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445A - 인간 βig-h3에 대한 단클론 항체 - Google Patents

인간 βig-h3에 대한 단클론 항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445A
KR20060056445A KR1020040095292A KR20040095292A KR20060056445A KR 20060056445 A KR20060056445 A KR 20060056445A KR 1020040095292 A KR1020040095292 A KR 1020040095292A KR 20040095292 A KR20040095292 A KR 20040095292A KR 20060056445 A KR20060056445 A KR 20060056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βig
protein
monoclonal antibody
leu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은희
김인산
이동신
윤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40095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6445A/ko
Priority to US11/791,043 priority patent/US20090068189A1/en
Priority to PCT/KR2005/003918 priority patent/WO2006054876A1/en
Priority to EP05820700A priority patent/EP1819733A4/en
Priority to JP2007542905A priority patent/JP2008520654A/ja
Publication of KR2006005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βig-h3에 대한 단클론 항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원결정인자가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의 H1 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βig-h3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단클론 항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조직 내에서 인간 βig-h3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βig-h3 단백질의 증가 또는 감소와 관련된 질환을 진단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상기 단클론 항체는 βig-h3의 세포부착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인간 βig-h3 단백질, 단클론 항체, fas-1 도메인

Description

인간 βig-h3에 대한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to human TGF-beta induced gene-h3}
도 1a는 인간 βig-h3 및 재조합 단백질 FN115의 구조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단클론 항체의 His-tag에 대한 인식 여부를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도 2a는 인간 βig-h3 D-Ⅳ, Mpt70 및 Mpt83의 fas-1 도메인 구조를 나타낸 개요도이다(검은색 부분: fas-1 도메인 내의 매우 보존적인 부분, 회색 부분: fas-1 도메인 내의 보존적인 부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단클론 항체의 Mpt70 및 Mpt83에 대한 인식 여부를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도 3a는 인간 βig-h3 단백질의 fas-1 도메인들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단클론 항체의 인간 βig-h3 단백질의 D-Ⅰ, D-Ⅱ, D-III 및 D-IV에 대한 인식 여부를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도 4a는 인간 βig-h3 D-Ⅳ의 결실 돌연변이체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단클론 항체의 인간 βig-h3 D-Ⅳ의 결실 돌연변이체에 대한 인식 여부를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도마를 사용하여 마우스의 복수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유도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복수에서 생성된 항체의 인식 감도를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에서 생성된 단클론 항체의 마우스 및 쥐의 βig-h3 단백질과의 교차 반응을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클론 항체를 이용한 인간 신장 조직 및 폐 조직에서의 면역조직염색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화살표: βig-h3가 검출된 부분임.
도 9는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이용한 EIA(Enzyme Immnoassay) 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클론 항체에 의한 βig-h3 단백질의 세포부착 활성 억제 효과를 다클론 항체와 비교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의 처리 농도에 따른 βig-h3 단백질과 도메인 D-IV의 세포부착 활성 억제 정도를 비교 조사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인간 βig-h3에 대한 단클론 항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원결정인자가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의 H1 부분임 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βig-h3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단클론 항체에 관한 것이다.
βig-h3는 여러 종류의 세포에서 TGF-β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세포외 기질 단백질(extracellular matrix protein)이다(Skonier et al., DNA Cell Biol. 11, 511-522, 1992). 상기 βig-h3는 TGF-1을 처리한 인간 허파선암 세포(lung adenocarcinoma cells) A549로부터 제조된 cDNA 라이브러리 스크리닝(differential screening)을 통하여 스코니어(Skonier) 등에 의해 최초로 분리되었다(Skonier J. et al., DNA Cell Biol., 11:511-522, 1992). βig-h3은 68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의 카르복실 말단에는 여러 가지 인테그린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 인식부위(ligand recognition)로 작용하는 RGD(Arg-Gly-Asp) 모티프가 존재하고, 아미노 말단에는 분비서열(secretory sequence)이 존재한다(Skonier, J. et al., DNA Cell Biol., 11:511, 1992). 또한, βig-h3 단백질은 초파리의 파시클린(fasciclin)-I에 존재하는 유사한 모티프(motif)와 동질성을 가지는 'fas-1 도메인'이라고 불리는 네 개의 동질적(homologous) 내부 반복 도메인을 포함한다. fas-1 도메인은 포유류, 곤충, 성게, 식물, 효모 및 세균을 포함하는 여러 종의 분비 단백질 또는 막(membrane) 단백질에서 매우 보존적인 서열로서 발견된다(Kawamoto T., et al.., Biochim. Biophys. Acta., 288-292, 1998). fas-1 도메인은 약 110 내지 14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특히 상동성이 높은 약 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두 개의 가지(H1 및 H2)를 포함하고 있다.
βig-h3 섬유상 구조(fibrillar structure)를 가지며, 피브로넥틴 (fibronectin) 및 콜라겐(collagen)과 같은 몇몇 종류의 세포외 매트릭스 단백질(extracellualr matrix protein)과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J.-E., et al., Invest. Ophthalmol. Vis. Sci., 43:656-661, 2002). 또한 βig-h3 단백질은 세포의 성장 및 분화, 창상 치유 및 형태 형성(morphogenesis)에 관여한다고 보고 된 바 있다(Skonier J., et al., DNA Cell Biol., 13:571-584, 1994; Dieudonne S. C., et al., J. Cell. Biochem., 76:231-243, 1999; Kim J.-E., et al., J. Cell. Biochem., 77:169-178, 2000; Rawe I. M., et al., Invest. Ophthalmol. Vis. Sci., 38:893-900, 1997; LeBaron R. G., et al., J. Invest. Dermatol., 104:844-849, 1995). 아울러, βig-h3는 각막 상피 세포, 연골세포 및 섬유아세포와 같은 많은 다양한 유형의 세포들의 부착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Baron R. G., et al., J. Invest. Dermatol., 104:844-849, 1995; Ohno S., et al., Biochim. Biophys. Acta, 1451: 196-205, 1999; Kim J.-E., et al., J. Biol. Chem., 275:30907-30915, 2000).
한편, 항체는 일반적으로 항원을 생물체 내에 주입하여 체액성 면역반응을 유도하고 상기 항원에 대한 항체생성을 유도한 다음 혈액을 채취함으로써 수득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은 항체를 다클론 항체(Polyclonal Antibody)라 한다. 상기 다클론 항체는 항체를 만드는 유전자 자체가 각각 다른 플라즈마 세포에서 분비된 여러 종류의 항체의 전체집합이다. 반면에, 하나의 항원 결정기에만 반응하고, 분자구조가 동일한 하나의 플라즈마 세포에서 만들어진 한 종류의 항체만을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라 한다. 다클론 항체는 여러 가지 종류의 항체가 혼합된 것이므로 원하지 않는 다른 항원에도 반응을 보이는 교차반응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항체가 한 종류로만 구성된다면 한 가지의 특이한 항원결정인자만을 인식할 것이고 따라서 매우 특이적이고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간 βig-h3 단백질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개발하고 상기 단클론 항체가 교차반응 없이 인간 βig-h3 단백질만을 특이적으로 인식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원결정인자가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의 H1 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βig-h3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단클론 항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단클론 항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단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βig-h3의 증가 또는 감소와 관련된 질환의 진단용 킷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단클론 항체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세 포부착 억제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원결정인자가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의 H1 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βig-h3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단클론 항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클론 항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βig-h3의 증가 또는 감소와 관련된 질환의 진단용 킷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클론 항체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세포부착 억제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항원결정인자가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의 H1 부분으로 인간 βig-h3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의 항원결정인자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인간 βig-h3 단백질은 68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간드 인식 부위인 RGD 모티브(Arg-Gly-Asp)와 4개의 내부 반복 도메인(internal repeated domain)인 fas-1 도메인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인간 βig-h3의 전체 아미노산 서 열은 각각 서열번호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fas-1 도메인은 110개 내지 14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βig-h3 단백질의 4개의 fas-1 도메인은 βig-h3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중 133번부터 236번까지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첫 번째 fas-1 영역인 D-Ⅰ, 242번부터 372번까지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두 번째 fas-1 영역인 D-Ⅱ, 373번부터 501번까지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세 번째 fas-1 영역인 D-Ⅲ 및 502번부터 632번까지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네 번째 fas-1 영역인 D-Ⅳ(서열번호 2)로 이루어져 있다(도 3a참조). 상기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D-Ⅳ)에는 상동성이 매우 높은 약 1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H1 및 H2가 그 내부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의 항원결정기인 βig-h3 D-Ⅳ의 H1 부분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의 항원결정인자를 결정하기 위하여 βig-h3 D-Ⅳ의 H1 또는 H2 부분이 결실된 일련의 결실 돌연변이체를 제조하고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H1이 결실된 돌연변이체의 경우에만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다(도 4b 참조).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의 항원결정인자가 βig-h3 D-Ⅳ의 H1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인간 βig-h3만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각 1개의 fas-1 도메인을 가지고 있으며 결핵균에 의해 생산되는 Mpt70 및 Mpt83 단백질에 대해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가 항원-항체 반응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βig-h3 D-Ⅳ는 인식하나 Mpt70 및 Mpt83 단백질에 대해서는 반응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b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만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며 상기 인간 βig-h3 단백질의 다른 fas-1 도메인은 인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간 βig-h3 단백질의 첫 번째 fas-1 도메인(D-Ⅰ), 두 번째 fas-1 도메인(D-Ⅱ) 및 세 번째 fas-1 도메인(D-Ⅲ)을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가 인식하는지 여부를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조사한 결과,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D-Ⅳ)만을 특이적으로 인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b참조).
나아가,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인간 βig-h3 단백질만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며, 마우스 또는 쥐의 βig-h3 단백질과는 교차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우스 βig-h3 단백질이 유도된 마우스 연골세포 배양액, 쥐 βig-h3 단백질이 유도된 쥐 신장세포 배양액 및 인간 βig-h3 단백질이 유도된 인간 폐 선암종 세포 배양액을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이용한 웨스턴 블롯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인간 폐 선암종 세포에서 발현된 βig-h3 단백질만을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7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단클론 항체가 실제로 조직 및 세포에서 발현하는 인간 βig-h3 단백질을 인지하는지의 여부를 인간 신장 조직 및 폐조직을 이용하여 면역조직염색법으로 확인하였다(도 8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조직 및 세포에서 발현하는 인간 βig-h3 단백질을 매우 특이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a)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을 면역원으로 하여 동물을 면역화시키는 단계;
(b) 면역화된 동물의 비장세포를 골수종 세포와 융합하여 하이브리도마를 생성하는 단계;
(c) 인간 βig-h3를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양성 클론을 선별하는 단계; 및
(d) 선별한 하이브리도마를 배양하고, 하이브리도마의 배양액으로부터 항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상기의 하이브리도마를 동물의 복강에 주입하고, 주입 후 일정기간이 지난 다음 회수한 동물의 복수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면역원으로 사용된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은 유전자 재조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은 공지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당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cDNA를 제작하고 이를 발현벡터에 삽입한 다음 숙주세포에서 발현시킨 후 정제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발현된 단백질은 당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HPLC, FPLC 등을 사용하는 정상 또는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affinity chromatography); 크기별 배제(size exclusion) 크로마토그래피; 고정된 금속 킬레이트(immobilized metal chelate) 크로마토그래피; 겔 전기영동 등을 이용하여 발효 또는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장 적합한 분리 및 정제 기술을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면역원으로는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이 4번 중복된 재조합 단백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원래의 βig-h3 단백질과 비슷한 크기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클론 항체의 제조를 위한 항원으로서 βig-h3 D-Ⅳ의 cDNA를 PCR 증폭에 의해 수득하고 이를 벡터에 클로닝하여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재조합 단백질의 정제를 위해 상기 단백질의 C-말단 영역에 히스티딘 잔기를 연결시켜 His-tag를 만들었다. 상기 재조합 벡터로부터 D-Ⅳ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고 이를 Ni-NTA 수지를 이용하여 정제한 다음 다클론 항체를 이용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순수 βig-h3 D-Ⅳ를 정제한 뒤 본 발명의 단 클론 항체의 제조를 위한 면역원으로서 사용하였다(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에서 얻어진 면역원을 항원으로 하여 동물을 면역화시킨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마우스와 쥐를 사용한다. 상기 항원은 통상의 면역방법에 따라 복강 내, 근육 내, 안내 또는 피하 주사하여 투여한다. 필요한 경우, 여러 기술을 사용하여 단백질에 의해 발생되는 결과적인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고, 보다 큰 항체 반응성을 전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항원 단백질에 프로인트(Freund)의 완전 보조제 또는 불완전 보조제를 사용하여 그 면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면역성 부여 기간은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지만 항원은 2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5회 투여하고 바람직하게는 몇일 내지 몇주 간격,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주의 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면역성 부여기간 후에 1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일 후에 동물로부터 항체 생산세포를 획득할 수 있다. 항체 생산세포의 예는 비장세포, 임파선세포, 흉선세포 및 주변혈액세포이고, 일반적으로 비장세포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마우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우스 한 마리당 1∼100㎍, 바람직하게는, 25∼50㎍의 항원을 투여한다.
상기에서 획득한 항체 생산세포와 골수종 세포를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쾨흘러(Koehler)와 밀스테인(Milstein)의 방법으로 융합한다. 골수종 세포로는, 예를 들면 p3/x63-Ag8, p3-U1, NS-1, MPC-11, SP-2/0, F0, P3x63 Ag8. V653 및 S194등의 마우스 유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랫트 유래 세포인 R-210 등의 세포주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조한 하이브리도마 중에서 인간 βig-h3의 네 번째 fas-1 도메인을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양성 클론을 선택한다. 인간 βig-h3의 네 번째 fas-1 도메인을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단일클론의 선별은 당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면역화학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방사능면역분석법(RIA), 효소면역분석법(ELISA), 면역화학염색법(Immunofluorescence),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 및 유세포 분석법(FACS)이 이에 속한다. 바람직하게는, 효소면역분석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인간 βig-h3 D-Ⅳ 재조합 단백질을 항원으로 하여 마우스를 면역화하고(실시예 2 참조) 상기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적출하여 이를 골수종 세포와 융합시킴으로써 하이브리도마를 제조하였다(실시예 3 참조). 상기 하이브리도마 중 인간 βig-h3 D-Ⅳ를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4개의 양성 클론을 효소면역분석법에 의해 선별할 수 있었다(실시예 4 참조).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서 선별된 4개의 양성 클론 중에서 His-tag에 대한 항원-항체 반응성이 나타나지 않고 세포 자체의 생명력이 우수하며 βig-h3 D-Ⅳ에 대한 항원-항체 반응성이 가장 우수한 7A6a를 선택하고 이를 부다페스트 조약하의 국제기탁기관인 한국유전자은행(KCTC)에 2004년 10월 11일자로 기탁번호 KCTC 10705BP로 기탁하였다.
상기 하이브리도마는 통상의 배양방법에 의해 계대배양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동결보존할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를 통상법에 의해 배양하여 그 배양액을 회 수하거나 또는 그 배양액을 포유동물의 복강 내로 이식하여 복수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배양액 또는 복수중의 항체는 염석법, 이온교환 및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등 통상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에서 수득한 하이브리도마를 마우스 복강에 주사하여 복수를 생성시킨 다음(실시예 9 참조) 마우스의 복수의 항체 인식 능력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0 참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복수가 인간 βig-h3 D-Ⅳ를 5ng 농도까지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나아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βig-h3의 증가 또는 감소와 관련된 질환의 진단용 킷트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βig-h3의 증가 또는 감소와 관련된 질환'이란 βig-h3의 발현이 정상 수준에 비해 증가 또는 감소되는 특징을 나타내는 질환을 말한다. βig-h3의 발현이 정상 수준에 비해 증가되는 특징을 나타내는 질환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신장 질환, 간 질환 및 류마티스 질환이 이에 속한다. βig-h3는 신장 질환의 병리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TGF-β에 의해 그 발현이 강력하게 유도되는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당뇨병성 신장 질환자, 신장이식 수술 전의 환자 및 신부전증 환자의 소변에서 βig-h3의 농도는 정상인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또한, 간염환자의 조직, 퇴행성 관절염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 환자의 활막액에서 βig-h3의 농도는 정상인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대한민국특허 공개공보 제2002-8242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βig-h3의 농도를 측정함으로 써 상기와 같은 질환을 진단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진단용 킷트는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 및 면역학적 분석에 사용되는 시약이 포함될 수 있다. 면역학적 분석에 사용되는 시약으로는 항원-항체 결합을 원리로 하는 공지의 모든 정량분석방법에 사용되는 적합한 담체, 검출 가능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표지, 용해제, 세정제가 포함된다. 상기 정량분석방법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면역블롯팅, 면역침전법, 효소면역분석법, 단백질 칩, 래피트 어세이 및 마이크로 어레이 방법 등이 있다.
상기에서 적합한 담체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가용성 담체, 예컨대 당 분야에 공지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액들 중 어느 한 가지(예를 들어, PBS) 또는 불용성 담체, 예컨대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불소수지, 가교덱스트란, 폴리사카라이드, 유리, 금속, 아가로스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검출 가능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표지로는 효소, 형광물질, 발광물질 및 방사성 물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효소로는 과산화효소(peroxidase), 알카라인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β-D-갈락토시다아제, 글루코스 옥시다아제, 말레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 글루코스-6-인산디하이드로게나아제, 인버타아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형광물질로는 플루오르신 이소티옥시아네이트(fluorescein isothiocyanate), 피코빌린(phycobilin) 단백질, 로다민(rhodamine),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 피코시아닌(phycocyanin) 및 오르토프탈릭 알데히드 (orthophthalic aldehyde)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발광물질로는 이소루미놀(isolumino), 루시게닌(lucigenin)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방사성 물질로는 131 I, 14 C, 3 H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예시된 것들 외에 면역학적 분석법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효소면역분석법(enzyme immunoassay)이 예시되어 있다. 즉, βig-h3 단백질을 표준 단백질로 사용하고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직접 샌드위치 분석(Direct Sandwich assay)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표준 단백질의 농도에 비례하여 상관계수가 0.98 이상으로 나타나 매우 정확하게 βig-h3를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9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상기와 같은 질환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EIA 분석 등에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세포부착을 억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세포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므로 실험동물에서 원발암의 전이과정에서 나타나는 암세포의 침투, 흡착, 이동 등에 영향을 미침으로 세포의 전이능 탐색이나 암조직의 전이 억제 또는 암조직 형성에 따르는 신생혈관 형성 내피세포의 부착 억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간 βig-h3 단백질과 상기 단백질의 4개의 fas-1 도메인을 ELISA 플레이트에 부착시키고 여기에서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와 마우스 섬유아세포를 처리하여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가 상기 단백질들과 마우스 섬유아세포간의 세포 부착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인간 βig-h3 단백질과 상기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의 세포부착활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0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의 처리 농도에 따른 인간 βig-h3 단백질의 세포부착 활성 억제 정도를 조사한 결과, 본 발명의 복수에서 생성된 단클론 항체를 1㎕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도 인간 βig-h3 단백질의 세포부착 활성을 크게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도 11 참조).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간 βig-h3 D-Ⅳ 재조합 단백질의 제조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기 위한 항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재조합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βig-h3 D-Ⅳ)을 4개 반복하여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Kim J.-E. et al., J. Biol. Chem., 275: 30907-30915, 200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2042호).
1-1) 재조합 벡터의 제조
인간 βig-h3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중 502번부터 632번까지의 네 번째 fas-1 도메인 D-Ⅳ(서열번호 2)에 해당하는 cDNA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βig-H3 cDNA로부터 아미노 말단 부분이 일부 결실된 Asp718-BglⅡ 단편을 발현벡터 pET-29β의 EcoRⅤ와 EcoRⅠ부위에 삽입하여 제조한 pHis-β-b를 주형으로 하여 D-Ⅳ 도메인 부분을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로 증폭시켰다. 상기 증폭 산물을 벡터 pET-29b(+)(Novagen, USA)의 EcoRV 및 XhoI 위치에 클로닝하여 pβig-h3 D-Ⅳ 발현 벡터를 제조하고 상기 발현벡터에서 제한효소 EcoRV와 XhoI를 이용하여 삽입절편을 추가로 삽입함으로써 도메인 D-Ⅳ가 4번 중복되어 존재하는 pβig-h3 D-Ⅳ4X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도메인 D-Ⅳ가 4번 중복되도록 재조합 단백질을 제조한 것은 원래의 βig-h3 단백질과 비슷한 크기를 갖도록 함으로써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고자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Ni-NTA 수지를 이용하여 정제하기 위해 상기 cDNA 단편의 C-말단에 6개의 히스티딘(histidine) 잔기를 연결시켜 His-tag를 만들었다.
1-2)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및 분리
상기 재조합 벡터 βig-h3 D-Ⅳ4X를 대장균 BS21(DE3)에 형질전환시킨 다음 50㎍/ml 카나마이신(kanamycin)을 포함한 LB배지(트립톤 10g/L, 효모 추출물 5g/L, NaCl 5g/L)에 접종하여 37℃의 배양기에서 흡광도(600 nm)가 0.5∼0.6이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액에 1 mM IPTG(isopropyl-β-D-(-)-thiogalactopy ranoside, sigma)를 첨가하여 37℃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여 인간 βig-h3 D-Ⅳ 재조합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배양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한 다음 이를 용해 완충용액(50 mM Tris-HCl(pH 8.0), 100 mM NaCl, 1 mM EDTA, 1 % 트립톤 X-100, 1 mM PMSF, 0.5 mM DTT)에 현탁한 후 초음파 파쇄기로 균체를 파쇄하였다. 이 과정을 5회 반복한 후 파쇄된 균체를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상등액 중에 포함된 봉입체 형태로 발현된 단백질들을 Ni-NTA 수지(resin, Qiagen)에 혼합하여 2시간 동안 결합시켰다. 이것을 컬럼에 넣은 다음 수지의 5배의 양으로 결합 완충용액(20 mM 트리스-Cl, 500 mM NaCl, 5 mM 이미다졸)을 넣어주고 동량의 세척 완충용액(20 mM 트리스-Cl, 500 mM NaCl, 20 mM 이미다졸)으로 세척한 후 컬럼에 결합되어 있는 재조합 단백질을 300 mM 이미다졸이 포함된 용출 완충용액으로 용출시켰다.
1-3) 재조합 단백질의 확인 및 정량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정제된 단백질은 브래드포드 분석법(BioRad, Hercules, CA)으로 그 농도를 측정하고 SDS-PAGE를 시행하여 단백질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용출액을 단백질 정량 시스템(Bio-Rad)으로 반응시킨 후 자동 효소면역흡착 분석기(ELISA Reader)를 사용하여 흡광도 595nm에서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SDS- polyacryl amide gel, 12%)에 용출액을 로딩(loading)하고 80V에서 SDS-PAGE를 실시하였다. 단백질의 분자량을 비교하기 위한 표준물질로는 저분자량 교정 킷트(Low molecular weight calibration kit, Pharmacia)를 사용하였다. 전기영동 후 쿠마시 블리란트 블루 R-250(coomassie Brilliant blue R-250)으로 염색하여 재조합 단백질의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βig-h3 D-Ⅳ 4X 단백질의 크기는 약 68kDa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한 마우스의 면역유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재조합 단백질 βig-h3 D-Ⅳ 30㎍을 프로인트의 완전 보조제(Complete Freund adjuvant, GIBCO BRL)와 동량으로 잘 혼합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Balb/C 마우스(6주령, 자성)의 복강에 0.2ml를 주사하였다. 추가항원접종은 1차 접종 후 4주 후에 2차 접종을 실시하였으며 2차 접종 후 2주 간격으로 총 4회 실시하였다. 이때, 동량의 단백질을 프로인트의 불완전 보조제(Incomplete Freund adjuvant, GIBCO BRL)와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고 이를 복강 내에 0.2 ml씩 주사하였다. 3차 복강주사 후에 마우스의 꼬리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획득한 다음 항체 역가를 측정하였다. 항체 역가는 면역에 사용한 재조합 단백질 βig-h3 D-Ⅳ을 항원으로 하는 효소면역흡착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항원인 0.5μg/ml 농도의 재조합 단백질을 96웰에 100㎕씩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코팅하였다. 이를 인산완충액으로 1회 세척한 다음, 1mg/ml 농도가 되도록 소 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200㎕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블로킹(blocking)하였다. 이를 인산완충액으로 1회 세척하여 ELISA용 플레이트를 준비하였다. 여기에 상기 마우스에서 채취한 혈청을 1/1000로 PBS로 희석하여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인산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그 다음 이차항체인 알칼라인-포스파타제(alkaline-phosphatase)가 표지된 염소 항-마우스 IgG(Sigma)를 1/5000로 희석하여 100㎕ 씩 첨가하였다. 이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고 인산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알칼라인 포스파타제의 기질인 PNPP를 100㎕ 씩 첨가하여 발색반응을 유도하였다. 발색 반응이 나타나면,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정상적인 마우스 혈청의 흡광도보다 2배(0.2이상) 이상 높은 흡광도를 보이는 혈청 희석률의 역수가 3만 이상일 때 면역화가 충분하다고 판단하였다. 항체 역가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다시 한번 재조합 단백질을 마우스 꼬리의 정맥에 주사하였다.
<실시예 3>
하이브리도마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면역화된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적출하여 골수종세포 (myeloma cell)인 Sp210-Ag14(ATCC CRL-1581)와 융합하여 하이브리도마를 제조하였다.
면역화된 마우스의 비장을 무균적으로 적출한 후, DMEM(Gibco BRL, Dulbecco 's Modified Eagle Medium)이 첨가된 배지에서 세포 성분만을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비장세포를 Sp210-Ag14 세포와 10:1의 비율로 혼합하면서 PEG(polyethylene glycol) 용액을 첨가하여 융합을 촉진시켰다. 융합된 세포 성분에 HAT 배지(Gibco BRL)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마우스 복강대식세포(Feeder cell)를 미리 깔아둔 96웰 플레이트에 상기 융합 세포 100㎕를 첨가하고 37℃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면, HAT 배지에서 생존하여 하이브리도마를 형성한 콜로니가 있는 웰을 선택하였다.
<실시예 4>
양성 클론의 선택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하이브리도마를 배양하고 ELISA를 이용하여 양성클론을 선택하였다. 상기 실시예 3의 하이브리도마를 웰 당 10개, 5개, 0.5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96웰 배양접시에 접종하여 37℃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배지는 HAT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일마다 새로운 배지로 교환하였다. 현미경상으로 단일 콜로니가 형성된 웰의 배양 상층액을 취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ELISA를 실시하여 양성으로 나타난 클론을 선택하였다.
실험 결과, 4개의 양성 클론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각각 7A6-a, 9B2-a, 9G12-b 및 10B2-b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른 단클론 항체의 His-tag 인식 여부 조사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한 4개의 양성 클론이 His-tag에 대해서 반응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인간 βig-h3 D-Ⅳ 단백질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재조합 단백질의 정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His-tag를 붙였다. 따라서, 상기 4개의 양성 클론이 His-tag에 대해 반응하는지 여부를 FN115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한 웨스턴 블롯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상기 FN115(33kD)은 피브로넥틴(Fibronectin)의 타입 Ⅲ 9번째-10번째 도메인을 함유한 cDNA 분절을 pET29b(+) 벡터(Novagen, USA)에 삽입한 후 대장균에 형질전환시킨 다음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고 정제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으로서 His-tag가 달려있고 βig-h3 D-Ⅳ와 유사성이 없는 재조합 단백질이다(도 1a)(Mardon, H.J., and Grant, K.E. FEBS Lett. 340, 197-201, 1994). 따라서, 상기 4개의 양성 클론이 FN115를 인식하게 된다면 His-tag에 대해 반응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한 4개의 양성 클론을 각각 DMEM-로우 글루코스(DMEM-Low Glucose)(Dulbeccos Modified Medium, Gibco BRL), 10% FBS(fetal bovine serum), 1% 페니실린 G 및 1%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배지에 접종하여 37 ℃,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에서 배양된 4종의 양성 클론 배양액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웨스턴 블럿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브래드포드 분석법으로 측정한 단백질 농도를 기준으로 인간 βig-h3 단백질과 FN115 단백질을 각각 50ng씩 12%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 전기영동하고, 이를 NC 멤브레인에 옮긴 후 TBS-T 완충용액(10 mM 트리스-Cl, 150 mM NaCl, 0.05% 트윈 20, pH 7.4)으로 만든 5% 스킴 밀크(skim milk)를 사용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함으로써 비특이적인 결합을 차단시켰다. 그 다음 상기 4개의 양성 클론 배양액에 각각 상기 NC 멤브레인을 90분 동안 침지시킨 후 항 마우스 HRP 접합항체(anti-mouse conjugated horseradish peroxidase)를 1:10000의 농도로 첨가한 5% 스킴 밀크에 60분 동안 넣어 면역염색하였다. 면역염색 정도는 화학발광 시스템(enhanced chemiluminescense system, Amersham Pharmacia Bio-tech)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4개의 양성 클론 7A6-a, 9B2-a, 9G12-b 및 10B2-b는 모두 68kDa의 인간 βig-h3 단백질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기 양성 클론 중 7A6-a, 9B2-a 및 9G12-b는 FN115를 인식하지 못하였으며, 양성 클론 10B2-b만 33kDa의 FN115 단백질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b).
따라서, 양성 클론 10B2-b는 His-tag에 대해 항원-항체 반응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나머지 양성 클론 7A6-a, 9B2-a 및 9G12-b는 His-tag에 대한 항원-항체 반응성이 없고 인간 βig-h3 D-Ⅳ 단백질만을 특이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른 단클론 항체의 Mpt70 및 Mpt83에 대한 인식 여부 조사
결핵균에서 생성되는 Mpt70 및 Mpt83은 fas-1(fasciclin 1 homologus domain) 거대집합 단백질 군에 속하며 각각 1개의 fas-1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도 2a).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한 양성 클론들은 βig-h3 단백질의 fas-1 도메인인 D-Ⅳ에 대한 항원-항체 반응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상기 양성 클론들이 Mpt70 및 Mpt83의 fas-1 도메인도 인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웨스턴 블롯 분석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상기 Mpt70(GenBank accession No. D37968) 의 fas-1 도메인(서열번호 4) 및 Mpt83(GenBank accession No. X94597)의 fas-1 도메인(서열번호 5) 부분에 해당하는 DNA를 PCR 증폭하여 cDNA 단편을 수득한 후 상기 단편을 pET29a 벡터의 BamHI과 HindIII 제한효소 자리에 삽입하여 발현벡터를 제조하고 이를 대장균에 형질전환한 후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간 βig-h3 D-Ⅳ 단백질과 상기에서 제조한 Mpt70 및 Mpt83 단백질을 SDS-PAGE로 분리하고 NC 멤브레인에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양성 클론 7A6-a, 9B2-a 및 9G12-b는 인간 βig-h3 D-Ⅳ 단백질은 인식하나 Mpt70 및 Mpt83은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양성 클론 10B2-b의 경우에는 인간 βig-h3 D-Ⅳ 단백질과 Mpt70 및 Mpt83을 모두 인식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b). 이는 상기 Mpt70 및 Mpt83이 His-tag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10B2-b의 Mpt70 및 Mpt83에 대한 항원-항체 반응성은 His-tag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7>
본 발명에 따른 단클론 항체가 인간 βig-h3 단백질의 D-Ⅰ, D-Ⅱ 및 D-Ⅲ를 인식하는지 여부 조사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한 양성 클론이 βig-h3 단백질의 fas-1 도메인 중 하나인 D-Ⅳ 뿐 만 아니라 D-Ⅰ, D-Ⅱ 및 D-Ⅲ를 인식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βig-h3의 D-Ⅰ, D-Ⅱ 및 D-Ⅲ를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인간 βig-h3(서열번호 1)의 첫 번째 fas-1 도메인인 D-Ⅰ(아미노산 서열 133번부터 236번까지), 두 번째 fas-1 도메인인 D-Ⅱ(아미노산 서열 242번부터 372번까지) 및 세 번째 fas-1 도메인인 D-Ⅲ(아미노산 서열 373번부터 501번까지)에 해당하는 각각의 βig-h3의 fas-1 도메인의 cDNA 절편을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로 증폭시킨 후, 벡터 pET-29b(+)의 EcoRV 및 XhoI 위치에 클로닝하여 발현 벡터 pβig-h3 D-I, II, III를 제조하였다. 또한, 이때 재조합 단백질의 정제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각 fas-1 도메인의 C-말단에는 히스티딘 잔기 6개를 연결시켜 His-tag를 만들었다.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발현 벡터로부터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을 유도하고 정제함으로써 인간 βig-h3 D-Ⅰ, 인간 βig-h3 D-Ⅱ 및 인간 βig-h3 D-Ⅲ 단백질들을 각각 수득하였다. 수득된 단백질들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간 βig-h3 D-Ⅳ 단백질과 함께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양성 클론 7A6-a, 9B2-a 및 9G12-b의 경우에는 D-Ⅳ외의 다른 fas-1 도메인에 대해 항원-항체 반응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10B2-b의 경우에는 모든 fas-1 도메인에 대해 항원-항체 반응성을 나타냈다(도 3b). 이는 상기 10B2-b가 His-tag에 대해 항원-항체 반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양성 클론 7A6-a, 9B2-a 및 9G12-b는 인간 βig-h3 D-Ⅳ에 특이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4개의 양성 클론 중에서 His-tag에 대한 반응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10B2-b를 제외하고 나머지 클론 중에서 실시예 5, 6, 7에 나타난 결과를 비교하여 세포 자체의 생명력이 좋고 D-Ⅳ에 대한 항원 항체 반응성이 가장 뛰어난 7A6-a를 선택하여 부다페스트 조약하의 국제기탁기관인 한국유전자은행에 2004년 10월 11일자 기탁번호 KCTC 10705B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8>
본 발명에 따른 단클론 항체의 항원결정인자의 확인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도마 7A6-a에 의해 생성된 단클론 항체의 항원결정인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βig-h3 D-Ⅳ의 결실 돌연변이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인간 βig-h3 D-Ⅳ의 결실 돌연변이체로는 H1이 결실된 △H1, H2가 결실된 △H2, 진화적으로 보존되어 온 H2 서열 중에서도 더욱 더 중요하게 보존되어 왔으며 세포부착, 확산 및 탈착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가 결실된 △H2(6) 및 H1과 H2가 모두 결실된 △H1H2를 각각 제조하였다. 인간 βig-h3(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548번부터 632번까지 해당하는 DNA(△H1), βig-h3의 아미노산 서열 502번부터 620번까지 해당하는 DNA(△H2), βig-h3의 아미노산 서열 502번부터 614번까지 해당하는 DNA(△H2(6)) 및 βig-h3의 아미노산 서열 548번부터 620번까지 해당하는 DNA(△H1H2)를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인간 βig-h3 D-Ⅳ c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 증폭함으로써 제조하였다(도 4a).
상기에서 증폭한 각각의 인간 βig-h3 D-Ⅳ의 결실 돌연변이체의 DNA 절편을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벡터에 클로닝하고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현 및 정제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H1, △H2, △H2(6) 및 △H1H2와 양성 클론 7A6-a의 배양액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간 βig-h3 D-Ⅳ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H1이 결실된 돌연변이체의 경우에만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에 의한 항원-항체 반응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도 4b). 따라서, 본 발명의 7A6-a의 항원결정인자가 H1 부분(서열번호 3)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9>
마우스의 복수(Ascites) 형성 유도
상기 실시예 8의 하이브리도마 7A6-a를 마우스 복강에 주사하여 복수에서 고농도의 단클론 항체가 생성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리 BALB/C 마우스(자성)에 프리스텐(pristane)(2,6,10,14-Tetramethylpentadecane, sigma T7640) 0.5ml를 복강 주사하여 복수가 형성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7일 뒤에 5×105개의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1×인산염 완충액과 혼합하여 복강 주사하였다. 주사 후 10일이 경과된 다음 마우스를 마취시킨 상태에서 주사기로 복강에 가득찬 복수를 채취하고 3,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도 5). 회수한 상층액에 0.02% 소디움 아자이드(sodium azaid)를 첨가하고 -20℃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10>
마우스 복수의 항체 인식 능력 확인
상기 실시예 9에서 제조한 마우스 복수가 인간 βig-h3 D-Ⅳ를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를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이때, 상기 인간 βig-h3 D-Ⅳ를 100ng, 50ng, 10ng, 5ng 및 1ng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복수에서 생성된 단클론 항체는 인간 βig-h3 D-Ⅳ를 5ng 농도까지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6).
<실시예 11>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의 마우스 및 쥐 βig-h3 단백질과의 교차 반응 확인
마우스 βig-h3 단백질을 유도해 내는 세포종인 마우스 연골세포(ATDC5)와 쥐 βig-h3 단백질을 유도해 내는 세포종인 정상 쥐 신장세포(NRK, ATCC CRL-6509)를 βig-h3 단백질이 유도될 수 있는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즉, 상기 마우스 연골세포와 쥐 신장세포를 L-글루타민 4 mM, 탄산수소 나트륨(sodium bicarbonate) 1.5 g/L, 글루코오스(glucose) 4.5 g/L, FBS 10%를 포함한 DMEM에서 증식을 시킨 다음 이를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 옮겨서 24시간 배양하고 배양액을 회수하였다. 또한, 인간 βig-h3 단백질을 유도해 내는 세포종인 인간 폐 선암종 세포(H460, ATCC HTB-177)를 βig-h3 단백질이 유도될 수 있는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즉, 폐 선암종 세포를 L-글루타민 2 mM, 탄산수소 나트륨 1.5 g/L, 글루코오스 4.5 g/L, HEPES 10 mM, 피루빈산 나트륨(sodium pyruvate) 1.0 mM 및 FBS 10%를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증식을 시킨 다음 이를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 옮겨서 24시간 배양하고 배양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배양액들을 동결건조 한 후 소 혈청 알부민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브래드포드 분석법(BioRad, Hercules, CA)으로 단백질 농도를 분석하였다. 그 다음 상기 실시예 5의 웨스턴 블롯 분석법으로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가 상기 마우스와 쥐의 βig-h3를 인식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때, 상기 배양액들을 각각 25㎕씩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마우스 βig-h3에 대한 다클론 항체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인간 βig-h3에 대한 단클론 항체는 인간 폐 선암종에서 발현된 βig-h3는 인식할 수 있었으나 마우스와 쥐의 βig-h3는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마우스 βig-h3에 대한 다클론 항체는 마우스와 쥐의 βig-h3를 모두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7).
따라서, 본 발명의 인간 βig-h3에 대한 단클론 항체는 마우스와 쥐의 βig-h3에 대한 교차반응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이용한 인간 신장 조직 및 폐 조직에서 βig-h3 단백질의 검출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가 실제로 조직 및 세포에서 발현된 βig-h3 단백질을 인지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신장 조직 및 폐 조직을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염색(Immunohitochemistry)하였다.
기여자로부터 받은 신장과 폐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에 넣어서 24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고정된 조직들을 조직-TEK 기(Tissue-TEK, Sakura Finetek Japan co., Ltd)를 이용하여 탈수시키고 파라핀(paraffin)을 침투시켜 조직 절편을 만들었다. 조직을 회전 마이크로톰(rotary microtome, Leica, Germany)을 이용해 3 ㎛로 자른 후에 슬라이드에 올려놓았다. 자일렌(Xylene)으로 조직 절편의 파라핀을 제거한 후 조직을 생체 상태로 수화시키기 위해서 수분 함량을 점차적으로 늘린 에탄올 용액(99%, 96%, 70%)에 연속으로 넣어서 수화시켰다. 간접적인 DAB면역염색을 하기 위해, 상기 수화시킨 조직을 실온에서 100% 메탄올로 희석시킨 3% H2O2에 30분간 넣어 두어 조직 내에 존재하는 과산화효소(peroxidase)를 차단시켰다. 그리고 조직 내에 항원과 항체의 반응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신장 조직 절편을 전자렌지(microwave oven)에서 10분간 가열시켰다. 실온에서 장시간 식힌 후에 항체의 비특이적인 결합을 예방하기 위해 50 mM NH4Cl에 30분간 조직 절편을 넣어 두고, 뒤이어 비 특이적인 결합을 방지시키는 용액(1% BSA, 0.05% 사포닌, 0.2% 젤라틴 in PBS)을 슬라이드 위에 처리하였다. 다음으로 항체 희석 용액 (0.1% BSA, 0.3% Triton X-100 in PB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인간 βig-h3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1 : 500으로 희석시킨 후 절편에 처리하고 4℃에서 밤새도록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세척 용액(0.1% BSA, 0.05% 사포닌, 0.2% 젤라틴 in PBS) 으로 10분씩 3회 세척한 후 상기 항체 희석 용액을 이용하여 서양 고추냉이 과산화효소(horse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염소 항-마우스 면역글로불린(goat anti-mouse immunoglobulin, Santa Cruze Biotechnology)을 1 : 200으로 희석해서 조직 절편에 처리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한 후 DAB를 조 직 절편 위에 뿌려주고 약 5분 후 갈색으로 반응이 나타나는 것을 살펴보았다. 반응이 끝난 후 PBS로 신속하게 세척한 후 조직 절편을 헤마톡실린(Hematoxylin, Sigma)으로 염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 절편을 다시 탈수시키기 위해서 에탄올의 농도를 점차적으로 높여가며 연속적으로 에탄올 용액(70%, 96%, 99%)에 넣어 탈수시켰다. 탈수시킨 조직을 박제시키기 위해서 고정액(Permount SP15-500, Fisher Scientific)을 이용하였다. 조직 절편에 염색된 βig-h3의 조직학적 양상은 광학 현미경(Zeiss light microscope, Carl Zeiss, Oberkochem, Germany)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인간 신장 조직과 인간 폐 조직에서 특이적으로 βig-h3 단백질을 인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8).
<실시예 13>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의 EIA(enzyme immunoassay)
질병의 진단에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사용할 수 있는지 직접 샌드위치 분석법(Direct Sandwich method)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농도를 알고 있는 βig-h3 단백질을 표준 단백질로 하여 테스트하였으며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HRP로 접합한 경우와 접합하지 않고 이차항체를 사용한 경우의 두가지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때 토끼에 재조합 βig-h3 단백질을 주사하여 면역을 유도함으로써 수득한 다클론 항체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 였다. 먼저 접합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단클론 항체 100㎕ (0.5 ㎍/㎖)로 코팅 플레이트를 코팅시킨 다음 블록킹 완충액(Blocking buffer)을 이용하여 비특이적 반응을 차단하였다. 그 다음 농도를 알고 있는 재조합 βig-h3 단백질을 넣고 항원-항체반응을 유도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반응액을 제거하고 세척한 후에 토끼 유래 다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항원-항체반응을 다시 유도하였으며 βig-h3 단백질에 반응된 토끼항체와 HRP가 접합된 이차항체를 이용하여 βig-h3 단백질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토끼의 다클론항체를 플레이트에 코팅하고 HRP가 접합된 단클론항체를 이용하여 농도를 알고 있는 βig-h3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고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단클론 항체를 코팅한 경우 토끼의 다클론 항체를 코팅한 경우에 비해 좀 더 넓은 측정범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특이적인 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백그라운드도 낮게 나타났다(도 9). 그러나, 두 가지 경우 모두 표준 단백질의 농도에 비례하여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가 0.98 이상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가 EIA에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에 의한 βig-h3 단백질의 세포부착 활성 억제 여부 조사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가 세포와 βig-h3 단백질의 부착 활성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96-웰 ELISA 플레이트(Costar)에 pFN(purified human plasma fibronectin)(Sigma catalog # F 2006), βig-h3 D-Ⅰ, βig-h3 D-Ⅱ, βig-h3 D-Ⅲ, βig-h3 D-Ⅳ 및 βig-h3 단백질을 처리하여 4℃에서 밤새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단백질들을 플레이트에 부착시켰다. 대조군 단백질로는 소 혈청 알부민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단백질이 부착된 플레이트를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 saline, PBS)으로 2회 세척한 후 2% 소 혈청 알부민을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비특이적 반응을 차단시켰다. 상기 플레이트를 인산염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한 후 상기 실시예 9의 마우스 복수 50㎕씩(10㎍/㎖)을 각각의 단백질에 처리한 후 30℃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이때, 마우스 복수를 대신하여 PBS, 마우스 IgG(Santa Cruz, USA)및 인간 βig-h3에 대한 다클론 항체를 첨가하여 마우스 복수를 첨가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마우스 섬유아세포(NIH3T3) 2.5× 104개의 세포를 첨가하고 일정시간동안 부착을 유도한 후에 1×인산염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3.75mM p-니트로페닐-N-아세틸 β-D-글리코사민(헥소사미니다제 기질)과 25% 트립톤 X-100이 들어있는 50mM 구연산 완충액(pH 5.0) 60㎕를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5mM EDTA가 들어 있는 50mM 글리신 90㎕를 첨가하여 효소활성을 정지시켰다. 효소활성 정도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del 550 microplate reader, Bio-Rad Laboratories, Inc., USA)를 사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에 의한 세포 부착활성 억제는 인간 βig-h3 단백질과 인간 βig-h3 D-Ⅳ 단백질을 사용한 경우에만 나타났다(도 10). 따라서,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βig-h3 단백질, 그 중에서도 네 번째 fas-1 도메인인 βig-h3 D-Ⅳ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단백질을 이용한 세포의 부착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의 처리 농도에 따른 βig-h3 단백질의 세포부착 활성 억제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부착 활성 억제정도를 측정하되, 플레이트에 부착하는 단백질로서 βig-h3와 βig-h3 D-Ⅳ만을 사용하였으며 마우스 복수의 처리 농도를 각각 0, 1, 2, 5, 10, 25 및 50㎕로 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를 1㎕의 저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도 βig-h3 단백질과 βig-h3 D-Ⅳ 단백질의 마우스 섬유아세포 부착활성이 크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1).
본 발명의 단클론 항체는 조직 내에서 인간 βig-h3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βig-h3의 증가 또는 감소와 관련된 질환을 진단하는 데 유용하 다. 또한, 상기 단클론 항체는 βig-h3 단백질의 세포부착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110> REGEN BIOTECH, INC. <120> Monoclonal Antibody to human TGF-beta induced gene-h3 <130> NP04-0081 <160> 5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683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PEPTIDE <222> (1)..(683) <223> TGF-beta induced gene-h3 <400> 1 Met Ala Leu Phe Val Arg Leu Leu Ala Leu Ala Leu Ala Leu Ala Leu 1 5 10 15 Gly Pro Ala Ala Thr Leu Ala Gly Pro Ala Lys Ser Pro Tyr Gln Leu 20 25 30 Val Leu Gln His Ser Arg Leu Arg Gly Arg Gln His Gly Pro Asn Val 35 40 45 Cys Ala Val Gln Lys Val Ile Gly Thr Asn Arg Lys Tyr Phe Thr Asn 50 55 60 Cys Lys Gln Trp Tyr Gln Arg Lys Ile Cys Gly Lys Ser Thr Val Ile 65 70 75 80 Ser Tyr Glu Cys Cys Pro Gly Tyr Glu Lys Val Pro Gly Glu Lys Gly 85 90 95 Cys Pro Ala Ala Leu Pro Leu Ser Asn Leu Tyr Glu Thr Leu Gly Val 100 105 110 Val Gly Ser Thr Thr Thr Gln Leu Tyr Thr Asp Arg Thr Glu Lys Leu 115 120 125 Arg Pro Glu Met Glu Gly Pro Gly Ser Phe Thr Ile Phe Ala Pro Ser 130 135 140 Asn Glu Ala Trp Ala Ser Leu Pro Ala Glu Val Leu Asp Ser Leu Val 145 150 155 160 Ser Asn Val Asn Ile Glu Leu Leu Asn Ala Leu Arg Tyr His Met Val 165 170 175 Gly Arg Arg Val Leu Thr Asp Glu Leu Lys His Gly Met Thr Leu Thr 180 185 190 Ser Met Tyr Gln Asn Ser Asn Ile Gln Ile His His Tyr Pro Asn Gly 195 200 205 Ile Val Thr Val Asn Cys Ala Arg Leu Leu Lys Ala Asp His His Ala 210 215 220 Thr Asn Gly Val Val His Leu Ile Asp Lys Val Ile Ser Thr Ile Thr 225 230 235 240 Asn Asn Ile Gln Gln Ile Ile Glu Ile Glu Asp Thr Phe Glu Thr Leu 245 250 255 Arg Ala Ala Val Ala Ala Ser Gly Leu Asn Thr Met Leu Glu Gly Asn 260 265 270 Gly Gln Tyr Thr Leu Leu Ala Pro Thr Asn Glu Ala Phe Glu Lys Ile 275 280 285 Pro Ser Glu Thr Leu Asn Arg Ile Leu Gly Asp Pro Glu Ala Leu Arg 290 295 300 Asp Leu Leu Asn Asn His Ile Leu Lys Ser Ala Met Cys Ala Glu Ala 305 310 315 320 Ile Val Ala Gly Leu Ser Val Glu Thr Leu Glu Gly Thr Thr Leu Glu 325 330 335 Val Gly Cys Ser Gly Asp Met Leu Thr Ile Asn Gly Lys Ala Ile Ile 340 345 350 Ser Asn Lys Asp Ile Leu Ala Thr Asn Gly Val Ile His Tyr Ile Asp 355 360 365 Glu Leu Leu Ile Pro Asp Ser Ala Lys Thr Leu Phe Glu Leu Ala Ala 370 375 380 Glu Ser Asp Val Ser Thr Ala Ile Asp Leu Phe Arg Gln Ala Gly Leu 385 390 395 400 Gly Asn His Leu Ser Gly Ser Glu Arg Leu Thr Leu Leu Ala Pro Leu 405 410 415 Asn Ser Val Phe Lys Asp Gly Thr Pro Pro Ile Asp Ala His Thr Arg 420 425 430 Asn Leu Leu Arg Asn His Ile Ile Lys Asp Gln Leu Ala Ser Lys Tyr 435 440 445 Leu Tyr His Gly Gln Thr Leu Glu Thr Leu Gly Gly Lys Lys Leu Arg 450 455 460 Val Phe Val Tyr Arg Asn Ser Leu Cys Ile Glu Asn Ser Cys Ile Ala 465 470 475 480 Ala His Asp Lys Arg Gly Arg Tyr Gly Thr Leu Phe Thr Met Asp Arg 485 490 495 Val Leu Thr Pro Pro Met Gly Thr Val Met Asp Val Leu Lys Gly Asp 500 505 510 Asn Arg Phe Ser Met Leu Val Ala Ala Ile Gln Ser Ala Gly Leu Thr 515 520 525 Glu Thr Leu Asn Arg Glu Gly Val Tyr Thr Val Phe Ala Pro Thr Asn 530 535 540 Glu Ala Phe Arg Ala Leu Pro Pro Arg Glu Arg Ser Arg Leu Leu Gly 545 550 555 560 Asp Ala Lys Glu Leu Ala Asn Ile Leu Lys Tyr His Ile Gly Asp Glu 565 570 575 Ile Leu Val Ser Gly Gly Ile Gly Ala Leu Val Arg Leu Lys Ser Leu 580 585 590 Gln Gly Asp Lys Leu Glu Val Ser Leu Lys Asn Asn Val Val Ser Val 595 600 605 Asn Lys Glu Pro Val Ala Glu Pro Asp Ile Met Ala Thr Asn Gly Val 610 615 620 Val His Val Ile Thr Asn Val Leu Gln Pro Pro Ala Asn Arg Pro Gln 625 630 635 640 Glu Arg Gly Asp Glu Leu Ala Asp Ser Ala Leu Glu Ile Phe Lys Gln 645 650 655 Ala Ser Ala Phe Ser Arg Ala Ser Gln Arg Ser Val Arg Leu Ala Pro 660 665 670 Val Tyr Gln Lys Leu Leu Glu Arg Met Lys His 675 680 <210> 2 <211> 131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DOMAIN <222> (1)..(131) <223> fas-1 domain D-IV <400> 2 Met Gly Thr Val Met Asp Val Leu Lys Gly Asp Asn Arg Phe Ser Met 1 5 10 15 Leu Val Ala Ala Ile Gln Ser Ala Gly Leu Thr Glu Thr Leu Asn Arg 20 25 30 Glu Gly Val Tyr Thr Val Phe Ala Pro Thr Asn Glu Ala Phe Arg Ala 35 40 45 Leu Pro Pro Arg Glu Arg Ser Arg Leu Leu Gly Asp Ala Lys Glu Leu 50 55 60 Ala Asn Ile Leu Lys Tyr His Ile Gly Asp Glu Ile Leu Val Ser Gly 65 70 75 80 Gly Ile Gly Ala Leu Val Arg Leu Lys Ser Leu Gln Gly Asp Lys Leu 85 90 95 Glu Val Ser Leu Lys Asn Asn Val Val Ser Val Asn Lys Glu Pro Val 100 105 110 Ala Glu Pro Asp Ile Met Ala Thr Asn Gly Val Val His Val Ile Thr 115 120 125 Asn Val Leu 130 <210> 3 <211> 46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DOMAIN <222> (1)..(45) <223> H1 of domain IV <400> 3 Met Gly Thr Val Met Asp Val Leu Lys Gly Asp Asn Arg Phe Ser Met 1 5 10 15 Leu Val Ala Ala Ile Gln Ser Ala Gly Leu Thr Glu Thr Leu Asn Arg 20 25 30 Glu Gly Val Tyr Thr Val Phe Ala Pro Thr Asn Glu Ala Phe 35 40 45 <210> 4 <211> 96 <212> PRT <213> Mycobacterium tuberculosis <220> <221> DOMAIN <222> (1)..(96) <223> fas-1 domain of mpt70 <400> 4 Thr Val Phe Ala Pro Thr Asn Ala Ala Phe Ser Lys Leu Pro Ala Ser 1 5 10 15 Thr Ile Asp Glu Leu Lys Thr Asn Ser Ser Leu Leu Thr Ser Ile Leu 20 25 30 Thr Tyr His Val Val Ala Gly Gln Thr Ser Pro Ala Asn Val Val Gly 35 40 45 Thr Arg Gln Thr Leu Gln Gly Ala Ser Val Thr Val Thr Gly Gln Gly 50 55 60 Asn Ser Leu Lys Val Gly Asn Ala Asp Val Val Cys Gly Gly Val Ser 65 70 75 80 Thr Ala Asn Ala Thr Val Tyr Met Ile Asp Ser Val Leu Met Pro Pro 85 90 95 <210> 5 <211> 96 <212> PRT <213> Mycobacterium tuberculosis <220> <221> DOMAIN <222> (1)..(96) <223> fas-1 domain of mpt83 <400> 5 Thr Val Phe Ala Pro Thr Asn Ala Ala Phe Asp Lys Leu Pro Ala Ala 1 5 10 15 Thr Ile Asp Gln Leu Lys Thr Asp Ala Lys Leu Leu Ser Ser Ile Leu 20 25 30 Thr Tyr His Val Ile Ala Gly Gln Ala Ser Pro Ser Arg Ile Asp Gly 35 40 45 Thr His Gln Thr Leu Gln Gly Ala Asp Leu Thr Val Ile Gly Ala Arg 50 55 60 Asp Asp Leu Met Val Asn Asn Ala Gly Leu Val Cys Gly Gly Val His 65 70 75 80 Thr Ala Asn Ala Thr Val Tyr Met Ile Asp Thr Val Leu Met Pro Pro 85 90 95

Claims (10)

  1. 항원결정인자가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의 H1 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βig-h3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단클론 항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βig-h3 단백질의 네 번째 fas-1 도메인의 H1 부분이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클론 항체.
  3. 제1항에 있어서, 쥐 또는 마우스의 βig-h3 단백질과 교차반응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클론 항체.
  4. 제1항에 있어서, 하이브리도마 7A6-a(기탁번호: KCTC 10705BP)에 의해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클론 항체.
  5. 제1항에 있어서, 인간 βig-h3의 세포부착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클론 항체.
  6. 제1항의 단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7A6-a(기탁번호: KCTC 10705BP).
  7. 제6항의 하이브리도마를 마우스의 복강 내로 주사하여 복수를 채취하고 그로부터 인간 βig-h3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 βig-h3 에 대한 단클론 항체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단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βig-h3의 증가 또는 감소와 관련된 질환의 진단용 킷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신장 질환, 간 질환 및 류마티스 질환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킷트.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단클론 항체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세포부착 억제에 이용하는 방법.
KR1020040095292A 2004-11-19 2004-11-19 인간 βig-h3에 대한 단클론 항체 KR20060056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292A KR20060056445A (ko) 2004-11-19 2004-11-19 인간 βig-h3에 대한 단클론 항체
US11/791,043 US20090068189A1 (en) 2004-11-19 2005-11-18 Monoclonal Antibody to Human TGF-Beta Induced Gene-H3 and Use Thereof
PCT/KR2005/003918 WO2006054876A1 (en) 2004-11-19 2005-11-18 Monoclonal antibody to human tgf-beta induced gene-h3 and use thereof
EP05820700A EP1819733A4 (en) 2004-11-19 2005-11-18 MONOCLONAL ANTIBODY TO GENE H3 INDUCED BY HUMAN TGF-BETA AND APPLICATION THEREOF
JP2007542905A JP2008520654A (ja) 2004-11-19 2005-11-18 ヒトβig−h3により誘導される遺伝子H−3に対する単クローン抗体およびその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292A KR20060056445A (ko) 2004-11-19 2004-11-19 인간 βig-h3에 대한 단클론 항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445A true KR20060056445A (ko) 2006-05-24

Family

ID=3640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292A KR20060056445A (ko) 2004-11-19 2004-11-19 인간 βig-h3에 대한 단클론 항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68189A1 (ko)
EP (1) EP1819733A4 (ko)
JP (1) JP2008520654A (ko)
KR (1) KR20060056445A (ko)
WO (1) WO20060548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63657A1 (en) * 2010-12-13 2012-06-13 Université de Liège Biomarkers, uses of biomarkers and a method of identifying biomarkers
EP2463659A1 (en) * 2010-12-13 2012-06-13 Université de Liège Biomarkers for cancer diagnosis
EP3867269A1 (en) * 2018-10-18 2021-08-25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Combination of a big-h3 antagonist and an immune checkpoint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solid tum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9935A1 (en) * 2002-04-19 2003-10-30 Regen Biotech, Inc.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βiG-H3 PROTEIN AND DIAGNOSTIC KIT USING THE SAME
KR100568755B1 (ko) * 2003-04-03 2006-04-07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Yh 모티프를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혈관신생 억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8189A1 (en) 2009-03-12
EP1819733A1 (en) 2007-08-22
JP2008520654A (ja) 2008-06-19
WO2006054876A1 (en) 2006-05-26
EP1819733A4 (en)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0415A (en) Synthetic peptide endowed with immunological activity, capable of inducing the production of antibodies with a high specificity towards alpha-fetoprotein, and their use in the diagnostic field
KR102029394B1 (ko) 치쿤구니아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단일클론항체, 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및 이를 이용한 치쿤구니아 바이러스 감염 진단 방법
US20070154949A1 (en) Monoclonal antibody specific to truncated midkine (tmk) protein and uses thereof
KR20060056445A (ko) 인간 βig-h3에 대한 단클론 항체
US20040198959A1 (en) Acetyllysine-recognizing monoclonal antibod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1122900A (ja) 抗−DNaseγ抗体並びにその製造及び使用
KR100759389B1 (ko) 803번 아스파라진 잔기가 수화된 HIF-1α를 특이적으로인식하는 단일클론항체 및 항원 펩티드
KR20070042994A (ko) 항시노비올린 항체
WO2004031241A1 (ja) ズブチリシン様プロプロテインコンベルターゼ・pace4に対するモノクローナル抗体及びその利用
US7427666B2 (en) Antibody directed against a ubiquitin-specific protease occurring in the brain
JP4533995B2 (ja) 抗adamts13モノクローナル抗体
US5439795A (en) Monoclonal antibodies that specifically bind somatotropin binding proteins but not to corresponding somatotropin receptors and methods of use in immunoassays
KR100493932B1 (ko) 레지스틴에 대한 단클론 항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0528721B1 (ko) 인간 탈시알기-당단백질 수용체에 대한 마우스단일클론항체, 이를 분비하는 융합세포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949836A (ja) 抗体による蛋白質構造の評価方法
CN111705039B (zh) 一种分泌抗sox17单克隆抗体的杂交瘤细胞株及应用
CN112679608B (zh) 一种抗fgf19抗体及其应用
KR20240115357A (ko) Ct-26 종양 세포 특이적 항체
WO2006057623A1 (en) Runx3 antibodies and method of obtaining the antibodies
KR101989954B1 (ko) 돼지 조직인자 세포외 도메인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US5206164A (en) DNA encoding a synthetic peptide endowed with immunological activity and capable of inducing the production of antibodies with a high specificity towards alpha-fetoprotein
KR20230093170A (ko) Lrrc15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그의 용도
KR100359247B1 (ko) 인체 상류 조절요소 결합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이를 생산하는 융합세포주
KR100372557B1 (ko) 신경펩타이드 유로코틴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이를분비하는 세포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7659185A (zh) 抗人Caldesmon蛋白单克隆抗体及其杂交瘤细胞株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