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516A -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516A
KR20060058516A KR1020040097587A KR20040097587A KR20060058516A KR 20060058516 A KR20060058516 A KR 20060058516A KR 1020040097587 A KR1020040097587 A KR 1020040097587A KR 20040097587 A KR20040097587 A KR 20040097587A KR 20060058516 A KR20060058516 A KR 20060058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oom temperature
coronavirus
diseases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7018B1 (ko
Inventor
권두한
최화정
최인성
김만배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97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0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58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erg)를 상온 ∼ 100 ℃의 물, 상온의 에탄올 또는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이 포유동물에서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간질환, 뇌질환 등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에 대해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짐을 밝힘으로써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어성초, 코로나바이러스, 항바이러스 활성

Description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Anticoronavirus composition comprising Houttuynia cordata Thunberg extract}
도 1은 제조예 3의 메탄올 추출물를 HPLC로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기존에 항바이러스능이 있다고 알려진 어성초로부터 얻은 라우릴알데하이드를 HPLC로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erg)를 상온 ∼ 100 ℃의 물, 상온의 에탄올 또는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이 포유동물에서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간질환, 뇌질환 등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에 대해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짐을 밝힘으로써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병은 매우 다양하다. 포유류와 조류에 서 호흡기질환, 소화기 질환, 간질환, 뇌질환 등을 일으키는 RNA 바이러스이다 [Thomas M. Gallagher TM, and Michael J. Buchmeier MJ (2001) Coronavirus Spike Proteins in Viral Entry and Pathogenesis. Virology, 279(2) : 371-374.]. 특히, 코로나바이러스에 속하는 바이러스 중에서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EDV,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는 매우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위장관 소화기계통에 침입하여 구토, 설사로 인한 탈수와 고열을 일으키며 치사률도 높아서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이다[Duarte M, Laude H (1994) Sequence of the spike protein of the porcine epidemic diarrhoea virus. J Gen Virol., 75 (Pt 5) : 1195-200.]. 사스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치사률이 높은 호흡기질환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이다. 이들 바이러스는 치사률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바이러스감염으로 인한 질병처럼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백신개발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효율성이 떨어지는 실정이다[Alonso S, Sola I, Teifke JP, Reimann I, Izeta A, Balasch M, Plana-Duran J, Moormann RJ, Enjuanes L (2002) In vitro and in vivo expression of foreign genes by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coronavirus-derived minigenomes. J Gen Virol., 83(Pt 3) : 567-79.].
식물은 오랫동안 여러 질병에 대한 치료수단의 하나로 사용되어 왔다[Seeff LB, Lindsay KL, Bacon BR, Kresina TF, Hoofnagle JH (2001)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chronic liver disease. Hepatology, 34(3) : 595-603.; Langmead L, Rampton DS (2001) Herbal treatment in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benefits and dangers. Aliment Pharmacol Ther., 15(9) : 1239-52.]. 바이러스질환 역시 여러 식물에서 항바이러스능을 가지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나[Kinghorn AD (1994) The discovery of drugs from higher plants. Biotechnology, 26 : 81-108.; Patrick L (1999) Hepatitis C: epidemiology and review of complementary/alternative medicine treatments. Altern Med Rev., 4(4) : 220-38.],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능을 가지는 식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McCutcheon AR, Roberts TE, Gibbons E, Ellis SM, Babiuk LA, Hancock RE, Towers GH (1995) Antiviral screening of British Columbian medicinal plants. J Ethnopharmacol., 49(2) : 101-10.].
삼백초과에 속하는 어성초에는 메틸엔-노닐케톤, 데카노일아세트알데하이드, 라우릴알데하이드, 카프릴알데하이드, 코르다린, 퀘르시트린, 이소퀘르시트린, 퀘르세틴, 루틴, 레이노우트린, 히페린, 미르센, 게라니알, 염화칼슘, 황산칼슘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모세혈관 강화작용, 혈관 확장작용, 이뇨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성초에서의 항바이러스능 작용연구는 어성초 전초에서 고온의 수증기 추출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헤르페스바이러스 등에 대한 항바이러스능이 있슴이 알려졌다[Chiang et al., Am J Chin Med., 2003;31(3):355-362]. 일반적으로 고온 수증기 추출법으로는 오일성분들이 추출되는데 하야시 등도 어성초의 오일추출물이 헤르페스 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사람 면역결핍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바이러스능을 가지고 있음이 보고하였다[Hayashi et al., Planta med. 1995 61(3) 237-41]. 이 보고에서 스팀추출물의 주성분인 메틸엔-노닐케톤, 데카노일아세트알데하이드, 라우릴알데하이드, 카프릴알데하이드에 대하여 항바이러스능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메틸엔-노닐케톤, 데카노일아세트알데하이드, 라우릴알데하이드, 카프릴알데하이드는 헤르페스바이러스에 대하여 SI값(또는 TI 값, IC50/EC50)이 2.7, 25, 11로 나타났으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는 1.2, 3.5, 3.4, 2.3으로 나타나 항바이러스제의 효능으로서는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Chiasson 등[Acaricidal properties of Artemisia absinthium and Tanacetum vulgare (Asteraceae) essential oils obtained by three methods of extraction . J Econ Entomol 94:167-171, 2001]은 초음파추출물과 고온추출물, 스팀추출물의 크로마토그라피 성분이 다르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편, 어성초에서 저온에서의 수 추출물이나 메탄올 추출물이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서는 전혀 연구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생약재를 찾고자 노력한 결과,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erg)를 상온 ∼ 100 ℃ 이하의 물, 상온의 에탄올 또는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이 포유동물에서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간질환, 뇌질환 등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짐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erg)를 상온 ∼ 100 ℃ 이하의 물, 상온의 에탄올 또는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erg)를 상온 ∼ 100 ℃의 물, 상온의 에탄올 또는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erg)를 상온 ∼ 100 ℃의 물, 상온의 에탄올 또는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이 포유동물에서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간질환, 뇌질환 등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에 대해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짐을 밝힘으로써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성초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얻어진다.
어성초 전초를 상온 ∼ 100 ℃, 바람직하게는 50 ∼ 80 ℃의 물로 추출하여 수 추출물을 얻거나, 어성초 전초를 바람직하게는 상온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여 메탄올 추출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을 얻는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성초 수 추출물은 어성초 전초를 건조시키고 어성초 중량에 대해 증류수 5 ∼20배량을 넣어 상온 ∼ 100 ℃에서 0.5 ∼ 3 시간동안 중탕하고 10000 ∼ 15000 rpm으로 10 ∼ 30 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동결건조시켜 제조한다. 또한, 어성초 에탄올 추출물 또는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어성초 전초를 건조시키고 어성초 건조 중량에 대해 5 ∼ 20배의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넣고 상온 ∼ 60 ℃에서 12 ∼ 20시간동안 방치한 후에 10000 ∼ 15000 rpm으로 15 ∼ 30 분간 원심분리하고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건조시켜 제조한다.
이렇게 얻어진 어성초 추출물은 사람 또는 돼지, 개, 고양이, 소 등의 가축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이나 새들에게서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간질환, 뇌질환 등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에 대한 항바이러스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어성초 추출물은 기존에 알려진 어성초 추출물(스팀 추출물, 고온 추출물 등)보다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능이 월등하게 나타났으며, 또한 기존의 어성초 추출물에서 분리된 라우릴알데하이드의 경우 HPLC로 분석한 결과 도 2와 같은 피크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따른 어성초 추출물의 피크(도 1)와는 전혀 다르게 나타나 서로 다른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은 돼지 코로나바이러스, 소 코로나바이러스, 개 코로나바이러스 및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등의 감염에 대한 방지 또는 치료가 가능한 의약품 및 식품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리라 기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어성초 추출물을 의학적으로 이용시에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담체와 함께 배합한 제제,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트로키제, 액제, 현탁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주사시에 주사용 증류수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즉시 사용형 주사용 건조분말 등의 형태인 주사용 제제; 또는 연고제 등의 다양한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통상적인 담체를 상용하여 제조된 약학적 제제는 경구적으로 투여하거나,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성초 추출물의 투여량은 포유동물의 무게, 연령 상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1일에 20 ∼ 100 ㎎/kg, 바람직하게는 40 ∼ 60 ㎎/kg의 양이 투여되도록 하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수회, 바람직하기로는 1회 내지는 4회 분할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을 포함한다.
건강식품이란, 상기 어성초 추출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수 추출물의 제조
어성초 전초는 경남농업기술원 약초시험장 전시포에서 각각 채취하였다. 채취한 재료는 건조시키고 각각의 중량에 대해 증류수 10배량을 넣어 60 ℃에서 1 시간동안 중탕하고 12000 rpm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동결건조시켜 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어성초 전초는 경남농업기술원 약초시험장 전시포에서 각각 채취하였다. 채취한 재료는 건조시키고 어성초 건조 중량에 대해 10배의 에탄올(주정 제조용)을 넣고 상온에서 16시간동안 방치한 후에 12000 rpm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고 여과지(Whatman No 2)에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건조시켜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어성초 전초는 경남농업기술원 약초시험장 전시포에서 각각 채취하였다. 채취한 재료는 건조시키고 어성초 건조 중량에 대해 10배의 메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16시간동안 방치한 후에 12000 rpm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고 여과지(Whatman No 2)에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건조시켜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바이러스의 배양
상기 제조예 1 ∼ 3에서 얻은 어성초 추출물 각각의 항바이러스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바이러스는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EDV)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PEDV는 Vero세포에서 증식배양하였다. Vero세포는 소태아혈청이 10% 포함된 MEM(minimal essential media) 배지를 사용하여 37 ℃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1: 바이러스 억제능 분석
상기 참조예 1, 2, 3에서 얻은 어성초 추출물 각각의 PEDV에 대한 바이러스 증식억제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Vero세포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s)에서 배양하고 각 세포들이 90% 이상 웰의 바닥에 차있을 때 기존 배양액를 제거하고 PEDV가 포함된 새로운 배양액를 각 웰에 투여하고 어성초의 각 추출물을 농도(1, 10, 100, 1000 ㎍/㎖ media) 별로 웰에 투여하였다. 추출물 각각의 바이러스 증식 억제능 측정은 PEDV를 48시간 동안 Vero 세포에 감염시킨 후에 살아있는 세포를 SRB 분석법[Martin A, Martin C (1997) Comparison of 5 microplate colorimetric assay for in vitro cytoxicity testing and cell proliferation assay. Cytotechnology, 11 : 49-54.]으로 측정하였다. 각 웰에 10% TCA(trichloroacetic acid)를 100 ㎕씩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4 ℃에 방치하고 증류수로 수회 세척하였다.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1%(v/v) 아세트산에 녹인 0.4% (w/v) SRB(sulforhodamine B) 용액 100 ㎕를 첨가해 30분 동안 염색시켰다. 세포와 결합하지 않은 SRB 염색액은 1%(v/v) 아세트산으로 수회 세척한 다음 다시 건조시켰다. 각 웰 바닥에 부착되어있는 세포의 형태를 현미경카메라(Zeiss 사, Model Axivert10)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10 mM 트리스 용액(pH 10.5) 100 ㎕를 각 웰에 가하여 세포와 결합되어 있는 염색제를 충분히 녹인 후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처리군은 바이러스를 처리하지 않은 군(A), 어성초 추출물만을 처리한 군(B), 바이러스만을 처리한 군(C), 바이러스와 수 추출물을 같이 처리한 군(D)으로 표기하였고 어성초 추출물 각각의 세포독성능(%)[수학식 1]과 어성초 추출물의 바이러스 증식억제능(%)[수학식 2]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04055361660-PAT00001
Figure 112004055361660-PAT00002
어성초의 각 추출물의 50% 세포괴사능 농도 값은 각 농도별로 세포괴사률을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한 후에 50% 세포괴사능을 나타내는 농도를 산출하였으며 그 값들을 다음 표 1에 제시하였다. 50% 바이러스 증식 억제능 농도 값은 각 농도별로 바이러스 증식 억제율을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한 후에 50% 바이러스 증식 억제능을 나타내는 농도를 산출하였으며 그 값들을 다음 표 1에 제시하였다.
실시예 2: 기존 항바이러스제로 사용되는 약제와의 항바이러스능 비교
리바비린(ribavirin), 아시클로비르(acyclovir)는 Sigma사로부터 구입하였으며 라미뷰딘(lamivudine)은 글락소웰컴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각 약제는 각각의 농도가 10 mg/㎖이 되도록 디메틸 설폭사이드에 녹여서 0.1, 1, 10, 100 ㎍/㎖ 의 농도범위에서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50% 세포괴사능과 PEDV에 대한 50% 바이러스 증식 억제능을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제시하였다.
1)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기존 항바이러스제의 억제능 평가
일반적으로 항바이러스제의 효능평가는 50% 세포괴사능을 나타내는 농도를 50% 바이러스억제능을 나타내는 농도값으로 나눈 값의 크기(SI; selectivity index)로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글리시리진(Glycyrrhizhin), 퀘세트린(quercetrin), 카테친(Catechin), 쿠마린(Cumarin), 루테오린(luteolin), 탄닌(tannin)은 Sigma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하야시 등[Hayashi et al., Planta med. 1995 61(3) 237-41] 이 발표한 어성초의 오일추출물의 주성분 중 가장 높은 항바이러스능을 나타내었던 라우릴 알데하이드(lauryl aldehyde)도 Sigma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각 약제는 각각의 농도가 10 mg/ml이 되도록 디메틸 설폭사이드에 녹여서 0.1, 1, 10, 100 ㎍/ml 의 농도범위에서 50% 세포괴사능과 PEDV에 대한 50% 바이러스 증식 억제능을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2)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어성초 추출물들의 억제능 평가
어성초의 수 추출물은 SI 값이 1176 이상으로 퀘세트린 보다 SI 값이 34배 이상 크며, 에탄올 추출물은 SI 값이 2000 이상으로 역시 퀘세트린 보다 SI 값이 58배 이상 크다. 메탄올 추출물은 10.1로 다른 수 추출물이나 에탄올 추출물보다 SI 값이 낮으나 이 추출물이 일차 추출물임을 고려하면 정제된 퀘세트린 보다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어성초의 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메탄올 추출물은 기존 항바이러스제보다 뛰어난 항바이러스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은 강력한 항바이러스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리바비린보다 10 ∼ 20배의 억제효능을 나타내고 있어서 의학적 활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구분 50% 바이러스 증식억제능농도 (㎍/㎖) 50%세포 괴사능농도 (㎍/㎖) SI
양성 대조군 글리시리진 ND >100 -
퀘세트린 10.7 ±0.8 >365.2 34.2
카테친 11.1 ±7.1 >100 >9.0
쿠마린 47.4 229.3 4.8
루테오린 0.2 ±0.2 6.7 32.7
탄닌 ND 83.3 9.2
라우릴알데하이드 9.36 60.5 9.4
제조예1 0.085 >100 >1176
제조예 2 0.05 >100 >2000
제조예 3 9.9 >100 10.1
* ND: 최대 바이러스 억제능이 50%에 미치지 못함.
실시예 5: 독성시험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 추출물,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물 및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메탄올 추출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에 용해하고 물로 희석한 후 이를 마우스(군당 10마리)에 각각 100 ㎎/㎏을 투여한 다음 7일간 관찰하였으나 사망하는 쥐는 없었다.
제조예 1: 분말 및 캅셀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 추출물,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메탄올 추출물 10 ㎎을 락토오스 14.8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과 함께 섞었다.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No.5 젤라틴 캅셀에 채웠다.
제조예 2: 주사액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 추출물,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메탄올 추출물 10 mg을 함유하는 주사액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 추출물,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메탄올 추출물 1 g, 염화나트륨 0.6 g 및 아스코르빈산 0.1 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 ㎖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상기 주사액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제제예 3: 음료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 추출물,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메탄올 추출물 500 ㎎을 적당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에 보조성분으로서 비타민 C, 교미제로서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올리고당을 적당량 가하고, 보존제로서 적당량의 나트륨벤조에이트를 가한 후에 물을 가하여 전량을 100 ㎖로 만들어 음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타우린이나 마이오 이노시톨, 엽산, 판토텐산 등을 단독으로 혹은 함께 첨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성초 추출물은 포유동물에서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간질환, 뇌질환 등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질환치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Claims (3)

  1.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erg)를 상온∼ 100 ℃의 물, 상온의 에탄올 또는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바이러스는 돼지 코로나바이러스, 개 코로나바이러스, 소 코로나바이러스 또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
  3.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erg)를 상온 ∼ 100 ℃의 물, 상온의 에탄올 또는 상온의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KR1020040097587A 2004-11-25 2004-11-25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 KR100637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587A KR100637018B1 (ko) 2004-11-25 2004-11-25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587A KR100637018B1 (ko) 2004-11-25 2004-11-25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516A true KR20060058516A (ko) 2006-05-30
KR100637018B1 KR100637018B1 (ko) 2006-10-23

Family

ID=3715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587A KR100637018B1 (ko) 2004-11-25 2004-11-25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0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937A3 (en) * 2009-07-27 2011-05-19 Cmi Management Research Llc Methods of treatment using thymus-derived compositions
WO2021241873A1 (ko) * 2020-05-29 2021-12-02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제2형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937A3 (en) * 2009-07-27 2011-05-19 Cmi Management Research Llc Methods of treatment using thymus-derived compositions
WO2021241873A1 (ko) * 2020-05-29 2021-12-02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제2형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7018B1 (ko)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valho et al. In vitro inhibition of canine distemper virus by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implications of structural differences for antiviral design
Palanikumar et al. Effect of Argemone mexicana active principles on inhibiting viral multiplication and stimulating immune system in Pacific white 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against white spot syndrome virus
KR20190092776A (ko)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013457B1 (ko) 에이엠피케이 활성화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CN102274314A (zh) 常青球虫散及其制备方法
Daoud et al. Evaluation of Spirulina platensis extract as natural antivirus against foot and mouth disease virus strains (A, O, SAT2)
KR100501831B1 (ko)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0697309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CN1330330C (zh) 抗病毒药物组合物、制备方法及用途
KR100637018B1 (ko)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
KR100355490B1 (ko) 로타바이러스에 대해 감염 억제활성을 갖는 지각 추출물
KR100666299B1 (ko) 초피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
CN115844879A (zh) 褪黑素在抗盖塔病毒中的应用
CN107854499B (zh) 诃子在制备抑制和杀灭牛病毒性腹泻病毒bvdv药物中的应用
KR101427096B1 (ko) 관중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플로로글루시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imenez-Coello et al. Antitrypanosomal activity of Senna villosa in infected Balb/C mice with Trypanosoma cruzi during the sub acute phase of infection
JP2015183002A (ja) 脂肪細胞形成抑制方法
KR100639395B1 (ko) 절지동물용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2025884B1 (ko) 옻나무 목질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류의 항균, 항기생충, 항바이러스 및 항산화 조성물
CN107982323B (zh) 矮紫堇在制备抑制和杀灭牛病毒性腹泻病毒bvdv药物中的应用
Rajtar et al. The influence of extracts from Peucedanum salinum on the replication of adenovirus type 5
KR10166501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66501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0668689B1 (ko) 라이노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JPS6072823A (ja) 抗ウイルス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