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093A - 약제불출장치 및 약제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약제불출장치 및 약제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093A
KR20060058093A KR1020067001851A KR20067001851A KR20060058093A KR 20060058093 A KR20060058093 A KR 20060058093A KR 1020067001851 A KR1020067001851 A KR 1020067001851A KR 20067001851 A KR20067001851 A KR 20067001851A KR 20060058093 A KR20060058093 A KR 20060058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ontainer
wall
opening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106B1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히로유키 유야마
히로시 하시모토
카츠노리 요시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5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formed in the apparatus from components, blanks, or material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약제의 브리지가 발생하지 않고, 고장이 적은 약제충전장치의 개발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약제충전장치는, 다품종의 정제군으로부터 특정의 정제를 선택하고, 바이알에 충전하는 기능을 가지는 약제충전장치이고, 보관선반(2), 약제공급부(3), 약제일시정지부(5), 약제반송부(6), 약제충전부(7), 바이알 저장부(8) 및 바이알 이송부(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약제일시정지부(5)에는 약제불출장치(20)가 장착되어 있다. 약제불출장치(20)의 용기형상부재(31)는, 외용기부재(35)와, 내용기부재(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약제불출장치(20) 내의 정제를 바이알에 충전하는 순번이 되면, 소정의 신호에 따라서 구동부(32)의 모터(62)가 회전하고, 내용기부재(36)를 회전시킨다. 즉 내용기부재(36)의 자세를 변경하여 내용기부재(36)를 반전시킨다.

Description

약제불출장치 및 약제충전장치{MEDICINE DELIVERY DEVICE AND MEDICINE FILLING DEVICE}
본 발명은, 정제나 캡슐 등의 고형상 약제를 바이알 또는 바틀 등의 용기나 작은 봉지 등의 포장부재에 충전(充塡)하는 약제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약제충전장치 등에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약제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국의 주된 업무는, 재고 다종류의 약제 중에서 의사의 처방전에 근거한 약제를 선출하고, 이것을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오래전부터, 이 작업은, 약사가 처방전을 보면서 약제를 취출한다고 하는 수작업에 의해 행하여지고 있었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한 약제의 선별은, 시간과 수고가 드는 작업이고, 자동화가 요망되고 있었다. 특히 대규모 병원 등에서는, 약국이 혼잡하고, 진찰 종료로부터 약을 받을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려서, 개선이 요망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먼저 약제의 선별 및 충전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장치를 개발하고, 하기의 특허출원을 행하였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개 2001-130504호
특허문헌2 : 일본국 특개 2001-287702호
특허문헌3 : 일본국 특개 2001-294305호
특허문헌4 : 일본국 특개 2002-29501호
특허문헌5 : 일본국 특개 2002-29511호
상기한 특허문헌에 기재한 약제충전장치는, 처방지시부와, 약제공급부와, 약제일시보지부와, 약제반송부와, 약제충전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약제 일시보지부에 약제불출장치가 사용되어 있다.
상기한 약제충전장치에서는, 약제공급부로부터 소정 개수의 약제를 배출하고, 이것을 일단, 약제불출장치에 유치(溜置)한다. 그리고 약제불출장치에 유치된 약제를 순차적으로 약제반송부로 옮기고, 약제반송부에 의해 약제충전부로 이송하고, 해당 약제를 바이알 등에 충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처방지시부는, 의사의 처방전 내용 등을 입력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약제공급부는, 복수개의 약제피이더가 설치되어 있고, 각 피이더에 약제가 내장된 대형의 약제저장용기가 장착되어 있다.
특허문헌에 기재한 약제충전장치에서는, 약제공급부의 약제저장용기에 각각 다른 종류의 약제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처방전의 내용을 처방지시부에 입력하면, 소정의 약제저장용기에 대응한 약제피이더가 동작하고, 약제저장용기로부터 소정 개수의 약제를 배출한다.
배출된 약제는, 공통통로를 경유하여 일단, 약제불출장치에 유치한다.
여기에서 약제불출장치는, 하단부에 셔터가 설치되어 있고, 셔터를 닫은 상태에서 그 내부에 약제를 유치할 수 있다. 그리고 셔터를 열고, 약제를 한꺼번에 다음 공정의 약제반송부에 떨어뜨린다. 그 후, 상기한 바와 같이 약제반송부에 의 해 약제를 약제충전부에 이송하고, 약제의 중량을 확인한 후, 해당 약제를 바이알 등에 충전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약제를 일시 유치하고 나서 약제반송부에 의해 이송하는 이유는, 약제충전에 있어서의 각 공정 중, 약제공급부로부터 약제배출에 필요한 시간이 다른 공정에 비하여 현저하게 길기 때문에, 약제의 배출을 복수 평행하여 행하고, 소정량의 약제가 모아진 것부터 순차적으로 하류측의 공정으로 보내기로 한 것이다.
상기한 약제충전장치에서는, 약제불출장치를 가지고, 해당 부분에 약제를 일시적으로 유치한다. 그리고 소정의 신호에 의해 셔터를 열고, 약제를 한꺼번에 낙하시켜서 다음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한 약제충전장치는, 율속(律速)공정인 약제공급부로부터의 약제배출을 병렬적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쓸데없는 시간이 적어지고, 처방전 내용의 입력으로부터 약제 충전에 이르기까지의 소요시간이 짧다. 그래서 환자의 대기시간이 적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약제충전장치는, 매우 뛰어난 성능을 가지는 것인데, 본 발명자들은,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를 거듭하여, 모든 사태를 상정하여, 일어날 수 있는 고장이나 사고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약제의 종류나 형상이 특이하거나, 고습도 등의 악조건이 겹친 경우, 약제불출장치 내에서 약제의 브리지가 일어날 우려가 있음이 판명되었다.
여기에서 브리지라고 하는 것은, 대향하는 벽면 등의 사이에서 복수개의 약 제가 직선적으로 연결되고, 아치형상을 형성하는 현상이다. 약제의 브리지가 발생하면, 약제의 자중에 의한 수직방향의 힘이, 인접하는 약제에 의해 분산되고, 인접하는 약제를 통하여 대향하는 벽면 등에 부하된다. 그래서 약제의 브리지가 발생하면, 이 구성 멤버가 된 약제는, 수직방향으로 안정된 상태가 되고, 낙하하지 않는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약제충전장치에서는, 약제피이더로부터 소정 개수의 약제를 배출시키고, 이것을 일단 약제불출장치에 유치하고, 셔터를 열음으로써 약제를 한꺼번에 낙하시켜서 다음 공정으로 보내는데, 약제불출장치 내에서 약제가 브리지 현상을 일으키고, 약제가 막혀 버릴 우려가 있다.
약제가 브리지를 일으켜서 막히면, 약제의 배출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최종공정의 총중량 확인시에 이상검지(異尙檢知)할 수 있는데, 복구하는데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장시간에 걸쳐 환자를 기다리게 하는 것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우려를 불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약제의 브리지가 발생하지 않는 약제불출장치의 개발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약제의 브리지가 발생하지 않고, 고장이 적은 약제충전장치의 개발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은,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피이더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일단 유치와 동시에 유치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하고 적어도 하부가 개폐하는 용기형상부재를 구비하고, 용기형상부재의 내측의 둘레벽의 일부 또는 전부는 가동벽이고, 해당 가동벽은, 용기형상부재의 하부를 열 때에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이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용기형상부재의 내측의 둘레벽에 가동벽을 구비하고, 가동벽은, 용기형상부재의 하부를 열 때에 움직인다. 그래서 가동벽의 이동에 의해 브리지가 파괴된다. 즉 브리지 현상은, 두 개의 벽 사이에 복수개의 정제 등이 끼워지고, 정제 등이 낙하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는, 용기형상부재의 내측의 둘레벽에 가동벽을 구비하기 때문에, 가동벽에 단(端)을 발(發)하는 브리지는, 가동벽이 움직임으로써 붕괴한다.
가동벽이 붕괴할 때의 메카니즘에는, 여러 가지 케이스가 상정된다. 예를 들면 약제불출장치 속에 약제가 다수 축적되고, 그 중간부분에 있어서 브리지가 발생한 경우라면, 가동벽의 이동에 따라 브리지의 기단부가 이동하는데, 브리지의 중간부분을 구성하는 약제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브리지의 구성 멤버로 되어 있는 약제는, 가동벽의 이동에 연하여 이동하고자 하는데, 브리지의 구성 멤버로 되어 있지 않은 기타 다수의 약제는, 현상(現狀) 위치에 머무려고 한다. 그래서 브리지의 중간부분을 구성하는 약제는 이동이 저지되고, 브리지의 단부를 구성하는 약제로부터 분리되어, 브리지가 파괴된다.
그리고 상기한 약제불출장치는, 용기형상부재의 내측의 평면단면에 길이가 긴 측과 길이가 짧은 측이 있고, 길이가 긴 측을 구성하는 둘레벽의 일방 또는 쌍방이 가동벽이어도 좋다.
용기형상부재의 평면단면형상은, 레이아웃의 제약상 장방형이나 장공형상의 길이가 긴 측과 길이가 짧은 측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브리지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긴 측의 벽 끼리에 끼워진 사이에 발생한다. 즉 벽 끼리의 거리가 긴 경우는, 브리지가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브리지 현상은 발생하기 어렵고, 벽끼리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 브리지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평면단면형상이, 예를 들면 장방형이라면, 길이가 긴 변 끼리의 사이에 브리지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길이가 긴 측을 구성하는 둘레벽의 일방 또는 쌍방에 가동벽을 배치하였다.
또한 상기한 약제불출장치는, 가동벽이 회전하는 것이고, 적어도 일부에 원호형상부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가동벽을 보다 크게 설계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동벽을 움직이게 함으로써 브리지의 기단부분을 분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동벽의 면적은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 채용하는 가동벽은, 회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동벽 자체의 이동은 없고, 가동벽은 그 자리에 머문 상태에서 움직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 채용하는 가동벽은, 원호형상부재를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회전궤도는 작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벽을 보다 크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브리지를 파괴하는 작용이 강하다.
상기한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가동벽은, 약제가 모아진 것이 예상되는 부위에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 가동벽은, 약제가 모아진 것이 예상되는 부위에 있기 때문에, 브리지가 발생하였을 때의 기단부분에 가동벽이 존재하고, 브리지를 파괴하는 작용이 강하다.
상기한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는,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지는 외(外)용기부재와, 일부가 개구하고 이것에 대향하는 부위가 폐색하는 내(內)용기부재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부재는 외용기부재의 속에 있고, 내용기부재는 외용기부재 내에 있어서 반전 가능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는, 외용기부재와, 내용기부재를 가지고, 내용기부재는 외용기부재 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용기부재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한다. 그리고 내부에 있는 내용기부재는 일부가 개구하고, 이것에 대향하는 부위가 폐색한다.
약제를 유치하는 경우에는 내용기부재의 개구를 상부를 향한다. 그 결과,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는, 외용기부재의 상부의 개구 및 내용기부재의 개구를 거쳐 내용기부재에 들어간다. 여기에서 내용기부재는, 일부가 개구하기는 하지만, 개구에 대향하는 부위가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외용기부재의 하부의 개구는, 내용기부재의 폐색부분에 의해 막혀져 있다. 그래서 약제불출장치의 하부에는 개구는 없고, 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는, 내용기부재 속에 모은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내부에 모은 약제를 배출할 때에는, 내용기부재를 외용기부재 내에서 반전시킨다. 그 결과, 내용기부재 속에 모여 있던 약제는, 내용기의 개구로부터 흘러 넘치고, 더욱이 외용기부재의 하부의 개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내용기부재 내에 브리지가 발생하여 있어도, 반전됨으로써 약제끼리의 가압방향이 바뀌고, 브리지가 붕괴한다. 그리고 상기한 발명과 마찬가지로, 브리지의 구성 멤버로 되어 있는 약제는, 내용기부재의 내벽의 이동에 연하여 이동하고자 하는데, 브리지의 구성 멤버로 되어 있지 않은 기타 다수의 약제는, 현상 위치에 머무려고 한다. 그래서 브리지의 중간부분을 구성하는 약제는 이동이 저지되고, 브리지의 단부를 구성하는 약제로부터 분리되고, 브리지가 파괴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기부재가 정자세에 있었을 때, 내용기부재의 바닥에 위치하고 있던 약제가, 내용기부재를 반전하였을 때 브리지의 상부측에 위치하게 되고, 해당 바닥에 위치하고 있던 약제의 중량에 의해 브리지가 파괴된다.
상기한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는,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짐과 동시에 적어도 일부에 원호형상의 내벽을 가지는 외용기부재와, 상기 외용기부재에 내장된 내용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기부재는 상기 외용기부재의 원호형상의 내벽과 대략 합치하는 외벽을 가짐과 동시에 해당 외벽의 일부가 절취(欠落)하여 개구를 형성하고, 내용기부재는 외용기부재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고, 내용기부재가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 내용기부재의 외벽이 외용기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폐색하고, 내용기부재가 다른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 내용기부재의 개구가 외용기부재의 개구와 합치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 대해서도, 외용기부재와, 내용기부재를 가지고, 내용기부재는 외용기부재 내에 있다. 그리고 외용기부재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한다. 또한 내부에 있는 내용기부재는 일부가 개구하고 이것에 대향하는 부위가 폐색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외용기부재는 적어도 일부에 원호형상의 내벽을 가진다. 한편, 내용기부재는 상기 외용기부재의 원호형상의 내벽과 대략 합치하는 외벽을 구비한다. 그리고 내용기부재는 외벽의 일부가 절취하여 개구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내용기부재는 외용기부재 내에 있어서 회전한다.
약제를 유치하는 경우에는 내용기부재의 개구를 상부를 향한다. 그 결과,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는, 외용기부재의 상부의 개구 및 내용기부재의 개구를 거쳐 내용기부재로 들어가 그 내부에 모은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내부에 모은 약제를 배출할 때에는, 내용기부재를 외용기부재 내에서 회전하고, 자세를 반전시킨다. 그 결과, 내용기부재 속에 모여 있던 약제는, 내용기의 개구로부터 흘러넘치고, 더욱이 외용기부재의 하부의 개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외용기부재는 원호형상의 내벽을 가지고, 내용기부재는 이 내벽과 대략 합치하는 외벽을 구비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내용기부재를 외용기부재 내에서 회전하였을 때에 양자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기 어렵고, 약제가 끼어 들어갈 우려는 적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내부에 모은 약제를 배출할 때에 브리지가 붕괴한다. 그리고 내용기부재가 정자세에 있었을 때, 내용기부재의 바닥에 위치하고 있던 약제가, 내용기부재를 반전하였을 때에 브리지의 상부측에 위치하게 되고, 해당 바닥에 위치하고 있던 약제의 중량에 의해 브리지가 파괴된다.
그리고, 상기한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내용기부재는, 대략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약제의 배출시에 내용기부재가 1회전 반 이상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약제불출장치와 같이, 내용기부재를 외용기부재 속에서 반전 혹은 회전시키는 경우, 내용기부재로부터 흘러넘칠 정도로 약제가 모여 있으면 내용기부재가 반전 혹은 회전하여도 1회의 배출공정에서는 모든 약제를 배출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최저 2회, 배출공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하고, 약제의 체류를 방지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적합한 발명은,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피이더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일단 유치와 동시에 유치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지는 용기형상부재와, 상기 용기형상부재에 내장된 폐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폐색부재는 대략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360°에 걸쳐서 회전하고, 폐색부재가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 폐색부재가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폐색하고, 폐색부재가 다른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 폐색부재는 용기형상부재의 개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이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하는 용기형상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폐색부재를 구비하고, 해당 폐색부재는, 대략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폐색부재가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 폐색부재는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폐색한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약제를 유치하는 경우에는, 폐색부재를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폐색한다. 그 결과,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는, 내부에 모은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내부에 모은 약제를 배출할 때에는, 폐색부재를 회전하고, 용기형상부재의 개구를 연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폐색부재는 대략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360°에 걸쳐서 회전하기 때문에, 가령 브리지가 만들어져 있었다고 하더라도, 브리지를 긁어 떨어트려 버린다.
그리고, 상기한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적합한 다른 발명은,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피이더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일단 유치와 동시에 유치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짐과 동시에 적어도 일부에 원호형상의 내벽을 가지는 용기형상부재와, 상기 용기형상부재에 내장된 폐색부재를 가지고, 상기 폐색부재는 상기 용기형상부재의 원호형상의 내벽과 대략 합치하는 외벽을 가지고, 상기 폐색부재는 용기형상부재 내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상의 내벽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회전 가능하고, 폐색부재가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 폐색부재가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폐색하고, 폐색부재가 다른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 폐색부재는 용기형상부재의 개구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이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 대해서도 상부와 하부가 개구하는 용기형상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용기형상부재는 적어도 일부에 원호형상의 내벽을 가진다. 한편, 폐색부재는 용기형상부재의 원호형상의 내벽과 대략 합치하는 외벽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약제를 유치하는 경우에는, 폐색부재를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폐색한다. 그 결과,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는, 내부에 모은다.
내부에 모은 약제를 배출할 때에는, 폐색부재를 회전하고, 용기형상부재의 개구를 연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용기형상부재는 원호형상의 내벽을 가지고, 폐색부재는 이 내벽과 대략 합치하는 외벽을 구비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폐색부재를 용기형상부재 내에서 회전하였을 때에 양자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기 어렵고, 약제가 끼어 들어갈 우려는 적다. 그리고 가령 브리지가 만들어져 있었다고 하더라도, 폐색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브리지를 긁어 떨어트려 버린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피이더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일단 유치와 동시에 유치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지는 용기형상부재와, 상기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폐색부재와,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를 가지고, 폐색부재가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열 때에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가 용기형상부재 내를 가로 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이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 대해서도, 상부와 하부가 개구하는 용기형상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폐색부재를 구비하고, 해당 폐색부재에 의하여 하부의 개구를 개폐한다. 즉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약제를 유치하는 경우에는, 폐색부재를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폐색한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내부에 모은 약제를 배출할 때에, 폐색부재를 여는데,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이때에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가 용기형상부재 내를 가로 지른다. 그래서 가령 브리지가 만들어져 있었다고 하더라도,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가 브리지의 일부를 분단하고, 브리지를 파괴한다.
그리고 용기형상부재의 평면단면에 길이가 긴 측과 길이가 짧은 측이 있는 경우에는,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길이가 긴 측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약제가 모인 것이 예상되는 부위를 가로 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폐색부재는 직선 이동하는 셔터이고,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폐색부재와 일체화되어 있고,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폐색부재의 이동과 함께 용기형상부재 내를 가로 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가 폐색부재와 일체화되어 있다. 그래서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폐색부재와 연동하고, 폐색부재의 이동과 함께 용기형상부재 내를 가로 질러 브리지의 일부를 분단한다.
그리고, 상기한 약제불출장치는, 폐색부재는 직선 이동하는 셔터이고,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가 경사변을 가지고 폐색부재와 일체화된 것이고, 폐색부재의 직선 이동에 따라서 상기 경사변측을 선두로 하여 용기형상부재의 내부를 가로 지르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폐색부재의 동작과 함께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가 경사변을 선두로 하여 가로 지른다. 그래서,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브리지에 당접(當接)하면 약제를 들어 올리도록 하여 브리지를 파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피이더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일단 유치와 동시에 유치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지는 용기형상부재와, 상기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폐색부재와,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를 가지고, 폐색부재가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열 때에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가 용기형상부재의 내벽의 일부 또는 내벽의 일부의 근방을 문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이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 대해서도, 상부와 하부가 개구하는 용기형상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 대해서도, 폐색부재를 구비하고, 해당 폐색부재에 의해 하부의 개구를 개폐한다. 즉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약제를 유치하는 경우에는, 폐색부재를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폐색한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내부에 모은 약제를 배출할 때에는, 폐색부재를 여는데,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이 때에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가 용기형상부재의 내벽의 일부 또는 내벽의 일부의 근방을 문지른다. 그래서 가령 브리지가 만들어져 있었다고 하더라도,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가 브리지의 일부를 분단하고, 브리지를 긁어 떨어뜨려 버린다.
용기형상부재의 평면단면에 길이가 긴 측과 길이가 짧은 측이 있는 경우에는, 가로 지름 부재는, 길이가 긴 측에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약제가 모인 것이 예상되는 부위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폐색부재는 직선 이동하는 셔터이고,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폐색부재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추장(推奬)된다.
상기한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는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지는 외용기부재와, 일부가 개구하고 이것에 대향하는 부위가 폐색하는 내용기부재를 가지고, 상기 내용기부재는 외용기부재 속에 있고, 하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폐색부재와,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를 가지고, 해당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내용기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해당 외용기부재의 내면을 문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한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외형이 비원형이고 외용기부재의 내면을 따라서 회동하는 것이어도 좋다.
더욱이, 상기한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는,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지는 외용기부재와, 일부가 개구하고 이것에 대향하는 부위가 폐색하는 내용기부재를 가지고, 상기 내용기부재는, 외용기부재 속에 있고, 외용기부재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며, 하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폐색부재와,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를 가지고, 해당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암 형상이며, 외용기부재의 내면을 따라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용기형상부재의 내부에 만일 브리지가 형성된 경우라 하더라도,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에 의해 브리지의 일부를 분단하고, 브리지가 용기형상부재의 내부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는, 용기형상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가지고, 해당 케이스부에 대하여 출몰 가능한 걸어맞춤부(係合部)와, 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시 돌출하여 있어서 가압부를 가압하였을 때에 케이스부 내에 몰입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는, 약제충전장치 등의 일부로서 채용하는 경우에, 약제충전장치 등에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피이더가 복수개 배치된 약제공급부와, 상기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일단 유치와 동시에 유치한 약제를 배출하는 청구의 범위 제1항, 제10항, 제17항 중 어느 항에 기재된 약제불출장치와, 상기 약제불출장치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소정의 용기 또는 포장부재에 충전하는 약제충전부를 가지는 약제충전장치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약제불출장치를 약제충전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약제피이더가 종횡 행렬상으로 배치되고, 1 또는 2이상의 약제피이더열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통통로가 형성되고, 각 공통통로의 하류측에 청구의 범위 제1항, 제10항, 제17항 중 어느 항에 기재된 약제불출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약제불출장치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소정의 용기 또는 포장부재에 충전하는 약제충전부를 가지는 약제충전장치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도, 상기한 약제불출장치를 약제충전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충전장치에서는, 복수의 약제피이더가 종횡 행렬상으로 배치되고, 1 또는 2 이상의 약제피이더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공통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공통통로의 하류측에 약제불출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는, 공통통로를 낙하하고, 이미 낙하하여 있는 약제에 충격을 주어 밀어 채운다. 그래서 약제불출장치 내에서 약제가 브리지 상태가 될 우려가 있는데, 본 발명이 채용하는 약제불출장치는, 브리지를 붕괴시키거나 파괴하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약제불출장치 내에 모은 약제는, 한 개도 남김없이 다음 공정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부에 복수개의 약제피이더가 종횡 행렬상으로 배치되고, 1 또는 2 이상의 약제피이더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공통통로가 형성되고, 각 공통통로의 하류측에, 상기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일단 유치와 동시에 소정의 개구를 열어 유치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불출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약제불출장치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소정의 용기 또는 포장부재에 충전하는 약제충전부를 가지는 약제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제불출장치는, 케이스부를 가지고, 해당 케이스부 내에 약제를 유치한 용기와, 용기의 개구를 열기 위한 동력원이 내장되어 유닛화되고, 해당 케이스부에 대하여 출몰 가능한 걸어맞춤부와 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시 돌출하여 있어서 가압부를 가압하였을 때에 케이스부 내에 몰입하고, 본체부에는 상기 약제불출장치의 케이스부가 장착되는 칸막이가 있고, 해당 칸막이에 걸어맞춤공 또는 홈이 설치되고, 약제불출장치의 가압부를 가압하여 걸어맞춤부를 케이스부 내에 몰입한 상태에서 약제불출장치를 칸막이 내에 장착 가능하고, 걸어맞춤부가 칸막이에 설치된 걸어맞춤공 또는 홈과 걸어맞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충전장치이다.
본 발명의 약제충전장치에서는, 복수의 약제피이더가 종횡 행렬상으로 배치되고, 1 또는 2 이상의 약제피이더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공통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공통통로의 하류측에 약제불출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약제불출장치는, 케이스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케이스부 내에 약제를 유치하는 용기와, 용기의 개구를 열기 위한 동력원이 내장되어 유닛화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부에 대하여 출몰 가능한 걸어맞춤부와 가압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는 상시 돌출하여 있어서 가압부를 가압하였을 때에 케이스부 내에 몰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약제충전장치에서는, 본체부에는 케이스부가 장착되는 칸막이가 있고, 이 칸막이에 걸어맞춤공 또는 홈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충전장치에서는, 약제불출장치를 장착할 때에, 약제불출장치의 가압부를 가압하여 걸어맞춤부를 케이스부 내에 몰입하고, 이 상태에서 약제불출장치를 본체부의 칸막이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한 가압부의 가압을 해제하여 걸어맞춤부를 케이스부로부터 돌출시킨다. 그 결과, 걸어맞춤부가 칸막이에 설치된 걸어맞춤공 또는 홈과 걸어맞춤한다.
그리고, 상기한 약제충전장치는, 케이스부의 선단에 케이스측 접속단자가 설치되고, 본체부의 칸막이 내에 본체측 접속단자가 있고, 걸어맞춤공 또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걸어맞춤부와 칸막이에 설치된 걸어맞춤공 또는 홈이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케이스부를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케이스측 접속단자와 본체측 접속단자를 접속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제충전장치는, 약제불출장치를 본체부에 장착할 때에 전기적인 접속도 동시에 행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부의 선단에는 케이스측 접속단자가 설치되고, 본체부의 칸막이 내에는 본체측 접속단자가 있다. 본 발명의 약제충전장치에서는, 칸막이에 설치된 걸어맞춤공 또는 홈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걸어맞춤부가 칸막이에 설치된 걸어맞춤공 또는 홈과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케이스부를 슬라이드 시켜서 케이스측 접속단자와 본체측 접속단자를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 및 약제충전장치는, 약제가 막히는 일이 없고, 고장이 적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환자를 기다리게 하는 일이 없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약제충전장치는, 약제불출장치의 착탈이 용이하고,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쉽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약제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약제충전장치의 공통통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약제충전장치의 약제공급부와 약제불출부와 약제반송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를 후단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를 선단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약제불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약제불출장치의 용기형상부 및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약제취출장치의 중심부에 있어서의 평면단면도로서, 정제가 브리지를 일으킨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5의 약제불출장치의 용기형상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5의 약제불출장치의 내(內)용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구동부의 주요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걸어맞춤(係合)핀 기구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걸어맞춤핀 기구부 및 그 주위에 있는 칸막이의 평면도로서, (a)는 걸어맞춤핀이 케이스부 내에 몰입한 상태를 도시하고, (b)는 걸어맞춤핀이 케이스부로부터 돌출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6은 약제불출장치의 장착순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의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외(外)용기부재와 내용기부재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의 약제배출상태에 있어서의 외용기부재와 내용기부재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의 일련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약제의 이동상황과 가동정면벽과 가동이면벽의 움직임 및 브리지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념도로서, (a)는 공통통로로부터 정제의 투입을 마친 직후를 도시하고, (b)는, 내용기부재의 회전 직후를 도시하고, (c)는, 내용기부재를 반회전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에서 채용하는 내용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에서 채용하는 내용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에서 채용하는 내용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외용기부재와 내용기부재의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에서 채용하는 내용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에서 채용하는 용기형상부재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A-A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를 후단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하는 약제불출장치를 측면측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A-A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8에 도시하는 약제불출장치의 용기형상부재와 폐색부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채용되는 용기형상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약제충전장치 3 : 약제공급부
5 : 약제일시정지부 6 : 약제반송부
7 : 약제충전부 12 : 약제피이더
18 : 공통통로 20 : 약제불출장치
30 : 케이스부 31 : 용기형상부재
32 : 구동부 35 : 외용기부재
36 : 내용기부재 38 : 개구부
41 : 내용기장착부 46 : 경사벽
48 : 원호면 52 : 가동정면벽
53 : 가동이면벽 55 : 가동둘레벽
58 : 개구부 60 : 회전축
62 : 모터 71 : 걸어맞춤(係合)핀 기구부
72 : 가압부재 85 : 칸막이
92 : 걸어맞춤기구 94 : 커넥터(케이스측 접속단자)
95 : 커넥터(본체측 접속단자) 130,131,132 : 내용기부재
105,106,126 :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 107,120 : 폐색부재
151 : 개구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약제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약제충전장치의 공통통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약제충전장치의 약제공급부와 약제불출장치부와 약제반송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개략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약제충전장치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충전장치(1)는, 약제일시정지부(5)에 특징이 있는데, 특징적 구성의 설명에 앞서, 장치 전체의 개략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충전장치(1)는, 다품종의 정제군으로부터 특정의 정제를 선택하고, 바이알에 충전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충전장치(1)는, 크게 나누어, 보관선반(2), 약제공급부(3), 약제일시정지부(5), 약제반송부(6), 약제충전부(7), 바이알 저장부(8) 및 바 이알 이송부(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관선반(2)은, 정제가 충전된 바이알을 가치(假置)하는 것이다. 보관선반(2)에는, 터치 패널(10)등의 입력수단(처방지시부)이 있고, 처방전의 내용이나, 환자의 성명, 연령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약제공급부(3)는, 도 2와 같은 공통통로부재(11)를 다수 나열하여 배치하고, 이 공통통로부재(11)에, 약제피이더(12)를 취부한 것이다.
즉 1개의 공통통로부재(11)는, 도 2와 같이 홈형을 하고 있고, 복수의 관통공(1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관통공(15)에 각각 약제피이더(12)가 취부되어 있다{도 2에는, 최하부의 약제피이더(12)만을 도시}.
공통통로부재(11)는,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벽부(16)의 표리 양면에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공통통로부재(11)는,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벽부(16)의 표면에 요(凹)측의 개구측을 향하고, 수직자세로 한 상태에서 다수 횡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그래서 약제공급부(3)를 정면측으로부터 보면, 약제피이더(12)가 종횡 행렬상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약제공급부(3)를 이면측으로부터 보아도 마찬가지로, 약제피이더(12)가 종횡 행렬상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공통통로부재(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홈형상의 부재이고, 또한 수직벽부(16)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통통로부재(11)의 내면과, 수직벽부(16)의 표면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공극이 공통통로(18)로서 기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통통로부재(11)의 각각에 약제피이더(12)가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각 약제피이더(12)의 세로 일렬이, 한 개의 공통통로(18)에 속한다.
각 약제피이더(12)에는, 약제저장용기(14)(도 2에서 2점 쇄선)가 취부되고, 각 약제저장용기에는 별개의 종류의 정제가 내장되어 있다.
약제공급부(3)의 하부에는, 도 3, 도 4와 같이 복수개의 약제불출장치(20)가 설치되고, 약제일시정지부(5)가 구성되어 있다.
약제불출장치(20)의 구조 및 기능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기본적인 기능은, 약제를 일시적으로 유치하고, 그것을 한꺼번에 배출하는 것이다.
약제불출장치(20)는, 각 공통통로(11)에 대하여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더욱 약제일시정지부(5)의 하부에는 약제반송부(6)가 설치되어 있다. 약제반송부(6)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2기의 이송장치(21, 22)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1기의 이송장치(21)는, 약제충전장치(1)의 정면측에 있어서 수직벽부(16)의 정면측에 나열된 약제불출장치(20)군으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의 이송을 담당한다.
그리고 타방의 이송장치(22)는, 약제충전장치(1)의 이면측에 있어서 수직벽부(16)의 이면측에 나열된 약제불출장치(20)군으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의 이송을 담당한다.
각 이송장치(21, 22)는, 모두 이동호퍼(25)(컨베이어 벳셀이라고도 한다)를 가지고, 해당 이동호퍼(25)가 벨트나 체인 등에 연결되어 직선이동하는 것이다. 즉 이송장치(21, 22)는, 이동호퍼(25)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약제불출장치(20)군으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약제충전부(7)측에 운반하는 것이다.
바이알 저장부(8)는, 정제용기인 바이알을 스톡하여 두는 부분이다. 바이알 이송부(9)는, 소형의 컨베이어이고, 바이알 저장부(8)로부터 바이알을 취출하여 약제충전부(7)에 운반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약제충전장치(1)의 기본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충전장치(1)는, 터치 패널(10)에의 입력을 단서로 하여 동작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충전장치(1)에서는, 정제와 바이알이 따로따로 약제충전부(7)에 운반되고, 해당 약제충전부(7)에 있어서 정제가 바이알에 충전된다.
즉 터치 패널에 의해 약제의 종류가 입력되면, 해당 약제가 내장된 약제저장용기가 취부된 약제피이더(12)가 기능한다. 약제피이더(12)는 공지이고, 도시하지 않은 불출장치, 센서 및 카운터를 구비하고, 약제저장용기로부터 정제를 한 개씩 취출하여 공통통로(18)에 배출한다. 그리고 약제피이더(1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 및 카운터가 취부되어 있고, 공통통로(18)에 배출된 정제의 개수를 세어, 이 개수가 소정의 개수로 된 곳에서 정지한다.
배출된 정제는, 한 개씩 공통통로(18)를 낙하하고, 약제일시정지부(5)의 약제불출장치(20) 내에 모인다. 그리고, 약제피이더(12)로부터의 약제의 배출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약제피이터(12)로부터의 약제의 배출은, 병렬적으로 행하여진다. 가령 1번부터 30번까지 공통통로가 있었다고 가정하면, 1번의 공통통로에 속하는 약제피이더(12)로부터 약제의 배출이 행하여진 것과 평행하여, 다른 29개의 공통통로에 속하는 그 어느 것인가의 약제피이더(12)로부터 해당 공통통로에 정제가 배출된다. 물론 3이상의 공통통로에 대하여 동시에 정제를 공급하여도 좋다.
그리고 최초에 약제의 배출이 종료한 공통통로의 약제배출장치(20)의 하부에, 이송장치(21, 22)의 어느 것인가의 이동호퍼(25)가 이동한다. 그리고 약제불출장치(20)를 동작시켜서 약제불출장치(20)에 모은 정제를 한꺼번에 이송장치(21, 22)의 이동호퍼에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호퍼(25)를 약제충전부(7)측에 운반한다.
그리고 이것과 평행하여, 바이알 저장부(8)로부터 바이알을 취출하여 약제충전부(7)에 운반시킨다.
약제충전부(7)에서는, 이동호퍼(25)에 의해 이송된 정제의 중량을 측정하고, 이상이 없으면 정제를 바이알에 충전한다. 그리고 환자명이나 약제명을 바이알에 인자(印字)하고, 일련의 공정을 마친다.
이상, 약제충전장치(1)의 장치 전체의 개략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였는데, 본 실시형태의 약제충전장치(1)는, 약제일시정지부(5), 특히 해당 부분의 주(主)장치인 약제불출장치(20)에 특징이 있고, 이하에 이들의 구조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를 후단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를 선단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약제불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약제불출장치의 용기형상부 및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약제취출장치의 중심부에 있어서의 평면단면도로서, 정제가 브리지를 일으킨 상태 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5의 약제불출장치의 용기형상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2는, 도 5의 약제불출장치의 내용기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부분인 약제불출장치(20)는, 도 5, 도 6과 같이 케이스부(30)를 가지고, 이 속에 용기형상부재(31)와, 구동부(32)가 일체적으로 내장되어 유닛화된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부(30)에는 약제불출장치(20)를 소정의 위치에 용이하게 취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부(30)는, 얇은 강판을 가공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즉 약제불출장치(20)는, 직방체상의 케이스부(30)에 의해 덮어져 있다. 약제불출장치(20)의 외관은, 도 5, 도 6과 같이, 상면에 용기형상부재(31)의 개구가 노출하여 있다. 그리고 약제불출장치(20)의 후단부(도 5 앞측)에는, 걸어맞춤기구(92)와 손잡이부(93)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기구(92)는, 후기하는 바와 같이 토글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손잡이부(93)는, 케이스부(30)의 바닥부분이 후단측으로 돌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불출장치(20)의 전단부로부터는 가압부재(72)가 돌출하여 있다. 가압부재(72)의 상부에는, 도 8과 같이 커넥터(94)가 노출하여 있다. 약제불출장치(20)의 전단측의 측면에는, 걸어맞춤핀(75)이 노출하여 있다. 가압부재(72), 걸어맞춤핀(75) 및 커넥터(94)의 기능 등에 대해서는 후기한다.
케이스부(30) 속에는, 용기형상부재(31)와 구동부(32)가 내장되어 있다. 도 9는, 용기형상부재(31)와 구동부(32)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다.
용기형상부재(31)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용기부재(35)와, 내용기부재(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용기부재(35) 및 내용기부재(36)는, 그 어느 것이나 모두 도 11과 같이, 2분할한 상태로 형성되고, 끼워맞춤구조에 의해 일체화된 것이다. 즉 외용기부재(35)는, 외용기부재편(35a, 35b)이 일체화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한편 내용기부재(36)는, 내용기부재편(36a, 36b)이 일체화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외용기부재(3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외용기부재편(35a, 35b)가 일체화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일체화한 상태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측과 하면측에 개구부(37, 38)를 가지는 용기이다. 외용기부재(35)의 폭은 대략 일정한데, 대(大)면적측은 특이한 형상을 하고 있다(이하, 대면적측을 정면측이라고 칭한다).
즉 외용기부재(35)는, 외관상, 상부도입부(40), 내용기장착부(41)와, 배출부(42)로 나누어져 있다.
상부도입부(40)는 장방형상으로 개구가 크고, 개구단에는 플랜지(43)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도입부(40)의 개구부(37) 근방은, 4면이 수직벽(45a, 45b, 45c, 45d)에 의해 덮어져 있다.
내용기장착부(41)는 드럼형상이고, 정면측으로부터 보면 원형을 하고 있다. 내용기장착부(41)의 내주면은 원호면(48)이다.
원호면(48)의 직경은, 도 11과 같이 외용기부재(35)의 전체 높이에 걸친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도입부(40)의 개구가 크기 때문에, 원호면(48)은 완전 한 원이 아니고, 상부측은 약 120°전후의 범위에 걸쳐서 절취하여 있다.
상기한 상부도입부(40)와 내용기장착부(41)는, 경사벽(4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경사벽(46)의 경사 각도는, 정제나 캡슐이 정체하는 일 없이 굴러 떨어질 정도의 경사 각도로서, 대략 45°부터 60°정도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벽(46)보다도 아래의 부분에 정제가 정체하는 것을 상정하여 설계하여 있다.
그리고 외용기부재(35)의 하단부분에는 하면측의 개구부(38)가 설치되어 있다. 하면측의 개구부(38)로부터 더욱 하부는, 정제나 캡슐이 걸리는 일이 없도록 스커트 형상으로 지름이 확장되어 있다.
내용기부재(36)는, 도 12와 같이, 드럼형상이고, 원형의 정면벽(52) 및 이면벽(53)과, 곡면형상의 둘레벽(55)을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용기부재(36)의 각 벽은, 모두 회전하기 때문에, 이하, 이들을 가동정면벽(52), 가동이면벽(53) 및 가동둘레벽(55)이라고 칭한다. 내용기부재(36)의 직경 및 폭은, 상기한 외용기부재(35)의 내용기장착부(41)의 내측의 그것에 대략 동일하다.
내용기부재(36)의 가동둘레벽(55)은, 일부가 절취하고 있어서 개구부(58)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둘레벽(55)의 절취부분의 각도는, 상기한 외용기부재(35)의 원호면(48)의 상부측의 절취부 보다도 크다. 구체적으로는, 가동둘레벽(55)의 절취부분의 각도는, 외용기부재(35)의 원호면(48)의 절취부 보다도 10°~ 20°정도 크다. 단, 가동둘레벽(55)의 절취부분을 제외한 유효길이는, 180°를 넘고 있다.
내용기부재(36)의 개구는, 상기한 가동둘레벽(55)의 개구부(58) 뿐이고, 다른 부분은 모두 닫혀 있다. 따라서 내용기부재(36)의 개구부(58)에 대향하는 부위 는 폐색하여 있고, 내용기부재(36)는, 바닥에 물체가 모인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내용기부재(36)는, 외용기부재(35) 속에 내장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기부재(36)는, 외용기부재(35)의 내용기장착부(41)에 배치되어 있다.
내용기부재(36)가 외용기부재(35)에 내장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단면도는, 도 10과 같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외용기부재(35)의 폭(W)은 대략 일정하고, 외용기부재(35)의 내용기장착부(41) 및 내용기부재(36)는 드럼형상이며 그 직경(D)은 폭(W)보다도 길다. 따라서 내용기부재(36)의 중심부분의 평면단면은, 장방형이고, 직경(D)인 길이가 긴 측과 폭(W)인 길이가 짧은 측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용기부재(35)의 내면의 길이가 긴 측에는, 가동정면벽(52)과 가동이면벽(53)이 있다. 외용기부재(35)의 내면의 길이가 짧은 측에는, 가동둘레벽(55)이 있다.
그리고 내용기부재(36)의 중심에는 도 12와 같이 회전축(60)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6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해당 회전축(60)은, 외용기부재(35)의 정면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하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기어(61)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에 노출한 주기어(61)를 회전함으로써, 내부에 배치된 내용기부재(36)가 수평방향의 회전축(6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바꾸어 말하면, 가동정면벽(52), 가동이면벽(53) 및 가동둘레벽(55)이 움직인다.
그리고 외용기부재(35)의 내용기장착부(41)는, 원호면(48)이고, 내용기부재(36)의 가동둘레벽(55)은 이것과 합치하는 곡면이므로, 내용기부재(36)의 회전시에는, 내용기부재(36)의 가동둘레벽(55)이, 외용기부재(35)의 원호면(48)을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내용기부재(36)의 회전시에는, 가동정면벽(52) 및 가동이면벽(53)에 대해서도, 외용기부재(35)의 내벽을 슬라이드 이동한다.
용기형상부재(31)의 형상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은데, 용기형상부재(31)에 인접하여 구동부(32)가 배치되어 있다.
도 13은, 구동부(32)의 주요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구동부(32)는, 기어드 모터(62)에 구동기어(63)가 취부된 것이다. 구동기어(63)의 잇수는, 상기한 주기어(61)의 잇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어드 모터(62)와 구동기어(63)의 사이에는 거리가 있고, 그 사이에 태통부(太筒部)(64)가 설치되어 있다. 태통부(64)는, 내용기부재(36)의 회전자세를 검출하는 회전검출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도 8, 도 13과 같이 그 일부에 자석(65)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태통부(64)의 상하에는, 거리를 조금 두고 혀(舌)형상부재(66, 67)가 보지되어 있고, 해당 혀형상부재에 홀소자(68, 69)가 취부되어 있다(도 8).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기어(63)의 잇수는, 주기어(61)의 잇수와 동일하고, 태통부(64)는 구동기어(63)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주기어(61)는 내용기부재(36)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태통부(64)의 회전자세는, 내용기부재(36)의 회전자세와 일치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통부(64)에 설치된 자석(65)의 일방은, 내용기부재(36)의 개구부(58)와 동기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홀소자(68, 69)가 자석의 존재를 검지하였을 때, 내용기부재(36)의 개구는, 위 또는 아랫방향으로 개구하여 있다.
구동부(32)의 구동기어(63)에 눈을 옮기면, 구동기어(63)는, 중간기어(70)를 통하여 상기한 내용기부재(36)의 주기어(61)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구동부(32)의 모터(62)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63)가 회전하고, 중간기어(70)를 통하여 주기어(61)가 회전하고, 내부의 내용기부재(36)가 회전한다.
그리고 약제불출장치(20)의 세부에 눈을 돌리면, 도 7과 같이 그 선단부에 걸어맞춤핀기구부(7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4는, 걸어맞춤핀기구부(71)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걸어맞춤핀기구부(71) 및 그 주위에 있는 칸막이(85)의 평면도로서, (a)는 걸어맞춤핀(75)이 케이스부(30) 내에 몰입한 상태를 도시하고, (b)는 걸어맞춤핀(75)이 케이스부(30)로부터 돌출한 상태를 도시한다.
걸어맞춤핀기구부(71)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72)와 두 개의 걸어맞춤핀(75)이 있고, 이들이 링크기구에 의해 결합된 것이다.
즉 가압부재(72)는, 도 6과 같이 약제불출장치(20)의 길이방향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것으로, 그 본체부분은, 케이스부(30) 내에 있다. 가압부재(72)는, 케이스부(30)의 일부 및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부재(78)에 의해서 2개소가 보지되고, 길이방향으로만 슬라이드 하도록 가이드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72)는 후단 근방에 대략 큰지름으로 된 스프링가압부(74)가 형성되고, 가이드부재(78)와 스프링가압부(74)의 사이에 스프링(80)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72)는, 상기한 스프링(80)에 의해 상시 돌출방향으로 부세(付勢)되어 있다.
한편, 2개의 걸어맞춤핀(75)은, 가압부재(72)와 직교하는 위치에 있고, 그 선단은, 케이스부(30)의 측면으로부터 출몰한다. 즉 걸어맞춤핀(75)은, 도 15와 같이 케이스부(30)의 측면외벽(77)과, 내부가이드(78)에 의해서 2개소가 보지되고, 길이방향으로만 슬라이드 하도록 가이드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72)와 걸어맞춤핀(75)은, 2개의 링크봉(81, 82)에 의해 링크되어 있다. 즉 가압부재(72)와 일방의 걸어맞춤핀(75)은, 일방의 링크봉(81)에 의해 접속되고, 가압부재(72)와 타방의 걸어맞춤핀(75)은, 타방의 링크봉(8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봉(81, 82)의 양단은, 모두 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부재(72)를 밀어 넣으면, 링크봉(81, 82)의 일단이 후방측으로 이동하고, 링크봉(81, 82)의 타단측이 끌어 당겨진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핀(75)은, 케이스부(30)의 측면외벽(77)과, 내부가이드(78)에 의해서 2개소가 보지되고, 길이방향으로만 슬라이드 하도록 가이드되어 있기 때문에, 걸어맞춤핀(75)은, 링크봉(81, 82)에 인장되고, 케이스 내에 몰입한다.
그리고 케이스부(30)의 선단에는, 커넥터(94)가 돌출하여 있다. 커넥터(94)는, 수(雄)커넥터로서, 케이스부(30)에 내장된 모터(62)에 급전(給電)하기 위한 케이스측 접속단자이다.
그리고 케이스부(30)의 후단부에는, 도 5와 같이 토글식의 걸어맞춤기구(92)가 설치되어 있다. 토글식의 걸어맞춤기구(92)는, 레버부(97)와 후크부(98)를 가지고, 레버부의 선단을 상방을 향하면 후크부(98)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레버부(97)의 선단을 도 5와 같이 아래를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후크부(98)가 내려간다. 그리 고 이 때, 공지의 토글기구의 원리에 의해, 배화(倍化)된 힘으로 후크부(98)가 밀어 내려가고, 레버부(97)를 조작하지 않는 한 후크부(98)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충전장치(1)에서는, 약제불출장치(20)를 장착하는 부위가 도 3과 같이 칸막이(85)에 의해 인접하는 부위와 구분되어 있다.
칸막이(85)의 상세는, 도 2와 같이, 약제불출장치(20)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칸막이(85)의 벽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86, 8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칸막이(85)는, 수직벽부(16)의 양면에 배치되어야 할 약제불출장치(20)의 칸막이(85)를 한 개의 홈형의 부재에 의해 구성한 것이고, 그 내부의 중앙부에는, 도 16에 도시한 구석진 벽(奧壁)(90)이 있다. 그리고 구석진 벽(90)에는, 커넥터(95)가 돌출하여 있다. 커넥터(95)는, 암(雌)커넥터로서, 케이스부(30)에 내장된 모터(62)에 급전하기 위한 본체측 접속단자이다. 커넥터(95)의 위치는, 약제불출장치(20)를 칸막이(85)에 장착하였을 때에 약제불출장치(20)의 커넥터(94)가 당접하는 위치이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충전장치(1)에서는, 약제불출장치(20)를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장착한다. 도 16은, 약제불출장치(20)의 장착순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즉, 약제불출장치(20)를 장착할 때에는, 미리 손으로 선단의 가압부재(72)를 케이스부측으로 밀어 넣는다. 그 결과, 링크봉(81, 82)의 일단이 후방측으로 이동하고, 링크봉(81, 82)의 타단측이 끌려서 걸어맞춤핀(75)이 케이스 내에 몰입한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72)를 밀어서 걸어맞춤핀(75)을 몰입시킨 상태에서 약제 불출장치(20)를 도 2, 도 16에 도시하는 칸막이(85) 내에 삽입하고, 가압부재(72)의 가압을 해제한다. 그 결과, 칸막이(85) 내에 있어서, 걸어맞춤핀(75)이 돌출하고, 도 15와 같이 걸어맞춤핀(75)이 장공(86, 87) 내에 들어간다. 즉 걸어맞춤핀(75)이 장공(86, 87)과 걸어맞춤하고, 약제불출장치(20)의 선단측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데, 칸막이(85)와는 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약제불출장치(20)를 칸막이(85)를 따라서 전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핀(75)이 장공(86, 87)과 걸어맞춤하고, 약제불출장치(20)의 선단측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데, 칸막이(85)와는 떨어지지 않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단순히 약제불출장치(20)의 후단부를 밀어 넣는 것만으로, 약제불출장치(20)는 장공(86, 87)을 따라서 전진한다.
그리고 약제불출장치(20)의 선단이 구석진 벽(90)에 달하고, 더욱이 약제불출장치(20)를 밀어 넣으면, 약제불출장치(2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커넥터(94)가 구석진 벽(90)에 설치된 커넥터(95)와 끼워맞춤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제불출장치(20)를 밀어 넣음으로써 약제불출장치(20)를 전기적으로 본체측과 접속할 수 있다.
커넥터(94, 95)의 접속이 완료되면, 후단측의 걸어맞춤기구(92)를 조작하고, 본체부의 일부(23)(도 5에 2점쇄선으로 표시)에 후크부(98)를 걸어맞춤시킨다. 이렇게 하여 약제불출장치(20)는, 약제충전장치(1)의 본체측에 취부된다. 즉 약제불출장치(20)는, 좌우의 칸막이(85)에 의해 횡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고, 구석진 벽(90)에 의해 전후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걸어맞춤핀(75)이 장공 에 걸어맞춤함과 동시에, 걸어맞춤기구(92)의 후크부(98)가 본체측의 일부(23)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천지(天地)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20)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20)의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외용기부재(35)와 내용기부재(36)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20)의 약제배출상태에 있어서의 외용기부재(35)와 내용기부재(36)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20)의 일련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20)는, 도 5, 도 17과 같이, 내용기부재(36)의 개구부(58)를 위로 한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내용기부재(36)의 개구부(58)를 위로 한 상태에서는, 내용기부재(36)의 개구부(58)는 외용기부재(35)의 상부의 개구부(37)의 방향을 향하고, 외용기부재(35)의 하부 개구(38)는, 내용기부재(36)의 원호형상의 벽면에 의해 봉쇄된다.
그래서, 상부의 약제피이더(12)의 어느 것인가가 기능하여 공통통로로부터 정제가 낙하하였을 때, 정제가 있는 것은, 외용기부재(35)의 상부의 개구부(37)로부터 속에 들어가고, 또한 직접적으로 내용기부재(36)의 속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정제가 있는 것은, 용기형상부재 속에 들어가서 일단 외용기부재(35)의 경사벽(46)에 부딪히고, 경사벽(46)을 굴러 떨어져서 내용기부재(36) 속으로 들어간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벽(46)의 경사각도는, 대략 45°부터 60° 급경사로 서, 정제가 멈추는 일은 없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내용기부재(36)의 가동둘레벽(55)의 절취부분의 각도는, 외용기부재(35)의 원호면(48)의 절취부 보다도 10~20°정도 크기 때문에, 내용기부재(36)의 개구단은 원호면(48)의 그림자에 감춰진다. 그리고 내용기부재(36)의 가동둘레벽(55)의 전체 길이는, 180°를 넘고 있기 때문에, 내용기부재(36)의 개구단(90)은, 쌍방 모두 아랫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정제가 내용기부재(36)의 개구단(90)에 걸릴 여지가 없다. 그래서 상부의 약제피이더(12)로부터 배출된 정제는, 정체하는 일 없이 내용기부재(36) 속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해당 약제불출장치(20) 내의 정제를 바이알에 충전하는 순번이 되면, 소정의 신호에 따라서 구동부의 모터(62)가 회전하고, 내용기부재(36)를 회전시킨다. 즉 내용기부재(36)의 자세를 변경하여 내용기부재(36)를 반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대기시에, 내용기부재(36)의 가동둘레벽(55)의 절취부분(개구부)(58)가 위를 향하고 있었던 것을, 반전하여 아래를 향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검출부의 태통부(64)의 회전자세는, 내용기부재(36)의 회전자세와 일치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는 태통부(64)에 설치된 자석(56)의 위치를 홀소자(68, 69)로 감시하고, 모터(62)를 회전시켜서 내용기부재(36)의 반전한 상태시에 모터(62)를 정지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내용기부재(36)의 개구부(58)가 외용기부재(35)의 하부개구(38)와 일치하고, 내용기부재(36)는 외부에 개방상태로 된다. 따라서 내부에 모 아 둔 정제는, 한꺼번에 낙하하고, 기다리고 있던 이송장치(21, 22)의 이동호퍼(25)에 수용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용기부재(35)의 내용기장착부(41)의 내면과 내용기부재(36)의 가동둘레벽(55)이 합치하고, 내용기부재(36)의 회전시에는, 내용기부재(36)의 가동둘레벽(55)이, 외용기부재(35)의 원호면(48)을 슬라이드하는 상태이므로, 실질적으로 양자의 사이에 간격은 없고, 정제가 끼어 들어간다는 우려는 없다. 내용기부재(36)의 가동정면벽(52) 및 가동이면벽(5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외용기부재(35)의 내벽을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양자의 사이에 간격은 없고, 정제가 끼어 들어간다는 우려는 없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부(32)의 모터(62)가 회전하고, 내용기부재(36)를 회전시키는데, 내용기부재(36)를 1회전 반 시킴으로써, 내용기부재(36)의 개구부(58)를 아래로 향하도록 한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도 19(a)의 자세에서 내용기부재(36)를 대기시키고, 소정의 신호에 의해 도 19(b)와 같이 내용기부재(36)를 회전시키는데, 정제(99)가 내용기부재(36)로부터 흘러넘칠 정도까지 모인 경우는, 도 19(b)와 같이 정제(99)의 집단 속에 둘레벽의 개구단이 할입(
Figure 112006006282783-PCT00001
) 상태가 되고, 둘레벽의 외측과, 경사벽의 사이에 정제(99)를 남기는 경우가 상정된다.
즉 도 19(c)와 같이, 내용기부재(36)에 완전히 내장되어 있던 정제(99)는, 내용기부재(36)를 반전함으로써 하부의 개구로부터 낙하하는데, 내용기부재(36)에 다 들어가지 못한 정제(99)는, 둘레벽의 외측과, 경사벽의 사이에 남겨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기부재(36)를 1회전 반시키는 것이고, 도 19(d)와 같이, 최초의 1회전이 실행되었을 때에 남겨져 있던 정제(99)가, 내용기부재(36) 속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새롭게 들어간 정제(99)는, 더욱이 내용기부재(36)를 반회전하여 내용기부재(36)의 개구를 아래를 향하였을 때에 낙하한다.
그리고 내용기부재(36) 내의 정제(99)가 브리지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내용기부재(36)를 반전시킴으로써 정제끼리의 가압방향이 바뀌고, 브리지가 붕괴한다. 더욱이 내용기부재(36)가 정자세에 있었을 때, 내용기부재(36)의 바닥에 위치하고 있던 정제가, 내용기부재(36)를 반전하였을 때에 브리지의 상부측에 위치하게 되고, 해당 바닥에 위치하고 있던 약제의 중량에 의하여 브리지가 파괴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리지가 발생할 때에 당접하는 벽면이 되는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벽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형의 가동정면벽(52) 및 가동이면벽(53)이 회전 이동한다. 그래서 브리지의 기단부가 분단되어서 브리지가 붕괴한다.
이하, 이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도 20은, 약제의 이동상황과 가동정면벽(52)과 가동이면벽(53)의 움직임 및 브리지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념도로서, (a)는 공통통로(18)로부터 정제의 투입을 끝낸 직후를 도시하고, (b)는, 내용기부재(36)의 회전 직후를 도시하며, (c)는, 내용기부재(36)를 반회전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한 도 10과 같이, 정제(99)의 브리지는, 용기형상부재(31)의 폭을 벌리 듯이 발생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형상부재(31)를 평면에서 보면, 직경(D)인 길이가 긴 측과 폭(W)인 길이가 짧은 측이 있는데, 정제(99)의 브리지는, 길이가 긴 측끼리의 사이에 걸쳐서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과 같이 가동정면벽(52)과 가동이면벽(53)의 사이에 브리지가 발생하게 된다.
이것을 정면측으로부터 관찰하면, 도 20과 같이 된다.
즉 도 20(a)에서는, 중심보다도 약간 아래 부위에 브리지(100)가 발생하여 있다. 그리고 해칭 부위에는 정제가 모여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벽(46)보다도 아래 부분에 정제가 모이는 것을 상정하여 설계하여 있기 때문에, 정제는, 가동정면벽(52)과 가동이면벽(53)에 둘러싸인 범위에 존재한다. 거꾸로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정면벽(52)은, 약제가 모인 것이 예상되는 부위에 있다.
그리고 내용기부재(36)의 회전을 개시하면, 도 20(b)와 같이, 브리지(100)의 기단부분은, 도면 좌상측으로 이동한다. 즉 브리지(100)는, 가동정면벽(52)과 가동이면벽(53)의 사이에 만들어지기 때문에, 가동정면벽(52)과 가동이면벽(53)이 회전하여 움직이면, 브리지(100)의 기단부분도 이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도 20(b)와 같이 브리지(100)의 구성멤버로 되어 있지 않은 해칭부분의 정제는, 내용기부재(36)가 회전하여도, 가동둘레벽(55)을 굴러, 원래의 위치에 머문다. 그래서 불안정한 브리지의 중간부분은, 기단부분으로부터 분리되고, 브리지는 파괴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20) 내에 들어간 정제는, 한 알도 정체하는 일 없이, 전량이 다음 공정측으로 배출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 도 22,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에서 채용하는 내용기부재의 사시도이다.
상기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내용기부재(36)는, 원형의 가동정면벽(52) 및 가동이면벽(53)과, 곡면형상으로 180°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가동둘레벽(55)을 구비한 것을 예로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하는 내용기부재(130)와 같이, 가동둘레벽(55)의 길이가 180°미만의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도 22에 도시하는 내용기부재(131)와 같이 가동정면벽(52) 또는 가동이면벽(53)의 일방이 절취한 것이어도 좋다. 더욱이 도 23에 도시하는 내용기부재(132)와 같이 가동둘레벽(55)의 길이가 180°미만이며 가동정면벽(52) 또는 가동이면벽(53)의 일방이 절취한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내용기부재(36)는, 정제를 일시적으로 유치하기 위한 용기로서의 기능과, 외용기부재(35)의 하부의 개구를 폐색하는 폐색부재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형태는, 외용기부재(35) 속에서 내용기부재(36)를 반전시키고, 정제끼리의 가압방향을 바꾸거나, 내용기부재(36)의 바닥에 위치하고 있던 약제의 중량에 의해 브리지를 파괴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다. 그러나, 브리지를 막는 방책으로서, 폐색부재의 동작에 의해서, 브리지의 일부를 긁어 떨어뜨리고, 브리지를 파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4에 도시하는 내용기부재(135)는, 브리지의 일부를 긁어 떨어뜨리는 것을 주된 작용으로 하는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외용기부재(35)와 내용기부재(36)의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에서 채용하는 내용기부재의 사시도이다.
즉 도 24에 도시하는 용기형상부재는, 내용기부재(36)의 둘레벽이 짧고, 단순히 외용기부재(35)의 하부의 개구부(38)를 폐색하는 기능만을 가진다. 그리고 정면벽 및 이면벽은, 가늘은 암 형상이다. 그리고 해당 암 형상의 부분(105)은,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05)로서의 기능을 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내용기부재(36)를 회전시켰을 때,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05)(암 형상의 정면벽 및 이면벽)가, 용기형상부재의 내면을 문지른다. 그래서, 내용기부재(36)를 회전시켰을 때,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05)가, 정제의 브리지의 일부를 긁어내고, 브리지를 붕괴시킨다. 그리고 원호형상의 둘레벽(55)은, 큰 회전궤적을 그리기 때문에, 브리지의 중간부분을 도려낸다. 그래서 브리지는 파괴되고, 약제불출장치 내에 들어간 정제는, 한 알도 정체하는 일 없이, 전량이 다음 공정측으로 배출된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벽 등에 대신하여 단순한 연결부재(106)에 의해 폐색부재(107)를 동작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도 25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재(106)가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05)로서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정면벽(108)에 개구(110)를 설치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에서 채용하는 용기형상부재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A-A단면도이다.
도 26에 도시하는 약제불출장치(140)에서는, 가동정면벽(108)은 바깥프레임 형상이 원형인데, 가동둘레벽(5)측의 약 180°의 영역에 걸쳐서 반원형의 개구(11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둘레벽(5)의 단부에 상당하는 부위의 가동정면벽(108)은 프레임 형상의 부분을 남길 뿐이며, 대부분이 개구하여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110)는 가동정면벽(108)측에만 설치되고, 가동이면벽(115)측에는 없지만, 가동이면벽(115)측에 개구를 설치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둘레벽(108)의 잔부(殘部)(109), 즉 개구부(58) 주변의 반원부분이 긁어 떨어지는 부재(109)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색부재인 용기형상부재(112)가 용기형상부재(31)의 하부의 개구를 열 때에,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09)가 용기형상부재(31)의 내벽을 문지른다. 그래서, 내용기부재(36)를 회전시켰을 때,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09)가, 정제의 브리지의 일부를 긁어내고, 브리지를 붕괴시킨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그 어느 것이나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09)가, 용기형상부재(31)의 내벽을 문지르는 것인데,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09)를 용기형상부재(31)의 내벽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고,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09)가 용기형상부재의 내벽의 근방을 문지르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1과 같이 내용기부재(36)의 가동정면벽(52) 및 가동이면벽(53)으로부터 돌출한 회전축(60)을 외용기부재편(35a, 35b)에 설치된 개구(35c, 35d)에 삽통(揷通)한 것이었는데, 예를 들면 도 32와 같이 회전축(60)과 개구(35c, 35d)와의 사이에 예를 들면 ABS수지를 비롯한 수지나 카본글라화이트, 스테인리스 등으로 제작한 부쉬가 부착된 미끄럼 베어링(118)이나 구름 베어링(119) 을 개재시킨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내용기부재(36)를 외용기부재(35)에 대하여 스무스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그 어느 것도 내용기부재(폐색부재)가 회전운동하여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인데, 폐색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폐색부재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셔터구조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를 후단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하는 약제불출장치를 측면측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A-A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8에 도시하는 약제불출장치의 용기형상부재와 폐색부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에 도시하는 약제불출장치에서는, 용기형상부재(116)는, 먼저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하에 개구(150, 151)를 가지는데, 먼저의 실시형태에서는 드럼형상의 부분을 가지고 있던 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 부분(117)이 대략 직방체이다. 그리고 용기형상부재(116)의 상부의 개구(150) 주변은, 지름이 크게 확장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형상부재(116)의 본체 부분(117)은, 상기한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이고, 상부와 저부를 제외한 4면이 벽에 의해서 덮어져 있는데, 그 중, 짧은 변을 형성하는 전후벽(121, 124)에 슬릿(122, 123)이 설치되어 있다. 슬릿(122, 123) 은, 전후벽(121, 124)의 편측(片側)이고 서로 동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단측이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색부재(120)는 셔터이다. 폐색부재(120)는, 용기형상부재(116)와는 독립하여 있고, 대략 판상의 본체부분(125)에 랙(128)과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26)가 설치된 것이다.
본체 부분(125)의 크기는, 상기한 용기형상부재(116)의 하부의 개구(151) 보다도 상당히 큰 것이고, 그 형상은 대략 장방형이다.
본체 부분(125)은, 얇은 강판을 그대로 사용하여 성형하여도 좋은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낙하한 정제를 손상되지 않도록, 강판층(140)의 상면에 우레탄수지 등에 의한 쿠션층(141)을 설치하고, 더욱이 그 상면에 저마찰수지층(142)을 설치하여 있다.
랙(128)은, 본체 부분(125)의 상면으로, 그 단부에 있고, 긴 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랙(128)은, 본체 부분(125)의 전체 길이의 70% 정도의 길이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색부재(120)의 일부에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26)가 설치되어 있다.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26)는 얇은 벽 형상으로, 상기한 판상의 본체 부분(125)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立設)하여 있다.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26)는, 낮은 벽 형상의 부위(129)와, 사다리꼴형상부(131)가 연속한 것이다. 사다리꼴형상부(131)는, 수직사다리꼴형상으로, 도 29, 도 31과 같이 윗변(140)과 경사변(141)과 수직변(142)을 가진다.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26)가 설치된 위치는, 본체부분(125)의 일방의 긴 변 을 따른 위치이다. 그리고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26)의 전체 길이는, 상기한 용기형상부재(116)의 본체부분(117)의 전체 길이에 상당한다.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26)의 사다리꼴형상부(131)는, 용기형상부재(116)의 본체부분(117) 보다도 짧고, 사다리꼴형상부(131)는, 폐색부재(120)의 일방의 길이가 짧은 측에 다가선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폐색부재(12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26)는 직선적이고 본체부분(125)의 긴 변과 평행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색부재(120)는 용기형상부재(116)로부터 독립하여 있고, 케이스부(30)의 저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즉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30) 내의 저부 근방에, 긴변을 따라서 가이드부재(143)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43)는, 길이가 긴 형상으로, 중앙부에 슬릿(144)이 설치되고, 해당 슬릿(144)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폐색부재(120)의 본체부분(125)의 양단이 가이드부재(143)의 슬릿(144)에 삽입되고, 폐색부재(120)는, 양겨드랑이의 상기 가이드부재(143)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용기형상부재(116)의 측면측에 구동부(130)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130)는, 먼저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기어드 모터(62)에 구동기어(63)가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구동부(130)의 구동기어(63)는, 상기한 폐색부재(120)의 랙(128)과 맞물려 있다. 그래서 구동부(130)의 기어드 모터(62)가 회전하면, 이것과 맞물린 랙(128)이 직선운동하고, 폐색부재(120)가 슬라 이드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폐색부재(120)와 용기형상부재(116)는 독립되어 있고, 용기형상부재(116)는, 폐색부재(120)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폐색부재(120)의 하부로, 용기형상부재(116)의 하부의 개구(151)에 상당하는 부위에는, 접속가이드(146)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가이드(146)는, 정제가 흘러넘치지 않도록 용기형상부재(11)의 하부의 개구(151)와, 후단의 이동호퍼(이송장치의 구성부재)를 접속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불출장치에서는, 폐색부재(120)가 가장 전진한 위치에 있을 때, 폐색부재(120)의 본체부분(117)이 용기형상부재(116)의 하부의 개구(151)와 일치하고, 해당 개구(151)를 폐색한다. 이 때, 폐색부재(120)에 설치된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26)의 사다리꼴형상부(131)의 대부분은, 도 29와 같이, 용기형상부재(116)의 슬릿(123) 내에 들어간다.
그리고 구동부(130)의 기어드 모터(62)가 회전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랙(128)이 직선운동하고, 폐색부재(120)가 슬라이드하고, 용기형상부재(116)의 하부의 개구(151)를 서서히 연다. 그리고 결국에는 폐색부재(120)는 용기형상부재(116)의 하부의 개구(151)를 떨어져나가고, 하부의 개구(151)를 완전히 개방한다.
이와 같이 폐색부재(120)가 슬라이드할 때,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26)의 사다리꼴형상부(131)가, 용기형상부재(116)의 내벽 근방을 문지른다.
즉 폐색부재(120)가 슬라이드하면,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26)의 사다리꼴형상부(131)는, 경사변(141)측을 선두로 하여 전진하고, 용기형상부재(116)의 내부를 가로 질러 타방측의 슬릿에 이른다.
그래서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25)가, 정제의 브리지의 일부를 긁어내고, 브리지를 붕괴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126)는 경사변(141)을 가지고, 경사변(141)측을 선두로 전진하기 때문에, 브리지와 당접하였을 때에 수직방향의 분력이 생기고, 정제 등을 들어올리도록 하여 브리지를 파괴한다. 그래서 작은 힘으로 브리지를 파괴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제 등을 손상시키는 일도 적다.
본 실시형태를 채용하여도, 브리지는 파괴되고, 약제불출장치 내에 들어간 정제는, 한 알도 정체하는 일 없이, 전량이 다음 공정측으로 배출된다.

Claims (25)

  1.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피이더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일단 유치와 동시에 유치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하고 적어도 하부가 개폐하는 용기형상부재를 구비하고, 용기형상부재의 내측의 둘레벽의 일부 또는 전부는 가동벽으로, 그 가동벽은, 용기형상부재의 하부를 열 때에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의 내측의 평면단면에는 길이가 긴 측과 길이가 짧은 측이 있고, 길이가 긴 측을 구성하는 둘레벽의 일방 또는 쌍방이 가동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가동벽은 회전하는 것으로, 적어도 일부에 원호형상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가동벽은. 약제가 모인 것이 예상되는 부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는,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지는 외용기부재와, 일부가 개구하고 이것에 대향하는 부위가 폐색하는 내용기부재를 가지고, 상기 내용기부재는 외용기부재 속에 있고, 내용기부재는 외용기부재 내에 있어서 반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는,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짐과 동시에 적어도 일부에 원호형상의 내벽을 가지는 외용기부재와, 상기 외용기부재에 내장된 내용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기부재는 상기 외용기부재의 원호형상의 내벽과 대략 합치하는 외벽을 가짐과 동시에 해당 외벽의 일부가 절취(欠落)하여 개구를 형성하고, 내용기부재는 외용기부재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것으로, 내용기부재가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 내용기부재의 외벽이 외용기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폐색하고, 내용기부재가 다른 소정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 내용기부재의 개구가 외용기부재의 개구와 합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는,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짐과 동시에 적어도 일부에 원호형상의 내벽을 가지는 외용기부재와, 상기 외용기부재에 내장된 내용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기부재는 상기 외용기부재의 원호형상의 내벽과 대략 합치하는 외벽을 가짐과 동시에 해당 외벽의 일부가 절취하여 개구를 형성하고, 내용기부재는 외용기부재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것으로,
    약제의 배출시에는, 내용기부재는 1회전반 이상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가지고, 해당 케이스부에 대하여 출몰 가능한 걸어맞춤부(係合部)와, 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시 돌출하고 있어서 가압부를 가압하였을 때에 케이스부 내에 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9.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피이더가 복수개 배치된 약제공급부와, 상기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일단 유치와 동시에 유치한 약제를 배출하는 청구항1항에 기재된 약제불출장치와, 상기 약제불출장치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소정의 용기 또는 포장부재에 충전하는 약제충전부를 가지는 약제충전장치.
  10. 복수의 약제피이더가 종횡 행렬상으로 배치되고, 1 또는 2이상의 약제피이더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공통통로가 형성되고, 각 공통통로의 하류측에 청구항1에 기재된 약제불출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약제불출장치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소정의 용기 또는 포장부재에 충전하는 약제충전부를 가지는 약제충전장치.
  11.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피이더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일단 유치와 동시에 유치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지는 용기형상부재와, 상기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폐색부재와,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를 가지고, 폐색부재가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열 때에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가 용기형상부재의 내벽의 일부 또는 내벽의 일부의 근방을 문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는,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지는 외용기부재와, 일부가 개구하고 이것에 대향하는 부위가 폐색하는 내용기부재를 가지고, 상기 내용기부재는 외용기부재 속에 있고, 하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폐색부재와,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를 가지고, 해당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내용기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해당 외용기부재의 내면을 문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외형이 비원형이고 외용기부재의 내면을 따라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는,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지는 외용기부재와, 일부가 개구하고 이것에 대향하는 부위가 폐색하는 내용기부재를 가지고, 상기 내용기부재는, 외용기부재 속에 있고, 외용기부재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하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폐색부재와,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를 가지고, 해당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암 형상으로, 외용기부재의 내면을 따라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폐색부재는 직선이동하는 셔터이고,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폐색부재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가지고, 해당 케이스부에 대하여 출몰 가능한 걸어맞춤부와, 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시 돌출하여 있어 가압부를 가압하였을 때에 케이스부 내에 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17.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피이더가 복수개 배치된 약제공급부와, 상기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일단 유치와 동시에 유치한 약제를 배출하는 청구항11에 기재된 약제불출장치와, 상기 약제불출장치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소정의 용기 또는 포장부재에 충전하는 약제충전부를 가지는 약제충전장치.
  18. 복수의 약제피이더가 종횡 행렬상으로 배치되고, 1 또는 2 이상의 약제피이더열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통통로가 형성되고, 각 공통통로의 하류측에 청구항11에 기재된 약제불출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약제불출장치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소정의 용기 또는 포장부재에 충전하는 약제충전부를 가지는 약제충전장치.
  19.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피이더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일단 유치와 동시에 유치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불출장치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에 개구를 가지는 용기형상부재와, 상기 용기형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폐색부재와,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를 가지고, 폐색부재가 용기형 상부재의 하부의 개구를 열 때에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가 용기형상부재 내를 가로 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폐색부재는 직선이동하는 셔터이고,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폐색부재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폐색부재는 직선이동하는 셔터이고, 긁어 떨어뜨리는 부재는, 경사변을 가지고 폐색부재와 일체화된 것이고, 폐색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서 상기 경사변측을 선두로 하여 용기형상부재의 내부를 가로 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용기형상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가지고, 해당 케이스부에 대하여 출몰 가능한 걸어맞춤부와, 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시 돌출하여 있어서 가압부를 가압하였을 때에 케이스부 내에 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23.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피이더가 복수개 배치된 약제공급부와, 상기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일단 유치와 동시에 유치한 약제를 배출하는 청구항19에 기재된 약제불출장치와, 상기 약제불출장치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소정의 용기 또는 포장부재에 충전하는 약제충전부를 가지는 약제충전장치.
  24. 본체부에 복수의 약제피이더가 종횡 행렬상으로 배치되고, 1 또는 2 이상의 약제피이더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공통통로가 형성되고, 각 공통통로의 하류측에, 상기 약제피이더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일단 유치와 동시에 소정의 개구를 열어 유치한 약제를 배출하는 약제불출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약제불출장치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소정의 용기 또는 포장부재에 충전하는 약제충전부를 가지는 약제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제불출장치는, 케이스부를 가지고, 해당 케이스부 내에 약제를 유치하는 용기와, 용기의 개구를 열기 위한 동력원이 내장되어 유닛화되고, 해당 케이스부에 대하여 출몰 가능한 걸어맞춤부와 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시 돌출하여 있어서 가압부를 가압하였을 때에 케이스부 내에 몰입하고, 본체부에는 상기 약제불출장치의 케이스부가 장착되는 칸막이가 있고, 해당 칸막이에 걸어맞춤공 또는 홈이 설치되고, 약제불출장치의 가압부를 가압하여 걸어맞춤부를 케이스부 내에 몰입한 상태에서 약제불출장치를 칸막이 내에 장착 가능하고, 걸어맞춤부가 칸막이에 설치된 걸어맞춤공 또는 홈과 걸어맞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충전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케이스부의 선단에는 케이스측 접속단자가 설치되고, 본체부의 칸막이 내에는 본체측 접속단자가 있고, 걸어맞춤공 또는 홈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걸어맞춤부가 칸막이에 설치된 걸어맞춤공 또는 홈과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케이스부를 슬라이드 시키고, 케이스측 접속단자와 본체측 접속단자를 접속 가 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충전장치.
KR1020067001851A 2003-07-31 2004-05-13 약제불출장치 및 약제충전장치 KR101148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84555 2003-07-31
JP2003284555 2003-07-31
PCT/JP2004/006450 WO2005011563A1 (ja) 2003-07-31 2004-05-13 薬剤払出し装置及び薬剤充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093A true KR20060058093A (ko) 2006-05-29
KR101148106B1 KR101148106B1 (ko) 2012-05-23

Family

ID=3411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851A KR101148106B1 (ko) 2003-07-31 2004-05-13 약제불출장치 및 약제충전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23748B2 (ko)
EP (1) EP1655012A4 (ko)
JP (1) JP4643448B2 (ko)
KR (1) KR101148106B1 (ko)
CA (1) CA2534297A1 (ko)
TW (1) TW200503924A (ko)
WO (1) WO2005011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2262B2 (ja) * 2005-09-30 2012-08-0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US8381491B2 (en) 2007-08-03 2013-02-26 Yuyama Mfg. Co., Ltd. Vial lid fastening device and medicine accommodating and removing device
US7984845B2 (en) * 2008-05-19 2011-07-26 Millercoors, Llc Regulated fluid dispensing system packaging
US8521326B1 (en) * 2008-07-23 2013-08-27 Innovation Associates, Inc. Canister arrangement for refilling pharmaceutical dispenser
JP5668685B2 (ja) * 2009-08-12 2015-02-1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US8989896B2 (en) * 2012-04-24 2015-03-24 Arthur E. Brown High efficiency automated pharmaceutical dispenser
US11246800B2 (en) * 2012-10-05 2022-02-15 Alixa Rx, Llc Locking canister for dispensing medications
US20140108028A1 (en) 2012-10-12 2014-04-17 Mckesson Automation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CN109152700B (zh) 2016-07-29 2022-04-15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分发装置
JP6830642B2 (ja) * 2016-09-14 2021-02-17 株式会社タカゾノ 薬剤供給装置
JP7220628B2 (ja) * 2019-06-25 2023-02-10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搬送装置および錠剤印刷装置
IT201900013821A1 (it) 2019-08-02 2021-02-02 Pharmathek S R L Apparato per la preparazione di contenitori di farmaci con contenuti personalizzati
KR102406371B1 (ko) * 2020-03-04 2022-06-08 (주)제이브이엠 의약품 전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전달 모듈
US11348398B1 (en) * 2020-09-08 2022-05-31 Express Scripts Strategic Developm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harmaceutical dispensi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8595A (en) * 1922-12-12 Carbide-dxschabging means
US1342456A (en) * 1919-04-23 1920-06-08 August C Ronda Loading device
US2532698A (en) * 1945-10-12 1950-12-05 Lloyd A Corkins Dispensing apparatus for dispensing measured amounts of granular material
JPS5357675A (en) * 1976-11-02 1978-05-25 Pentel Kk Cylindrical shaft feeder
DE3131620A1 (de) * 1981-08-10 1983-02-24 Karl Beck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3525 Oberweser Vorrichtung zum vereinzeln und ablegen von koernigem gut
JPS59103814A (ja) * 1982-12-06 1984-06-15 湯山 正二 薬剤分包機における分包材料の供給装置
US5348061B1 (en) * 1992-12-01 1999-10-12 Baxter Int Tablet accumulator for an automated prescription vial filling system
DK58293D0 (da) * 1992-12-11 1993-05-19 System Feed Inc Fremgangsmaade til emballering af morgenmadsprodukter
US5647508A (en) * 1995-08-30 1997-07-15 Ronci; Michael Container display stand and containers therefore
FR2753087B1 (fr) * 1996-09-09 1999-02-12 Biostat Distributeur modulaire de poche de medicaments
JPH10310195A (ja) * 1997-05-09 1998-11-24 Nippon Steel Corp 粒塊状物用ホッパーの棚掛け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WO2000018644A1 (en) * 1998-09-29 2000-04-06 Sanyo Electric Co., Ltd. Drug feeder
JP2000103402A (ja) * 1998-09-29 2000-04-11 Sanyo Electric Co Ltd 薬剤供給装置
US6170230B1 (en) * 1998-12-04 2001-01-09 Automed Technologies, Inc. Medication collecting system
US6481180B1 (en) 1999-05-20 2002-11-19 Sanyo Electric Co., Ltd. Solid preparation filling apparatus
JP3778744B2 (ja) * 1999-11-09 2006-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固形製剤充填装置
JP4444414B2 (ja) * 1999-11-01 2010-03-3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JP2002240806A (ja) * 2001-02-19 2002-08-28 Maki Mfg Co Ltd 農産物の箱詰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5012A4 (en) 2008-01-16
US7823748B2 (en) 2010-11-02
EP1655012A1 (en) 2006-05-10
CA2534297A1 (en) 2005-02-10
JP4643448B2 (ja) 2011-03-02
JPWO2005011563A1 (ja) 2006-11-16
TW200503924A (en) 2005-02-01
US20060243738A1 (en) 2006-11-02
KR101148106B1 (ko) 2012-05-23
WO2005011563A1 (ja) 200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106B1 (ko) 약제불출장치 및 약제충전장치
US7178688B2 (en) Portable medication dispenser
US8950166B2 (en) Automated solid pharmaceutical packaging machine utilizing robotic drive
KR100979611B1 (ko) 약제 포장 장치
US7334700B2 (en) Medicine supplying apparatus
DK2870072T3 (en) medicine dispensers
KR102399754B1 (ko) 약제 카세트, 약제 불출 장치 및 약제 포장 장치
HUE029244T2 (en) Dispenser and dispenser
KR100828586B1 (ko) 약제공급장치
KR20070109998A (ko) 약제 포장 장치
CA2987640C (en) Medication dispenser depilling mechanism
KR100955946B1 (ko) 약제포장기의 이송장치
JP3778743B2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7142959B2 (ja) 薬品類払出装置
KR20180127827A (ko) 약제 포장장치
TWI665133B (zh) 取藥機構
JPH0223401B2 (ko)
JP3778744B2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3937160B2 (ja) 薬剤供給装置
CN110540001B (zh) 取药机构
KR20100036922A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JPS62122903A (ja) 錠剤供給機
JPH08133421A (ja) 注射薬品払出装置
JPH03177209A (ja) 薬品の供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