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720A - 견고한 선로용으로 제공되는 사전 조립된 전철기를운반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견고한 선로용으로 제공되는 사전 조립된 전철기를운반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720A
KR20060066720A KR1020067002979A KR20067002979A KR20060066720A KR 20060066720 A KR20060066720 A KR 20060066720A KR 1020067002979 A KR1020067002979 A KR 1020067002979A KR 20067002979 A KR20067002979 A KR 20067002979A KR 20060066720 A KR20060066720 A KR 20060066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carriage
rails
transvers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크 숄쯔
Original Assignee
아이히홀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히홀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아이히홀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66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2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lengths of assembled track, assembled switches, or assembled 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6Height or lateral adjustment means or positioning means for slabs, sleepers 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고한 선로용으로 제공되는 사전 조립된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을 운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철기용으로, 혹은 전철기의 대형 부품용으로 제공되어 트랙(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 캐리지(14)를 포함한다. 상기 트랙(12)은 적어도 2개의 주행 레일(16, 18)을 가지며, 이들 주행 레일 상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캐리지(14)가 지지되면서 운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캐리지(14)는 가로 부재(38)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가로 부재는 상기 주행 레일들(16, 18) 중 2개의 주행 레일 상에서 지지된다.
Figure 112006010356139-PCT00001
전철기, 운반 캐리지, 가로 부재, 세로 부재, 트랙, 주행 레일

Description

견고한 선로용으로 제공되는 사전 조립된 전철기를 운반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TRANSPORTING PREASSEMBLED SWITCHES PROVIDED FOR A SOLID ROADWAY}
본 발명은 견고한 선로용으로 제공되는 사전 조립된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을 그 각각의 설치 장소로 운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가 타설된 선로, 다리 지지 구조물 혹은 그에 필적하는 기타 기초설비들은 전철기용으로 상기와 같이 견고한 기반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레일 섹션을 조립할 시에는, 종종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전철기들이 조립되고, 그에 이어서 비로소 레일이 전철기들에 결합된다.
사전 조립된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을 그 각각의 설치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 갠트리 타입 크레인을 이용하는 점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크레인들은, 전철기들을 이미 제조된 트랙 시설에 결합하여야 하는 점에서는 철도 차량으로서 구성되며, 또는 완성된 트랙 시설을 아직 이용할 수 없을 때에는 무한궤도 차량으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전철기 또는 각각의 전철기의 대형 부품을 정밀하게 정렬하기 위해 설치 위치에 추가의 정렬 설비가 요구된다. 전철기 및 전철기의 대형 부품의 운반 및 정렬은 상기와 같은 특수 설비의 사용과 그와 같은 설비의 상대적으로 적은 활용도에 의해 경제적으로 매우 높은 비용이 드는 것으로 판명되 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견고한 선로용으로 제공되는 사전 조립된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을 운반하기 위한 가능한 한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특허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개선예들은 특허 청구항 제1항에 각각 결부되는 추가의 종속항들의 대상이다.
본 발명은 무엇보다 사전 조립된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을 운반하기 위해 대형의 캔트리 타입 설비가 필요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대신에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은 트랙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운반 캐리지를 이용하여 상기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의 각각의 설치 장소로 운반된다. 각각의 운반 캐리지는 가로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가로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운반 캐리지는 트랙의 2개의 주행 레일들 상에서 지지된다.
트랙은 해체 가능한 트랙으로서 이용되는 점에 한해서 가로 바들에 의해 보강된 세로 바들을 구비한 대개 평평한 바 프레임 구조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세로 바들은 운반 캐리지용의 주행 레일들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트랙의 설계에 대한 상세 내용들은 종속항들과 도면에 기술 및 도시되어 있다.
운반 캐리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랙의 두 주행 레일 상의 3개의 지점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지지 지점들 중 적어도 2개의 지점은 일측의 주행 레일 상에 존재하며 적어도 1개의 지지 지점은 타측의 주행 레일 상에 존재한다. 이러한 지지 지점들은 롤러 주행 기어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일측의 주행 레일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롤러들은 바람직하게는 양측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다. 타측의 주행 레일 상에 위치하는 롤러는 상기와 같은 양측 플랜지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운반 캐리지의 트랙 이동 안정성은 양측 플랜지를 구비한 롤러들에 의해 보장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운반 캐리지에 대한 상세 내용은 마찬가지로 추가의 종속항들과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트랙의 지지 구조와 운반 캐리지의 구조에 대해 중공 프로파일 단면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무엇보다 동일한 중공 프로파일 단면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트랙은 가능한 한 이미 가용한 상태로 위치 고정되게 설치된 레일들로 형성될 수 있거나 혹은 단지 임시로만 가설된 레일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가용한 운반 캐리지는 보조 부재를 가질 수 있고, 이 보조 부재는 상기 레일들을 따라 보조 부재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대응하는 탈착 가능한 롤러 주행 기어 상에 체결된다. 그에 따라 운반 캐리지는 단지 상기 보조 부재를 통해서만 트랙의 두 라인 상에서 지지된다; 다시 말해, 운반 캐리지의 롤러 주행 기어는 공중에서 부동(浮動)한다.
2개의 레일을 포함하는 상기와 같은 트랙이 가용할 시에, 운반 캐리지가 자신의 가로 부재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최초에 언급한 트랙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의 설치 영역에는 보조 부재가 배치될 수 없는데, 왜냐하면 상기 보조 부재는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의 설치를 방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운반 캐리지의 지지부에는 운반 캐리지가 보조 부재를 통해 가용하거나 보조적으로 가용한 레일 상에 지지되는 트랙의 영역으로부터, 운반 캐리지가 자신의 가로 부재를 통해 트랙 상에 직접 지지되는 영역으로의 전환부가 존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2가지 종류의 트랙들에 대한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본원의 운반 장치를 이용하여, 견고한 노반 또는 견고한 트랙을 구비한,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의 설치 위치에서 이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에 대해 요구되는 측면의 정밀 정렬을 가능케 하고, 그에 따라 정밀 정렬을 위해 추가적으로 운반되어야 하는 특수 장비의 사용을 지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운반 캐리지 상에는 가로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당접부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당접부에서는, 운반될 전철기가 당접부에 고정된 인장 및/또는 압축 요소를 이용하여 전철기의 운반 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임의로 조절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당접부들은 동시에, 운반이 이루어지는 동안,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은 운반되는 동안 단지 자신들의 레일들로써만 캐리지 상에 안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캐리지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그런 다음 사전 조립된 전철기, 혹은 전철기의 대형 부품에 있어 레일들에 매달림되는 그 침목들은 운반 캐리지에 매달림된다. 또한, 전철기를 전체적으로 캐리지에 매달림의 방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특수한 리프팅 장치 없이 상기 전철기를 운반 캐리지에 매달림하고 다시금 운반 캐리지로부터 분리하여 설치 위치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합하게는 운반 캐리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매달기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세팅 위치에서 세로방향뿐 아니라 가로방향으로도 정밀하게 정렬된 전철기 또는 대응하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을 그 자신의 정확한 정렬 상태로 유지하면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은 자신의 침목에 지지 푸트(support foot)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 지지 푸트를 이용하여 상기 침목과 그에 따른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은 정확하게 정렬되어 견고한 노반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푸트들은 침목을 관통하거나 침목에 고정된 스핀들 로드로서 설계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전철기는 거의 다족류와 같이 자신들의 지지 푸트를 이용하여 장착하게 된다. 이어서, 운반 캐리지와 트랙은, 전철기를 재차 이동시킬 필요도 없이, 분해되어, 전철기 하부에서 제거될 수 있다.
운반 캐리지를 세로방향으로 운반하고 그에 따라 트랙을 따라 전철기를 세로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운반 캐리지는 통상의 견인 장비를 이용하여 견인될 수 있다. 또한, 운반 캐리지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모터 구동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운반 캐리지 혹은 상호간에 매달림된 운반 캐리지들을 자체 모터 구동력을 통해 이동시킬 수도 있다.
운반 캐리지와, 그에 따른 전철기들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을 임의의 높이에서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그리고 제1 종의 트랙과 제2 종의 트랙 사이의 높이 이동와 그에 따른 일측의 트랙으로부터 타측의 트랙으로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운반 캐리지와 이와 관련하여 무엇보다 개별 운반 캐리지의 각각의 가로 부재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장치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장치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가로 부재의 말단부에 제공된다. 도면에는 스크루 스핀들의 형태로 형성된 지지 장치가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과 특징은 청구항들에 추가로 제시된 특징들과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에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기술 및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의 제1 종의 트랙을 절결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2는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을 운반하기 위해 도1에 따른 트랙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운반 캐리지를 절결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3은 그리고 전철기를 지지하면서 트랙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도1 및 도2에 따른 운반 캐리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되, 침목을 확인할 수 있다.
도4는 도3의 횡단면도와 유사한 횡단면도이되, 운반 캐리지의 가로 부재를 확인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장치에 있어 트랙 레일을 포함하는 그 제2 종의 트랙을 절결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6은 도5에 따른 트랙에서 가용한 보조 부재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7은 도5와 유사하지만 보조 부재를 제거한 후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 다.
운반 장치(10)(도 1)는 트랙(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트랙(12) 상에서 복수의 운반 캐리지들(14)이 세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운반 캐리지들 중 하나의 운반 캐리지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운반 캐리지들(14) 상에서는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이 트랙(12)을 따라 이동되며, 그에 따라 해당하는 전철기의 설치 위치로, 혹은 해당하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의 설치 장소로 운반될 수 있다.
상기 트랙(12)은 좌측 및 우측 세로 바(16, 18)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세로 바는 정방형의 횡단면을 갖는 중공 프로파일이다. 중공 프로파일의 횡단면은 100㎜×100㎜이다. 각각의 중공 프로파일의 벽 두께는 8㎜이다. 이와 같은 두 세로 바들(16, 18)은 가로 바들(20)에 의해 이격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가로 바들은 통상적인 이음매 구조(21)를 통해 세로 바들(16, 18)에 결합된다. 가로 바들(20)의 프로파일은 세로 바들(16, 18)에 상응한다. 세로 바들(16, 18)과 가로 바들(20)은 대략 수평이면서 평평한 지지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며, 이 지지 프레임 구조는 대각선의 인장 케이블(22, 24)에 의해 보강된다. 이와 같은 보강은 트랙(12)의 말단 구간에서 혹은 그 추가의 중심 구간들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가로 바들은 상호간에 4m의 간격(26)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운반 캐리지들(14)용 주행 레일을 나타내는 두 세로 바들(16, 18)은 3.10m의 상호간 간격(28)을 갖는다.
운반 캐리지들(14) 각각은 세로 부재(30)을 구비하며, 이 세로 부재는 세로방향으로 혹은 운반 방향(32)으로 향해 있으며, 그리고 운반 방향(32)으로 상호간에 이격되어 있는 이중 트랙 롤러들(34, 36)을 통해 트랙(12)의 세로 바들(16, 18) 상에서 지지된다. 가로 부재(38)는 도 2에서 우측에 위치한 자신의 일측의 단부를 이용하여 세로 부재(30) 상에 지지되면서 고정된다. 상기 가로 부재(38)에 있어 도 2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그 타측의 단부는 세로 부재 구간(30.2)과 이 세로 부재 구간에 고정된 지지 롤러(40)를 이용하여 트랙(12)에 있어 도2에 따른 그 좌측의 세로 바(16) 상에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지지 롤러(40)는 상기 두 트랙 롤러들(34, 36)과 다른 점에서 양측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운반 캐리지(14)의 이동 경로는 상기 트랙 롤러들(34, 36)을 통해 보장된다.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의 부분들 중에서 도면상에는 좌측 및 우측 레일(42, 44)이 도3 및 도4에 도시되거나 명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한 상기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은 상기와 같은 자신들의 레일들(42, 44)을 이용하여 운반 방향(32)으로 상호간에 결합되는 복수의 운반 캐리지들(14)의 가로 부재들(38) 상에 위치한다. 운반 캐리지들(14)의 결합은 상기와 같은 운반 캐리지들(14)의 세로 부재들(30)을 상호간에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운반 캐리지들(14)의 가로 부재들(38) 상에 대한 레일들(42, 44)의 지지는, 침목들(46)이 상기 가로 부재들(38)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되, 이와 관련하여 상기 침목들(46)에는 강화된 탄성 중합체 베어링을 통해 나사 체결부(50) 및 클램프 체결부(52)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들(42, 44)이 고정된다. 그에 따라 상기 침목들(46)은 레일들(42, 44)에 매달림되어 운반 캐리지들(14)에 의해 운반된다.
상기 침목들(46)의 저면으로부터는 철근들(45)이 돌출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트랙 경로를 조립한 후에 침목들(46)과 콘크리트 기반(49) 사이에 도포되는 콘크리트 층(47) 내 침목들(46)의 안정된 정착이 보장된다.
콘크리트 층(47)을 타설하기 전에,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은 스핀들 로드들(51, 54)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기반(49) 상에 지지되며, 상기 스핀들 로드들은 각각의 침목(46)의 각각의 단부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침목들(46)과 그에 따른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의 지지는 상기와 같은 트랙 부분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와 같은 트랙 부분들의 해당하는 레일들(42, 44)이 세로방향 정렬 및 가로방향 정렬 그리고 높이 정렬이 정확하게 개시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핀들 로드들(51, 54)은 하부방향으로 상이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그럼으로써 침목들은 콘크리트 기반(49) 상부에서 높이가 정확하게 정렬되어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스핀들 로드들(51, 54)을 이용하여 침목들(46)을 지지하기 전에, 레일들(42, 44)과 그에 따라 이들 레일들(42, 44)을 포함하는 해당하는 트랙편은 운반 캐리지(14) 상에서 정밀하게 정렬된다. 운반 방향(32)의 세로방향 정렬은 상기와 같은 운반 방향(32)으로 운반 캐리지들(14)을 그에 상응하게 정밀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레일들(42, 44)의 가로방향 정렬은 가로방향(58)으로, 그에 따라 가용한 운반 캐리지들(14)의 가로 부재들(38)을 따라서 레일들(42, 44)을 이동시킴으 로써 이루어진다.
도2 및 도4에는 2가지 상이한 가로방향 변위 장치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2에 따른 도식에서, 좌측 레일(42) 옆에는 이 좌측 레일(42)에 이격되어 당접 슈(60)(buttress shoe)가 가로 부재(38) 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당접 슈(60)는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U 모양의 형상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상기 당접 슈는 캡 모양으로 상부로부터 상기 가로 부재(38)를 둘러싸게 된다. 상기 가로 부재(38)는 구멍들(64)을 갖는 천공 스트립(punched strip)을 구비한다. 상기 구멍들(64.1)(도2) 중 일측에는 상기 슈(60)가 나사 체결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슈는 가로방향(58)으로 어긋나지 않게 가로 부재(38)에 고정된다.
상기 슈(60)로부터는 측면으로 캔틸레버(66, 68)가 돌출되어 각각의 스핀들(70)에 대한 나사 지지부를 형성한다. 상기 두 스핀들(70)의 자유 단부(72)는 좌측 레일(42)의 푸트(74)에 측면으로 압착되어 인접한다. 상기 두 스핀들들(70)을 다소 많이 회전시킴으로써, 레일(42)은 가로방향(58)에서 우측방향으로 그에 상응하게 이동될 수 있다.
타측의 레일(44)의 외측면에는 그에 상응하는 당접 슈(60.2)가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두 레일들(42, 44)은 가로방향(58)에서 두 당접 슈들(60, 60.2)의 스핀들들(70, 70.2) 사이에서 고정된다. 상기 당접 슈(60.2)는 또한 상기 레일(42)의 내측면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당접부는 레일의 양 측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두 슈들(60, 60.2)의 일측의 스핀들(70)은 돌려 빼내고 그 타측의 스핀들(70.2)은 돌려 조임으로써 상기 두 레일들(42, 44)은 가로방향(58)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4에 따른 도식에도, 그에 상응하는 당접 슈들(60.4, 60.6)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슈들은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캔틸레버(69)를 구비하며, 이 캔틸레버 내에는 그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마찬가지로 스핀들(70.4)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스핀들(70.4)의 자유 단부(72.4)는 U 형상의 베어링(80)과 견고하게 체결되며, 이 베어링(80) 내부에는 레일(42)이 자신의 푸트(74)를 이용하여 삽입 장착된다. 레일 푸트(74)와 U-베어링(80) 사이에는 측면 간격(82)이 존재하는데, 이 간격은 도면에 미도시한 쐐기(wedge)를 통해 밀폐된다. 상기와 같은 간격(82)은 종종 상이한 크기의 푸트들(74)을 갖는 레일들이 트랙 경로 상에, 그리고 그에 따라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의 영역에 동시에 존재하는 점을 고려하여 제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레일들 모두는 동일한 U-베어링들(80)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스핀들(70.4)을 회전시킴으로써, U-베어링(80)은 가로방향(58)에서 좌측보다는 우측방향으로 더욱 밀착되거나 당겨질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당접 슈(60)를 이용하여 두 레일들(42, 44)은 함께 가로방향(58)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제2 당접 슈(60.60)는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각각의 타측의 당접 슈(60.6)는 가로방향(58)의 최대 이동 경로를 범위 한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두 슈들(60.4, 60.6) 중 일측의 슈는 가로방향(58)에서 가로방향(58)의 목표되는 이동 경로를 위한 말단 정지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트랙(12)은 그 이음매 구조의 영역에서 바닥판(86) 상에 장착되며, 이 바닥판(86)은 대개 상이한 높이를 갖는 목재 배튼 스택(88)(batten stack) 상에 장착된다. 상기 배튼 스택(88)은 자신의 측면에서 콘크리트 기반(49) 상에 설치된다.
도5에 단면도로 도시된 운반 장치(10.5)는 운반 캐리지들(14)이 트랙(12) 상에 직접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보조 부재(90)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이미 가용한 트랙 레일(92) 상에 지지되는 점에서 앞서 기술한 운반 장치(10)와 구분된다. 상기 보조 부재(90)는 말단측에 각각의 이음매판(94, 96)(fish plate)을 구비하고 있다. 일측의 이음매판(94) 내에는 나사 체결공들(98)이, 그리고 타측의 이음매판(96) 내에는 장공들(99)(long holes)이 제공된다. 이러한 나사 체결공들(98) 또는 장공들(99)을 이용하여 보조 부재(90)는 각각의 운반 캐리지(14)의 가로 부재(38)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장공들(99)은 가로방향(58)의 극미한 톨러런스를 허용한다.
보조 부재(90)는 일측의 플랜지 롤러들(100)을 통해, 타측에서는 지지 롤러들(102)을 통해 가용한 2개의 철도 트랙 레일들(92) 상에서 구름 이동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플랜지 롤러들(100)은 자신의 측면에서 보조 부재(9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그리고 상기 지지 롤러들(102)은 자신의 측면에서 보조 부재(90)의 타측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2개의 철도 트랙 레일들은 침목들(46.5) 상에 장착되는데, 도5에는 상기 2개의 철도 트랙 레일들 중 하나의 트랙 레일(92)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철도 트랙 레일들(92)은 거의 궁극의 트랙 경로를 나타내며, 그럼으로써 침목들(46.5)은 마찬가지로 상기 트랙 레일들(92)에 대한 궁극의 베어링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침목들(46.5) 상에서의 트랙 레일들(92)의 고정은 침목들(46) 상에서의 레일들(42, 44)의 고정에 해당한다(도3).
트랙 레일들(92) 또는 그에 필적하는 트랙 레일들은 또한, 단지 운반 캐리지들(14)을 운반할 목적으로만 노반 상에, 혹은 그 밖의 기초 상에 직접적으로 임시 가설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트랙 레일들(92)은 본원의 운반 장치(10.5)에서 트랙을 나타내며, 이 트랙 상에서 운반 캐리지들(14)이 레일들(42, 44) 및 이 레일들의 침목들(46)과 함께 운반된다.
운반 캐리지(14)의 가로 부재(38)의 두 단부에는 각각 스크루 스핀들(110)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각각의 스크루 스핀들(110) 중에 그 스핀들 하우징(112)은, 가로 부재(38)의 각각의 단부에서, 제공되어 있는 구멍들(64) 중 하나의 구멍 내에 삽입 고정된다. 각각의 스크루 스핀들(110)의 크랭크 핸들(114)을 회전시킴으로써, 가로 부재(38)이 고정되는 단부를 갖는 상기 스핀들 하우징(112)은 스핀들 하우징(112)을 관통하는 두 푸트들(118)에 따라 높이(양방향 화살표 116)가 그에 적합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상태에 따르면, 운반 캐리지(14)는 완전하게 트랙 레일들(92) 상에 정지해 있다. 도7에 도시된 상태에서 운반 캐리지(14)는 자신의 각각의 가로 부재(38)를 통해, 그리고 단부측에 제공되어 있는 스크루 스핀들들(110)을 통해 예컨대 콘크리트 기반(49)과 같은 노반 상에서 지지된다. 도7에 따라 자신의 좌측 세로 바(16)를 갖는 두 스핀들 푸트들(118) 사이에 위치하는 트랙(12)은 높이에 맞게 콘크리트 기반(49) 위쪽에 조립되되, 스핀들 하우징(112)을 하강시킴으로써, 가로 부재(38)과 그에 따른 레일(42(44))이 사전 지정된 적합한 높이의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조립이 이루어진다. 스 핀들 하우징(112)이 하강한 상태에서, 지지 롤러들(40)은 좌측의 세로 바(16)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강된 상태에서 운반 캐리지(14)는 세로 바(16)를 따라 운반 방향(32)(도2)으로 재차 계속해서 운반될 수도 있다. 또한, 트랙(12)은 재차 우측의 세로 바(18)를 지지할 수도 있으며, 이 우측의 세로 바(18) 상에서 각각의 가로 부재(38)의 타측 단부가 이중 트랙 롤러(36)(도2, 도3)를 이용하여 지지될 수도 있다. 도7에는 각각의 레일(42)과 함께 침목들(46)의 하강된 위치가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7에 따른 침목들(46)의 하강은 각각의 가로 부재(38)으로부터 보조 부재(90)를 분해한 후에 비로소 이루어진다. 레일(42)(이에 대한 사항은 레일(44)에 대해서도 적용된다)이 자신의 최종 위치로 이동되자마자, 가로 부재(38)과 이 가로 부재(38)에 고정된 스크루 스핀들(110)이 제거된다.

Claims (27)

  1. 견고한 선로용으로 제공되는 사전 조립된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을 운반하기 위한 장치(10, 10.5)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전철기 또는 전철기의 대형 부품을 위한 운반 캐리지(14)로서, 트랙(12, 92, 46.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 캐리지(14)가 제공되고,
    - 상기 트랙(12, 92, 46.5)은 적어도 2개의 주행 레일(16, 18, 92)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주행 레일들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반 캐리지(14)가 운반 방향(32)으로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캐리지(14)는 가로 부재(38)를 포함하고 있고, 이 가로 부재(38)는 상기 주행 레일(16, 18, 92) 중 2개의 주행 레일 상에서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트랙은 분해 가능한 조립용 트랙으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트랙(12)은 바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이 바 프레임 구조는 바 프레임 구조의 평면에서 가로 바(20)에 의해 보강된 주행 레일로서의 세로 바(16, 1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트랙(12)은 바 프레임 구조의 평면에서 대각선의 인장 및/또는 압축 바(22, 24)에 의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트랙(12)의 세로 및 가로 바(16, 18, 20)는 중공 프로파일 단면,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중공 프로파일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트랙은 2개의 철도 트랙 레일(9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 운반 캐리지(14)는 보조 부재(90)를 구비하고, 이 보조 부재(90)는 가로 부재(38)를 따라 배열되고 이 가로 부재(38)에 체결될 수 있고
    - 상기 보조 부재(90)는 롤러(100, 102)에 의해 2개의 철도 트랙 레일(92) 상에서 지지되어 운반 방향(32)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는 플랜지 롤러(100)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반 캐리지(14)는 일측의 세로 바(18) 상에서 적어도 2개의 롤러(34, 36)에 의해 그리고 타측의 세로 바(16)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3 롤러(40)에 의해 경동되지 않게 지지되면서 트랙의 2개의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롤러(34, 36)는 각각 이중 롤러(34, 36)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일측의 세로 바(18)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롤러(34, 36)는 각각 양측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운반 캐리지(14)가 직접적으로 혹은 커플링 로드를 통해 상호간에 링크되어 운반 방향(32)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운반 캐리지(14)는 세로 부재(30) 및 가로 부재(38)를 포함하고 있고,
    - 가로 부재(38)는 일측 단부가 세로 부재(30)에 체결되고,
    - 2개의 이중 롤러(34, 36)는 세로 부재(30) 상에 장착되고, 제3 롤러(40)는 가로 부재(38)의 타측 단부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반 캐리지(14)의 세로 부재(30) 및 가로 부재(38)는 중공 프로파일 단면,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중공 프로파일 단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5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트랙(12)의 세로 및 가로 바(16, 18, 20)의 중공 프로파일 단면과, 적어도 하나의 운반 캐리지(14)의 세로 부재 및 가로 부재(30, 38)의 중공 프로파일 단면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중공 프로파일 단면의 외측 에지 치수는 100㎜×100㎜이며 각각의 중공 프로파일의 벽 두께는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당접부(60)가 운반 캐리지(14)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당접부 상에 운반될 전철기가 운반 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지지 되어 고정될 수 있고,
    -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장 및/또는 압축 요소(70)가, 레일과 압축 요소 사이의 간격이 원하는 대로 결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당접부(60)와 전철기의 레일(42, 44) 사이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운반 캐리지(14)의 가로 부재(38)는,
    - 가로 부재(38)가 인접한 침목들(46) 사이에 제공되고, 그 결과
    - 전철기의 레일(42, 44)만이 적어도 2개의 캐리지(14)의 가로 부재(38) 상에 지지되어 장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운반 캐리지의 가로 부재 또는 가로 부재는,
    - 전철기가 적어도 2개의 운반 캐리지의 가로 부재에 매달릴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전철기는 자신의 레일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운반 캐리지의 가로 부재 상에 매달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운반 캐리지(14)의 가로 부재(38) 상에 전철기 즉 전철기의 레일을 매달기 위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매달기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철기의 침목(46)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푸트를 포함하고 있고, 그럼으로써 상기 침목(46)은 견고한 기반(49) 위쪽으로 이격된 임의의 원하는 높이에 안정적으로 위치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침목(46)의 지지 푸트는 스크루 로드 또는 스핀들 로드(51, 5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반 캐리지(14) 또는 보조 부재(90)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모터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운반 캐리지(14)의 적어도 하나의 가로 부재(38)를 위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가로 부재(38)의 단부에 승강 장치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스크루 스핀들(114)의 형태로 설계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7002979A 2003-08-13 2004-08-02 견고한 선로용으로 제공되는 사전 조립된 전철기를운반하기 위한 장치 KR200600667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312567U DE20312567U1 (de) 2003-08-13 2003-08-13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für eine feste Fahrbahn bestimmten, vormontierten Weichen
DE20312567.3 2003-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720A true KR20060066720A (ko) 2006-06-16

Family

ID=2943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979A KR20060066720A (ko) 2003-08-13 2004-08-02 견고한 선로용으로 제공되는 사전 조립된 전철기를운반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654423A1 (ko)
KR (1) KR20060066720A (ko)
CN (1) CN1836074B (ko)
DE (2) DE20312567U1 (ko)
TW (1) TW200517557A (ko)
WO (1) WO2005017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15811B (zh) * 2007-12-28 2011-09-07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高速铁路道岔可动心轨辙叉组装工作平台
ES2803701B2 (es) * 2019-07-23 2022-02-02 Talleres Alegria S A Aparato de via premontad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36101A (ko) *
DE9304617U1 (de) * 1993-03-26 1994-04-28 Plasser Bahnbaumasch Franz Weichentransportwagen
ATE166681T1 (de) * 1994-05-10 1998-06-15 Plasser Bahnbaumasch Franz Anlage zum transportieren von gleisjochen
ATA96796A (de) * 1996-06-04 1997-09-15 Plasser Bahnbaumasch Franz Maschine zum verlegen eines gleises
ES2213243T3 (es) * 1997-08-13 2004-08-16 BWG GMBH & CO. KG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transportar un tramo de via.
EP1026320B1 (de) * 1999-02-08 2003-11-19 Hochtief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esten Fahrbahn
DE19923329C1 (de) * 1999-05-21 2001-01-04 Pfleiderer Infrastrukturt Gmbh Einbauvorrichtung für eine feste Schienenfahrbah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4002054D2 (de) 2006-10-05
CN1836074B (zh) 2010-06-09
TW200517557A (en) 2005-06-01
CN1836074A (zh) 2006-09-20
DE20312567U1 (de) 2003-11-06
EP1654423A1 (de) 2006-05-10
WO2005017260A1 (de) 200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958B1 (ko) 선형유도전동기에서 선형유도전동기 패널의 부설을 위한인서트 매립 장치
KR100891961B1 (ko) 가설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 또는 철도의 노후된 교량이나 무도상 교량을 유도상화 하기 위한 교량 교체공법 및 그 장치
KR101399839B1 (ko) 철도교량 단부 횡단 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130009391A (ko) 철도 궤도용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철도 궤도 부설방법
JP2006214269A (ja) 架設桁
KR20060066720A (ko) 견고한 선로용으로 제공되는 사전 조립된 전철기를운반하기 위한 장치
KR102488421B1 (ko) 레일매립궤도의 분기기 지지장치
KR100881598B1 (ko) 선형유도전동기(lim) 차량을 위한 궤도 부설 방법
JP6781682B2 (ja) まくらぎ直結軌道の施工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軌きょう支承装置
CN202440242U (zh) 一种无砟轨道悬臂式龙门吊
JP2008303537A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運搬方法
KR102187297B1 (ko) 안내 레일식 고무차륜 agt의 분리형 주행로 시공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안내 레일식 고무차륜 agt의 분리형 주행로 시공 방법
US8459570B2 (en) Supporting arrangement
KR102121029B1 (ko) 도상 콘크리트 시공방법
JP3991067B1 (ja) 鉄道ホーム間仮設橋
CN110565458B (zh) 一种用于铺设u型梁轨道的铺设台车及方法
EP3741957B1 (en) Modular support structure
CN113062149A (zh) 轻型化预制道床及施工方法
JP2022081909A (ja) コンクリート枕木の設置装置
KR20100106821A (ko) 안내 궤도가 설치되는 지지대용 거푸집
CN216514886U (zh) 一种用于既有铁路的线路加固装置
EP0445259A1 (de) Fahrwegschiene für ein magnetschwebefahrzeug.
JP3682247B2 (ja) 高架式交通路の構築方法
CN215051635U (zh) 轻型化预制道床
EP3770323A1 (en) Preassembled track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