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6061A - 건강주택 - Google Patents

건강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6061A
KR20030086061A KR1020020024421A KR20020024421A KR20030086061A KR 20030086061 A KR20030086061 A KR 20030086061A KR 1020020024421 A KR1020020024421 A KR 1020020024421A KR 20020024421 A KR20020024421 A KR 20020024421A KR 20030086061 A KR20030086061 A KR 20030086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independent
zone
room
independe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국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020024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6061A/ko
Publication of KR20030086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06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주택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 모두를 포괄하는 건강성을 도모하는 주택으로서 일반인들의 건강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기능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장애인이나 환자들 같은 사회적 약자들의 삶을 정상적으로 가능하게 해주고 치유해 주는 기능을 지니고 있는 미래형 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남, 북측 발코니가 포함된 주택평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제1개인공간, 제1공동공간 및 위생관리공간이 포함되며, 가변형 내부벽으로 구분되는 제1독립공간구역; 제2공동공간 및 제2개인공간이 포함되며, 가변형 내부벽으로 구분되는 제2독립공간구역; 상기 제1독립공간구역과 제2독립공간구역을 구분하는 가변형 독립내부벽; 을 포함하며, 상기 제2독립공간구역이 병약자 또는 임차인과 같은 독립세대를 위한 공간(독립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주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강주택{health house}
본 발명은 건강주택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 모두를 포괄하는 건강성을 도모하는 주택으로서 일반인들의 건강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기능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장애인이나 환자들 같은 사회적 약자들의 삶을 정상적으로 가능하게 해주고 치유해 주는 기능을 지니고 있는 미래형 주택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현대주택의 발전은 기능 분리적 사고에 근거하여 이전 시대의 복합적 생활 행위들을 수용하던 세팅에서 가족들간의 일상 생활 공간이라 여겨질 만큼 제한된 기능공간으로 분화·발전해 왔다. 더욱이 한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지난 40년간 발전해온 우리의 주택은 소유와 편리성이라는 개념만이 강조되어 왔다. 즉,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현대 우리 사회와 더불어 새로운 현상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는 미래사회는 이러한 20세기 공간환경의 편성 방법과 기능에 일대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그렇게 예측할 수 있는 주요 현상들이 아래와 같이 우리 주변에 만연하게 확산되어 있다.
첫째, 질병 치유라는 과거 의료 환경의 주된 기능이 건강 관리와 증진의 개념으로 보다 확대해서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기존 병원에서만 수용 될 수 없게 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현대 도시 사회인이라면 누구나 건강을 우려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어 건강은 하나의 보편적 의제로서 어떠한 생활 세팅에서도 빠르게 중요한 국면으로 부상되고 또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다원적이며 절충적이고 복합문화적 양상으로 변해 가는 현대사회에서, 주택은 이제 더 이상 단순한 의식주 기능만이 아니라 복합적 생활 기능과 문화를 수용하는 환경으로 변해야 할 필요성에 직면해 있다는 점이다. 넷째, 급격히 발전하는 정보 통신 기술은 의료 정보의 효율적 교류와 상담 및 진료 서비스를 디지털 통로를 통해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멀티미디어의 대중화로 인해 소비자들은 역동적, 초시간 절약형 상호작용 문화에 익숙해져가고 있다는 점들이 바로 그것이다. 그렇다면 모든 생활인의 삶의 세팅이 되어온 주택의 성격이 건강 의제를 적극 수용하고 이를 위해 그 기능적 지원성이 다각도로 보완된다면 이것의 효과는 개개가족의 건강증진은 물론 복지사회를 구현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중요한 말초신경적 공간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들을 극복하고 수용하는 건강한 주택이 아직 실현되고 있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의 건강을 지켜주고 증진시켜주는 주택에서 살고자하는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하나의 차원으로서 건강의제에 기초한 일상생활의 복합문화공간으로 기능하는 미래형 주택이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건강 현상의 기본 전제 개념이자 현대인의 삶의 질을 가름하는 필수적 개념으로 확산되고 있는 건강을 주 의제로 삼아, 현대의 일반적 주택과 획을 그어 차별 화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형 주택으로서 건강지향형 주택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족간 부부나 청소년 영역을 특별히 구분하거나, 재택근무를 수용할 수 있고, 삼대 동거인 경우 고부간 생활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노인, 환자, 장애인들을 가족 및 사회적으로 고립하지 않게 하며 은연중 보호받게까지 하며 본인은 물론 가족친지와 사회에 불필요한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어 건전한 가족관계가 지속되도록 해줄 수 있는 사회적 건강성을 증진시키며, 노후 노인세대의 임대를 통한 생활비 확보로 심리적 안정성을 줄 수도 있으며 환자 발생 시 주택이 치유장소로서 쉽게 대처할 수 있으며, 지역의사, 간호사, 간병인, 가정부, 종교동료, 친척, 친지 등의 방문을 기존 동거가족의 생활 침해 없이 수용할 수 있어 부양가족의 육체적 피로와 갈등을 줄여 심리적 건강을 지켜주는 건강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택의 빛, 열, 공기환경이 질적으로 높게 유지됨으로서 생리적/신체적 건강뿐 아니라 심리적, 정서적 건강에도 이롭고, 노인, 장애자, 환자에게 주택 내에서도 외부공기를 마시며 움직일 수 있는 최대거리를 제공함으로서 신체적/생리적 건강에 이로우며, 일반가족에게도 박스형 밀폐된 주거에서 밖을 나갈 수 있다는 지각된 통제력을 제공하여 심리적 건강에도 도움이 되며, 주로 거의 모든 시간을 주택 내에서 보내게 되는 노인과 환자에게 특히 남쪽을 크게 할당하여 적절한 온도감을 유지시켜줌으로서 생리적 건강을 지원하며, 와상 노인환자, 휠체어 장애인 등도 집안에서 보다 쉽고 자연스럽게 조경을 접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지원하며, 특히, 치매노인에게는 안전한 배회의 동선을 제공하여 신선한 공기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건강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인, 장애자, 환자가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 움직이거나 이동보조기구, 휠체어 등을 사용하게 될 때 집안 발코니를 포함한 모든 공간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들을 위축시키지 않고 일상생활과 활동, 운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되게 하여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지원할 수 있는 건강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애인이나 노인 그리고 환자 발생 시 이들의 요구에 적절히 공간이 변형될 수 있게 되어 있고, 그 공간에서 일어나는 제반 활동과 행위를 수용하게 면적이 확보되어 있으며, 병이 악화되어 거동이 불편한 경우 환자의 편의는 물론 간병인의 피로감을 도와주기 위해 천장에 이동식 장치를 설치하여 중증환자의 간호까지도 수용하게 되어 있어 환자와 간병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지원하며, 높이를 이동 조절할 수 있는 침대, 세면대, 부엌 싱크, 책상을 채택하는 경우 환자, 노인, 장애인이 안전하고 편하게 일상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재활 기능을 높임으로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건강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주택이 각 독립공간구역으로 구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의 구체예이다.
도2a,도2b 및 도2c는 본 발명의 독립공간구역의 활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의 구체 예이다.
도3a,도3b,도3c,도3d,도3e,도3f,도3g,도3h,도3i,도3j,도3k,도3l 및 도3m은 본 발명의 제1공간구역, 제2공간구역의 구성 및 활용을 도시한 평면도의 구체 예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외부출입문의 설치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의 구체 예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주택 외부 및 내부의 이동통로를 구분하여 도시한 평면도의 구체 예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외부출입문 및 창호의 설치방향을 도시한 평면도의 구체 예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집중배치된 급, 배수설비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의 구체 예이다.
도8은 본 발명의 각 독립공간구역을 실제 아파트 평면도에 적용한 구체 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제1독립공간구역110:제1개인공간
120:제1공동공간130:위생관리공간
200:제2독립공간구역210:제2공동공간
220:제2개인공간 300:독립내부벽
400:내부출입문500:외부출입문
600:이동통로700:급,배수설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2개의 독립적 생활이 가능하도록 외부출입문, 조리실, 부엌, 욕실(화장실)이 두 구역에 각각 갖추어져 있고, 상기 2개의 구역에서 서로 교류하면서 살 수 있도록 개폐할 수 있는 내부출입문이 있으며, 주택내부 교류 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각 침실군이 공동공간을 가운데 놓고 분리되어 있는 2개의 독립공간구역으로 주택을 양분하고 있으며,
남, 북측 발코니에 면해 있는 모든 공간에 문이나 창이 있게 하되 중간방에서도 남향 쪽으로 열리도록 되어있어 주택의 모든 공간이 외부에 열려 있도록 하고, 주택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동선으로서 남, 북측 발코니의 2개 출입문을 연결하여 생기는 사각형 통로와 남측 발코니 문2개와 내부 복도를 연결하여 생기는 작은 사각형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남측과 북측구역은 30 : 70 비율로 할당하여 가로축을 기준으로 남쪽에는 주로 거하게 되는 생활공간을, 북쪽에는 작업이나 물품과 식품 보관을 위한 공간을 배치하고, 공동 영역인 경우 북쪽 조리실, 중간 식당, 남쪽 거실 순으로 그 높이가 낮아지게 위계 화되어 있으며,
공동공간과 개인공간의 내부 천장에는 보이지 않게 레일이 천장에 형성되어 있어 공간을 구획하는 스크린이나 간벽, 디지털 TV나 기구의 이동뿐 아니라 환자 발생 시 호이스트에 의하여 용이한 주택내부에서의 이동이 가능한 주택으로 구성된다.(예컨대 제2독립공간구역의 남쪽 제2개인공간(병약자거주침실), 제2공동공간, 위생관리공간, 제1공동공간을 경유하여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설치하여 병약자가 주택내부에서 특별한 도움 없이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1 내지 도8을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강주택은 남, 북측 발코니가 포함된 주택평면구조에서, 가로방향으로 제1개인공간, 제1공동공간 및 위생관리공간이 포함되며, 가변형 내부벽으로 구분되는 제1독립공간구역; 제2공동공간 및 제2개인공간이 포함되며, 가변형 내부벽으로 구분되는 제2독립공간구역; 상기 제1독립공간구역과 제2독립공간구역을 구분하는 가변형 독립내부벽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건강주택의 기술적 사상을 특징 지우는 독립공간구역, 독립내부벽, 외부출입문, 주 이동통로 및 보조이동통로, 창호/외부공간과의 연결 및 급, 배수설비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독립공간구역>
상기 독립공간구역은 도1a와 같이 크게 제1독립공간구역(100) 및 제2독립공간구역(200)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상기 2개의 독립공간구역은 한쪽은 크게, 다른 쪽은 작게 되어, 다른 크기의 요구가 있을 시 융통성 있게 선택,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독립공간구역은 독립적 생활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침실, 조리실, 식당, 욕실(화장실) 영역이 각각의 독립공간구역에 확보되어 있다. 이러한 구역의 분할은 도1b와 같이 개별단위구조로서 각 거주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도록 독립내부벽(300)이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공간적 확장과 변경은 가로방향으로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에 각 독립공간구역(100,200)에 거주하는 세대들은 독립적인 주택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고, 상기 독립내부벽은 시공 시 독립적으로 외부환경에 보호받을 수 있도록 방화벽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거주인의 내부교류를 위한 내부출입문(400)이 형성되며, 이는 완전 독립생활방식이 필요한 경우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1독립공간구역(100) 및 제2독립공간구역(200)을 이용하여 다양한 삶의 방식을 수용하는 주거상태의 구체 예를 도시한 것이 도2이다.
도2a는 핵가족 세대가 동거하는 경우, 제1독립공간구역(100) 및 제2독립공간구역을 부부구역 또는 청소년자녀구역으로 나누어 생활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며, 제2독립공간구역(200)은 프라이버시가 높은 가족구성원에게 할당되어 이용된다.
도2b는 2개의 생활구역으로 나누어 사용하되 사용목적상 제1독립공간구역(100) 및 제2독립공간구역(200)을 각각 재택근무구역, 노인세대구역, 소형가족(신혼세대)구역, 미혼성인자녀구역으로 나눌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각 구역이 제1 또는 제2 독립공간구역으로 할당되며, 내부출입문(400)을 통해 내적교류가 가능하다.
도2c는 2개의 생활구역을 완전한 독립구역으로 나누어 사용하되 사용목적상제1독립공간구역(100) 및 제2독립공간구역(200)을 각각 재택근무구역, 부모 및 기혼자녀세대구역, 비혈연 임대, 임차세대구역로 나눌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각 구역이 제1 또는 제2 독립공간구역으로 할당되며, 내부출입문(400)은 완전독립생활방식을 위해 폐쇄하거나, 필요에 따라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독립공간구역(100)은 도3a의 좌측과 같이 가로방향으로 연속하여 제1개인공간(110, 침실 및 욕실), 제1공동공간(120, 외부출입문/복도, 조리실/식당 및 거실) 및 위생관리공간(130, 다용도실 및 공동욕실)을 포함하며, 제2독립공간구역(200)은 제2공동공간(210, 외부출입문, 복도 및 조리실) 및 제2개인공간(220, 침실 및 욕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개인공간(110)은 특정세대의 적어도 남쪽과 북쪽에 각각 1개의 침실(111)과 욕실(112)이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침실을 가변형 벽체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하여 활용할 수 있는 데 이를 도시한 것이 도3b이다. 즉, 침실을 3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침실을 연장하여 하나의 침실이 더 크게 구성할 수도 있고, 공유되는 가족실로 중간실(113)을 구성할 수도 있고, 공유공간으로서 중간실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중간실은 별도 침실, 가족실, 옷방, 취미실, 서재, 남쪽침실과 통합되어 큰방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욕실(112)과 침실(111) 및 중간실(113)인 가족실과의 공간적 교류관계를 도시한 것이 도3c이다.
상기 제1공동공간(120)은 크게는 외부출입문(500)과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도(122), 조리실(123), 식당(124), 거실(12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천정에 매입된 레일을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이동식 파티션으로 조리실/식당간, 식당/거실간, 제1공동공간(120)과 제1개인공간(110)사이가 구분된다. 상기 이동식 파티션(굵은선처리된것)으로 복도, 조리실, 식당 및 거실의 이용형태를 도시한 것이 도3d이다. 즉, 조리실(123), 식당(124) 및 거실(125)은 그 크기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복도(122)는 제1개인공간(110)과 제1공동공간(120) 사이에서 양 공간의 완충적 역할을 하게 되며, 복도의 크기의 가변성을 도시한 것이 도3e이다. 즉 복도를 제1개인공간의 침실에 흡수시킬 수도 있으며, 제1공동공간의 거실에 흡수시킬 수도 있다.
상기 조리실(123)은 도3f와 같이, 좌측으로는 외부출입문인 현관과 연결된 복도, 우측으로는 조리실관련 다용도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위생관리공간(130)은 다용도실(131), 공동욕실(132) 및 세면, 세탁실을 포함하며, 상기 다용도실(131)은 조리실관련 다용도실 과 욕실관련 다용도실로 구분하여 서로 미닫이문으로 서로 연결되어 공간적 활용이 극대화되며, 욕실관련 다용도실을 부엌관련 다용도실과 구분하고 전자를 욕실에 연계시켜 위생공간문화를 승격시키는 전환점이 되게 하였다. 욕실구획의 크기를 넓히고 미적 부가가치를 증진시킴으로써 욕실공간의 부유함을 부각시켜 신분 상승감을 느끼게 된다. 상기 위생관리공간(130)의 다용도실 및 공동욕실을 포함하는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이 도3g이며, 위생관리공간(130)은 세로 일직선상에 위치시켜 남쪽과 북쪽의 상호 통하는공간을 형성하게 하여 통풍이 좋다. 특히 냄새, 습기 등이 생활구역으로 들어오지 않고 자체 해결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으며, 제1독립공간구역(100) 및 제2독립공간구역(200)의 독립적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하나의 완충적 역할(식당 및 거실 쪽 출입문을 닫으면 더욱 이러한 완충기능을 증대되며, 독립내부벽과 함께 제1,2 독립공간구역을 기능적으로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을 하게되며 이러한 위치적 기능을 도시한 것이 도3h이다.
상기 공동욕실(132)은 제2개인공간의 남쪽 침실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출입문이 도3i와 같이 형성되어 상호가 연계성이 확보되어 있다.
상기 제2독립공간구역(200)의 제2공동공간(210)은 제1독립공간구역(100)과 별도로 형성된 외부출입문과 역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도(211), 조리실/식당(212)을 포함한다.
상기 복도(211)의 추가적인 기능을 도시한 것이 도j 및 도k이다. 도j와 같이 복도는 조리실/식당의 일부를 통과하는 공간기능을 가지며, 도k와 같이 남쪽 복도는 제2개인공간의 남쪽침실의 연장공간기능을 가지며, 중간복도는 제2개인공간의 침실/거실영역으로 사용되어 공간의 효율성이 증대되며, 역시 제1독립공간구역의 복도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외부출입문과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주이통통로의 동선역할을 한다.
상기 조리실/식당(212)은 제1독립공간구역(100)과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 제2독립공간구역의 거주인의 공동적인 독립적인 취사 및 식사가 가능하다.
제2독립공간구역(200)의 제2개인공간(220)은 제1독립공간구역(100)과 별도로형성되어 다른 세대의 거주공간으로 기능하며, 상기 제2개인공간(220)은 특정세대의 적어도 남쪽과 북쪽에 각각 1개의 침실(221)과 욕실(222)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침실을 가변형 벽체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하여 활용할 수 있는 데 이를 도시한 것이 도3l이다.
상기 침실(221)도 역시 남쪽과 북쪽에 각각 침실/거실 공간을 두고 중간에는 옆과 남쪽으로 확대 될 수 있는 융통성 있는 공간이 가변형 벽체 등이 이용되어 형성되며, 중간공간은 공간사용상의 다양함을 제공하려는 의도로써 별도의 침실, 옷방, 식당 , 가족실, 취미실, 서재, 남쪽 침실과의 통합된 한 방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욕실(222)은 침실(221)에 따라, 그 위치, 개수 및 크기가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침실과의 출입관계를 도시한 것이 도3m이다. 즉 그 위치를 북, 남측 침실의 사이에 형성시키고 2개의 독립침실로 구성시켜, 좌측의 욕실(A)은 가로방향으로 왼쪽출입이 가능하고, 우측의 욕실(B)은 남쪽 침실로부터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시킬 수 있고, 나아가 좌측의 욕실은 오른쪽, 왼쪽 양방향으로 출입이 가능하고, 우측의 욕실은 남쪽 침실로부터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외부출입문>
본 발명의 외부출입문(500)은 상기 제1독립공간구역(100) 및 제2독립공간구역에 각각 별도로 설치된다. 이는 제1독립공간구역 과 제2독립공간구역의 거주인이 설사 동일한 주택에서 거주한다 할 지라도, 각각의 별도의 외부출입문을 통해주택안으로 출입이 가능하여, 한가구내에 독립된 2가구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개념이 형성될 수 있어, 양 구역의 거주인이 독립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도5와 같이 외부출입문(500)은 상술한 각각의 복도와 연결되어 세로로 일직선상으로 반대쪽 발코니 쪽에 형성되어 , 환기 및 주이동 통로의 역할을 하게된다. 도4는 외부출입문의 본 발명의 주택구조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인데, 본 발명의 출입문은 총 3개로써 1개는 주 출입문(510), 2개는 외부출입문(500)이다. 즉 하나의 큰 울타리에서 최대 2세대가 독립적 생활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그 2세대는 혈연관계가 될 수도 있고, 비 혈연관계(임차인 등)가 될 수도 있으며, 주 출입문(510)에서 2개의 외부출입문(500) 사이에 형성된 북측 발코니(530)는 경우에 따라서 1개 세대의 전용공간이 되거나,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이는 북측 발코니의 반대쪽에 형성된 남측 발코니(540)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상기 남측 발코니(540)는 2개의 외부출입문(500)과 연결되는 복도와 서로 별개의 외부출입문으로 연결된다.
<주 이동통로 및 보조이동통로>
본 발명의 주택내부의 이동통로(600)는 도5와 같이 크게 2가지로 형성된다. 즉 주이동 통로(610) 및 보조 이동통로(620)로 구성되며, 주로 복도기능으로 된 공간들의 이동/연결 통로로서, 상기 주 이동통로(610)는 북측, 남측 발코니(530,540)와 2개의 외부출입문, 제1독립공간구역 과 제2독립공간구역에 형성된 복도를 경유하여 연결된 사각형상의 이동통로이며,
보조 이동통로(620)는 상기 주 이동통로 안쪽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2독립공간구역의 내부출입문, 제1,2공동공간, 위생관리공간 및 남측 발코니를 경유하여 연결된 주택내부의 사각형상의 이동통로이다. 즉 상기 주이동 통로 및 보조 이동통로는 본 발명이 독립적인 2세대의 내부교류의 이동통로로서, 거주인인 어린 자녀에게는 공간적 탐색과 경험의 폭을 증진시키고, 청소년 가족에게는 생활의 자유를, 노인가족에게는 삶의 정서를, 치매노인에게는 배회의 기회를 제공하며, 즉, 제한된 주택 공간의 갇혀 있고 답답한 느낌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공간적 부유함과 삶의 역동성을 제공한다.
< 창호/외부공간과의 연결>
본 발명의 제1개인공간, 제1공동구간, 위생관리공간, 제2공동공간 및 제2개인공간은 모두 도6과 같이 가로방향에 면한 공간에 창문, 외부출입문이 형성되며, 중간에 놓여 있는 침실 등의 경우 남쪽 침실등에 연결 될 수 있게 함으로써 결국 모든 구획된 공간에서 자연광 및 환기가 용이하게 된다.
<급, 배수설비>
본 발명의 급, 배수 설비(700)는 양 독립공간구역에 필요로 하는 급수 및 배수의 설비를 전체구역상 설치의 경제적 효율성을 위해 십자형 공간 안에 집중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7과 같이 가로방향설비(710)로는 개인공간내 욕실, 공동공간내 조리실, 다용도실을 위해 일직선 형성하고 있으며, 세로방향설비(720)는 북측 발코니 물을 사용하는 공간, 조리실 부속다용도실, 욕실부속 다용도실, 공동욕실, 남측 발코니 물 쓰는 공간으로 연결되어 있어, 실제 시공시 통일된 급, 배수 설비의 설치로 인해 유지, 관리 및 보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8은 상술된 제1독립공간구역(100) 및 제2독립공간구역(200)을 구성하는 제1개인공간, 제1개인공간, 위생관리공간, 제2개인공간 및 제2개인공간을 외부출입문 및 북측과 남측 발코니를 결합하여 구체화시킨 아파트 평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평면구조는 아파트라는 주택에 적용된 것이나, 단독주택, 주상복합형태의 주택 등에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독립공간구역(100) 및 제2독립공간구역(200)을 구성하는 제1개인공간, 제1개인공간, 위생관리공간, 제2개인공간 및 제2개인공간의 크기는 주택을 제공하는 자 및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주택구조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사항을 부가, 변경, 구체화시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생리적, 정신적, 사회적 질병은 유전적으로나 외부환경으로만 생기는 것은 아니라 우리 일상 생활의 보이지 않는 수많은 차원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 영향력 있는 차원중의 하나가 바로 우리 삶이 이루어지고 있는 생활 세팅 즉, 행태적 장인 주거환경이다. 진정한 미래의 좋은 주택이란 화장술을 통해 겉으로 화려하고 아름답게만 보이는 주택이 아니라, 바로 현대인의 건강을 은연중 유지시켜 주며, 증진시켜 삶의 질을 높여 주고, 사고나 일상생활에서 장애 상황이 일어나지 않게 하여 정상적인 삶을 가능하게 해 주며, 심신을 치유하는 데에도 기여하는 주택이 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본 발명의 건강주택구조에 의한 주택의 제공은 거주인의 생리적, 정신적 및 사회적 건강을 유지, 치유 및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게되어, 사회의 말초신경적 인프라가 구체화된다.

Claims (11)

  1. 남, 북측 발코니가 포함된 주택평면구조에서, 가로방향으로
    제1개인공간, 제1공동공간 및 위생관리공간이 포함되며, 가변형 내부벽으로 구분되는 제1독립공간구역;
    제2공동공간 및 제2개인공간이 포함되며, 가변형 내부벽으로 구분되는 제2독립공간구역;
    상기 제1독립공간구역과 제2독립공간구역을 구분하는 가변형 독립내부벽;
    을 포함하며, 상기 제2독립공간구역이 병약자 또는 임차인과 같은 독립세대를 위한 공간(독립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주택.
  2. 제1항에서, 상기 독립내부벽에 별도의 내부출입문이 형성되어 제1독립공간구역 및 제2독립공간구역간 내부교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주택.
  3. 제1항에서, 상기 제1독립공간구역의
    제1개인공간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침실 및 욕실을 포함하고,
    제1공동공간은 외부출입문을 서로 연결하는 복도, 조리실, 식당 및 거실을 포함하고,
    위생관리공간은 공동욕실, 다용도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독립공간구역의
    제2개인공간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침실 및 욕실을 포함하고,
    제2공동공간은 외부출입문을 서로 연결하는 복도, 조리실, 식당을 포함하며,
    상기 위생관리공간은 제1독립공간구역 과 제2독립공간구역의 내적 교류를 제어시키는 내적 완충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주택.
  4. 제3항에서, 가로방향의 기준축을 기준으로,
    상부쪽에 상기 제1독립공간구역 및 제2독립공간구역의 복도 또는 조리실과 같은 보관공간인 제1공간부; 및
    하부쪽에 상기 제1독립공간구역 및 제2독립공간구역의 식당, 거실과 같은 생활공간인 제2공간부;
    가 적어도 3:7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주택.
  5. 제1항에서, 상기 제1독립공간구역 과 제2독립공간구역에 외부출입문이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각각의 독립공간 거주인이 독립적으로 출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주택.
  6. 제1항에서, 상기 제1독립공간구역 및 제2독립공간구역에는
    상기 외부출입문을 기준으로 주택외부공간, 외부출입문, 제1독립공간구역과 제2독립공간구역 및 상기 외부출입문 반대쪽에 형성된 주택외부공간을 경유하는 통로로 구성되는 사각형상의 주 이동통로; 및
    상기 주이동 통로의 안쪽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출입문을 기준으로 제1독립공간구역, 내부출입문, 제2독립공간구역 및 상기 외부출입문 반대쪽에 형성된 주택외부공간을 경유하는 통로로 구성되는 사각형상의 보조 이동통로;
    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주택.
  7. 제1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제2독립공간구역의 침실 및 보조이동통로의 천장에는 병약자용 레일 및 호스트가 형성되어, 주택내부를 용이하게 병약자가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주택.
  8. 제1항에서,
    상기 제1독립공간구역의 제1개인공간 및 제1공동공간은 가변형 벽체를 이용하여 각각의 크기가 조절되며, 위생관리공간의 다용도실은 욕실과 세면실용 다용도실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독립공간구역의 제2개인공간 및 제2공동공간도 가변형 벽체를 이용하여 각각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주택.
  9. 제1항에서, 상기 제1독립공간 및 제2독립공간의 제1개인공간, 제1공동구간, 위생관리공간, 제2공동구간 및 제2개인공간은 남북방향으로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창호 및 외부출입문에 의하여 남, 북방향으로 환기 및 자연광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주택.
  10. 제1항에서,
    제1독립공간구역의 제1개인공간 욕실, 제1공동공간의 조리실 및 상기 제2독립공간구역의 제2공동구간의 다용도실, 제2개인공간 욕실을 포함하여 경유하도록 벽체 및 바닥에 가로방향의 급, 배수시설 및
    북쪽 발코니, 제2독립공간구역의 위생관리공간의 공동욕실, 다용도실 및 남쪽 발코니를 포함하여 경유하도록 벽체 및 바닥에 세로방향의 급, 배수시설;
    이 십자형으로 집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주택.
  11. 제1항에서, 상기 제1독립공간구역의 제1공동공간의 조리실, 식당 및 거실의 천장 높이가 북쪽으로부터 남쪽으로 단계적으로 천장높이가 낮도록 형성하여 공간적인 위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주택.
KR1020020024421A 2002-05-03 2002-05-03 건강주택 KR20030086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421A KR20030086061A (ko) 2002-05-03 2002-05-03 건강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421A KR20030086061A (ko) 2002-05-03 2002-05-03 건강주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477U Division KR200285479Y1 (ko) 2002-05-02 2002-05-02 건강주택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061A true KR20030086061A (ko) 2003-11-07

Family

ID=3238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421A KR20030086061A (ko) 2002-05-03 2002-05-03 건강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60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912B1 (ko) * 2004-12-02 2006-12-05 조택연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을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
KR100797181B1 (ko) * 2005-05-23 2008-01-23 조택연 지능형 건물 및 건물의 공간 활용도 개선 방법
KR100831042B1 (ko) * 2007-06-18 2008-05-20 조택연 지능형 건물 및 건물의 공간 활용도 개선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912B1 (ko) * 2004-12-02 2006-12-05 조택연 시분할적 전용공간들을 구비한 지능형 건축물
KR100797181B1 (ko) * 2005-05-23 2008-01-23 조택연 지능형 건물 및 건물의 공간 활용도 개선 방법
KR100831042B1 (ko) * 2007-06-18 2008-05-20 조택연 지능형 건물 및 건물의 공간 활용도 개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ker et al. Psychiatric services and architecture
Emily Chmielewski et al. Excellence in design: Optimal living space for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ementias
JP2003138762A (ja) 被介護者室付き住宅
JP2015113616A (ja) 住宅
KR20030086061A (ko) 건강주택
KR200285479Y1 (ko) 건강주택구조
Danes Design for dementia care: a retrospective look at the woodside place model
Hwang Housing for the elderly in Taiwan
CN110593604A (zh) 三代居户型设计
CN115059327B (zh) 医疗建筑护理单元标准层和医疗建筑
Williams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alleviate relocation stress syndrome in resident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JP2002129759A (ja) 住 宅
Halsall et al. Case Study–Chris and Sally's House
JPH10169222A (ja) 病院等の個室的多床室
Wu Design principle about Chinese hospital with combination of medical care and pens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Cui Redesigning housing for older people in China
Przesmycka Contemporary Trends in the Design of Hospital Wards in the Context of Ergonomic Issues
Zhuan Research on Aging-friendly Home Space Design Based on Humanization
Qiao et al. Research on the Space Design Strategy of Pension Building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Barkley et al. Contemporary Designs for Long-Term Care (LTC) Facilities
JP2001073567A (ja) 建 物
Sohaimi et al. Exploring elderly-friendly affordable home for ageing in place
Benbow Are facility design standards short-changing LTC residents
Butler Hospitals
Bannister et al. Housing for older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