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421A -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을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 - Google Patents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을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421A
KR20060061421A KR1020040100136A KR20040100136A KR20060061421A KR 20060061421 A KR20060061421 A KR 20060061421A KR 1020040100136 A KR1020040100136 A KR 1020040100136A KR 20040100136 A KR20040100136 A KR 20040100136A KR 20060061421 A KR20060061421 A KR 20060061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dicated
spaces
time
space
time di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3912B1 (ko
Inventor
조택연
Original Assignee
조택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택연 filed Critical 조택연
Priority to KR102004010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912B1/ko
Priority to US11/577,487 priority patent/US7974862B2/en
Priority to PCT/KR2005/003971 priority patent/WO2006059850A1/en
Priority to CNB2005800364596A priority patent/CN100465399C/zh
Priority to JP2007537810A priority patent/JP4741600B2/ja
Publication of KR2006006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912B1/ko
Priority to HK08103384.0A priority patent/HK1115617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킴으로써, 현대인의 특정 용도의 공간에 대한 욕구와 타인에 의하여 방해받기를 싫어하는 취향을 만족시키면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부를 가진 자가 이용할 수 있는 특정 용도의 공간을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정 거주자가 거주하고,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는 항시적 전용공간들; 복수의 항시적 전용공간들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되, 특정 거주자에 의하여 이용되는 동안에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는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복수의 항시적 전용공간들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되, 특정 거주자에 의하여 이용되는 동안에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고, 이동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들과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중의 임의의 두 공간을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 및 상기 항시적 전용공간들,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과 연결되어 있어서 이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들,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를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을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 {Intelligent building comprising time division exclusive roo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건축물의 항시적 전용공간들,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 및 서버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건축물의 층들 중 항시적 전용공간들이 배치되어 있는 층의 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건축물의 층들 중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이 배치되어 있는 층의 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특정의 항시적 전용공간에 거주하는 일 거주자가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중 임의의 시분할적 전용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건축물이란 건축한 구조물을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서, 그 용도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거용 건축물, 사무용 건축물, 공장용 건축물, 공연용 건축물 등이 있다.
이러한 건축물들을 살펴보면, 종래에는 건축물 내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고정적으로 정해져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각 거주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평소에 자주 사용(예를 들어 하루에 적어도 한번 사용)하지 않고 가끔 사용하는 공간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공간의 이용율은 매우 낮게 되어 전체적인 공간 활용도가 낮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서 현대인들의 특정 용도의 공간(예를 들어, 홈씨어터, 고급 욕실, 작업실, 등)에 대한 욕구가 예전보다 강해지면서도, 현대인들이 타인과 그 공간을 동시에 이용하기를 싫어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상당한 부를 소유한 자만이 그러한 특정 용도의 공간을 가질 수 있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킴으로써, 현대인의 특정 용도의 공간에 대한 욕구와 타인에 의하여 방해받기를 싫어하는 취향을 만족시키면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부를 가진 자가 이용할 수 있는 특정 용도의 공간을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도 형편에 따라, 현재 거주하고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필요한 공간을 확장하거나 불필요한 공간을 줄임으로써 수요 변화를 충족시키기 위한 이사의 필요성을 없애고, 또 거주자 자신에게 불필요한 공간을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건축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정 거주자가 거주하고,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는 항시적 전용공간들;
복수의 항시적 전용공간들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되, 특정 거주자에 의하여 이용되는 동안에는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는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복수의 항시적 전용공간들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되, 특정 거주자에 의하여 이용되는 동안에는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고, 이동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들과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중의 임의의 두 공간을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 및
상기 항시적 전용공간들,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과 연결되어 있어서 이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들,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를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건물은 주거를 주목적으로 하는 건축물, 예를 들어 아파트, 오피스텔, 주상복합건물 등인 경우가 많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한 거주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호텔 같은 준주거 건물이나 아파트형 공장 등 다양한 형태의 건물에도 본 발명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항시적 전용공간들 각각에는,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의 이용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1확인수단,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호출할 수 있는 제1호출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확인수단 및 호출수단은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각각에는, 그 시분할적 전용공간의 이용상태를 감지하는 제1이용상태감지수단, 다른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의 이용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2확인수단,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호출할 수 있는 제2호출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이용상태감지수단, 제2확인수단, 및 제2호출수단은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들 각각에는, 그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의 이용상태를 감지하는 제2이용상태감지수단,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의 이용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3확인수단, 및 특정 시분할적 전용공간이나 특정 항시적 전용공간으로의 이동을 지시할 수 있는 지시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이용상태감지수단, 제3확인수단, 및 지시수단은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능형 건축물 내에는 적어도 두 대의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들이 있으며, 그 중 적어도 두 대의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들은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들은 상기 서버의 제어에 따라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항시적 전용공간과 이에 인접한 시분할적 전용공간 사이에는 가변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변도어의 사용가능 여부는 상기 서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상은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전용 공간의 활용을 위한 것이지만, 공간 자체의 특성 상 특정 시점에 특정 거주자만이 사용하기가 곤란한 것들이 있다. 이를테면, 식당, 스카이라운지, 수영장 등을 위한 공간은 그 성격이나 비용 등을 고려할 때, 다수의 거주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도 큰 문제가 없고, 또 그렇게 하는 것이 건축물 운용 효율 상 바람직하다(이하 이러한 공간을 동시 이용 공간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동시 이용 공간을 다수의 거주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동시 이용 공간으로의 이동은 여전히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특정 거주자가 거주하고,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는 항시적 전용공간들;
다수의 거주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동시 이용 공간들;
복수의 항시적 전용공간들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되, 특정 거주자에 의하여 이용되는 동안에는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고, 이동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들과 동시 이용 공간들 중의 임의의 두 공간을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 및
상기 항시적 전용공간들, 동시 이용 공간들,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과 연 결되어 있어서 이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들, 동시 이용 공간들,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를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영장을 예로 들 경우, 거주자는 자신의 항시적 전용공간에서 수영장으로의 이동 시, 수영복 차림 그대로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통해 이동을 할 수 있고, 또 수영이 끝난 경우, 별도의 탈의실에서 옷을 갈아입거나 샤워실에서 샤워를 할 필요 없이, 수영복 차림 그대로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통해 자신의 항시적 전용공간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건축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건축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시적 전용공간들(S1, S2, ..., Sn),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1, R2, ..., Rn, Rn+1, ...,Rm, Rm+1...,Rl),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1, E2, ..., En), 및 서버를 구비한다.
항시적 전용공간(S1, S2, ..., Sn)이란, 특정 거주자(예를 들어, 가족으로 대표될 수 있는 거주자군을 포함한다)만이 이용가능하고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해 이용될 수 없는 공간으로서, 이는 종래의 통상적 아파트 건물에 있어서 한 가족에 의하여만 이용될 수 있는 하나의 거주공간에 대응된다.
시분할적 전용공간(R1, R2, ..., Rn, Rn+1, ...,Rm, Rm+1...,Rl)이란, 복수의 항시적 전용공간들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되, 특정 거주자 가 이용하는 동안에는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는 공간이다. 즉 시분할적 전용공간은 임의의 일 거주자에게 시분할적으로 독점될 수 있는 공간이다.
시분할적 전용공간은 예를 들어 홈씨어터, 고급 욕실, 작업실, 등과 같은 특정 용도를 위한 공간으로 꾸며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군의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1, R2, ..., Rn)은 홈씨어터로 꾸며질 수 있고, 제2군의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n+1, ...,Rm)은 고급 욕실로 꾸며질 수 있으며, 제3군의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m+1...,Rl)은 작업실로 꾸며질 수 있다.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1, E2, ..., En)이란, 복수의 항시적 전용공간들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되, 특정 거주자에 의하여 이용되는 동안에는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는 이동수단으로서, 그 이동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들과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중 임의의 두 공간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기가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으로서 이용될 수 있고, 승강기 중에서도 멀티 데크 승강기가 이용될 수 있다.
서버는 상기 항시적 전용공간들,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과 연결되어 있어서 이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들,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항시적 전용공간(S1, S2, ..., Sn)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들 각각에 는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1, R2, ..., Rn, Rn+1, ...,Rm, Rm+1...,Rl)의 이용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1확인수단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1, E2, ..., E8)을 호출할 수 있는 제1호출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확인수단 및 제1호출수단은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있다.
서버는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1, R2, ..., Rn, Rn+1, ...,Rm, Rm+1...,Rl)의 이용상태를 각각 감지하는 제1이용상태감지수단들로부터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의 이용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서, 특정 거주자가 이용할 수 있는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그 거주자의 요청에 따라서 또는 항시적으로 제1확인수단을 통해 그 거주자에게 전달한다. 거주자는 제1확인수단을 통해 전달된 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이 이용할 시분할적 전용공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의 시분할적 전용공간을 이용하기로 결정한 때에는 상기 제1호출수단을 통하여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호출할 수 있다.
제1확인수단과 제1호출수단은 공지된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항시적 전용공간과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이 만나는 영역(예를 들어,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의 일 예인 승강기의 호출버튼이 있는 부분)에 설치된 제1인터페이스패널(Sc)에 일체화되어 있을 수 있고, 이들의 기능은 홈네트워크(home network)에 의하여 연결된 가정용 전자기기(예를 들어, 텔레비젼 수상기)나 모바일 네트워크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시적 전용공간(S1, S2, ..., S5) 각각은 인접한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1, E2, ..., E8)과 연결될 수 있으나, 서버는 각 항시적 전용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각 항시적 전용공간에 인접한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의 문(예를 들어, 항시적 전용공간(S5)의 경우에는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7)의 X방향 문과,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의 -X방향 문)이 열리지 않도록 제어한다.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1, R2, ..., Rn, Rn+1, ...,Rm, Rm+1...,Rl)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들 각각에는 다른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의 이용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2확인수단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1, E2, ..., E8)을 호출할 수 있는 제2호출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확인수단 및 제2호출수단은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있다.
서버는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1, R2, ..., Rn, Rn+1, ...,Rm, Rm+1...,Rl)의 이용상태를 각각 감지하는 제1이용상태감지수단들로부터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의 이용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서, 특정의 시분할적 전용공간을 이용하고 있는 거주자에게 그가 이용할 수 있는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그 거주자의 요청에 따라서 또는 항시적으로 제2확인수단을 통해 전달한다. 거주자는 제2확인수단을 통해 전달된 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이 이용할 다른 시분할적 전용공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의 시분할적 전용공간을 이용하기로 결정한 때에는 제2호출수단을 통하여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호출할 수 있다.
제2확인수단과 제2호출수단은 공지된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시분할적 전용공간과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이 만나는 영역(예를 들어,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의 일 예인 승강기의 호출버튼이 있는 부분)에 설치된 제2인 터페이스패널(Rc)에 일체화되어 있을 수 있고, 모바일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1, R2, ..., Rl) 각각은 인접한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1, E2, ..., E8)과 연결될 수 있으나, 서버는 시분할적 전용공간을 이용하고 있는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시분할적 전용공간에 대응되는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의 문(예를 들어, 도 3의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의 경우에는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의 Y방향 문)이 열리지 않도록 제어한다.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들(E1, E2, ..., En)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들 각각에는 그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의 이용상태를 감지하는 제2이용상태감지수단,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의 이용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3확인수단, 및 특정 시분할적 전용공간 또는 특정 항시적 전용공간으로의 이동을 지시할 수 있는 지시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이용상태감지수단, 제3확인수단, 및 지시수단은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있다.
서버는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1, R2, ..., Rn, Rn+1, ...,Rm, Rm+1...,Rl)의 이용상태를 각각 감지하는 제1이용상태감지수단들로부터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의 이용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서, 특정의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거주자에게 그가 이용할 수 있는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그 거주자의 요청에 따라서 또는 항시적으로 제3확인수단을 통해 전달한다. 거주자는 제3확인수단을 통해 전달된 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이 이용할 시분할적 전용공간을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의 시분할적 전용공간을 이용하기로 결정한 때에는 지시수단을 이용하여 자신이 탑승하고 있는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의 이동을 지시할 수 있다.
제3확인수단과 지시수단은 공지된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승강기의 지시버튼들이 있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3인터페이스패널(Ec)에 일체화되어 있을 수도 있고, 모바일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이용상태감지수단과 제2이용상태감지수단에 채택될 수 있는 센서로는, 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각종 물리적, 전자기적 수단은 물론, 거주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거주자가 소지하는 RFID를 감지하는 센서 등이 채택될 수 있다.
한편, 항시적 전용공간들,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으로부터 상기 서버가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상황을 분석해 명령을 내리는 유비쿼터스 환경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거주자의 상황을 인식해 특정 시분할 전용공간 사용 의도를 이해한 서버는, 현재의 공간 상황들을 분석하여 가장 적절한 시분할 전용공간을 선택하고 시분할적 전용 이동수단의 운전을 대신해 할 수 있다.
지능형 건축물은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고, 동일한 지능형 건축물 내에 있는 항시적 전용공간들이 배치된 층들도 서로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건축물의 각 층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시적 전용공간들(S1, S2, S3, S4, S5)과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1, R2, ..., R7)이 있는 층,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11, R12, ..., R26)만이 있는 층, 및 항시적 전용 공간들만이 있는 층 중의 하나에 해당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서 각 종류의 층이 둘 이상 있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층에는 항시적 전용공간들(S1, S2, S3, S4, S5),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1, R2, ..., R7),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들(E1, E2, ..., E8)이 있다. 상기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들은 도면의 전방 (도 4에서의 Z방향) 또는 후방(도 4에서의 -Z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지만, 임의의 일 시점에 모두 도 2에 도시된 층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이는 도 3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그 밖에, 도 2에는 공용 이동수단(P1, P2), 공용 계단(ST), 및 공용 이동수단과 공용 계단과 항시적 전용공간들을 연결하는 복도(H)가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은 종래의 건축물에 이미 채택되어 있는 것들로서, 이들이 건축과 관련된 법률상 필요한 것일 수는 있으나, 이들이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필수적이지 아니하다. 예를 들어 승강기가 공용 이동수단으로서 채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지능형 건축물의 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거주자는 특정 시분할적 전용공간의 이용을 희망할 수도 있고, 특정 종류의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중 임의의 일 공간의 이용을 희망할 수도 있는데, 후술되는 시분할적 전용공간의 이용에 있어서는 특정 시분할적 전용공간의 이용을 희망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특정 거주자가 특정 종류의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중 임의의 일 공간의 이용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서버가 이용가능한 시분할적 전용공간을 지정해 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항시적 전용공간(S5)은 도 2에도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은 도 3에도 도시되어 있고, 도 4에 도시된 시분할적 전용공간(R122)은 상기 항시적 전용공간(S5)이 있는 층도 아니고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이 있는 층도 아닌 다른 층에 있는 시분할적 전용공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시분할적 전용공간(R22)에 대해 수직방향(Z방향 또는 -Z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공간이다.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은 예를 들어 홈씨어터로 꾸며져 있을 수 있고, 다른 시분할적 전용공간(R122)은 고급욕실로 꾸며져 있을 수 있다.
항시적 전용공간(S5)에 거주하는 거주자에 의하여 특정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이 호출되면, 서버는 그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에 구비된 제2이용상태감지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확인하고, 그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이 다른 사람에 의해 이용되고 있지 않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을 전술된 거주자의 이용에 제공한다.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이 전술된 거주자에 의하여 호출된 때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되고 있다면, 서버는 그 사람의 이용이 종료된 후에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을 항시적 전용공간(S5)에 거주하는 거주자에게 제공한다.
항시적 전용공간(S5)에 거주하는 거주자는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의 -X방향에 있는 문을 통하여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에 탑승한 후, 그 내부에 설치된 제3인터페이스패널(Ec)을 조작함으로써 이용가능한 특정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으로의 이동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에는 여러방향으로 문이 설치되어 있어서, 거주자가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으로 이동하는 때에는 Y방향의 문이 열리고, 시분할적 전용공간(R122)으로 이동하는 때에는 -X방향의 문이 열린다.
항시적 전용공간(S5)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항시적 전용공간(S5)로부터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S5)과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이 실질적으로 연결되는데, 이와 같은 연결은 특정의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과 연결가능한 임의의 항시적 전용공간과 임의의 시분할적 전용공간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항시적 전용공간(S5)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을 이용하는 동안에는, 서버가 제1이용상태감지수단을 통하여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이 이용되고 있음을 감지하고 있으므로, 다른 사람이 항시적 전용공간(S5)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는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으로 들어올 수 없도록 통제한다.
이 때, 다른 사람은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을 이용하고 있는 거주자에게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을 함께 이용할 것을 신청할 수도 있고,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을 이용하고 있는 거주자는 그 신청에 대하여 허락 또는 거부할 수 있다. 나아가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을 이용하고 있는 거주자는 그러한 신청을 받는 것을 거부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서버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그러한 신청이 있더라도 이를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을 이용하고 있는 거주자에게 알리지 않는다. 이러한 신청, 허락, 및 거부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각종 전자기기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전자기기들의 일부는 제1인터페이스패널(Sc), 제2인터페이스패널(Rc), 및 제3인터페이스패널(Ec)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을 이용하고 있는 거주자는 제2인터페이스패널(Rc)을 통하여 자신의 항시적 전용공간(S5)의 상태(예를 들어, 누군가가 복도(H)를 통해서 자신의 항시적 전용공간(S5)을 방문했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자신의 항시적 전용공간(S5)에 함께 거주하고 있는 자와 의사를 소통할 수도 있다.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을 이용하고 있는 거주자는 그 공간의 이용을 종료하고 자신의 항시적 전용공간(S5) 또는 다른 이용가능한 시분할적 전용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특정 공간으로의 이동이 결정되는 때에는 제2호출수단을 이용하여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을 호출하고 이에 탑승하여, 그 내부에 설치된 제3인터페이스패널(Ec)을 조작함으로써 그 이동을 지시한다.
위에서는 특정 항시적 전용공간과 특정 시분할적 전용공간 간의 이동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거주자의 이동은 항시적 전용공간들(S1, S2, ..., Sn) 상호 간에도 이루어 질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방문하고자 하는 항시적 전용공간의 거주자로부터 허락을 받아야 하고, 이는 전술된 시분할적 전용공간(R21)을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신청, 허락, 및 거부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시적 전용공간들(S1, S2, ..., S5)과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1, R2, ..., R7)이 동일한 층에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항시적 전용공간(S5)과 그에 인접한 시분할적 전용공간들(R5, R6)이 그 사이에 설치된 가변도어(D)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변도어(D)의 사용가능여부는 서버에 의해서 제어되는데, 원칙적으로 가변도어(D)는 그 사용이 불가능하여 공간들(R1, R2, ...R7)이 시분할적 전용공간으로서 이용되지만, 예를 들어 항시적 전용공간(S5)의 거주자가 시분할적 전용공간(R6)를 자신의 전용공간으로서 항시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능형 건축물의 관리단에 신청하여 그 이용을 허락받음으로써, 원래 시분할적 전용공간으로 이용되던 공간(R6)를 자신의 항시적 전용공간(S5)에 편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간(R6)이 항시적 전용공간(S5)에 편입되면, 상기 가변도어(D)는 서버에 의해서 사용가능상태에 놓이게 되고,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7)을 통하여 공간(R6)을 출입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통제된다. 이 경우 항시적 전용공간으로 편입된 시분할적 전용공간의 사용권은 전적으로 그 공간의 거주자의 소유이므로 그 공간에 영구적 변형(예를 들어 인테리어 리노베이션 등)을 가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가변도어(D)가 사용불가능상태에 있는 경우에 항시적 전용공간(S5)의 거주자가 시분할적 전용공간(R6)을 이용하고자 하는 때에는,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7)의 X측 문을 통해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7)에 들어가서,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7)을 이동시키지 않고 바로 Y측 문을 통해 내림으로써 시분할적 전용공간(R6)에 들어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건축물 내에는 적어도 두 대의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들이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들(E5, E6)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5)과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은 상기 서버의 제어에 따라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5)과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이 서로 연결된다는 것은, 이들이 모두 같은 층에 있는 상태에서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5)의 -X측 문과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의 X측 문이 모두 열림으로써,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5)에 탑승하고 있던 거주자가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그 역이 가능한 상태에 놓인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5)과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E6)이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S5)의 거주자가, 같은 층에 있지만 인접해 있지는 않은 시분할적 전용공간(R3)을 이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다른 층의 시분할적 전용공간(R19)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기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이 동시 이용 공간으로 대체될 경우, 다수의 거주자가 동시에 하나의 공간을 이용하지만, 그러한 공간으로의 이동은 여전히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동에 따른 복장이나 기타 상황에 있어서 프라이버시가 여전히 유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 만일 수평이동이 가능한 줄 없는(ropeless)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의 사용이 가능해지면, 건축물의 평면 구성은 더욱 유동적이 되고, 거주자의 공간 접근가능성도 더욱 높아져, 공간 효율이 한층 더 증대된다.
또한 원래 항시적 전용공간으로 설계된 공간도 필요에 따라서 시분할적 전용공간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거꾸로 원래 시분할적 전용공간으로 설계된 공간도 필요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으로 변경될 수 있는데, 이는 모두 지능형 건축물을 관리하는 관리단이 서버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변경을 통하여 항시적 전용공간들의 수와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의 수를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됨으로써, 현대인의 특정 용도의 공간에 대한 욕구와 타인에 의하여 방해받기를 싫어하는 취향을 만족시키면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부를 가진 자가 이용할 수 있는 특정 용도의 공간을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이 제공된다.
또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도 형편에 따라, 현재 거주하고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필요한 공간을 확장하거나 불필요한 공간을 줄임으로써 이사의 필요성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거주자 자신에게는 불필요한 공간을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특정 거주자가 거주하고,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는 항시적 전용공간들;
    복수의 항시적 전용공간들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되, 특정 거주자에 의하여 이용되는 동안에는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는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복수의 항시적 전용공간들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되, 특정 거주자에 의하여 이용되는 동안에는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고, 이동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들과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중의 임의의 두 공간을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 및
    상기 항시적 전용공간들,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과 연결되어 있어서 이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들,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를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시적 전용공간들 각각에는,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의 이용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1확인수단,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호출할 수 있는 제1호출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확인수단 및 제1호출수단은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건축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각각에는, 그 시분할적 전용공간의 이용상태를 감지하는 제1이용상태감지수단, 다른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의 이용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2확인수단,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호출할 수 있는 제2호출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이용상태감지수단, 제2확인수단, 및 제2호출수단은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건축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들 각각에는, 그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의 이용상태를 감지하는 제2이용상태감지수단,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의 이용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3확인수단, 및 특정 시분할적 전용공간이나 특정 항시적 전용공간으로의 이동을 지시할 수 있는 지시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이용상태감지수단, 제3확인수단, 및 지시수단은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건축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건축물 내에는 적어도 두 대의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들이 있으며, 그 중 적어도 두 대의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들은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들은 상기 서버의 제어에 따라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건축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항시적 전용공간과 이에 인접한 시분할적 전용공간 사이에는 가변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변도어의 사용가능 여부는 상기 서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건축물.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시적 전용공간들, 시분할적 전용공간들,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으로부터 상기 서버가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이 유비쿼터스 환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건축물.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간 수요의 변화를 수용할수 있도록, 상기 거주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시분할적 전용공간이 상기 항시적 전용공간으로 전용되거나 상기 항시적 전용공간이 상기 시분할적 전용공간으로 전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건축물.
  9. 특정 거주자가 거주하고,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는 항시적 전용공간들;
    다수의 거주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동시 이용 공간들;
    복수의 항시적 전용공간들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되, 특정 거주자에 의하여 이용되는 동안에는 그 거주자의 허락 없이는 다른 사람에 의하여 이용될 수 없고, 이동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들과 동시 이용 공간들 중의 임의의 두 공간을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 및
    상기 항시적 전용공간들, 동시 이용 공간들,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과 연결되어 있어서 이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항시적 전용공간들, 동시 이용 공간들, 및 시분할적 전용이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를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
KR1020040100136A 2004-12-02 2004-12-02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을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 KR100653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136A KR100653912B1 (ko) 2004-12-02 2004-12-02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을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
US11/577,487 US7974862B2 (en) 2004-12-02 2005-11-24 Intelligent building including time-share exclusive rooms
PCT/KR2005/003971 WO2006059850A1 (en) 2004-12-02 2005-11-24 Intelligent building including time-share exclusive rooms
CNB2005800364596A CN100465399C (zh) 2004-12-02 2005-11-24 具有分时段式专用空间的智能型建筑物
JP2007537810A JP4741600B2 (ja) 2004-12-02 2005-11-24 時分割的専用空間を具備した知能型建築物
HK08103384.0A HK1115617A1 (en) 2004-12-02 2008-03-26 Intelligent building including time-share exclusive roo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136A KR100653912B1 (ko) 2004-12-02 2004-12-02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을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421A true KR20060061421A (ko) 2006-06-08
KR100653912B1 KR100653912B1 (ko) 2006-12-05

Family

ID=3656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136A KR100653912B1 (ko) 2004-12-02 2004-12-02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을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74862B2 (ko)
JP (1) JP4741600B2 (ko)
KR (1) KR100653912B1 (ko)
CN (1) CN100465399C (ko)
HK (1) HK1115617A1 (ko)
WO (1) WO2006059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4997A1 (fr) * 2010-09-21 2012-03-23 Fabrice Jeannot Salle d'animation auto-geree, procede de gestion et de reservation de telles salles et utilisation de telles salles pour rehabiliter en partie des batiments anciens, notamment en centre-ville
CN102121319B (zh) * 2010-12-22 2013-02-13 云南巨和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院落式别墅
US11047145B2 (en) 2017-12-15 2021-06-29 Appotronics Corporation Limited Reconfigurable mobile shelter system and related management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2695A (en) * 1985-10-09 1989-08-01 Morris Ostrowiecki Elevator control system
JPS6413389A (en) * 1987-07-03 1989-01-18 Daiichi Home Kk Elevator for building
CA1336013C (en) * 1988-05-03 1995-06-20 Ran Kenet Guest room control
JPH07106839B2 (ja) * 1989-03-20 1995-1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JPH0455271A (ja) * 1990-06-22 1992-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共用エレベータの運転方式
US6308644B1 (en) * 1994-06-08 2001-10-30 William Diaz Fail-safe access control chamber security system
US5749443A (en) * 1995-05-12 1998-05-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ased security system
US5780789A (en) * 1995-07-21 1998-07-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Group managing system for elevator cars
JP2736315B2 (ja) * 1995-09-04 1998-04-02 株式会社相互住建 集合住宅
JP3108756B2 (ja) * 1996-06-12 2000-11-13 鹿島建設株式会社 建築物
JPH112033A (ja) * 1997-06-11 1999-01-06 Sekisui House Ltd 多世帯住宅
CN2311899Y (zh) * 1997-10-09 1999-03-24 上海邮电系统集成有限公司 用户信息智能化控制器
US5952626A (en) * 1998-07-07 1999-09-14 Otis Elevator Company Individual elevator call changing
IT1309717B1 (it) * 1999-03-04 2002-01-30 Alessandro Manneschi Procedimento di riconoscimento e cabina a porte interbloccate congestione automatizzata
AUPP940899A0 (en) 1999-03-23 1999-04-15 Time Developments Pty Ltd Interactive building module
US6209685B1 (en) * 1999-06-04 2001-04-03 Otis Elevator Company Selective, automatic elevator call registering system
US6405496B1 (en) * 2000-10-10 2002-06-18 Jerry W. Stewart Multi-story multiple dwelling complex with semi-private garage to apartment entry and exit pathways
US7061393B2 (en) * 2000-12-20 2006-06-13 Inncom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rvices and facilities in a multi-unit building
US7779586B2 (en) * 2002-02-22 2010-08-24 S&T Joint Venture Multistory apartment module with stairways to single corridor
KR20030086061A (ko) * 2002-05-03 2003-11-07 (주)대우건설 건강주택
US7170407B2 (en) * 2003-08-07 2007-01-30 Wagner Joerg 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t tracking and room monitoring in establishments having multiple rooms for temporary occupancy
US7191873B2 (en) * 2003-10-07 2007-03-20 Pavel V. Korchagi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CN1286001C (zh) * 2003-09-29 2006-11-22 天津市中环系统工程有限责任公司 智能家居控制系统
WO2005082764A1 (ja) * 2004-03-01 2005-09-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ーの監視用端末及びエレベーターの監視装置
JP2006031619A (ja) * 2004-07-21 2006-02-02 Toppan Forms Co Ltd 施設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8560A (zh) 2007-10-03
US7974862B2 (en) 2011-07-05
HK1115617A1 (en) 2008-12-05
CN100465399C (zh) 2009-03-04
WO2006059850A1 (en) 2006-06-08
JP2008518128A (ja) 2008-05-29
US20090049756A1 (en) 2009-02-26
KR100653912B1 (ko) 2006-12-05
JP4741600B2 (ja)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030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1803675B1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CN103237748B (zh) 电梯系统和电梯组群管理系统
JP2013513536A (ja) エレベータ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5740511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30374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7290811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H0455271A (ja) 共用エレベータの運転方式
JP2006251934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そ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を備える集合住宅
JP2009221002A (ja) エレベータ
KR100653912B1 (ko)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을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
WO2020022332A1 (ja) 遠隔制御装置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JP4776267B2 (ja) エレベーター遠隔制御システム
CN209906125U (zh) 一种多功能联动式电梯控制装置
JP6216233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2421230B1 (ko) 안면인식 공동현관 원패스 출입 및 엘리베이터 자동호출 시스템
KR101257729B1 (ko) 엘리베이터 사용자의 탑승 내역 추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JP2012091924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4426855B2 (ja) 集合住宅用防犯システム
JP7179675B2 (ja) 建物の施解錠制御システム
JP2014013956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60075151A (ko) 엘리베이터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14192A (ko) 공동 현관 시스템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장치
JP3493314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532102Y2 (ja) エレベーター自動誘導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