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4131A -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 및 블록킹된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 - Google Patents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 및 블록킹된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4131A
KR20060054131A KR1020050098974A KR20050098974A KR20060054131A KR 20060054131 A KR20060054131 A KR 20060054131A KR 1020050098974 A KR1020050098974 A KR 1020050098974A KR 20050098974 A KR20050098974 A KR 20050098974A KR 20060054131 A KR20060054131 A KR 20060054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olyisocyanate
adduct
monoamine
aliph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알. 뢰슬러
율리야 베레즈킨
캐롤 엘. 킨니
카일리 마틴
마이론 더블유. 샤퍼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싸이언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싸이언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싸이언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6005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13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03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06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 C08G18/8009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 C08G18/8032Masked aliphatic or cycloaliphatic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of the groups C08G18/8016 and C08G18/8025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806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 C08G18/7818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 C08G18/7831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containing biuret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뷰렛기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블록킹된 뷰렛기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사용되는 뷰렛화제는 2차 모노아민이다.
뷰렛기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블록킹제, 뷰렛화제

Description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 및 블록킹된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 {BIURETIZED ISOCYANATES AND BLOCKED BIURETIZED ISOCYANATES}
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화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3,903,127호 및 동 제3,976,622호에는 1차 지방족 아민을 비롯한 여러가지 상이한 뷰렛화제가 기재되어 있다. 캐나다 출원 공보 제2,211,025호에는 이소시아네이트를 뷰렛화하기 위해 3차 알코올 또는 물과 3차 알코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미국 특허 제4,220,749호에는 뷰렛화제로서 2차 모노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3개의 참고 문헌 모두에는 출발 이소시아네이트로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788,262호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의 뷰렛화를 제안하고 있으나, 단지 삼량체와 뷰렛의 혼합물만을 예시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미국 특허 제6,133,397호 참조).
또한, 코팅 조성물용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3 이상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3/0109664호에는 이소시아누레이트기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뷰렛화함으로써 고관능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출발 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삼량체가 기재되어 있다. 사용되는 뷰렛화제는 물이다. 상기 출원은, t-부탄올 또는 t-부탄올과 물의 혼합물로 뷰렛화된 이소시아네이트에 비해, 물만으로 뷰렛화된 이소시아네이트 함유 삼량체가 개선된 색상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출원은 또한, 뷰렛화된 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알코올, 케티민 또는 옥심으로 블록킹될 수 있음을 대략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상기 출원에 기재된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가 선행기술의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에 비해 개선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된 코팅물의 겔 함량 및 내손상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요망된다.
매우 다양한 블록킹제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Blocked Isocyanates in Coatings," Potter et al, presented at the Water-Borne & Higher-Solids Coatings Symposium, New Orleans February 1986] 참조). 블록킹제 중에서, i) 페놀, 크레졸 및 장쇄 지방족 치환 페놀 (예를 들어 이소노닐페놀), ii) 아미드 (예를 들어 ε-카프롤락탐), iii) 옥심 (예를 들어 부타논옥심), iv) 활성 메틸렌기 함유 화합물 (예를 들어 말로네이트 및 아세토아세테이트) 및 v) 나트륨 비술파이트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324,879호, 동 제4,439,593호, 동 제4,495,229호, 동 제4,518,522호, 동 제4,667,180호, 동 제5,071,937호, 동 제5,705,593호, 동 제5,780,541호, 동 제5,849,855호, 동 제6,051,675호, 동 제6,060,573호, 동 제6,274,693호, 동 제6,368,669호 및 동 제 6,583,216호에도 여러가지 블록킹제가 기재되어 있다.
더욱 최근에는, N-벤질-tert-부틸아민 (2003년 6월 1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459,033호에 상응하는 유럽 특허 출원 공보 제1,375,549호) 및 3-tert-부틸아미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2004년 6월 23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874,716호)와 같은 2차 아민이 유용한 블록킹제로서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a)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되고,
b)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2.5 이상이며,
c)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과 2차 모노아민을, 이소시아네이트 대 아민 당량비 약 4:1 내지 약 14:1로 반응시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에 뷰렛기를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4 이상인 뷰렛기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A) a)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되고,
b)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2.5 이상이며,
c)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과 2차 모노아민을, 이소시아네이트 대 아민 당량비 약 4:1 내지 약 14:1로 반응시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에 뷰렛기를 도입 하고,
B) 상기 뷰렛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블록킹제를 반응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4 이상인 블록킹된 뷰렛기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데 적절한 출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a)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되고;
b)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2.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며;
c)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이다.
출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은 NCO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이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8, 더욱 바람직하게는 7, 가장 바람직하게는 6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을 제조하기 위한 출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가장 바람직하게는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한다.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는 출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은 공지되어 있으며, 미국 특허 제4,324,879호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됨)의 교시 내용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가물이 출발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는 이러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의 유용한 예로서,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형성된 삼량체를 들 수 있다.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삼량체 (바이엘 폴리머스 엘엘씨(Bayer Polymers LLC)로부터 상표명 데스모두르(Desmodur) N3390으로 시판)와 같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삼량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모든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출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 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뷰렛기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해, 출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을 뷰렛화제인 2차 모노아민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킨다. 2차 모노아민을 사용한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는 미국 특허 제4,220,479호 (개시 내용이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됨)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2차 아민은 화학식: (R1)(R2)NH (여기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을 갖는다. 특히 유용한 2차 모노아민으로는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프로필아민, 디부틸아민, 비스-(2-에틸헥실)-아민이 포함된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에 뷰렛기를 도입하기 위해, 이소시아네이트 및 아민을 약 4:1 내지 약 14:1의 이소시아네이트 대 아민 당량비로 반응시킨다. 반응은 약 0 내지 14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6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4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생성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일반적으로 4 이상,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8 이상이고, NCO 함량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8 내지 약 24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0 중량%이다. 생성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최대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바람직하게는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8, 가장 바람직하게는 7이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 생성물은 적절하게 용매로 희석될 수 있다.
생성물의 분자량은 표준 물질로서 폴리스티렌을 사용한 GPC에 의해 측정된다. 생성되는 뷰렛기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수 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약 500 내지 약 10,000,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약 5,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약 3,000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함에 있어서, 뷰렛기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연속식으로 또는 배치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생성물은 특히, 코팅물에서 사용되는 결합제 (예를 들어 히드록실 함유 폴리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기를 함유 하는 결합제)에 있어서, 비교적 낮은 점도 및 낮은 분자량뿐만 아니라 높은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 및 높은 반응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또한, 제조가 용이하고, 이러한 화합물이 단량체로의 분해에 대해 안정하기 때문에 휘발성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장기간의 저장시에도 증가하지 않으며, 추가의 조절 처리가 필요 없는 표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고, 생성물이 점도 증가에 대한 저장 안정성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무색이라는 점 (투명 코트 계에 있어서 특히 중요함)에서 유리하다.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생성물은 코팅 조성물, 특히 자동차용 코팅물에서의 경화제로서 특히 적절하다. 이러한 용도에서, 생성물은 그 자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임의의 통상적인 블록킹제로 블록킹될 수 있다. 이러한 생성물도 본 발명의 일부이다.
전형적인 블록킹제로서 i) 페놀, 크레졸 및 치환된 장쇄 지방족 페놀 (예를 들어 이소노닐페놀), ii) 아미드 (예를 들어 ε-카프롤락탐 및 δ-발레롤락탐), iii) 옥심 (예를 들어 부타논옥심, 포름알독심, 아세토페논 옥심, 벤조페논 옥심, 디에틸글리옥심 및 메틸 에틸 케톡심), iv) 히드라존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히드라존) 및 v) 피라졸 (예를 들어 디메틸 피라졸)이 포함된다. 블록킹제는 일반적으로 1-팩 코팅물을 제형할 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 또는 분산 겔화 중합체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 결합제, 및 상기 기재한 블록킹된 또는 블록킹되지 않은 뷰렛기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팩 액상 용매계 또는 수계 코팅 조성물로 제형된다. 조성물이 액체 코팅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분말 코팅 조성물로도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자동차 및 트럭 차체의 외부를 마감처리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본 조성물은 그의 용도에 따라, 내구성이 있고, 빠르게 경화되며, 미리 착색된 기판에 대해 양호한 부착성을 갖고, 뛰어난 가교성을 가지며, 화학적 공격 및 환경적 풍화에 대해 우수한 저항성을 갖고, 장기간 동안 우수한 광택 외관을 부여하는 코팅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이 용매계 코팅물로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기재된 뷰렛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자동차 및 트럭용 투명 코트/착색 코트 마감처리용 신속 경화, 저 VOC, 고고형분의 용매계 투명 코트 조성물을 제형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조밀하고, 관능가가 높으며, 점도가 낮은 뷰렛기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가 얻어진다: 코팅물의 경화 속도의 증가 및 개선된 생산성; 우수한 가교성; 화학적 공격 및 환경적 풍화에 대한 개선된 저항성; 낮은 VOC 제형 (이는, 상기 뷰렛이 고분자량이고 고점도인 물질 (분무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용매로의 희석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조성물의 VOC 함량이 증가함)을 형성하는 일 없이 높은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를 가지기 때문임).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팅 조성물은 자동차의 재마감처리(refinishing) 및 마감처리에서 투명 코트로서 사용되기에 특히 적절하나, 통상적인 안료로 착색되어 모노코트(monocoat) 또는 베이스코트(basecoat), 또는 심지어 프라이머 (primer) 또는 실러(sealer)와 같은 언더코트(undercoat)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물은 산업 및 건축 분야와 같은 자동차가 아닌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 (블록킹된 것 및 블록킹되지 않은 것 둘다)의 특별한 장점은 이들로부터 제조된 코팅물이 뷰렛화제로서 물이 사용된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된 유사한 생성물에 비해, 더 낮은 경화 온도에서 증가된 겔 함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는 개선된 경화성을 나타낸다는 점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기재하지 않는 한 모든 부 및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며, 하기 물질을 사용하였다:
DESMO 800 - 데스모펜(Desmophen) 800 - OH 함량이 8.8%이고, 100% 고형물이며, 점도가 약 170,000 cps인 폴리에스테르 (바이엘 머티리얼싸이언스(Bayer MaterialScience) 제품).
CGL - CGL-052 L2 - 히드록실 관능 트리아진계 장해 아민 광 흡수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Ciba Specialty Chemicals) 제품, PM 아세테이트(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중 60% 고형물로 공급됨).
T-12 - 다브코(Dabco) T-12 -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에어 프로덕츠(Air Products) 제품).
T-928 - 티누빈(Tinuvin) 928 - 히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계 UV-흡수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제품).
BYK -370 - 크실렌/시클로헥사논/2-페녹시에탄올/나프타 (75:7:7:1) 중 폴리 에스테르 개질된 히드록실 관능 디메틸폴리실록산의 25% 고형물 용액 (빅-케미(Byk-Chemie) 제품, 기판 습윤용으로 제조됨).
n- BA / PMA / EEP - n-부틸 아세테이트 (CAS# 123-86-4), PM 아세테이트 (CAS# 108-65-6,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로도 알려짐) 및 에크타프로(Ektapro) EEP (이스트만(Eastman) 제품; CAS# 763-69-9,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로도 알려짐)의 4:5:6 블렌드.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서, 실시예 1, 3 및 5는 비교예이다.
Polyiso 1 - 교반기, 질소 주입구, 열전대 및 가열기가 장착된 5 ℓ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데스모두르 N-3300 폴리이소시아네이트 (NCO 함량이 약 22 중량%이고, 25 ℃에서 점도가 약 2500 mPa·s인 무용매 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바이엘 머티리얼싸이언스 제품) 2500부(12.88당량), 부틸 아세테이트 700부, 디부틸 포스페이트 5부 및 N,N-디부틸 아민 297부(2.30당량)를 첨가하고,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반응물을 65 ℃에서 1시간, 90 ℃에서 30분, 120 ℃에서 5시간, 최종적으로 140 ℃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 시간이 끝날 무렵에,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은 10.5 중량% (이론값 10.0%)였다. 25 ℃에서 점도는 1,980 cps였다. 관능가는 1분자 당 약 6개의 이소시아네이트였다.
Polyiso 2 - 교반기, 질소 주입구, 열전대 및 가열기가 장착된 5 ℓ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데스모두르 N 3300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550부(13.14당량), 부틸 아 세테이트 450부, 디부틸 포스페이트 촉매 0.128부 및 증류수 16.60부(0.92당량)를 첨가하고,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반응물을 65 ℃에서 1시간, 90 ℃에서 30분, 120 ℃에서 30분, 최종적으로 140 ℃에서 7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 시간이 끝날 무렵에,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은 14.52 중량% (이론값 14.16%)였다. 25 ℃에서 점도는 6,800 cps였다. 관능가는 1분자 당 약 6개의 이소시아네이트였다.
블록킹된 ISO 1 - 교반기, 질소 주입구, 열전대, 가열기 및 첨가 깔대기가 장착된 2 ℓ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Polyiso 1 321부(0.80당량) 및 부틸 아세테이트 245.8부를 첨가하여 배합하고,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별법으로서, 30분에 걸쳐 디메틸 피라졸 83부(0.86당량) 및 부틸 아세테이트 211.5부를 소량씩 첨가하였다. 온도가 35 ℃로 상승하였다. 가열기를 켜고, 온도를 70 ℃로 증가시켰다. 70 ℃에서의 4시간 후, NCO기는 IR에 의해 검출되지 않았다. 20 ℃에서 점도는 226 cps였다. 밀도는 8.52 lbs/gal였다. 당량의 계산치는 약 1077였다.
블록킹된 ISO 2 - Polyiso 1 303.8부(0.76당량), ε-카프롤락탐 93.2부(1.92당량) 및 부틸 아세테이트 175.5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블록킹된 ISO 1과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였다. 블록킹된 ISO 1에서의 디메틸 피라졸 대신에 ε-카프롤락탐을 사용하였다. 25 ℃에서 점도는 294 cps였다. 밀도는 8.61 lbs/gal였다. 당량의 계산치는 554였다.
블록킹된 ISO 3 - 이 이소시아네이트에서의 블록킹제는 메틸 에틸 케톡심이었다. Polyiso 1 303.3부(0.75당량), 메틸 에틸 케톡심 67.1부(0.77당량) 및 부틸 아세테이트 206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블록킹된 ISO 1과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였다. 25 ℃에서 점도는 177 cps였다. 밀도는 8.24 lbs/gal였다. 당량의 계산치는 750이었다.
블록킹된 ISO 4 - 교반기, 질소 주입구, 열전대, 가열기 및 첨가 깔대기가 장착된 2 ℓ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Polyiso 2 418.0부(1.70당량) 및 부틸 아세테이트 100.6부를 첨가하였다. 균질해질 때까지 물질을 혼합하였다. 별법으로서, 30분에 걸쳐 디메틸 피라졸 195.8부(2.04당량) 및 부틸 아세테이트 208.4부를 소량씩 첨가하였다. 온도가 35 ℃로 상승하였다. 가열기를 켜고, 온도를 62 ℃로 증가시켰다. 62 ℃에서의 2시간 반 후, NCO기는 IR에 의해 검출되지 않았다. 20 ℃에서 점도는 110 cps였다. 밀도는 8.26 lbs/gal였다. 당량의 계산치는 466이었다.
블록킹된 ISO 5 - Polyiso 2 462.8부(1.60당량), ε-카프롤락탐 217.3부(1.92당량) 및 부틸 아세테이트 384.0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블록킹된 ISO 4와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였다. 25 ℃에서 점도는 333 cps였다. 밀도는 8.63 lbs/gal였다. 당량의 계산치는 554였다.
블록킹된 ISO 6 - Polyiso 2 491.7부(1.70당량), 메틸 에틸 케톡심 177.7부(2.04당량) 및 부틸 아세테이트 372.6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블록킹된 ISO 4와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였다. 25 ℃에서 점도는 302 cps였다. 밀도는 8.22 lbs/gal였다. 당량의 계산치는 511이었다.
하기 표 1은 시험한 코팅 조성물을 나타내고, 하기 표 2 내지 5는 이들로부터 얻은 결과를 나타낸다. 조성물을 빈크스(Binks) 95형 사이펀 건을 사용하여 약 4 mil로 제조된 습윤 필름에 도포하였다. 15분 동안 플래싱한 후, 목적하는 온도 범위에 따라 패널을 경화시켰다.
실시된 시험은 하기와 같다:
MEK 이중 마찰: 2파운드 볼 핀 망치를 여러겹의 무명천으로 감쌌다. 천을 MEK로 적셨다. 망치를 표면에 대해 90도 각도로 갖다대고 4" 면적에 걸쳐 앞뒤로 이동시켰다. 25회 마찰시킬 때마다 천을 다시 MEK로 적셨다. 코팅물이 손상되거나, 마찰이 200회에 도달할 때까지 시험을 실시하였다. 코팅물 손상에 필요한 마찰 횟수를 기록하였다.
겔 함량: 무게를 알고 있는 무코팅 필름을 스테인레스 강 와이어 스크린 중에 놓았다. 이어서, 이들을 끓는 아세톤 중에 7시간 동안 넣어, 추출 가능한 모든 물질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코팅 필름의 무게를 다시 측정하여, 잔류 고형물 총 중량을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진자(Pendulum) 경도: 쾨니크(Koenig) 진자 경도 측정기 상에 코팅된 유리 패널을 놓고, 편향 각도가 너무 작아지기 전에 펜둘룸의 스윙값을 기록하였다. 모든 코팅물을 유리의 경도와 비교하였다 (172-185스윙).
스크래치 및 손상: 아틀라스(Atlas) AATCC 마찰 견뢰도 시험기 (모델 CM-5) 상에서 수행하였다. 울 펠트 천 (아틀라스 14-9956-00)을 아크릴 핑거 위에 바로 놓았다. 이어서, 본 아미(Bon Ami) 세척제를 코팅된 패널에 도포하고 과량을 제거하였다. 코팅된 패널 상에서 앞뒤로 10회 마찰시킨 후, 패널을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내손상성은 마찰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판독시 광택도 20의 잔류 백분율로 측 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블록킹된 Iso 4 1 5 2 6 3
블록킹된 Iso(pbw) 393.57 476.36 412.13 477.65 428.79 497.1
Desmo 800(pbw) 155.72 121.83 148.6 118.38 142.57 122.03
T-12(pbw) 3.92 3.98 3.96 4 4 3.9
CGL(pbw) 6.53 6.63 6.6 6.66 6.66 6.44
T-928(pbw) 39.19 39.76 39.59 39.95 39.98 38.95
Byk-370(pbw) 29.04 29.46 29.33 29.6 29.63 4
n-BA/PMA/EEP(pbw) 201.63 163.8 197.88 169.58 194.86 156.39
Figure 112005059288326-PAT00001
Figure 112005059288326-PAT00002
Figure 112005059288326-PAT00003
Figure 112005059288326-PAT00004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된 코팅물은 뷰렛화제로서 물이 사용된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된 유사한 생성물에 비해 개선된 경화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16)

  1. a)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되고,
    b)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2.5 이상이며,
    c)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과 2차 모노아민을, 이소시아네이트 대 아민 당량비 약 4:1 내지 약 14:1로 반응시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에 뷰렛기를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4 이상인 뷰렛기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물의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2.8 이상 8 이하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물의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3.0 이상 6 이하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물의 NCO 함량이 10 내지 25 중량%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아민이 화학식 (R1)(R2)NH (여기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를 갖는 것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아민이 디부틸아민인 조성물.
  8. A) a)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되고,
    b)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2.5 이상이며,
    c)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과 2차 모노아민을, 이소시아네이트 대 아민 당량비 약 4:1 내지 약 14:1로 반응시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에 뷰렛기를 도입하고,
    B) 상기 뷰렛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블록킹제를 반응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4 이상인 블록킹된 뷰렛기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물의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2.8 이상 8 이하인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물의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3.0 이상 6 이하인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물의 NCO 함량이 10 내지 25 중량%인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성분 a)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인 조성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아민이 화학식 (R1)(R2)NH (여기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를 갖는 것인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아민이 디부틸아민인 조성물.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제가 페놀, 크레졸, 치환된 장쇄 지방족 페놀, 아미드, 옥심, 히드라존 및 피라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제가 디메틸 피라졸, ε-카프롤락탐 및 메틸 에틸 케톡심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KR1020050098974A 2004-10-21 2005-10-20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 및 블록킹된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 KR200600541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70,763 2004-10-21
US10/970,763 US20060089480A1 (en) 2004-10-21 2004-10-21 Biuretized isocyanates and blocked biuretized isocyana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131A true KR20060054131A (ko) 2006-05-22

Family

ID=3542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974A KR20060054131A (ko) 2004-10-21 2005-10-20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 및 블록킹된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060089480A1 (ko)
EP (1) EP1650243B1 (ko)
JP (1) JP2006117939A (ko)
KR (1) KR20060054131A (ko)
CN (1) CN1762987B (ko)
AT (1) ATE385242T1 (ko)
CA (1) CA2523907A1 (ko)
DE (1) DE602005004582T2 (ko)
ES (1) ES2299939T3 (ko)
HK (1) HK1087688A1 (ko)
MX (1) MXPA05011281A (ko)
NO (1) NO20054863L (ko)
PL (1) PL1650243T3 (ko)
RU (1) RU2409598C2 (ko)
SG (1) SG121992A1 (ko)
UA (1) UA8584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2307B2 (en) * 2003-08-27 2010-08-10 Great Eastern Resins Industrial Co., Ltd. Water dispersible polyisocyanate composition and its uses
US7954064B2 (en) * 2005-10-27 2011-05-31 Apple Inc. Multiple dashboards
KR102664168B1 (ko) * 2017-02-17 2024-05-13 바스프 에스이 블록형 이소시아네이트를 베이스로 하는 반응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EP3892659A1 (de) 2020-04-08 2021-10-13 Covestro Deutschland AG Mit aus cashewnuss-schalenöl erhältlichen phenolen blockierte, niedrigviskose isocyanat-prepolymere, verfahren zur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CN115304515B (zh) * 2022-07-04 2023-07-25 山东新和成精化科技有限公司 Hdi缩二脲的制备方法、hdi三聚体和hdi缩二脲的联产方法和联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2973A (en) * 1970-03-07 1975-01-28 Bayer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isocyanates containing biuret groups
DE2308015B2 (de) * 1973-02-17 1980-07-31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isocyanaten mit Biuretstruktur
US3976622A (en) * 1973-02-17 1976-08-24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isocyanates with a biuret structure
DE2730513A1 (de) * 1977-07-06 1979-01-25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odifizierten polyisocyanaten
CA1112243A (en) * 1978-09-08 1981-11-10 Manfred Bock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is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and the use thereof
US4324979A (en) * 1979-06-21 1982-04-13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oration Variable neutron collimator
US4495229A (en) * 1982-06-08 1985-01-22 Chemische Werke Huls A.G. One-component, heat-curing polyurethane-coatings, stable in storage
US4439593A (en) * 1983-05-26 1984-03-27 Mobay Chemical Corporation Polyurethane compositions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US4518522A (en) * 1983-09-19 1985-05-21 Mobay Chemical Corporation Blocked polyisocyanates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US5986033A (en) * 1984-02-29 1999-11-16 The Baxenden Chemical Co. Blocked isocyanates
US4677180A (en) * 1986-07-16 1987-06-30 Mobay Corporation Polyurethane compositions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US4788262A (en) * 1986-12-08 1988-11-29 Mobay Corporation Polyisocyanate blends with improved compatibility with coreactants
US5071937A (en) * 1987-12-22 1991-12-10 Mobay Corporatio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locked polyisocyanates and sterically hindered aromatic polyamines
DE4240480A1 (de) * 1992-12-02 1994-08-25 Bayer Ag Organische Polyisocyanate mit zumindest teilweise blockierten Isocyanatgruppen
US5370908A (en) * 1993-05-24 1994-12-06 Olin Corporation Low VOC, heat-curable, one-component and two-component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rganic polyisocyanates
DE4324947A1 (de) * 1993-07-24 1995-01-26 Basf Lacke & Farben Nichtwäßrige Lacke
DE19534624A1 (de) * 1995-09-18 1997-03-20 Bayer Ag Allophanatgruppen aufweisende Polyisocyanate auf Basis Diphenylmethandiisocyanat mit überwiegend oder vollständig blockierten Isocyanatgruppen
JP3712295B2 (ja) * 1996-04-12 2005-11-02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一液性熱硬化組成物
DE19626886A1 (de) * 1996-07-04 1998-01-08 Huels Chemische Werke Ag Blockierte Polyisocyanat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DE19738497A1 (de) * 1997-09-03 1999-03-04 Bayer Ag Amin-blockierte Polyisocyanate
DE19748584A1 (de) * 1997-11-04 1999-05-06 Basf Coating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hrschichtigen Lackierung und für diese Verfahren geeignete Lacke
DE19813352A1 (de) * 1998-03-26 1999-09-30 Bayer Ag Malonesterblockierte Polyisocyanate mit Formaldehyd gegen Thermovergilbung
DE19941213A1 (de) * 1999-08-30 2001-03-01 Bayer Ag Malonester-blockiertes HDI-Trimerisat mit IPDA- und Formaldehydstabilisierung
MXPA04002650A (es) * 2001-09-21 2004-07-08 Du Pont Preparacion y uso de poliisocianatos que contienen biuret como agentes de reticulacion para recubrimientos.
DE10348380A1 (de) * 2003-10-17 2005-06-02 Bayer Materialscience Ag Mit sekundären Aminen blockierte Polyisocyanate mit Biuretstrukt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5132380A (ru) 2007-05-10
ATE385242T1 (de) 2008-02-15
DE602005004582D1 (de) 2008-03-20
SG121992A1 (en) 2006-05-26
RU2409598C2 (ru) 2011-01-20
CN1762987B (zh) 2010-05-12
NO20054863D0 (no) 2005-10-20
HK1087688A1 (en) 2006-10-20
JP2006117939A (ja) 2006-05-11
MXPA05011281A (es) 2006-07-11
CN1762987A (zh) 2006-04-26
NO20054863L (no) 2006-04-24
US20060089480A1 (en) 2006-04-27
ES2299939T3 (es) 2008-06-01
EP1650243A1 (en) 2006-04-26
DE602005004582T2 (de) 2009-02-05
EP1650243B1 (en) 2008-01-30
PL1650243T3 (pl) 2008-07-31
CA2523907A1 (en) 2006-04-21
UA85841C2 (uk) 200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2482B2 (en) Nonaqueous, heat-curable two-component coating
RU2578687C2 (ru) Композиции полиуретдиона, отверждаемые при низких температурах
US20030027921A1 (en) Nonaqueous thermosetting two-component coating composition
EP1226199B1 (en) Blocked isocyanate-based compound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U2005282548A1 (en) Emulsifiable polyisocyanate
EP2058355A1 (de) Polysiloxanmodifizierte Polyisocyanate
CA2364051A1 (en) Cross-linking agents and thermosetting lacquers
EP1650244B1 (en) Blocked biuretized isocyanates
KR20060054131A (ko)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 및 블록킹된 뷰렛화 이소시아네이트
JP4402377B2 (ja) 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
EP1238994A1 (en) Polyurethane polyol compositions and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EP1650245B1 (en) Biuretized polyisocyanates blocked with aralkylamines
JP4875842B2 (ja) ビウレット構造を有し第二級アミンでブロックされたポリイソシアネート
US6538096B2 (en) Storage-stable polyisocyanates
US6509433B2 (en) Fluorine-containing blocked isocyanates
JPH04226965A (ja) ポリイソシアナト−イソシアヌ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らの用途
US20040143083A1 (en) Novel coating systems
US20040097687A1 (en) Blocked polyisocyanates that are stable to solid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