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519A -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및 3층 이상의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및 3층 이상의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519A
KR20060057519A KR1020050112407A KR20050112407A KR20060057519A KR 20060057519 A KR20060057519 A KR 20060057519A KR 1020050112407 A KR1020050112407 A KR 1020050112407A KR 20050112407 A KR20050112407 A KR 20050112407A KR 20060057519 A KR20060057519 A KR 20060057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web
thickness
film
thermal curing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5874B1 (ko
Inventor
제바스티안 조머
데트레프 프라이
옌스 귀덴
Original Assignee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filed Critical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Publication of KR20060057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reinforced with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 D04H3/10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by nee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38Coating or impregnation intended to function as an adhesive to solid surfaces subsequently associated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2Needled 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의 한 층이 연속 필라멘트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부직포 웹에 의해 형성된,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고온 유체의 작용에 의해 열 경화된 부직포 웹이다. 부직포 웹의 상측과 하측 양측에는 라미네이트의 추가 층을 배치하여 부직포 웹에 단단히 결합시킨다.
라미네이트, 부직포

Description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및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A LAMINATE CONSISTING OF AT LEAST THREE LAYERS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CONSISTING OF AT LEAST THREE LAYERS}
도 1은 기계적 니들링(mechanical needling) 후의 부직포 웹의 최종 두께와 니들링 밀도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니들링 밀도를 작게 하면 기본적으로 원래의 부직포 웹 두께(니들링 밀도가 0인 부직포 웹 두께)에 비해 부직포 웹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니들링 밀도가 커지고 그에 따라 더 집중적인 기계적 니들링이 수행될수록, 이러한 방식으로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오히려 니들링 밀도 및 집중 기계적 니들링의 증가에 의해 부직포 웹의 두께는 감소된다.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의 한 층이 연속 필라멘트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부직포 웹으로부터 형성된,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연속 필라멘트는 열가소성 합성 소재로 제조된다. 이하에서 는, 연속 필라멘트를 필라멘트로 칭하기도 한다. 연속 필라멘트는 방적기에 의해 표면 상의 엉킨 플리스(fleece)의 형태로 제조된다. 그 후 엉킨 플리스 또는 부직포 웹은 일반적으로 경화시킨다.
상술한 유형의 라미네이트는 한 층이 부직포 웹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실시 형태가 알려져 있다. 부직포 웹은, 예를 들어 필름으로 피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라미네이트에 사용되는 부직포 웹은 일반적으로 집중 캘린더링에 의해 경화시킨다. 이러한 집중 경화 방법에 의해 부직포 웹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고도로 축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직포 웹 또는 부직포 웹을 갖는 라미네이트가 제조되지만, 그 휨강도는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부직포 웹을 갖는 상기한 공지의 라미네이트의 경우에도 반드시 고도의 휨강도가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부직포 웹 및 필름으로 제조된 공지의 라미네이트는 그 밖의 단점도 가지고 있다. 부직포 웹의 집중 캘린더링으로 인하여, 캘린더 지점의 영향에 의해 해당 부직포 웹 표면에 만입이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외관이 울퉁불퉁해진다. 예를 들어, 필름을 이 부직포 웹 표면 상에 접착체로 접착시킨다면, 부직포 웹 표면의 불균일한 곳을 메우기 위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다량의 접착제를 사용하여야 하거나, 또는 필름이 부직포 웹 표면의 일부분에만 접착되어 필름과 부직포 웹 사이에 비교적 약한 결합이 형성된다. 반대로, 용융 코팅에 의해 불균일한 부직포 웹 표면 상에 필름을 적용할 경우, 이것은 적용된 필름에 굴곡형 또는 조면형 외면을 형성하여, 최종 라미네이트는 심미적 외관의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게 된다. 게다가, 조면형 또는 굴곡형의 라미네이트 표면으로 인하여, 이후의 인쇄적성이 더 악화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기술적 과제는, 층들이 한편으로는 유효하고 서로 단단히 결합될 뿐만 아니라, 높은 표면 품질과 최적의 심미적 외관을 갖는 것이 특징이며, 또한 고도의 휨강도를 갖는, 본원의 서두에서 명시한 유형의 라미네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상기한 유형의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를 제공하는데, 이 라미네이트의 한 층은 연속 필라멘트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부직포 웹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부직포 웹은 고온 유체의 작용에 의해 열 경화된 부직포 웹이며, 이 부직포 웹의 상측과 하측 양측에 필름이 배치되고, 이 필름은 접착제 접합에 의해 또는 용융 코팅에 의해 부직포 웹에 단단히 결합된다.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고온 유체에 의한 부직포 웹의 열 경화는 고온 공기 경화에 의해 실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부직포 웹의 경화가 고온 유체 또는 고온 공기에 의한 열 경화로서만 실시되고, 캘린더링 및/또는 니들링에 의한 예비 경화는 실시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라미네이트에 대해 상술한 부직포 웹은 열 경화 전에 약간 또는 저도(small extent)로 캘린더링 또는 니들링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는, 중간층은 부직포 웹에 의해 형성되고, 외측의 두 층 은 각각 필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3-층 또는 3-단 라미네이트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합성 소재로 제조된 필름 또는 필름들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에는, 필름 중 하나는 부직포 웹의 상측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는 부직포 웹의 하측에 부착되는, 열가소성 합성 소재로 제조된 2개의 필름이 사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이 필름은, 예를 들어 적절한 폭의 슬릿 공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압출된 합성 필름이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웹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합성 필름,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웹의 양측에 부착된 2개의 합성 필름은 부직포 웹 필라멘트의 원료이기도 한 합성 소재 50 중량% 이상으로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전체 라미네이트의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이 단 하나의 합성 소재,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다. 라미네이트의 추가 구성요소들은, 특히 부직포 웹에 접합되는 추가 층에 사용되는 광물질 성분일 수 있다. 합성 필름이 부직포 웹에 접합될 경우, 이들 필름들은, 예를 들어 탄산칼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웹에 직접 접합되는 필름은 접착제 결합에 의해 또는 용융 코팅의 형태로 부직포 웹에 단단히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부직포 웹에 단단히 결합되는"이란, 필름이 부직포 웹에 느슨하게 배치된 것이 아니라 쉽게 또는 상당한 힘 없이는 부직포 웹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없음을 의미한다. 필름(들)을 접착제 접합에 의해 부직포 웹에 부착시킬 경우,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는, 부직포 웹과 이와 직접 접합되는 필름 사이에 핫멜트 접착제 접합이 실시된다. 또한 본 발명 의 한 측면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용융 코팅에 의해 필름(들)을 부직포 웹에 부착시킨다. 그 후 하나의 필름 또는 두 개의 필름을 용융물 또는 용융액 형태로 부직포 웹에 적용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에서는 먼저, 방적기에 의해 연속 필라멘트를 제조하여 표면 상에 엉킴 플리스 또는 또는 부직포 웹으로서 부착시키고, 부착된 엉킴 플리스 또는 부직포 웹을 고온 유체에 의해 열 경화시키는데, 부직포 웹의 이러한 열 경화는 열 경화 후의 부직포 웹의 두께가 열 경화 전의 부직포 웹의 두께의 40% 이상이 되도록 실시하며, 그 후에 열 경화된 부직포 웹은 그 상측과 하측 양측에서 필름에 단단히 결합시킨다. "단단한 결합"이란 용어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한 측면에서, 부직포 웹의 열 경화가 저도(small degree)의 예비 경화 없이 실시된다면, 부직포 웹의 이러한 열 경화는, 열 경화 후의 부직포 웹의 두께가 열 경화 전의 부직포 웹의 두께의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 되도록 실시한다. 저도의 캘린더링 또는 저도의 니들링에 의해 열 경화 전에 저도의 예비 경화를 실시한다면, 부직포 웹의 열 경화는 열 경화 후의 부직포 웹의 두께가 저도의 예비 경화 후와 열 경화 전의 부직포 웹의 두께의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 되도록 실시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부직포 웹의 두께는 부직포 웹의 세로 길이 또는 부직포 웹의 면 또는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플리스의 길이에 대하여 층면(laminar surface)에 대해 직각으로의 플리스의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직포 웹은 경화시킨 후 최종적으로 고온 유체 매질, 특히 고온 공기를 이용하여 경화시킨다. 여기서 "경화"란 부직포 웹 또는 부직포 웹의 필라멘트의 열적 접합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고온 유체 매질은 부직포 웹을 통과하여 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경화 장치로서 또는 열적 접합 장치로서 고온 공기 오븐이, 특히 드럼 건조기의 형태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경화는 고온 공기 경화 건조기에서 실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경화는 부직포 웹의 두께가 감소되지 않도록 또는 실질적으로 감소되지 않도록 고온 유체 매질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이를 위해, 고온 유체 매질이 효력을 나타내는 시간의 길이 및/또는 고온 유체 매질의 온도 및/또는 고온 유체 매질의 유효량은 그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동시에 열 경화는 부직포 웹의 두께가 가능한 한 크게 유지되도록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 실시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열 경화는 필라멘트 합성 소재의 연화점과 융점 사이에 위치하는 경화 온도에서 실시한다. "필라멘트 합성 소재"란 필라멘트의 원료가 되는 합성 소재를 의미한다. 부직포 웹과 필라멘트의 열적 접합은 특정한 온도 범위 내에서 실시한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경화는 더 낮은 온도도 충분한 열적 고정과는 다르다. 부직포 웹 내의 필라멘트의 일부가 그 융점에 일시적으로 도달하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접한 필라멘트들 사이에 유효 결합이 형성된다. 섬유 혼합물 및/또는 이성분 필라멘트 또는 다성분 필라멘트가 부직포 웹에 사용된다면, 전술한 경화 온도는 최저 융점의 합성 소재에 의해 또는 이성분 또는 다성분 필라멘트에 의해 필라멘트 표면 내의 최저 융점의 합성 소재에 의해 결정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면, 부직포 웹은 오직 열 경화만을 실시하는 것뿐 아니라, 최종 열 경화 전에 약간 또는 저도로 예비 경화시킨다. 이러한 약간의 예비 경화에 의해, 부직포 웹은 열 경화 단계로의 전달을 위해 안정해져야 하고 열 경화 중에 부직포 웹에 가해지는 힘, 특히 공기역학적 힘을 견딜 수 있도록 안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르면, 약간의 예비 경화는 저도의 캘린더링에 의해 실시한다. 특정 부직포 웹의 통상적인 캘린더링과 비교하여 "저도의 캘린더링"은 캘린더링을, 캘린더 롤의 감소된 온도 및/또는 캘린더 롤의 감소된 접촉 압력 또는 선형 하중에서 실시함을 의미한다. 저도의 캘린더링에 의하면, 부직포 웹 표면 가까이의 필라멘트는 실질적으로 서로 결합된다. 캘린더링은, 캘린더링 후에 서로 결합되는 필라멘트가 (부직포 웹의 두께에 대하여) 캘린더링 전의 부직포 웹의 상부 1/5 지점과 하부 1/5 지점에 80%,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 배치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약간 캘린더링된 부직포 웹의 최대 인장 강도가 이 부직포 웹에 대하여 달성 가능한 최대 인장 강도의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최대 45%가 되도록 실시한다. 최대 인장 강도는 DIN 53816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최대 인장 강도"란 캘린더 롤의 접촉 압력 및/또는 온도에만 변화를 주고 동일한 조건(플리스 특성, 플리스 부착, 제조 속도 등) 하에, 해당 캘린더로 달성할 수 있는 최대값인 최대 인장 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설정된 부직포 웹의 최대 인장 강도는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이 제공된다. 캘린더 또는 캘린더 롤의 접촉 압력 및/또는 온도는 먼저 캘린더링된 부직포 웹에 대하여 가능한 최대 및 최고의 최대 인장 강도가 제공되도록 변화시킨다. 따라서 이는 캘린더링에 의해 최대 경화시킨 소정의 부직포 웹에 대한 가능한 최고의 최대 인장 강도이다. 그 밖에는 (최대 최고 인장 강도를 측정할 때와) 동일한 조건 하에 최대 최고 인장 강도의 50% 미만 또는 최대 45%의 본 발명에 따른 값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캘린더 및 캘린더 롤의 접촉 압력 및/또는 온도를, 본 발명에 따른 최대 인장 강도의 값에 도달할 때까지 변화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저도의 캘린더링은, 약간 캘린더링된 부직포 웹의 두께가 저도의 캘린더링 전의 부직포 웹의 두께의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 되도록 실시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저도의 캘린더링은, 약간 캘린더링된 부직포 웹의 두께가 저도의 캘린더링 전의 부직포 웹의 두께의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 되도록 실시한다. "저도의 캘린더링 전의 부직포 웹의 두께"는 캘린더 또는 캘린더링 장치로 공급되기 직전의 부직포 웹의 두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부직포 웹은 사전에, 즉 부착 후에, 출구 메이팅 롤을 통과하였다. 따라서 저도의 캘린더링을 위한 조건은 부직포 웹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감소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는 특히 캘린더 롤의 온도 및/또는 접촉 압력을 상응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및/또는 캘린더 롤의 스탬핑(stamping) 표면의 크기를 상응하도록 선택함으로써 및/또는 캘린더 롤의 스탬핑 패턴을 선택함으로써 실시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캘린더 롤의 온도는 필라멘트 합성 소재의 융점보다 50℃ 낮은 온도에서 필라멘트 합성 소재의 융점까지의 온도 범위 내에 속한다. 섬유 혼합물이 사용되거나 이성분 필라멘트 또는 다성분 필라멘트가 사용된다면, 전술한 온도 범위는 최저 융점 합성 소재에 따라 또는 이성분 필라멘트/다성분 필라멘트에 의해 필라멘트 표면 내의 최저 융점 필라멘트 합성 소재의 융점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캘린더 온도는 캘린더 롤에 대해 측정된 표면 온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10∼120 daN/cm, 바람직하게는 20∼60 daN/cm의 캘린더 롤의 선형 하중이 저도의 캘린더링에 대해 설정된다. 캘린더는 3∼35%, 바람직하게는 5∼20%의 스탬핑 표면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저도의 캘린더링에 대해 높은 캘린더 온도가 설정된다면, 캘린더 롤의 접촉 압력 및 선형 하중은 그에 따라 더 낮게 설정해야 한다. 반면에, 저도의 캘린더링을 위해 캘린더 롤에 대하여 높은 접촉 압력 또는 선형 하중이 설정된다면, 캘린더 롤 온도는 그에 따라 더 낮게 선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제2 변형예에 따르면, 부직포 웹은 열 경화만을 실시하는 것뿐 아니라 저도의 기계적 니들링에 의해 또는 저도의 수력학적 니들링에 의해 최종 열 경화 전에 예비 경화시킨다. 저도의 기계적 니들링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기계적 니들링은 일반적으로 니들 빔(needle beam(s))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이러한 점에서, 기계적 니들링은 수류(water- jet)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수력학적 니들링과는 다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부직포 웹의 예비 경화는 저도의 니들링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며, 최종 열 경화는 고온 유체에 의해 실시한다. 따라서 부직포 웹의 캘린더링 또는 저도의 캘린더링은 실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저도의 니들링은 부직포 웹의 두께가 저도의 니들링 후에 가능한 한 크게 유지되도록 또는 감소하지 않도록 또는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증가하도록 종래의 니들링법에 의한 것보다 부직포 웹의 니들링을 덜 집중적으로 실시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저도의 기계적 또는 수력학적 니들링은 기계적으로 니들링된 부직포 웹의 두께가 저도의 니들링 전의 부직포 웹의 두께의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 되도록 실시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기계적으로 니들링된 부직포 웹의 두께가 저도의 니들링 전의 부직포 웹의 두께의 95%를 초과한다. "저도의 니들링 전의 부직포 웹의 두께"란 니들링 장치로 공급되기 직전의 부직포 웹의 두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부직포 웹은 사전에, 즉 부착 후에 출구 메이팅 롤을 통과하였다. 따라서, 저도의 니들링에 의하면, 부직포 웹의 두께 감소가 가능한 한 최저로 발생하며, 바람직하게는 두께 감소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웹의 두께가 증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저도의 기계적 니들링이 수행된다.
부직포 웹으로의 니들 침투(plunging)가 필라멘트를 결합시키고 이들 필라멘 트를 플리스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전환시켜, 이들을 니들이 침투되는 표면 반대쪽에 위치하는 플리스 표면으로부터 돌출시킨다는 점에서, 부직포 웹의 저도의 기계적 니들링에 의해 두께 증가가 실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직포 웹의 가로 길이 및 두께가 증가한다. 이 효과는, 단지 약간의 또는 비집중적 니들링이 수행되는 경우에만, 특히 저밀도 니들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만 실현될 수 있다. 부직포 웹의 기계적 니들링을 위한 니들은 흔히, 각각 동시에 필라멘트를 수용하여(take up) 이들을 플리스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전환시키는 위치에 있는 복수의 만입부(indent)를 갖는다. 따라서 만입부는 필라멘트를 수용부(take-up element)이다. 니들링 밀도는 부직포 웹 면 또는 표면 1 cm2당 제품이 접하는 만입부 또는 수용부의 수로서 정의된다. 니들이 단지 하나의 만입부 또는 단지 하나의 수용부를 가질 경우, 니들링 밀도는 부직포 면 또는 표면 1 cm2당 니들 삽입의 수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기계적 니들링은 니들링 밀도 30/cm2∼360/cm2, 바람직하게는 100/cm2∼300/cm2,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cm2∼240/cm2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니들링 깊이를 2∼15 mm, 바람직하게는 5∼12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7∼11 mm로 하여 저도의 기계적 니들링을 수행한다. 니들링 깊이는 니들이 침투되는 표면 반대쪽에 위치하는 플리스 표면으로부터 니들이 돌출되는 최대 깊이(니들 첨단으로부터 반대쪽 표면까지의 간격)에 해당한다. 기계적 니들링은 부직포 웹의 상측으로부터 또는 부직포 웹 의 하측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기계적 니들링은 부직포 웹의 양측으로부터, 즉 상측과 하측 양측으로부터 실시한다. 또한, 부직포 웹의 두께는 DIN EN 29703 파트 2에 따라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열 경화된 부직포 웹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추가의 층들 중 적어도 하나가 용융 코팅에 의해 부직포 웹에 적용된 열가소성 합성 소재로 제조된 필름이라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열 경화된 부직포 웹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추가 층이 모두 이러한 유형의 융용 코팅에 의해 부직포 웹의 양측에 적용된 열가소성 합성 소재로 제조된 필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경화된 부직포 웹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추가 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접착제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부직포 웹에 접착된 열가소성 합성 소재로 제조된 필름이다. 이러한 구체예에 있어서, 열 경화된 부직포 웹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추가 층들이 모두, 접착제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부직포 웹에 접착된 열가소성 합성 소재로부터 제조된 필름인 것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부직포 웹의 한 면에는 열가소성 합성 소재로 제조된 필름을 용융 코팅에 의해 적용하고, 부직포 웹의 반대쪽 면에는 열가소성 합성 소재로부터 제조된 필름을 접착제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부직포 웹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필름은 1-층 필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이러한 호일은 복수의 호일로 제조된 라미네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른 처리 방법에 의해, 즉 부직포 웹의 저도의 매우 신중한 예비 경화와 고온 유체에 의한 최종 열 경화에 의해, 경화된 플리스의 연속 필라멘트가 부직포 웹의 면 또는 표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도록 할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 방법으로 인하여 플리스 두께를 크게 유지할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한 것이다.
전술한 특성들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의 휨강도를 놀라울 정도로 높은 수준으로 만든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웹의 처리에 의하면, 매우 균일하고 평탄한 부직포 웹 표면이 얻어진다. 이러한 부직포 웹 표면을 피복할 경우, 예를 들어 적용되는 필름이 매우 균일하고 평활하며, 바람직하지 않은 굴곡이나 바람직하지 않은 조면도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미네이트는 외관 및 심미성에 관한 모든 요건을 충족시킨다. 이러한 점에서, 종래 기술에 공지된 라미네이트와 비교하여 현저한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7)

  1.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로서, 이 라미네이트의 한 층은 연속 필라멘트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부직포 웹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부직포 웹은 고온 유체의 작용에 의해 열 경화된 부직포 웹이고, 이 부직포 웹의 상측과 하측 양측에는 필름이 배치되며, 상기 필름은 접착제 접합에 의해 또는 용융 코팅에 의해 부직포 웹에 단단히 결합되는 것인 라미네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은 열가소성 합성 소재로 제조된 것인 라미네이트.
  3.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먼저 방적기에 의해 연속 필라멘트를 제조하여 표면 상에 부직포 웹으로서 부착시키고, 고온 유체에 의해 상기 부직포 웹의 열 경화를 추가로 실시하는데 부직포 웹의 이러한 열 경화는 열 경화 후의 부직포 웹의 두께가 열 경화 전의 부직포 웹의 두께의 40% 이상이 되도록 실시하며, 그 후 열 경화된 부직포 웹은 그 상측과 하측 양측에서 필름에 단단히 결합시키는 것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부직포 웹의 열 경화는 열 경화 후의 부직포 웹의 두께가 열 경화 전의 부직포 웹의 두께의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 되도록 실시하는 것인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부직포 웹은 열 경화 전에 저도(small degree)의 캘린더링에 의해 예비 경화시키는 것인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직포 웹은 열 경화 전에 저도의 기계적 니들링에 의해 예비 경화시키는 것인 방법.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부직포 웹에 접착시키는 것인 방법.
KR1020050112407A 2004-11-23 2005-11-23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및 3층 이상의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KR100765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27801.2 2004-11-23
EP20040027801 EP1658970B1 (de) 2004-11-23 2004-11-23 Laminat aus zumindest drei Schich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zumindest dreischichtigen Lamin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519A true KR20060057519A (ko) 2006-05-26
KR100765874B1 KR100765874B1 (ko) 2007-10-11

Family

ID=3492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407A KR100765874B1 (ko) 2004-11-23 2005-11-23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및 3층 이상의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7618508B2 (ko)
EP (1) EP1658970B1 (ko)
JP (1) JP4403134B2 (ko)
KR (1) KR100765874B1 (ko)
CN (1) CN100515756C (ko)
AT (1) ATE434517T1 (ko)
BR (1) BRPI0505078B1 (ko)
DE (1) DE502004009664D1 (ko)
DK (1) DK1658970T3 (ko)
ES (1) ES2325159T3 (ko)
MY (1) MY138952A (ko)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89176B (nl) * 1956-07-13 1900-01-0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Pleister op basis van een synthetische rubber.
DE1950669C3 (de) * 1969-10-08 1982-05-13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Vliesherstellung
NL7704678A (nl) * 1976-05-03 1977-11-07 Hoechst Ag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rager- baan.
JPS5841958A (ja) * 1981-09-08 1983-03-11 旭化成株式会社 不織布
US4582750A (en) * 1985-04-16 1986-04-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aking a nonwoven fabric of needling, heating, burnishing and cooling
JPS62111840U (ko) * 1986-01-07 1987-07-16
US4961983A (en) * 1988-12-05 1990-10-09 Reemay, Inc. Printable paper substitute based on spunbonded polypropylene fabrics
AT394216B (de) * 1990-07-02 1992-02-25 Polyfel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nadelten spinnvliesen
US5415925A (en) * 1992-06-10 1995-05-16 Fiberweb North America, Inc. Gamma structure composite nonwoven fabric comprising at least two nonwoven webs adhesively bonded by a lightweight adhesive web
US5151320A (en) * 1992-02-25 1992-09-29 The Dexter Corporation Hydroentangled spunbonded composite fabric and process
US5622772A (en) * 1994-06-03 1997-04-22 Kimberly-Clark Corporation Highly crimpable spunbond conjugate fibers and nonwoven webs made therefrom
US5597645A (en) * 1994-08-30 1997-01-28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ilter media for gas
JP3955650B2 (ja) * 1995-11-20 2007-08-08 チッソ株式会社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00424B2 (ja) * 1996-07-22 2007-10-31 チッソ株式会社 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US6258308B1 (en) * 1996-07-31 2001-07-10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adjusting WVTR and other properties of a polyolefin film
WO1998010130A1 (en) * 1996-09-06 1998-03-12 Chisso Corporation Laminated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3658884B2 (ja) * 1996-09-11 2005-06-08 チッソ株式会社 複合長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WO1999049120A1 (fr) * 1998-03-24 1999-09-30 Mitsui Chemicals, Inc. Stratifie de non-tisse flexible
JP3708328B2 (ja) * 1998-04-16 2005-10-19 新日本石油化学株式会社 手裂き開封性を有する包装材料
US6649548B1 (en) * 1998-10-02 2003-11-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web and film laminate with improved strength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SE9900998L (sv) * 1999-03-19 2000-09-20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US6383623B1 (en) * 1999-08-06 2002-05-07 Tex Tech Industries Inc. High performance insulations
US6893522B1 (en) * 1999-10-05 2005-05-17 Polymer Group, Inc. High bulk non-woven composite fabric
US20020142692A1 (en) * 2000-10-06 2002-10-03 Ferencz Richard Leon Fine denier spunbond process and products thereof
WO2002068193A1 (fr) * 2001-02-23 2002-09-06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Stratifié pour emballage et emballage
JP2002347194A (ja) * 2001-05-28 2002-12-04 Toray Ind Inc 積層品
US20020193032A1 (en) * 2001-06-01 2002-12-19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Nonwoven fabric with areas of differing basis weight
JP3952261B2 (ja) * 2001-11-08 2007-08-01 東洋紡績株式会社 食品包装材
ES2245421T3 (es) * 2003-02-10 2006-01-01 REIFENHA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 textil no tejido hilado a partir de filamentos.
EP1445366B1 (de) * 2003-02-10 2007-06-27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laminates
JP2004306560A (ja) * 2003-04-10 2004-11-04 Idemitsu Unitech Co Ltd 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8970A1 (de) 2006-05-24
US7618508B2 (en) 2009-11-17
KR100765874B1 (ko) 2007-10-11
BRPI0505078A (pt) 2006-07-18
US20080119100A1 (en) 2008-05-22
EP1658970B1 (de) 2009-06-24
MY138952A (en) 2009-08-28
US20060135025A1 (en) 2006-06-22
JP4403134B2 (ja) 2010-01-20
CN1817632A (zh) 2006-08-16
ATE434517T1 (de) 2009-07-15
ES2325159T3 (es) 2009-08-27
BRPI0505078B1 (pt) 2016-05-31
DK1658970T3 (da) 2009-08-17
JP2006142831A (ja) 2006-06-08
CN100515756C (zh) 2009-07-22
DE502004009664D1 (de)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108189B (zh) 用于制造层压物的方法及层压物
US796802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rticularly soft and three-dimensional nonwoven and nonwoven thus obtained
US7960024B2 (en) Multi-layered fiber
US7824762B2 (en) Nonwoven fibrous mat laminate
US11542711B2 (en) Synthetic fabric having slip resistant properties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393931C (en) Regularly structured nonwovens, method for their manufacture and use
CA2394233A1 (en) Composite nonwoven with high transverse strength,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nd use
US6403505B1 (en) Composite material
EP1743971A3 (fr) Non-tissé comprenant une nappe en filaments continus,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et son application en tant que chiffon d'essuyage
US20100186880A1 (en) Method of Forming a Consolidated Fibrous Structure
JP2017519092A (ja) ビニル床材用の支持体材料
US20110250420A1 (en) Composite stiffener materials
US5981411A (en) Thermoformable material
CA2393375A1 (en) Non-wovens with high liquid absorbency and regular structure, method for their manufacture and use
US20030101556A1 (en) Method and device for bonding a non-woven fibre produced by the air-lay method
RU2614602C2 (ru) Тисненый композитный нетканый рулонный материал
US6221798B1 (e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webs
KR100765874B1 (ko)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및 3층 이상의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JP4122182B2 (ja) 印刷性に優れたカイロ包材用不織布および使い捨てカイロ
CN115897055A (zh) 用于制造非织造元件的方法以及非织造元件和卫生用品
CA2920543A1 (en) Vinyl floor covering
KR20140034538A (ko) 건축재 투습방수 소재용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507962B1 (ko)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412096B1 (ko) 저용량 필름의 부직포 라미네이션 합지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25204B1 (ko) 아스팔트 방수시트 보강용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