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2425A -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2425A
KR20060052425A KR1020050104695A KR20050104695A KR20060052425A KR 20060052425 A KR20060052425 A KR 20060052425A KR 1020050104695 A KR1020050104695 A KR 1020050104695A KR 20050104695 A KR20050104695 A KR 20050104695A KR 20060052425 A KR20060052425 A KR 20060052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oil
composition
water emulsion
alk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소노다
토시오 이시다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B01D19/04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by addition of chemical substances
    • B01D19/0404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by addition of chemical 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hemical subs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뛰어난 소포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유화제로서 제 2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을 이용해도 충분한 보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는 배합에 대해서, 뛰어난 보존 안정성을 가지며, 저장 중에 거의 점도증가하는 일이 없는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A)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을 함유하는 유상성분 및 (B)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이다.

Description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DEFOAMING AGENT COMPOSITION OF OIL-IN-WATER TYPE EMULSION}
도 1은 소포효과의 평가에 이용하는 장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눈금부착 유리제 원통용기 2: 순환펌프
3: 유량계
본 발명은,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뛰어난 소포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저장 중에 거의 점도증가하는 일이 없는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는, 초지공정을 시작으로 하는 각종의 제조공정이나, 배수처리공정에 있어서의 발포억제제 등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 중에서,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고급 알콜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이 소포제는 저장기간 중에 심하게 점도증가해서 크림형상으로 고체화되기 때문에, 취급성이 극히 나빠진 다고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유화제로서 제 2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을 이용한 소포제조성물을 개발했다(특허문헌 2). 그러나, 이 소포제조성물에서도, 경시적인 점도의 안정성에 있어서, 불충분한 경우도 존재하는 것이 분명해졌다.
고급 지방족 알콜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에멀젼은, 연속상인 수상 중에 액정 또는 겔이 생성되고, 점도증가해서 계(系)가 안정화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고급 지방족 알콜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가 저장 중에 점도증가하는 것은, 이와 같은 액정 또는 겔의 생성에 의한 것이라고 추찰된다. 유화제로서 제 2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을 이용함으로써, 이 액정 또 겔의 생성을 상당한 확률로 회피할 수 있지만, 완벽하게 회피할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액체제품에 있어서는, 장기간 보존해도 점도 등의 물성이 안정되어 있어서, 저장용기로부터 신속히 꺼낼 수 있으며, 간편한 약액주입펌프에 의해 안정된 토출량을 얻을 수 있는 등의 간편한 취급성이 요구된다. 그래서, 제 2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에서는 경시적인 점도증가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배합조성에 의해, 장기간 보존해도 점도증가가 없는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소48-62683호 공보(제 1페이지)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1-62204호 공보(제 2페이지)
[비특허문헌 1]
유화ㆍ분산 기술응용 핸드북, 사이언스 포럼 간행(1987년), 제 131페이지
본 발명은, 뛰어난 소포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유화제로서 제 2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을 이용해도 충분한 보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는 배합에 대해서, 뛰어난 보존 안정성을 가지고, 저장 중에 거의 점도증가하는 일이 없는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유화제로서 제 2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을 이용해도 충분한 보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는 배합에 대해서,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을 유화제로서 이용함으로써, 경시적인 점도증가를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이 식견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A)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을 함유하는 유상성분 및 (B)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
(2) (B)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의 HLB가, 13~19인 (1)에 기재된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 및,
(3) 분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6~15인 (1) 또는 (2)에 기재된 수중유형 에멀 젼 소포제조성물,
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4) (A)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을 함유하는 유상성분의 함유량이, 5~50중량%인 (1)에 기재된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 및,
(5) 유상성분 중의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의 함유량이, 40~85중량%인 (1)에 기재된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
을 들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은, (A)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을 함유하는 유상성분 및 (B)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는, (A)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을 함유하는 유상성분이, (B)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을 유화제로서 에멀젼화되어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A)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을 함유하는 유상성분의 함유량은, 5~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4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을 함유하는 유상성분의 함유량이 5중량%미만이면, 소포효과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을 함유하는 유상성분의 함유량이 50중량%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서 취급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경시 안정 성도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유상성분 중의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의 함유량은, 40~8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5~7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상성분 중의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의 함유량이 40중량%미만이면, 소포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유상성분 중의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의 함유량이 85중량%를 초과하면,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이 경시적으로 점도증가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이용하는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알콜, 미리스틸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올레일알콜, 에이코실알콜, 베헤닐알콜, 테트라코실알콜, 세릴알콜, 메리실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고급 지방족 알콜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고,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고급 지방족 알콜로서, 천연동식물유지 유래의 알콜을 이용할 수 있고, 합성알콜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합성알콜의 조정제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 탄소수 16~24의 고급 지방족 알콜을 특히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지방족 알콜의 탄소수가 12미만이어도, 30을 초과해도, 소포제조성물의 소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유상성분 중의 고급 지방족 알콜 이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22의 1~3가 알콜과 탄소수 12~22의 지방산과의 에스테르, 광물유나 파라핀왁스 등의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유상성분 중의 고급 지방족 알콜 이외의 성분의 함유량은, 15~6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0~55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B)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의 함유량은, 0.3~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6~2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의 함유량이 0.3중량%미만이면, 소포제조성물 중의 유화분산이 불충분하게 되어서, 입자직경의 증대나 입자응집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의 함유량은, 5중량%이하에서 소포제조성물의 충분한 유화 안정성을 얻을 수 있고, 5중량%를 초과하면 유화입자의 과잉인 미세화 및 유리유화제가 많아지기 때문에 점도가 상승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 조성물에 이용하는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헥실알콜, 이소헵틸알콜, 이소옥틸알콜, 2-에틸헥실알콜, 이소노닐알콜, 프로필렌의 3량체로 합성되는 분기 노닐알콜, 이소데실알콜, 이소운데실알콜, 이소도데실알콜, 헥실알콜의 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2-부틸옥틸알콜, 프로필렌의 4량체로 합성되는 분기 도데실알콜, 이소트리데실알콜, 부텐의 3량체를 하이드로포밀화하고, 수소화해서 얻어지는 분기 트리데실알콜, 이소테트라데실알콜, 이소펜타데실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제 1급 알콜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고,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할 수도 있다. 공업적으로 제조되는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상당수는 이성체 등의 혼합물이며, 이들의 혼합물은 분리하는 일없이 그대로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할 수 있다.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은, 곧은사슬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알킬렌옥 시드 부가물에 비해서 유화력이 강하고, 안정성이 뛰어난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옥시드, 1,2-프로필렌옥시드, 1,3-프로필렌옥시드, 1,2-부틸렌옥시드, 2,3-부틸렌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에틸렌옥시드를 특히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에 탄소수 3~4의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할 때에는, 에틸렌옥시드와의 공중합사슬로 되도록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옥시드와 탄소수 3~4의 알킬렌옥시드와의 공중합사슬은, 랜덤형상으로 할 수 있고, 혹은, 블록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에의 에틸렌옥시드의 부가몰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제 1급 알콜 1몰에 대해서 에틸렌옥시드 5~10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 1급 알콜 1몰에 대해서 에틸렌옥시드 10~50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는, (B)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의 HLB가, 13~19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8.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의 HLB가 13미만이어도, 19를 초과해도, 유상성분의 유화전상이 곤란하게 되는 동시에, 얻어지는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잇다. HLB의 값은, 그리핀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고, 친수기가 폴리에틸렌옥시드만인 경우는,
HLB = (에틸렌옥시드 단위의 중량%)/5
에 따라서 산출할 수 있다.
얻어지는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의 유화력 및 유화 안정성을 높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는, 제 1급 알콜의 분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6~15인 것이 바람직하고, 8~1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의 제조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수중유형 에멀젼의 제조에 있어서 관용되고 있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을 함유하는 유상성분과 (B)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을 혼합해서 가열 용융하고, 교반하면서 뜨거운 물을 첨가함으로써 유화전상해서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수중유형 에멀젼 중의 유상성분의 미립자의 평균입자직경은 2~15㎛인 것이 바람직하고, 4~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상성분의 미립자의 평균입자직경이 2㎛미만이면, 저장 시에 점도증가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유상 중의 미립자의 평균입자직경이 15㎛를 초과하면, 저장 시에 상분리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고분자 다당류를 함유시킬 수 있다. 고분자 다당류로서는, 예를 들면, 웨란감(wellan gum), 람산검(rhamsan gum), 잔산검(xanthan gum), 사크시노그리칸(succinoglycan), 키산탄감, 구아검, 카라기난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다당류를 함유시킴으로써, 유상성분의 미립자의 응집을 억제해서, 소포제조성물을 안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은, 초지나 도공 등의 제지공정을 위시한 각종 생산공정, 활성 진흙이나 방류 등의 각종 폐수처리공정 등, 발포가 문제로 되는 모든 공정에 적 용할 수 있지만, 특히, 초지공정이나, 활성 진흙 등의 폐수처리공정에 있어서의 발포억제제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포제조성물의 첨가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처리액에 대하여 0.1~1,000㎎/L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0㎎/L을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은, 뛰어난 소포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제품보존 중에 거의 점도증가하는 일이 없으므로, 경시적인 품질 열악화에 대해서 특별히 배려하는 일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소포제조성물의 소포효과 및 경시점도변화는, 하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1) 소포효과
도 1은, 소포효과의 평가에 이용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소포제조성물 4㎎/L을 첨가한 신문용지의 초지백수 50OmL을, 내경 70㎜, 용량 1L의 눈금부착 유리제 원통용기(1)에 넣고, 순환펌프(2)에 의해 유량계(3)를 경유해서 1,000mL/분의 유량으로 순환시키고, 원통용기 속의 수면에서 50㎝의 높이로부터 원통용기 안으로 낙하시킨다. 시험은 30℃에서 실시하여, 순환개시 후, 1분, 2분, 3분, 4분 및 5분 후의 눈금부착 유리제 원통용기 안의 발포량을 판독한다.
(2) 경시점도변화
소포제조성물(제조 직후의 것, 10℃, 20℃, 30℃, 40℃에서 30일간 보존한 것)을, 25℃의 항온수조 속에 정치하고, B형 점도계와 2호 스핀들을 이용해서, 스핀들 회전수 30rpm으로, 30℃에서 점도를 측정한다.
실시예 1
탄소수 18~22의 지방족 알콜의 혼합물[SASOL사, Stenol 1822] 20중량부, 고체형 파라핀[칸토 화학(주), 융점 68~70℃] 4중량부, 올레산 트리글리세리드[후지 제유(FUJI OIL CO.,LTD.)(주), 하이올] 6중량부 및 유화제로서 평균탄소수 약 11의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35몰 부가물 수용액[카오(주), 에멀겐(EMULGEN) 1135S-70, HLB17.9, 농도 70중량%] 1.1중량부를 혼합하고, 용융한 후, 이 용융물을 73℃에서 터빈날개에 의해 주속 5.2m/s로 교반하면서, 73℃의 뜨거운 물 68.5중량부를 첨가해서 유화전상을 실시하였다. 다음에, 웨란감[(주)산쇼, K1C376] 0.1중량부를 첨가한 후, 18시간 걸쳐서 73℃에서 30℃까지 냉각하고,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을 얻었다.
소포시험에 있어서, 발포량은, 1분 후 10mL, 2분 후 11mL, 3분 후 14mL, 4분 후 16mL, 5분 후 17mL였다. 경시점도증가시험에 있어서, 점도는, 제조 직후 220mPaㆍs, 10℃, 20℃, 30℃, 40℃에서 30일간 보존한 것은, 각각 218mPaㆍs, 223mPaㆍs, 220mPaㆍs, 228mPaㆍs였다.
비교예 1
유화제로서, 평균탄소수 약 11의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35몰 부가물[카오(주), 에멀겐 1135S-70, HLB17.9] 1.1중량부 대신에, 탄 소수 12~14로 3~7위의 탄소에 히드록실기를 가지는 제 2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30몰 부가물[(주)닛폰쇼쿠바이(NIPPON SHOKUBAI), 소프타놀 300, HLB17.4] 0.8중량부를 혼합하고, 73℃의 뜨거운 물 69.2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소포시험에 있어서, 발포량은, 1분 후 10mL, 2분 후 11mL, 3분 후 13mL, 4분 후 16mL, 5분 후 18mL였다. 경시점도증가시험에 있어서, 점도는, 제조 직후 228mPaㆍs, 10℃, 20℃, 30℃, 40℃에서 30일간 보존한 것은, 각각 226mPaㆍs, 1,160mPaㆍs, 1,060mPaㆍs, 1,140mPaㆍs였다.
비교예 2
유화제로서, 평균탄소수 약 11의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35몰 부가물[카오(주), 에멀겐 1135S-70, HLB17.9] 1.1중량부 대신에, 탄소수 12~14로 3~7위의 탄소에 히드록실기를 가지는 제 2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20몰 부가물[(주)닛폰쇼쿠바이, 소프타놀 200, HLB16.3] 0.8중량부를 혼합하고, 73℃의 뜨거운 물 69.2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소포시험에 있어서, 발포량은, 1분 후 10mL, 2분 후 12mL, 3분 후 14mL, 4분 후 17mL, 5분 후 19mL였다. 경시점도증가시험에 있어서, 점도는, 제조 직후 245mPaㆍs, 10℃, 20℃, 30℃, 40℃에서 30일간 보존한 것은, 각각 2,208mPaㆍs, 278mPaㆍs, 253mPaㆍs, 251mPaㆍs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의 배합조성을 표 1 에, 소포시험의 결과를 표 2에, 경시점도증가시험의 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유상성분 (중량%) 탄소수 18∼22의 지방족 알콜 20 20 20
고체형 파라핀 4 4 4
올레산 트리글리세리드 6 6 6
유화제 (중량%) 분기 제 1급 알콜의 EO 35몰 부가물 1.1 - -
제 2급 알콜의 EO 30몰 부가물 - 0.8 -
제 2급 알콜의 EO 20몰 부가물 - - 0.8
물(중량%) 68.9 69.2 69.2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발포량 (mL) 1분 후 10 10 10
2분 후 11 11 12
3분 후 14 13 14
4분 후 16 16 17
5분 후 17 18 19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점도 (mPaㆍs) 제조 직후 220 228 245
보존온도 (℃) 10 218 226 2208
20 223 1160 278
30 220 1060 253
40 228 1140 251
표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탄소수 18~22의 지방족 알콜을 함유하는 유상성분을 유화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을 초지백수에 4㎎/L 첨가하면, 소포효과시험에 있어서 발포량이 적고, 이들의 소포제조성물은 모두 뛰어난 소포효과를 가지고 있다.
표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35몰 부가물을 유화제로 하는 실시예 1의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은, 10~40℃에서 30일 보존한 후에도 점도변화는 거의 없어서, 뛰어난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유상성분이어도, 제 2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30몰 부가물을 유화제로 하는 비교예 1의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은, 20~40℃에서 30일 보존하면 점도가 상승하고, 제 2급 알콜의 에틸렌옥시드 20몰 부가물을 유화제로 하는 비교예 2의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은, 10℃에서 30일 보존하면 점도가 상승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은, 뛰어난 소포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10~40℃에서 30일 보관한 후에도 점도변화는 거의 없어서, 제조 직후와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은, 뛰어난 소포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제품저장 중에 거의 점도증가하는 일이 없어서, 경시 안정성에도 뛰어나다.

Claims (3)

  1. (A) 탄소수 12~30의 고급 지방족 알콜을 함유하는 유상성분 및 (B)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B) 분기 알킬기를 가지는 제 1급 알콜의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의 HLB가, 13~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분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6~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
KR1020050104695A 2004-11-05 2005-11-03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 KR200600524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22026A JP4595492B2 (ja) 2004-11-05 2004-11-05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消泡剤組成物
JPJP-P-2004-00322026 2004-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425A true KR20060052425A (ko) 2006-05-19

Family

ID=3672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695A KR20060052425A (ko) 2004-11-05 2005-11-03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95492B2 (ko)
KR (1) KR20060052425A (ko)
CN (1) CN10049093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30759B (zh) * 2009-03-11 2011-02-09 南京四新科技应用研究所有限公司 一种分散高级脂肪醇混合物的方法
JP5786336B2 (ja) * 2011-01-11 2015-09-30 栗田工業株式会社 消泡剤、及び消泡剤の製造方法
JP5608845B2 (ja) * 2012-01-16 2014-10-15 サンノプコ株式会社 消泡剤
JP2016013507A (ja) * 2014-07-01 2016-01-28 株式会社タイホーコーザイ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消泡剤組成物
JP7241388B2 (ja) * 2019-01-29 2023-03-17 サンノプコ株式会社 紙の製造方法
US20230391644A1 (en) * 2020-10-26 2023-12-07 Dow Silicones Corporation Wastewater foam control ag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509B2 (ja) * 1999-04-21 2001-06-18 サンノプコ株式会社 エマルション型消泡剤組成物
JP3573199B2 (ja) * 1999-08-27 2004-10-06 栗田工業株式会社 消泡剤組成物
US6534550B1 (en) * 2000-03-29 2003-03-18 Gerald C. Walterick, Jr. Foam contro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am in aqueous systems
JP4602589B2 (ja) * 2001-05-01 2010-12-22 サンノプコ株式会社 フォトレジスト溶解液用消泡剤組成物
JP4096044B2 (ja) * 2003-04-04 2008-06-04 サンノプコ株式会社 エマルション型消泡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1574A (zh) 2006-06-07
JP4595492B2 (ja) 2010-12-08
JP2006130405A (ja) 2006-05-25
CN100490932C (zh)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53309A (en) Defoaming agents
KR20060052425A (ko) 수중유형 에멀젼 소포제조성물
US4076648A (en) Self-dispersible antifoam compositions
CN103641195B (zh) 一种有机硅消泡剂及其制备方法
US9321907B2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stable fatty alcohol emulsion
JP2005525931A (ja) シリコーン分散体
CN102144022A (zh) 金属加工液用的乳化剂
JP3652367B2 (ja) 易流動性エマルション濃厚物
JP4029886B2 (ja) 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87493A (ko) 자발적 유화를 위한 유제 농축물용 비이온성 유화제
JPH10501734A (ja) 水性脂肪アルコール分散液
CN103298534B (zh) 消泡剂及消泡剂的制造方法
US6177481B1 (en) Defoamer mixtures,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FI53662C (fi) Foerfarande foer skumdaempning i vattenhaltiga system medelst emulsioner
US5096617A (en) Defoamer emulsion
KR101638010B1 (ko) 자기 유화형 비실리콘 소포제 조성물
JP3573199B2 (ja) 消泡剤組成物
GB2244279A (en) Fluorosilicone anti-foam additive
JPH09234307A (ja) 消泡剤組成物
JP4717435B2 (ja) 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および離型剤
JPS62100554A (ja) シリコ−ンエマルジヨン組成物
WO2023235118A1 (en) Silicone emulsions
EP0157388B1 (en) Oil-in-alcohol microemulsion
JP2024055810A (ja) 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系消泡剤組成物
EP3464503A1 (en) A new anti-foaming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628

Effective date: 2014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