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237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237B1
KR100768237B1 KR1020060057085A KR20060057085A KR100768237B1 KR 100768237 B1 KR100768237 B1 KR 100768237B1 KR 1020060057085 A KR1020060057085 A KR 1020060057085A KR 20060057085 A KR20060057085 A KR 20060057085A KR 100768237 B1 KR100768237 B1 KR 100768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lectrode sheet
exhaust
display pane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익
이원주
강경두
우석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7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237B1/ko
Priority to JP2007156732A priority patent/JP2008004546A/ja
Priority to US11/812,556 priority patent/US20080122358A1/en
Priority to CNA2007101280334A priority patent/CN101106056A/zh
Priority to EP07252575A priority patent/EP1870922A3/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1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6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inside or on the side face of the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54Means for exhausting the g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38Exhausting, degassing, filling, or cleaning vessels
    • H01J9/385Exhausting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25Material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8Dummy spacers, e.g. in a non display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유연성이 있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복수 개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유연성이 있으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방전공간들을 형성하는 전극시트와, 제2 기판에 형성되어 방전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기공과, 배기공이 형성된 위치에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지지함과 아울러 방전공간을 배기공 측으로 연통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기 공정의 진행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전극시트 262, 262a: 제1 블록
210a, 310: 방전공간 263, 263a: 제2 블록
220, 320: 제1 전극 264, 364: 배기통로
220a: 방전부 264a: 개방부
220b: 연결부 265, 365: 연결통로
221, 231, 321, 331: 도금 시드막 266, 366: 배기공
222, 232, 322, 332: 도금층 280, 380: 제1 기판
230, 330: 제2 전극 290, 390: 제2 기판
240, 250, 340, 350: 절연층 311: 격벽
260,260a: 지지부 312: 형광층
261,361: 배기관 370: 실링부
본 발명은 유연성이 있는 기판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배기관을 통과하는 공기가 안정적인 흐름상태를 유지하므로 배기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보편화로 인해 소통되는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유비퀴터스 디스플레이(ubiquitous display)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공간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유비퀴터스 디스플레이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양한 장소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경질의 유리 물질(rigid glass material)과 같이 유연성이 없는 재질로 이루 어지는 기판을 포함하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무겁고, 두꺼우며, 유연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응용할 수 있는 분야가 상당히 제한되었는데,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유연성이 있는 재질의 기판을 사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체 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대화면을 가지면서도, 고화질, 초박형, 경량화 및 광시야각의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해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대형화가 용이하여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기판 사이에 형성된 많은 방전공간에 주입된 기체를 방전시킴으로써 자외선을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방전공간 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이미지 등의 화상을 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기 공정의 진행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유연성이 있는 기판을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배기 공정의 문제점을 나타낸다.
도 1의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연성이 있는 한 쌍의 기판(8, 9)을 포함한다. 기판(8, 9)은 유연성이 있는 전극시트(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며, 실링부(7)에 의해 밀봉된다. 그리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의 불순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공정이 수행되고, 방전가스를 패널 내부에 충전하는 봉입공정이 수행된다.
배기공정이 수행될 때에는 패널 내부의 공기가 기판(9)에 연결된 배기관(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패널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어 패널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된다. 패널을 이루는 기판(8, 9)이 경질의 유리와 같은 재질이라면 패널 내부에 진공 상태가 형성되어도 문제가 없지만, 유연성이 있는 기판이라면 기판(8,9)이 내측으로 달라붙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에는 배기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유연성이 있는 기판(8,9)이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내측으로 휘어져 전극시트(10)에 달라붙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기판(8,9)이 전극시트(10)에 달라붙으면 배기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전극시트(10)에 달라붙은 기판(8,9)은 패널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배기공정을 실시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연성이 있는 기판을 사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기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므로 배기공정이 수행되는 중에 기판이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므로 배기공정이 수행되는 중에 기판이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유연성이 있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복수 개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유연성이 있으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방전공간들을 형성하는 전극시트와, 제2 기판에 형성되어 방전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기공과, 배기공이 형성된 위치에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지지함과 아울러 방전공간을 배기공 측으로 연통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부는 제1 기판과 전극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블록과, 제2 기판과 전극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블록은 배기공에 연통되는 배기통로와, 배기통로에 연결되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개방되는 연결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부는 제2 기판의 배기공이 형성되는 부분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부는 제1 기판과 전극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블록과, 제2 기판의 배기공이 형성되는 부분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제2 기판과 전극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내부에 가스가 충전되는 복수 개의 방전공간들을 형성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유연성이 있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제2 기판에 형성되어 방전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기공과, 배기공이 형성된 위치에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지지함과 아울러 방전공간을 배기공 측으로 연통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지지부는 배기공에 연통되는 배기통로와, 배기통로에 연결되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개방되는 연결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지지부는 제2 기판의 배기공이 형성되는 부분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기판(280)과, 제2 기판(290)과, 전극시트(210)와, 배기공(266)과, 지지부(260)를 포함한다.
제1 기판(280)과 제2 기판(290)은 유연성을 갖는 평평한 플레이트이다. 기판(280,290)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및 폴리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 또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기판(280)과 제2 기판(290)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며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전극시트(210)는 제1 기판(280)과 제2 기판(29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 의 방전공간(210a)을 형성한다. 전극시트(210)도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및 폴리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거나, 유기물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므로 유연성이 있다.
본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패널은 이와 같이 유연성을 갖는 기판(280,290)과 전극시트(210)를 포함하므로, 경질의 유리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져 유연성이 없는 기판을 포함하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패널에 비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전극시트(210)는 복수 개의 전극들(220,2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극들(220,230)은 전극시트(210)의 표면에 형성되지만, 구현하고자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식에 따라 전극들이 전극시트(210)의 내측에 매립될 수도 있다. 전극들(220,320)은 전극시트(210)의 표면에 길게 연장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방전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한다.
전극시트(210)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방전공간(210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시트(210)의 제1 기판(280)을 향하는 면에서 제2 기판(290)을 향하는 면으로 개구가 관통함으로써 방전공간(210a)이 형성된다. 제1 기판(280)과 제2 기판(290)이 전극시트(210)를 사이에 두고 결합하면, 방전공간(210a)에는 가스가 충전된다. 방전공간(210a)의 형상은 본 실시예와 같은 원형 이외에도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방전공간(210a)에는 형광체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방전공간(210a)에 가스가 충전되기 위해서는 전극시트(210)와, 이를 사이에 두고 결합하는 제1 기판(280)과 제2 기판(290)들이 밀봉되어야 한다. 전극시트(210)와, 제1 및 제2 기판들(280,290)은 밀봉부재(미도시)에 의해 밀봉되거나, 열압착 등의 방법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복수의 전극들(220,230)은 전극시트(210)에 형성되는 방전공간(210a)을 감싸며 전극시트(210)의 표면에 연장되며 배치된다. 복수의 전극들(220,230)은 전극시트(2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전극(220)과, 전극시트(210)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230)을 포함한다. 제1 전극들(220)은 전극시트(210)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전극(230)은 제1 전극(220)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은 가스가 충전된 방전공간(210a)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에 전류가 공급되면 방전공간(210a)에서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전극들(220)은 방전에 기여하는 방전부(220a)들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220b)들을 포함한다. 방전부(220a)들은 방전공간(210a)의 둘레를 완전히 둘러싸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방전부(220a)들은 원형 고리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방전공간(210a)의 둘레를 완전히 둘러싼다. 그러나 이를 변형하여 방전부(220a)가 방전공간(210a)의 둘레의 일부만을 둘러싸도록 하거나,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전부(220a)들은 반원형이 되어 방전공간의 일부를 둘러싸거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유지방전이 일어나는 방전공간(210a)을 선택하기 위해 제1 기판(280) 또는 제2 기판(290)에 어드레스 전극들(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어드레스 전극은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이 연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극(22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단일층으로 형성되거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전극(220)은 전극시트(210) 위에 형성되는 도금 시드막(221)과, 도금 시드막 위에 도금되는 도금층(222)을 포함한다. 제1 전극(220)과 전극시트(210)의 표면에는 절연층(240)이 형성될 수 있다.
도금 시드막(221; seed layer)은 전극시트(210) 위에 도금층(222)을 형성하는 데 기초가 되는 층이다. 도금 시드막(221)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나 폴리이미드와 같이 유연성이 있으며, 전극시트(210)에 용이하게 증착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230)도 제1 전극(220)과 마찬가지로 도금 시드막(231)과 도금층(2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전극(230)과 전극시트(210)의 표면에는 절연층(2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금층(222,232)은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전극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므로 도전성을 가지며, 도금 시드막(221,231)에 용이하게 도금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도금 시드막(221,231)과, 그 위에 도금되는 도금층(222,232)을 포 함하는 전극들(220,230)의 구성을 통해, 유연성이 있는 전극시트(210)에 복수의 전극들(220,230)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전극의 도금 시드막(221,231)과 도금층(222,232)은 무전해 시드막과 무전해 도금층일 수 있다. 무전해 시드막과 무전해 도금층을 사용하면 전해 도금 시드막과 전해 도금층을 사용할 때보다 전극시트(210)의 표면에 더욱 용이하게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들(220,230) 위에는 절연층(240,250)이 형성된다. 절연층(240,250)은 복수의 전극들(220,230)을 덮도록 전극시트(210)의 전체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전극들(220,230)이 형성된 부분만을 덮도록 전극시트(210)의 일부 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절연층(240,25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전극시트(210)의 재질과 동일하게 유연성이 있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240,250)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나 폴리이미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층(240,250)이 유연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전극시트(210)와 그 위에 형성되는 절연층(240,250)이 모두 유연성을 가지므로 전극시트(210)의 유연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절연층(240,250)의 재질을 전극시트(210)의 재질과 동일하게 한다면 절연층(240,250)과 전극시트(210)의 유연성의 정도를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절연층(240,250)과 전극시트(210)의 접촉 부위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기판(290)에는 배기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배기관(261)이 설치된다. 배기 관(261)은 제2 기판(290)의 일측에 결합되며 패널 내부의 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기능을 한다. 배기관(261)은 제2 기판(290)에 형성된 배기공(266)에 결합되므로, 패널 내부의 방전공간(210a)을 외부로 연통시킬 수 있다.
제1 기판(280)과 제2 기판(290)을 지지하는 지지부(260)는 배기관(261)이 설치된 위치에서 제1 기판(280)과 제2 기판(290)의 사이에 설치된다. 지지부(260)는 제1 기판(280)과 전극시트(21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블록(262)과, 제2 기판(290)과 전극시트(21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블록(263)을 포함한다. 제1 블록(262)은 배기관(261)의 둘레에서 제1 기판(280)과 전극시트(21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 블록(263)은 배기관(261)의 둘레에서 제2 기판(290)과 전극시트(21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블록(263)은 제2 기판(290)과 전극시트(210)의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높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형성되는 배기통로(264)와 연결통로(265)를 포함한다. 배기통로(264)는 제2 블록(263)의 제2 기판(290)에 접하는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므로, 배기공(266)에 연통된다. 연결통로(265)는 제2 블록(263)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며, 배기통로(264)와 연결된다. 그러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공간은 제2 블록(263)의 연결통로(265)와, 배기통로(264)와, 배기공(266)과, 배기관(261)을 차례로 거쳐 외부와 연통된다.
도 3에 나타난 대로 제1 기판(280)과 전극시트(210)와 제2 기판(290)이 결합되어 밀봉이 이루어지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와 불순물들을 배기관(26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공정이 수행된다. 배기공정이 완 료된 이후에는 배기관(261)을 통해 패널의 내부로 방전가스가 주입된다.
배기공정이 수행될 때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의 공기가 제2 블록(263)의 연결통로(265)와, 배기통로(264)와, 배기공(266)과, 배기관(261)을 차례로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패널의 내부에는 음압이 형성되어 진공상태가 될 수 있다.
배기관(261)이 장착된 지점에서 제1 기판(280)과, 제2 기판(290)과, 전극시트(210)는 제1 블록(262) 및 제2 블록(263)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술한 진공상태에서도 외부 압력에 의해 제1 기판(280)이나 제2 기판(290) 등이 휘어져 내측으로 밀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배기공(266)을 통과하는 공기가 안정적인 흐름상태를 유지하므로 배기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지지부(260a)의 형태가 상술한 일 실시예로부터 변형되었다. 지지부(260a)는 그 형상이 변형되었으나 제1 기판(280)과 제2 기판(290)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1 기판(280)과 제2 기판(290)의 사이의 공간을 배기관(261) 측으로 연통시키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부(260a)는 제2 기판(290)의 배기공(266)이 형성된 부분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제1 기판(280)과 제2 기판(290)의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부(260a)는 제1 블록(262a)과 제2 블록(263a)을 포함한다. 제1 블록(262a)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이어서, 제1 기판(280)과 전극시트(2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기판(280)과 전극시트(210)를 지지한다. 제2 블록(263a)은 제2 기판(290)과 전극시트(210)의 사이에서 제2 기판(290)의 배기공(266)이 형성된 부분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2 기판(290)과 전극시트(210)를 지지한다.
제2 블록(263a)에는 그 일부가 제1 기판(280)과 제2 기판(290)의 사이의 공간에서 개방되어 배기공(266)에 연통되는 개방부(264a)가 형성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공간은 제2 블록(263a)의 개방부(264a)와, 배기공(266)과, 배기관(261)을 통해 외부로 연통된다. 따라서 배기공정을 수행할 때에는 패널 내부의 공기가 이와 같은 경로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기판(280)과 제2 기판(290)과 전극시트(210)가 결합되어 밀봉이 이루어진 후, 배기공정이 실시된다. 제1 블록(262a)이 제1 기판(280)과 전극시트(210)를 지지하고 제2 블록(263a)이 제2 기판(290)과 전극시트(210)를 지지하므로, 배기공정으로 인해 패널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되어도 기판들(280,290)이 밀착되지 않아 배기공정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연성이 있는 패널로서, 3전극 면방전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기판(380)과, 제2 기판(390)과, 배기관(361)과, 지지부(360)를 포함한다.
제1 기판(380)과 제2 기판(390)은 내부에 가스가 충전되는 복수 개의 방전공 간(310)을 형성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1 기판(380)과 제2 기판(390)은 유연성을 갖는 평평한 플레이트로서,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및 폴리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거나 유기물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들(380,390)의 표면에는 복수의 전극들(320,330)이 배치된다. 복수의 전극들(320,330)은 도 5에서와 같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극들(320,330)은 구현하고자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에 따라 스트라이프 형상 이외에도 매트릭스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380,390) 위에 형성되는 전극(320,33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단일층으로 되거나, 본 실시예와 같이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380)에는 제1 전극들(320)이 형성된다. 제1 전극들(320)은 표시전극인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의 기능을 하는 전극들이다. 제2 기판(390)에는 제2 전극들(330)이 형성된다. 제2 전극들(330)은 제1 전극들(320)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들이다.
제1 기판(380) 위에 형성되는 제1 전극(320)은 도금 시드막(321)과,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며 도금 시드막(321) 위에 도금되는 도금층(322)을 포함한다. 제1 전극(320)과 제1 기판(380)의 표면에는 절연층(3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330)도 제1 전극(320)과 마찬가지로 도금 시드막(331)과 도금층(332)을 포함하며, 제2 전극(330)과 제2 기판(390)의 표면에 절연층(3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금 시드막(321,331)은 기판(380,390) 위에 도금층(322,332)을 형성하는 데 기초가 되는 층이다. 도금 시드막(321,331)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나 폴리이미드와 같이 유연성이 있으며, 기판(380,390)에 용이하게 증착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금층(322,332)은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전극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므로 도전성을 가지며, 도금 시드막(321,331)에 용이하게 도금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전극들(320,330) 위에 형성되는 절연층(340,350)은 기판(380,390)의 재질과 동일하게 유연성이 있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340,350)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나 폴리이미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380)과 제2 기판(390)의 사이에는 다수의 격벽들(311)이 형성되어 다수의 방전공간(310)을 형성한다. 방전공간(310)의 표면에는 형광층(312)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가스가 충전된다. 격벽(311)은 일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교차하며 연장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기판(390)에는 배기공정에 사용되는 배기관(361)이 결합된다. 배기관(361)은 제2 기판(390)에 형성되는 배기공(366)에 연통하도록 제2 기판(390)에 결합되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의 방전공간(310)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기판(380)과 제2 기판(390)은 실링부(370)에 의해 밀봉된다. 실링부(370)는 제1 기판(380)과 제2 기판(39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제1 기판(380)과 제2 기판(390)의 사이를 밀봉한다.
지지부(360)는 배기관(361)이 장착된 위치에서 제1 기판(380)과 제2 기판(39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기판(380)과 제2 기판(39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지지부(36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부(360)는 제2 기판(390)의 배기공(366)에 연통되는 배기통로(364)와, 배기통로(364)에 연결되며 제1 기판(380)과 제2 기판(390)의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개방되는 연결통로(365)를 포함한다. 지지부(360)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제2 기판(390)의 배기공(366)이 형성되는 부분의 둘레를 둘러싸는 한 개의 블록으로 제작되거나, 제2 기판(390)의 배기공(366)이 형성되는 부분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부(360)는 제2 기판(390)의 배기공(366)이 형성되는 부분의 일부를 둘러싸는 두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블록은 상측의 배기공(366)과 연통되는 배기통로(364)를 형성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되며,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지지부(360)의 측면에는 제1 기판(380)과 제2 기판(390)의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개방되는 연결통로(365)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공간은 지지부(360)의 연결통로(365)와, 배기통로(364)와, 배기공(366)과, 배기관(361)을 차례로 거쳐 외부와 연통된다.
도 5에 나타난 대로 제1 기판(380)과 제2 기판(390)이 결합되어 밀봉이 이루어지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와 불순물들을 배기관(36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공정이 수행된다. 배기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는 배기관(361)을 통해 패널의 내부로 방전가스가 주입된다.
배기공정이 수행될 때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의 공기가 지지부(360)의 연결통로(365)와, 배기통로(364)와, 배기공(366)과, 배기관(361)을 차례로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음압이 형성되므로 패널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기판(380)과, 제2 기판(390)은 배기관(361)이 장착된 지점에서 지지부(360)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술한 진공상태에서도 외부 압력에 의해 제1 기판(380)이나 제2 기판(390) 등이 휘어져 내측으로 밀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배기공(366) 및 배기관(361)을 통과하는 공기가 안정적인 흐름상태를 유지하므로 배기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므로 배기공정이 수행되는 중에 기판이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지지부는 기판들과 전극시트를 지지함과 아울러 방전공간을 배기관 측으로 연통시키므로 유연성이 있는 기판을 사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기공 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유연성이 있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복수 개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유연성이 있으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방전공간들을 형성하는 전극시트;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방전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기공; 및
    상기 배기공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방전공간을 상기 배기공 측으로 연통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전극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전극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배기공에 연통되는 배기통로와, 상기 배기통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개방되는 연결통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배기공이 형성되는 부분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지지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전극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배기공이 형성되는 부분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전극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내부에 가스가 충전되는 복수 개의 방전공간들을 형성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유연성이 있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방전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기공; 및
    상기 배기공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방전공간을 상기 배기공 측으로 연통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기공에 연통되는 배기통로와, 상기 배기통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개방되는 연결통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배기공이 형성되는 부분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지지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60057085A 2006-06-23 2006-06-2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085A KR100768237B1 (ko) 2006-06-23 2006-06-2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7156732A JP2008004546A (ja) 2006-06-23 2007-06-13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11/812,556 US20080122358A1 (en) 2006-06-23 2007-06-20 Plasma display panel
CNA2007101280334A CN101106056A (zh) 2006-06-23 2007-06-22 等离子体显示屏
EP07252575A EP1870922A3 (en) 2006-06-23 2007-06-25 Plasma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085A KR100768237B1 (ko) 2006-06-23 2006-06-2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8237B1 true KR100768237B1 (ko) 2007-10-18

Family

ID=3856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085A KR100768237B1 (ko) 2006-06-23 2006-06-2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22358A1 (ko)
EP (1) EP1870922A3 (ko)
JP (1) JP2008004546A (ko)
KR (1) KR100768237B1 (ko)
CN (1) CN1011060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070B1 (ko) * 2006-11-07 2008-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10188528A (ja) 2009-02-13 2010-09-02 Seiko Epson Corp ラインヘッド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2071629B1 (ko) * 2013-05-27 2020-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139A (ko) * 2004-11-19 200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5451A (ja) * 1995-10-13 1997-05-02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10326572A (ja) * 1997-05-27 1998-12-08 Chugai Ro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0268731A (ja) * 1999-03-15 2000-09-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基板、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347933B1 (ko) * 2000-01-10 2002-08-09 엘지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플렉시블 베이스 기판
KR100647630B1 (ko) * 2004-11-04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139A (ko) * 2004-11-19 200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06056A (zh) 2008-01-16
JP2008004546A (ja) 2008-01-10
EP1870922A2 (en) 2007-12-26
US20080122358A1 (en) 2008-05-29
EP1870922A3 (en)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16782A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9419060B2 (en) Display device
CN108958552B (zh) 触控显示面板
KR1007682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WO2019179438A1 (zh)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作方法
KR20160032751A (ko) 액정표시장치
KR10083807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N110244823B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US8441595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060066213A1 (en) Flat-type fluorescent lamp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00054608A (ko) 형광관 격벽형 평판 형광 램프
TW201838478A (zh) 成膜方法及電子裝置的製造方法、以及遮罩保持體
CN101330096A (zh) 有机电致发光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JP2006165489A (ja) 真空圧発生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薄膜加工装置
EP2535918A2 (en) Field emission panel having posts provided in getter room
US20100176711A1 (en) Light Emission Device
JPH1196942A (ja) 画像表示装置
KR20070051650A (ko) 유기 발광 소자 패널
US20190390342A1 (en) Thin film processing apparatus and thin film processing method
US8618726B2 (en) Field emission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field emission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ackaging field emission panel
CN100576409C (zh) 场发射显示器的电极导线引出结构
KR2008001525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10000980A (ko) 플라즈마 표시판넬의 제조방법
JP2000030640A (ja) 表示装置の発光素子
KR101040796B1 (ko) 전계방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