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3131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3131A
KR20060063131A KR1020040102219A KR20040102219A KR20060063131A KR 20060063131 A KR20060063131 A KR 20060063131A KR 1020040102219 A KR1020040102219 A KR 1020040102219A KR 20040102219 A KR20040102219 A KR 20040102219A KR 20060063131 A KR20060063131 A KR 20060063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usher
switch
printing uni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4658B1 (ko
Inventor
이상운
정흥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658B1/ko
Priority to US11/234,271 priority patent/US7369789B2/en
Priority to CNB2005101184253A priority patent/CN100440071C/zh
Publication of KR20060063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제1 및 제2 도어가 마련된 외장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인쇄유닛을 통전 또는 단전하는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는 푸셔(pusher)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푸셔를 가압하고, 가압된 상기 푸셔가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여 상기 인쇄유닛이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도어와 그의 개폐에 연계하여 인쇄유닛을 통전 또는 단전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닫힌 상태, 도 3은 제2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화상형성장치의 제1 도어 잠금수단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닫힌 상태, 도 5는 제2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 102 ...제1 도어
103 ...푸셔(pusher) 105 ...스프링
106 ...잠금돌기 수용홈 107 ...제2 도어
108 ...가압돌기 109 ...잠금돌기
110 ...현상기 120 ...광주사기
130 ...전사벨트 135 ...전사롤러
140 ...정착기 150 ...마이크로스위치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와 연계하여 인쇄유닛을 통전 또는 단전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등과 같이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외장 케이스와, 그 내부에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외장 케이스에는 내부의 인쇄유닛을 이루는 현상기, 광주사기 등을 교체, 수리하기 위하여, 또한 용지의 잼(jam)이 발생한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인쇄유닛이 작동하면 인쇄품질도 만족스럽게 유지할 수 없을 뿐더러, 안전 사고의 위험도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도어가 열리면 인쇄유닛을 단전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인쇄유닛을 단전하는 수단은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어 하나당 하나의 마이크로스위치를 필요로 하여, 칼라프린터와 같이 도어가 복수 개인 화상형성장치는 도어의 수와 같은 수의 마이크로스위치가 요구되었다. 이로 인해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질 뿐 아니라, 비싼 마이크로스위치를 다수 개 사용하여야 하므로 생산비용도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도어를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스위치만으로 인쇄유닛의 통전 및 단전 제어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제1 및 제2 도어가 마련된 외장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인쇄유닛을 통전 또는 단전하는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는 푸셔(pusher)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푸셔를 가압하고, 가압된 상기 푸셔가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여 상기 인쇄유닛이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는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이고,
상기 푸셔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의 레버를 가압하면 인쇄유닛이 통전되고, 상기 푸셔의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가 탄성 복원되어 인쇄유닛이 단전되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푸셔는 상기 제1 도어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는 돌출부를 구비한 L자형 부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푸셔는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제1 도어 잠금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도어 잠금수단은 제2 도어에 마련된 잠금돌기와, 제1 도어에 마련된 상기 잠금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도어와 그의 개폐에 연계하여 인쇄유닛을 통전 또는 단전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닫힌 상태, 도 3은 제2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화상형성장치의 제1 도어 잠금수단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닫힌 상태, 도 5는 제2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칼라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 칼라 프린터이다.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잠상에 현상제(developing agent)인 토너를 투입하여 가시(可視)화상으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외장 케이스(101) 내부에 인쇄유닛으로 4개의 현상기(110), 4개 의 광주사기(120), 전사벨트(130), 4개의 전사롤러(135), 및 정착기(140)를 구비한다. 또한, 용지가 적재되는 카세트(122), 상기 카세트(122)로부터 용지를 낱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23), 상기 픽업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125), 및 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케이스(101) 밖으로 배출하는 배지롤러(142)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110)는 현상제인 토너가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환되는 카트리지 타입으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칼라화상의 인쇄를 위해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4개의 현상기(110C, 110M, 110Y, 110K)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1)에는 상측면에 제1 도어(102)가 마련되고, 좌측면에 제2 도어(107)가 마련된다. 상기 제2 도어(107)를 열고 전사벨트(130)를 지지하는 풀리(134)를 도어(102) 측으로 당기면, 전사벨트(130)가 횡으로 배열되며 현상기들(110C, 110M, 110Y, 110K)을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를 통해 토너가 소진된 현상기(110C, 110M, 110Y, 110K)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전사벨트(130)는 다수의 롤러들(131 내지 134)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순환 주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주사기(120)는 상기 4개의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에 대응하여 4개가 구비된다. 각 광주사기(120C, 120M, 120Y, 120K)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각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의 하우징(111) 내부에 장착된 감광매체(114)로 주사한다. 상기 광주사기(120C, 120M, 120Y, 120K)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각 현상기들(110C, 110M, 110Y, 110K)은 하우징(111) 내부에 감광매체인 감광드럼(114), 및 현상롤러(115)를 구비한다. 상기 감광매체(114)는 화상의 전사를 위해, 화상 인쇄시에 전사벨트(130)와 마주보는 외주면의 일부가 하우징(111)의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상기 현상기들(110C, 110M, 110Y, 110K)은 대전롤러(119)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대전롤러(119)에는 감광매체(114)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상기 현상롤러(115)는 그 외주에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매체(114)로 공급한다. 상기 현상롤러(115)에는 토너를 감광매체(114)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의 하우징(111) 내부에는 토너를 현상롤러(115)로 공급하는 공급롤러, 현상롤러(115)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닥터블레이드, 하우징(111)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상기 공급롤러 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 형태의 교반기가 더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10C, 110M, 110Y, 110K)는 광주사기(120C, 120M, 120Y, 120K)에 의하여 주사된 광이 감광매체(114)에 조사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112)를 구비한다.
4개의 전사롤러(135)는 전사벨트(130)를 사이에 두고 각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의 감광매체(114)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전사롤러(135)에는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칼라화상 형성 과정을 설명한다.
각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의 감광매체(114)는 대전롤러(119)에 인가된 대전바이어스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4개의 광주사기(120C, 120M, 120Y, 120K)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개구(112)를 통하여 각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의 감광매체(114)로 주사하며, 이에 의해 상기 감광매체(114)의 외주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롤러(115)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며, 이에 의해 토너가 현상롤러(115)에서 감광매체(114) 외주면으로 이동하여 각 현상기(110C, 110M, 110Y, 110K)의 감광매체(114) 외주면에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가시(可視)화상이 현상된다.
한편, 용지는 픽업롤러(123)에 의해 카세트(122)로부터 픽업되고, 이송롤러(125)에 의하여 전사벨트(130)로 인입된다. 상기 용지는 정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상기 전사벨트(130)의 표면에 부착되어 전사벨트(150)의 순환주행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된다.
전사벨트(130)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용지는, 가장 아래에 위치한 시안(C) 색상의 현상기(110C)의 감광매체(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시안(C) 색상의 가시화상의 선단이 전사롤러(135)와 대면된 전사닙(nip)으로 도달되는 시점에 맞추어 그 선단이 상기 전사닙(nip)에 도달된다. 이때, 전사롤러(135)에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면 감광매체(114)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용지로 전사된다. 계속하여 용지가 이송됨에 따라 다른 현상기(110M, 110Y, 110K)의 감광매체(114) 외주면에 형성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가시화상은 순차적으로 용지에 중첩 전사되어, 용지에 는 칼라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정착기(140)는 용지에 형성된 칼라가시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에 정착시킨다. 정착이 완료된 용지는 배지롤러(142)에 의하여 케이스(101)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의 제1 도어(102)는 인쇄 과정에서 잼(jam)되어 정착기에 걸린 용지를 제거하거나, 정착기(140)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 마련된 것이고, 제2 도어(107)는 현상기(110)와 전사벨트(130) 사이에서 잼되어 걸린 용지를 제거하거나, 전사벨트(130), 현상기(110), 혹은 광주사기(120)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도어들(102, 107)이 열려 있을 때 인쇄유닛이 작동하면 인쇄품질이 열악할 뿐 아니라, 안전 사고의 우려도 있으므로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 도어들(102, 107)이 열려 있을 때에는 인쇄유닛을 단전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인쇄유닛을 단전하는 수단은, 케이스(101) 내부에 마련된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 150)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50)를 가압할 수 있게 제1 도어(102)에 마련된 푸셔(pusher, 103)와, 상기 푸셔(103)를 가압하기 위하여 제2 도어(107)에 마련된 가압돌기(108)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스위치(150)는 컴퓨터의 리셋 스위치, 키보드 등에 사용되는 접점 빙식의 소형 스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50)의 레버(152)를 가압하면 내부의 접점이 접촉하여 인쇄유닛이 통전되고, 레버(152)의 가압을 해제하면 내부의 스프링(미도시)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접점이 떨어져 인쇄유닛이 단전된다.
상기 푸셔(103)는 제1 도어(102)의 단부에 힌지(104) 결합된 L자형의 부재로 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50)의 레버(152)를 가압하기 위한 돌출부(103a)를 구비한다. 상기 푸셔(103)는 제1 도어(102)를 닫았을 때 그 하단부가 제1 도어 판넬(102a)의 하단보다 약간 더 아래로 돌출된다. 상기 푸셔(103)는 스프링(105)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50)의 레버(152)를 가압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105)은 제1 도어 판넬(102a)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브라켓부(102b)와 푸셔(10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푸셔(103)를 탄성 가압한다.
상기 제2 도어(107)의 가압돌기(108)는 제2 도어 판넬(107a)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도어(102)를 닫고 제2 도어(107)를 닫으면 상기 가압돌기(108)가 푸셔(103)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어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은 제2 도어(107)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도어(102)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제1 도어 잠금수단을 구비한다. 제1 도어(102)의 푸셔(103)가 마이크로스위치(150)의 레버(152)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도어(107)에 앞서 제1 도어(102)를 열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50) 및 푸셔(103)에 충격이 가해져 파손 및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도어 잠금수단은 제2 도어 판넬(107a)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잠금돌기(109)와, 상기 제1 도어 판넬(102a)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브라켓부(102c)에 형성된 잠금돌기 수용홈(106)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도어(102)의 제1 브라켓부(102b, 도 2 및 도 3 참조)와 제2 브라켓부(102c)는 서로 다른 단면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제2 도어(107)의 가압돌기(108, 도 2 및 도 3 참조)와 잠금돌기(109)도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인쇄유닛을 단전하는 수단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 도어(102) 및 제2 도어(107)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도어(107)의 가압돌기(108)가 푸셔(103)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가압하고, 이렇게 가압된 상기 푸셔(103)는 그 돌출부(103a)가 마이크로스위치(150)의 레버(152)를 가압하여, 마이크로스위치(150) 내부의 접점이 접촉하게 되고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인쇄유닛이 통전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어(107)를 열면 가압돌기(108)가 푸셔(103)에서 이격되며 상기 푸셔(103)도 스프링(105)의 탄성력에 의해 더이상 마이크로스위치(150)의 레버(152)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스위치(150) 내부의 접점이 이격되어 인쇄유닛이 단전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제1 도어(102)를 열면 푸셔(103)가 마이크로스위치(150)와 멀어지게 되므로 당연히 인쇄유닛은 단전된다.
한편, 제1 도어(102)와 제2 도어(107)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어(107)의 잠금돌기(109)가 제1 도어(102)의 잠금돌기 수용홈(106)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돌기(109)에 제1 도어(102)의 제2 브라켓부(102c)가 걸려 상기 제1 도어(102)를 들어올릴 수 없으며, 제1 도어(102)는 열림이 방지되는 잠금상태가 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어(107)를 열 면 잠금돌기(109)가 잠금돌기 수용홈(106)을 벗어나 제1 도어(102)는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열림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스위치 만으로 인쇄유닛의 통전 및 단전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스위치의 소요 갯수를 줄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6)

  1. 개폐 가능한 제1 및 제2 도어가 마련된 외장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인쇄유닛을 통전 또는 단전하는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는 푸셔(pusher)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푸셔를 가압하고, 가압된 상기 푸셔가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여 상기 인쇄유닛이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이고,
    상기 푸셔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의 레버를 가압하면 인쇄유닛이 통전되고, 상기 푸셔의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가 탄성 복원되어 인쇄유닛이 단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제1 도어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는 돌출부를 구비한 L자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제1 도어 잠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잠금수단은 제2 도어에 마련된 잠금돌기와, 제1 도어에 마련된 상기 잠금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102219A 2004-12-07 2004-12-07 화상형성장치 KR100644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219A KR100644658B1 (ko) 2004-12-07 2004-12-07 화상형성장치
US11/234,271 US7369789B2 (en) 2004-12-07 2005-09-26 Door status switch operation mechanis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NB2005101184253A CN100440071C (zh) 2004-12-07 2005-10-28 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219A KR100644658B1 (ko) 2004-12-07 2004-12-07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131A true KR20060063131A (ko) 2006-06-12
KR100644658B1 KR100644658B1 (ko) 2006-11-10

Family

ID=3657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219A KR100644658B1 (ko) 2004-12-07 2004-12-07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69789B2 (ko)
KR (1) KR100644658B1 (ko)
CN (1) CN10044007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0157B2 (en) 2009-10-15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5222B2 (en) * 2004-01-28 2008-08-19 Xerox Corporation Image producing machine having a footprint-reducing tower
JP4908917B2 (ja) * 2006-05-15 2012-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扉開閉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225080B1 (ko) 2006-07-20 2013-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KR101525479B1 (ko) * 2008-08-19 2015-06-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11069933A (ja) * 2009-09-25 2011-04-0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857657B2 (ja) * 2011-11-16 2016-02-10 株式会社リコー 着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136828B2 (ja) * 2013-09-30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6935683B2 (ja) * 2017-04-12 2021-09-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93889B2 (ja) * 2018-01-26 2022-01-14 シャープ株式会社 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7854A (ja) * 1982-02-09 1983-08-16 Canon Inc 安全装置
DE68928766T2 (de) 1988-09-22 1999-03-25 Ge Plastics Japan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carbonaten
US5365315A (en) * 1993-07-29 1994-11-15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ing device with cartridge and lid interaction
KR19990024341A (ko) 1997-08-30 1999-04-06 양재신 자동차용 컴팩트 디스크 보관장치
JP2000021168A (ja) 1998-06-30 2000-01-21 Fujitsu Ltd 半導体メモリ及びこれを備えた半導体装置
KR100270178B1 (ko) 1998-07-30 2000-10-16 이한욱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KR100319097B1 (ko) * 1999-05-31 2002-01-04 김순택 칼라 음극선관용 칼라필터의 안료 분산 방법
JP2002187324A (ja) * 2000-10-11 2002-07-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開閉部スイッチ機構
JP2002258565A (ja) * 2001-03-06 2002-09-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074527A (ja) 2002-08-14 2004-03-11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カバーおよび該記録装置カバーを備えた記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0157B2 (en) 2009-10-15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40071C (zh) 2008-12-03
KR100644658B1 (ko) 2006-11-10
US20060120746A1 (en) 2006-06-08
CN1786849A (zh) 2006-06-14
US7369789B2 (en) 2008-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9789B2 (en) Door status switch operation mechanis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910692B1 (ko) 전자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이동 부재
KR100894955B1 (ko) 전자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
US7890012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a drum, a developing roller, and first and second frame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on which su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US7856192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969725B1 (ko)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20130223853A1 (en) Cartridge
US20100119254A1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301120A (ja) 画像形成装置
JP6590577B2 (ja) 画像形成装置
JP5241448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5093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movable cartridges mounted on tray
JP200601136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廃トナーボトル脱着方法
JP5721349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060051127A1 (en) Unit for screening photosensitive medium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0091667A (ja) 画像形成装置
US20060284966A1 (en) Apparatus for disconnecting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34312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01889B1 (ko)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20070098464A1 (en) Image transfer unit,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method
JP2019032533A (ja) 画像形成装置
US20060078350A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14785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