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139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139A
KR20060056139A KR1020040095426A KR20040095426A KR20060056139A KR 20060056139 A KR20060056139 A KR 20060056139A KR 1020040095426 A KR1020040095426 A KR 1020040095426A KR 20040095426 A KR20040095426 A KR 20040095426A KR 20060056139 A KR20060056139 A KR 20060056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exhaust pipe
glass substrat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영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6139A/ko
Publication of KR20060056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54Means for exhausting the g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유리기판상의 배기관의 위치를 찾을 수 있어, 작업시간을 줄이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리기판에 형성된 배기홀에 배기를 위한 배기관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배기관은 배기관주위에 식별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리기판, 배기관, 함몰부, 식별마크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
도 2는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은 종래 배기홀이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리기판을 나타낸 도.
도 4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기관이 유리기판상에 형성된 배기홀에 연결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기관이 유리기판상에 형성된 배기홀에 연결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
도 6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기관이 유리기판에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30, 630 : 유리기판 531, 631 : 배기홀
540, 640 : 배기관 560, 660 : 함몰부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로 하여금 유리기판상의 배기관이 위치하는 지점을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사이에 형성된 격벽이 하나의 단위 셀을 이루는 것으로, 각 셀 내에는 네온(Ne), 헬륨(He) 또는 네온 및 헬륨의 혼합기체(Ne+He)와 같은 주 방전 기체와 소량의 크세논을 함유하는 불활성 가스가 충진되어 있다. 고주파 전압에 의해 방전이 될 때, 불활성 가스는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하고 격벽 사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화상이 구현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얇고 가벼운 구성이 가능하므로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면인 전면 글라스(101)에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이 쌍을 이뤄 형성된 복수의 유지전극쌍이 배열된 전면기판(100) 및 배면을 이루는 후면 글라스(111) 상에 전술한 복수의 유지전극쌍과 교차되도록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113)이 배열된 후면기판(110)이 일정거리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결합된다.
전면기판(100)은 하나의 방전셀에서 상호 방전시키고 셀의 발광을 유지하기 위한 스캔 전극(102) 및 서스테인 전극(103), 즉 투명한 ITO 물질로 형성된 투명 전극(a)과 금속재질로 제작된 버스 전극(b)으로 구비된 스캔 전극(102) 및 서스테 인 전극(103)이 쌍을 이뤄 포함된다. 스캔 전극(102) 및 서스테인 전극(103)은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전극 쌍 간을 절연시켜주는 하나 이상의 상부 유전체층(104)에 의해 덮혀지고, 상부 유전체층(104) 상면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산화마그네슘(MgO)을 증착한 보호층(105)이 형성된다.
후면기판(110)은 복수개의 방전 공간 즉, 방전셀을 형성시키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또는 웰 타입)의 격벽(112)이 평행을 유지하여 배열된다. 또한, 어드레스 방전을 수행하여 진공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어드레스 전극(113)이 격벽(11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후면기판(110)의 상측면에는 어드레스 방전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R, G, B 형광체(114)가 도포된다. 어드레스 전극(113)과 형광체(114) 사이에는 어드레스 전극(113)을 보호하기 위한 하부 유전체층(11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변 다음 도 2와 같다.
도 2는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은 전면유리기판과 후면유리기판으로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각각 형성하는 기판 형성단계(S20)와,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합착하는 단계(S21)와, 합착된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사이의 수분 또는 질소 등의 불순가스를 소정의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단계(S22)와, 이후 합착된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사이에 헬륨, 크세논 등의 방전가스를 소정의 배기관을 통해 주입하는 방전가스 주입단계(S23)를 포함한 다.
전면유리기판과 후면유리기판으로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각각 형성하는 기판 형성단계(S20)는 소정의 고정용 가이드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고정 및 정렬된 전면유리기판과 후면유리기판상에 전극, 유전체층, 보호층, 격벽, 형광체층 등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전면유리기판과 후면유리기판상에 전극, 유전체층, 보호층이 형성되거나 전극, 유전체층, 격벽,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전극, 유전체층, 격벽, 형광체층이 형성되는 후면유리기판에는 전술한 배기단계(S22)의 배기공정 또는 방전가스주입단계(S23)의 방전가스주입공정 시에 패널 내부에 잔존하는 불순가스를 외부로 배기시키거나 또는 방전가스를 패널 내부로 주입시키기 위한 배기관이 연결되기 위한 배기홀이 일체로 형성된다.
합착단계(S21)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사이에 소정의 실(Seal)재를 도포하고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의 가장자리에 클립 등의 소정의 압착수단을 설치하여 서로 합착하는 단계이다. 이하에서는 이렇게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이 합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패널이라 한다.
배기 단계(S22)는 합착단계(S21)에서 합착된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사이, 즉 패널 내부의 수분 또는 질소 등의 불순물을 소정의 배기수단, 예컨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패널 외부로 배기시키는 단계이다.
방전가스 주입단계(S23)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사이, 즉 패널 내부에 네온, 헬륨 또는 네온 및 헬륨의 혼합기체와 같은 주 방전 기체와 소량의 크세논을 함유 하는 불활성 가스를 소정의 가스 주입수단으로 패널 내부로 주입하는 단계이다.
이후, 봉착, 소성, 모듈부착 등의 공정을 거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완성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에서는 전술한 배기단계(S22)에서 패널 내부에 잔존하는 불순가스를 패널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공정과, 패널 내부로 방전가스를 주입하는 주입공정은 배기관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배기관은 배기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배기홀을 살펴보면 다음 도 3과 같다.
도 3은 종래 배기홀이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리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배기홀(331)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리기판(330)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배기홀(331)은 유리기판(330)상의 비유효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기홀(331)의 크기는 연결되는 배기관(미도시)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리기판(3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유리기판 또는 후면유리기판이다.
이러한 배기홀(331)에 배기관이 연결되는 일예를 살펴보면 다음 도 4와 같다.
도 4는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기관이 유리기판상에 형성된 배기홀에 연결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것은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기관(440)이 유리기판(430)상에 형성된 배기홀(431)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배기홀(431)에 연결된 배기관(440)의 크기가 보통 수 미리(mm)로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작업자가 눈으로 식별하기가 쉽지 않아 작업자의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고 배기관(440)을 찾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전체 공정시간은 증가하게 된다. 결국, 공정시간이 증가하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자로 하여금 빠른 시간내에유리기판 상의 배기관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리기판에 형성된 배기홀에 배기를 위한 배기관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배기관은 배기관주위에 식별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기관은 소정의 지점에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식별 마크는 유리기판상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식별 마크는 화학성분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학성분의 재료는 고온용 페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기관이 유리기판상에 형성 된 배기홀에 연결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먼저, 종래와 동일하게 구성된 배기홀(531)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리기판(530)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다. 이것 역시, 배기홀(531)은 유리기판(530)상의 비유효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기홀(531)의 크기는 연결되는 배기관(54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리기판(5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유리기판 또는 후면유리기판을 말한다.
이러한 배기홀(531)에 배기관(540)이 연결되는 일예를 살펴보면 다음 도 5와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기관(540)이 유리기판(530)상에 형성된 배기홀(531)에 연결되는데, 이때 배기관(540) 주위에 진공펌프의 헤드(미도시)와 체결시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고 외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한 함몰된 함몰부(560)를 형성시킨다.
또한, 여기에서 함몰부(560)에 진공펌프의 헤드(미도시)와 체결시 식별이 용이하도록 식별마크를 형성시킨다. 이러한 식별마크는 화학성분의 재료를 이용하여 식별이 용이하도록 마킹(Marking)처리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함몰부(560)에 외부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고온용 페인트를 이용하여 마킹(Marking)처리 함으로써 식별마크가 마모되지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같이 함몰부(560)에 식별마크가 형성된 배기관(540)을 도 6과 같이 유리기판(630)상의 배기홀(631)에 체결하여 방전시에 불순물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배기를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배기관(640)의 함몰부(660)에 형성된 식별마크를 유리기판(630)상에 노출되도록 형성하여 외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함 으로써 식별마크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식별을 하는데 더욱더 용이하게 하고, 마모되지 않은 식별마크로 인해 작업자가 배기관(640)의 위치를 빠른시간내에 찾게하여 배기를 위한 진공펌프를 체결할 시간을 단축시켜 전체적인 공정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유리기판상의 배기관의 위치를 찾을 수 있어, 작업시간을 줄이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유리기판에 형성된 배기홀에 배기를 위한 배기관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배기관주위에 식별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소정의 지점에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마크는 상기 유리기판상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마크는 화학성분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성분의 재료는 고온용 페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40095426A 2004-11-19 2004-11-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56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426A KR20060056139A (ko) 2004-11-19 2004-11-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426A KR20060056139A (ko) 2004-11-19 2004-11-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139A true KR20060056139A (ko) 2006-05-24

Family

ID=3715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426A KR20060056139A (ko) 2004-11-19 2004-11-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61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37B1 (ko) * 2006-06-23 2007-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37B1 (ko) * 2006-06-23 2007-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613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3157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실링장치
KR1005901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81322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제조방법
KR2006003932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리기판
KR1006836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06095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 방법
KR10064763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3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676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841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644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007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17103A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2007007634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90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5269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2518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4026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 장치
KR2006012990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KR2010008328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999006019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5524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4면취 유리기판의 제조방법
KR2006012221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1440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