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158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158A
KR20060051158A KR1020050084144A KR20050084144A KR20060051158A KR 20060051158 A KR20060051158 A KR 20060051158A KR 1020050084144 A KR1020050084144 A KR 1020050084144A KR 20050084144 A KR20050084144 A KR 20050084144A KR 20060051158 A KR20060051158 A KR 20060051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sd
file
reproducing
audi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시 아이다
오사무 시모요시
히데유끼 오노
요시노리 우즈미
도시오 오꼬우찌
리에 우스꾸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6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ith more than one format/standard, e.g. conversion from CD-audio format to R-DAT forma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data handling or data format, e.g. reading, buffering or conversion of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02Delta modulation, i.e. one-bit differential modu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02Conversion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65Sigma-delta audio en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83Optical discs wherein two standards are used on a single disc, e.g. one DVD section and one CD s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 캡쳐된(captured) DSD(Direct Stream Digital) 데이터를 파일에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DSD 방식에 따른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증분(increments)을 판독 및 기입하는 상기 DSD 데이터를 저장함과 함께,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을 갖는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수단과, 상기 DSD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파일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파일의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오디오 데이터 생성 수단을 구비한다.
DSD 데이터, PCM 데이터 생성부, 업 샘플링 처리부, 퍼스널 컴퓨터, 노이즈 쉐이퍼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의 여러 목적 및 장점은 다름의 설명 및 도면을 통해 더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도 1은 PCM 데이터와 DSD 데이터의 샘플링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녹음·재생 시스템의 전형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DSD 파일의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DSD 파일의 다른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도 3의 파일내에 DSD 데이터가 배치되는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도 2의 구성의 일부로서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퍼스널 컴퓨터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a 및 8b는 DSD 데이터와 PCM 데이터의 송수신의 단위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9는 도 7의 구성의 일부로서 DSD 파일 생성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도 7의 구성의 일부로서 PCM 데이터 생성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녹음 처리를 구성하는 단계에 대한 플로우차트.
도 12는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재생 처리를 구성하는 단계에 대한 플로우차트.
도 13은 퍼스널 컴퓨터의 다른 재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퍼스널 컴퓨터
2 : DSD 디바이스
3 : USB 케이블
11 : DSD 파일
12 : DSD 데이터
13 : PCM 데이터 청크
14 : PCM 데이터
41 : 오디오 데이터 처리 어플리케이션
52 : DSD 파일 생성부
58 : PCM 데이터 생성부
81 : DSD 데이터 저장부
82 : PCM 데이터 청크 형성부
91 : 노이즈 쉐이퍼
92 : 디서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성 6-23275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 평성 9-261071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공개 평성 8-274644호 공보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DSD(Direct Stream Digital)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위 DTM(Desk Top Music)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이것은, 레코드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아날로그 음원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나, CD(Compact Disk)나 DAT(Digital Audio Tape) 등의 디지털 음원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에 캡쳐(capture)하고, 캡쳐된 데이터를 이펙트(effect)나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등의 각종 편집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자신의 기호에 맞는 오디오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러한 DTM에 있어서는, 고음질화의 요망도 높아, 예를 들면, 44.1KHz/16bit의 음악 CD의 오디오 데이터(즉,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에 의해서 부호 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96KHz나 그 이상의 샘플링 주파수로 업 샘플링하거나, 20bit 또는 24bit 등의 양자화 비트수에 의해 재양자화하거나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에 의해, 기본적으로, 음악 CD의 것보다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가 얻어진다.
그런데, 음악 CD보다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의 포맷으로서 SACD(Super Audio CD) 포맷이 있고, SACD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에는 DSD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여기서, DSD 방식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DSD 방식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CM 방식이, 예를 들면, 샘플링 주파수 44.1KHz(이하, 적절하게 1fs로 나타낸다), 양자화 비트수 16bit로 음성 신호를 나타내는 것인 데 대하여, 그의 64배인 샘플링 주파수 44.1KHz×64=2.8224MHz(64fs), 1bit의 데이터로 음성 신호를 나타내는 부호화 방식이다. 도 1의 1개의 블록은 1bit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DSD 방식에 따르면, 음성 신호의 레벨의 대소를 펄스 파형(1, O)의 밀도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을 전달하는 음파 그 자체에 가까운 파형을 표현할 수 있어, 이러한 기법은 100KHz를 초과하는 재생 대역과, 높은 다이내믹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SD에 대해서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CD로부터 떼어낸(ripped) 멀티 비트 데이터(16bit)인 오디오 데이터를 DSD 데이터(DSD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이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DSD 데이터에 대하여, 페이드 인/아웃 등의 진폭 성분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가 능하게 하는 기술이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DTM을 행하는 사용자 사이에서는, 보다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취급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어, DSD 데이터도 그 대상으로 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외부 기기로부터 DSD 데이터를 캡처하고, 퍼스널 컴퓨터 내에서 1개의 DSD 파일로서 관리하여, 그 재생이나 편집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DSD 데이터는 1샘플당 1bit의 데이터밖에 없기 때문에, PCM 데이터를 취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1샘플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의 단위(인터리브의 단위)로 했을 때에는, 처리 부담의 면에서 매우 효율이 나쁘다.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PCM 데이터는 1샘플의 데이터인 16bit마다 통합해서 기입 및 판독이 행해지고 있고, 이것과 마찬가지로 해서 1샘플의 데이터인 1bit마다 DSD 데이터의 기입 및 판독을 행한다고 한 경우,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한다고 하더라도, PCM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 대상의 데이터로 할 때와 비교하여 기입 및 판독의 횟수가 늘어나게 된다.
동일한 악곡의 PCM 데이터와 DSD 데이터에서는, DSD 데이터 쪽이 PCM 데이터보다 데이터량이 많고, DSD 데이터에 편집 등을 실시하는 경우, 당연, PCM 데이터에 편집을 실시하는 경우보다 기입 및 판독하는 데이터의 양도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이, 1샘플의 데이터인 1bit마다 기입 및 판독을 행해서는 매우 효율이 나쁘다. 또한, DSD 데이터의 재생시에는, DSD 데이터의 판독이 재생을 따라잡지 못하여, 음 단절을 일으키게 되기도 한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DSD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 내에서 1개의 파일로서 취급하는 경우, 그 파일의 포맷은, DSD 데이터의 기입 및 판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재에는, DSD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DSD 디바이스가 퍼스널 컴퓨터에 준비되어 있는 경우는 적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다른 퍼스널 컴퓨터에서 작성된 DSD 파일을 취득한 퍼스널 컴퓨터가 DSD 디바이스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 DSD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퍼스널 컴퓨터의 사용자는 DSD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가 어떠한 악곡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DSD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DSD 디바이스를 갖고 있지 않은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도, DSD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가 어떠한 악곡의 것인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캡쳐된 DSD 데이터를 파일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DSD 방식에 따른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의 단위로 하는 DSD 데이터를 저장함과 함께,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 영역을 갖는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와, DSD 데이터에 기초하여,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파 일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파일의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오디오 데이터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하게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는 PCM 데이터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캡쳐된 DSD 데이터를 파일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DSD 방식의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의 단위로 하는 DSD 데이터를 저장함과 함께,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 영역을 갖는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단계와, DSD 데이터에 기초하여,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파일 생성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파일의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오디오 데이터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캡쳐된 DSD 데이터를 파일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DSD 방식의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의 단위로 하는 DSD 데이터를 저장함과 함께,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 영역을 갖는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단계와, DSD 데이터에 기초하여,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파일 생성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파일의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오디오 데이터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DSD 방식의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의 단위로 하는 DSD 데이터와,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에 기초하여, DSD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존재하는 경우,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 재생 수단과,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존재하지 않는 경우,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2 재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하게는,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는 PCM 데이터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DSD 방식의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의 단위로 하는 DSD 데이터와,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에 기초하여, DSD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존재하는 경우,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 재생 단계와,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존재하지 않는 경우,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2 재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DSD 방식의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 이터량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의 단위로 하는 DSD 데이터와,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에 기초하여, DSD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존재하는 경우,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 재생 단계와,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존재하지 않는 경우,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2 재생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DSD 방식의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의 단위로 하는 DSD 데이터를 저장함하는 파일이 생성된다. 이 파일은 또한,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 영역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DSD 데이터에 기초하여,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가 생성되고,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가 파일의 저장 영역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이용함으로써,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존재하는 경우,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가 재생되고,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존재하지 않는 경우,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DSD 데이터를 종래보다 효율적으로 취 급할 수 있다. 또한, DSD 디바이스를 갖고 있지 않은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하면, DSD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가 어떠한 악곡의 것인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실시예와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기재는,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을 서포트하는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실시예 중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발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실시예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그 실시예가, 이 발명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실시예가 발명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그 실시예가, 이 발명 이외의 발명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이 기재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 전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바꾸어 말하면, 이 기재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이고, 이 출원에서는 청구되어 있지 않은 발명의 존재, 즉, 장래, 분할 출원되거나, 보정에 의해 추가되는 발명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캡쳐된 DSD 데이터를 파일(예를 들면, 도 4의 DSD 파일(11))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DSD 방식의 1샘플의 데이터량(예를 들면, 1bit)보다 많은 데이터량(예를 들 면, 도 5의 4096bytes)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의 단위로 하는 상기 DSD 데이터를 저장함과 함께,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 영역(예를 들면, 도 4의 PCM 데이터 청크(13))을 갖는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수단(예를 들면, 도 7의 DSD 파일 생성부(52))와, 상기 DSD 데이터에 기초하여,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파일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파일의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오디오 데이터 생성 수단(예를 들면, 도 7의 PCM 데이터 생성부(5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은, 외부로부터 캡쳐된 DSD 데이터를 파일(예를 들면, 도 4의 DSD 파일(11))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DSD 방식의 1샘플의 데이터량(예를 들면, 1bit)보다 많은 데이터량(예를 들면, 도 5의 4096bytes)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의 단위로 하는 상기 DSD 데이터를 저장함과 함께,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 영역(예를 들면, 도 4의 PCM 데이터 청크(13))을 갖는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단계(예를 들면, 도 11의 단계 S2)과, 상기 DSD 데이터에 기초하여,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파일 생성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상기 파일의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오디오 데이터 생성 단계(예를 들면, 도 11의 단계 S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과 동일한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컴퓨터에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DSD 방식의 1샘플의 데이터량(예를 들면, 1bit)보다 많은 데이터량(예를 들면, 도 5의 4096bytes)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의 단위로 하는 DSD 데이터와,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예를 들면, 도 4의 DSD 파일(11))에 기초하여, 상기 DSD 데이터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예를 들면, 도 2의 DSD 디바이스(2))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존재하는 경우, 상기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 재생 수단(예를 들면, 도 7의 멀티 비트 데이터 변환부(53) 내지 ΔΣ 모듈레이터(56)로 이루어지는 재생부)과,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2 재생 수단(예를 들면, 도 6의 PCM 디바이스(2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은, DSD 방식의 1샘플의 데이터량(예를 들면, 1bit)보다 많은 데이터량(예를 들면, 도 5의 4096bytes)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의 단위로 하는 DSD 데이터와,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예를 들면, 도 4의 DSD 파일(11))에 기초하여, 상기 DSD 데이터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예를 들면, 도 2의 DSD 디바이스(2))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존재하는 경우, 상기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 재생 단계(예를 들면, 도 13의 단계 S22)과,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2 재생 단계(예를 들면, 도 13의 단계 S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과 동일한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녹음·재생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녹음·재생 시스템은, 퍼스널 컴퓨터(1)와 DSD 디바이스(2)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3)을 통하여 접속됨으로써 구성된다.
퍼스널 컴퓨터(1)는, DSD 디바이스(2)로부터 공급되어 온 DSD 데이터(DSD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USB 케이블(3)을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DSD 데이터를 DSD 파일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DSD 파일이 선택되었을 때, 퍼스널 컴퓨터(1)는, 그것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를 대상으로 해서 재생, 편집 등을 행한다.
DSD 디바이스(2)는, DSD 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오디오 디바이스로서,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USB 케이블(3)을 통하여 행해지는 제어에 따라서 구동한다. DSD 디바이스(2)는,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부터 DSD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DSD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1)로 출력한다.
도 3은,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생성되어, 관리되는 DSD 파일의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SD 파일(11)에는, DSD 디바 이스(2)로부터 공급되어 온 DSD 데이터(12)가 저장된다. 또한, DSD 파일(11)에는, DSD 데이터(12)에 기초하여 생성된, PCM 데이터(PCM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 영역인 PCM 데이터 청크(13)가 형성된다. PCM 데이터 청크(13)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생성된 PCM 데이터(14)가 저장된다.
즉, 퍼스널 컴퓨터(1)는, DSD 디바이스(2)로부터 DSD 데이터(12)가 공급되어 왔을 때, DSD 데이터(12)를 1개의 DSD 파일(11)에 저장함과 함께, DSD 파일(11)에 PCM 데이터 청크(chunk)(13)를 형성한다(도 3).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DSD 데이터(12)로부터 PCM 데이터(14)를 생성하고, 생성한 PCM 데이터(14)를 PCM 데이터 청크(13)에 저장한다(도 4). 결과적으로, 1개의 DSD 파일(11)에는, 동일한 악곡에 대하여, DSD 방식에 의한 DSD 데이터(12)와, PCM 방식에 의한 PCM 데이터(14)의 2개의 오디오 데이터가 준비되게 된다.
PCM 데이터(14)는, 예를 들면, 재생하는 파일로서 사용자에 의해 DSD 파일(11)이 선택되고, 그 사용자가 조작하고 있는 퍼스널 컴퓨터에 DSD 데이터(12)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예를 들면, 도 1의 DSD 디바이스(2))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재생 대상의 오디오 데이터로서 이용된다.
즉, 예를 들면, DSD 데이터(12)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가 준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DSD 파일(11)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12)가 재생되고, DSD 데이터(12)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PCM 데이터(14)가 재생되게 된다. PCM 데이터(14)를 재생함으로써 얻어진 음성 신호는 예 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도 2의 퍼스널 컴퓨터(1)의 사용자로부터 받거나 하여 DSD 파일(11)을 취득한 사용자는, 자신의 퍼스널 컴퓨터에 DSD 데이터(12)를 재생할 수 있는 DSD 디바이스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PCM 데이터(14)를 처리 가능한 디바이스가 준비되어 있는 한, DSD 파일(11)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12)가 어떠한 악곡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PCM 디바이스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에 내장된 것으로서 준비되어 있는 디바이스이다.
도 3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DSD 데이터(12)는, 1회의 판독/기입(기입 및 판독)에 의해서, 비교적 통합된 양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형식에 의해 DSD 파일(11)에 저장된다. 도 5는, DSD 데이터(12)의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SD 데이터(12)는, 예를 들면, L채널(좌측), R채널(우측)의 데이터가 4096bytes(4096×8bit)마다 교대로 배열하여 구성되고, 예를 들면, 이 4096bytes의 각각의 채널의 데이터가, 기입 및 판독의 1단위의 데이터로 된다. 4096bytes는, DSD 데이터에 있어서의 1샘플의 데이터량(예를 들면, 1bit)에 대하여 충분히 많은 양이다.
이에 의해, 가령, PCM 데이터를 취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16비트 등의 1샘플의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의 1단위로 하는 경우에 비하여, 퍼스널 컴퓨터(1)는, 큰 양의 데이터를 통합해서 취급할 수 있어, 데이터의 기입 및 판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경우, 1회의 기입 및 판독의 데이터량이 많은 쪽이 기입 및 판독의 횟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1)는, 적은 기입 및 판독의 횟수로, 효율적으로, DSD 데이터(12)의 기입 및 판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DSD 데이터(12)의 재생시에, DSD 데이터(12)의 판독이 재생을 따라잡지 못하여, 음 단절을 일으킨다고 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회의 기입 및 판독의 단위로 하는 데이터량은, 도 5에 도시하는 4096bytes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DSD 방식에 있어서의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이면, 어떠한 데이터량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은 DSD 파일(11)을 생성하고, DSD 데이터(12)를 관리하는 퍼스널 컴퓨터(1)의 일련의 처리에 대해서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도 2에 포함된 퍼스널 컴퓨터(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21)는, ROM(Read Only Memory)(2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HDD(Hard Disk Drive)(29)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2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23)에는 또한 CPU(2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적절하게 기억된다.
CPU(21), ROM(22) 및 RAM(23)은, 버스(24)를 개재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2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2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5)에는, 입력부(26), 표시부(27), PCM 디바이스(28), HDD(29), 통신부(30) 및 USB 인터페이스(31)가 접속된다. 입력부(26)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고, 표시부(27)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진다.
PCM 디바이스(28)는, CPU(2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포맷을 갖는 DSD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PCM 데이터를 재생하고, 얻어진 음성 신호를 도시하지 않는 스피커로부터 출력한다.
HDD(29)는, 내장하는 하드디스크에 DSD 파일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도 6의 예에 있어서는, HDD(29)에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 어플리케이션(41)도 기억되어 있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 어플리케이션(41)은, CPU(21)에 의해 실행되고, DSD 데이터, PCM 데이터 등의 오디오 데이터의 처리에 관한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통신부(30)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처리를 행하고, USB 인터페이스(31)는 USB 케이블(3)을 통하여 DSD 디바이스(2)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DSD 디바이스(2)로부터 USB 인터페이스(31)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DSD 디바이스(2)에 의해 생성된 DSD 데이터가 공급되어 온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5)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32)가 접속된다. 드라이브(32)에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removable) 미디어(33)가 적절하게 장착되고, 리무버블 미디어(33)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HDD(29)에 인스톨된다.
도 7은, 퍼스널 컴퓨터(1)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퍼스널 컴퓨터(1)의 각 기능부는, 도 6의 CPU(21)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 처리 어플리케이션(41)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도 7에는, DSD 디바이스 (2)의 일부의 기능부도 도시되어 있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 어플리케이션(41)의 I/O(Input/Output)(51)은 오디오 드라이버로서, DSD 디바이스(2)를 제어함과 함께, DSD 디바이스(2)로부터 공급되어 온 DSD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DSD 데이터를 DSD 파일 생성부(52)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64samples(64fs의 기간 내에 나타나는 64개의 1bit)의 DSD 데이터가 소정의 수만큼 통합되어 구성되는 블록 단위의 DSD 데이터가 DSD 디바이스(2)로부터 공급되어 온다.
도 8b는, DSD 디바이스(2)가 PCM 데이터도 취급할 수 있는 경우에, 퍼스널 컴퓨터(1)와 DSD 디바이스(2) 사이에서 행해지는 PCM 데이터의 송수신의 단위인 블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PCM 데이터의 경우의 송수신의 단위로 되는 블록은, DSD 데이터의 경우에 비해서, 1블록을 구성하는 서브 블록의 내용(DSD 데이터의 경우는 64samples, PCM 데이터의 경우는 1sample(16bit))만이 다르다. 따라서, DSD 데이터를 취급하는 경우와, PCM 데이터를 취급하는 경우에서는, 1서브 블록의 내용만을 다른 것으로 하면,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I/O(51)는, ΔΣ 모듈레이터(56)로부터 공급되어 온 DSD 데이터를 DSD 디바이스(2)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HDD(29)에 기억되어 있는 DSD 데이터(DSD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의 재생시에, ΔΣ 모듈레이터(56)로부터 DSD 데이터가 공급되어 온다.
DSD 파일 생성부(52)는, I/O(51)로부터 공급되어 온 DSD 데이터(DSD 데이터 (12))를 저장하는 DSD 파일(11)을 생성하고, 생성한 DSD 파일(11)을 HDD(29)에 기억시킨다.
도 9는, DSD 파일 생성부(52)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DSD 파일 생성부(52)는, DSD 데이터 저장부(81) 및 PCM 데이터 청크 형성부(82)로 구성된다.
DSD 데이터 저장부(81)는, I/O(51)로부터 공급되어 온 DSD 데이터(12)를 DSD 파일(11)에 저장하고, 그것을 PCM 데이터 청크 형성부(82)로 출력한다. DSD 데이터 저장부(81)에 의해 DSD 파일(11)에 저장되는 DSD 데이터(12)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1회의 기입 및 판독의 데이터량이 많은 데이터이다.
PCM 데이터 청크 형성부(82)는, DSD 데이터 저장부(81)에 의해 생성된, DSD 데이터(12)가 저장 완료된 DSD 파일(11)에 PCM 데이터 청크(13)를 형성한다. 그리고, PCM 데이터 청크(13)가 형성된 DSD 파일(11)을 HDD(29)에 기억시킨다.
도 7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멀티 비트 데이터 변환부(53)는, HDD(29)로부터 판독된 DSD 데이터(12)의 가산(덧셈), 승산(곱셈)의 연산 처리의 전처리로서, 그 연산 처리에 있어서 자리 넘침이 발생하지 않도록, DSD 데이터(12)의 1샘플의 데이터인 1bit를 1, -1로 치환하는 멀티 비트 데이터로의 변환을 행한다. 멀티 비트 데이터 변환부(53)에 의해 얻어진 멀티 비트 데이터는 가산승산부(54)로 출력된다.
가산승산부(54)는, 멀티 비트 데이터 변환부(53)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가산·승산에 의한 크로스페이드(cross-fades) 처리나, 승산에 의한 볼륨 조정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데이터(멀티 비트 데이터)를 LPF(Low Pass Filter)(55)로 출력한다.
LPF(55)는, 고역 성분을 제거하고, 얻어진 데이터를 ΔΣ 모듈레이터(56)로 출력한다. 여기서, LPF(55)에 의해 고역 성분을 제거하는 것은, DSD 데이터(12)에는 ΔΣ 변조의 노이즈 쉐이핑 효과에 의해 고역(高域)에 많은 양자화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어, 연산을 반복함으로써 양자화 노이즈가 축적되고, 그러한 DSD 데이터를 그대로 재생한 경우, 하드웨어를 파괴(예컨대, 트위터(tweeter)등으로 인한)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ΔΣ 모듈레이터(56)는, LPF(55)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에 ΔΣ 변조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64fs/1bit의 DSD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DSD 데이터를 I/O(51)로 출력한다. ΔΣ 변조의 노이즈 쉐이핑 효과에 의해서 원신호와 분리되어, 고역 성분으로 형성된 양자화 잡음은 DSD 디바이스(2)의 LPF(74)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ΔΣ 모듈레이터(56)는, 예를 들면, DSD 파일(11)에 저장되어 있는 PCM 데이터(14)의 재생시에 업 샘플링 처리부(59)로부터 공급되어 온다, 64fs/16bit의 PCM 데이터를 64fs/1bit의 DSD 데이터로 변조하고, 얻어진 DSD 데이터를 I/O(51)로 출력한다.
LPF(57)는, DSD 파일(11)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12)의 씨닝(thin)을 행하여, 예를 들면, 32bit(1fs/32bit)의 PCM 데이터를 생성한다. LPF(57)에 의해 생성된 32bit의 PCM 데이터는 PCM 데이터 생성부(58)로 출력된다. LPF(57)에는, 예를 들면, Intel Performance Primitive(IPP)의 LPF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PCM 데이터 생성부(58)는, LPF(57)로부터 공급되어 온 PCM 데이터에 기초하여, 16bit 또는 24bit의 PCM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PCM 데이터를 DSD 파일(11)의 PCM 데이터 청크(13)에 저장한다.
도 10은, PCM 데이터 생성부(58)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PCM 데이터 생성부(58)는, 노이즈 쉐이퍼(91) 및 디서(dither)(92)로 구성된다.
노이즈 쉐이퍼(91)는, LPF(57)로부터 공급되어 온 32bit의 PCM 데이터로부터 16bit의 PCM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변환에는, 예를 들면, 변환원의 PCM 데이터의 음질을 유지하면서, 양자화 비트수만을 낮추는 SBM(Super Bit Mapping)이 이용된다.
디서(92)는, LPF(57)로부터 공급되어 온 32bit의 PCM 데이터로부터 24bit의 PCM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노이즈 쉐이퍼(91)에 의해 생성된 PCM 데이터와, 디서(92)에 의해 생성된 PCM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PCM 데이터(14)로서 DSD 파일(11)의 PCM 데이터 청크(13)에 저장된다. 당연히, 노이즈 쉐이퍼(91)에 의해 생성된 것과 디서(92)에 의해 생성된 것의 쌍방의 PCM 데이터가 PCM 데이터 청크(13)에 저장되도록 해도 좋다.
도 7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업 샘플링 처리부(59)는, 예를 들면, DSD 파일(11)에 저장되어 있는 PCM 데이터(14)를 재생 대상의 오디오 데이터로 할 때, 1fs/16bit, 또는 1fs/24bit의 PCM 데이터(14)의 샘플링 주파수를 64배로 업 샘플링하고, 업 샘플링해서 얻어진 64fs의 PCM 데이터를 ΔΣ 모듈레이터(56)로 출력한다.
DSD 디바이스(2)의 ΔΣ 모듈레이터(71)는, 도시하지 않는 외부기기로부터 공급되어 온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ΔΣ 변조를 실시하고, 얻어진 64fs/1bit의 DSD 데이터를 버퍼(72)로 출력한다. 또한, DSD 디바이스(2)는 다이렉트 모니터링 기능을 갖고 있어, DSD 디바이스(2)(ΔΣ 모듈레이터(71))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출력측에도 공급되어, 지연없이 모니터링된다.
버퍼(72)는, ΔΣ 모듈레이터(71)로부터 공급되어 온 64fs/1bit의 DSD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DSD 데이터를 통합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I/O(51)로 출력한다.
버퍼(73)는, 퍼스널 컴퓨터(1)의 I/O(51)로부터 공급되어 온 DSD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1sample의 64fs/1bit의 DSD 데이터를 LPF(74)로 출력한다.
LPF(74)는, 버퍼(73)로부터 공급되어 온 64fs/1bit의 DSD 데이터의 고역에 축적된 양자화 노이즈를 제거하고, 아날로그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등의 외부 기기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DSD 데이터를 녹음하는 퍼스널 컴퓨터(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에 DSD 디바이스(2)가 접속된 상태에서 오디오 데이터 처리 어플리케이션(41)이 실행되고, DSD 디바이스(2)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행해진다. DSD 디바이스(2)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DSD 디바이스(2)에 있어서는, ΔΣ 모듈레이터(71)에 의해 ΔΣ 변조가 실시되는 것에 의해서 DSD 데이터(12)가 생성되고, 생성된 DSD 데이터(12)가 퍼스널 컴퓨터(1)로 출력된다.
도 11에서의 단계 S1에 있어서, I/O(51)는, DSD 디바이스(2)로부터 공급되어 온,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블록 단위의 DSD 데이터(12)를 수신하고, 그것을 DSD 파일 생성부(52)로 출력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DSD 파일 생성부(52)의 DSD 데이터 저장부(81)(도 9)는, I/O(51)로부터 공급되어 온 DSD 데이터(12)를, 판독 단위로 되는 1채널마다의 데이터량을 많이 취하여, DSD 파일(11)에 저장한다. DSD 데이터 저장부(81)에 의해 DSD 데이터(12)가 저장된 DSD 파일(11)은 PCM 데이터 청크 형성부(82)로 출력된다.
단계 S3에 있어서, PCM 데이터 청크 형성부(82)는, DSD 데이터 저장부(81)에 의해 생성된 DSD 파일(11)에 PCM 데이터 청크(13)를 형성하고, PCM 데이터 청크(13)가 형성된 DSD 파일(11)을 HDD(29)에 기억시킨다.
단계 S4에 있어서, LPF(57)는, DSD 파일(11)에 저장된 DSD 데이터(12)를 씨닝하는 것에 의해서, 예를 들면, 32bit의 PCM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PCM 데이터를 PCM 데이터 생성부(58)로 출력한다. 또한, 단계 S4에 있어서, PCM 데이터 생성부(58)의 노이즈 쉐이퍼(91) 또는 디서(92)는, LPF(57)로부터 공급되어 온 PCM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것보다 양자화 비트수가 낮은 PCM 데이터를 생성하고, 단계 S5로 진행하여, 생성한 PCM 데이터를 PCM 데이터(14)로서, DSD 파일(11)의 PCM 데이터 청크(13)에 저장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비교적 통합된 양의 데이터를 1회로 기입 및 판독할 수 있는 DSD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이고, 또한, 그것을 취득한 퍼스널 컴퓨터에 DSD 디바이스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DSD 데이터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DSD 파일이 생성된다.
다음으로, 도 1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DSD 데이터(12)를 재생하는 퍼스널 컴퓨터(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1에 있어서, 멀티 비트 데이터 변환부(53)는, 예를 들면, 1채널의 4096bytes마다 HDD(29)로부터 DSD 데이터(12)를 판독하고, 단계 S12에 있어서, 판독한 DSD 데이터(12)를 재생한다.
더 구체적으로, 단계 S12에 있어서는, DSD 데이터(12)의 64fs/1bit가 멀티 비트 데이터 변환부(53)에 의해 멀티 비트 데이터로 변환되고, 변환해서 얻어진 멀티 비트 데이터에 대하여, 가산승산부(54)에 의해 크로스 페이드 처리나 볼륨 조정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가산승산부(54)에 의해 처리가 실시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진 데이터의 고역 성분이 LPF(55)에 의해 제거되고, LPF(55)를 통과한 데이터에 대하여 ΔΣ 모듈레이터(56)에 의해 ΔΣ 변조가 실시된다. ΔΣ 변조가 실시되는 것에 의해서 생성된 DSD 데이터는 I/O(51)에 의해 DSD 디바이스(2)로 송신되어, DSD 디바이스(2)에 의해 출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1회의 판독에 의해 통합된 양의 DSD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 도록 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는, 그 판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은 DSD 데이터의 판독이 재생을 따라잡지 못하여, 음 단절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11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DSD 파일(11)을 재생하는 퍼스널 컴퓨터(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DSD 파일(11)이 선택되고, 그 재생이 지시되었을 때, CPU(21)(도 6)는, 단계 S21에 있어서, 제어 가능한 DSD 디바이스로서 DSD 디바이스(2)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한편, 단계 S21에 있어서, CPU(21)는, DSD 디바이스(2)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2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DSD 파일(11)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12)의 재생 처리를 행한다. 즉,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져, DSD 데이터(12)가 재생된다.
그리고, 단계 S21에 있어서, CPU(21)는, DSD 디바이스(2)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3으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DSD 파일(11)에 저장되어 있는 PCM 데이터(14)의 재생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DSD 파일(11)에 저장되어 있는 PCM 데이터(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5)(도 6)를 통하여 PCM 디바이스(28)로 공급되고, PCM 디바이스(28)에 의해 그 재생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의 사용자는, DSD 디바이스(2)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DSD 파일(11)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12)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는, DSD 데이터(12)와 함께 DSD 파일(11)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PCM 데이터(14)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대안적으로,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3), MP3(MPEG Audio Layer-3), WMA(Windows(등록상표) Media Audio) 등의, DSD 데이터(12)에 비하여 재생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가 많은, 소정의 포맷으로 압축된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편성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달리,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 디스크(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한다), 광 자기 디스크(MD(등록상표)(Mini-Disk)를 포함한다),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미디어(33)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편성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22)이나, HDD(29)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라 함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부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SD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DSD 디바이스를 갖고 있지 않은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도, DSD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DSD 데이터가 어떠한 악곡의 것인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캡쳐된(captured) DSD(Direct Stream Digital) 데이터를 파일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DSD 방식에 따른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증분(increments)을 판독 및 기입하는 상기 DSD 데이터를 저장함과 함께,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을 갖는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수단과,
    상기 DSD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파일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파일의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오디오 데이터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외부로부터 캡쳐된 DSD(Direct Stream Digital) 데이터를 파일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DSD 방식의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증분을 판독 및 기입하는 상기 DSD 데이터를 저장함과 함께,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 영역을 갖는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단계와,
    상기 DSD 데이터에 기초하여,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파일 생성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상기 파일의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오디오 데이터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 외부로부터 캡쳐된 DSD(Direct Stream Digita1) 데이터를 파일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DSD 방식의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증분을 판독 및 기입하는 상기 DSD 데이터를 저장함과 함께,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 영역을 갖는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 단계와,
    상기 DSD 데이터에 기초하여,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파일 생성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상기 파일의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오디오 데이터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상기 컴퓨터가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5. DSD(Direct Stream Digital) 방식에 따른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증분을 DSD 방식에 의해 판독 및 기입하는 DSD 데이터와,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의 2가지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로부터 상기 DSD 데이터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파일로부터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 재생 수단과,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파일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2 재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DSD(Direct Stream Digital) 방식에 따른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증분을 DSD 방식에 의해 판독 및 기입하는 DSD 데이터와,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의 2가지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로부터 상기 DSD 데이터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파일로부터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 재생 단계와,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파일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2 재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 DSD(Direct Stream Digital) 방식에 따른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증분을 DSD 방식에 의해 판독 및 기입하는 DSD 데이터와,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의 2가지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로부터 상기 DSD 데이터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파일로부터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 재생 단계와,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파일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2 재생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상기 컴퓨터가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9. 외부로부터 캡쳐된 DSD(Direct Stream Digital) 데이터를 파일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DSD 방식에 따른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증분(increments)을 판독 및 기입하는 상기 DSD 데이터를 저장함과 함께,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을 갖는 파일을 생성 하는 파일 생성 메커니즘과,
    상기 DSD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파일 생성 메커니즘에 의해 생성된 상기 파일의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오디오 데이터 생성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DSD(Direct Stream Digital) 방식에 따른 1샘플의 데이터량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증분을 DSD 방식에 의해 판독 및 기입하는 DSD 데이터와, DSD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의 2가지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로부터 상기 DSD 데이터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파일로부터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 재생 메커니즘과,
    상기 DSD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파일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2 재생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20050084144A 2004-09-10 2005-09-09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0600511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63255A JP2006079742A (ja) 2004-09-10 2004-09-10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4-00263255 2004-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158A true KR20060051158A (ko) 2006-05-19

Family

ID=3535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144A KR20060051158A (ko) 2004-09-10 2005-09-09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58901A1 (ko)
EP (1) EP1635350A1 (ko)
JP (1) JP2006079742A (ko)
KR (1) KR20060051158A (ko)
CN (1) CN17468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9514B2 (ja) * 2013-05-29 2017-06-21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サーチ機能を備える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
JP6594652B2 (ja) 2015-05-01 2019-10-23 ローム株式会社 Dsdデコーダ、オーディオシステム
US20200051576A1 (en) * 2017-04-26 2020-02-13 Sony Corporat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0800043B (zh) * 2017-07-05 2023-10-20 索尼公司 信号处理设备、信号处理方法和程序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0084B2 (ja) * 1995-11-24 2008-09-1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媒体
US6160953A (en) * 1997-04-21 2000-12-1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DVD-compatible optical recording disk conveying audio signals encoded both as PCM data and as single bit stream data generated by sigma-delta modulation, and encoder apparatus and decoder apparatus for same
JP2002184114A (ja) * 2000-12-11 2002-06-28 Toshiba Corp 音楽データの記録再生システムおよび音楽データ記憶媒体
JP2002352507A (ja) * 2001-05-21 2002-12-06 Sony Corp 記録媒体のダビング装置及び方法、並びに再生装置
JP2003007038A (ja) * 2001-06-19 2003-01-10 Sony Corp 音楽ファイル処理装置、音楽ファイルの処理方法及び音楽ファイルの処理方法のプログラム
JP2003208186A (ja) * 2002-01-11 2003-07-25 Sony Corp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
JP2004078704A (ja) * 2002-08-20 2004-03-11 Sony Corp 映像音声記録再生装置とそのファイル読み書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6800A (zh) 2006-03-15
EP1635350A1 (en) 2006-03-15
US20060058901A1 (en) 2006-03-16
JP2006079742A (ja)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11456A (ja) 低ビット率符号化/復号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2005157390A (ja) 付加情報の挿入されたmpeg−4bsacオーディオビットストリームの符号化方法および復号化方法ならびに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
KR20060051158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JP2007518374A (ja) 時間加重誤差値を有する先読み変調器を用いた信号処理
TW200304123A (en) Audio frequency scaling during video trick modes utiliz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JP4230517B2 (ja) 音声及び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443395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006991A (ja) 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及びデジタル信号処理方法、並びにデジタル信号再生受信システム
EP0890949B1 (en) Digital audio processing system compatible with digital versatile disk video standard
JP461778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626494B2 (en) Data compression format
JP3339315B2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3280691A (ja) 音声処理方法および音声処理装置
KR100871997B1 (ko) 고배속으로 레코딩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실시간재생 방법
JP2005151327A (ja) Pcmデータ圧縮・伸長方法及び装置
JP7432386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1143395A (ja) データ復号装置
CN1779784A (zh) 一种声音录制方法及装置
JP2004198559A (ja) 時系列信号の符号化方法および復号方法
CN1630909A (zh) 采用数字音频用基准振荡器的记录再生方法
JP4912632B2 (ja) 車載装置
JP3807599B2 (ja) 記録装置
KR100505793B1 (ko) 휴대용 디스크 기록 및 재생 장치
JP2006209841A (ja) 信号処理装置
JP2002268687A (ja) 情報量変換装置及び情報量変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