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0427A - 버섯 균사체 배양물 또는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버섯 균사체 배양물 또는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0427A
KR20060060427A KR1020040099491A KR20040099491A KR20060060427A KR 20060060427 A KR20060060427 A KR 20060060427A KR 1020040099491 A KR1020040099491 A KR 1020040099491A KR 20040099491 A KR20040099491 A KR 20040099491A KR 20060060427 A KR20060060427 A KR 20060060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culture
mycelium
extract
hang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옥
하영래
박철우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케이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케이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에이치케이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4009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0427A/ko
Publication of KR20060060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4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1/10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1/1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균사체 배양물 또는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로부터 제조되어 음주 후 혈중 알콜 농도를 감소시키고 숙취를 해소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대두, 대두박, 보리를 효소 분해한 후 황백당, MgSO4 및 KH2PO4를 첨가하여 제조한 액체 배지, 또는 대두, 대두박, 보리, 황백당, MgSO4 및 KH2PO4로 제조된 고체 배지에 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후 25∼35 ℃에서 배양하고, 배양물을 고압 가열 및 추출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숙취 해소 및 혈중 알콜 농도 감소용 조성물은, 음주후 혈중 알콜 농도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숙취 해소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음료나 식품, 및 각종 제형의 의약품으로 적절히 개발할 수 있다.
버섯 자실체, 버섯 균사체 배양물, 추출, 음주, 혈중 알콜 농도, 숙취

Description

버섯 균사체 배양물 또는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OBERING EFFECT CONTAINING EXTRACT OF MUSHROOM FRUIT BODY OR MUCHROOM MYCELIUM CULTURE PRODUCT}
본 발명은 버섯 균사체 배양물 또는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음주 후 혈중 알콜 농도를 감소시키고 숙취를 해소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련된다.
알콜은 뇌의 억제 중추를 마비하여 섭취시 외관상 흥분한 상태를 보여주게 되는데, 의식과 동작을 억제하고 수면 및 마취 효과가 있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현대인의 기호식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우리 나라의 음주문화는 경제성장과 함께 경제활동을 위한 사교에서도 큰 몫을 담당할 뿐 아니라, 현대사회로부터 오는 정신적 외로움을 달래는 문화 생활의 일부가 되고 있다.
그러나, 알콜에는 이와 같은 좋은 면만 있는 것이 아니어서, 알콜 섭취가 과다할 경우에는 중독증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으며, 뇌 등의 중추신경계 뿐 아니라 소화기관 및 간 등의 대사기관도 손상시킬 수 있어 개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음주로부터 비롯되는 교통사고 등의 위험은 개개인의 문 제를 떠나서 사회적 문제로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알콜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품이나 의약품 등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알콜 섭취 후 나타나는 숙취 증상은 알콜 자체가 나타내는 독성 때문일 수도 있지만, 알콜의 체내 대사 과정 중 생성되는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뇌, 간, 그리고 소화기관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현상이 대부분으로, 두통이나 속쓰림 등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숙취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약물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 이미 많은 제품들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약물이 혈중 알콜 농도를 감소시키는 여부에 대해서는 대부분 과학적으로 검정되지 않았거나 그 감소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용 제제로는 컨디션(제일제당), 아스파(대상), 솔표비지니스(조선무약), 여명808(그래미), 리셉션(미래바이오) 등이 있지만, 이들 중에서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에 대한 임상 실험을 거친 것은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그 일부조차도 상용량의 거의 5 배 정도를 복용해야만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러시아에서 오랫동안 알콜중독자 치료에 사용된 약제로 마일드로네이트(Mildronate)가 있는데, 이를 복용하면 술에 덜 취하는 느낌을 갖게 하며 술이 깬 후에는 두통이 거의 없다고 하지만, 혈중 알콜 농도를 낮추는 효과는 없다고 한다.
즉, 알콜 섭취 후에 나타나는 숙취 증상을 해소하고 혈중 알콜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제제는 아직까지 국내외에서 개발되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필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식용 및 약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버섯의 자실체나 균사체 배양물을 주재로 하여, 숙취해소에 탁월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음주 후 혈중 알콜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숙취 해소 및 혈중 알콜 농도 감소를 위한 조성물은, 버섯의 자실체 추출물 또는 버섯 균사체를 액체 또는 고체 배양한 배양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버섯은 느타리 버섯, 신령 버섯, 큰느타리 버섯, 송이 버섯, 팽이 버섯, 상황 버섯, 표고 버섯, 눈꽃 동충하초, 번데기 동충하초, 노루궁뎅이 버섯, 먹물 버섯, 잎새 버섯, 곰보 버섯, 구름 버섯, 영지 버섯, 맛 버섯 및 양송이 버섯의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현재까지 음주 후 숙취 해소라든가 혈중 알콜 농도 감소 등의 효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는 버섯 자실체나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느타리 버섯을 비롯한 몇 가지 버섯 균사체 배양물 또는 자실체의 추출물이 음주 후의 숙취 해소 및 혈중 알콜 농도 감소에 현저한 효능이 있는 것을 발견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식품 및 제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 및 혈중 알콜 농도 감소용 조성물 중에서 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은, 대두, 대두박 또는 보리의 분말에 프로테아제 및 셀룰라제를 처리한 후 황백당, MgSO4 및 KH2PO4를 첨가하여 액체 배지를 제조하고, 버섯 균사체를 액체 배지에 접종한 후 25∼35 ℃에서 진탕 또는 폭기하여 1∼7 일 동안 배양하고, 그리고 배양물을 고압 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은, 대두, 대두박 또는 보리의 분말에 황백당, MgSO4 및 KH2PO4를 녹인 수용액을 가하여 고체 배지를 제조하고, 버섯 균사체를 고체 배지에 접종한 후 25∼35 ℃에서 3∼30 일 동안 정치 배양하고, 그리고 배양물을 고압 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버섯 자실체 추출물은, 버섯 자실체에 약 1∼5 배 중량의 물을 가하고 약 1∼5 시간 동안 고압 가열하여 추출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버섯 균사체 배양물이나 자실체의 추출물은 버섯의 종류, 추출액의 양 및 추출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통상적으로 버섯 균사체 배양물에서는 1000 g에 대하여 총 고형물의 양이 약 12∼50 g 얻어지고 (수득률 1.2∼5.0 %), 버섯 자실체에서는 1000 g에 대하여 총 고형물의 양으로 약 12∼50 g 얻어진다 (수득률 1.2∼5.0 %).
이와 같이 제조된 버섯 균사체 배양물 또는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은 통상의 부형제를 혼합하여 정제, 캅셀제, 액제 등의 경구용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 및 혈중 알콜 농도 감소용 조성물은 고형물의 양을 기준으로 1 일 10∼1000 ㎎/㎏, 바람직하게는 40∼80 ㎎/㎏의 양을 2∼3 회로 나누어 복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버섯 균사체 배양물 또는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실시예, 그리고 이의 숙취 해소 및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에 대한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실시예는 반복 실시하여 그 결과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 제조
(1) 버섯 균주: 느타리 버섯(Pleurotus ostreatus: PO), 신령 버섯(Agaricus blazai: AB), 큰느타리 버섯(Bleurotus eryngii: BE), 송이 버섯(Tricholoma matsutake: TM), 팽이 버섯(Flammulina velutipes: FV), 상황 버섯(Phellinus linteus: PL), 표고 버섯(Lentinus edodes: LE),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PJ), 번데기 동충하초(Cordiceps militaries: CM), 노루궁뎅이 버섯(Hericium erinace: HE), 먹물 버섯(Coprinus comatus: CC), 잎새 버섯(Grifola frondosa: GF), 곰보 버섯(Morchella esculenta: ME), 구름 버섯(Coriolus versicolor: CV), 영지 버섯(Ganoderma lucidum: GL), 맛 버섯(Pholiota nameko: PN), 및 양송이 버섯(Agaricus bisporus: AB).
(2) 배지 제조
① 액체 배지: 대두(40 g), 대두박(40 g) 및 보리(40 g)를 물에 불려 믹서로 충분히 마쇄시킨 후 프로테아제(10 g) 및 셀룰라제(10 g)를 첨가하여 60 ℃, 200 rpm에서 1∼5 시간 처리하여 효소 분해시켰다. 여기에 황백당(220 g), MgSO4(10 g) 및 KH2PO4(10 g)를 첨가하고 증류수를 가하여 1 ℓ로 하였다. 이것을 고압 멸균(121 ℃, 1 시간)하여 기본 액체 배지로 사용하였다.
② 고체 배지: 황백당(220 g), MgSO4(10 g) 및 KH2PO4(10 g)을 물(1 ℓ)에 녹인 수용액을 대두, 대두박 및 보리의 혼합물(1:1:1)에 중량비로 30 % 가한 다음 고압 멸균하여 고체 배지로 사용하였다.
(3) 배양
① 액체 배지에 각 버섯의 균사체를 접종한 후 25∼35 ℃에서 진탕 또는 폭기하여 1∼7 일 동안 배양하였다.
② 고체 배지에 각 버섯의 균사체를 접종한 후 25∼35 ℃에서 3∼30 일 동안 정치 배양하였다.
(4) 추출물 제조
각 버섯의 균사체 배양물을 단일 또는 혼합물로 하여 121 ℃에서 1 시간 동안 고압 가열하여 추출한 후 여과한 여액을, 고형물 함량이 1.2 g/100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2.버섯 자실체의 추출물 제조
느타리 버섯, 신령 버섯, 큰느타리 버섯, 송이 버섯, 팽이 버섯, 상황 버섯, 표고 버섯, 눈꽃 동충하초, 번데기 동충하초, 노루궁뎅이 버섯, 먹물 버섯, 잎새 버섯, 곰보 버섯, 구름 버섯, 영지 버섯, 맛 버섯 및 양송이 버섯 각각의 자실체 4 kg에 물 4 ℓ를 가하고 121 ℃에서 1 시간 동안 고압 가열하여 추출한 것을 고형물 함량이 1.2 g/100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3.버섯 균사체 배양물 및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 분말의 제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추출물 100 ㎖에 유당 100 g을 혼합하고 건조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4.버섯 균사체 배양물 및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 정제 및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3에서 얻은 분말을 가지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및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5.버섯 균사체 배양물 및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 농축액 제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로 Brix가 최대 50까지 농축하여 제조하였다.
효과 시험예
혈액 시료 중 알콜 농도 측정
EDTA로 처리한 전혈에 함유되어 있는 알콜 함량을 시그마(Sigma)에서 구입한 키트(#332-UV)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전혈 0.2 ㎖에 1.8 ㎖의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첨가하여 서서히 섞은 직후 완전히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5 분 동안 방치한 후, 2,000 rpm에서 5 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10 ㎕의 상등액과 3 ㎖의 NAD+-ADH 용액을 조심스럽게 혼합하고 실온에서 10 분간 방치한 후 색의 변화를 파장 340 ㎚에서의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이 때 혈액의 알콜 농도는 표준 용액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1.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의 생쥐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체중 약 30±1.0 g인 생쥐를 무작위추출법에 의해 5 마리씩 14 군으로 나누고, 각 군의 생쥐 5 마리에 40 % 에탄올 0.2 ㎖씩을 10 분 간격으로 2 회 경구 투여하였다. 알콜 투여후 10 분이 경과하였을 때,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각 종류 의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 0.2 ㎖(고형물 함량 2.4 ㎎)씩을 10 분 간격으로 2 회 경구투여 하였다.
처음 알콜을 투여한 시점을 기준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생쥐의 행동을 관찰하였다. 또한, 버섯 추출물을 2 차로 투여하고 1 시간 경과한 후 심장으로부터 EDTA가 함유된 배큐테이너(vacutainer)에 혈액을 채취하여 위 방법에 따라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였다.
다음 표 1은 버섯의 각 종류별로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고형물 함량 1.2 g/100 ㎖)을 투여한(0.2 ㎖×2 회) 생쥐에서, 투여 1 시간 후의 혈중 알콜 농도 감소 결과를 각 버섯의 종류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면, 느타리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POML)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53.5 %의 혈중 알콜 농도 감소를 보여 그 효과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처리군 혈중 알콜 농도 (%) 감소 효과 (%)
물 처리 0.0004±0.0011 -
대조군 0.0275±0.0040 0
POML 0.0128±0.0021 53.5
POML+ABML 0.0200±0.0062 27.3
ABML 0.0218±0.0060 20.7
PO-SeL 0.0245±0.0153 10.9
TML 0.0202±0.0039 26.5
FVL 0.0244±0.0054 11.3
PLL 0.0196±0.0040 28.7
LEL 0.0258±0.0029 6.2
LE-GL 0.0240±0.0086 12.7
C660L 0.0222±0.0064 19.3
C256L 0.0263±0.0031 4.3
HEL 0.0227±0.0057 17
CCL 0.0254±0.0041 8
GFL 0.0261±0.0037 5
MEL 0.0225±0.0032 18
CVL 0.0217±0.0021 21
GLL 0.0212±0.0021 23
PNL 0.0197±0.0021 28
ABL 0.0224±0.0017 19
표 1에서 처리군 표시는 다음과 같다:
POML: 느타리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POML+ABML: 느타리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신령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ABML: 신령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PO-SeL: 큰느타리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TML: 송이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FVL: 팽이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PLL: 상황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LEL: 표고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LE-GL: 글루타치온 첨가 배지에서 배양된 표고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C660L: 눈꽃 동충하초 균사체 액체 배양물
C256L: 번데기 동충하초 균사체 액체 배양물
HEL: 노루궁뎅이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CCL: 먹물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GFL: 잎새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MEL: 곰보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CVL: 구름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GLL: 영지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PNL: 맛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ABL: 양송이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물.
표 2는 특히 느타리 버섯과 신령 버섯의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 각각 또는 혼합물이 알콜 처리 후의 생쥐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것이다. 여기에서 보면, 느타리 버섯균사체 액체 배양물 처리군이 숙취 해소에 가장 효과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처리 경과시간 (분) 행동
대조군 POML 투여군 ABML 투여군 POML+ABLM
1차 알콜 0-10 -운동성이 대체로 저하 됨 (개체간 차이가나타 남) -5마리중 1마리는 움직 이지 않고 그대로 정체 한 상태이며 호흡이 빨 라짐 -대조군과 유사 -대조군과 유사 -대조군과 유사
2차 알콜 10-20 -운동성이 현저히 저하 됨 -5마리중 4마리가 웅크 림 -호흡이 많이 빨라지고 비틀거리며 딸국질을 함 -대조군과 유사 -대조군과 유사 -대조군과 유사
1차 시료 처리 20
2차 시료 처리 30 -거의 움직이지 않음 -일부(5마리 중 3마리)가 운동성 을 회복하여 움직 임 -약간 움직였지만 많이 비틀거림 (POML 군에 비해 운동성이 떨어져 서 여전히 웅크 림) -웅크림 (5마리 중 1마리만 약간 움직임)
40 -뒤집혀서 누워있거나 구석으로 웅크림 -모두 회복하기 시작함 -운동성이 없음 -운동성이 없음
50 -수면상태 -모두 많이 움직 임 -5마리중 1마리가 움직이기 시작함 -5마리중 2마리는 약간 움직이고, 마리는 많이 움직임
70 -5마리중 2마리만 약간 의 회복기미를 보임 -모두 활발해짐 -5마리중 2마리가 움직이기 시작함 -5마리 중 3마리가 회복됨
2.느타리 버섯의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 균사체 고체 배양 추출물 및
자실체 추출물의 생쥐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
느타리 버섯의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과 고체 배양 추출물을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고 각각 고형물 함량 1.2 g/100 ㎖로 제조하고, 느타리 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실시예 2에 따라 고형물 함량 1.2 g/100 ㎖로 제조한 후, 효과시험예 1에 따라 각각 생쥐에 0.2 ㎖씩 2회 투여하고, 투여 1 시간 후의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였다.
다음 표 3은 느타리 버섯의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 균사체 고체 배양 추출물 및 자실체 추출물을 각각 투여한 생쥐에서, 투여 1 시간 후의 혈중 알콜 농도 감소를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에서 보면,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 느타리 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POML) 처리군이 53.5 %, 고체 배지에서 배양한 느타리 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POMS) 처리군이 48.3 %, 그리고 느타리 버섯 자실체 추출물(PO)이 41.8 %의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균사체 액체 배양물, 균사체 고체 배양물, 자실체의 순으로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처리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
물 처리 0.0004±0.0011 -
대조군(물+알콜) 0.0275±0.0040 0
POML 처리군 0.0128±0.0021 53.5
POMS 처리군 0.0142±0.0016 48.3
PO 처리군 0.0160±0.0106 41.8
표 3에서 처리군 표시는 다음과 같다:
POML: 느타리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
POMS: 느타리 버섯 균사체 고체 배양 추출물
PO: 느타리 버섯 자실체 추출물
3.느타리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의 투여량에 따른 생쥐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
느타리 버섯의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을 실시예 1에 따라 고형물 함량 1.2 g/100 ㎖로 제조하고, 효과시험예 1에 따라 생쥐에 각각 0.1 ㎖, 0.2 ㎖, 0.3 ㎖씩 2 회 투여한 후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였다.
다음 표 4는 느타리 버섯의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의 투여량을 다르게 한 생쥐에서 혈중 알콜 농도 감소를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에서 보면, 느타리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POML)의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특히 투여량(총 고형물 양)이 7.2 ㎎일 경우에는 동량의 알콜과 물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혈중 알콜 농도 감소가 87.4 %에 이르는 높은 효과를 보였다.
처리 혈중알콜농도(%) 감소율 (%)
대조군 POML 투여군
0.2 ml (총 고형물 2.4 ㎎) 0.0271±0.0032 0.0217±0.0018 19.93
0.4 ml (총 고형물 4.8 ㎎) 0.0275±0.0040 0.0128±0.0021 53.45
0.6 ml (총 고형물 7.2 ㎎) 0.0266±0.0025 0.0034±0.0006 87.40

4.느타리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 투여후 시간 경과에 따른 생쥐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
느타리 버섯의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을 실시예 1에 따라 고형물 함량 1.2 g/100 ㎖로 제조하고, 효과시험예 1에 따라 생쥐에 0.2 ㎖씩 2 회(총 고형물 4.8 ㎎) 투여하고, 0, 0.5, 1.0, 2.0, 3.0 시간 경과 후에 각 처리군에서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알콜 농도를 측정하였다.
다음 표 5는 느타리 버섯의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POML)을 생쥐에 투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여기에서 보면, 알콜과 물을 투여한 대조군의 혈중 알콜 농도는 2 차 물 투여 후 30 분에 최고치인 0.0321 %에 도달하고 1 시간 후에는 0.0275 %로 감소되었는데, POML을 2 차 투여 후 1 시간에서는 혈중 알콜 농도가 0.0128 %, 3 시간 후에는 0.0028 %로 대조군에 비해 85.7 %가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경과 시간(시간) 혈중 알콜 농도(%) 감소율(%)
대조 POML (0.4ml)
0 0.0296±0.0040 0.0215±0.0021 27.4
0.5 0.0321±0.0032 0.0207±0.0016 35.5
1.0 0.0275±0.0040 0.0128±0.0021 53.5
2.0 0.0270±0.0030 0.0064±0.0004 76.3
3.0 0.0196±0.0020 0.0028±0.0003 85.7

5.느타리 버섯의 균사체 배양 추출물 및 자실체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말의
생쥐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
느타리 버섯의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과 고체 배양 추출물, 그리고 자실체 추출물의 분말을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하고, 효과시험예 2에 따라 생쥐에 각각 0.4 g 씩 투여하여 혈중 알콜 농도 감소를 측정하였다.
다음 표 6은 느타리 버섯의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 균사체 고체 배양 추출물 및 자실체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에서, 투여 1 시간 후의 혈중 알콜 농도 감소를 보여주는 것으로, 그 결과는 표 3의 결과와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처리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
물 처리 0.0004±0.0011 -
대조군(물+알콜) 0.0275±0.0040 0
POML 처리군 0.0112±0.0010 59.3
POMS 처리군 0.0148±0.0025 46.2
PO 처리군 0.0177±0.0069 35.6
표 6에서 처리군 표시는 다음과 같다:
POML: 느타리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의 분말
POMS: 느타리 버섯 균사체 고체 배양 추출물의 분말
PO: 느타리 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분말
6.임상 실험
경상남도 진주에 위치한 경상대학교 남학생 중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학생으로서 본 연구에 흥미를 갖고 참여한 10 명을 대상으로 하여, 느타리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의 음주후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를 시험하였다.
대상자들은 주량이 소주 3 병 이상인 3 인(그룹 Ⅰ), 주량이 소주 1 병인 4인(그룹 Ⅱ), 그리고 주량이 반 병인 3 인(그룹 Ⅲ)의 3 그룹으로 나누고, 실험 시작 전후 4 일 동안 금주하였다. 본 실험은 개인차를 없애기 위해 2상 교차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이에 따라 모든 대상자들은 음주 후 처음은 물(100 ㎖), 그 다음에는 버섯 추출물(100 ㎖)을 복용하였다. 실험 사이에는 4 일 동안 wash-out 기간을 유지하였다.
각 그룹의 인원들은 음주 시작 2 시간 전에 가벼운 식사(국수)를 하고 오후 6 시부터 음주를 시작하였다. 에탄올 농도 25 %의 소주 한 병(360 ㎖: 에탄올 함량 90 g)과 일정량의 마른 안주(건과류)를 소량씩 섭취하였으며, 술은 30 분 이내에 일정한 속도로 모두 마시도록 하였다. 음주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서 실험 대상자 이외의 사람들도 같이 음주하였다. 음주가 끝난 시점에서 버섯 추출물(POML)이나 물 100 ㎖를 복용하고 10 분 및 70 분 경과 후, EDTA가 함유된 배큐테이너로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였다.
다음 표 7 및 8은 음주후 느타리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POML) 100 ㎖(고형물 함량 1.2 g)를 복용하고 각각 10 분 및 70 분 경과 후의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면, 개체 간 결과에 많은 차이가 있었지만, 주량이 작은 개체일수록 혈중 알콜 농도 감소 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 료 투여 70 분 후에 최대 45.8 %의 혈중 알콜 농도 감소가 있었다.
대상자 혈중 알콜 농도(%) 10 분 후 감소율(%)
대조군 POML 처리군
그룹 Ⅰ 0.0117±0.0015 0.0104±0.0017 11.11
그룹 Ⅱ 0.0145±0.0025 0.0131±0.0026 9.96
그룹 Ⅲ 0.0275±0.0034 0.00671±0.0029 17.28
평균 0.0114±0.0027 0.0101±0.0028 12.78
대상자 혈중 알콜 농도(%) 70 분 후 감소율(%)
대조군 POML 처리군
그룹 Ⅰ 0.0119±0.0013 0.0108±0.0025 9.24
그룹 Ⅱ 0.0136±0.0025 0.0108±0.0015 20.59
그룹 Ⅲ 0.0131±0.0016 0.0071±0.0019 45.80
평균 0.0129±0.0019 0.0096±0.0020 25.21
또한, 각 그룹에 대하여 음주 후 물 또는 버섯 추출물(POML)을 섭취하고 1 시간 및 12 시간 경과 후의 숙취 증상을 관찰하였다.
다음 표 9 및 10은 음주후 느타리 버섯 균사체 액체 배양 추출물(POML)이 숙취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표 9는 물 또는 버섯 추출물 섭취 1 시간 경과후의 결과이고, 표 10은 물 또는 버섯 추출물 섭취 12 시간 경과후의 결과이다. 표에서 숫자는 총 인원 중 증상을 나타내는 명수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보면, 음주후 버섯 추출물을 복용한 경우에는 복용 1 시간 후에도 여러 가지 숙취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주량이 작은 개체에서 많이 나타나는 숙취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상 그룹 Ⅰ(총 3 인) 그룹 Ⅱ(총 4 인) 그룹 Ⅲ(총 3 인)
대조군 POML 처리군 대조군 POML 처리군 대조군 POML 처리군
현기증 3 0 4 0 3 0
두통 0 0 1 0 3 0
구토 증상 0 0 0 0 2 0
맥박 증가 3 1 4 1 3 1
창백한 안색 0 0 1 0 2 1
홍안 3 3 3 2 1 1
눈 충혈 3 2 4 2 3 1
동공 수축 3 1 4 0 3 0
행동 불편 0 0 2 0 3 0
보행 불편 0 0 1 0 2 0
혀 굳음 3 0 3 0 3 0
증상 그룹 Ⅰ(총 3 인) 그룹 Ⅱ(총 4 인) 그룹 Ⅲ(총 3 인)
대조군 POML 처리군 대조군 POML 처리군 대조군 POML 처리군
현기증 0 0 2 0 2 0
두통 0 0 1 0 2 0
구토 증상 0 0 0 0 1 0
맥박 증가 0 0 0 0 0 0
창백한 안색 0 0 0 0 1 0
홍안 0 0 0 0 0 0
눈 충혈 0 0 0 0 2 0
동공 수축 0 0 0 0 0 0
행동 불편 0 0 0 0 0 0
보행 불편 0 0 0 0 0 0
혀 굳음 0 0 0 0 0 0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느타리 버섯 등의 균사체 배양물 또는 자실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주후 혈중 알콜 농도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숙취 해소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음료나 식품, 및 각종 제형의 의약품으로 적절히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버섯의 자실체 추출물 또는 버섯 균사체를 액체 또는 고체 배양한 배양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및 혈중 알콜 농도 감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버섯은 느타리 버섯(Pleurotus ostreatus), 신령 버섯(Agaricus blazai), 큰느타리 버섯(Bleurotus eryngii), 송이 버섯(Tricholoma matsutake), 팽이 버섯(Flammulina velutipes), 상황 버섯(Phellinus linteus), 표고 버섯(Lentinus edodes),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번데기 동충하초(Cordiceps militaries), 노루궁뎅이 버섯(Hericium erinace: HE), 먹물 버섯(Coprinus comatus: CC), 잎새 버섯(Grifola frondosa: GF), 곰보 버섯(Morchella esculenta: ME), 구름 버섯(Coriolus versicolor: CV), 영지 버섯(Ganoderma lucidum: GL), 맛 버섯(Pholiota nameko: PN) 및 양송이 버섯(Agaricus bisporus: AB)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버섯은 느타리 버섯(Pleurotus ostreat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대두, 대두박 도는 보리에 프로테아제 및 셀룰라제를 처리한 후 황백당, MgSO4 및 KH2PO4를 첨가하여 액체 배지를 제조하고; 버섯균사체를 액체 배지에 접종한 후 25~35℃에서 진탕 또는 폭기하여 1~7일동안 배양하고; 그리고 배양물을 고압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 및 혈중 알콜 농도 감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대두, 대두박 또는 보리에 황백당,MgSO4 및 KH2PO4를 녹인 수용액을 가하여 고체 배지를 제조하고; 버섯균사체를 고체 배지에 접종한 후 25~35℃에서 3~30일동안 정치 배양하고; 그리고 배양물을 고압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혈중 알콜 농도 감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버섯 자실체에 약 1~10배 중량의 물을 가하고 약 1~5시간동안 고압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혈중 알콜 농도 감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4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섯은 느타리 버섯(Pleurotus ostreatus), 신령 버섯(Agaricus blazai), 큰느타리 버섯(Bleurotus eryngii), 송이 버섯(Tricholoma matsutake), 팽이 버섯(Flammulina velutipes), 상황 버섯(Phellinus linteus), 표고 버섯(Lentinus edodes),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번데기 동충하초(Cordiceps militaries), 노루궁뎅이 버섯(Hericium erinace), 먹물 버섯(Coprinus comatus), 잎새 버섯(Grifola frondosa), 곰보 버섯 (Morchella esculenta), 구름 버섯(Coriolus versicolor), 영지 버섯(Ganoderma lucidum), 맛 버섯(Pholiota nameko), 및 양송이 버섯(Agaricus bisporus)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99491A 2004-11-30 2004-11-30 버섯 균사체 배양물 또는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060060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491A KR20060060427A (ko) 2004-11-30 2004-11-30 버섯 균사체 배양물 또는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491A KR20060060427A (ko) 2004-11-30 2004-11-30 버섯 균사체 배양물 또는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427A true KR20060060427A (ko) 2006-06-05

Family

ID=3715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491A KR20060060427A (ko) 2004-11-30 2004-11-30 버섯 균사체 배양물 또는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042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063B1 (ko) * 2008-08-29 2011-02-01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상황버섯 건강음료
KR101118683B1 (ko) * 2010-10-14 2012-03-1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네이처팜 알코올 내성 부여를 위한 미배아, 쌀겨 및 콩류 유래 펩타이드를 사카로미케스속 또는 이사첸키아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킨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7697B1 (ko) * 2009-10-08 2012-04-25 오세출 상황버섯-울금 발효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04643032A (zh) * 2015-02-04 2015-05-27 北京福原环球生物科技有限公司 药用菌有效成分的提取方法
CN105581210A (zh) * 2016-01-26 2016-05-18 济南大学 一种具有醒酒功效的醋饮料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063B1 (ko) * 2008-08-29 2011-02-01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상황버섯 건강음료
KR101137697B1 (ko) * 2009-10-08 2012-04-25 오세출 상황버섯-울금 발효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118683B1 (ko) * 2010-10-14 2012-03-1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네이처팜 알코올 내성 부여를 위한 미배아, 쌀겨 및 콩류 유래 펩타이드를 사카로미케스속 또는 이사첸키아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킨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643032A (zh) * 2015-02-04 2015-05-27 北京福原环球生物科技有限公司 药用菌有效成分的提取方法
CN105581210A (zh) * 2016-01-26 2016-05-18 济南大学 一种具有醒酒功效的醋饮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4480A1 (en) Method for fermentation and cultivation, fermented plant extract, fermented plant extract powder,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fermented plant
US20060269632A1 (en) Remedies for allergic diseas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687982B1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71998A (ko) 버섯 균사체 배양물 또는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0787633B1 (ko)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CN105219598A (zh) 一种养生保健冬虫夏草菌酒及其制备方法
WO2008156297A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katzenjammer
KR20010069898A (ko) 보이차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
KR20160052855A (ko)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340663B1 (ko) 이노노투스 오브리쿠우스의 인공배양물로부터 분리된 항암면역활성 다당류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101219650B1 (ko) 옻의 무독화 방법 및 무독화 옻피 추출물의 용도
KR101663379B1 (ko) 효모 및 천연효소를 이용한 발효삼채 제조 및 혼합음료 제조방법
KR20060060427A (ko) 버섯 균사체 배양물 또는 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CN1053215C (zh) 一种富硒虫草补酒的配制方法
KR102507651B1 (ko)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KR101871169B1 (ko) 신규 김치유산균 Weissella cibaria MFST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대추씨 조성물
KR20110098080A (ko) 꿀벌 화분 발효액, 프로폴리스, 벌꿀 및 로얄 제리를 함유하는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1157545B1 (ko) 도라지, 오디, 산초, 천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한약재 발효 와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72405B1 (ko) 무독화 옻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추출물의 용도
KR19990046012A (ko) 상황버섯또는신령버섯균사체를이용한차및음료의제조방법
KR20160075114A (ko) 발효커피추출액을 포함하는 커피 식초의 제조방법
KR20130035594A (ko) 눈꽃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효유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0062000A (ko) 대장암 원인 장내유해세균 효소 및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성장 저해 활성을 갖는 버섯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 및그의 용도
KR101105471B1 (ko) 기능성 흑마늘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0385658B1 (ko) 이노노투스 오브리쿠우스의 곡물배양체 조성물과 이로부터항암 면역활성 다당류를 분리 제조하는 방법 및 이들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