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826A - 드릴링 공구 - Google Patents

드릴링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826A
KR20060061826A KR1020067002844A KR20067002844A KR20060061826A KR 20060061826 A KR20060061826 A KR 20060061826A KR 1020067002844 A KR1020067002844 A KR 1020067002844A KR 20067002844 A KR20067002844 A KR 20067002844A KR 20060061826 A KR20060061826 A KR 20060061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ing tool
chucking
drill
drilling
drill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울리히 크렌저
헤르베르트 카우퍼
Original Assignee
케나메탈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나메탈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케나메탈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60061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2Adapters for drills or chucks; Tapered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6/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not comprising a metal
    • B23B2226/61Pla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yl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40/00Details of connections of tools or workpieces
    • B23B2240/08Brazed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2Connections between shanks and removable cut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4Overall form of drilling tools
    • B23B2251/247Drilling tools having a working portion at both ends of the sh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40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 B23B2251/406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of special form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26Se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 Y10T408/9095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with axially extending relief channel
    • Y10T408/9097Spira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전방 절단 에지(4, 5)를 갖는 제 1 드릴 비트(2) 그리고 적어도 2개의 후방 절단 에지(6, 7)를 갖는 제 2 드릴 비트(3)를 포함하는 드릴링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공구에서는, ㅇ각각 하나의 전방 절단 에지(4, 5)로부터 하나의 후방 절단 에지(6, 7)까지 연속으로 찌꺼기 홈(8, 9)이 연장되고, 상기 찌꺼기 홈은 상기 전방 드릴 비트(2)에 인접하는 영역(A)에서는 비대칭으로 형성되며, 중간 영역(B)에서는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드릴 비트(3)에 인접하는 영역(C)에서는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드릴링 공구 {DRILLING TOOL}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서로 마주 놓인 단부에 배치된 2개의 드릴 비트(drill bit)를 갖는 드릴링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드릴링 공구"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스텝 드릴(stepped drill) 또는 카운터 싱크 공구(countersink tool)와 같이 일정한 직경을 갖는 보어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드릴을 의미한다.
전술한 유형의 드릴링 공구는 예를 들어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제 1 752 616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중 팁(double-tipped) 드릴링 공구는 소수의 소형 로드로 세분되는 압출 가공 프로필로부터 제조된다. 상기 압출 가공 방법으로 인해, 드릴링 공구의 찌꺼기 홈(chip flute)은 자신의 길이에 걸쳐 불변하는 프로필을 갖는다.
특히 금속 가공을 위한 드릴링 공구는 대부분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한 절단 삽입부(cutting insert)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절단 삽입부가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 바디는 상기 절단 삽입부의 사용 기간 이상으로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교환 가능한 절단 삽입부를 갖는 드릴링 공구는 통상적으로 보다 큰 직경에 한정된다. 예를 들어 10 mm까지의 보다 작은 보어 직경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일체형의 드릴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재연삭(re-grind)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상기 드릴의 사용 기간은 교환 가능한 하나의 절단 삽입부 또는 교환 가능한 다수의 절단 삽입부를 갖는 드릴의 사용 기간보다 훨씬 더 짧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공구 직경이 10 mm까지인 경우에도 매우 긴 사용 기간을 가능케 하는 드릴링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드릴링 공구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공구는 각각의 단부에, 각각 적어도 2개의 절단 에지를 갖는 드릴 비트를 포함한다. 나선형 찌꺼기 홈은 하나의 드릴 비트에 있는 절단 에지로부터 계속해서 다른 드릴 비트에 있는 절단 에지까지 연장된다. 드릴 비트의 영역에서는, 드릴 비트당 절단 에지의 개수에 상응하는 적어도 2개의 찌꺼기 홈이 각각 자체적으로 비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각각의 찌꺼기 홈이 비대칭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찌꺼기 홈은 절삭에 유리하면서도 목적한 찌꺼기 형상을 갖는 절단 구조에 매우 잘 매칭될 수 있다. 찌꺼기 홈이 제 2 드릴 비트까지 계속 진행되면서 재차 바람직하게는 제 1 드릴 비트의 형상에 상응하는 비대칭의 형상을 취하기 위하여, 찌꺼기 홈의 비대칭 프로필은 늦어도 드릴링 공구의 중심까지 비대칭 프로필로 변형된다. 이와 달리, 제 2 드릴 비트의 구조는 또한 제 1 드릴 비트의 구조와도 다를 수 있고, 적어도 약간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때 각각의 경우에 각 찌꺼기 홈의 비대칭 프로필은 드릴 비트에 인접하는 영역에 제공되고, 대칭의 찌꺼기 홈 프로필은 그 사이에 있는 영역에 제공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간략히 드릴로서도 표기되는 드릴링 공구의 사용 기간은 단 하나의 드릴 비트를 갖는 종래의 드릴에 비해 두 배로 연장된다.
드릴링 공구가 하나의 통일된 제작 재료로부터 형성되는지 아니면 다수의 상이한 제작 재료로부터 형성되는지와 상관없이, 드릴링 공구는 바람직하게 분리를 목적으로, 말하자면 절단 삽입부를 인출할 목적으로 제공되지는 않는다. 드릴의 제작 재료로서는, 단 하나의 드릴 비트를 갖는 종래의 드릴에서 공지된 코팅을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모든 제작 재료 또는 제작 재료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드릴 비트가 별도의 공구 비트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드릴 비트가 예를 들어 납땜에 의해서 드릴링 공구의 베이스 바디와 바람직하게는 영구적으로 결합되며, 이 경우 공구 피크는 바람직하게 베이스 바디에 비해 더 단단한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찌꺼기 홈은 베이스 바디를 포함한 전체 드릴링 공구에 걸쳐서 연장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드릴링 공구는 냉각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냉각 채널은 각각 하나의 드릴 비트로부터 마주 놓인 드릴 비트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각각의 냉각 채널은 각각의 드릴 비트에서 각각 하나의 절단 에지에 할당되며, 이 경우 상기 냉각 채널의 유입 개구 및 배출 개구의 기능은 교환 가능하다.
드릴링 공구는 드릴 비트의 영역에서 예를 들어 유럽 공개 특허 출원서 제 0 249 104 A1호,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제 100 275 544 A1호 또는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제 199 55 172 A1호에 공지된 트위스트 드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유형의 트위스트 드릴은 특히 우수한 파이프 태핑(pipe tapping) 특성 및 긴 사용 기간에도 불구하고 이송 속도(feed rate)가 높을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드릴링 공구는 척킹 장치(chucking device)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6의 특징을 갖는 드릴링 장치를 형성한다. 상기 척킹 장치의 한 부분은 척킹 슬리브(chucking sleeve)이며, 상기 척킹 슬리브가 드릴의 찌꺼기 홈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칭되는 내부 모방 절삭부(internal profiling)를 가짐으로써 매우 정확한 고정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상기 척킹 슬리브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 횡단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찌꺼기 홈의 형상에 매칭된다. 그럼으로써, 연마시에 형성되는 찌꺼기가 척킹 슬리브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즉 척킹 슬리브 길이의 적어도 주요 부분에서 드릴링 공구의 구조에 매칭되는 상기 척킹 슬리브의 내부 모방 절삭부는, 드릴링 공구의 확실한 고정 작용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이와 같은 확실한 고정 작용은 그루우브를 갖지 않는 공구부의 샤프트에서 이루어지는 종래 드릴링 공구의 고정 작용과 비교될 수 있다.
콜릿(collet)의 팽창율이 경우에 따라 발생되는 드릴의 직경 점프 또는 직경 변환을 브리징 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경우에는, 청구항 6에 따른 실시예의 대안으로서 내부 모방 절삭부를 갖지 않는 종래의 콜릿도 드릴링 공구를 고정하기에 적합하다.
청구항 6에 따른 척킹 장치의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척킹 슬리브와 상호 작용하는, 특히 상기 척킹 슬리브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슬리브 위로 삽입되는 밀봉 플레이트가 제공되며, 상기 밀봉 플레이트에 의하여 냉각 윤활재에 대 한 밀봉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봉 플레이트는 후방 드릴 비트를 향하고 있는 척킹 슬리브의 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드릴링 공구 내부로 유입되는 냉각 윤활재는 척킹 슬리브 내부에 또는 드릴과 척킹 슬리브 사이에서 외부에 전혀 도달하지 않거나 또는 거의 전혀 도달하지 않게 된다. "후방 드릴 피크"라는 용어는 개별 작동 상태에서 절삭을 위해 제공되지 않은 드릴 비트를 의미한다. 상기 영역에 배치된 밀봉 플레이트는 더 나아가 상기 후방 드릴 비트를 위한 기계적인 보호부이며, 상기 후방 드릴 비트는 예를 들어 절삭 동작에서 나타나는 진동으로 인해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척킹 슬리브를 간단한 방식으로 종래의 척, 예컨대 유압식-팽창 척 내부에 삽입할 수 있기 위하여, 상기 척킹 슬리브는 바람직하게 일정한 외부 직경을 갖는다. 이 경우에 척킹 생크(chucking shank)로서도 표기되는 척킹 슬리브의 재료로서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같이 휘기 쉬운 다른 재료도 사용된다. 척킹 슬리브의 내부 표면은 바람직하게 상기 척킹 슬리브가 동시에 밀봉 플레이트의 기능까지도 충족하도록 형성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드릴은 척킹 생크 내부에 나사 결합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척킹 생크는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한 내부 모방 절삭부를 갖거나 또는 드릴링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블라인드 홀(blind hole)을 구비할 수 있다. 블라인드 홀이 형성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냉각 윤활재가 드릴링 공구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블라인드 홀 대신에, 냉각 윤활재를 축 방향으로 드릴에 공급할 때 통로가 될 수 있는 내부 직경이 작은 영역을 제공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점은 특히, 2개의 비트 및 연속하는 찌꺼기 홈을 갖는 드릴이 상기 드릴에 매칭되는 척킹 슬리브에 의하여 단 하나의 비트를 갖는 종래의 드릴과 유사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릴에 비해 최대 드릴링 깊이와 같은 사용 제약들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a, 도 1b 내지 도 5a, 도 5b는 2개의 드릴 비트를 갖는 드릴링 공구의 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이고,
도 6 및 도 7은 2개의 드릴 비트를 갖는 드릴링 공구의 추가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8a, 도 8b는 도 6에 따른 드릴링 공구의 다양한 횡단면이고,
도 9a, 도 9b는 2개의 드릴 비트 및 연속되는 찌꺼기 홈을 갖는 드릴링 공구용 척킹 슬리브의 개략도이며,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a, 도 9b에 따른 척킹 슬리브용 밀봉 플레이트의 개략도이고,
도 11a, 도 11b는 도 9a, 도 9b에 따른 척킹 슬리브 및 도 10a 내지 도 10c에 따른 밀봉 플레이트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2a, 도 12b는 팽창 척, 도 9a, 도 9b에 따른 척킹 슬리브, 도 10a 내지 도 10c에 따른 밀봉 플레이트 및 2개의 드릴 비트를 갖는 드릴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3은 고정된 상태의 드릴을 갖는 팽창 척의 개략도이며,
도 14a, 도 14b는 도 13에 따른 팽창 척 내부에 고정 가능한 플라스틱 생크의 개략도이고,
도 15a, 도 15b는 플라스틱 생크 내부에서의 드릴의 상이한 배열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6a, 도 16b는 플라스틱 생크 내에 있는 드릴의 대안적인 실시예이다.
서로 상응하거나 또는 동일하게 작용하는 부분들에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 내지 도 5a 및 도 5b는 2개의 드릴 비트(2, 3)를 갖는 드릴링 공구의 실시예를 각각 하나씩 보여준다. 각각의 드릴링 공구(1)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 1 드릴 비트(2)에 인접하는 제 1 영역(A), 상기 제 1 영역에 연결되는 중간 영역(B) 및 제 2 드릴 비트(3)에 연결되는 후방 영역(C)을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 내지 도 4a 및 도 4b에 따른 실시예에서, 중간 영역(B)에서의 축소된 직경(D2)은 공구 직경(D1)보다 작다. 따라서, 특히 도 2a 및 도 2b에 따른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한 세트의 다양한 공구들이 각각 상이한 공구 직경(D)을 가질 수 있으나 - 이 공구 직경은 어떤 경우에도 드릴링 공구(1)의 외부 영역(A, C)에 의해서 제공됨 - 동일하게 축소된 직경(D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트의 전체 공구들은 동일한 척킹 장치에 적합하다. 각 드릴링 공구(1)의 절단 에지들에는 도면 부호 (4), (5), (6), (7)이 제공되고, 해당 찌꺼기 홈에는 도면 부호 (8), (9)가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추가 로 각각 4개의 가이드 페이스(10)(guide face)가 제공된다. 도 5a 및 도 5b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냉각 채널(11)이 예로서만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 채널은 바람직하게 모든 다른 실시예에서도 존재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전체 드릴링 공구(1)에 걸쳐서 연장되는 찌꺼기 홈(8, 9)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드릴링 공구가 예를 들어 CVD(chemical vapour deposition; 화학 기상 증착)-방법으로 코팅된 경금속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반면,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코팅된 또는 코팅되지 않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진 2개의 드릴 비트(12, 13)가 드릴링 공구(1)의 중간 영역(B)을 형성하는 베이스 바디(14)와 영구적으로, 특히 상기 베이스 바디(14) 상에 납땜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에 따른 드릴링 공구(1)의 두 가지 상이한 횡단면을 보여준다. 최대 공구 직경(D1)의 영역에서는 드릴링 공구(1)가 도 8a에 도시된 상기 찌꺼기 홈(8, 9)의 비대칭 프로필을 가지며, 상기 비대칭 프로필은 절단 과정 및 찌꺼기 형성을 위해 가장 적합하다. 이때 각각의 찌꺼기 홈(8, 9)은 자체적으로 비대칭이며, 이 경우 제 1 찌꺼기 홈(8)의 형태는 제 2 찌꺼기 홈(9)의 형태에 상응한다. 그와 달리 직경(D2)이 축소된 영역에서 각 찌꺼기 홈(8, 9)의 횡단면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찌꺼기 홈(8, 9)이 전체적으로 드릴(1)의 외부 영역(A, C)에 비해 확장된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대칭이다. 그에 따라 찌꺼기 이송과 관련하여 최적화된 찌꺼기 홈(8, 9)은 전체 중간 영역(B) 안에서 일정한 횡단면을 갖는다. 각각의 찌꺼기 홈(8, 9)의 드릴 비트(2, 3) 쪽을 향하고 있고 자체 비대칭인 영역과 중간에 있고 대칭인 영역 사이에서의 변환은 물 흐르듯이, 즉 에지 없이 이루어진다.
도 9a 및 도 9b는 예를 들어 도 6 또는 도 7에 따른 드릴링 공구(1)에 적합한 척킹 슬리브(15)를 보여준다. 척킹 슬리브(15)는 실린더 바디(16) 및 커버(17)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찌꺼기 홈(8, 9)의 형태에 거의 매칭되는 개구 횡단면(18)을 갖는다. 상기 개구 횡단면(18)은 가이드 페이스(10)에 매칭되는 홈(19)을 가지며, 상기 홈은 도 9a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모방 절삭부(20)의 부분으로서 상기 실린더 바디(16) 내부로 연장된다.
도 10a 내지 도 10c에는 탄성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밀봉 플레이트(21)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밀봉 플레이트는 실린더 재킷(cylinder jacket) 형상의 에지 세그먼트(22) 그리고 상기 에지 세그먼트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찌꺼기 홈(8, 9)의 횡단면에 매칭되는 밀봉면(23)을 갖는다.
척킹 슬리브(15) 및 밀봉 플레이트(21)의 기능은 도 11a 및 도 11b 그리고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알 수 있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면, 드릴링 공구(1)는 척킹 슬리브(15)에 의해서 팽창 척(24) 내부에 고정되며, 밀봉 플레이트(21)가 절삭을 위해 제공된 드릴 피크(2)로부터 떨어져서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척킹 슬리브 내부로 삽입된다. 드릴링 공구(1)는 팽창 척(24) 내에서 축을 따라 상이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팽창 척은 기본적으로 다른 구조적 형상의 팽창 척, 예를 들어 드로-인 콜릿 척(draw-in collet chuck)으로 대체될 수 있 다. 일반적으로, 절삭 동작 중에 사용되는 절단 에지(4, 5)는 전방 절단 에지로서도 표기되고, 작동하지 않고 예비품으로서 제공된 드릴 비트(3)에 배치된 절단 에지(6, 7)는 후방 절단 에지로서 표기된다. 팽창 척(24) 내부에서 드릴링 공구(1)에 공급되는 냉각 윤활재는 밀봉 플레이트(21)로 인해 최대로 적은 부분만 찌꺼기 홈(8, 9)을 관류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볼 수 없는 냉각 채널(10)을 통과하여 드릴 비트(2)까지 가이드 된다.
도 13은 도 12b와 유사하게 도시된 범위 안에서 팽창 척(24) 내부에 고정된 이중 비트 드릴링 공구(1)를 보여준다. 그러나 도 12b에 따른 척킹 슬리브(15) 대신에 플라스틱 생크(25)가 사용된다. 상기 플라스틱 생크(25)는 도 14a 및 도 14b에서 다만 개략적인 측면도 또는 정면도로만 도시되어 있다. 정면도(도 14b)에서는, 상기 플라스틱 생크(25)의 횡단면이 기본적으로 밀봉 플레이트(21)의 횡단면(도 10a 내지 도 10c)과 동일하다는 것을, 다시 말해, 드릴(1)의 횡단면에 매칭되는 개구면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드릴(1)이 플라스틱 생크(25) 내부에 용이하게 회전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플라스틱 생크(25)가 상이한 직경의 드릴(1)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플라스틱 생크(25)의 길이의 절반 이상으로 연장되는 슬롯(26)이 축 방향으로 제공된다. 도 14a 및 도 14b에 따른 플라스틱 생크(25)는 30°의 찌꺼기 홈 선회각을 갖는 드릴링 공구(1)용으로 형성되었다. 특히 플라스틱 생크(25)가 다만 정확하게 규정된 드릴 직경용으로만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슬롯(26)이 불필요하다.
도 15a 및 도 15b에서는 플라스틱 생크(25)의 종단면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는, 이중 화살표에 의해서도 지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생크(25)가 드릴링 공구(1)의 양면 중에서 각각의 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드릴 비트(2)는 상기 플라스틱 생크(25)의 정면과 대략 거의 같은 높이에서 종료된다.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드릴은 생크 내부에서 임의로 축을 따라 위치 변동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a 및 도 15b와 유사하게, 플라스틱 생크(25a) 내부에 지지된 드릴링 공구(1)를 사시도로 보여준다. 도 13 내지 도 15b에 따른 플라스틱 생크(25)와 달리, 도 16a 및 도 16b에 따른 플라스틱 생크(25a)는 일정한 내부 직경을 갖지 않고 오히려 직경 협착부(27)를 갖는다. 드릴링 공구(1)가 플라스틱 생크(25a) 내부에 완전히 회전 삽입된 경우에는, 드릴 비트(2)가 주변 계단(28)에 인접하게 되고, 상기 주변 계단은 플라스틱 생크(25a)의 좁혀지지 않은 나머지 내벽(29)으로부터 상기 협착 세그먼트(27)를 분리시킨다. 그럼으로써, 도 13 내지 도 15b에 따른 실시예와 달리, 드릴 비트(2)는 플라스틱 생크(25)의 정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협착 세그먼트(27)는 드릴링 공구(1)에 냉각 윤활재를 공급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상기 협착 세그먼트는 필요에 따라 냉각 윤활재 채널을 형성한다. 냉각 윤활재의 공급이 의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플라스틱 생크(25a)가 상기 협착 세그먼트(27)의 장소에서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Claims (12)

  1. 제 1 드릴 비트(2) 및 적어도 2개의 전방 절단 에지(4, 5),
    제 2 드릴 비트(3) 및 적어도 2개의 후방 절단 에지(6, 7),
    하나의 전방 절단 에지(4, 5)로부터 하나의 후방 절단 에지(6, 7)로 진행하는 각각 하나의 찌꺼기 홈(8, 9)을 구비하는, 드릴링 공구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홈(8, 9)은 나선형이고, 상기 전방 드릴 비트(2)에 인접하는 영역(A)에서는 자체적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며, 중간 영역(B)에서는 자체적으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드릴 비트(3)에 인접하는 영역(C)에서는 자체적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홈(8, 9)이 상기 드릴 비트(2, 3)에 인접하는 영역(A, C)에서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비트(2, 3)가 각각 베이스 바디(14)와 연결된 공구 비트(12, 13)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절단 에지(4, 5, 6, 7)의 두 개의 드릴 비트(2, 3)에 할당된 냉각 채널(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B)에서는 공구 직경(D1)에 비해 축소된 직경(D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홈(8, 9)의 형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칭되는 내부 모방 절삭부(20)를 갖는 척킹 슬리브(15, 25, 25a)를 구비한 척킹 장치,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드릴링 공구를 포함하는, 드릴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 슬리브(15, 25, 25a)의 개구 횡단면(18)이 상기 찌꺼기 홈(8, 9)의 형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 슬리브(15)와 상호 작용하는 밀봉 플레이트(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 슬리브(25, 25a)가 일정한 외부 직경을 갖는 척킹 생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 슬리브(15, 25, 25a)가 축방향 슬롯(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 슬리브(15, 25, 25a)가 상이한 내부 직경을 갖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장치.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 슬리브(15, 25, 25a)가 드릴링 공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블라인드 홀(blind hol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장치.
KR1020067002844A 2003-08-13 2004-08-11 드릴링 공구 KR200600618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7203A DE10337203A1 (de) 2003-08-13 2003-08-13 Bohrwerkzeug
DE10337203.2 2003-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826A true KR20060061826A (ko) 2006-06-08

Family

ID=3420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844A KR20060061826A (ko) 2003-08-13 2004-08-11 드릴링 공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7364390B2 (ko)
EP (1) EP1654084B1 (ko)
JP (1) JP4824557B2 (ko)
KR (1) KR20060061826A (ko)
CN (1) CN100503104C (ko)
AT (1) ATE532593T1 (ko)
BR (1) BRPI0413557A (ko)
CA (1) CA2535358C (ko)
DE (1) DE10337203A1 (ko)
MX (1) MXPA06001693A (ko)
WO (1) WO20050188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6440A1 (de) * 2005-11-26 2007-05-31 Kennametal Inc. Spannvorrichtung
JP4869817B2 (ja) * 2006-07-28 2012-02-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摩擦撹拌接合装置
US7950880B2 (en) * 2006-10-18 2011-05-31 Kennametal Inc. Spiral flute tap
KR101067156B1 (ko) * 2009-12-07 2011-09-22 대구텍 유한회사 다기능 절삭 공구 및 그를 위한 공구 홀더
IL209924A0 (en) * 2010-12-12 2011-02-28 Iscar Ltd Fluted drill and indexable cutting head therefor
US8672592B2 (en) * 2012-05-16 2014-03-18 Iscar, Ltd. Milling collet having pull-out preventer for retaining a fluted milling tool
DE102013205363B4 (de) 2013-03-26 2022-01-05 Kennametal Inc. Werkzeugkopf sowie Verfahren zur Bearbeitung eines metallischen Werkstücks
EP2985099B1 (en) * 2013-04-10 2018-02-21 Daishowa Seiki Kabushiki Kaisha Hydraulic chuck
US10329863B2 (en) * 2013-08-06 2019-06-25 A&O Technologies LLC Automatic driller
CN104989305A (zh) * 2015-05-26 2015-10-21 成都高普石油工程技术有限公司 卡紧牢固的钻具卡紧件
CN107127376A (zh) * 2017-05-15 2017-09-05 海安国洋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小型钻头
JP6875518B2 (ja) * 2017-05-29 2021-05-26 京セラ株式会社 ドリル及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297A (en) * 1890-12-23 Drill or auger
US574077A (en) * 1896-12-29 Chuck
US260314A (en) * 1882-06-27 parks
US507598A (en) * 1893-10-31 Chuck
US1131991A (en) * 1914-05-16 1915-03-16 Frank E Bocorselski Rotary drill.
GB186935A (en) * 1921-10-06 1923-11-15 William Wilkinson Peter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utilisation of broken twist drills and like machine tools
FR564501A (fr) * 1923-03-30 1924-01-04 Foret hélicoïdal
US1987504A (en) * 1930-10-21 1935-01-08 Denz Joseph Tool holder
US1964030A (en) * 1931-08-26 1934-06-26 Abbott P Brush Drill
GB434383A (en) 1934-07-05 1935-08-30 Abbott Purdy Brush Improvements relating to hammer drills
FR959547A (ko) * 1947-01-13 1950-03-31
US2609209A (en) * 1948-09-23 1952-09-02 Perman Einar Chuck
US3136561A (en) * 1963-04-23 1964-06-09 Pratt & Whitney Co Inc Collet for fluted shankless tool
GB1172480A (en) * 1967-11-22 1969-12-03 Chronotechna Narodni Podnik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tools and a tool produced thereby
US3531810A (en) 1969-09-25 1970-10-06 Clarence J Fure Tapping tools
JPS5537191U (ko) * 1978-08-31 1980-03-10
DE2946103A1 (de) * 1979-11-15 1981-05-21 Rohde & Dörrenberg, 4000 Düsseldorf Werkzeug
US4412764A (en) 1980-11-10 1983-11-01 Wawrzyniak Walter W Double ended tap
JPS6150706A (ja) * 1984-08-15 1986-03-13 Hitachi Ltd ドリルの形状
ES2029456T3 (es) * 1986-06-07 1992-08-16 Hertel Aktiengesellschaft Werkzeuge + Hartstoffe Procedimiento para el afilado de una broca espiral.
JPS63306811A (ja) * 1987-06-05 1988-12-14 Mitsubishi Metal Corp ミニチユアドリル
US4902177A (en) 1988-10-27 1990-02-20 Terry K. Aitkens Rapid change tool cutter and driving system
DE9000245U1 (ko) 1990-01-11 1991-05-16 Wera-Werk Hermann Werner Gmbh & Co, 5600 Wuppertal, De
CN2095724U (zh) * 1990-10-22 1992-02-12 西安石油学院 不对称容屑槽麻花钻
DE69617692T2 (de) * 1995-07-27 2002-08-08 Ralph C Mays Bohr
JP2000508976A (ja) * 1996-05-02 2000-07-18 サンドビック アクティエボラーグ ドリル
SE507827C2 (sv) * 1996-05-02 1998-07-20 Sandvik Ab Borr
US5704745A (en) * 1996-09-04 1998-01-06 Credo Tool Company Chuck sleeve insert for a drill
US6000887A (en) * 1998-05-19 1999-12-14 Ingersoll Cutting Tool Company Stiff drill
JP2001121332A (ja) * 1999-10-25 2001-05-08 Nachi Fujikoshi Corp ツイストドリル
DE19955172A1 (de) * 1999-11-16 2001-05-23 Kennametal Inc Verfahren zum Schleifen einer Bohrspitze und Bohrerspitze
US6626614B2 (en) * 2000-07-14 2003-09-3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Throw-away cutting tool
CN2433036Y (zh) * 2000-07-28 2001-06-06 徐东 一种全磨制新型槽中心钻
DE20316350U1 (de) * 2003-09-25 2004-04-22 Schwegler Manfred Werkzeugfabrik Bohrwerkzeug und Spannhül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01719A (ja) 2007-02-01
DE10337203A1 (de) 2005-03-31
US20080170920A1 (en) 2008-07-17
CA2535358A1 (en) 2005-03-03
MXPA06001693A (es) 2006-05-19
CA2535358C (en) 2011-04-19
US7594784B2 (en) 2009-09-29
BRPI0413557A (pt) 2006-10-17
ATE532593T1 (de) 2011-11-15
US7364390B2 (en) 2008-04-29
CN100503104C (zh) 2009-06-24
WO2005018856A1 (de) 2005-03-03
EP1654084B1 (de) 2011-11-09
CN1835817A (zh) 2006-09-20
US20060198708A1 (en) 2006-09-07
JP4824557B2 (ja) 2011-11-30
EP1654084A1 (de)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4390B2 (en) Drilling tool
JP5205458B2 (ja) 機械工具用のドリル工具及びドリル工具の製造方法
US7476067B2 (en) Drill bit
US8550756B2 (en) Drill bit for drilling having at least two cutting edges, each with two cutting portions and a non-cutting portion between the two cutting portions
RU2401182C2 (ru) Станок для глубокого сверления
EP0876868B1 (en) Drill
US8142115B2 (en) Twist drill for drilling with a countersink cutting arrangement, and a cutting tool with a countersink cutting arrangement, and a cutting-chamfering tool
KR101473012B1 (ko) 칩 제거 기계가공을 위한 공구의 기본체
US7090447B2 (en) Twist drill for drilling with a countersink cutting arrangement, and a cutting tool with a countersink cutting arrangement, and a cutting-chamfering tool
US9421621B2 (en) Single-lip drill
KR20040039373A (ko) 드릴용 커팅포인트
JP2004509775A (ja) 除去加工機用工具および皿穴加工具
KR20110138356A (ko) 테이퍼된 핀을 구비한 팽창 가능한 다중-홈 리머
RU2753931C2 (ru) Корпус сверла и сверло
EP2216115A1 (en) Gun drill
US20120121351A1 (en) Deep hole drill
US8672332B2 (en) Combination of the chucking device and a drill and a chucking device for a drill with cutting tips on both ends
US6719072B2 (en) Suction drill unit for dowel anchorage in rock
EP3401043A1 (en) Drill body and drill
WO1996004091A1 (en) Self-chamfering drill bit
JP4400178B2 (ja) ドリル
SE468930B (sv) Borr med axiella spaankanaler i vilka haardlister aer foersaenkta
JP2004160625A (ja) 深穴切削具
JP2005262330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JP2006297577A (ja) タップ及び埋め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