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314A -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 - Google Patents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314A
KR20060070314A KR1020040109010A KR20040109010A KR20060070314A KR 20060070314 A KR20060070314 A KR 20060070314A KR 1020040109010 A KR1020040109010 A KR 1020040109010A KR 20040109010 A KR20040109010 A KR 20040109010A KR 20060070314 A KR20060070314 A KR 20060070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uel tank
pad
seating
seat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0314A/ko
Publication of KR2006007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착패드의 양측에 브라켓의 양측 끝단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이 안착패드의 저면에 브라켓에 구비된 삽입홀에 끼워지는 돌기부를 형성하며, 안착패드의 상부면에 구비된 엠보싱을 오목하게 형성하므로서, 안착패드와 브라켓의 결합도를 향상시켜 연료탱크 장착시 또는 차량 주행시 안착패드가 유동하지 않도록 하고, 이를통해 연료탱크의 내구력이 향상되어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안착패드와 연료탱크의 밀착도가 향상되도록 한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연료탱크, 브라켓, 안착패드, 결합부, 돌기부, 엠보싱,

Description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Pad structure}
도 1 은 종래의 연료탱크 브라켓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안착패드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장착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브라켓, 11: 삽입홀,
12: 안착패드, 13: 결합부,
14: 엠보싱, 15: 돌기부,
본 발명은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착패드와 브라켓의 결합도를 향상시켜 연료탱크 장착시 또는 차량 주행시 안착패드가 유동하지 않도록 하고, 이를통해 연료탱크의 내구력이 향상되어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안착패드와 연료탱크의 밀착도가 향상되도록 한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탱크는 별도의 브라켓에 안착된 상태로 상측으로 스트랩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이 연료탱크가 장착된 상태의 브라켓을 차체의 하측에 결합시켜 연료탱크를 차량에 탑재하고 있다.
도 1 과 도 2 는 종래는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단면이 "
Figure 112004060106191-PAT00001
" 모양으로 형성된 브라켓(1)에 연료탱크(5)를 안착시키고, 상기 브라켓(1)의 상부로 스트랩(2)을 결합하여 연료탱크(5)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1)의 상면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면에 엠보싱(4)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패드(3)를 안착시켜 연료탱크(5)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주행중 연료탱크(5)에 가해지는 진동을 완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안착패드구조는 단순히 브라켓(1)의 상면에 얹어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어서 안착패드의 양측 하단에 양면테이프와같은 별도의 접착제를 도포해야만 안착패드(3)를 브라켓(1)에 안착시킬 수 있고, 또한 접착제를 도포한다 하더라도 연료탱크(5)를 안착시킬 때 안착패드가 유동되어 정위치에 안착패드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안착패드 위에 연료탱크(5)가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하게되면 그 진동에 이해 안착패드가 유동되면서 연료탱크(5)가 움직이게되어 연료탱크(5)의 내구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또한 안착패드(12)의 상면에 구비된 엠보싱(4)이 단순히 평면적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안착패드(12)와 연 료탱크바디(5)의 접촉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착패드의 양측에 브라켓의 양측 끝단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이 안착패드의 저면에 브라켓에 구비된 삽입홀에 끼워지는 돌기부를 형성하며, 안착패드의 상부면에 구비된 엠보싱을 오목하게 형성하므로서, 안착패드와 브라켓의 결합도를 향상시켜 연료탱크 장착시 또는 차량 주행시 안착패드가 유동하지 않도록 하고, 이를통해 연료탱크의 내구력이 향상되어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안착패드와 연료탱크의 밀착도가 향상되도록 한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 안착을 위한 브라켓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패드를 형성하되, 이 안착패드의 양측에 'ㄷ'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브라켓의 양측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 복수개의 삽입홀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기 위한 복수개의 돌기부를 안착패드의 저면에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패드의 상부면에 연료탱크와의 접촉력 향상을 위한 엠보싱을 형성하되, 이 엠보싱을 접촉력 증대를 위해 오목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3 과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일부호 표기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도면부호 10 은 연료탱크(5)의 장착을 위한 브라켓을 나타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라켓(10)에 복수개의 삽입홀(11)을 관통 형성한다.
도면부호 12는 상기 브라켓(10)의 상면에 안착되어지는 안착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안착패드(12)의 양측 끝단부에 'ㄷ'자 모양으로 절곡되도록 결합부(13)를 형성하여 안착패드(12)를 브라켓(10)의 상면에 안착시킬때 상기 결합부(13)가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브라켓(10)의 양측 끝단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하여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착패드(12)가 브라켓(10)에 견고히 밀착 결합되도록 하였다.
또한, 안착패드(12)와 브라켓(10)의 결합력 증대를 위해 상기 안착패드(12)의 저면에 복수개의 돌기부(15)를 하향 돌출 형성한다.
상기 돌기부(15)는 도면과같이 안착패드(12)를 브라켓(10)에 안착시킬때 브라켓(10)에 구비된 삽입홀(11)에 끼워져 안착패드(12)의 유동을 최대한 억제하게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안착패드(12)의 상부면에 연료탱크(5)와의 접촉력 향상을 위한 엠보싱(14)을 형성하는데, 상기 엠보싱(14)은 그 단면을 오목 하게 형성하여 연료탱크(5)를 안착패드(12)위에 올려놓았을때 안착패드(12)와 연료탱크(5)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면서 밀착도가 향상되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라켓(10)의 상면에 안착패드(12)를 체결할때, 안착패드(12)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15)를 브라켓(10)의 삽입홀(11)에 끼워넣고, 이러한 상태에서 안착패드(12)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결합부(13)를 브라켓(10)의 양측단부를 감싸도록 결합시키므로서 안착패드(12)가 브라켓(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동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0)의 상부에 연료탱크(5)를 올려놓고, 브라켓(10)의 상부에 스터랩을 결합하여 연료탱크(5)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안착패드(12)와 브라켓(10)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연료탱크(5)를 안착할때 또는 차량이 주행할때 안착패드(12)가 움직이지 않게되어 연료탱크(5)의 유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되며, 연료탱크(5)와 안착패드(12)의 밀착도를 향상시켜 상기한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안착패드의 양측에 브라켓의 양측 끝단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이 안착패드의 저면에 브라켓에 구비 된 삽입홀에 끼워지는 돌기부를 형성하며, 안착패드의 상부면에 구비된 엠보싱을 오목하게 형성하므로서, 안착패드와 브라켓의 결합도를 향상시켜 연료탱크 장착시 또는 차량 주행시 안착패드가 유동하지 않도록 하고, 이를통해 연료탱크의 내구력이 향상되어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안착패드와 연료탱크의 밀착도가 향상되도록 한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연료탱크 안착을 위한 브라켓(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패드(12)를 형성하되, 이 안착패드(12)의 양측에 'ㄷ'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브라켓(10)의 양측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결합부(1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에 복수개의 삽입홀(11)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삽입홀(11)에 끼워지기 위한 복수개의 돌기부(15)를 안착패드(12)의 저면에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패드(12)의 상부면에 연료탱크(5)와의 접촉력 향상을 위한 엠보싱(14)을 형성하되, 이 엠보싱(14)을 접촉력 증대를 위한 오목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 구조.
KR1020040109010A 2004-12-20 2004-12-20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 KR20060070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010A KR20060070314A (ko) 2004-12-20 2004-12-20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010A KR20060070314A (ko) 2004-12-20 2004-12-20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314A true KR20060070314A (ko) 2006-06-23

Family

ID=3716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010A KR20060070314A (ko) 2004-12-20 2004-12-20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03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472B2 (en) Muffler hanger
KR100364099B1 (ko) 라디에이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장치
US7748484B2 (en) Piping fixing structure
JP2006007957A (ja) 車両用燃料タンクの防振支持構造
KR20060070314A (ko) 연료탱크 브라켓의 안착패드구조
CN109649510B (zh) 用于机动车辆的后扰流器的装配支架
KR100774317B1 (ko) 차량용 플라스틱 연료탱크
KR100921307B1 (ko) 차량의 엔진 마운트
JP2011088589A (ja) エンジン支持装置
JP5861860B2 (ja) 車両の燃料タンク取付構造
KR100644453B1 (ko) 차량용 시트의 지지구조
JPH08318866A (ja) リザーバタンクの装着装置
GB2461284A (en) Vehicle exhaust muffler hanger with high horizontal spring rigidity
JP2007321921A (ja) エンジンマウント
KR20050060833A (ko) 유압 잭 마운팅 브래킷
JP2000283206A (ja) ブラケット取付構造
JP2002061231A (ja) ハンドレール装置
KR100705052B1 (ko) 연료탱크용 패드
JP2004239226A (ja) 排気管用支持装置
KR101262976B1 (ko) 와이어 밀착형 에어백 모듈
JP3788701B2 (ja) クロスメンバの構造
JP4066682B2 (ja) 燃料タンク支持構造
KR0131636Y1 (ko)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후방고정클립
JP4126425B2 (ja) 自転車錠の取付け金具
KR200163763Y1 (ko) 자동차용시트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