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243A -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의 지지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및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 Google Patents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의 지지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및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243A
KR20060069243A KR1020050097032A KR20050097032A KR20060069243A KR 20060069243 A KR20060069243 A KR 20060069243A KR 1020050097032 A KR1020050097032 A KR 1020050097032A KR 20050097032 A KR20050097032 A KR 20050097032A KR 20060069243 A KR20060069243 A KR 20060069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pport electrode
mask
suppor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에 구안
다콩 웽
비샬 아가왈
시왕 퀴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60069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8Treatment steps afte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or after shaping of the electrode being free-standing body
    • H01M4/8882Heat treatment, e.g. drying, baking
    • H01M4/8885Sintering or fi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01M4/8621Porous electrodes containing only metallic or ceramic material, e.g. made by sintering or sput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16Oxides, hydroxides or oxygenated metallic sa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1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electrolyte combination or the suppor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1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electrolyte combination or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8/122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electrolyte combination or the suppor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86Fuel cells applied on a support, e.g. miniature fuel cells deposited on silica 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2432Grouping of unit cells of planar configu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의 지지 전극(22)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위 표면(30)을 갖는 고체 지지 전극(22)- 고체 전극은 전기적 비-도전성 물질 및 전기적 도전성 물질을 포함함 -을 제공하는 단계(a)와, 상위 표면 위에 마스크(29)를 도포하여 상단 표면 상에 필요로 하는 마스크 제거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b)와, 필요로 하는 양의 물질을 마스크 제거된 패턴으로부터 상기 지지 전극의 사전결정된 깊이까지 제거하는 단계(b) 및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d)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의 지지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및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HIGH PERFORMANCE FUEL CELL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도 1은 전형적인 전극 지지형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원 전극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일련의 방법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원 전극(애노드) 패턴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원 전극(애노드) 패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원 전극(애노드) 패턴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캐소드 16, 28 : 전해질
20 : 애노드 층 38 : 에칭된 영역
44 : 원형 영역 50 : 마스크 패턴
본 발명은 고성능의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SOFCs)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 지지형 연료 전지(electrode-supported fuel cells)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는 전기 화학적으로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현재,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에 대한 두 개의 기본적인 전지 구성이 존재한다. 즉, 전해질 지지형 전지 및 전극 지지형 전지가 있다. 전해질 지지형 전지를 갖는 소정의 평면 SOFC에서, 전해질은 전지의 기계적인 지지 구조물이며, 그 두께는 전형적으로 150 내지 250 ㎛이다. 전극 지지형 전지에 있어서, 지지 전극은 전류 경로, 대량 전송 및 기계적인 강도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SOFC 지지 전극의 피쳐 및/또는 특징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의 성분, 산화물 이온의 도전 성분, 및 공극률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 전극은 필요로 하는 전지 평탄도 및 기계적인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상당한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SOFC에서, 전해질은 50㎛ 또는 더 얇은 박막으로 구성되고, 지지 전극 상에 형성된다. 전기적으로 직렬 형태를 갖는 관모양의, 세그먼트형 셀 및 소정의 평면 SOFC는 이러한 유형의 셀을 이용한다. 전극 지지 셀에 얇은 전해질을 사용하면 셀의 저항 손실이 줄어든다. 그러나, 지지 전극의 전기 화학 및 기계적 성능을 개선함에 있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미국 특허 6,228,521은 등급이 주어진 또는 다층의 비교적 두꺼운 애노드를 갖는 고성능 SOFC를 생성하는 개선된 방법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Ni 및 YSZ 애노드는 주 층(major layer)이 초기에 부피의 약 80%가 NiO이고 소 층(minor layer)은 초기에 부피의 약 60%가 NiO이도록 제조된다. 본 발명은 전기 화학 성능의 희생없이 보다 두꺼운 따라서 보다 강한 애노드의 사용을 허용한다. 충분한 전기 도전 및 공극률의 이점을 위해 주 층에서의 많은 양의 NiO가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구성의 제조는 NiO와 YSZ 사이의 열 확장 계수(CTE) 불일치로 인해 크고 평탄한 전지에 있어서는 문제가 된다. 또한, 환원 이후 애노드의 Ni의 큰 부피는 높은 동작 온도 하에서 애노드 크리핑/소결(creeping/sintering)을 야기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5,270,536 호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전극, 특히 애노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전기적 도전성 테이프의 층형 패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혼합 요소(micro-composite element)를 형성하는 단계와, 마이크로-혼합 요소로부터 다수의 마이크로-혼합 하위요소를 생성- 각 마이크로-혼합 하위 요소는 층형 패턴을 가짐 -하는 단계와, 인접 마이크로-혼합 하위요소의 층형 패턴이 서로에 대해 상이한 배향을 갖도록 마이크로-혼합 하위요소의 적어도 두 개를 병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애노드 테이프의 하위요소를 이용하여 형성된 네트워크는 애노드 성분의 무작위성을 최소화하여 전기적 접속성을 최대화한다. 이 특허 개시물에 따르면, 도전성 네트워크는 저지하지 않으면 애노드 환원 동안 발생할 수 있는 크기 변화를 막으면서 애노드의 전체 구조체를 강하게 할 수 있다. 애노드 구조체 내에서 전해질 네트워크를 통해 보다 큰 강도가 달성된다. 이러한 방 법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는 하위요소를 필요로 하는 순서로 실질적으로 제어 및 유지하는 것인데, 그 이유는 이들 하위요소는 제조 공정 동안 왜곡 힘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 특허 출원 WO02/058169 호는 황-함유 탄화수소 연료로 동작할 수 있는 SOFC 및 이러한 연료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핵심 특징 중 하나는 종래의 애노드의 Ni를 Cu- 및 산화세륨-함유 물질로 대체하는 것이다. 지지 애노드 구조체에 충분한 공극률을 생성하여 촉매 물질이 충분히 스며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NiO/YSZ로 구성된 애노드 구조체를 먼저 Ni/YSZ로 환원시키고 그런 다음 HNO3로 환류되어(refluxed) Ni를 걸러낸다. 결과적인 YSZ 골격은 Cu 및 산화세륨과 같은 촉매제가 스며들어 황-함유 탄화수소 연료는 탄소 증착을 피하게 된다. 그러나, 스며드는 정도는 적절한 전류 경로를 제공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전극-지지형 연료 전지에 있어서, 지지 전극은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는데 최소 두께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지지 전극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전지는 더 강해진다. 그러나, 지지 전극을 갖는 전지는 보통 전극 및 전해질 성분의 CTE 불일치 및 소결 축소 불일치로 인해 휘는 평탄도/비-평탄도를 보인다. 전극 지지 SOFC에서, 보다 두꺼운 지지 전극은 셀 평탄도를 개선한다. 다른 한편, 보다 두꺼운 지지 전극은 전극을 통한 대량 전송을 억제하는데, 예를 들어 지지 캐소드에서 산소 전달을 또는 지지 애노드에서 연료/산물 전달을 제한한다. 대량 전송에 대한 이러한 제한은 연료 전지 효율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데, 그 이유는 농도 분극 현상은 높은 연료 및/또는 공기 활용시 연료 전시 성능을 상당히 감소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지지 전극에서 이러한 농도 분극현상을 줄이기 위한 잠재적인 접근 방식은,
ㆍ 지지 전극에서의 공극률을 증가시키는 것과,
ㆍ 지지 전극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과,
ㆍ 지지 전극의 기공/성분 구조체를 설계 및 최적화하는 것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성능 SOFC 지지 전극에 대한 새로운 설계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의 지지 전극에 발견되는 랜덤한 마이크로구조체 및 공극률 대신에, 본 발명의 지지 전극 구조체는 전극 성분의 제어된 지향성 및 접속성을 제공하여 개선된 전기화학적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전극은 충분한 기계적 강도 및 원하는 셀 평탄도를 셀의 전기화학적 성능의 희생 없이 제공하도록 실질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전극은 처음에 공지된 프로세스에 따라 전극을 제조함으로써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극은 비교적 두꺼운 상위 층 및 비교적 얇은 하위 층을 포함하는 두 개의 지르코니아-니켈(또는 니켈 산화물)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두꺼운 상위 층은 얇은 하위 층보다 적지 않은 공극률을 가진다. 다음 제조 단계는 설계 패턴에 적절하게 상위 지지 전극 층의 바깥 표면을 마스킹하고, 그런 다음 지지 전극 물질 중 하나, 즉 니켈(또는 니켈 산화물)을 에칭하거나, 또는 이 두 물질을 에칭하고, 그런 다음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스크 제거된 영역에서, 에칭 프로세스는 니켈(또는 니켈 산화물)이 에칭되고 지르코니아를 남기는 피쳐를 생성할 것이고, 또는 니켈(또는 니켈 산화물) 및 지르코니아 모두가 물리적으로 에칭되어 빈 공간을 남기는 경우 피쳐를 생성할 것이다.
상위 층에서 달성되는 패턴에 따라, 지지 전극 위에 놓이게 될 상호접속부 내의 가스 채널은 지지 전극 내의 마스크 제거된 영역(예를 들어, 지르코니아만 있는 패턴 또는 빈 공간)과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상호접속부 내의 도전성 경로(리브(ribs) 또는 딤플(dimples))는 니켈을 포함하는 마스크 패턴과 정렬된다.
따라서, 보다 넓은 측면에서, 본 발명은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의 지지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a) 상위의, 평면 전극을 구비한 고체 지지 전극- 이 고체 전극은 전기적 비-도전성 물질 및 전기적 도전성 물질을 포함함 -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상위 표면에 마스크를 도포하여 상단 표면에 원하는 마스크 제거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와, (c) 마스크 제거된 패턴으로부터 지지 전극의 사전결정된 깊이까지 원하는 양의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d)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의 지지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a) 상위 표면을 갖는 고체 지지 전극- 이 고체 전극은 전기적 비-도전성 물질 및 전기적 도전성 물질을 포함함 -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상위 표면에 마스크를 도포하여 상단 표면 상에 원하는 마스크 제거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와, (c) 마스크 제거된 패턴으로부터 지지 전극의 사전결정된 깊이까지 원하는 양의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d)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지지 전극은 오베레이 관계를 갖는 제 1 및 제 2 층을 더 포함하며, 상위 층은 하위 층과 동일한 또는 상이한 공극률/특성을 가지며, 더 나아가 상위 층은 하위 층보다 비교적 더 두껍다.
본 발명은 도면과 연계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SOFC 스택으로 통합되는 종래의 단일 SOFC(10)를 도시한다. 이 전지(10)는 등급이 주어진 애노드(12)와 캐소드(14)를 포함하며, 그 사이에 전해질(16)이 삽입된다. 전해질은 캐소드(14) 및 애노드의 제 1 인접 층(18)과 접촉한다. 제 2 및 보다 두꺼운 애노드 층(20)은 제 1 애노드 층(18)의 다른 측면에 붙어있다. 애노드(12)는 니켈 및 YSZ(Yttria Stabilized Zirconia)로 구성될 수 있다. 애노드(12)는 제 1 애노드 층(18)의 60%가 NiO로 구성되고 제 2 애노드 층(20)의 약 80%가 NiO로 구성되도록 제조된다. 제 2 애노드 층(20)은 반응성 가스의 전달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보다 큰 공극률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지지 전극, 바람직하게는 애노드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특히, 애노드(22)는 비교적 두꺼운 층(24) 및 비교적 얇은 층(26)을 포함하는, 애노드(12)와 유사한 등급이 주어진 애노드이다. 전해질 (28)은 또한 얇은 층(26) 아래에 놓이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반영된 초기 제조 단계는 임의의 적절한 공지된 프로세스를 통해, 예를 들어, 테이프 주조, 칼렌더링, 건식 드레싱 등을 통해, 또는 '521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지지 전극 또는 애노드(22)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 및 전지 평탄도를 제공하기 위해 상당한 두께를 갖는다. 등급이 주어진 층(24,26)의 구성 및 공극률은 또한 애노드(12)와 유사할 수 있다.
소결과정(sintering) 이후, 원하는 피쳐를 갖는 마스크(28)는 지지 애노드의 바깥 표면(30)에 인가된다. 마스크가 제거된 영역에서 전기적 도전성인 상(phase)과 같은 전극 성분의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NiO는 화학적 및/또는 플라즈 에칭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을 통해 여과 또는 에칭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온 도전성인 상 또는 NiO 및 지르코니아 모두가 에칭되는 빈공간을 갖는 골격, 및 공극률이 증가된 강화된 대량 전송 패턴 또는 경로(32)를 야기한다. 마스크 영역 하에서 전기적 도전성 경로(34)는 그대로 남겨져 적절한 전기적 도전을 제공한다. 마스크 패턴은 공극률, 기계적 강도 및 전기적 도전성의 이점을 최적화하고, 흐름 필드 및 상호접속 구성을 일치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3,4 및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마스킹 프로세스로 달성가능한 패턴의 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3은 증가된 공극률을 갖는, 즉 NiO(또는 NiO 및 지르코니아 모두)이 NiO 및 YSZ로 구성된 경계부(40) 내에 제거된 여과된 또는 에칭된 영역(38)의 비교적 개방적이고 규칙적인 패턴을 갖는 지지 애노드(36)를 예시한다. 영역(38)은 원형, 정방형, 타원형, 다이아몬드형, 다면체형 등일 수 있으며, 여과된 또 는 에칭된 영역(38)의 침투 깊이 또는 정도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원형의 지지 애노드(42)는 동심원 고리의 패턴 또는 NiO(또는 NiO 및 지르코니아 모두)가 제거되어 공극률이 증가되는 원형 영역(44)의 패턴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인접 원형 영역(46)은 NiO 및 YSZ 모두를 포함한다. 여과된 또는 에칭된 영역(44)의 침투 깊이 또는 정도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마스크 패턴(50)이 도 3에 도시된 것과는 유사하나 보다 섬세한 도전성 및 비-도전성 영역의 그리드를 갖는 원형 지지 애노드(48)를 예시한다. 층의 두께만큼 NiO 및 YSZ를 포함하는 경계 영역(52)은 도전성으로 유지거나, 또는 이 영역은 YSZ 골격과 절충하며 에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장 실제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로 여겨지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그와 반대로,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 및 범주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수정 및 등가 배열물을 포함하려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종래의 지지 전극에 발견되는 랜덤한 마이크로구조체 및 공극률 대신에, 본 발명의 지지 전극 구조체를 통해 전극 성분의 제어된 지향성 및 접속성을 제공하여 개선된 전기화학적 성능을 갖는 연료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의 지지 전극(22)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위 표면(30)을 갖는 고체 지지 전극(22)- 상기 고체 전극은 전기적 비-도전성 물질 및 전기적 도전성 물질을 포함함 -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상위 표면 위에 마스크(29)를 도포하여 상기 상단 표면 상에 필요로 하는 마스크 제거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와,
    (c) 필요로 하는 양의 물질을 상기 마스크 제거된 패턴으로부터 상기 지지 전극의 사전결정된 깊이까지 제거하는 단계와,
    (d) 상기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및 비-도전성 물질은 제각각 니켈 산화물 및 지르코니아 산화물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전극(22)은 오버레이 관계를 갖는 제 1 및 제 2 층(24,26)을 더 포함하되, 상위 층은 하위 층과 동일한 또는 상이한 공극률/특성을 갖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층(24)은 상기 하위 층(26)보다 비교적 두꺼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단계(b 및 c)는 상기 상위 층(24)에만 적용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b)에서, 상기 마스크(29)는 마스크 제거된 다면체의 규칙적인 패턴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b)에서, 상기 마스크(29)는 마스크 제거된 피쳐의 규칙적인 패턴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c)는 화학적 에칭 또는 물리적 에칭을 통해 수행되는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전극은 오버레이 관계를 갖는 제 1 및 제 2 층(24,26)을 더 포함하되, 상위 층은 하위 층과 동일한 또는 상이한 공극률/특성을 갖는 방법.
  10. 중간에 전해물(16)이 삽입된 지지 전극(22) 및 캐소드(14)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전극(22)은 필요로 하는 양의 물질이 제거된 사전결정된 패턴을 갖는 상위 표면을 구비하는 고체 산화물 연로 전지(10).
KR1020050097032A 2004-12-16 2005-10-14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의 지지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및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KR200600692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12,259 US6994884B1 (en) 2004-12-16 2004-12-16 High performance fuel cell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012,259 2004-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243A true KR20060069243A (ko) 2006-06-21

Family

ID=3573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032A KR20060069243A (ko) 2004-12-16 2005-10-14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의 지지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및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94884B1 (ko)
EP (1) EP1672728A1 (ko)
JP (1) JP2006173091A (ko)
KR (1) KR20060069243A (ko)
CN (1) CN1790784A (ko)
CA (1) CA25229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831B1 (ko) * 2006-10-25 2008-02-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구리 배선 형성 방법
WO2010117990A2 (en) * 2009-04-09 2010-10-14 University Of Miami Self sustained electrochemical promotion catalys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5316B1 (en) 1999-07-31 2003-08-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tructures and fabrication techniques for solid state electrochemical devices
EP1825541A4 (en) * 2004-11-30 2010-01-13 Univ California SEAL JOINT STRUCTURE FOR ELECTROCHEMICAL DEVICE
AU2005327925B2 (en) * 2004-11-30 2011-01-2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Joining of dissimilar materials
US8580453B2 (en) * 2006-03-31 2013-11-12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de-supported ceramic fuel cell containing laminar composite electrode including porous support electrode, patterned structure layer and electrolyte
US8216738B2 (en) * 2006-05-25 2012-07-10 Versa Power Systems, Ltd. Deactivation of SOFC anode substrate for direct internal reforming
WO2008016345A2 (en) * 2006-07-28 2008-02-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Joined concentric tubes
US20090011323A1 (en) * 2007-07-05 2009-01-08 General Electric Company Solid Oxide Electrochemical Devices Having an Improved Electrode
CN101809800A (zh) * 2007-07-25 2010-08-18 加州大学评议会 用于高温电化学装置的互锁结构及其制备方法
ATE540133T1 (de) * 2008-02-04 2012-01-15 Univ California Cermet auf cu-basis für hochtemperatur- brennstoffzelle
CN102067370B (zh) 2008-04-18 2013-12-04 加州大学评议会 用于高温电化学装置的整体式密封
WO2010030300A1 (en) * 2008-09-11 2010-03-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al-supported, segmented-in-series high temperature electrochemical device
US8735023B2 (en) * 2009-12-14 2014-05-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uel cell with layered electrod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8758A (ja) * 1990-02-15 1991-10-24 Nkk Corp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JPH05151982A (ja) * 1991-11-27 1993-06-18 Fuji Electric Co Ltd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JP3057342B2 (ja) * 1992-07-09 2000-06-26 工業技術院長 固体電解質燃料電池
JPH0660883A (ja) * 1992-08-05 1994-03-04 Murata Mfg Co Ltd 多孔質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11836A (ja) * 1992-09-30 1994-04-22 Meidensha Corp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US5270536A (en) 1992-10-13 1993-12-14 The University Of Hawaii Method of using DC photocurrent measurements to sense wavelength or color of light or to characterize semiconductor materials
DE4314323C2 (de) * 1993-04-30 1998-01-22 Siemens Ag Hochtemperaturbrennstoffzelle mit verbesserter Festelektrolyt/Elektroden-Grenzfläc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aufbaus mit verbesserter Festelektrolyt/Elektroden-Grenzfläche
US6228521B1 (en) * 1998-12-08 2001-05-08 The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High power density solid oxide fuel cell having a graded anode
KR100344936B1 (ko) * 1999-10-01 2002-07-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극 지지체식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 제조방법
NL1014284C2 (nl) * 2000-02-04 2001-08-13 Stichting Energie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samenstel omvattende een anodegedragen elektrolyt alsmede keramische cel omvattende een dergelijk samenstel.
ATE454721T1 (de) 2000-11-09 2010-01-15 Univ Pennsylvania Verwendung von schwefelhaltigen brennstoffen für direktoxidationsbrennstoffzellen
JP3731648B2 (ja) * 2000-11-27 2006-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単セル及び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US6653009B2 (en) * 2001-10-19 2003-11-25 Sarnoff Corporation Solid oxide fuel cells and interconnectors
JP3734027B2 (ja) * 2001-11-30 2006-0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用単セル
US8114551B2 (en) * 2002-03-04 2012-02-14 Sulzer Hexis Ag Porous structured body for a fuel cell anode
JP2004281172A (ja) * 2003-03-14 2004-10-07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用セル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567245B2 (ja) * 2003-09-23 2014-08-06 リリピューシャン システムズ, インク. 応力がかかった薄膜を備える燃料電池アセンブリ
JP2005158436A (ja) * 2003-11-25 2005-06-16 Nissan Motor Co Ltd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燃料極及びそれを用いた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831B1 (ko) * 2006-10-25 2008-02-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구리 배선 형성 방법
WO2010117990A2 (en) * 2009-04-09 2010-10-14 University Of Miami Self sustained electrochemical promotion catalysts
WO2010117990A3 (en) * 2009-04-09 2011-01-13 University Of Miami Self sustained electrochemical promotion catalysts
US8697597B2 (en) 2009-04-09 2014-04-15 University Of Miami Self sustained electrochemical promotion catalys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0784A (zh) 2006-06-21
CA2522958A1 (en) 2006-06-16
US6994884B1 (en) 2006-02-07
EP1672728A1 (en) 2006-06-21
JP2006173091A (ja)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69243A (ko)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의 지지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및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KR100409042B1 (ko) 막전극 접합체와 그 제조 방법
US9243335B2 (en) Metal substrate for fuel cells
JP5379147B2 (ja) 層状構造の燃料電池触媒及び集電体
JP5474336B2 (ja) カレント・コレクタによって直列に接続された複数の個別セルを含む燃料セル
US20030175573A1 (en) Single cell and stack structure for solid oxide fuel cell stacks
JP2002222659A (ja) 燃料電池用単セル及び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JP2004055564A (ja) 燃料電池アセンブリ
CN1591949B (zh) 集电器支承的燃料电池
US8252366B2 (en) Method for making toughened electrode-supported ceramic fuel cells
EP1624520B1 (en) Thin film solid oxide fuel cell (SOFC) and its method of production
US9806367B2 (en) Fabrication process for production of SOFC-MEA with a pore array anode structure for improving output power density
JP2004507876A (ja) 固体イオンデバイス用電極パターン
US8182965B2 (en) Optimized cell configurations for stable LSCF-based solid oxide fuel cells
EP1969665B1 (en) Fuel cell including a hydrogen permeable membrane as anode
JP2006079889A (ja) 電解質−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
JP6350068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セル
KR101281772B1 (ko)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344486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003262A1 (en) Solid-state fuel cell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KR20120074975A (ko)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EP3016191A1 (en) A fabrication process for production of SOFC-MEA with a pore array anode structure for improving output power density
KR20180006778A (ko) 기체 확산층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3532891A (ja) 直列に接続された複数の基本セルを備える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