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694A -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694A
KR20060057694A KR1020040096692A KR20040096692A KR20060057694A KR 20060057694 A KR20060057694 A KR 20060057694A KR 1020040096692 A KR1020040096692 A KR 1020040096692A KR 20040096692 A KR20040096692 A KR 20040096692A KR 20060057694 A KR20060057694 A KR 20060057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terminal
cover
hous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종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6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7694A/ko
Publication of KR2006005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착탈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배터리 셀이 수납되는 배터리 팩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소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단자 부근에 설치하되 상기 단자를 선택적으로 커버링할 수 있도록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가압하여 배터리 팩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커버가 단자를 커버링할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여, 배터리 팩의 외부에 노출되는 단자를 소정의 커버에 의해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도전성 이물질에 의해 배터리 팩의 단자 끼리 접속하여 폭발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Figure 112004054894413-PAT00001
배터리 팩, 커버, 가압 수단, 단자, 충전 장치

Description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DEVICE FOR PROTECTING TERMINAL OF BATTERY PACK}
도 1은 일반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이 적용되는 배터리 팩 충전기의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이 배터리 팩 충전기에 접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단말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은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착탈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 팩(rechargeable battery pack)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 팩의 외부에 노출되는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무선단말기,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등 각종 전자 기기에는 전원이 소모되면 기기와 분리시켜 소정의 충전 장치에 의해 재충전시켜 사용하는 충전식 배터리 팩을 사용한다. 상기 충전식 배터리 팩은 내부에 소정의 배터리 셀(battery cell)이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 셀에서 인출되는 전원 단자가 상기 배터리 팩의 외부 적소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기에 배터리 팩이 장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충전 장치에 상기 배터리 팩이 설치된 기기를 장착하여 충전할 수도 있도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전자 기기 중 휴대용 무선단말기(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착탈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 팩에 적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단말기(100)는 본체인 메인 바디(110)와 상기 메인 바디(110)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유동가능한 슬라이드 바디(120)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상에는 전면에 걸쳐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컬러 와이드 엘씨디 모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상부에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스피커폰 장치(1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하측으로는 적어도 하 나의 키패드 어셈블리(122)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22)는 네이게이션 키버튼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가 메인 바디(110)상에서 개방되었을 때 보이는 메인 바디(110)의 면상에는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한 다른 키패드 어셈블리(111)가 설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숫자 키 버튼(3×4 키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11)의 하측으로는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장치(11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의 상부 일측에는 안테나 장치(113)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의 후면에는 단말기의 전원 공급 수단인 소정의 배터리 팩(130)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배터리 팩(130)의 내부에는 소정의 배터리 셀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원 공급 단자(131)가 상기 배터리 팩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2의 경우에 있어서, 도시된 단자(131)는 충전 단자로써, 단말기에 배터리 팩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충전 장치에 수납시켜 충전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팩(130)을 단말기(100)에서 분리시켜 배터리 팩(130)만을 충전 장치에 충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배터리 팩(130)의 단말기 장착면상에는 상기 후면의 충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단자가 노출되어 단말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팩의 전면 및 후면에 노출되는 단자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재충전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단자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외부의 동전 및 악세사리등의 금속 물질에 의해 단자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폭발등의 위험적 요소가 동시에 내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재충전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단자간의 불필요한 전기적 접촉을 미연에 방지하여 폭발등의 위험성을 배제시킨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팩의 단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착탈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 팩에 있어서, 소정의 배터리 셀이 수납되는 배터리 팩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적소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단자 부근에 설치하되 상기 단자를 선택적으로 커버링할 수 있도록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가압하여 배터리 팩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커버가 단자를 커버링할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가압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사용된 배터리 팩 및 이를 충전시키는 충전 장치와 단말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기술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다. 공히 본 발명은 각종 기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충전식 배터리 팩(rechargeable battery pack)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로써, 배터리 팩(battery pack)(10)은 소정의 하우징 내부에 배터리 셀(battery cell)(17)이 수납된다. 상기 배터리 셀(17)은 상기 배터리 팩(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11)는 배터리 팩(10)의 일측에 노출될 수 있으며,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적용되는 배터리 팩의 경우에는 상기 단자는 배터리 팩의 전면 및 후면에 동시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하나의 단자는 단말기의 전원 공급용 단자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단자는 소정의 충전 장치에 접속되는 충전 단자로써 사용될 수 있다.
그후, 상기 단자(11)가 위치되는 배터리 팩상에 상기 단자(11)를 선택적으로 커버링할 수 있는 커버(13)를 설치한다. 상기 커버는 비 도전성 재질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공지의 가이드 수단에 의해 상기 단자(11)를 선택적으로 가릴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수단은 배터리 팩(10)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 슬릿(12)에 상기 커버(13)의 양단이 삽입되어 가이드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13)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13)를 항상 상기 단자를 가릴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가압 수단으로는 소정의 압축 코일 스프링(15)이 사용되었으나, 설치 공간 및 조건 에 따라 토션 스프링등 공지의 다양한 탄성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13)의 일부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상기 커버(1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커버(13)의 일부에 돌기(미도시 됨)를 형성시키고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커버(13)가 이동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이 적용되는 배터리 팩 충전기의 구성도로써, 배터리 팩(10)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장치(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충전 장치(20)는 미도시된 공지의 충전 회로를 포함하며, 배터리 팩(10)이 장착되는 장착부(21)에는 소정의 충전 단자(22)가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10)을 장착하게 되면, 상기 충전 단자(22)에 배터리 팩(10)의 단자(11)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충전 동작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충전 단자(22)의 상부, 즉 배터리 팩(10)의 단자(11)가 이동하는 유동 범위내에는 소정의 걸림 돌기(2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 돌기(23)는 상기 배터리 팩(10)이 충전 장치(20)의 충전부(21)에 장착될 때, 상기 커버(11)의 돌출된 단부에 걸려 상기 커버(11)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이 배터리 팩 충전기에 접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로써, 최초 배터리 팩(10)을 충전 장치(20)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배터리 팩(10)의 단자(11)는 커버(13)에 의해 커버링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는 상기 배터리 팩(10)이 본래의 동작, 즉 전원 공급 동작이나 충전 동작 이외의 위험한 동작 수행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 팩을 휴대 중 동전이나 핀등과 같은 소정의 도전 물질에 의해 단자 끼리 접속되어 폭발하는 등의 위험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이 충전 장치의 충전부에 완전히 장착되면, 상기 충전부(21)에 돌출된 걸림 돌기(23)에 상기 배터리 팩(10)의 커버(13)의 일부가 걸리므로써, 상기 커버(11)는 압축 코일 스프링(15)의 가압을 받으면서 상승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배터리 팩(10)이 충전 장치(20)의 충전부(21)에 완전히 장착되면, 상기 배터리 팩(10)의 단자(11)가 충전 장치(20)의 단자(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충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배터리 팩(10)의 충전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배터리 팩(10)을 충전 장치(20)에서 이탈시키게 되면, 상기 배터리 팩(10)의 커버(13)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15)의 가압을 받으면서 원래의 위치인 단자(11)를 가릴 수 있는 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데, 상기 커버(11)는 상기 배터리 팩(10)에 긴밀한 설치 구성을 갖는다면 생활 방수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단말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써, 단말기(30)의 후면의 배터리 팩 장착부(31)에 배터리 팩(10)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단말기(30)의 배터리 팩 장착부(31)상에는 배터리 팩(10)에 설치된 커버(13)의 일부를 배터리 팩 장착과정 중에 밀어 올릴 수 있는 걸림 돌기(33)를 형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10)이 단말기(30)의 배터리 팩 장착부(30)에 장착되면 상기 배터리 팩(10)의 단자(11)는 자연스럽게 상기 단말기(30)의 전원 단자(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돌기에 의해 배터리 팩을 장착할 때, 상기 커버를 밀어 올리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배터리 팩을 장착하는 과정 중에 상기 배터리팩의 단자를 커버링하고 있는 커버를 이동시키고 단자끼리의 전기적 접속을 구현할 수 있는 다른 구조 역시 가능할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는 배터리 팩을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되어도 외부에 노출되는 단자를 소정의 커버에 의해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도전성 이물질에 의해 배터리 팩의 단자 끼리 접속하여 폭발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각종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착탈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 팩에 있어서,
    소정의 배터리 셀이 수납되는 배터리 팩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소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상기 하우징의 단자 부근에 설치하되, 상기 단자를 선택적으로 커버링할 수 있도록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상기 커버를 가압하여 배터리 팩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커버가 단자를 커버링할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가압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단자를 지나도록 배터리 팩 하우징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 슬릿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에 설치되는 커버는 외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부가 돌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장착 부분에는 상기 배터리 팩의 장착 과정 중에 상기 커버를 이동시켜 배터리 팩의 외부로 노출된 단자와 기기의 전원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커버를 단자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압축 코일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
KR1020040096692A 2004-11-24 2004-11-24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 KR20060057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692A KR20060057694A (ko) 2004-11-24 2004-11-24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692A KR20060057694A (ko) 2004-11-24 2004-11-24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694A true KR20060057694A (ko) 2006-05-29

Family

ID=3715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692A KR20060057694A (ko) 2004-11-24 2004-11-24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76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224B1 (ko) * 2013-11-04 2014-11-21 주식회사디아이 번인보드의 커넥터 보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224B1 (ko) * 2013-11-04 2014-11-21 주식회사디아이 번인보드의 커넥터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273B1 (ko) 절첩 가능한 전자 장치용 라이트 가이드
KR100420279B1 (ko) 전자파 발생을 최소화한 휴대용 통신 장치
EP2182608B1 (en) Docking charger for charging a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or without a protective cover case fitted thereon
JPH05328621A (ja) 充電器装置
KR100631046B1 (ko) 단락방지스위치를 구비한 이동통신장치의 배터리팩
JP2006504240A (ja) 外装型電池パック
KR101868289B1 (ko) 이동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060057694A (ko) 배터리 팩 단자 보호 장치
JP2008288151A (ja) 防水端子構造
KR101162552B1 (ko) 이동단말기용 충전 시스템
JP4340088B2 (ja) 携帯端末
US20060097693A1 (en) Battery pack having short circuit prevention function
JP4000308B2 (ja) 充電用コネクター及び充電台
JP4165006B2 (ja) 充電器
JPH11307070A (ja) 電池パック
KR1005857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구조
KR101123747B1 (ko) 외장형 메모리카드 슬롯을 갖는 이동단말기
KR100260750B1 (ko) 무선단말기의 밧데리 장착장치
KR200359958Y1 (ko) 단락 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배터리 및 이에 적합한충전 거치대
JP2003348759A (ja) 電力供給装置及び電力供給方法
KR20060093473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출몰식 안테나 장치
KR200165484Y1 (ko) 이동 통신 기기용 배터리 팩
JP3148594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3420124B2 (ja) 携帯電話機用卓上ホルダ
KR20190120595A (ko) 이중 충전식 휴대단말기용 배터리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