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156B1 - 다기능 절삭 공구 및 그를 위한 공구 홀더 - Google Patents

다기능 절삭 공구 및 그를 위한 공구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156B1
KR101067156B1 KR1020090120524A KR20090120524A KR101067156B1 KR 101067156 B1 KR101067156 B1 KR 101067156B1 KR 1020090120524 A KR1020090120524 A KR 1020090120524A KR 20090120524 A KR20090120524 A KR 20090120524A KR 101067156 B1 KR101067156 B1 KR 101067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utting
housing
cutting too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085A (ko
Inventor
이철호
Original Assignee
대구텍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텍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대구텍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156B1/ko
Priority to US13/513,782 priority patent/US20120237305A1/en
Priority to EP09852101A priority patent/EP2509735A1/en
Priority to BR112012013684A priority patent/BR112012013684A2/pt
Priority to PCT/KR2009/007725 priority patent/WO2011071208A1/en
Priority to RU2012128555/02A priority patent/RU2012128555A/ru
Publication of KR2011006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07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for internal tu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02Drills with connected cutting heads, e.g. with non-exchangeable cutting heads; Drills with a single insert extending across the rotational axis and having at least two radially extending cutting edges in the working position
    • B23B51/0003Drills with connected cutting heads, e.g. with non-exchangeable cutting heads; Drills with a single insert extending across the rotational axis and having at least two radially extending cutting edges in the working position with exchangeable heads or inserts
    • B23B51/0004Drills with connected cutting heads, e.g. with non-exchangeable cutting heads; Drills with a single insert extending across the rotational axis and having at least two radially extending cutting edges in the working position with exchangeable heads or inserts with cutting heads or inserts attached by screw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4Angles, e.g. cutting angles
    • B23B2251/043Helix angles
    • B23B2251/046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4Overall form of drilling tools
    • B23B2251/247Drilling tools having a working portion at both ends of the sh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40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 B23B2251/408Spiral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10T407/23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with integral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94Tool-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절삭 공구는 제1 절삭헤드와, 제1 절삭헤드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절삭헤드와, 제1 절삭헤드와 제2 절삭헤드 사이에 형성된 생크와, 제1 절삭헤드에서 시작하여 생크를 거쳐 제2 절삭헤드까지 형성되는 칩 배출부를 포함한다. 제1 절삭헤드와 제2 절삭헤드는 다기능 절삭 공구의 중심축과 수직으로 교차하고 절삭 공구의 길이방향 중심을 지나는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 대칭이다. 절삭 가공시 절삭 공구와 공구 홀더의 결합부 중 가공 부하가 집중되는 부분에 칩 배출부가 위치하지 않도록 칩 배출부는 절삭 공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선 형상부를 포함한다.
다기능 절삭 공구, 공구 홀더, 칩 배출부, 나선 형상부

Description

다기능 절삭 공구 및 그를 위한 공구 홀더 {MULTI-FUNCTIONAL CUTTING TOOL AND TOOL HOLDER THEREFOR}
본 발명은 드릴링 가공, 보링 가공, 선삭 가공 등 다양한 가공이 가능한 다기능 절삭 공구 및 그러한 절삭 공구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공구 홀더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절삭 공구가 공구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공구(10)는 절삭 공구의 일단에 형성된 절삭 헤드(12)와 생크(14)로 구성된다. 절삭 헤드(12)에는 절삭을 수행하는 절삭날(16)이 형성된다. 생크(14)는 공구 홀더(20)의 결합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절삭 가공시 절삭날(16)로부터 칩이 발생한다. 칩이 피삭재나 공구 홀더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칩을 원활히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절삭 가공시 절삭날(16)에 가해지는 절삭력(F)으로 인해 절삭 공구(10)에 굽힘 모멘트가 가해진다. 굽힘 모멘트가 가해지면 절삭 공구(10)와 공구 홀더(20)의 결합부 중 특정 부분(30)에 가공 부하가 집중된다. 따라서, 절삭 공구(10)는 가공 부하가 집중되는 부분(30)에서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절삭 가공시 절삭 공구(10)에 상당량의 진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진동은 절삭 헤드(12)의 끝단으로부터 공구 홀더(20)와의 결합부까지의 거리, 즉 오버행(overhang) 길이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절삭 공구(10)의 진동이 커지면 공구의 수명이 단축됨은 물론 피삭재의 가공면 조도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절삭 가공시 발생하는 절삭 공구(10)의 진동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술 업계의 요구 사항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절삭 공구 및 공구 홀더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 업계의 요구 사항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절삭 공구 및 공구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단에 절삭 헤드를 구비한 절삭 공구로서 절삭 가공시 발생하는 칩을 원활히 배출할 수 있는 동시에 절삭 공구와 공구 홀더의 결합부에서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칩 배출부를 형성한 다기능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를 수용하는 공구 홀더로서 절삭 가공시 발생하는 칩을 외부로 원활히 배출할 수 있는 한편, 오버행 길이를 절삭 가공 깊이와 동일하도록 조절할 수 있어 절삭 공구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구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절삭 공구는 제1 절삭헤드와, 제1 절삭헤드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절삭헤드와, 제1 절삭헤드와 제2 절삭헤드 사이에 형성된 생크와, 제1 절삭헤드에서 시작하여 생크를 거쳐 제2 절삭헤드까지 형성되는 칩 배출부를 포함한다. 제1 절삭헤드와 제2 절삭헤드는 다기능 절삭 공구의 중심축과 수직으로 교차하고 절삭 공구의 길이방향 중심을 지나는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 대칭이다. 절삭 가공시 절삭 공구와 공구 홀더의 결합부 중 가공 부하가 집중되는 부분에 칩 배출부가 위치하지 않도록 칩 배출부는 절삭 공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선 형상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칩 배출부는 제1 절삭헤드로부터 제2 절삭헤드를 향하여 연장하며 절삭 공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나선 형상부와, 제2 절삭헤드로부터 제1 절삭헤드를 향하여 연장하며 절삭 공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 나선 형상부와, 제1 나선 형상부와 제2 나선 형상부 사이에서 절삭 공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 형상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생크는 외주 표면에 평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구 홀더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절삭 공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전방 단부로부터 하우징 내측으로 형성되어 다기능 절삭 공구를 수용하는 공구 구멍부와, 공구 구멍부의 일측과 하우징의 외면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절삭 공구가 공구 구멍부에 삽입될 때 절삭 공구의 칩 배출부가 개구부에 정렬되어 위치한다.
공구 홀더의 하우징은 후방 단부로부터 하우징 내측으로 형성되어 공구 구멍부와 연통하는 스토퍼 구멍부를 더 포함하고, 스토퍼 나사는 스토퍼 구멍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공구 홀더는 공구 구멍부와 스토퍼 구멍부의 경계에 걸쳐 위치하며 그 일단부는 절삭 공구와 접하고 다른 단부는 스토퍼 나사와 접하는 지지 어댑터를 더 포함한다. 공구 홀더는 하우징의 외면을 관통하여 공구 구멍부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 구멍을 포함한다. 고정용 나사가 나사 구멍에 체결되어 절삭 공구를 고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구 홀더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절삭 공구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을 수용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은 전방 단부로부터 제1 하우징 내측으로 형성되어 절삭 공구를 수용하는 공구 구멍부와, 공구 구멍부의 일측과 제1 하우징의 외면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절삭 공구가 공구 구멍부에 삽입될 때 절삭 공구의 칩 배출부가 개구부에 정렬되어 위치한다.
공구 홀더의 제1 하우징은 후방 단부로부터 제1 하우징 내측으로 형성되어 공구 구멍부와 연통하는 스토퍼 구멍부를 더 포함하고, 스토퍼 나사는 스토퍼 구멍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공구 홀더는 공구 구멍부와 스토퍼 구멍부의 경계에 걸쳐 위치하며 그 일단부는 절삭 공구와 접하고 다른 단부는 스토퍼 나사와 접하는 지지 어댑터를 더 포함한다. 공구 홀더는 제2 하우징의 외면과 제1 하우징의 외면 사이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 구멍을 포함한다. 고정용 나사는 나사 구멍에 체결되어 제1 하우징의 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을 가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에 절삭 헤드를 구비한 절삭 공구로서 절삭 가공시 발 생하는 칩을 원활히 배출할 수 있는 동시에 절삭 공구와 공구 홀더의 결합부에서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칩 배출부를 형성한 다기능 절삭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삭 공구를 수용하는 공구 홀더로서 절삭 가공시 발생하는 칩을 외부로 원활히 배출할 수 있는 동시에 오버행 길이를 절삭 가공 깊이와 동일하도록 조절하고 절삭 공구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구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절삭 공구 및 그러한 절삭 공구을 수용하고 고정하는 공구 홀더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절삭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공구(10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공구의 길이 방향으로 직경이 일정하다. 절삭 공구(100)는 양단에 절삭 삽입체 포켓(112, 122)이 구비된 절삭 헤드(110, 120)를 구비한다. 절삭 삽입체 포켓(112, 122)에는 절삭 삽입체가 장착되어 절삭날을 제공한다. 이와 달리, 절삭 삽입체 포켓 없이 절삭헤드에 바로 절삭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양 절삭 헤드(110, 120) 사이에는 생크(130)가 형성된다. 생크(130)의 외주 표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두 개의 평면(132, 134)이 형성된다. 칩 배출부(140)가 일단의 절삭 헤드(110)로부터 시작하여 생크(130)를 지나 타단의 절삭 헤드(120)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절삭 공구(100)는 공구의 중심축(X)과 수직으로 교차하며 절삭 공구의 길이방향 중심을 지나는 축(Y)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따 라서, 절삭 공구(100)는 일단의 절삭 헤드(110)를 사용하여 절삭 가공한 후 공구를 180도 회전시켜 타단의 절삭 헤드(120)를 사용하여 절삭 가공할 수 있다. 하나의 절삭 헤드만을 갖는 종래의 절삭 공구에 비하여 공구 수명을 두 배로 늘릴 수 있다.
도3은 도2의 절삭 공구를 Y축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 배출부(140)는 제1 나선 형상부(150), 직선 형상부(160) 및 제2 나선 형상부(170)를 포함한다. 제1 나선 형상부(150)는 제1 절삭 헤드(110)로부터 제2 절삭 헤드(120)를 향하여 연장하며 절삭 공구(100)의 중심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제2 나선 형상부(170)는 제2 절삭 헤드(120)로부터 제1 절삭 헤드(110)를 향하여 연장하며 절삭 공구(100)의 중심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직선 형상부(160)는 제1 나선 형상부(150)와 제2 나선 형상부(170) 사이에서 두 부분을 연결하며 절삭 공구(100)의 중심축(X)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한다. 이러한 형상의 칩 배출부(140)는 절삭 가공시 발생하는 칩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구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를 수용하고 있는 도4의 공구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에서 공구 홀더의 하우징만을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홀더(200)의 하우징(210)은 전방 단부(212)로부터 공구 홀더의 하우징(210) 내측으로 형성된 공구 구멍부(220)와, 후방 단부(214)로부터 공구 홀더의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형성된 스토퍼 구멍부(230)를 구비한다. 공구 구멍부(220)와 스토퍼 구멍부(230)는 서로 연통한다. 공구 구멍부(220)의 직경은 스토퍼 구멍부(230)의 직경보다 작다.
절삭 공구(100)의 일부는 공구 홀더 하우징(210)의 공구 구멍부(220)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공구 구멍부(220)의 일측은 개구부(222)를 통해 하우징(210)의 외면(216)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공구(100)가 공구 구멍부(220)에 삽입되었을 때 절삭 공구(100)의 칩 배출부(140)는 개구부(222)에 정렬되어 위치한다. 절삭 가공시 절삭 헤드(110)의 절삭날에서 발생한 칩은 칩 배출부(140)로 유입되고, 제1 나선 형상부(150)에서 방향이 틀어져 직선 형상부(160)로 유도된다. 그 후, 칩은 하우징(210)의 개구부(2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칩이 공구 홀더 내에 축적되어서 피삭재나 공구 홀더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방지된다.
공구 홀더 하우징(210)의 스토퍼 구멍부(230)에는 스토퍼 나사(240)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으로 고정된다. 절삭 공구(100)의 절삭 헤드(120)와 스토퍼 나사(240) 사이에는 지지 어댑터(250)가 위치한다. 지지 어댑터(250)는 공구 구멍부(220)와 스토퍼 구멍부(230)의 경계에 걸쳐 위치한다. 지지 어댑터(250) 없이 절삭 공구(100)의 절삭 헤드(120)가 직접 스토퍼 나사(240)와 접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지지 어댑터(250)를 사용하면 지지 어댑터(250)의 일단부는 절삭 공구(100)와 접하고 다른 단부는 스토퍼 나사(240)와 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절삭 공구(100)와 스토퍼 나사(240)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삭 공구의 절삭날이 스토퍼 나사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절삭날 또는 스토퍼 나사 지지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7은 지지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공구(100)의 절삭 헤드(120)와 접촉하는 지지 어댑터(250)의 전방면(252)은 경사면(254)을 포함한다. 전방면(252)의 일부인 경사면(254)만 절삭 헤드의 절삭날이 형성되지 않은 쪽의 비교적 평탄한 부분과 접하기 때문에, 어댑터(250)의 전방면(252)이 날카로운 절삭날 부분과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254)에서 절삭 헤드(120)와 맞닿기 때문에 경사면(254)의 경사로 인해 절삭 공구(100)의 회전이 방지되고 보다 안정되게 절삭 공구(100)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 나사(240)는 스토퍼 구멍부(230)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공구 홀더(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스토퍼 나사(240)를 이동시킴으로써 절삭 공구(100)가 공구 구멍부(220) 내로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 나사(24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절삭 가공 깊이와 거의 동일한 정도로 오버행의 길이를 최대한 줄이고 절삭 가공시 발생하는 절삭 공구(100)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홀더(200)의 하우징(210)은 하우징(210)의 외면을 관통하여 공구 구멍부(220)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 구멍(260)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용 나사(270)가 나사 구멍(260)을 통해 체결되어 절삭 공구(100)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절삭 공구(100)를 제 위치에 고정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나사(270)는 절삭 공구 생크(130)의 외주 표면에 형성된 평면(132)에서 맞닿기 때문에 미끄럼이 방지되고 절삭 공구(100)를 보다 견고 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의 절삭 공구가 공구 홀더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비교예의 절삭 공구(300)는 일단의 절삭 헤드(320)로부터 타단의 절삭 헤드(미도시됨)에 이르기까지 절삭 공구의 중심축에 평행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칩 배출부(330)를 구비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의 절삭 공구(300)에서는 절삭 가공시 절삭 공구(300)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로 인해 응력이 집중되는 절삭 공구(300)와 공구 홀더(310)의 결합부 중 가공 부하가 집중되는 부분(340)에 칩 배출부(330)가 위치하고 있다. 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100)는 칩 배출부(140)가 절삭 공구(100)의 중심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선 형상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절삭 공구(100)와 공구 홀더(200)의 결합부 중 가공 부하가 집중되는 부분(280)에 칩 배출부(140)가 위치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100)는 비교예의 절삭 공구(300)에 비해 절삭 공구와 공구 홀더의 결합부 중 가공 부하가 집중되는 부분에서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구 홀더의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구 홀더(4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구 홀더(200)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술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구 홀더(400)와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구 홀더(200)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공구 홀더(200)는 하나의 하우징(210)으로 형성된 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구 홀더(400)는 제1 하우징(410)과 제2 하우징(420)의 두 개의 하우징으로 형성된다. 도10은 공구 홀더(400)의 제1 하우징(410)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의 공구 홀더(200)에서는 나사 구멍(260)에 체결되는 고정용 나사(270)가 직접 절삭 공구(100)와 접촉하여 절삭 공구(100)를 고정한다. 반면, 제2 실시예의 공구 홀더(400)에서는 나사 구멍(460)이 제2 하우징(420)의 외면과 제1 하우징(410)의 외면 사이를 관통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구 홀더(400)는 총 5개의 나사 구멍(460)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 단부(412)로부터 위치하는 3개의 나사 구멍(460)에 체결되는 고정용 나사(470)는 제1 하우징(410)의 개구부(422)가 형성된 부분을 가압한다. 고정용 나사(470)에 의해 가압되어 제1 하우징(410)은 공구 구멍부(430)의 내경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변형되고 그로 인해 절삭 공구(100)가 제 위치에 고정된다. 나머지 2개의 나사 구멍(460)에 체결되는 고정용 나사(470)는 제1 하우징(410)을 가압하여 제2 하우징(420) 내에 제1 하우징(410)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실시예의 공구 홀더(400)에 따르면 절삭 공구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전방 단부(412)로부터 3개의 고정용 나사(470)만 결합을 풀면 된다. 직경이 다른 절삭 공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2 하우징 부분(420)은 그대로 두고 절삭 공구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 부분(410)만을 교체하면 된다. 따라서, 직경이 다른 절삭 공구를 사용할 때 마다 공구 홀더 전체를 다른 공구 홀더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절삭 공구가 공구 홀더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절삭 공구를 Y축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구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를 수용하고 있는 도4의 공구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에서 공구 홀더의 하우징만을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7은 지지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8은 비교예의 절삭 공구가 공구 홀더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구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공구 홀더의 제1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Claims (11)

  1. 제1 절삭헤드와,
    상기 제1 절삭헤드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절삭헤드와,
    상기 제1 절삭헤드와 상기 제2 절삭헤드 사이에 형성된 생크와,
    상기 제1 절삭헤드에서 시작하여 상기 생크를 거쳐 상기 제2 절삭헤드까지 형성되는 칩 배출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절삭 공구이며,
    상기 제1 절삭헤드와 상기 제2 절삭헤드는 다기능 절삭 공구의 중심축과 수직으로 교차하고 절삭 공구의 길이방향 중심을 지나는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 대칭이고,
    절삭 가공시 절삭 공구와 공구 홀더의 결합부 중 가공 부하가 집중되는 부분에 상기 칩 배출부가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칩 배출부는 절삭 공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선 형상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절삭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칩 배출부는 상기 제1 절삭헤드로부터 상기 제2 절삭헤드를 향하여 연장하며 절삭 공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나선 형상부와,
    상기 제2 절삭헤드로부터 상기 제1 절삭헤드를 향하여 연장하며 절삭 공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 나선 형상부와,
    상기 제1 나선 형상부와 상기 제2 나선 형상부 사이에서 절삭 공구의 중심축 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 형상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절삭 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는 외주 표면에 평면을 포함하는 다기능 절삭 공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기능 절삭 공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공구 홀더이며,
    상기 하우징은, 전방 단부로부터 하우징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기능 절삭 공구를 수용하는 공구 구멍부와, 상기 공구 구멍부의 일측과 하우징의 외면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 공구가 상기 공구 구멍부에 삽입될 때 상기 다기능 절삭 공구의 칩 배출부가 상기 개구부에 정렬되어 위치하는 공구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스토퍼 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후방 단부로부터 하우징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구 구멍부와 연통하는 스토퍼 구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나사는 상기 스토퍼 구멍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구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구멍부와 상기 스토퍼 구멍부의 경계에 걸쳐 위 치하며 그 일단부는 상기 절삭 공구와 접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스토퍼 나사와 접하는 지지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공구 홀더.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관통하여 공구 구멍부와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 구멍과,
    상기 나사 구멍에 체결되어 절삭 공구를 고정하는 고정용 나사를 더 포함하는 공구 홀더.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기능 절삭 공구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을 수용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공구 홀더이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전방 단부로부터 제1 하우징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기능 절삭 공구를 수용하는 공구 구멍부와, 상기 공구 구멍부의 일측과 제1 하우징의 외면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절삭 공구가 상기 공구 구멍부에 삽입될 때 상기 절삭 공구의 칩 배출부가 상기 개구부에 정렬되어 위치하는 공구 홀더.
  9. 제8항에 있어서, 스토퍼 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후방 단부로부터 제1 하우징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구 구멍부와 연통하는 스토퍼 구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나사는 상기 스토퍼 구멍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구 홀 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구멍부와 상기 스토퍼 구멍부의 경계에 걸쳐 위치하며 그 일단부는 상기 절삭 공구와 접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스토퍼 나사와 접하는 지지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공구 홀더.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면 사이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 구멍과,
    상기 나사 구멍에 체결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을 가압하는 고정용 나사를 더 포함하는 공구 홀더.
KR1020090120524A 2009-12-07 2009-12-07 다기능 절삭 공구 및 그를 위한 공구 홀더 KR101067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524A KR101067156B1 (ko) 2009-12-07 2009-12-07 다기능 절삭 공구 및 그를 위한 공구 홀더
US13/513,782 US20120237305A1 (en) 2009-12-07 2009-12-23 Multi-Functional Cutting Tool and Tool Holder Therefor
EP09852101A EP2509735A1 (en) 2009-12-07 2009-12-23 Multi-functional cutting tool and tool holder therefor
BR112012013684A BR112012013684A2 (pt) 2009-12-07 2009-12-23 ferramenta de corte multifuncional e suporte de ferramenta para mesma
PCT/KR2009/007725 WO2011071208A1 (en) 2009-12-07 2009-12-23 Multi-functional cutting tool and tool holder therefor
RU2012128555/02A RU2012128555A (ru) 2009-12-07 2009-12-23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и резцедержатель для него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524A KR101067156B1 (ko) 2009-12-07 2009-12-07 다기능 절삭 공구 및 그를 위한 공구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085A KR20110064085A (ko) 2011-06-15
KR101067156B1 true KR101067156B1 (ko) 2011-09-22

Family

ID=4414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524A KR101067156B1 (ko) 2009-12-07 2009-12-07 다기능 절삭 공구 및 그를 위한 공구 홀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37305A1 (ko)
EP (1) EP2509735A1 (ko)
KR (1) KR101067156B1 (ko)
BR (1) BR112012013684A2 (ko)
RU (1) RU2012128555A (ko)
WO (1) WO20110712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496B1 (ko) * 2009-08-26 2012-03-27 대구텍 유한회사 다기능 절삭 공구
US10166606B2 (en) * 2014-03-27 2019-01-01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JP6620939B2 (ja) * 2016-04-18 2019-12-18 株式会社NejiLaw 切削用工具
DE102019111843B4 (de) * 2019-05-07 2022-10-13 Daniel Brauchle Zerspanungswerkzeug
USD922844S1 (en) * 2019-12-26 2021-06-22 Wolf Tooth Components, LLC Tool sleeve
US20210197354A1 (en) 2019-12-26 2021-07-01 Wolf Tooth Components, LLC Multi-too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035B1 (ko) 1995-06-26 2004-02-14 발터 아게 금속재료천공을드릴공구
KR100556681B1 (ko) 2003-04-28 2006-03-07 대구텍 주식회사 다기능 절삭 가공용 툴홀더 조립체
US20080240874A1 (en) 2007-03-30 2008-10-02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Cutting inser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2132A (en) * 1927-03-11 1929-02-12 Joseph M Redinger Milling cutter
US2150189A (en) * 1938-01-17 1939-03-14 Ronneberg Erik Drill chuck for mine drilling machines
US2500387A (en) * 1945-06-20 1950-03-14 Apex Tool & Cutter Company Tool bit and holder therefor
US2533179A (en) * 1949-05-03 1950-12-05 Thurston Mfg Company Tool and holder therefor
US2673479A (en) * 1950-06-30 1954-03-30 Falk Corp Boring tool
US3410160A (en) * 1966-04-08 1968-11-12 Warner Swasey Co Adjustable boring bar
US3754767A (en) * 1971-09-23 1973-08-28 Genio Tools Interchangeable tool mounting device
US5049010A (en) * 1988-08-04 1991-09-17 Unibit Corporation Metal cutting tool
US20040057803A1 (en) * 2002-01-08 2004-03-25 Walrath Richard J. Rotary metal cutting tool
DE10337203A1 (de) * 2003-08-13 2005-03-31 Kennametal Inc. Bohrwerkze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035B1 (ko) 1995-06-26 2004-02-14 발터 아게 금속재료천공을드릴공구
KR100556681B1 (ko) 2003-04-28 2006-03-07 대구텍 주식회사 다기능 절삭 가공용 툴홀더 조립체
US20080240874A1 (en) 2007-03-30 2008-10-02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Cutting inse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085A (ko) 2011-06-15
US20120237305A1 (en) 2012-09-20
EP2509735A1 (en) 2012-10-17
BR112012013684A2 (pt) 2016-04-19
RU2012128555A (ru) 2014-01-20
WO2011071208A1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156B1 (ko) 다기능 절삭 공구 및 그를 위한 공구 홀더
US7780380B2 (en) Insert-indexable tool
KR100429963B1 (ko) 교환가능한어댑터를가진절삭공구조립체
US8021087B2 (en) Tool holder assembly for multifunction machine and adapter for the same
JP5451771B2 (ja) 切削工具クランプ機構
US7758286B2 (en) Insert-indexable tool
US20020015623A1 (en) Rotatable tool having a replaceable tip at the chip removing free end of the tool
KR101586521B1 (ko) 절삭 공구 및 절삭 공구용 절삭 인서트
EP1786583A2 (en) Toolholder and cutting insert for a toolholder assembly
US7862266B2 (en) Cutting tool for machining a hole
EP2316597B1 (en) Clamping member
KR20050048535A (ko) 기계가공 공구용 공구 헤드
US6447222B2 (en) Throwaway tip and holder for holding the same
JP2021504159A (ja) ワークピースを機械加工するための工具
JP2004261931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US8641334B2 (en) Insert
KR101462771B1 (ko) 절삭공구 조립체
JPH07171702A (ja) 金属切削用工具
JP2001328012A (ja) 切削工具
CN108856834B (zh) 切削工具
JP2008006538A (ja)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JP2007331081A (ja)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
JP2006007393A (ja) スローアウェイドリル
JP2010089236A (ja)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US11759867B2 (e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