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5398A -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5398A
KR20060055398A KR1020050109997A KR20050109997A KR20060055398A KR 20060055398 A KR20060055398 A KR 20060055398A KR 1020050109997 A KR1020050109997 A KR 1020050109997A KR 20050109997 A KR20050109997 A KR 20050109997A KR 20060055398 A KR20060055398 A KR 20060055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ge
file
storage device
s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071B1 (ko
Inventor
히로후미 카와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25Power saving in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Management of b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8Controller construc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파일·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영역에 대해 전기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액세스한다. 제어 장치측에서는, 파일 단위로 발생하는 데이터 요구를 페이지마다 요구하고, 무선 통신 수단을 경유하여, 기억 장치에 대해 페이지 단위에의 데이터 요구를 순차적으로 행한다. 기억 장치는, 파일 단위로 데이터를 취급하지 않고, 기억 영역의 물리 액세스 단위에의 데이터 요구에 응하면 좋고, 파일·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의 액세스 동작에 수반하는 처리 부하가 경감된다. 파일·시스템 기능이나 데이터·인터페이스 기능을 기억 장치에 장비할 필요가 없다.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제어 장치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COMMUNICATION SYSTEM, MEMORY DEVICE, AND CONTROLL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기억 장치(5)측의 RF 기능부(2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어 장치(6)측의 RF 기능부(1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기억 장치(5)측의 RF 기능부(21)와 도 3에 도시한 제어 장치(6)측의 RF 기능부(11) 사이에서 반사파 전송을 행하기 위한 제어 시퀀스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기억 디바이스(431)로서 NAND형 플래시·메모리를 상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기억 영역(7)과 파일·데이터(8)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어 장치(6)측의 호스트 기능부(13)로부터 기억 장치(5)측의 단말 기능부(23)에 대해, 블록·데이터 단위로 파일·데이터에 판독 액세스하는 처리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페이지 판독 요구(504)와 페이지 판독 응답(505)을 실현하는 데이터·포맷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페이지 기록 요구(504')를 실현하는 데이터·포맷의 한 구성예를 도 시한 도면.
도 9는 제어 장치(6)에 관한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반사기 부착 플래시·메모리·모듈 및 반사파 판독기 부착 제어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플래시·메모리의 물리 포맷 및 논리 포맷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지정된 물리 블록 및 페이지에 관한 페이지·데이터 및 확장 데이터의 합계 528바이트의 판독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READ_PAGE_DATA_528)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지정된 물리 블록 및 페이지에 관한 페이지·데이터 및 확장 데이터(528바이트)를 2페이지 연속하여 판독할 때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READ_PAGE_DATA_528×2)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4에는, 지정된 물리 블록 및 페이지에 관한 페이지·데이터 및 확장 데이터(528바이트)를 4페이지 연속하여 판독할 때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READ_PAGE_DATA_528×4)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지정된 물리 블록 및 페이지에 관한 확장 데이터 16바이트만의 판독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READ_EXTRA_DATA)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지정된 물리 블록에 있어서의 모든 페이지(즉 32페이지)에 관한 각 16바이트의 확장 데이터를 일괄하여 판독할 때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READ_EXTRA_DATA_BLOCK)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지정된 물리 블록에 있어서의 모든 페이지(즉 32페이지)에 관한 논리 어드레스를 일괄하여 판독할 때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READ_LOG_ADRS_SEGMENT)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지정된 물리 블록 및 페이지에 관한 페이지·데이터 및 확장 데이터의 합계 528바이트의 기록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WRITE_PAGE_DATA_528)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지정된 물리 블록 및 페이지에 관한 확장 데이터 16바이트만의 기록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WRITE_EXTRA_DATA)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지정된 물리 블록을 소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ERASE_BLOCK)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무선에 의한 화상 전송의 예(종래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하드·디스크나 플래시·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를 적용한 전자 기기의 일반적인 구성예(종래 기술)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기억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다른 기기와 공유하는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기억 장치 6 : 제어 장치
11 : RF 기능부 12 : 통신 제어 기능부
13 : 호스트 기능부 14 : 제어 인터페이스
21 : RF 기능부 22 : 통신 제어 기능부
23 : 단말 기능부 24 : 제어 인터페이스
111 : 안테나 112 : 서큘레이터
113 : 직교 검파부 114 : AGC 앰프
115 : 믹서 116 : 파워·앰프
117 : 주파수 신디사이저 131 : 통신 제어부
132 : 데이터 제어부 133 : 파일 제어부
134 : 매니지먼트부 210 : 안테나·스위치
211 : 안테나 212 : 안테나 부하
213 : 밴드패스·필터 214 : ASK 검파부
222 : 변조 기능부 223 : 복조 기능부
231 : 통신 제어부 232 : 데이터 제어부
431 : 기억 디바이스 432 : 기억 디바이스 제어 기능부
기술분야
본 발명은, 파일·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영역에 대해 외부로부터 액세스하는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일 단위로 취급되는 파일·데이터를 무선 통신 수단 경유로 접속되는 기억 장치의 기억 영역에 대 해 액세스하는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파일·데이터에의 액세스시에 기억 장치측에서의 처리 부하가 증대하지 않는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억 장치측에서 파일·데이터에의 액세스에 필요하게 되는 기능의 추가가 적어도 되는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요즘의 기술 혁신에 수반하여, 퍼스널·컴퓨터(퍼스널·컴퓨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카메라, 포터블·미디어·플레이어 등, 텍스트나 화상, 음성 등 다양한 미디어로 이루어지는 컴퓨터·파일을 취급하는 각종의 정보 기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또한, 이 주(主)된 정보 기기의 대부분은, 내장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메모리·스틱, 메모리·카드,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 카트리지식의 메모리 장치를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는 커넥터 또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카메라에서는, 촬상 화상을 JPEG(Joint Picture Experts Group) 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의 소정의 파일·포맷으로 부호화한 후, 메모리·카드에 보존한다. 이와 같은 경우, 소용량의 내장 메모리에 모두 축적할 수 없는, 많은 화상을 축적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가 꽉차게 되었을 때에, 메모리·카드를 교환함으로써, 촬상 화상을 보존하기 위한 새로운 용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디지털·카메라상에서 포착한 화상 파일을 퍼스널·컴퓨터 등의 다른 정보 기기로 이동하고, 화질 조정이나 재부호화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하거나, 데이터베이스 또는 앨범 등의 형식으로 화상 관리를 행하거나 할 수 있다. 또는, 프린터에 화상 파일을 전송하고, 프린트·아웃을 행함에 의해 사진으로서 즐길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카드상의 화상이나 그 밖의 데이터를 기기 사이에서 이동하는 방법으로서는, 메모리·카드를 빼내고, 이동처의 기기에 장착한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는, 메모리·카드를 장착한 기기와 데이터 이동처의 기기를 유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로를 경유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경우, 데이터 전송할 때마다 커넥터의 새로 붙이는 작업을 하고, 케이블을 배선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성이 높다.
도 21에는, 무선에 의한 화상 전송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서는, 모바일 기기로서 디지털·카메라를 상정하고 있다. 디지털·카메라는, 촬영한 화상을 내장 메모리 또는 외부 메모리·카드에 화상 데이터로서 격납한다. 그리고, 무선 전송할 때에는, 목적하는 화상 데이터를 내장 메모리 또는 외부 메모리·카드로부터 판독하고, 무선 인터페이스 경유로 퍼스널·컴퓨터나 텔레비전, 프린터 등의 화상 재생 장치에 전송한다. 물론, 퍼스널·컴퓨터나 텔레비전, 프린터 등의 수신 장치측에도 무선 인터페이스·모듈이 각각 어댑터로서 장비되어 있다. 무선 전송로에 의한 화상 데이터 전송 후에는, 퍼스널·컴퓨터에서는 화상 데이터가 표시, 격납되고, 텔레비전에서는 화면상에서 표시 출력되고, 프린터에서는 프린트·아웃된 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카메라로부터 무선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송원의 기기측에서도 무선 인터페이스·모듈을 장비하여야 한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내장하지 않은 기기에서는, 외부 부착 어댑터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장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메모리·스틱 등의 카트리지식의 기억 장치 자체가 무선 인터페이스·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면, 디지털·카메라가 무선 인터페이스·모듈을 장비할 필요는 없어진다. 또한, 메모리·스틱을 디지털·카메라 등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에 장착하지 않고, 메모리·스틱 단체로도 퍼스널·컴퓨터나 프린터 등의 타겟 장치에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기능을 내장한 외부 메모리·미디어에 관해 제안이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할 것). 이 외부 메모리·미디어는, 장착된 호스트 기기와의 사이에서 물리적 접속 수단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수하는 유선 통신 수단과, Bluetooth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통신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외부 메모리·미디어를 장착한 호스트 기기는, 이 메모리·미디어 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구동하여 통신망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도 22에는, 하드·디스크나 플래시·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를 적용한 전자 기기의 일반적인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전자 기기(4)는, 기억 장치(43)와, 기능 제어부(41)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 장치(43)는, 자기 디스크나 메모리 소자 등의 기억 매체로 이루어지는 기억 디바이스(431)와, 기억 매체에의 물리적인 액세스 동작을 행하는 기억 디바이스 제어 기능부(432)로 구성된다.
기억 디바이스(431)는, 물리적인 기억 영역 그 자체에 상당하고, 기억 디바이스 제어 기능부(432)는, 기억 디바이스(431)에 대한 불량 블록 관리나, 에러 검출이나 에러 정정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기억 장치(43)는, 프로세서·버스 등, 소정의 전기적 인터페이스(42)를 통하여 기기 제어부(41)로부터 제어된다.
기기 제어부(41)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제공되는, 기기 전체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파일 제어부(411)와 데이터 제어부(412)를 구비하고, 기억 장치(43)에 대해 파일·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을 행한다.
데이터 제어부(412)는, 기억 장치(43)에 대해, 「섹터」 또는 「페이지」라고 불리는, 물리 액세스의 최소 단위(일반적으로는 512바이트)로서 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 동작을 행하는 드라이버 제어부이다.
파일 제어부(411)는, 일반적으로는 「파일·시스템」이라고 불리고, 데이터 제어부(412)를 통하여, 기억 장치(43)와의 사이에서 파일·데이터 즉 파일 단위에의 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 동작을 행한다.
종래, 전자 기기에서, 기억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다른 기기와 공유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기기에 파일·시스템 기능과, 데이터·인터페이스 기능(USB, IrDA, 무선 LAN 등)을 부가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3에는, 이와 같은 경우의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전자 기기측에서는, 인터페이 스 기능부(44)가 추가 탑재됨과 함께, 기기 제어부(41)에는 인터페이스 기능부(44)를 드라이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413)가 장비되어 있다.
그런데,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기 구성에서는, 기기 제어부(31)의 처리 부하가 무겁게 되는, 나아가서는 데이터·인터페이스 기능부를 부가함에 의해 소비 전력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개발자에게 있어서는 드라이버 개발 등, 기능 도입을 위한 부담을 강요받게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7787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 단위로 취급되는 파일·데이터를 무선 통신 수단 경유로 접속되는 기억 장치의 기억 영역에 대해 알맞게 액세스할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일·데이터에의 액세스시에 기억 장치측에서의 처리 부하가 증대하지 않는, 우수한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억 장치측에서 파일·데이터에의 액세스에 필요하게 되는 기능의 추가가 적어도 되는, 우수한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참작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액세스 동작이 행하여지는 기억 영역을 구비한 기억 장치와, 파일 단위로 데이터에의 액세스 요구가 행하여지는 제어 장치 사이에서 소정의 전송로를 경유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액세스 요구된 파일을 구성하는 각 페이지 또는 섹터에 대한 액세스 요구를 상기 전송로 경유로 상기 기억 장치에 보내고, 상기 기억 장치는 요구된 페이지 또는 섹터에 대한 액세스 동작을 순서대로 행함으로써, 상기 기억 영역에서의 파일 전체에 대한 액세스 요구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단, 여기서 말하는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또는 특정한 기능을 실현하는 기능 모듈)가 논리적으로 집합한 물건인 것을 말하고, 각 장치나 기능 모듈이 단일의 몸체 내에 있는지의 여부는 특히 묻지 않는다(이하, 같다).
많은 정보 기기에서는, 하드·디스크나, 메모리·스틱, 메모리·카드, USB 메모리 등 카트리지식의 메모리 장치를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는 커넥터 또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기억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함에 의해, 데이터 전송시마다 커넥터의 새로 붙이는 작업을 하고, 케이블을 배선할 필요가 없어지고, 편리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관한 기억 장치는, 외부의 제어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무선 전송로를 경유한 기억부에의 액세스 동작, 및 무선 통신 동작의 제어를 행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기억 장치를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에 장착하지 않고, 단체라도 퍼스널·컴퓨터나 프린터 등의 타겟 장치에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파일·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에 있어서, 기억 영역의 파일·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읽기 기록하 는 통신 기능부를 부가한다. 기억 장치는 마찬가지의 통신 기능부를 갖는 제어 장치에 의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어되고, 제어 장치로부터 기억 장치에 대해 파일·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 동작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여기서, 기억 장치측의 기억 영역은,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와 같은 반도체 기억 디바이스라면 「페이지」, 하드·디스크와 같은 디스크형 기억 디바이스라면 「섹터」라고 불리는 물리적인 액세스 단위로 액세스 동작이 행하여진다. 한편,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데이터 요구원이 되는 제어 장치측에서는, OS의 파일·시스템의 관리하에서 데이터가 관리되고 있고, 파일 단위로 데이터에의 액세스 요구가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시스템의 프런트 엔드에서는, 파일·베이스로 유저에 의한 GUI 조작이 행하여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장치측에서는, 파일 단위로 발생하는 데이터 요구를 페이지마다 요구하고, 무선 통신 수단을 경유하여, 기억 장치에 대해 페이지 단위에의 데이터 요구를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파일 전체의 데이터 요구를 실현한다. 이 경우, 기억 장치의 기억 영역에 대한 데이터 제어는, 제어 장치가 무선 통신 수단을 경유하여 행하여지고 있고, 제어 장치로부터 기억 장치에 대해 파일·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 제어가 직접 행하여지는 것과 등가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억 장치는, 파일 단위로 데이터를 취급하지 않고, 제어 장치측으로부터의 페이지(또는 섹터)라는 기억 영역의 물리 액세스 단위에의 데이터 요구에 응하면 좋다. 따라서 기억 장치측에서는 파일·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의 액세스 동작에 수반하는 처리 부하가 경감되고, 전력 절약화할 수 있다. 또한, 기 억 장치는, 파일·시스템 기능이나 데이터·인터페이스 기능을 장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이 저감한다. 또한, 개발자에게 있어서는 드라이버 개발 등, 기능 도입을 위한 부담이 적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기억 장치는, 제어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수단으로서, 수신 전파에 대해 전송 데이터에 의거하여 변조 처리를 시행한 반사파 신호를 송출하는 백·스캐터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반사파 전송 시스템에 의하면, 안테나의 부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는, 또는 반사파 신호로상에서 위상차를 주는 등의 스위칭 동작만에 의해 반사파에 변조 처리를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과 비교하여 저소비 전력의 데이터 전송로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파일에 대한 판독 요구가 행하여진 때, 해당 파일을 구성하는 각 블록에 포함되는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상기 기억 장치에 대한 데이터 판독 요구를 상기 전송로 경유로 송신한다. 이에 대해, 상기 기억 장치는 데이터 판독 요구된 페이지 또는 섹터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 영역중 해당하는 페이지 또는 섹터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전송로 경유로 상기 제어 장치에 회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는, 수신한 각 페이지 또는 섹터의 데이터로부터, 판독 요구된 파일을 구축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파일에 대한 기록 요구가 행하여진 때, 해당 파일을 구성하는 각 블록에 포함되는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상기 기억 장치에 대한 데이터 기록 요구를 상기 전송로 경유로 송신한다. 이에 대해, 상기 기억 장치는 데이터 기록 요구된 페이지 또는 섹터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 영역중 해당하는 페이지 또는 섹터에 기록한다.
또한, 제어 장치측에서는, 요구된 파일에 대해,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액세스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논리 블록·어드레스 정보와 물리 블록·어드레스 정보와의 대응 관계를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억 영역의 각 페이지 또는 섹터에는, 해당 페이지 또는 섹터에 할당된 데이터에 관한 논리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기억 장치에 대해, 각 페이지 또는 섹터에 관한 논리 어드레스 정보를 요구하고, 수신한 논리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하여, 각 파일을 구성하는 블록에 관한 어드레스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파일 요구가 발생한 때에는 해당 어드레스 변환 정보에 의거하여 페이지 또는 섹터에 대한 데이터 요구를 생성하도록 하면 좋다.
본 발명에 관한 통신 시스템은, 파일·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파일·데이터를 요구하는 제어 장치 사이를 접속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 장치로서, 플래시·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제어 장치로서는, 기억 장치에 대해 파일·데이터를 호출 및 기록 동작하여, 파일의 관리, 데이터 재생, 부호화 압축이나 그 밖의 데이터 변환·가공 등의 처리를 행하는 퍼스널·컴퓨터, 또는 데이터의 표시나 인쇄 출력을 행하는 디스플레이나 프린터, 또는 이들의 기기에 접속 되는 외부 어댑터 등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기억 장치와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데이터 전송로로서, 반사파 판독기측에서의 무변조 캐리어의 송신과, 반사기측에서의 안테나 부하 임피던스의 전환 조작 등에 의거한 반사파의 변조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반사파 전송 시스템을 적용한다.
무선 전송으로서 반사파 전송을 이용함으로써,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비교적 근거리로 한정되는 기기 사이에서 송신 비율이 통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통신 형태에서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LAN에 비하여, 자릿수가 다른 초저소비 화상 전송을 모바일 기기에서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대폭적으로 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무선 전송으로서 반사파 전송을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송신측으로서의 모바일 기기의 무선 전송 모듈은, 무선 LAN에 비하여, 저비용화가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측의 무선 전송 모듈은, 전파관리법에 있어서 무선국의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적합증명 등의 인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의 구성 방법, 파일·데이터를 리드/라이트하기 위한 통신 방식, 및 제어 장치에 관한 다른 구성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통신 시스템은, 파일·데이터를 격납하는 기억 장치와, 파일·데이터의 요구 및 파일·데이터에의 액세스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로 이루어지고, 양 장치는 상술한 반사파 전송로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기억 장치(5)에 있어서, 기억 디바이스(431)와 기억 디바이스 제어 기능부(432)는, 도 21에 도시한 기억 장치중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주어진 기능 모듈과 같다. 기억 장치(5)는 소정의 전기 인터페이스(42)를 통하여 기기 제어부에서 제어되고, 파일·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억 장치(5)에는, 상술한 반사파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반사기로서 동작하는 RF 기능부(21)와, 통신 제어 기능부(22)와, 단말 기능부(23)가 탑재되어 있다. 단말 기능부(23)는 통신 제어부(231)와, 데이터 제어부(232)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 장치(5)는, RF 기능부(21)에 의해 실현되는 반사파 데이터 전송 기능부의 기억 디바이스(431)인 것을 상정하고 있다. 단, 단말 기능부(23)는, 예를 들면 디지털·카메라나, 비디오·카메라,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휴대형 음악 재생 장치라는, 전송 데이터의 공급원이 되는 모바일계의 단말기기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 장치(6)는, 반사파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반사파 판독기으로서 동작하는 RF 기능부(11)와, 통신 제어 기능부(12)와, 호스트 기능부(13)가 탑재되어 있다.
호스트 기능부(13)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모니터, 프린터, 퍼스널·컴퓨터, VTR, DVD 플레이어를 위시한 거치형의 가전 제품 등의, 수신 데이터를 처리 또는 재생 출력하는 호스트 기기로 구성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호스트 기능부(13)는, RF 기능부(11)에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131) 외에, 데이터 제어부(132)와, 파일 제어부(133)와, 매니지먼트부(134)로 구성된다.
데이터 제어부(132)는, 기억 디바이스(431)에 대해, 「섹터」 또는 「페이지」라고 불리는, 물리 액세스의 최소 단위(일반적으로는 512바이트)로서 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 동작을 행하는 드라이버 제어부이다. 또한, 파일 제어부(133)는 일반적으로는 「파일·시스템」이라고 불리고, 파일·데이터 즉 파일 단위에의 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 동작을 행한다. 매니지먼트부(134)는, 유저로부터의 커맨드 입력 등 호스트 기능부(13)에 있어서의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함께, 호스트 기능부(13) 전체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관리한다. 매니지먼트부(134)에서는, 기본적으로는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취급한다.
호스트 기능부(13)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는, 제어 인터페이스(14)를 통하여 호스트 통신 제어 기능부(12)의 변조 기능부(121)에서 변조된다. 그리고, 변조 신호(15)는 RF 기능부(11)의 캐리어 발생원(111)에 의해 생성된 무변조 캐리어(31)에 실려서 단말(2)에 송신된다. 호스트(1)로부터 단말(2)에의 다운 링크에는, 일반적으로, 단말(2)측에서의 검파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가 사용된다. 단말(2)의 RF 기능부(21)는 무변조 캐리어(31)를 수신하고, 복조 신호(25)를 얻는다. 복조 신호(25)는, 복조 기능부(223)에 의해 데이터 복조되고, 제어 인터페이스(24)를 통하여 단말 기능부(23)에 수신된다.
또한, 단말(2)의 단말 기능부(23)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는, 통신 제어 기능부(22)의 변조 기능부(222)에 의해 변조된다. 변조 신호(26)는, RF 기능부(21)에서, 무변조 캐리어(31)를 검파하여 얻어지는 반사 파(32)에 실리고, 호스트(1)에 송신된다. 호스트(1)의 RF 기능부(11)는 반사 파(32)를 수신하고, 복조 신호(16)를 얻는다. 복조 신호(16)는 복조 기능부(123)에 의해 데이터 복조되고, 제어 인터페이스(14)를 통하여 호스트 기능부(13)에 수신된다.
또한, 이상의 데이터 송수신기능에 더하여, 호스트(1) 및 단말(2)에 상호 기능하는 프로토콜 기능부(121 및 221)를 각각의 통신 제어 기능부(12 및 22)에 마련함으로써, 제어 장치(6)와 기억 장치(5) 사이에서 반사파 통신의 접속이나 절단 등의 프로토콜 제어가 실현된다.
여기서, 기억 장치(5) 및 제어 장치(6) 각각의 RF 기능부(21 및 11)의 사이에서 실현되는 반사파 전송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여 둔다.
도 2에는, 기억 장치(5)측의 RF 기능부(2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반사기로서의 RF 기능부(21)는 안테나(211)와, 안테나·스위치(210)와, 안테나 부하(212)와, 밴드패스·필터(213)와, ASK 검파부(214)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전파의 주파수로서 ISM 밴드(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라고 불리는 2.4GHz대를 이용한다.
반사기측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경우, RF 기능부(21)는 기억 디바이스 제어 기능부(432)에 의해 기억 디바이스(431)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수취하면, 데이터의 비트·이미지에 따라 안테나(211)에 접속된 안테나·스위치(210)의 온/오프 동작을 행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가 1일 때는 안테나·스위치(210)를 온으로, 데이터가 0일 때 오프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스위치(210)가 온일 때는, 안테나(211)는 50Ω의 안테나 부하(212)로 종단되고, 오프일 때는 안테나(211)는 오픈으로 된다. 이 동작 은 전송처로부터 도래하는 반송파에 대해, 온일 때는 종단, 오프일 때는 반사의 행동을 하기 때문에, 전송처에서는 송신 전파의 반사를 검출함에 의해 반사파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즉, 전송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안테나·스위치(210)의 온/오프 조작에 수반하는 안테나 부하 임피던스의 변동에 의해 생기는 전송처로부터의 전파의 반사파로서 송신되게 된다. RF 기능부(21)로부터의 반사파 신호는, ASK 변조파와 등가이다. 단, 반사파 전송 방식에서는 ASK 변조 이외에, PSK 또는 FSK 변조 방식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테나·스위치(210)는 일반적으로 갈륨 비소의 IC로 구성되고, 그 소비 전력은 수10㎼ 이하이다. 따라서 상술한 통신 방식에 의하면, 초저소비의 무선 화상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밴드패스·필터(213) 및 ASK 검파부(214)는, 전송처로부터 ASK 변조된 송달 확인 신호의 수신시에 이용하지만, 이 2개의 블록은 전송의 송달 확인을 행하지 않는 일방향의 전송이라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송달 확인이 행하여지는 경우, 그 제어는 변조 기능부(222)에서 행하여진다.
밴드패스·필터(BPF)(213)는, 2.4GHz대의 주파수를 통과시키고, 다른 주파수대를 감쇠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송달 확인을 행하는 경우에 필요한 ASK 검파부(214)의 소비 전력은 30mW 이하로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억 장치(5)로부터 제어 장치(6)에 반사파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때의 평균 전력으로서는, 송달 확인 방식의 경우에 10mW 이하, 일방향 전송에서는 수10㎼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것은, 일반적인 무선 LAN의 평균 소비 전력과 비교하면, 압도적인 성능차이다.
또한, 도 3에는 제어 장치(6)측의 RF 기능부(1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기억 장치(5)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는 반사파로 전송되기 때문에, 제어 장치(6)로부터는 반사파를 만들어 내기 위한 무변조의 캐리어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RF 기능부(11)는 2.4GHz대의 안테나(111)와, 서큘레이터(112)와, 직교 검파부(113)와 AGC 앰프(114)로 이루어지는 수신부와, 믹서(115)와 파워·앰프(116)로 이루어지는 송신부와, 주파수 신디사이저(117)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부로부터 무변조 캐리어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통신 제어 기능부(12)로부터 믹서(116)에 대해 어떤 직류 전압을 줌에 의해 실현된다. 송신하는 무변조 캐리어의 주파수는, 통신 제어 기능부(12)로부터 제어되는 주파수 신디사이저의 주파수로 정해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ISM이라고 불리는 2.4GHz대를 이용하고 있다(위와 같음). 믹서(116)로부터 출력되는 무변조 캐리어는, 파워·앰프(115)에서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되고, 서큘레이터(112) 경유로 안테나(111)로부터 송출된다.
기억 장치(5)측의 RF 기능부(21)로부터의 반사파는, 제어 장치(6)측의 RF 기능부(11)로부터 송신되는 주파수와 같다. 이 반사파는, 안테나(111)에서 수신되고, 서큘레이터(112) 경유로 상술한 수신부에 입력된다. 즉, 직교 검파부(113)에는, 송신과 같은 로컬 주파수가 입력되기 때문에, 직교 검파부(113)의 출력에는, 반사기로서의 RF 기능부(21)에서 걸려진 ASK 변조파가 나타나게 된다. 단, 수신한 신호는 로컬 신호와 위상이 다르기 때문에, I축 신호와 Q축 신호에는, 그 위상차에 따른 변조 신호가 나타난다.
AGC 앰프부(114)에서는, 최적치에 게인이 제어되어, 그 출력 신호는, 통신 제어 기능부(12)에 건네진다. 통신 제어 기능부(12)에서는, I축 및 Q축의 각 신호로부터 디지털·데이터에의 복조를 행하고, 올바른 데이터는 다시 복호화되고, 호스트 기능부에서는 파일·데이터로서 재구성된다(후술).
기억 장치(5)로부터의 데이터의 송달 확인을 행하는 경우, 통신 제어 기능부(12)는, 수신한 패킷·데이터가 올바르면 긍정 응답의 ACK(Acknowledgement)를, 틀리면 부정 응답의 NACK(Negative Acknowledgement)의 디지털·데이터를 믹서(116)에 전송하고, ASK 변조를 건다. 데이터의 정오(正誤)는, 반사파 전송된 데이터·패킷에 부가된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로 판단한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한 기억 장치(5)측의 RF 기능부(21)와 도 3에 도시한 제어 장치(6)측의 RF 기능부(11) 사이에서 반사파 전송을 행하기 위한 제어 시퀀스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 도시한 예에서는, 양 장치 사이에서 송달 확인을 행하는 것을 상정한다. 이하, 이 제어 시퀀스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 1)
기억 장치(5)에서는, 반사파 전송을 행하는 무선 통신 모드로 설정된다.
(스텝 2)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6)에서는, 반사파 전송에 의한 데이터 수신 대기 모드로 설정된다.
(스텝 3)
그리고, 제어 장치(6)는, 기억 장치(5)로부터의 반사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무변조 캐리어를 송신한다.
(스텝 4)
무변조 캐리어를 수신한 기억 장치(5)의 RF 기능부(21)는, 반사파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신 요구를 행한다.
(스텝 5)
데이터 송신 요구를 수신한 제어 장치(6)는, ASK 변조에 의해 송신 허가를 송신한다.
(스텝 6)
제어 장치(6)는, 데이터 송신 요구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무변조 캐리어를 송신한다.
(스텝 7)
무변조 캐리어를 수신한 기억 장치(5)의 RF 기능부(21)는, 반사파의 변조를 이용하여, 패킷화 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
(스텝 8)
제어 장치(6)는, 수신한 패킷·데이터가 올바르면, ASK 변조로 긍정 응답의 ACK(Acknowledgement)를 보낸다. 틀리면, 부정 응답의 NACK(Negative Acknowledgement)를 송신한다. 여기서, 데이터의 정오는, 데이터·패킷에 부가된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로 판단할 수 있다.
재차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 다. 해당 통신 시스템에서는, 제어 장치(6)의 호스트 기능부(13)와, 기억 장치(5)의 단말 기능부(23)와의 사이에서, 파일·데이터의 액세스 동작이 행하여지는데, 그 동작 제어는 제어 장치 주도로 행하여진다.
제어 장치(6)의 호스트 기능부(13)는, 통신 제어부(131)와, 데이터 제어부(132)와, 파일 제어부(133)와, 매니지먼트부(134)로 구성된다. 기억 장치(5)의 단말 기능부(23)는, 통신 제어부(231)와, 데이터 제어부(232)로 구성된다. 기억 장치(5)와 제어 장치(6)는, 각각의 통신 제어부 사이에서, 무선 통신 제어를 행한다.
기억 장치(5)측에서는, 데이터 제어부(231 및 232) 사이에서, 기억 디바이스(431)상의 물리 데이터에 대한 판독 및 기록의 액세스 동작의 제어가,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행하여진다. 또한, 제어 장치(6)의 파일 제어부(133)는, 데이터 제어부(132)에 의해 판독 및 기록을 행한 데이터를 파일·데이터로서 구축하기 위한 논리적인 파일·시스템 제어를 행한다.
계속해서, 제어 장치(6)측의 호스트 기능부(13)가 주체로 되어 행하여지는 파일·시스템 제어에 관해 설명한다.
도 5에는, 기억 디바이스(431)로서 NAND형 플래시·메모리를 상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기억 영역(7)과 파일·데이터(8)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물리적인 어드레스 공간에 관해 설명한다. 기억 영역(7)의 물리적인 액세스 단위는, 페이지(701)라고 불리는 512바이트의 단위이다. 단, 기억 디바이스(431)가 플래시·메모리가 아니라 하드·디스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물리적인 액세스 단위는 「섹터」라고 불린다.
또한, 기억 영역(7)은, 복수의 페이지(일반적으로는 32페이지)의 통합으로 블록(71)이라고 불리는 단위를 구성한다. 기억 영역(7)은 물리적으로는 블록 단위로 분할되어 어드레스 관리된다. 단, 기억 디바이스(431)가 하드·디스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소정수의 섹터의 통합이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클러스터 단위로 어드레스 관리가 행하여진다.
계속해서 논리적인 어드레스 공간에 관해 설명한다. 기억 영역(7)은, 논리적으로는, 부트·블록(71), FAT 블록(72), 디렉토리 영역(73), 데이터 영역(74)에 의해, 블록 단위로 영역 분할된다. 부트·블록(71)에는, 기억 영역 전체에 관한 정보가 기억된다. FAT(File Allocation Table) 블록(72)에는, 파일·데이터를 구성하는 블록마다의 어드레스 배치 정보가 기억된다(예를 들면, http://home.impress.co.jp/magazine/dosvpr/q-a/0007/qa0007_2.htm을 참조할 것). 디렉토리 영역(73)에는, 모든 파일·데이터의 디렉토리 정보 및 각 파일·데이터의 선두 어드레스 정보가 기억된다. 데이터 영역(74)에는 파일·데이터를 구성하는 블록·데이터가 기억된다.
파일·데이터에의 액세스 요구를 행하는 호스트 기능부(13)에서는, 파일 제어부(133)가 부트·블록(71)을 취득하고 디렉토리 영역(73)의 정보를 얻는다. 다음에, 디렉토리 영역(73)으로부터 소망하는 파일·데이터의 선두 어드레스 정보를 얻는다. 다음에, FAT 블록(72)으로부터 파일·데이터를 구성하는 블록의 어드레스 정보를 얻는다. 데이터 제어부(132)는 파일·데이터를 구성하는 블록·데이터를 취득하고, 연결하여 파일·데이터(8)를 얻는다.
이상과 같이, 제어 장치(6)는 블록·데이터의 단위로 파일·데이터를 처리한다.
도 6에는, 제어 장치(6)측의 호스트 기능부(13)로부터 기억 장치(5)측의 단말 기능부(23)에 대해, 블록·데이터 단위로 파일·데이터에 판독 액세스하는 처리 시퀀스를 도시하고 있다.
호스트 기능부(13)의 매니지먼트부(134)는, 통신 제어부(131)에 대해 접속 요구(501)를 발행한다. 통신 제어부(131)는, 제어 장치(6)의 통신 기능부(12) 및 RF 기능부(11)와, 기억 장치(5)의 RF 기능부(21) 및 통신 기능부(22)를 통하여, 단말 기능부(23)의 통신 제어부(231)와의 사이에서 반사파 전송로에 있어서의 접속을 확립한다(502). 그리고, 통신 제어부(131)로부터 매니지먼트부(134)에 대해 접속 응답(503)이 반송된다.
또한, 제어 장치(6)측에서는, 요구된 파일에 대해,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액세스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논리 블록·어드레스 정보와 물리 블록·어드레스 정보의 대응 관계를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여기서, 기억 디바이스(431) 내의 각 페이지에는, 해당 페이지에 할당된 데이터에 관한 논리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후술). 따라서 제어 장치(6)는, 기억 장치(5)에 대해, 각 페이지 또는 섹터에 관한 논리 어드레스 정보를 요구하고, 수신한 논리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하여, 각 파일을 구성하는 블록에 관한 어드레스 변환표를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매니지먼트부(134)는, 파일 제어부(133)에 대해, 파일·데이터의 판독(파일·리드)을 요구한다. 파일 제어부(133)는, 앞서 기술한 파일·시스템 제 어에 의거하여, 기억 디바이스(431)로부터의 블록·데이터의 판독 동작을 행한다.
기억 디바이스(431)(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에의 액세스는 페이지 단위로 행하여진다(전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 장치(5)가 아니라 제어 장치(6)의 주도에 의해 기억 디바이스(431)로부터의 파일·데이터의 판독을 행하기 때문에, 파일 제어부(133)는 기억 디바이스(431)에의 물리적인 액세스 단위인 페이지 단위로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때문에, 파일 제어부(133)는 데이터 제어부(132)를 통하여 페이지 판독 요구(504)를 발행하고, 페이지·데이터의 취득을 행한 기억 장치(5)의 데이터 제어부(232)로부터 페이지 판독 응답(505)을 얻는다. 요구하는 페이지의 페이지 번호는, 상술한 어드레스 변환표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6)측에서는, 파일 단위로 데이터 요구가 발생한 때에는, 파일 단위로 기억 장치(6)에 데이터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파일을 구성하는 페이지마다 데이터를 요구하고, 반사파 전송로를 경유하여, 기억 장치(5)에 대해 페이지 단위에의 데이터 전송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파일 전체의 데이터 요구를 실현한다. 그리고, 페이지 단위로 취득된 데이터는, 파일 제어부(133)에 의해 원래의 파일로 재구성된다. 이 경우, 기억 장치(5)의 기억 영역에 대한 데이터 제어는, 제어 장치(6)가 반사파 전송로를 경유하여 행하고 있지만, 제어 장치(5)로부터 기억 장치(6)에 대해 파일·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 제어가 직접 행하여지는 것과 등가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억 장치(5)는, 파일 단위로 데이터를 취급하지 않고, 제어 장치(6)측으로부터의 페이지(또는 섹터)라는 기억 영역의 물리 액세스 단 위에의 데이터 요구에 응하면 좋다. 따라서 기억 장치(5)측에서는 파일·데이터의 판독 및 기록의 액세스 동작에 수반하는 처리 부하가 경감되고, 전력 절약화할 수 있다. 또한, 기억 장치(5)는 파일·시스템 기능이나 데이터·인터페이스 기능을 장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이 저감한다. 또한, 개발자에게 있어서는 드라이버 개발 등, 기능 도입을 위한 부담이 적어도 된다.
도 7에는, 페이지 판독 요구(504)와 페이지 판독 응답(505)을 실현하는 데이터·포맷의 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무선 통신 구간의 데이터·포맷상에서 페이로드로서 배치된다.
페이지 판독 요구 프레임(504)은, 요구 종별(種別)(5041), 물리 블록·어드레스(5042), 및 페이지 번호(5043)로 구성된다. 요구 종별(5041)은 요구 내용(예를 들면, 판독 또는 기록의 어느 요구인지)을 식별한다. 여기서는 페이지·데이터의 판독을 행하는 요구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지정된다. 물리 블록·어드레스(5042)에는 기억 디바이스(431)의 데이터 판독원이 되는 물리 블록의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페이지 번호(5043)에는, 지정된 물리 블록 내에서 취득하는 페이지의 번호가 지정된다. 또한, 같은 물리 블록 내에서 연속하여 페이지를 취득하는 경우에는, 요구 종별(5041)에 취득 페이지 수가 기재되고, 페이지 번호(5043)로서 취득하는 선두 페이지의 페이지 번호가 기재된다.
한편, 페이지 판독 응답(505)은, 응답 종별(5051), 처리 결과(5052), 페이지·데이터(5053)로 구성된다. 응답 종별(5051)은 응답 내용을 식별하고, 요구 종별(5041)과 같은 식별 정보가 기재된다. 처리 결과(5052)에는 기억 디바이스(431)로 부터 페이지·데이터를 취득한 때의 성공 또는 실패의 처리 결과가 기재된다. 페이지·데이터(5053)에는, 페이지 판독 요구(504)에서 페이지 번호(5043)에 의해 지정된 페이지로부터 취득한 페이지·데이터가 기재된다.
도 8에는, 페이지 기록 요구(504')를 실현하는 데이터·포맷의 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무선 통신 구간의 데이터·포맷상에서 페이로드로서 배치된다.
페이지 기록 요구 프레임(504')은, 요구 종별(5041'), 물리 블록·어드레스(5042'), 페이지 번호(5043'), 및 페이지·데이터(5044')로 구성된다. 요구 종별(5041')은 요구 내용(예를 들면, 판독 또는 기록의 어느 요구인지)을 식별한다. 여기서는 페이지·데이터의 기록을 행하는 요구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지정된다. 물리 블록·어드레스(5042')에는 기억 디바이스(431)의 데이터 기록처가 되는 물리 블록의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페이지 번호(5043')에는 지정된 물리 블록 내에서 기록처가 되는 페이지의 번호가 지정된다. 또한, 같은 물리 블록 내에서 연속하여 페이지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요구 종별(5041')에 기록 페이지 수가 기재되고, 페이지 번호(5043')로서 기록을 행하는 선두 페이지의 페이지 번호가 기재된다.
한편, 페이지 기록 응답(505')은, 응답 종별(5051')과 처리 결과(5052')로 구성된다. 응답 종별(5051')은 응답 내용을 식별하고, 요구 종별(5041')과 같은 식별 정보가 기재된다. 처리 결과(5052')에는 기억 디바이스(431)에 대한 페이지·데이터의 기록을 행한 때의 성공 또는 실패의 처리 결과가 기재된다.
이상의 데이터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6)로부터 기억 장치(5)에의 페이지·데이터 단위의 판독 및 기록 동작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페이지·데이터 단위의 제어를 연속하여 복수회만큼 행함에(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32회 행한다) 의해, 제어 장치(5)는 블록·데이터 제어를 실현한다.
이때, 제어 장치(5)로부터는 블록 단위로 데이터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하는 기억 디바이스(431)의 물리 액세스의 단위인 페이지 단위로 데이터를 요구한다. 즉, 블록 내의 페이지·데이터 요구를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블록·데이터에 대한 액세스가 행하여진다. 기억 장치(5)는, 기억 디바이스(431)의 물리 액세스 단위에의 데이터 요구에 응하면 좋고, 액세스 동작에 수반하는 처리 부하가 경감되고. 또한, 기억 장치(5)는 파일·시스템 기능이나 데이터·인터페이스 기능을 장비할 필요가 없다.
제어 장치(5)측에서는, 파일 제어부(133)에서의 파일·데이터 제어가 종료된 후, 매니지먼트부(134)는 통신 제어 기능부(131)에 대해 반사파 전송로의 절단 요구(507)를 행한다. 통신 제어 기능부(131)는 단말 기능부(23)의 통신 제어 기능부(231)와의 사이에서 절단 제어의 절차(508)를 행하고, 이것이 완료하면, 매니지먼트부(134)에 대해 절단 응답(510)을 행한다.
도 9에는, 제어 장치(6)에 관한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구성예에서는, 파일·시스템을 제어하는 파일 제어부가 제어 장치(6)가 아니라, 제어 장치(6)와는 외부 인터페이스(7) 경유로 접속되어 있는 제어 단말(6')측에 배치된다. 제어 장치(6)와 제어 단말(6')은 공통의 인터페이스 제어부(135와 63)를 통하 여 접속되는 형태이다.
제어 단말(6')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모니터, 프린터, 퍼스널·컴퓨터, VTR, DVD 플레이어를 위시한 거치형의 가전 제품 등의, 수신 데이터를 처리 또는 재생 출력하는 정보 기기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이런 종류의 일반적인 정보 기기에 대해, 반사기 기능 부가의 기억 장치(5)에 대해 데이터 요구하기 위한 제어 장치(6)를 어댑터로서 외부 접속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단말(6')이 퍼스널·컴퓨터인 경우,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범용적인 유선 인터페이스를 적용할 수 있다(물론, 그 밖의 유선 인터페이스나 무선 인터페이스라도 좋다). 도 9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파일 제어부(133)로서 퍼스널·컴퓨터가 기존에 갖는 파일·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파일 조작할 때, 퍼스널·컴퓨터상의 파일 제어 소프트웨어(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제공하는 오퍼레이팅·시스템 "Windows(등록상표)"에서 말하는 「익스플로러」)를 통하여, 기억 장치(5)를 파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사파 전송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ASK 등의 비교적 비트 레이트가 낮은 변조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반사기측에서 지향성 안테나의 종단의 온/오프 조작 등의 부하 임피던스를 조작함에 의해 신호 공간상에 0, 1의 신호를 배치할 수 있고 BPSK 변조를 간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단, 이들의 변조 방식에서는 전송 속도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위상차가 다른 복수의 반사로를 마련하고, 전송 데이터에 응하여 반사로를 스위칭함에 의해, BPSK나 QPSK, 8상 PSK 변조 등, 보다 높은 비트 레이트의 위상 변조 방식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게 이미 양도되어 있는 특원2003-352223호 명세서에는, QPSK 변조 처리를 도입한 백·스캐터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반사기 부착 플래시·메모리·모듈과 반사파 판독기 부착 제어 단말로 구성되고, 반사파 전송로 경유로 플래시·메모리에 액세스한다는 구체적인 예를 상정한다.
도 10에는, 반사기 부착 플래시·메모리·모듈 및 반사파 판독기 부착 제어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반사기 부착 플래시·메모리·모듈은, 반사파 판독기로부터 반사파 전송로를 경유하여 플래시·메모리에 액세스하기 위한 메모리·컨트롤러를, 메모리·모듈·컨트롤러와는 독립하여 탑재하고 있다.
반사파 판독기로부터 반사기 부착 플래시·메모리·모듈측의 메모리·컨트롤러에 대한 제어는, 커맨드/리스폰스의 형식으로 주어진다. 반사파 판독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커맨드와, 플래시·메모리·모듈로부터 출력되는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은, 데이터 링크 제어상의 수송 사양으로서 규정된다.
제어 커맨드에 대해, 메모리·컨트롤러는, 페이지·버퍼(도시 생략)를 통하여, 플래시·메모리의 소정의 물리 영역으로부터 페이지 단위로 데이터의 판독 또는 기록을 행한다. 그리고, 플래시·메모리·모듈측의 트랜스포트·컨트롤러에서, 제어 커맨드에 대응한 리스폰스·데이터를 구축하고, 반사파 전송로를 통하여 반사파 판독에 응답한다.
또한, 반사파 판독기 부착 제어 단말측의 트랜스포트·컨트롤러는, CPU의 제어 드라이버로서 실장된다. CPU는, 제어 커맨드를 구축하고, 반사파 판독기 컨트롤러에 대해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반사파 판독기 컨트롤러는, 플래시·메모리·모듈로부터의 리스폰스·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 결과와 소정의 데이터를 얻는다.
도 11에는, 반사기 부착 플래시·메모리·모듈 내의 기억 디바이스로서의 플래시·메모리의 물리 포맷 및 논리 포맷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플래시·메모리의 물리 액세스의 단위인 페이지·데이터는, 512바이트의 데이터 영역과 16바이트의 확장 데이터 영역의 합계 528바이트로 된다. 따라서 플래시·메모리에의 액세스에 사용되는 페이지·버퍼의 사이즈는 528바이트로 된다.
데이터 영역은 페이로드에 상당한다. 확장 데이터 영역은, 오버라이트·플래그, 관리 플래그, 물리 블록의 논리 어드레스, 포맷·리저브, 페이지·데이터의 에러 검출·정정용의 ECC(Error Correctiong Code)로 이루어진다. 이 중, 논리 어드레스에는, 해당하는 물리 페이지가 파일·시스템의 가상 공간상에서 할당되어 있는 논리 어드레스가 격납되어 있다.
반사파 판독기 부착 제어 단말이 반사기 부착 플래시·메모리·모듈과 반사파 전송로상에서의 접속을 확립한 시점에서는, 플래시·메모리 내의 배치 정보를 알지 못한다. 그래서, 반사파 판독기 부착 제어 단말은, 접속 확립시에, 확장 데이터 영역의 판독 요구(후술)를 행하고, 각 페이지의 논리 어드레스 정보를 취득함으 로써, 어드레스 변환표를 생성할 수 있다.
플래시·메모리상에서는, 32페이지(=16킬로·바이트)마다 1블록이 형성된다. 각 블록에는 블록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블록 내의 각 페이지에는 페이지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블록 번호와 페이지 번호를 지정함으로써 페이지를 요구할 수 있다. 또한, 512블록(=8메가·바이트)마다 세그먼트가 형성되고, 각 세그먼트에는 세그먼트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반사파 판독기 부착 제어 단말은, 반사기 부착 플래시·메모리·모듈에 대한 물리적인 액세스 제어를 행한다. 제어 커맨드에 부가된 물리 블록 번호와 페이지 번호에 대응한 512바이트분의 페이지·데이터 및 16바이트분의 확장 데이터가 페이지·버퍼를 통하여 판독 또는 기록이 행하여진다.
이하, 반사기 부착 플래시·메모리·모듈에 대한 물리적인 액세스 제어에 사용되는 제어 커맨드, 및 반사기 부착 플래시·메모리·모듈로부터의 리스폰스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에는, 지정된 물리 블록 및 페이지에 관한 페이지·데이터 및 확장 데이터의 합계 528바이트의 판독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READ_PAGE_DATA_528)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의 정당성은 ECC에 의해 보증된다. 또한, 아래 표에는, 도시한 데이터·포맷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정의를 기재하고 있다.
[표 1]
Figure 112005066103689-PAT00001
도 13에는, 지정된 물리 블록 및 페이지에 관한 페이지·데이터 및 확장 데이터(528바이트)를 2페이지 연속하여 판독할 때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READ_PAGE_DATA_528×2)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의 정당성은 ECC에 의해 보증된다. 또한, 아래 표에는, 도시한 데이터·포맷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정의를 기재하고 있다.
[표 2]
Figure 112005066103689-PAT00002
도 14에는, 지정된 물리 블록 및 페이지에 관한 페이지·데이터 및 확장 데이터(528바이트)를 4페이지 연속하여 판독할 때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READ_PAGE_DATA_528×4)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의 정당성은 ECC에 의해 보증된다. 또한, 아래 표에는 도시한 데이터·포맷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정의를 기재하고 있다.
[표 3]
Figure 112005066103689-PAT00003
도 15에는, 지정된 물리 블록 및 페이지에 관한 확장 데이터 16바이트만의 판독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READ_EXTRA_DATA)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의 정당성은 ECC에 의해 보증된다. 또한, 아래 표에는, 도시한 데이터·포맷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정의를 기재하고 있다.
[표 4]
Figure 112005066103689-PAT00004
도 16에는, 지정된 물리 블록에서의 모든 페이지(즉 32페이지)에 관한 각 16바이트의 확장 데이터를 일괄하여 판독할 때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READ_EXTRA_DATA_BLOCK)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의 정당성은 ECC에 의해 보증된다. 또한, 아래 표에는 도시한 데이터·포맷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정의를 기재하고 있다.
[표 5]
Figure 112005066103689-PAT00005
도 17에는, 지정된 물리 블록에서의 모든 페이지(즉 32페이지)에 관한 논리 어드레스를 일괄하여 판독할 때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READ_LOG_ADRS_SEGMENT)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의 정당성은 ECC에 의해 보증된다. 또한, 아래 표에는, 도시한 데이터·포맷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정의를 기재하고 있다.
[표 6]
Figure 112005066103689-PAT00006
반사파 판독기 부착 제어 단말은, 반사기 부착 플래시·메모리·모듈과 반사파 전송로상에서의 접속을 확립한 시점에서는, 플래시·메모리 내의 배치 정보를 알지 못하여, 어드레스 변환표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반사파 판독기 부착 제어 단말은, 접속 확립시에 이 논리 어드레스 일괄 판독 요구 커맨드(READ_LOG_ADRS_SEGMENT)를 행함으로써, 블록마다의 논리 어드레스 정보를 취득하고, 이 정보에 의거하여 용이하게 어드레스 변환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8에는, 지정된 물리 블록 및 페이지에 관한 페이지·데이터 및 확장 데 이터의 합계 528바이트의 기록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WRITE_PAGE_DATA_528)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의 정당성은 ECC에 의해 보증된다. 또한, 아래 표에는 도시한 데이터·포맷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정의를 기재하고 있다.
[표 7]
Figure 112005066103689-PAT00007
도 19에는, 지정된 물리 블록 및 페이지에 관한 확장 데이터 16바이트만의 기록에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WRITE_EXTRA_DATA)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의 정당성은 ECC에 의해 보증된다. 또한, 아래 표에는 도시한 데이터·포맷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정의를 기재하고 있다.
[표 8]
Figure 112005066103689-PAT00008
도 20에는, 지정된 물리 블록을 소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데이터·포맷(ERASE_BLOCK)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아래 표에는 도시한 데이터·포맷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정의를 기재하고 있다.
[표 9]
Figure 112005066103689-PAT00009
이상,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해석하여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해당 실시 형태의 수정이나 대용을 해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파일·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파일·데이터를 요구하는 제어 장치 사이를 접속하는 데이터 전송로에 반사파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해 설명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요지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반사파 전송 이외의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USB나 그 밖의 유선 통신 시스템을 적용한 경우라도, 파일·데이터에의 액세스시에 기억 장치측에서의 처리 부하가 증대하지 않고, 기억 장치측에서 파일·데이터에의 액세스에 필요하게 되는 기능의 추가가 적어도 된다는 본 발명의 효과를 마찬가지로 이룰 수 있다.
요컨대, 예시라는 형태로 본 발명을 개시하여 온 것이고, 본 명세서의 기재 내용을 한정적으로 해석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허청구의 범위를 참작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 단위로 취급되는 파일·데이터를 무선 통신 수단 경유로 접속된 기억 장치의 기억 영역에 대해 알맞게 액세스할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데이터에의 액세스시에 기억 장치측에서의 처리 부하가 증대하지 않고, 우수한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억 장치측에서 파일·데이터에의 액세스에 필요하게 되는 기능의 추가가 적어도 되는, 우수한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 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억 장치와 제어 장치와의 사이에서, 반사파에 의한 무선 통신이 행하여지고, 파일·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하여진다. 기억 장치에 대한 데이터 제어는 제어 장치로부터 행하여지기 때문에, 기억 장치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에 대해 기능 도입은 필요 없다. 또한, 파일·데이터의 액세스시에 있어서의 기억 장치측에서의 처리 부하는 증대하지 않는다. 또한, 반사파를 이용한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함에 의해, 데이터 전송시에 있어서의 기억 장치측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17)

  1.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액세스 동작이 행하여지는 기억 영역을 구비한 기억 장치와, 파일 단위로 데이터에의 액세스 요구가 행하여지는 제어 장치의 사이에서 소정의 전송로를 경유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액세스 요구된 파일을 구성하는 각 페이지 또는 섹터에 대한 액세스 요구를 상기 전송로 경유로 상기 기억 장치에 보내고, 상기 기억 장치는 요구된 페이지 또는 섹터에 대한 액세스 동작을 순서대로 행함으로써, 상기 기억 영역에서 파일 전체에 대한 액세스 요구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영역은, 페이지 단위로 물리 액세스가 행하여지는 플래시·메모리, 또는, 섹터 단위로 물리 액세스가 행하여지는 하드·디스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는, 수신한 무변조 신호에 대해, 안테나 부하 임피던스의 전환 조작 또는 해당 신호의 반사로상에서 주어지는 위상차에 의거한 반사파의 변조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반사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변조된 반사파 신호를 복조하는 반사파 판독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로상에서는 반사파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파일에 대한 판독 요구가 행하여진 때, 해당 파일을 구성하는 각 블록에 포함되는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상기 기억 장치에 대한 데이터 판독 요구를 상기 전송로 경유로 송신하고,
    상기 기억 장치는 데이터 판독 요구된 페이지 또는 섹터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 영역중 해당하는 페이지 또는 섹터에서 판독하고, 상기 전송로 경유로 상기 제어 장치에 회신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수신한 각 페이지 또는 섹터의 데이터로부터, 판독 요구된 파일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파일에 대한 기록 요구가 행하여진 때, 해당 파일을 구성하는 각 블록에 포함되는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상기 기억 장치에 대한 데이터 기록 요구를 상기 전송로 경유로 송신하고,
    상기 기억 장치는 데이터 기록 요구된 페이지 또는 섹터의 데이터를 상기 기 억 영역중 해당하는 페이지 또는 섹터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영역의 각 페이지 또는 섹터는, 해당 페이지 또는 섹터에 할당된 데이터에 관한 논리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기억 장치에 대해, 각 페이지 또는 섹터에 관한 논리 어드레스 정보를 요구하고, 수신한 논리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하여, 각 파일을 구성하는 블록에 관한 어드레스 변환 정보를 생성하고, 파일 요구가 발생한 때에는 해당 어드레스 변환 정보에 의거하여 페이지 또는 섹터에 대한 데이터 요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액세스 동작이 행하여지는 기억 영역과,
    소정의 전송로 경유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기억 영역에 대한 액세스 동작을 제어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 경유로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상기 기억 영역에 대한 액세스 요구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 영역중 지정된 페이지 또는 섹터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영역은, 페이지 단위로 물리 액세스가 행하여지는 플래시·메모리, 또는, 섹터 단위로 물리 액세스가 행하여지는 하드·디스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수신한 무변조 신호에 대해, 안테나 부하 임피던스의 전환 조작 또는 해당 신호의 반사로상에서 위상차를 줌에 의거한 반사파의 변조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반사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로상에서는 반사파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데이터 판독 요구된 페이지 또는 섹터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 영역중 해당하는 페이지 또는 섹터에서 판독하고, 상기 전송로 경유로 액세스 요구원에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은, 데이터 기록 요구된 페이지 또는 섹터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 영역중 해당하는 페이지 또는 섹터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장치.
  12.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액세스 동작이 행하여지는 기억 영역을 구비한 기억 장치에 대해, 소정의 전송로를 경유하여 데이터의 액세스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로서,
    파일 단위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파일 제어 수단과,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 수단과,
    상기 전송로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에서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제어 수단은, 파일에 대한 액세스 요구가 발생한 때에, 해당 파일을 구성하는 각 페이지 또는 섹터에 대한 액세스 요구를 상기 전송로 경유로 상기 기억 장치에 대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영역은, 페이지 단위로 물리 액세스가 행하여지는 플래시·메모리, 또는, 섹터 단위로 물리 액세스가 행하여지는 하드·디스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무변조 신호를 송신함과 함께, 해당 무변조 신호에 대해 안테나 부하 임피던스의 전환 조작 또는 해당 신호의 반사로상에서 주어지는 위상차에 의거한 변조가 이루어진 반사파 신호를 수신하는 반사파 판독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로상에서는 반사파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어 수단은, 파일에 대한 판독 요구가 행하여진 때, 해당 파일을 구성하는 각 블록에 포함되는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상기 기억 장치에 대한 데이터 판독 요구를 상기 전송로 경유로 행함과 함께, 수신한 각 페이지 또는 섹터의 데이터로부터 판독 요구된 파일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어 수단은, 파일에 대한 기록 요구가 행하여진 때, 해당 파일을 구성하는 각 블록에 포함되는 페이지 또는 섹터 단위로, 상기 기억 장치에 대한 데이터 기록 요구를 상기 전송로 경유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영역의 각 페이지 또는 섹터는, 해당 페이지 또는 섹터에 할당된 데이터에 관한 논리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장치에 대해, 각 페이지 또는 섹터에 관한 논리 어드레스 정보를 요구하고, 수신한 논리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하여, 각 파일을 구성하는 블록에 관한 어드레스 변환 정보를 생성하고, 파일 요구가 발생한 때에는 해당 어드레스 변환 정보에 의거하여 페이지 또는 섹터에 대한 데이터 요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KR1020050109997A 2004-11-18 2005-11-17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 KR101172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34005A JP2006146460A (ja) 2004-11-18 2004-11-18 通信システム、記憶装置、並びに制御装置
JPJP-P-2004-00334005 2004-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398A true KR20060055398A (ko) 2006-05-23
KR101172071B1 KR101172071B1 (ko) 2012-08-10

Family

ID=3578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997A KR101172071B1 (ko) 2004-11-18 2005-11-17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21183B2 (ko)
EP (1) EP1659482A3 (ko)
JP (1) JP2006146460A (ko)
KR (1) KR101172071B1 (ko)
CN (1) CN10035481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349B1 (ko) * 2006-10-31 2014-09-1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5335A2 (en) * 2005-03-07 2006-09-14 Noam Camiel System and method for a dynamic policies enforced file system for a data storage device
JP2007114998A (ja) * 2005-10-20 2007-05-10 Sony Corp 中継装置、記憶装置及び記憶システム
KR100717060B1 (ko) * 2005-12-05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통해 dvd 컨텐츠를 이용하는 방법 및장치
JP4345800B2 (ja) * 2006-10-19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7751382B2 (en) * 2007-01-09 2010-07-06 Nokia Corporation Power for uplink acknowledgment transmission
JP2008210301A (ja) 2007-02-28 2008-09-11 Sony Corp 記憶媒体、通信システム、並びに制御装置。
WO2013184633A1 (en) * 2012-06-04 2013-12-12 Marvell World Trade Ltd. Wireless hdd with integrated storage controller and wireless processing
US9342718B2 (en) 2014-01-14 2016-05-17 Kabushiki Kaisha Toshiba Memory device including wireless antenna
CN106463867B (zh) 2014-04-24 2019-04-16 莫列斯有限公司 端子接头件
WO2016011421A1 (en) * 2014-07-17 2016-01-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wave reflector link, and cdma-spread spectrum reflector apparatus for reduction of unmodulated ambient blockers in reflected data link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5076B2 (ja) 1988-01-14 1998-01-26 ソニー株式会社 反射型送信装置
JP2864543B2 (ja) 1989-08-01 1999-03-03 株式会社デンソー 移動体識別装置用応答器
JPH0496520A (ja) 1990-08-13 1992-03-27 Sharp Corp データ送信装置
JPH1185609A (ja) * 1997-09-09 1999-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データ管理方法
GB9903490D0 (en) * 1999-02-17 1999-04-07 Memory Corp Plc Memory system
JP2000284869A (ja) * 1999-03-29 2000-10-13 Seiko Epson Corp 情報記録媒体操作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
JP3797649B2 (ja) * 1999-05-31 2006-07-19 シャー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4172120B2 (ja) 1999-06-29 2008-10-2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通信端末装置
US6486769B1 (en) * 1999-12-22 2002-11-26 Intermec Ip Corp.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adjustment and diagnosis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s using programmable checktags
US6839864B2 (en) * 2000-07-06 2005-01-04 Onspec Electronic Inc. Field-operable, stand-alone apparatus for media recovery and regeneration
US7253717B2 (en) 2000-11-29 2007-08-07 Mobile Technic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nd tracking RFID transponders
JP2003023558A (ja) * 2001-07-10 2003-01-24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撮像カメラ
WO2003017578A1 (fr) * 2001-08-14 2003-02-27 Sony Corporation Dispositif et procede de traitement de l'information
GB0123412D0 (en) 2001-09-28 2001-11-21 Memquest Ltd Memory system sectors
CN1229738C (zh) * 2001-11-01 2005-11-30 索尼公司 通信系统和方法、信息处理终端和方法、和信息处理设备和方法
JP2003196128A (ja) * 2001-12-26 2003-07-11 Hitachi Ltd 携帯通信端末、外部記憶装置及び情報通信システム
US6732222B1 (en) * 2002-02-01 2004-05-04 Silicon Motion, Inc. Method for performing flash memory file management
KR100439507B1 (ko) * 2002-03-18 2004-07-09 삼성전기주식회사 고 용량 플래시 메모리 카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운영 방법
JP3748106B2 (ja) * 2002-04-25 2006-02-2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023765A (ja) * 2002-06-20 2004-01-22 Sanyo Electric Co Ltd 無線型データ伝送装置
JP2004054542A (ja) 2002-07-19 2004-02-19 Nec Corp 情報処理装置
US20050015557A1 (en) * 2002-12-27 2005-01-20 Chih-Hung Wang Nonvolatile memory unit with specific cache
JP2004229165A (ja) * 2003-01-27 2004-08-12 Fujitsu Ltd 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04334005A (ja) 2003-05-09 2004-11-25 Hitachi Printing Solutions Ltd 定着装置
US7136973B2 (en) * 2004-02-04 2006-11-14 Sandisk Corporation Dual media storage device
US7260417B2 (en) * 2004-05-04 2007-08-21 Lsi Corporation Wireless storage enterprise connectivity
US7260423B2 (en) * 2004-05-04 2007-08-21 Lsi Corporation Wireless storage device connectivity
US20060010270A1 (en) * 2004-05-10 2006-01-12 Guobiao Zhang Portable Wireless Smart Hard-Disk Drive
US20050251597A1 (en) * 2004-05-10 2005-11-10 Guobiao Zhang Wireless Smart Hard-Disk Drive
US7395384B2 (en) * 2004-07-21 2008-07-01 Sandisk Corpro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data on non-volatile memory systems
DE602005016758D1 (de) * 2004-08-18 2009-11-05 Sony Corp Speicherkarte, Steuerverfahren für Speicherkarte, Zugriffssteurungsverfahren für Speicherkarte and zugehörige Computerprogramme
JP2006067266A (ja) * 2004-08-27 2006-03-09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349B1 (ko) * 2006-10-31 2014-09-1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US9362984B2 (en) 2006-10-31 2016-06-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9482A3 (en) 2008-11-12
CN100354815C (zh) 2007-12-12
JP2006146460A (ja) 2006-06-08
CN1776594A (zh) 2006-05-24
EP1659482A2 (en) 2006-05-24
US20060123093A1 (en) 2006-06-08
US7921183B2 (en) 2011-04-05
KR101172071B1 (ko) 201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071B1 (ko) 통신 시스템, 기억 장치 및 제어 장치
KR101154657B1 (ko) 메모리 카드 및 상기 메모리 카드의 제어 방법, 메모리 카드에 대한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126438B1 (ko) 어댑터 장치 및 메모리 장치
US20230396694A1 (en) Memory system allowing host to easily transmit and receive data
JP4830397B2 (ja) メモリ・カード及びその制御方法
US9014183B2 (en) Buffer transfer service
JP5836873B2 (ja) メモリデバイス及びその無線通信制御方法
EP2563091B1 (en) Wireless internet-accessing module, host,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nd data card
CN106126455B (zh) 能够控制无线通信功能的存储器系统
JPWO2005015764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無線通信装置
JP4872267B2 (ja) アダプタ装置及びメモリ装置、並びにコネクタ装置
US8832407B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storage function
JP5510871B2 (ja) 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接続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7325079B2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TWI221224B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network access through wired network access interface and associated computer system
KR101416322B1 (ko) 복사 방지된 타이틀의 인증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재생장치
CN208506742U (zh) 多功能外接设备
US9183209B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fast start mode for transfering data to temporary areas beyond file system control
JP5848741B2 (ja) ホストと無線インターネットアクセスモジュールとの間の通信方法、及びホスト通信モジュール
KR100591844B1 (ko) 유에스비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다운로드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4461145A (zh) 一种扩容固态硬盘及其扩容、数据写入和数据读取方法
JPH11136305A (ja) 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端末装置群
KR20090095019A (ko) Usb 포트를 이용한 ip 스토리지 이용 방법 및 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