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7795A - 제가습 장치 - Google Patents

제가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7795A
KR20060067795A KR1020050031838A KR20050031838A KR20060067795A KR 20060067795 A KR20060067795 A KR 20060067795A KR 1020050031838 A KR1020050031838 A KR 1020050031838A KR 20050031838 A KR20050031838 A KR 20050031838A KR 20060067795 A KR20060067795 A KR 20060067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path
outside air
humidity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5802B1 (ko
Inventor
아키라 타쿠시마
시게오 아오야마
에이지 와키사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67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Abstract

제습 효율이나 가습 효율이 외기의 온습도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가습 장치(1)는, 제가습부(2)을 구비하고, 제가습부(2)는 외기를 도입하여 수분을 로터(12)에 흡착시키는 제 1 유로(10)와, 외기를 도입하여 로터(12)로부터 탈착한 수분에 의해 가습을 하는 제 2 유로(11)를 가지고 있다. 제 2 유로(11)로 공급되는 외기는, 제가습부(2)로 유입되기 전에 전열교환기(3)에서 열교환에 의해 가온된다. 외기의 가온에 사용되는 공기로서는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사용된다.

Description

제가습 장치{An apparatus to remove or humidity moisture}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제가습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제가습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제가습 장치의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0 제가습 장치
3 전열교환기(열교환기)
10 제 1 유로
11 제 2 유로
12 로터(조습 부재)
31 제 1 습도 센서(흡착량 제어수단)
32 제 2 습도 센서(흡착량 제어수단)
33 제어장치(흡착량 제어수단)
본 발명은 외기를 조습하면서 실내로 공급하는 제가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를 제습하거나 가습하는 제가습 장치에는 건식의 조습 부재가 이용되고 있는 것이 있다. 조습 부재는 흡습 재료를 함침시킨 원통형의 로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착하는 한편, 흡착한 수분을 다른 공기에 탈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가습 장치에 의해 실내를 제습할 때에는 수분을 로터에 흡착시킨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고 가습시에는 수분을 로터로부터 탈착시켜 가습한 공기를 실내로 송풍한다.
여기서, 일반 가정용 제가습 장치의 경우에는 제습에 사용하는 흡착 공기 및 가습에 이용하는 재생 공기를 옥외로부터 유입하는 것이 있다. 즉 가습 운전시에는 외기의 수분을 로터의 제습 영역에 흡착시키는 한편, 이와는 별도의 외기를 로터의 재생 영역에 통류시켜 가습한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71172호 참조). 가습되는 외기는 일단 로터의 열 회수 영역을 통과하여 로터의 열을 회수하여 온도 상승된 후 재생용 히터에 의해 더욱 가열된 후 로터의 재생 영역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로터의 열이나 히터에 의해 가습되는 외기를 가온함으로써 로터로부터 수분의 탈착이 촉진되어 가습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제가습 장치로 가습 운전을 하면 송풍되는 실내의 습도나 온도에 비해 외기의 습도나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실내의 온도나 습도를 유지하면서 실내를 환기시킬 수 없었다. 또한, 옥외로부터 도입한 외기를 로터의 흡착 영역 및 재생 영역에 각각 통류시키므로 재생 영역에서의 수분의 탈착을 촉진시키기 위 해서는 흡착 영역측의 외기의 온도에 비해 재생 영역측의 외기의 온도를 높게 해야 하고 따라서 히터의 투입 전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수분 공급없이 가습을 수행할 경우 외기의 습도를 이용해 실내로 송풍하는 외기를 가습하기 때문에 실외의 습도가 낮은 환경하에서는 가습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습 운전시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여 특히 실내가 저온이고 옥외가 고온인 경우에는 옥외의 따뜻한 공기가 실내로 송풍되므로 실내의 온도나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습 효율이나 가습 효율이 외기의 온습도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습 효율이나 가습 효율을 향상시킴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기를 통류시킬 수 있는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에는 상기 제 1 유로를 통류하는 외기에 포함된 수분을 흡착하여 제습을 수행하는 한편, 이 수분을 이용하여 제 2 유로를 통류하는 외기를 가습하는 조습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습시에는 상기 조습 부재를 통류하기 이전의 외기와 이 외기보다 저온인 공기간에 열교환을 수행하고, 가습시에는 상기 조습 부재를 통류하기 이전의 외기와 이 외기보다 고온인 공기간에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를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의 상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가습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가습 장치에서는 제습시에는 제 1 유로의 상류에서 외기와 외기보다 저온인 공기간에 열교환을 수행하여 외기의 온도를 낮춘 후에 조습 부재의 흡착 영역에 수분을 흡착시킨다.
이에 의해 조습 부재에서의 수분 흡착이 촉진되어 제습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가습시에는 제 2 유로의 상류에서 외기와 외기보다 고온인 공기간에 열교환을 수행하여 외기의 온도를 높인 후에 조습 부재로 유입시킨다. 가온된 외기가 조습 부재의 재생 영역을 통류하면 조습 부재에서의 수분의 탈착이 촉진되어 가습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저온 또는 고온의 공기는 실내에서 옥외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외기보다 저온 또는 고온인 공기를 실내 공기로 함으로써 실내의 환기를 수행하면서도 실내에서 배출되는 환기 공기를 이용하여 제습 효율 또는 가습 효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저온의 공기는 예를 들면, 냉방 운전중인 실내의 공기가 사용되고, 고온의 공기는 예를 들면, 난방 운전중인 실내의 공기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전열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제습시에는 저온의 공기간에 전열교환을 수행함으로써 외기의 수분이 제거되고 온도가 더욱 저온화되므로, 제습효율이 향상된다. 가습시에는 고온의 공기간에 전열교환을 수행함으로써 외기에 수분이 도입되고 수분이 보유하고 있 는 열량에 의해 외기가 더욱 따뜻해지므로 가습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가습 운전에 앞서 상기 조습 부재에 수분을 흡착시키는 흡착 운전을 실시하는 흡착량 제어수단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가습 장치에서는, 흡착량 제어수단이 필요에 따라 조습 부재에 수분을 흡착시키는 한편, 조습 부재로부터의 탈착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흡착 운전을 실시한다. 이러한 흡착 운전은 통상의 가습 운전을 수행하기 전에 실시되어 가습 운전시에는 미리 조습 부재에 수분이 충분히 흡착된 상태에서 가습이 시작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착량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유로에서 상기 조습 부재보다 상류측 위치와 하류측 위치의 습도 또는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가지며, 이 센서들의 측정 결과에 따라 흡착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조습 부재로 유입되는 외기의 습도 또는 온도와 조습 부재를 통류한 후의 외기의 습도 또는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 습도차 또는 온도차가 작을 경우에는 조습 부재에 충분히 수분이 흡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흡착 운전을 종료시킨다.
또한, 상기 흡착량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유로에서 상기 조습 부재보다 하류측 위치의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가지며, 상기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흡착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가습 장치에서는, 조습 부재를 통류한 후의 외기의 습도를 측정하 여 습도가 흡착 시작전의 습도에 대해 소정값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조습 부재에 충분히 수분이 흡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흡착 운전을 종료시킨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가습 장치(1)는, 급수없는 가습 및 제습을 수행하는 제가습부(2), 전열교환기(3), 이 부재들에 접속되는 각종 덕트(4A, 4B, 5A, 5B, 6, 7A, 7B, 8, 9)를 주요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제가습부(2)는 도 1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로(10) 및 제 2 유로(11)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및 제 2 유로(10, 11)에 걸쳐지도록 조습 부재인 로터(12)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로터(12)는, 원주형의 벌집 모양 구조에 실리카겔이나 제올라이트 등의 흡습 재료를 함침시킨 것으로서, 제 1 및 제 2 유로(10, 11)와 평행한 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12)는 각 유로(10, 11)에 거의 균등하게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유로(10)에 노출되는 영역이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 영역(12A)이 되고 제 2 유로(11)에 노출되는 영역이 수분을 탈착하는 재생 영역(12B)이 된다.
제 1 유로(10)에는 외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홀(13)과, 로터(12)의 흡착 영역(12A)과, 흡착용 송풍팬(14)과, 외기를 배출하는 배기홀(15)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유로(11)는 외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홀(16)과, 외기를 가온하는 히터(17)와, 로터(12)의 재생 영역(12B)과, 재생용 송풍팬(18)과, 외기를 배출하는 배기팬(19)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제가습부(2)의 제 1 유로(10)의 흡기홀(13)에는 흡기 덕트(4A)가 접속되어 있으며 제 2 유로(11)의 흡기홀(16)에는 흡기 덕트(4B)가 접속되고 있고 이 흡기 덕트들(4A, 4B)은 제 1 유로 절환기(20)의 유출측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유로 절환기(20)의 유입측에는 옥외로 개구되는 2개의 흡기 덕트(5A) 및 흡기 덕트(5B)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유로 절환기(20)는, 유입측의 흡기 덕트(5A, 5B)와 유출측의 흡기 덕트(4A, 4B)가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도 1에서는 흡기 덕트(5A)와 흡기 덕트(4A)가 접속되고 흡기 덕트(5B)와 흡기 덕트(4B)가 접속되어 있는데, 흡기 덕트(5A)와 흡기 덕트(4B), 흡기 덕트(5B)와 흡기 덕트(4A)를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흡기 덕트(5B)의 경로 중도에는 열교환기인 전열교환기(3)가 마련되어 있다. 전열교환기(3)는, 예를 들면 구획판을 사이에 두고 2종류의 기류를 1단 걸러 직교하도록 통류시켜 이 2종류의 기류의 현열 및 잠열을 구획판을 통해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 기류로서는 흡기 덕트(5B)를 통류하는 외기가 사용되고 다른 기류로서는 실내에 접속된 환기 덕트(6)로부터 공급되는 실내 공기, 즉 환기 공기가 사용된다. 전열교환기(3)를 통류한 환기 공기는 환기 덕트(6)를 통해 옥외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가습부(2)의 제 1 유로(10)의 배기홀(15)에는 배기 덕트(7A)가 접속되어 있고 제 2 유로(11)의 배기팬(19)에는 배기 덕트(7B)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배기 덕트들(7A, 7B)은 제 2 유로 절환기(21)의 유입측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유로 절환기(21)의 유출측에는 옥외로 개구되는 배기 덕트(8)와 실내로 개구되는 급기 덕트(9)가 접속되어 있다. 제 2 유로 절환기(21)는 유입측의 배기 덕트(7A, 7B)와 유출측의 배기 덕트(8) 및 급기 덕트(9)를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도 1에서는 배기 덕트(7A)와 배기 덕트(8)가 접속되고 배기 덕트(7B)와 급기 덕트(9)가 접속되어 있으나, 배기 덕트(7A)와 급기 덕트(9), 배기 덕트(7B)와 배기 덕트(8)를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가습 운전시에는 도 1에 도시된 유로 구성에 있어서, 제가습 장치(1)의 로터(12)의 회전을 개시하여 각 송풍팬(14, 18)을 구동시킨다. 제 1 유로(10)에는 흡기 덕트(5A), 제1유로 절환기(20) 및 흡기 덕트(4A)를 통해 외기가 도입되고 이 외기가 흡착 공기로서 로터(12)의 흡착 영역(12A)으로 유입된다. 로터(12)의 흡착 영역(12A) 내에서는 외기의 수분이 흡습 재료에 흡착됨으로써 제습되고, 흡착용 송풍팬(14)으로부터 배기 덕트(7A), 제2유로 절환기(21) 및 배기 덕트(8)를 통해 옥외로 배출된다. 한편 제 2 유로(11)에는 흡기 덕트(5B), 전열교환기(3), 제 1 유로 절환기(20) 및 흡기 덕트(4B)를 통해 외기가 도입된다. 이 외기는 제가습부(2)로 유입되기 전에 전열교환기(3)에서 실내의 고온 고습의 환기 공기와 전열교환되어 그 온도 및 습도가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보다 높아진 상태로 재생 공기로서 제 2 유로(11)로 유입된다. 또한 제 2 유로(11) 내에서는 히터(17)에 의해 가온된 후 로터(12)의 재생 영역(12B) 내로 안내된다. 로터(12)는 제 1 유로(10)에서 수 분을 흡착시킨 부분이 회전 이동에 의해 제 2 유로(11) 내로 이동하여 재생 영역(12B)으로서 기능한다. 즉, 고온의 외기에 의해 흡습 재료에 흡착되어 있던 수분이 탈착되어 이 수분을 포함하는 습윤한 공기가 형성된다. 이 공기는 재생용 송풍팬(18)을 거쳐 배기 덕트(7B), 제 2 유로 절환기(21) 및 급기 덕트(9)를 통해 실내로 송풍되어 실내를 가습한다.
제습 운전시에는, 제 1 유로 절환기(20)가, 경로 중도에 전열교환기(3)가 마련된 흡기 덕트(5B)와 흡기 덕트(4A)를 접속시켜 열교환이 이루어진 외기를 제 1 유로(10)로 공급시킨다. 일반적으로 제습 운전시에는 실내가 저온이고 옥외가 고온으로 되어 있으므로 전열교환기(3)를 통과하는 외기는 저온 저습의 환기 공기와 전열교환을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온 저습의 공기가 되고, 이 공기가 흡착 공기로서 로터(12)의 흡착 영역(12A)으로 공급된다. 한편 제 2 유로 절환기(21)는 배기 덕트(7A)와 급기 덕트(9)를 접속시킨다. 그 결과 제 1 유로(10)에서 제습된 공기가 실내로 송풍되어 실내가 가습된다. 한편 제 2 유로(11)에는 전열교환되지 않는 외기가 흡기 덕트(5A), 제 1 유로 절환기(20) 및 흡기 덕트(4B)를 통해 공급되어 가습되고 이 가습된 공기는 배기 덕트(7B), 제2유로 절환기(21) 및 배기 덕트(8)를 통해 옥외로 배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가습부(2)보다 상류측에 전열교환기(3)를 마련하여 가습시에는 외기와 실내로부터의 환기 공기간에 전열교환을 수행하여 외기의 온도 및 습도를 향상시킨 상태로 로터(12)의 재생 영역(12B)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도록 했으므로 로터(12)의 재생 영역(12B)으로 도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 유로(11) 내의 재생 공기와 제 1 유로(10)의 흡착 공기간의 상대적인 습도차를 크게 할 수 있어 재생 영역(12B)에서의 수분의 탈착이 촉진되어 가습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기의 온도나 습도에 관계없이 실내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가습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열교환기(3)를 이용함으로써 제 2 유로(11)로 공급되는 외기는 그 습도가 높아지지만 현열만을 교환하는 경우에 비해 외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전열교환에 의한 습도의 증가분을 제해도 가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열교환에 의해 외기를 가온된 상태로서 도입할 수 있게 되므로 제 2 유로(11) 내의 히터(17)의 투입 전력을 저감시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습시에는 외기와 실내로부터의 환기 공기간에 전열교환을 수행하여 외기의 온도 및 습도를 낮춘 후 로터(12)의 흡착 영역(12A)으로 외기를 도입시키도록 했으므로 로터(12)의 흡착 영역(12A)으로 도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흡착 영역(12A)에서의 수분의 흡착을 촉진시켜 흡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기의 온도나 습도에 관계없이 실내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제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가습 장치(30)에서는, 제가습부(2)의 제 1 유로(10)에서, 로터(12)보다 상류측에 제 1 습도 센서(31)가 마련되고 로터(12)보다 하 류측에 제 2 습도 센서(3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 1 및 제 2 습도 센서(31, 32)의 출력은 제어장치(33)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제 1 및 제 2습도 센서(31, 32) 및 제어장치(33)에 의해 흡착량 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도 3의 플로우 챠트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통상의 가습 운전 또는 제습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는(스텝 S101에서 Yes), 흡착용 송풍팬(14)과 재생용 송풍팬(18)을 각각 운전시킨다(스텝 S102). 그 결과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같이 제 1 유로(10)에서 흡착이 이루어지고 제 2 유로(11)에서 재생이 이루어져 가습된 공기 또는 제습된 공기가 실내로 송풍된다. 운전을 종료할 때에는(스텝 S105에서 Yes), 흡착용 송풍팬(14)과 재생용 송풍팬(18)과 로터(12)를 정지시킨다.
이에 반해 가습 운전, 제습 운전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101에서 No), 도 2에 도시된 제 1 및 제 2습도 센서(31, 32) 및 제어장치(32)에 의해 흡착 입출구 습도차를 구한다(스텝 S103). 흡착 입출구 습도차는, 제 1 습도 센서(31)로 검출한 외기의 습도에 대한 제 2 습도 센서(32)로 검출한 외기(흡착 공기)의 습도차로서 산출된다. 이 흡착 입출구 습도차가 소정값 이상, 예를 들면 상류측의 제 1습도 센서(31)의 검출값의 10% 이상일 경우에는(스텝 S103에서 Yes), 흡착용 송풍팬(14)만을 운전시키고(스텝 S104) 재생용 송풍팬(18)은 정지시켜 흡착 운동을 시작한다. 이 때, 로터(12)가 회전되고 있으므로 제 1 유로(10)에서 수분이 로터(12) 전체에 흡착된다. 한편, 흡착용 송풍팬(14)의 풍량은 가습 운전시와 동일해 도 되고, 그보다 소량이어도 가능하다. 그리고 흡착 입출구 습도차가 소정값(예를 들면 상류측의 제 1습도 센서(31) 검출값의 10%) 미만이 될 때까지 스텝 S101에서 스텝 S104의 처리를 반복하여 흡착 입출구 습도차가 소정값 미만이 되면(스텝 S103에서 No), 흡착용 송풍팬(14) 및 로터(12)를 정지시켜 운전을 종료한다(스텝 S105에서 Yes).
이와 같이 하여 흡착 운전이 수행되면 나중에 가습 운전을 실시할 때에는 로터(12)에 수분이 충분히 흡착된 상태로 가습 운전이 시작되고 재생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 가습 운전을 시작한 직후로부터 충분히 가습된 재생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또한 소정 시간 경과 후에도 충분히 가습된 재생 공기가 안정적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흡착 운전을 실시하는 타이밍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가습 운전을 종료한 후 또는 사용자가 도시되지 않은 조작 수단으로 흡착 운전의 실시를 선택했을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33) 내에 마련된 타이머에 낮 동안 사용자가 실내에 있지 않은 시간대를 설정하고, 이 시간대에 자동적으로 흡착 운전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야간에 사용자가 취침중인 시간대에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흡착 운전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야간의 전력 사용료가 주간에 비해 저렴할 경우에는 운전비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습 운전에 앞서 미리 로터(12)에 수분을 축적시켜 둘 수 있으므로 가습 운전을 시작했을 때 신속하게 습도가 높은 재생 공기를 실내 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로터(12)에 흡착되어 있는 수분량이 많으므로 가습 효율이 높은 상태를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다. 기타 효과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한편 스텝 S103에서의 흡착 입출구 습도차의 문턱값은 10%에 한정되지 않고 그 제가습 장치(30) 및 설치 장소에 최적인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습도 센서(32)만을 마련하여 흡착 운전 시작전의 습도에 대해 80% 이상이 되면 흡착 운전을 정지시켜도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습도 센서(31, 32) 대신 온도 센서를 마련하여 로터(12)의 상류측과 하류측간의 온도차에 의해 흡착 운전을 종료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수분이 흡착된 후의 흡착 공기는 흡착 전에 비해 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제어장치(33)는 온도 센서로 검출한 온도차가 일정한 값이 되면 흡착 운전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흡착 운전을 시작한 후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제어장치(33)에 마련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경과한 후에 흡착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옥외의 온습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마련하여 옥외 온도가 내려가 흡착 한계에 달했을 경우에는 흡착 운전을 정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널리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가습부(2)는 건식으로 흡착과 가습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고, 특히, 흡착용 송풍팬(14)이나 재생용 송풍팬(18)의 위치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송풍팬(14, 18) 중 적어도 하나 대신에 전열교 환기(3)의 팬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조습 부재는 로터(12) 대신 일괄적으로 간헐 운전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각형의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유로(10)에서 제습된 흡착 공기를 실내로 공급 가능하도록 배관하여 사용자의 선택 등에 의해 가습된 재생 공기와 제습된 흡착 공기가 선택적으로 실내로 송풍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환기 공기는 가습이나 제습을 실시하는 실내 공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이나 가옥 등, 옥외에 대해 구획되어 있는 공간의 공기이면 가능하다.
전열교환기(3)를 흡기 덕트(5A)에도 마련하고 환기 덕트(6)에 유로 절환기를 마련하여 제습시에는 흡기 덕트(5A)의 전열교환기(3)로 환기 공기를 공급하고 가습시에는 흡기 덕트(5B)의 전열교환기(3)로 환기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습시에는 외기보다 고온인 공기를 열교환기로 공급하여 이 공기에 의해 가온된 외기를 조습 부재로 유입시켜 가습을 수행하고, 제습시에는 외기보다 저온인 공기를 열교환기로 공급하여 이 공기에 의해 차가워진 외기를 조습 부재로 유입시켜 제습을 수행하도록 했으므로, 가습 효율 및 제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제 2 유로에 히터를 마련할 경우 히터의 투입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공기로서 실내로부터의 환기 공기를 사용하면 실내의 환기를 수행하면서 가습 또는 제습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환 기 공기의 열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가습 효율 또는 제습 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가습 운전시 외기온이 낮은 경우에도 가습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고, 제습 운전시 외기온이 높은 경우에도 제습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로서 전열교환기를 사용하면, 외기중 또는 실내 공기중의 수분에 포함되는 열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흡착량 제어수단을 마련하면 통상의 가습 운전에 앞서 조습 부재에 수분을 충분히 흡착시켜 둘 수 있으므로 가습 운전 시작시의 가습량을 향상시키거나 안정된 가습량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흡착 운전을 수행할 때에는 조습 부재의 흡착을 수행하는 영역의 전후에 온도 센서나 습도 센서를 마련하여 조습 부재 전후에 있어서의 습도 변화나 온도 변화를 측정하면, 조습 부재로의 수분의 흡착량을 적절한 양으로 제어할 수 있다.

Claims (6)

  1. 외기를 통류시킬 수 있는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에는 상기 제 1 유로를 통류하는 외기에 포함된 수분을 흡착하여 제습을 수행하는 한편, 이 수분을 이용하여 제 2 유로를 통류하는 외기를 가습하는 조습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습시에는 상기 조습 부재를 통류하기 이전의 외기와 이 외기보다 저온인 공기간에 열교환을 수행하고, 가습시에는 상기 조습 부재를 통류하기 이전의 외기와 이 외기보다 고온인 공기간에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를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의 상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가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저온 또는 고온의 공기가 실내에서 옥외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가습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가 전열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가습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습 운전에 앞서 상기 조습 부재에 수분을 흡착시키는 흡착 운전을 실시하는 흡착량 제어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가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량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유로에서 상기 조습 부재보다 상류측 위치와 하류측 위치의 습도 또는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가지며, 이 센서들의 측정 결과에 따라 흡착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가습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량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유로에서 상기 조습 부재보다 하류측 위치의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가지며, 상기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흡착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가습 장치.
KR1020050031838A 2004-12-15 2005-04-18 제가습 장치 KR100675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63162 2004-12-15
JP2004363162A JP2006170517A (ja) 2004-12-15 2004-12-15 除加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795A true KR20060067795A (ko) 2006-06-20
KR100675802B1 KR100675802B1 (ko) 2007-02-02

Family

ID=3667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838A KR100675802B1 (ko) 2004-12-15 2005-04-18 제가습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170517A (ko)
KR (1) KR100675802B1 (ko)
CN (1) CN10037310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4252A (ja) * 2006-12-28 2008-07-17 Sasakura Engineering Co Ltd 空気調和設備
JP2008292078A (ja) * 2007-05-25 2008-12-04 Touzai Kagaku Sangyo Kk 加湿器
JP4311489B2 (ja) * 2007-06-12 2009-08-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CN101524219B (zh) * 2008-03-04 2011-01-12 汉唐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恒湿控制装置的保存柜
CA2672897C (en) * 2008-07-23 2017-02-14 Tai-Her Yang Single flow circuit heat exchange device for periodic positive and reverse directional pumping
JP4466774B2 (ja) 2008-09-10 2010-05-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6303375B2 (ja) * 2013-10-04 2018-04-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
KR101756850B1 (ko) * 2015-10-08 2017-07-1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습도조절기
CN105240965A (zh) * 2015-11-02 2016-01-13 无锡普爱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智能除湿系统
CN105423456A (zh) * 2015-11-02 2016-03-23 无锡普爱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除湿系统
CN105387534B (zh) * 2015-12-14 2018-06-29 江苏日高温控技术有限公司 一种基站湿度调节装置及其湿度调节方法
CN105485798B (zh) * 2015-12-14 2018-06-26 江苏日高温控技术有限公司 基站湿度调节装置及其湿度调节方法
CN110621939B (zh) * 2017-06-14 2021-05-25 大金工业株式会社 调湿单元
CN114623577A (zh) * 2020-12-10 2022-06-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调湿装置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6253A (ja) * 1992-06-12 1993-12-27 Aten:Kk 湿度調節型換気装置
JPH07163830A (ja) * 1993-12-15 1995-06-27 Kajima Corp 乾式除湿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調設備
JP3231539B2 (ja) * 1994-04-06 2001-11-26 松下精工株式会社 多機能型換気装置
JPH0875227A (ja) * 1994-09-08 1996-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空気調和機
JPH1026434A (ja) * 1996-07-12 1998-01-27 Ebara Corp 空調システム
JP2994303B2 (ja) * 1997-04-11 1999-12-2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3933264B2 (ja) * 1997-08-08 2007-06-20 株式会社荏原製作所 除湿空調システム
JP3425088B2 (ja) * 1998-10-05 2003-07-07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JP2000233131A (ja) * 1998-12-16 2000-08-29 Daikin Ind Ltd 吸着剤及びその吸着剤を備えた湿度調整装置、吸着式冷凍機、吸着式空気調和機及び吸着式ヒートトランスフォーマ
JP3823681B2 (ja) * 2000-04-11 2006-09-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の制御方法
JP2002066251A (ja) * 2000-08-28 2002-03-05 Tokyo Gas Co Ltd 除湿及び加湿装置
JP2002276998A (ja) * 2001-03-15 2002-09-25 Osaka Gas Co Ltd デシカント除湿機
JP3821371B2 (ja) * 2002-01-22 2006-09-13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除湿装置
JP2004020109A (ja) * 2002-06-18 2004-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4114439B2 (ja) * 2002-08-28 2008-07-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04190939A (ja) * 2002-12-11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湿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100504489B1 (ko) * 2002-12-26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JP2004271081A (ja) * 2003-03-10 2004-09-30 Kobe Steel Ltd デシカント空調方法および空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9840A (zh) 2006-06-21
CN100373101C (zh) 2008-03-05
KR100675802B1 (ko) 2007-02-02
JP2006170517A (ja)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802B1 (ko) 제가습 장치
US5230466A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JP3543784B2 (ja) 調湿換気装置
JP3992051B2 (ja) 空調システム
JP4341244B2 (ja) 加湿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5862266B2 (ja) 換気システム
JP6178174B2 (ja) デシカント空調装置、及びデシカント空調方法
CN102149976B (zh) 空调机
JP4639485B2 (ja) 空気調和機
JP3555590B2 (ja) 調湿装置
JP4340756B2 (ja) 除湿空調装置
JP6779653B2 (ja) 外気処理システム、外気処理システム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1089665A (ja) 調湿装置
JP3567857B2 (ja) 加湿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11191036A (ja) デシカント空調装置
JP2001179037A (ja) 除加湿方法、除加湿装置、除加湿機及び空気調和機
JP2004069222A (ja) 換気調湿装置
JP2008116060A (ja) 吸着体、調湿装置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467357B2 (ja) 空調装置
JPH0814600A (ja) デシカント型空調機
JP2010117112A (ja) 空気調和機
JP6854099B2 (ja) 調湿換気システム
JP2002181352A (ja) 加湿機能付き空気調和機
JP2002323251A (ja) 空気調和換気装置
JP2000093698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