100-300)과 안테나들(101-301)을 포함하며, 다중 송수신 시스템(2000)은 M 개의 송수신기들(400-600)과 안테나들(401-601)을 포함한다. 시스템들(1000, 2000) 간에는 N*M개의 MIMO 채널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N 개 신호들을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이용 효율이 N 배로 증가되나, 신호 품질은 송신측과 수신측의 반송파 주파수에 크게 의존된다.
특히, 복수개의 송수신기들을 포함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에서 병렬 로 전송된 송신 신호들의 반송파 주파수들은 서로 일치해야만 한다. 만일 송신 신호들의 반송파 주파수들이 서로 다르다면 수신기는 주파수 오프셋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없게 되며, 이는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를 일치시킬 수 있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송수신기들을 포함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송수신기로부터 상기 제 2 송수신기로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송수신기에서 상기 수신된 제 1 신호의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고려하여 상기 제 2 송수신기로부터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제1 및 제 2 송수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신호 전송 단계 및 추정 단계는 테스트 모드동안 수행된다. 상기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제 1 신호는 테스트 신호이고, 상기 테스트 신호는 동일한 테스트 패턴을 적어도 2 개 포함한다.
상기 테스트 모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송수신기들이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는 대기 상태이다. 상기 제 2 신호 전송 단계는 노말 송신 모드동안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다중 송수신 시스템은: 제 1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송수신기와, 제 2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송수신기, 그리고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 2 송수신기로 전달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송수신기는, 상기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수신된 제 1 신호로부터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노말 송신 모드동안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고려하여 상기 제 2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제1 및 제 2 송수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이며, 상기 제 2 송수신기는,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기, 및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에 근거해서 자체 주파수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생성하는 자체 주파수 보상기를 포함한다. 상기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신호는 테스트 신호이다. 상기 테스트 신호는 동일한 테스트 패턴을 적어도 2 개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회로는, 제 1 스위치, 및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 1 스위치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2 송수신기로 전달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 1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 또는 상기 제 2 송수신기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스위칭 신호는, 상기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신호가 상기 제 2 송수신기로 수신되도록 설정되고, 그리고 상기 노말 송/ 수신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신호가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제 2 송수신기로 수신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른 다중 송수신 시스템은: 제 1 송신기와, 제 2 송신기와, 제 2 수신기, 그리고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제 2 수신기로 전달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한다.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신기는 테스트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수신기는 수신된 상기 테스트 신호로부터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노말 송신 모드동안, 상기 제 2 송신기는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고려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제1 및 제 2 송수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기는,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기, 및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에 근거해서 자체 주파수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고 상기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자체 주파수 보상기를 포함한다. 상기 테스트 신호는 동일한 테스트 패턴을 적어도 2 개 포함한다.
상기 다중 송수신 시스템은, 제 2 수신기와, 상기 제 1 송/수신기와 외부 장치 간의 제 1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송/수신기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제 2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회로는, 송신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신기로부터의 전송 신호를 상기 제 1 안테나로 전달하고, 수신 모드동안 상기 안테나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상 기 제 1 수신기로 전달하는 제 1 송수신 스위치, 및 송신 모드동안 상기 제 2 송신기로부터의 전송 신호를 상기 제 2 안테나로 전달하고, 수신 모드동안 상기 안테나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상기 제 2 수신기로 전달하는 제 2 송수신 스위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들은 제 1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동작한다.
상기 다중 송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 1 송신기 및 상기 제 2 수신기와 각각 관련있는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스위치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스위치들은, 상기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신기로부터의 상기 테스트 신호를 상기 제 2 수신기로 전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노말 송/수신 모드동안,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스위치는 상기 제 1 송신기로부터의 상기 테스트 신호를 상기 제 1 안테나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스위치는 상기 제 2 안테나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상기 제 2 수신기로 전달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은 2 개의 송수신기들(100, 200)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이 2 개의 송수신기들(100, 2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에는 다양한 개수의 송수신기들이 구비될 수 있다.
2 개의 송수신기들(100, 200)을 포함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에서 송수신기(100)가 기준 송수신기로 설정된다.
우선, 송수신기(100)의 상세한 회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송수신기(100)는 송신기(110), 수신기(120), 스위치들(130, 140) 그리고 발진기(oscillator; 150)을 포함한다. 송신기(110)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digital-analog converters; 111, 112), 믹서들(mixers; 113, 114), 합산기(115), 그리고 PLL(phase locked loop; 117)을 포함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111, 112)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데이터 처리기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들(TX1_I, TX1_Q)을 아날로그 신호들로 각각 변환한다. PLL(117)은 발진기(150)에서 생성된 1차 반송파 신호(exp(j2πfbt))를 입력받아서 2차 반송파 신호(exp(j2πfct+Δf1))를 생성한다. 믹서들(113, 114)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111, 1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과 PLL(117)로부터의 2차 반송파 신호(exp(j2πfct+Δf1))를 각각 믹싱하여 합산기(115)로 출력한다. 합산기(115)는 믹서들(113, 114)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합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수신기(120)는 주파수 오프셋 보상기(12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들(122, 123), 믹서들(124, 125) 그리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기(126)를 포함한다. 믹서들 (124, 125)은 수신 신호와 PLL(117)로부터의 2차 반송파 신호(exp(j2πfct+Δf1))를 각각 믹싱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122, 123)로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122, 123)은 믹서들(124, 125)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들로 각각 변환한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기(126)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122, 12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들로부터 수신 신호의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한다. 즉, 주파수 오프셋 추정기(126)는 송신측에서 전송한 송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와 실제 수신된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간의 차이를 추정한다. 일반적으로, 송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는 송신 신호의 프리엠블(preamble) 영역에 의해서 추정된다. 그러므로, 추정기(126)는 프리엠블을 이용하여 실제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구할 수 있다. 주파수 오프셋 보상기(121)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기(126)에 의해서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122, 12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들의 반송파 주파수에 보상한 신호들(RX1_I, RX1_Q)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주파수 오프셋 추정기(126) 및 주파수 오프셋 보상기(121)에 의해서 데이터 처리기는 데이터 복원 연산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기(200)는 송신기(210), 수신기(220) 그리고 스위치들(230, 240)을 포함한다. 송신기(210)는 기준 송수신기(100)의 송신기(110)와 유사한 회로 구성을 가지나, 자체 주파수 오프셋 보상기(self frequency offset corrector; 211)를 더 포함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212, 213)은 자체 주파수 오프셋 보상기(211)로부 터의 디지털 신호들(TX2_I, TX2_Q)을 아날로그 신호들로 각각 변환한다. PLL(217)은 발진기(150)에서 생성된 1차 반송파 신호(exp(j2πfbt))를 입력받아서 2차 반송파 신호(exp(j2πfct+Δf2))를 생성한다.
믹서들(214, 215)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212, 21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과 PLL(117)로부터의 2차 반송파 신호(exp(j2πfct+Δf1))를 각각 믹싱하여 합산기(216)로 출력한다. 합산기(216)는 믹서들(214, 215)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합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수신기(220)는 주파수 오프셋 보상기(22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들(222, 223), 믹서들(224, 225), 그리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기(226)를 포함한다. 믹서들(224, 225)은 수신 신호와 PLL(217)로부터의 2차 반송파 신호(exp(j2πfct+Δf2))를 각각 믹싱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222, 223)로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222, 223)은 믹서들(224, 225)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들로 각각 변환한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기(227)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222, 22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들로부터 수신 신호의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한다. 추정기(126)는 수신 신호의 프리엠블에 정의된 반송파 주파수를 참조하여 실제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 간의 차이를 구할 수 있다. 주파수 오프셋 보상기(121)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기(126)에 의해서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122, 12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들의 반송파 주파수에 보상한 신호들(RX2_I, RX2_Q)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주파수 오프셋 추정기(126) 및 주파수 오 프셋 보상기(121)에 의해서 데이터 처리기는 데이터 복원 연산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기들(100, 200) 간의 반송파 주파수를 일치시키기 위해 PLL들(117, 217)은 동일한 발진기(150)에 의해서 생성된 1차 반송파 신호(exp(j2πfbt))를 이용하여 2차 반송파 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그러나, 서로 다른 PLL들(117, 217)에 의해서 생성된 2차 반송파 신호들은 PLL의 특성에 따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이하 명세서에서 이를 자체 주파수 오프셋으로 칭한다.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이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측이고, 다중 송수신 시스템(2000)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측이라고 가정할 때, 시스템(1000) 내 송수신기들(100-30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들은 병렬로 시스템(2000)의 송수신기들(400-600)로 전달된다. 이 때, 시스템(1000) 내 송수신기들(100-30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들 간의 자체 주파수 오프셋은 시스템(2000) 내 송수신기들(400-600)이 주파수 오프셋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을 어렵게 하며, 이는 곧 수신 신호의 정확한 복원을 불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다중 안테나 시스템(1000) 내 송수신기들(100-30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들 간의 자체 주파수 오프셋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은 스위치들(130, 230) 및 자체 주파수 오프셋 보상기(211)를 포함하여 송신 신호들 간의 자체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 른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는 본 발명과 관련있는 자체 주파수 오프셋 추정 동작 및 신호 전송 동작만을 보여주고 있으며,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의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방법 외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들 간의 신호 수신 동작 등은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이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치들(140, 240)은 송/수신 모드를 나타내는 스위칭 신호들에 응답해서 설정된다. 즉, 스위치(140)는, 스위칭 신호(SW_C1)가 송신 모드를 나타낼 때 스위치(130)를 통해 송신기(11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안테나(101)로 전달하고, 스위칭 신호(SW_C1)가 송신 모드를 나타낼 때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를 수신기(120)로 전달한다. 스위치(240)는, 스위칭 신호(SW_C1)가 송신 모드를 나타낼 때 송신기(21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안테나(101)로 전달하고, 스위칭 신호(SW_C1)가 수신 모드를 나타낼 때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를 수신기(220)로 전달한다.
스위치들(130, 230)은 노말/테스트 모드를 나타내는 스위칭 신호들에 응답해서 설정된다. 노말 모드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과 외부 장치간의 송/수신 모드를 일컬으며, 테스트 모드는 앞서 설명한 자체 주파수 오프셋 추정 모드를 일컫는다. 스위치(130)는 스위칭 신호(SW_C2)가 노말 송/수신 모드를 나타낼 때 송신기(11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스위치(140)로 전달하고, 스위칭 신호(SW_C2)가 테스트 모드를 나타낼 때 송신기(11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스위치(230)로 전달한다. 스위치(230)는 스위칭 신호(SW_C2)가 노말 송/수신 모드를 나타낼 때 스위 치(240)를 통해 전달된 수신 신호를 수신기(230)로 전달하고, 스위칭 신호(SW_C2)가 테스트 모드를 나타낼 때 스위치(130)를 통해 송신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수신기(220)로 전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700에서,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의 초기화가 수행된다. 초기화 단계는 시스템(1000)의 각 회로 구성들을 리셋하고, 신호의 처리 및 송수신을 시작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전과정을 포함한다.
단계 S701에서, 스위치들(130, 230)이 자체 주파수 오프셋 추정 상태로 설정된다. 스위칭 신호들(SW_C2)이 테스트 모드를 나타냄에 따라서 스위치(130)는 송신기(11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스위치(23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그리고 스위치(230)는 스위치(13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수신기(22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단계 S702에서, 기준 송수신기(100) 내 송신기(110)는 테스트 신호를 전송한다. 도 4는 테스트 신호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신호의 한 프레임은 프리엠블(preamble)과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한다. 프리엠블은 수신기의 동기 및 채널 추정 등을 위해 사용된다. 페이로드에는 실질적인 데이터가 포함된다. 테스트 모드에서, 프리엠블에는 자체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데 필요한 신호가 포함되고, 페이로드에는 널(null) 데이터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리엠블에 포함되는 테스트 패턴은 2 개 이상 반복적으로 구성된다.
송신기로부터 출력되는 테스트 신호의 n번째 샘플을 s(n) 그리고 수신기에서 수신된 테스트 신호의 n번째 샘플을 r(n)이라고 할 때, 주파수 오프셋 Δf에 의한 위상 회전은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Ts는 샘플링 간격을 의미한다.
Figure 112004060387967-PAT00001
N 샘플링 간격마다 동일 패턴을 가질 경우, s(n)과 s(n+N)은 동일한 값이다. 그러나, 주파수 오프셋이 존재하는 경우, 두 샘플 간의 공액 복소 곱셈을 취한 후 그 각도를 계산하면 주파수 오프셋에 의해 회전한 위상 크기가 되며, 구체적인 수학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4060387967-PAT00002
실제 자체 주파수 오프셋은 매우 작은 값이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신호에 포함되는 테스트 패턴을 3 개 이상 연속해서 배열할 경우, 공액 복소 곱셈을 취한 한 쌍의 샘플링 값 간의 거리를 확장하여 추정 성능을 높일 수 있다.
Figure 112004060387967-PAT00003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703에서, 수신기(220)는 스위치들 (130, 230)을 통해 송신기(110)로부터 전송된 테스트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704에서, 주파수 오프셋 추정기(226)는 수신된 신호의 자체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한다. 기준 송수신기(100)의 오프셋 주파수(Δf1)와 송수신기(200)의 오프셋 주파수(Δf2)의 차인 자체 주파수 오프셋은 자체 주파수 오프셋 보상기(211)로 전달된다.
단계 S705에서, 스위치들(130, 230)을 노말 상태로 설정한다. 즉, 스위칭 신호들(SW_C2)이 노말 송/수신 모드를 나타냄에 따라서 스위치(130)는 송신기(11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스위치(14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그리고 스위치(230)는 스위치(24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수신기(22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자체 주파수 오프셋 보상기(211)의 자체 주파수 오프셋을 설정하고, 스위치들(130, 230)을 노말 상태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테스트 모드는 완료된다.
단계 S706에서,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이 노말 송신 모드인 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노말 송신 모드일 때 그 제어는 단계 S707로 진행한다.
단계 S707에서, 스위칭 신호(SW_C1)에 응답해서 스위치(140)는 스위치(130)를 통해 송신기(110)로부터 출력되는 전송 신호를 안테나(101)로 전달하고, 스위치(240)는 송신기(210)로부터 출력되는 전송 신호를 안테나(201)로 전달한다. 이 때, 송수신기(200)내 데이터 처리기(미 도시됨)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TX2_I, TX2_Q)은 자체 주파수 오프셋 보상기(211)에 의해서 자체 주파수 오프셋이 보상된 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212, 213)로 각각 제공된다. 그러므로, 송신기들(110, 210)로부터 안테나(101, 201)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 신호들 간의 자체 주파수 오프셋은 0이다.
자체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의 초기화 동작 직후 뿐만 아니라 데이터 신호 송수신이 없는 대기 모드에서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단계 S708에서, 테스트 모드인 지의 여부가 판별되고, 테스트 모드로 진입할 때 그 제어는 단계 S701로 진행하여 앞서 설명한 자체 주파수 오프셋 설정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송수신기들(100, 200) 간의 자체 주파수 오프셋을 주기적으로 추정하고, 재설정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송수신기들(100, 200) 간의 자체 주파수 오프셋을 제거할 수 있다.
만일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 내 3 개 이상의 송수신기들이 포함되는 경우, 송수신기들 중 하나는 기준 송수신기로 설정되고, 나머지 송수신기들은 각각 자체 주파수 오프셋 보상기를 포함한다. 자체 주파수 오프셋 보상기를 포함하는 송수신기들은 기준 송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테스트 신호에 근거해서 자체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한다. 그러므로, 다중 송수신 시스템(1000) 내 K 개의 송수신기들이 포함되더라도 송수신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들 간의 자체 주파수 오프셋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잘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청 구범위는 그러한 변형 예들 및 그 유사한 구성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능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송수신기들을 포함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중 송수신 시스템의 신호 품질이 향상된다.

Claims (22)

  1. 제 1 및 제 2 송수신기들을 포함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수신기로부터 상기 제 2 송수신기로 테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송수신기에서 수신된 테스트 신호의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송수신기들로부터 송신 신호들을 각각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송수신기는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고려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제 1 및 제 2 송수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전송 단계 및 추정 단계는 테스트 모드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동일한 테스트 패턴을 적어도 2 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 전송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송수신기들이 외부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는 대기 상태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 송신 단계는 노말 송신 모드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 1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송수신기와;
    제 2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송수신기; 그리고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 2 송수신기로 전달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송수신기는,
    상기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수신된 제 1 신호로부터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 고,
    노말 송신 모드동안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고려하여 상기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제 1 및 제 2 송수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인 다중 송수신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수신기는,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기; 및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에 근거해서 자체 주파수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생성하는 자체 주파수 보상기를 포함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신호는 테스트 신호인 다중 송수신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동일한 테스트 패턴을 적어도 2 개 포함하는 다중 송수 신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는,
    제 1 스위치; 및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 1 스위치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2 송수신기로 전달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 1 송수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 또는 상기 제 2 송수신기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 2 스위치로 전달하고, 노말 송/수신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제 1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상기 제 2 송수신기로 전달하고, 노말 송/수신 모드동안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제 2 송수신기로 전달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
  14. 제 1 송신기와;
    제 2 송신기와;
    제 2 수신기; 그리고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제 2 수신기로 전달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신기는 테스트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수신기는 수신된 상기 테스트 신호로부터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노말 송신 모드동안, 상기 제 1 및 제 2 송신기들은 송신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 2 송신기는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고려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제 1 및 제 2 송수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인 다중 송수신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기는,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기; 및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에 근거해서 자체 주파수 오프셋 보상을 수행하고 상기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자체 주파수 보상기를 포함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동일한 테스트 패턴을 적어도 2 개 포함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제 2 수신기와;
    상기 제 1 송/수신기와 외부 장치 간의 제 1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송/수신기와 상기 외부 장치 간의 제 2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노말 송신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신기로부터의 전송 신호를 상기 제 1 안테나로 전달하고, 노말 수신 모드동안 상기 안테나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상기 제 1 수신기로 전달하는 제 1 송수신 스위치; 및
    상기 노말 송신 모드동안 상기 제 2 송신기로부터의 전송 신호를 상기 제 2 안테나로 전달하고, 상기 노말 수신 모드동안 상기 안테나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상기 제 2 수신기로 전달하는 제 2 송수신 스위치를 포함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들은 제 1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동작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및 상기 제 2 수신기와 각각 관련있는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스위치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스위치들은, 상기 테스트 모드동안 상기 제 1 송신기로부터의 상기 테스트 신호를 상기 제 2 수신기로 전달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말 송/수신 모드 동안,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스위치는 상기 제 1 송신기로부터의 상기 테스트 신호를 상기 제 1 안테나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스위치는 상기 제 2 안테나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상기 제 2 수신기로 전달하는 다중 송수신 시스템.
KR1020040109829A 2004-12-21 2004-12-21 내장된 송수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차를 보상하는다중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6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829A KR100706229B1 (ko) 2004-12-21 2004-12-21 내장된 송수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차를 보상하는다중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246,397 US7751781B2 (en) 2004-12-21 2005-10-11 Multi-transceiver system and methods of compensating offset frequency
JP2005367028A JP2006180502A (ja) 2004-12-21 2005-12-20 マルチ送受信システム
CNA2005101361883A CN1794610A (zh) 2004-12-21 2005-12-20 多收发器系统和补偿偏移频率的方法
GB0526057A GB2422069B (en) 2004-12-21 2005-12-21 Multi-transceiver system and methods of compensating offset frequ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829A KR100706229B1 (ko) 2004-12-21 2004-12-21 내장된 송수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차를 보상하는다중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949A true KR20060070949A (ko) 2006-06-26
KR100706229B1 KR100706229B1 (ko) 2007-04-11

Family

ID=3584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829A KR100706229B1 (ko) 2004-12-21 2004-12-21 내장된 송수신기들 간의 반송파 주파수 차를 보상하는다중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51781B2 (ko)
JP (1) JP2006180502A (ko)
KR (1) KR100706229B1 (ko)
CN (1) CN1794610A (ko)
GB (1) GB24220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7859A1 (ko) * 2010-12-07 2012-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6408B2 (en) * 2008-01-22 2012-02-28 Provigent Ltd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CN101911655A (zh) * 2008-01-22 2010-12-08 普罗维根特有限公司 Mimo通信系统中的波束成形
US8193915B2 (en) * 2008-03-06 2012-06-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ple transceiver 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CN101895321B (zh) * 2010-07-30 2013-02-06 重庆金美通信有限责任公司 多发多收无线通信系统射频频偏预校正的方法
CN102594766B (zh) * 2012-03-30 2015-05-13 福建京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移频机近远端载波同步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0243A (en) * 1996-10-11 1999-07-27 Array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arameters of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tenna arrays and spatial processing
JPH10336149A (ja) * 1997-05-28 1998-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レーアンテナ無線cdma通信装置
JP3183266B2 (ja) * 1998-08-18 2001-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周波数制御回路
EP0986224A3 (fr) * 1998-09-01 2000-03-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stimation de l'atténuation et du décalage en fréquence
JP3377035B2 (ja) * 1998-12-04 2003-02-17 日本電気株式会社 信号推定器を用いた位相同期ループ回路
JP2001036595A (ja) * 1999-07-15 2001-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周波数偏差検出回路
GB2359456B (en) 2000-02-19 2003-09-17 Nec Technologies Method for frequency offset estimation in a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receiver
JP3597101B2 (ja) * 2000-02-21 2004-12-02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受信回路及びアダプティブアレイアンテナシステム
JP2001285165A (ja) * 2000-04-03 2001-10-12 Sanyo Electric Co Ltd 無線装置
JP3444270B2 (ja) * 2000-05-23 2003-09-08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受信装置の校正システム
US7009931B2 (en) 2000-09-01 2006-03-07 Nortel Networks Limited Synchronization in a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 for wireless applications
US7443826B1 (en) 2000-10-04 2008-10-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frequency control in a CDMA receiver
JP4245794B2 (ja) 2000-10-25 2009-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指向性補正装置及び送信指向性補正方法
KR100385772B1 (ko) 2000-11-15 2003-06-02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Ofdm 프레임 옵셋 추정방법 및 그 시스템
JP3673732B2 (ja) * 2001-05-25 2005-07-20 Nec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送信パターン校正方法
JP2002368725A (ja) * 2001-06-11 2002-12-20 Kddi Corp マルチモード通信装置
JP3651430B2 (ja) 2001-09-17 2005-05-25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の校正装置及び校正方法
JP2003134565A (ja) * 2001-10-23 2003-05-09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標識波送信装置及び送信方向制御方法
US7155171B2 (en) * 2001-12-12 2006-12-26 Saraband Wireless Vector network analyzer applique for adaptive communications in wireless networks
KR100845101B1 (ko) 2002-01-22 2008-07-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양한 주파수 오프셋 추정범위를 이용하는 반송파 주파수오프셋 보상장치
KR100470865B1 (ko) * 2002-03-14 2005-03-09 박용진 다용도 미라클 신 광물질 석분 및 그 제조방법
JP3896012B2 (ja) * 2002-03-20 2007-03-22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装置
JP3885657B2 (ja) * 2002-05-10 2007-02-21 Kddi株式会社 Ofdm信号の周波数誤差を補正する受信装置
JP3719427B2 (ja) 2002-08-07 2005-11-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搬送波周波数誤差推定回路、無線信号受信装置
US7031669B2 (en) * 2002-09-10 2006-04-18 Cognio, Inc. Techniques for correcting for phase and amplitude offsets in a MIMO radio device
US7269394B2 (en) * 2002-10-02 2007-09-11 Agere Systems Inc.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for communication systems
US7285948B2 (en) * 2002-12-17 2007-10-23 Tektronix,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single cable bi-directional triggering between instruments
CN1729642A (zh) * 2002-12-19 2006-02-0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ofdm系统的发射机分集方法
JP3821784B2 (ja) * 2003-01-31 2006-09-13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US20040248519A1 (en) * 2003-05-19 2004-12-09 Kari Niemela Data transmission method, system and network element
JP4086151B2 (ja) * 2003-05-29 2008-05-14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ATE487291T1 (de) * 2003-08-27 2010-11-15 Wavion Ltd Wlan-kapazitäts-erweiterung durch verwendung von sdm
US7221913B2 (en) * 2004-06-23 2007-05-22 Intel Corporation Effective time-of-arrival estimation algorithm for multipath environ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7859A1 (ko) * 2010-12-07 2012-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전송 방법 및 장치
US8964886B2 (en) 2010-12-07 2015-02-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preambl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4610A (zh) 2006-06-28
US20060135077A1 (en) 2006-06-22
KR100706229B1 (ko) 2007-04-11
US7751781B2 (en) 2010-07-06
GB2422069B (en) 2007-04-18
JP2006180502A (ja) 2006-07-06
GB0526057D0 (en) 2006-02-01
GB2422069A (en)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1938B2 (en) Intra-node channel reciprocity compensation for radio access i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4671749B2 (ja) 送受信機、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送受信方法
JP4744965B2 (ja) 無線通信装置
US9300382B2 (en) Wireless signal processor and wireless apparatus
KR20080006155A (ko) 통신 시스템에서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020014774A (ko) 다중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을 구비한 무선 시스템들용시공간 처리
KR102416438B1 (ko) 다중 안테나 장치에서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송수신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다중 안테나 장치
WO202022260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2904707A (zh) 用于无线电通信系统的训练序列传输方法
US10969457B2 (en) Receiver-system
CN106961739A (zh) 频分双工多输入输出无线网络中信道状态信息的获取方法
JP2006180502A (ja) マルチ送受信システム
JP2000013454A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
WO202022261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2009188546A (ja) 無線通信装置、アンテナ較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1589684A1 (en) Multi-carrier radio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JPH0879191A (ja) 多重伝搬特性測定装置
WO2019083345A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otdoa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00060698A1 (fr) Radioemetteur et procede de reglage de la directivite d'emission
CN114727381A (zh) 单台或多台软件无线电设备相位校准及同步系统和方法
JP2001326583A (ja) アレーアンテナ送受信装置
JPH07154129A (ja) Lms方式のアダプティブアレイアンテナ装置
CN114598349B (zh) 一种收发机电路
JP6845044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周波数オフセット補償方法
JP4982323B2 (ja) 受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