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429A -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429A
KR20060070429A KR1020050117726A KR20050117726A KR20060070429A KR 20060070429 A KR20060070429 A KR 20060070429A KR 1020050117726 A KR1020050117726 A KR 1020050117726A KR 20050117726 A KR20050117726 A KR 20050117726A KR 20060070429 A KR20060070429 A KR 20060070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t
change
event
mobile terminal
ava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277B1 (ko
Inventor
김재호
김현지
서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277B1/ko
Priority to EP05027872.0A priority patent/EP1672882B1/en
Priority to CNB200510128475XA priority patent/CN100559803C/zh
Priority to US11/311,358 priority patent/US7742782B2/en
Publication of KR2006007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user help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 발생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들 각각에 대해 처리하도록 미리 설정된 전문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전문가를 호출하여 상기 발생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처리하는 과정과;상기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처리한 전문가별 처리 결과에 따라, 각 전문가별로 미리 설정된 처리 결과를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시스템 이벤트, 캐릭터, 휴대단말기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YSTEM-RELATED EVENT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기능부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 기능부에서 배터리 상태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배터리 상태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에서 기능부 전파 상태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전파 상태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 기능부에서 메모리 용량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모리 용량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 기능부에서 벨소리 변경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벨소리 변경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 기능부에서 배경화면 변경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배경화면 변경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 기능부에서 벨 모드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
도 14는 도 13 중 일 전문가에 의해 설정된 타이머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벨 모드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 기능부에서 폰 사용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폰 사용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
도 18은 도 3 및 도 4에서 배터리 상태를 알리는 아바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5 및 도 6에서 전파 상태를 알리는 아바타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7 및 도 8에서 메모리 용량상태를 알리는 아바타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9 및 도 10에서 벨소리 변경을 권유하는 아바타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11 및 도 12에서 배경화면 변경을 권유하는 아바타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13 - 도 15에서 벨 모드 변경을 권유하는 아바타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도 16 및 도 17에서 폰 사용상태에 따른 권장프로그램 사용을 권유하는 아바타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따른 대표적인 장치가 휴대 전화기이다. 이러한 휴대전화기는 고유의 전화기 기능 이외에 최근들어 더욱더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부가 기능을 가지는 휴대전화기들로서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일명 캠코더폰, TV(TeleVision) 시청이 가능한 TV 폰, MP3(MPEG 3) 음악파일 청취가 가능한 MP3폰, 위성방송 및(또는) 지상파 방송의 시청이 가능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현재의 휴대전화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을 가지는 제품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는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다양하게 부가되는 부가 기능들 및 휴대단말기의 상태 등을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도록 LCD 표시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표시 방안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데이터들을 표시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현재 휴대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용자 데이터들은 사진데이터, 캐릭터,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시각적인 사용자 데이터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데이터들 중에 아바타 이미지 데이터가 있으며, 상기 아바타 이미지 데이터들을 이용하는 휴대단말기들이 개발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들을 분석하여 상기 발생되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해당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최적의 전문가가 구비하는 캐릭터 UI(User Interface)를 선택하여 표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휴대단말기에 발생되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캐릭터 UI(User Interface)를 선택하여 표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가,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따른 캐릭터 UI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들을 감지하며, 상기 발생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식별하기 위한 이벤트메시지를 생성하는 이벤트수집부와; 상기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위한 다수의 전문가들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전문가들 중 상기 이벤트메시지에 대응되는 전문가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전문가가 가지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따른 캐릭터 UI ID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에이전트제어부와; 상기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따른 캐릭터 UI ID에 대응되는 캐릭터 이미지 및 텍스트를 억세스하여 출력하는 에이전트표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 발생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들 각각에 대해 처리하도록 미리 설정된 전문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전문가를 호출하여 상기 발생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처리한 전문가별 처리 결과에 따라, 각 전문가별로 미리 설정된 처리 결과를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 트 처리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상태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가 만 충전 상태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가 만 충전상태임을 알리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적음을 알리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파상태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파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파상태가 약함을 알리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용량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이 적음을 알리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일정주기마다 벨소리 변경 일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벨소리 변경 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일을 초과하면, 벨소리의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일정주기마다 배경화면 변경 일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배경화면 변경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일을 초과하면, 배경화면의 변 경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면, 특정시간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횟수 이상 수행된 벨 모드 변경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시간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횟수 이상 수행된 벨 모드 변경이면, 벨 모드 변경 타이머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벨 모드 변경 타이머가 설정되면, 상기 특정시간범위 내에서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시간범위 내에서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지 않으면, 벨 모드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일정주기마다 폰 사용빈도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폰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해당 권장프로그램의 사용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이벤트들의 종류 및 에이전트 표현을 위한 필요정보들의 예 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 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에 따른 캐릭터 에이전트를 표현하는 있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무선(RF)통신부(21)는 휴대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키 입력부(25)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키 입력부(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벤트별 캐릭터 에이전트를 제어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23)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호 처리 등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발생되는 이벤트들에 대한 에이전트 표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되며, 데이터 메모리는 동작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에이전트 표현을 위한 캐릭터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캐릭터메모리를 구비한다. 캐릭터 메모리는 파일시스템(file system)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각 캐릭터 별로 메모리(또는 파일시스템)의 인덱스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캐릭터 메모리는 각 캐릭터 세부 구성요소인 동작, 표정 및 사물표현 등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캐릭터 메모리에 저장된 캐릭터 정보는 에이전트 표현을 할 수 있는 각각의 형 태별로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신호를 변복조하는 모뎀 및 부호/복호화하는 코덱을 구비하여 송신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며, 또한 수신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MSM(Mobile Station Modem) 칩이 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통신모드, 카메라모드 및 방송수신모드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00)에서 모뎀 및 코덱을 분리시킨 데이터 처리부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이를 무선통신부(21)와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에이전트 기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에이전트 기능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수집하며, 수집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따른 에이전트를 제어하여 시스템 관련 이벤트의 처리 및 상태를 에이전트로 표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이전트 기능부는 상기 에이전트표현을 메모리(23)에서 대응되는 캐릭터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에이전트 기능부는 상기 제어부(100)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이전트 기능부는 하기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에이전트 기능부의 동작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배터리가 만 충전 상태이면 현재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임을 알리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 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현재 배터리의 잔량이 적음을 알리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파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전파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현재 전파상태가 약함을 알리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용량을 체크하여, 상기 메모리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현재 메모리용량이 적음을 알리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정주기마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벨소리 변경 일을 체크하며, 상기 벨소리 변경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일을 초과하면 벨소리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정주기마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경화면 변경 일을 체크하며, 상기 배경화면 변경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일을 초과하면 배경화면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던 특정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벨소리 변경이 수행되지 않으면, 벨 모드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정주기마다 폰 사용빈도를 체크하여, 상기 폰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보다 작으면 해당 권장프로그램의 사용을 권유하는 텍스트/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35)는 사용자의 카메라모드 선택 시 제어부(100)에 의해 구동되며,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 영상신호를 발생한다. 영상처리부(37)는 카메라(35)에서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27)의 크기에 맞춰 스케일링하여 표시부(27)를 통해 영상신호를 표시하도록 하며, 저장모드 시 촬영된 영상신호를 설정된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저장하며, 또한 수신 또는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재생하는 모드에서는 부호화된 영상데이터를 복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튜너(31)는 방송수신모드 시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설정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택하여 수신하며, 방송처리부(33)는 튜너에서 수신한 방송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여 영상신호는 표시부(27)로 출력하고, 오디오신호는 오디오처리부(29)로 출력한다. 여기서 방송신호는 위성방송신호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지상파 방송신호가 될 수 있다.
표시부(27)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메뉴들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시스템 이벤트 발생시 상기 시스템 이벤트에 대응되게 출력되는 캐릭터로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7)는 카메라모드 또는 방송수신모드에서 각각 영상처리부(37) 또는 방송처리부(33)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오디오 처리부(29)는 통신모드 시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통신모드에서 발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며, 카메라모드 시 영상처리부(37)의 제어 하에 카메라 촬영 중에서 발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고, 방송수신모드 시 방송처리부(33)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방송 오디오신호를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카메라 및(또는)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을 생략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대한 캐릭터 에이전트 기능은 수행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캐 릭터는 아바타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대한 캐릭터 에이전트 제어는 아바타 에이전트 제어로 설명될 것이지만, 아바타 이외의 모든 이미지들을 사용하여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 시예에 따른 상기 에이전트 기능부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이벤트수집부(event collection part)(110)는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들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휴대단말기의 통신 이벤트, 휴대단말기의 자체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발생되는 이벤트,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에 따른 이벤트 등 휴대단말기의 모든 발생 가능한 이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벤트수집부(110)에서 수집하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들은 휴대단말기에서 정의된 이벤트들이 된다. 이벤트수집부(110)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 발생시 발생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써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며, 이벤트 메시지를 이벤트전달부(120)로 제공한다.
이벤트전달부(120)는 이벤트수집부(110)에서 제공된 이벤트메시지를 해당하는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이벤트전달부(120)는 이벤트메시지를 에이전트제어부(130)에만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벤트 메시지의 전달을 요구하는 다른 구성부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구성부에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에이전트제어부(agent control part)(130)는 이벤트전달부(120)로부터 이벤트메시지를 전달받으면, 상기 전달되는 이벤트 메시지를 내부 버퍼에 저장하고, 또한 이벤트 메시지를 분석하여 대응되는 캐릭터 에이전트를 표현할 수 있도록 UI를 결정한다. 여기서 이벤트전달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이벤트 메시지는 휴대단말기의 이벤트 즉, 상기 이벤트수집부(110)에서 수집되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들이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벤트수집부(110)에서 수집되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의 에이전트 표현을 중심으로 설명될 것이다. 에이전트제어부(130)는 내부의 다수의 전문가(specialist)들을 구비하며, 이들 전문가들을 제어하면서 발생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대응되는 전문가를 선택하여 에이전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에이전트제어부(130)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따라 적절한 전문가들에게 이벤트의 발생을 통보하고, 최종적으로 선택된 전문가의 에이전트 표현을 표시할 수 있도록 에이전트표현부(140)에 UI를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에이전트표현부(140)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에 따라 해당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처리한다.
에이전트표현부(agent expression part)(140)는 에이전트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에이전트 UI 정보에 따라 해당 이벤트 즉,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대한 캐릭터 표현을 표시한다. 이때 에이전트표현부(140)는 표시부(27)에서 표시할 다수의 아바타 UI를 관리하며, 에이전트제어부(130)에서 요구한 UI 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아바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발생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따른 아바타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피드백 정보를 발생하면, 에이전트표현부(140)는 수신되는 피드백 정보를 에이전트제어부(130)에 전송한다. 에이전트제어부 (130)는 에이전트표현부(14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에 따른 에이전트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도 2와 같은 구성에서 이벤트수집부(110)에서 수집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만 처리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전달부(120)는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 에이전트제어부(130)의 내부 버퍼를 블랙보드(blackboard)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에이전트제어부(130)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에이전트제어부(130)는 각각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종류에 따라 호출되어 미리 설정된 전문적인 작업을 수행한 후 각각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다수의 전문가(specialist)와, 이벤트메시지들의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 저장용으로 사용되는 블랙보드와, 다수의 전문가가 유효한 결과를 출력할 경우에 이들 중 하나의 전문가를 선택하는 감독부와, 발생되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들에 따라 아바타의 수치를 저장하는 아바타수치저장부와, 시스템 관련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별 전문가리스트에서 해당하는 전문가들을 선택하고,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따른 에이전트를 제어하는 전문가관리부 등을 구비한다.
전문가(specialist)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전문가들로써, 한정된 부분에 대해 전문성을 갖고 중간 단계의 해답을 블랙보드에 기록하는 역할과 동시에 중간 단계의 해답에 대한 우선순위(priority) 및 사용자 선호도(user preference)를 표출한다. 각각의 전문가들이 블랙보드의 상태를 파악하여 우선순위 및 사용자 선호도를 계산하도록 요청하고, 중간단계의 해답을 상기 블랙보드에 적게 된다.
블랙보드는 전문가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하는 작업 환경이자 정보 공간이다. 기본적으로 전문가들이 중간단계의 해답을 적을 수 있도록 한다. 블랙보드 패턴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서로 다른 종류의 여러 전문가들을 용이하게 통합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각각의 전문가들이 서로 영향을 적게 주고받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모듈화하여 개발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여러 가지 변화(전문가들의 알고리즘 변경, 새로운 전문가의 추가 등)에 탄력적이다.
하나의 이벤트에 두 개 이상의 전문가들이 선택되는 경우, 전문가관리부는 감독부에게 수신된 이벤트에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전문가를 선택하도록 요구한다. 그러면 감독부는 블랙보드의 데이터, 이벤트에 따른 우선순위 및 사용자 선호도 등을 분석하여 가장 관계가 있는 전문가를 선택한다.
이때 휴대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이벤트 및 에이전트 기능, 그리고 사용자의 피드백에 의해 아바타 내부수치가 변한다. 뿐만 아니라 아바타 수치를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응용 이벤트들에도 아바타 수치에 영향을 미치는데 내부 수치가 변함에 따라 아바타 인터페이스는 변하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바타는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것이 아바타의 육성 개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인공지능 에이전트 시스템 기반위에 아바타 육성을 도입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시스템 이벤트들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행동을 제안하고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좀더 효과적으로 재미있게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런 시스템 이벤트들 및 이에 따른 사용자의 피드백 행동에 따라 아바타의 수치도 변화하게 된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시스템 관련 이벤트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다. 하기 <표 1>에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의 사용 예(use case), 시스템 관련 이벤트 분류, 시스템 관련 이벤트 판단시점, 시스템 관련 이벤트의 행동(처리)시점, 시스템 관련 이벤트 파라미터(필요정보), 빈도 및 시간, 조건예시, UI텍스트, 사용자의 선택사항 등이 정리되어 표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시스템 관련 이벤트들 이외에 필요한 다른 시스템 관련 이벤트들이 더 추가될 수 있거나 삭제될 수 있다.
Figure 112005070974545-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동작을 도 3 - 도 2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3, 도 5, 도 7, 도 9, 도 11, 도 13, 도 14 및 도 16은 상기 에이전트 기능부의 제어 하에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 4, 도 6, 도 8, 도 10, 도 12, 도 15 및 도 17은 상기 에이전트 기능부가 제어부(100)와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 18 - 도 24는 상기 도 3 - 도 17의 동작을 아바타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 기능부에서 배터리 상태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1602단계에서 배터리 상태변경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 이벤트수집부는 이를 수집하여 1604단계에서 이벤트전달부에 제공하며 이벤트전달부는 1606단계에서 이를 에이전트제어부의 전문가관리부에 제공한다. 전문가관리부는 1608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배터리 상태변경 이벤트를 블랙보드에 저장하며, 이후 1610단계에서 내부 전문가 리스트에서 배터리 상태 변경 이벤트 시에 호출되는 전문가들을 확인하며 1612단계에서 각 전문가들을 호출한다(도 3의 예에서는 전문가 ID 31, 32의 전문가가 호출되었음이 예로서 도시된다).
호출된 전문가들 중에서 ID 31의 전문가는 1614단계에서 배터리 상태가 만 충전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배터리 상태가 만 충전이 아닐 경우에는 1615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 'NO'를 리턴하고, 배터리 상태가 만 충전일 경우에는 1617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 'YES'를 리턴한다.
호출된 전문가 중에서 ID 32의 전문가는 1621단계에서 배터리 잔량이 적은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배터리 잔량이 적지 않을 경우에는1622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 'NO'를 리턴하고, 배터리 잔량이 적을 경우에는 1623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 'YES'를 리턴한다.
이러한 각 호출된 전문가로부터 리턴이 이루어지면 전문가관리부는 1640단계에서 YES를 리턴한 전문가 ID(도 3에서는 예를 들어 전문가 ID 31 또는 32)를 감독부로 제공하며, 감독부는 이후 1642단계에서 해당 전문가들의 우선순위, 또는 YES를 리턴한 전문가가 하나일 경우에는 해당 전문가의 실행여부를 확인하여 이후 1644단계에서 전문가관리부로 최우선 전문가 또는 해당 전문가의 실행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문가관리부는 1646단계에서 해당 최우선 전문가 또는 실행할 전문가 ID별로 미리 설정된 UI-ID를 확인하여 이후 1648단계에서 에이전트표현부로 UI-ID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에이전트표현부는 1650단계에서 해당 UI를 표현하게 된다.
이러한 에이전트표현부의 UI 표현은 예를 들어 상기 전문가 ID 31에 해당하는 UI의 표현 시, '배터리 만 충전되었음'이라는 내용이 알리는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문가 ID 32에 해당하는 UI의 표현 시 '배터리 잔량이 적음'이라는 내용이 알리는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배터리 상태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상태가 변경되면, 제어부(10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상태를 체크하는 110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상태를 체크할 결과, 상기 배터리가 만 충전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11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현재 휴대단말기의 배터리가 만 충전상태임을 알리는 내용을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1103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적은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11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현재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적음을 알리는 내용을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1105단계를 진행한다.
도 18은 상기 도 3에서 배터리 상태변경 이벤트가 발생될 때, 또는 상기 도 4의 1103단계 및 1105단계에서 배터리 상태를 알리는 아바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가 만 충전상태임이 확인되면, 도 18의 (a)와 같이 아바타가 표시되면서 현재 휴대단말기의 배터리가 만 충전임을 알리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되거나 또는 일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아바타는 사라진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적음이 확인되면, 도 18의 (b)와 같이 아바타가 표시되면서 현재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잔량이 적음을 알리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되거나 또는 일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아바타는 사라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 기능부에서 전파 상태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이전트제어부내에서의 동작만 도시하였는데, 해당 에이전트제어부로 제공되는 이벤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벤트수집부 및 이벤트전달부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1702단계에서 전파상태 변경 이벤트가 전달되면 전문가관리부는 1704단계에서 수신한 전파상태 변경 이벤트를 블랙보드에 저장하며, 이후 1706단계에서 내부 전문가 리스트에서 전파상태 변경 이벤트 시에 호출되는 전문가들을 확인하며 1708단계에서 각 전문가들을 호출한다(도 5의 예에서는 전문가 ID 35의 전문가가 호출되었음이 예로서 도시된다).
호출된 ID 35의 전문가는 1710단계에서 전파 상태를 확인하여 전파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전파 상태가 약한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전파 상태가 약하지 않을 경우에는 1712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 'NO'를 리턴하고, 전파상태가 약할 경우에는 1714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 'YES'를 리턴한다.
호출된 전문가(즉 ID 35 전문가)로부터 리턴이 이루어지면 전문가관리부는 1720단계에서 YES를 리턴한 전문가 ID(전문가 ID 35)를 감독부로 제공하며, 감독부는 이후 1722단계에서 해당 전문가들의 우선순위/실행여부를 확인하여 이후 1724단계에서 전문가관리부로 최우선 전문가/실행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문가관리부는 1726단계에서 해당 최우선 전문가 또는 실행할 전문가의 UI-ID를 확인하여 이후 1728단계에서 에이전트표현부로 UI-ID를 전송함으로 해당 UI가 표현되게 한다. 이때 UI 표현은 전파 상태가 약함을 알리는 텍스트/아바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전파 상태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파상태가 변경되면, 제어부(10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파상태를 체크하는 120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파상태를 체크할 결과, 상기 전파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보다 작은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1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현재 휴대단말기의 전파상태가 약함을 알리는 내용을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1203단계를 진행한다.
도 19는 상기 도 5에서 전파 상태변경 이벤트가 발생될 때, 또는 상기 도 6의 1203단계에서 전파 상태를 알리는 아바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전파 상태변경 이벤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파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적음이 확인되면, 도 19에서와 같이 아바타가 표시되면서 현재 휴대단말기의 전파상태가 약함을 알리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되거나 또는 일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아바타는 사라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 기능부에서 메모리 용량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이전트제어부내에서의 동작만 도시하였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1802단계에서 메모리 용량변경 이벤트가 전달되면 전문가관리부는 1804단계에서 수신한 메모리 용량변경 이벤트를 블랙보드에 저장하며, 이후 1806단계에서 내부 전문가 리스트에서 메모리 용량 변경 이벤트 시에 호출되는 전문가들을 확인하며 1808단계에서 각 전문가들을 호출한다(도 7의 예에서는 전문가 ID 37의 전문가가 호출되었음이 예로서 도시된다).
호출된 ID 37의 전문가는 1810단계에서 메모리 용량 상태를 확인하여 메모리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메모리 용량이 적은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 결과 메모리 용량이 적지 않을 경우에는 1812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 'NO'를 리턴하고, 메모리 용량이 적을 경우에는 1814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 'YES'를 리턴한다.
호출된 전문가(즉 ID 37 전문가)로부터 리턴이 이루어지면 전문가관리부는 1820단계에서 YES를 리턴한 전문가 ID(전문가 ID 37)를 감독부로 제공하며, 감독부는 이후 1822단계에서 해당 전문가들의 우선순위/실행여부를 확인하여 이후 1824단계에서 전문가관리부로 최우선 전문가/실행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문가관리부는 1826단계에서 해당 최우선 전문가 또는 실행할 전문가의 UI-ID를 확인하여 이후 1828단계에서 에이전트표현부로 UI-ID를 전송함으로 해당 UI가 표현되게 한다. 이때 UI 표현은 메모리 용량이 적음을 알리는 텍스트/아바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모리 용량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이 변경되면, 제어부(10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용량 상태를 체크하는 130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을 체크할 결과, 상기 메모리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보다 작은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13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현재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이 적음을 알리는 내용을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1303단계를 진행한다.
도 20은 상기 도 7에서 메모리 용량변경 이벤트가 발생될 때, 또는 상기 도 8의 1303단계에서 메모리 용량상태를 알리는 아바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메모리 용량변경 이벤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적음이 확인되면, 도 20에서와 같이 아바타가 표시되면서 현재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이 적음을 알리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되거나 또는 일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아바타는 사라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 기능부에서 벨소리 변경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이전트제어부내에서의 동작만 도시하였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1902단계에서 예를 들어 ID 42의 타이머 이벤트가 전달되면 전문가관리부는 1904단계에서 수신한 타이머 이벤트를 블랙보드에 저장하며, 이후 1906단계에서 내부 전문가 리스트에서 ID 42의 타이머 이벤트 시에 호출되는 전문가들을 확인하며 1908단계에서 각 전문가들을 호출한다(도 9에서는 전문가 ID 42의 전문가가 호출된다).
호출된 ID 42의 전문가는 1910단계에서 타이머를 예를 들어 N일 뒤로 재설정한다. 이와 같이 타이머를 재설정하는 것은 N일 뒤에 다시 호출되어 동작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라 ID 42의 전문가는 N일을 주기로 해서 반복적으로 호출되어 동작한다. 이후 1914단계에서는 블랙보드를 통해 벨소리 변경 일을 확인하여 벨소리 변경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일을 초과할 경우에 벨소리 변경일이 오래된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 결과 벨소리 변경일이 오래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1916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 'NO'를 리턴하며, 벨소리 변경일이 오래되었을 경우에는 1917단계로 진행하여 'YES'를 리턴한다.
호출된 전문가(즉 ID 42 전문가)로부터 리턴이 이루어지면 전문가관리부는 1920단계에서 YES를 리턴한 전문가 ID(전문가 ID 42)를 감독부로 제공하며, 감독부는 이후 1922단계에서 해당 전문가들의 우선순위/실행여부를 확인하여 이후 1924단계에서 전문가관리부로 최우선 전문가/실행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문가관리부는 1926단계에서 해당 최우선 전문가 또는 실행할 전문가의 UI-ID를 확인하여 이후 1928단계에서 에이전트표현부로 UI-ID를 전송함으로 해당 UI가 표현되게 한다. 이때 표현되는 UI에는 벨소리를 변경해 볼 것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벨소리 변경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벨소리 변경 일을 체크하는 일정주기가 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14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마지막 벨소리 변경 일을 체크하는 14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마지막 벨소리 변경 일을 체크한 결과, 상기 벨소리 변경 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일을 초과함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1403단계에서 벨소리 변경 일이 오래되었음을 감지하고 벨 소리를 변경할 것을 권유하는 내용을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1404단계를 진행한다.
도 21은 상기 도 9에서 ID 42의 타이머 이벤트가 발생될 때, 또는 상기 도 10의 1404단계에서 벨소리 변경을 알리는 아바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ID 42의 타이머 이벤트 발생 즉, 상기 벨소리 변경일이 기준 일을 초과하면, 상기 도 21의 (a)와 같이, 아바타가 표시되면서 오랫동안 벨소리가 변경되지 않음을 알리며 벨소리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이때 "1. 예"가 선택되면, 상기 도 21의 (b)와 같이 아바타의 기쁨 표정과 함께 이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일정시간 후 또는 일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아바타는 사라지고 벨소리 변경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된다. 그러나 "2.아니오"가 선택되면, 상기 도 21의 (c)와 같이, 아바타가 시무룩한 표정과 함께 이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후 또는 일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아바타는 사라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 기능부에서 배경화면 변경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이전트제어부내에서의 동작만 도시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2002단계에서 예를 들어 ID 43의 타이머 이벤트가 전달되면 전문가관리부는 2004단계에서 수신한 타이머 이벤트를 블랙보드에 저장하며, 이후 2006단계에서 내부 전문가 리스트에서 ID 43의 타이머 이벤트 시에 호출되는 전문가들을 확인하며 2008단계에서 각 전문가들을 호출한다(도 11에서는 전문가 ID 43의 전문가가 호출된다).
호출된 ID 43의 전문가는 2010단계에서 타이머를 예를 들어 N일 뒤로 재설정한다. 이와 같이 타이머를 재설정하는 것은 N일 뒤에 다시 호출되어 동작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라 ID 43의 전문가는 N일을 주기로 해서 반복적으로 호출되어 동작한다. 이후 2014단계에서는 블랙보드를 통해 배경화면 변경 일을 확인하여 배경화면 변경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일을 초과한 경우에 배경화면 변경일이 오래된 것으로 판단한다. 판단 결과 배경화면 변경일이 오래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2016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 'NO'를 리턴하며, 배경화면 변경일이 오래되었을 경우에는 2017단계로 진행하여 'YES'를 리턴한다.
호출된 전문가(즉 ID 43 전문가)로부터 리턴이 이루어지면 전문가관리부는 2020단계에서 YES를 리턴한 전문가 ID(전문가 ID 42)를 감독부로 제공하며, 감독부는 이후 2022단계에서 해당 전문가들의 우선순위/실행여부를 확인하여 이후 2024단계에서 전문가관리부로 최우선 전문가/실행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문가관리부는 2026단계에서 해당 최우선 전문가 또는 실행할 전문가의 UI-ID를 확인하여 이후 2028단계에서 에이전트표현부로 UI-ID를 전송함으로 해당 UI가 표현되게 한다. 이때 표현되는 UI에는 배경화면을 변경해 볼 것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배경화면 변경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배경화면 변경 일을 체크하는 일정주기가 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15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마지막 배경화면 변경 일을 체크하는 15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마지막 배경화면 변경 일을 체크한 결과, 상기 마지막 배경화면 변경 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일을 초과함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1503단계에서 배경화면 변경 일이 오래되었음을 감지하고 배경화면을 변경할 것을 권유하는 내용을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1504단계를 진행한다.
도 22는 상기 도 11에서 ID 43의 타이머이벤트가 발생될 때, 또는 상기 도 12의 1504단계에서 배경화면 변경을 알리는 아바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ID 43의 타이머이벤트 발생 즉, 상기 배경화면 초과일이 기준 일을 초과하면, 상기 도 22의 (a)와 같이, 아바타가 표시되면서 오랫동안 배경화면이 변경되지 않음을 알리며 배경화면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이때 "1. 예"가 선택되면, 상기 도 22의 (b)와 같이 아바타의 기쁨 표정과 함께 이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일정시간 후 또는 일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아바타는 사라지고 배경화면을 변경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된다. 그러나 "2.아니오"가 선택되면, 상기 도 22의 (c)와 같이, 아바타가 시무룩한 표정과 함께 이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후 또는 일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아바타는 사라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 기능부에서 벨 모드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이전트제어부내에서의 동작만 도시하였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2102단계에서 벨 모드 변경 이벤트가 전달되면 전문가관리부는 2104단계에서 수신한 벨 모드 변경 이벤트를 블랙보드에 저장하며, 이후 2106단계에서 내부 전문가 리스트에서 벨 모드 변경 이벤트 시에 호출되는 전문가들을 확인하며 2108단계에서 각 전문가들을 호출한다(도 13에서는 전문가 ID 25의 전문가가 호출된다).
호출된 ID 25의 전문가는 2110단계에서 벨 모드 변경이 특정 시간범위 내에서 계속적으로 일정횟수 이상, 예를 들어 3회 이상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벨 모드 변경이 특정시간 범위 내에서 일정횟수 이상 계속적으로 이루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이후 2111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 'NO'를 리턴한다. 한편, 판단 결과 벨 모드 변경이 특정 시간범위 내에서 일정횟수 이상 계속적으로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2112단계로 진행하여 적절한 타이머(편의상 타이머 ID 25)를 설정한 후에 1834단계에서 전문가관리부로 'NO'를 리턴한다. 상기 특정시간 범위는 벨 모드가 변경된 시간 보다 이른 제1일정시간부터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된 시간까지, 또는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된 시간부터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된 시간보다 늦은 제2일정시간까지, 또는 상기 제1일정시간부터 제2일정시간까지를 나타낸다.
호출된 전문가(즉 ID 25 전문가)로부터 리턴이 이루어지면 전문가관리부는 2120단계에서 YES를 리턴한 전문가의 ID를 감독부로 제공하게 되는데, 현재 도 1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벨모드 변경 시에 호출되는 전문가는 ID 25 전문가 하나이며, 해당 ID 25 전문가는 이 경우에 항상 NO를 리턴하므로, 2120단계에서 전문가관리부가 감독부로 전송할 전문가 ID는 없게 된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 해당 벨 모드 변경 이벤트를 수신하여 YES를 리턴할 전문가가 있을 수 있으며, 그럴 경우에 전문가관리부는 상기 2120단계에서 해당 YES를 리턴한 전문가 ID를 감독부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독부는 이후 2122단계에서 해당 전문가들의 우선순위/실행여부를 확인하여 이후 2124단계에서 전문가관리부로 그 결과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전문가관리부는 2126단계에서 해당 최우선 전문가 또는 실행할 전문가의 UI-ID를 확인하여 이후 2128단계에서 에이전트표현부로 UI-ID를 전송함으로 해당 UI가 표현되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 중 일 전문가(즉 전문가 ID 25)에 의해 설정된 타이머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이전트제어부내에서의 동작만 도시하였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2202단계에서 ID 25의 타이머 이벤트가 전달되면 전문가관리부는 2204단계에서 수신한 타이머 이벤트를 블랙보드에 저장하며, 이후 2206단계에서 내부 전문가 리스트에서 ID 25의 타이머 이벤트 시에 호출되는 전문가들을 확인하며 2208단계에서 각 전문가들을 호출한다(도 14에서는 전문가 ID 25의 전문가가 호출된다).
호출된 ID 25의 전문가는 2210단계에서 벨모드 변경이 이루어졌는지를 다시 확인하여 벨모드 변경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2212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 'NO'를 리턴하며, 벨모드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2214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 'YES'를 리턴한다.
호출된 전문가(즉 ID 25 전문가)로부터 리턴이 이루어지면 전문가관리부는 2220단계에서 YES를 리턴한 전문가 ID(전문가 ID 25)를 감독부로 제공하며, 감독부는 이후 2222단계에서 해당 전문가들의 우선순위/실행여부를 확인하여 이후 2224단계에서 전문가관리부로 확인 결과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문가관리부는 2226단계에서 해당 최우선 전문가 또는 실행할 전문가의 UI-ID를 확인하여 이후 2228단계에서 에이전트표현부로 UI-ID를 전송함으로 해당 UI가 표현되게 한다. 이때 해당 UI 표현은 벨모드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째 날 10시에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고, 둘째 날 10시 20분에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며, 셋째 날 10시 10분에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면, 특정시간범위 내에서 일정횟수 이상(3회) 벨 모드 변경이 계속적으로 수행되었음으로 ID 25의 타이머가 설정된다. 그리고 넷째 날 상기 ID 25의 타이머이벤트가 발생에 따라, 특정시간 범위 내에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는 확인한다. 이때 상기 ID 25의 타이머이벤트 발생에 따른 특정시간 범위는 마지막 벨 모드 변경을 수행한 시간 즉, 상기 셋째 날의 벨 모드 변경시간인 10시 10분을 기준으로, 상기 마지막 벨 모드 변경시간 보다 일정시간(30분) 이른 제1일정시간(9시 40분)부터 상기 마지막 벨 모드 변경시간(10시 10분)까지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ID 25의 타이머이벤트 발생에 따른 특정시간 범위는 상기 마지막 벨 모드 변경시간(10시 10분)부터 상기 마지막 벨 모드 변경시간 보다 일정시간(30분) 늦은 제2일정시간(10시 40분)까지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ID 25의 타이머이벤트 발생에 따른 특정시간 범위는 상기 제1일정시간(9시40분)부터 상기 제2일정시간(10시 40분)까지가 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벨 모드 변경 이벤트 처리 동작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16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벨 모드 변경이 특정시간 범위 내에서 일정횟수 이상 수행되었는지 체크한다.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상기 특정시간 범위 내에서 일정횟수 이상 수행되었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16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벨 모드 변경 타이머를 설정하는 16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특정시간 범위는 벨 모드가 변경된 시간 보다 이른 제1일정시간부터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된 시간까지, 또는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된 시간부터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된 시간보다 늦은 제2일정시간까지, 또는 상기 제1일정시간부터 제2일정시간까지를 나타낸다. 그럼으로, 상기 1603단계에서 벨 모드 변경 타이머가 설정될 때는 마지막으로 수행된 벨 모드 변경시간이 저장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에 벨 모드 변경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16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었던 특정시간 범위를 체크하는 16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특정시간의 범위가 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특정시간 범위 내에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는 확인한다. 즉, 벨 모드가 변경된 시간 보다 이른 제1일정시간부터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된 시간까지, 또는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된 시간부터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된 시간보다 늦은 제2일정시간까지, 또는 상기 제1일정시간부터 제2일정시간까지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특정시간 범위 내에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16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벨 모드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1607단계를 진행한다.
도 23은 상기 도 14에서 ID 25의 타이머이벤트가 발생될 때, 또는 상기 도 15의 1607단계에서 벨 모드 변경을 알리는 아바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ID 25의 타이머이벤트 발생 즉, 상기 특정시간 범위 내에서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도 23의 (a)와 같이, 아바타가 표시되면서 벨 모드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이때 "1. 예"가 선택되면, 상기 도 23의 (b)와 같이 아바타의 기쁨 표정과 함께 이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일정시간 후 또는 일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아바타는 사라지고 벨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된다. 그러나 "2.아니오"가 선택되면, 상기 도 23의 (c)와 같이, 아바타가 시무룩한 표정과 함께 이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후 또는 일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아바타는 사라진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에이전트 기능부에서 폰 사용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이전트제어부내에서의 동작만 도시하였다.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2302단계에서 예를 들어 ID 1의 타이머 이벤트가 전달되면 전문가관리부는 2304단계에서 수신한 타이머 이벤트를 블랙보드에 저장하며, 이후 2306단계에서 내부 전문가 리스트에서 ID 1의 타이머 이벤트 시에 호출되는 전문가들을 확인하며 2308단계에서 각 전문가들을 호출한다(도 16에서는 전문가 ID 1의 전문가가 호출된다).
호출된 ID 1의 전문가는 2310단계에서 타이머를 예를 들어 N일 뒤로 재설정한다. 이와 같이 타이머를 재설정하는 것은 N일 뒤에 다시 호출되어 동작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라 ID 1의 전문가는 N일을 주기로 해서 반복적으로 호출되어 동작한다. 이후 2312단계에서, 해당 폰 사용 빈도 및 아바타 상태 수치 최저 항목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권장할 응용 프로그램 항목을 확인한다. 이후 폰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보다 낮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2314단계에서 판단하여 2316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 'NO'를 리턴하며, 폰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에는 2317단계로 진행하여 전문가관리부로'YES'를 리턴한다. 이때 2317단계에서 YES를 리턴 시에 상기 권장 응용 프로그램 정보를 같이 전송할 수 있다.
호출된 전문가(즉 ID 1 전문가)로부터 리턴이 이루어지면 전문가관리부는 2320단계에서 YES를 리턴한 전문가 ID(전문가 ID 1)를 감독부로 제공하며, 감독부는 이후 2322단계에서 해당 전문가들의 우선순위/실행여부를 확인하여 이후 2324단계에서 전문가관리부로 최우선 전문가/실행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문가관리부는 2326단계에서 해당 최우선 전문가 또는 실행할 전문가의 UI-ID를 확인하여 이후 2328단계에서 에이전트표현부로 UI-ID를 전송함으로 해당 UI가 표현되게 한다. 전문가관리부에서 에이전트표현부로 UI-ID 전송 시에 권장 프로그램 정보도 동시에 전송되며, 에이전트표현부는 UI표현 시 해당 권장 프로그램의 사용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폰 사용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폰 사용 빈도를 체크하는 일정주기가 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17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폰 사용빈도를 체크하는 17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폰 사용빈도를 체크를 체크한 결과, 상기 폰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17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해당 폰 사용 빈도 및 아바타 상태 수치 최저 항목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권장할 응용 프로그램 항목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해당 권장프로그램의 사용을 권유하는 내용을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1704단계를 진행한다.
도 24는 상기 도 16에서 ID 1의 타이머이벤트가 발생될 때, 또는 상기 도 17의 1704단계에서 해당 권장프로그램을 사용할 것을 알리는 아바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ID 1의 타이머이벤트 발생 즉, 폰 사용빈도가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도 24의 (a)와 같이, 아바타가 표시되면서 해당 권장프로그램의 사용을 권유하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이때 "1. 예"가 선택되면, 상기 도 24의 (b)와 같이 아바타의 기쁨 표정과 함께 이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일정시간 후 또는 일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아바타는 사라지고 상기 해당 권장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된다. 그러나 "2.아니오"가 선택되면, 상기 도 24의 (c)와 같이, 아바타가 시무룩한 표정과 함께 이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후 또는 일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아바타는 사라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휴대단말기에 캐릭터 에이전트 기능을 부가하여 또는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의 발생 및 처리를 해당하는 아바타 UI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관련 이벤트 발생시 이를 캐릭터 에이전트 기능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Claims (31)

  1.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따른 캐릭터 UI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들을 감지하며, 상기 발생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식별하기 위한 이벤트메시지를 생성하는 이벤트수집부와,
    상기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위한 다수의 전문가들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전문가들 중 상기 이벤트메시지에 대응되는 전문가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전문가가 가지는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따른 캐릭터 UI ID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에이전트제어부와,
    상기 시스템 관련 이벤트에 따른 캐릭터 UI ID에 대응되는 캐릭터 이미지 및 텍스트를 억세스하여 출력하는 에이전트표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제어부는 배터리의 상태가 만충전 상태임을 확인하며, 상기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임이 판단될 경우에는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임을 알리는 전문가와; 배터리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하며, 상기 배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배터리 잔량이 적음을 알리는 전문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제어부는 전파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하며, 상기 전파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판단될 경우에는 전파상태가 약함을 알리는 전문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제어부는 메모리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하며, 상기 메모리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메모리 용량이 적음을 알리는 전문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제어부는 벨소리 변경일이 기준 일을 초과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벨소리 변경일이 기준 일을 초과할 경우에는 벨소리를 변경할 것을 알리는 전문 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제어부는 배경화면 변경일이 기준 일을 초과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배경화면 변경일이 기준 일을 초과할 경우에는 배경화면을 변경할 것을 알리는 전문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제어부는 특정시간 범위 내에 일정 횟수 이상의 벨모드 변경이 발생될 경우 타이머를 설정하며, 상기 타이머이벤트가 발생될 경우에는 벨모드를 변경할 것을 알리는 전문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제어부는 폰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하며, 상기 폰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해당 권장프로그램 을 사용할 것을 알리는 전문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배터리 상태가 만충전임을 알리는 캐릭터 UI 이미지; 배터리 잔량이 적음을 알리는 캐릭터 UI 이미지; 전파상태가 약함을 알리는 캐릭터 UI 이미지; 메모리 용량이 적음을 알리는 캐릭터 UI 이미지; 벨소리를 변경할 것을 알리는 캐릭터 UI 이미지; 배경화면을 변경할 것 알리는 캐릭터 UI 이미지; 특정시간 범위가 되면 벨 모드를 변경할 것을 알리는 캐릭터 UI 이미지; 폰 사용빈도가 적을 때 해당 권장프로그램을 사용할 것을 알리는 캐릭터 UI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10.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발생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들 각각에 대해 처리하도록 미리 설정된 전문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전문가를 호출하여 상기 발생된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시스템 관련 이벤트를 처리한 전문가별 처리 결과에 따라, 각 전문가별로 미리 설정된 처리 결과를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련 이벤트는 배터리 상태변경 이벤트, 전파 상태변경 이벤트, 메모리 용량변경 이벤트, 벨 모드 변경 이벤트 및 상기 시스템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전문가가 설정한 타이머 이벤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상태변경 이벤트를 처리하는 제1, 2전문가 중에서, 상기 제1전문가는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임을 확인하며, 상기 제1전문가에 의해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로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전문가는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임을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하며;
    상기 제2전문가는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상기 제2전문가에 의해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 하로 판단된 경우에 배터리 잔량이 적음을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상태변경 이벤트를 처리하는 제3전문가는 전파 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상기 제3전문가에 의해 전파 상태가 기준치 이하로 판단되었을 경우에 전파 상태가 약함을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용량변경 이벤트를 처리하는 제4전문가는 메모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상기 제4전문가에 의해 메모리 용량이 기준치 이하로 판단되었을 경우에 메모리 용량이 적음을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전문가가 설정한 타이머 이벤트 중 제5타이머 이벤트를 처리하는 제5전문가는 상기 제5타이머 이벤트를 재설정하고, 벨소리 변경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일을 초과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제5전문가에 의해 벨소리 변경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일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 벨소리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전문가가 설정한 타이머 이벤트 중 제6타이머 이벤트를 처리하는 제6전문가는 상기 제6타이머 이벤트를 재설정하며, 배경화면 변경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일을 초과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제6전문가에 의해 배경화면 변경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일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 배경화면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벨모드 변경 이벤트를 처리하는 제7전문가는 특정시간 범위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횟수 이상의 벨 모드 변경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여 타이머를 설정하며,
    상기 제7전문가에 의해 설정된 타이머가 발생되면, 벨 모드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전문가가 설정한 타이머 이벤트 중 제8타이머 이벤트를 처리하는 제8전문가는 상기 제8타이머 이벤트를 재설정하며, 폰 사용 빈도와 아바타 상태 수치의 최저항목 및 아바타 상태 수치의 최저 항목당 미리 설정된 권장 응용 프로그램 항목을 확인하며,
    상기 제8전문가에 의해 폰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아바타 상태 수치 최저 항목당 미리 설정된 권장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19.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상태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가 만 충전 상태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가 만 충전상태임을 알리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적음을 알리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20.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파상태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파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파상태가 약함을 알리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21.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용량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이 적음을 알리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22.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일정주기마다 벨소리 변경 일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벨소리 변경 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일을 초과하면, 벨소리의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변경이 선택되면, 벨소리 변경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24.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일정주기마다 배경화면 변경 일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배경화면 변경일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일을 초과하면, 배경화면의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화면의 변경이 선택되면, 배경화면 변경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26.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면, 특정시간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횟수 이상 수행된 벨 모드 변경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시간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횟수 이상 수행된 벨 모드 변경이면, 벨 모드 변경 타이머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벨 모드 변경 타이머가 설정되면, 상기 특정시간범위 내에서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시간범위 내에서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되지 않으면, 벨 모드 변경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선택되면, 벨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시간 범위는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된 시간보다 이른 제1 일정시간 부터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된 시간까지 또는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된 시 간부터 상기 벨 모드 변경이 수행된 시간보다 늦은 제2일정시간까지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시간 범위는 제1일정시간부터 제2일정시간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30.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일정주기마다 폰 사용빈도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폰 사용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해당 권장프로그램의 사용을 권유하는 텍스트/아바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권장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상기 해당 권장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 트 처리 방법.
KR1020050117726A 2004-12-20 2005-12-05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663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726A KR100663277B1 (ko) 2004-12-20 2005-12-05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EP05027872.0A EP1672882B1 (en) 2004-12-20 2005-12-2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assistance in a wireless terminal employing an avatar
CNB200510128475XA CN100559803C (zh) 2004-12-20 2005-12-20 在便携式终端中处理系统相关的事件的装置和方法
US11/311,358 US7742782B2 (en) 2004-12-20 2005-12-20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ystem-related events in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751 2004-12-20
KR20040108751 2004-12-20
KR1020050117726A KR100663277B1 (ko) 2004-12-20 2005-12-05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429A true KR20060070429A (ko) 2006-06-23
KR100663277B1 KR100663277B1 (ko) 2007-01-02

Family

ID=3600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726A KR100663277B1 (ko) 2004-12-20 2005-12-05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42782B2 (ko)
EP (1) EP1672882B1 (ko)
KR (1) KR100663277B1 (ko)
CN (1) CN100559803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491B1 (ko) * 2005-03-0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방송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방법
WO2022103055A1 (ko) * 2020-11-11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3432A1 (en) * 2003-03-21 2004-09-30 Academisch Ziekenhuis Leiden Modulation of exon recognition in pre-mrna by interfering with the secondary rna structure
US7535340B2 (en) * 2004-12-20 2009-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application program-related event in a wireless terminal
JP4212602B2 (ja) * 2006-04-17 2009-01-21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
KR101286811B1 (ko) * 2006-05-25 2013-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계층 구조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235341B1 (ko) * 2006-10-19 2013-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재생 방법
US8108782B2 (en) * 2006-11-09 2012-01-31 Motorola Mobility, Inc. Display management for communication devices with multiple displays
US7676249B2 (en) 2006-12-05 2010-03-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Alert methods and apparatus for call appointments in a calendar application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of a mobile station
EP1973316B1 (en) * 2006-12-05 2012-02-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Alert methods and apparatus for call appointments in a calendar application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of a mobile station
EP2614827B1 (en) 2007-10-26 2017-06-28 Academisch Ziekenhuis Leiden Means and methods for counteracting muscle disorders
EP2223541A4 (en) * 2007-12-17 2012-08-15 Play Megaphone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ON MANAGEMENT BETWEEN A USER AND AN INTERACTIVE SYSTEM
US9075901B2 (en) 2008-12-15 2015-07-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visualize activities through the use of avatars
CN101753230A (zh) * 2008-12-19 2010-06-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通信设备及确定通信状态的方法
US8889021B2 (en) * 2010-01-21 2014-11-18 Kla-Tencor Corporation Process condition 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plasma chamber
TWI439960B (zh) 2010-04-07 2014-06-01 Apple Inc 虛擬使用者編輯環境
CN102387091B (zh) * 2010-08-31 2014-12-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滑动检测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
EP4043039A1 (en) 2012-01-27 2022-08-17 BioMarin Technologies B.V. Rna modulating oligonucleotides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for the treatment of duchenne and becker muscular dystrophy
US9459781B2 (en) 2012-05-09 2016-10-0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imated sequences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EP3337583B1 (en) 2015-08-20 2024-01-17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DK179412B1 (en) 2017-05-12 2018-06-06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722764B2 (en) 2018-05-07 2023-08-08 Apple Inc. Creative camera
DK180078B1 (en) 2018-05-07 2020-03-3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VATAR CREATION
US11327650B2 (en) 2018-05-07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US10375313B1 (en) 2018-05-07 2019-08-06 Apple Inc. Creative camera
US11131967B2 (en) 2019-05-06 2021-09-28 Apple Inc.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CN113157190A (zh) 2019-05-06 2021-07-23 苹果公司 电子设备的受限操作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JP7098571B2 (ja) * 2019-05-21 2022-07-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372659B2 (en) 2020-05-11 2022-06-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DK181103B1 (en) 2020-05-11 2022-12-1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JP7100224B2 (ja) * 2020-05-11 2022-07-13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時間に関係する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CN115552375A (zh) 2020-05-11 2022-12-30 苹果公司 用于管理用户界面共享的用户界面
US11921998B2 (en) 2020-05-11 2024-03-05 Apple Inc. Editing features of an avatar
US11694590B2 (en) 2020-12-21 2023-07-04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with time indicator
US11720239B2 (en) 2021-01-07 2023-08-08 Apple Inc.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related to an event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US11776190B2 (en) 2021-06-04 2023-10-03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an avatar on a lock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8731A (en) * 1998-04-24 2000-07-11 Associative Computing,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use with a local computer and with the internet
JP3524827B2 (ja) * 1999-09-30 2004-05-10 三洋電機株式会社 電話機用電池残量表示装置
US20030087665A1 (en) * 1999-12-13 2003-05-08 Tokkonen Timo Tapani Reminder fun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2252682A (ja) 2001-02-26 2002-09-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携帯電話機用入力方法、および携帯電話機
JP2003143286A (ja) 2001-10-31 2003-05-16 Nec Corp 携帯電話機
CA2742282C (en) * 2001-12-26 2014-12-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viewing unified communications events on a mobile device
KR100547888B1 (ko) * 2002-03-30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및 표시장치 및 방법
JP4310084B2 (ja) * 2002-07-30 2009-08-0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及びガイダンス表示プログラム
JP2004349851A (ja) * 2003-05-20 2004-12-09 Ntt Docomo Inc 携帯端末、画像通信プログラム、及び画像通信方法
KR100526994B1 (ko) * 2003-07-21 2005-1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캐릭터를 이용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관리 방법
KR100538878B1 (ko) * 2003-08-14 2005-12-2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US7069003B2 (en) * 2003-10-06 2006-06-2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updating a mobile web log (blog) to reflect mobile terminal activity
JP2005117304A (ja) * 2003-10-07 2005-04-28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20050159125A1 (en) * 2004-01-16 2005-07-21 Luca Lodolo One or more openly visible indicators that display wireless network signal strengt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491B1 (ko) * 2005-03-0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방송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방법
WO2022103055A1 (ko) * 2020-11-11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277B1 (ko) 2007-01-02
CN100559803C (zh) 2009-11-11
EP1672882B1 (en) 2017-01-04
US20060166708A1 (en) 2006-07-27
US7742782B2 (en) 2010-06-22
CN1794741A (zh) 2006-06-28
EP1672882A1 (en)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277B1 (ko)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50999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메시지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09585B1 (ko) 휴대단말기의 일정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9803003B (zh) 一种控制方法、系统及相关设备
EP16728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assistance in a wireless terminal employing an avatar
KR100663491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방송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방법
US7555308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related events in mobile terminal
US201000993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function execution recommendation alarm event in wireless terminal
EP16728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assistance in a wireless terminal employing an avatar
KR100715426B1 (ko) 휴대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방법
KR100754654B1 (ko) 사용자 위치정보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 설정 이벤트장치 및 방법
KR100803050B1 (ko)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관련 이벤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2013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능실행 권유알람 이벤트 처리 장치 및방법
KR100663428B1 (ko) 휴대단말기의 메일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13458B1 (ko) 휴대단말기의 아바타 관련 이벤트 처리 방법
KR100663517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리소스 변경이벤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55433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 관련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