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692A - 다극 커넥터 - Google Patents

다극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692A
KR20060050692A KR1020050078684A KR20050078684A KR20060050692A KR 20060050692 A KR20060050692 A KR 20060050692A KR 1020050078684 A KR1020050078684 A KR 1020050078684A KR 20050078684 A KR20050078684 A KR 20050078684A KR 20060050692 A KR20060050692 A KR 20060050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leeve
lock
groov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타카 젬바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5Casing or ring with bayonet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9Threaded ferrule or bolt opera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able or wi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해지는 다극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슬리브 (3) 를 회전시키면, 이 슬리브 (3) 에 형성된 로크부 (3B) 가, 로크용 홈부 (47) 의 가이드 홈부 (47A) 의 일방 또는 타방의 경사 캠면부 (47A-1, 47A-2)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로크용 홈부 (47) 의 걸어맞춤 홈부 (47B) 에 삽입되고, 이 걸어맞춤 홈부 (47B) 에 형성된 캠부 (47a) 를 타고 넘어 로크 착좌부 (47b) 에 달하여, 스프링 와셔 (29) 의 스프링력이 로크부 (3B) 를 로크 착좌부 (47b) 에 착좌시킨다.

Description

다극 커넥터{MULTIPOLAR CONNECTOR}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다극 커넥터의 일부 파단한 분해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동 다극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V-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는 동 다극 커넥터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동 리셉터클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X 부의 확대도이다.
도 7 은 로크부의 로크용 홈부로의 삽입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다극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상대 커넥터에 커넥터를 결합한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 은 로크 조작의 초기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 은 로크 조작의 중간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2 는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3 은 종래의 다른 다극 커넥터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동 다극 커넥터의 로크 조작의 초기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1A 커넥터 본체
2 플러그셸 (커넥터셸)
3 슬리브
4 절연 케이스
9 칸막이부
3A 지지부
3B 로크부 (로크 수단)
3b 볼록부
3c 링 슬라이딩 접촉부
11A 슬리브 회동용 홈부
15 커넥터 끼워맞춤부
26 멈춤링 (스토퍼)
29 스프링 와셔 (스프링 부재) (로크 고정 수단) (로크 수단)
40 리셉터클 (상대 커넥터)
46 커넥터 끼워맞춤부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부)
47 로크용 홈부 (로크 수단)
47A 가이드 홈부
47A-1 일방의 경사 캠면부
47A-2 타방의 경사 캠면부
47B 걸어맞춤 홈부
47B-1 일측면부
47B-2 타측면부
47a 캠부
47b 로크 착좌부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39890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67006호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를 갖고,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에 로크하는 로크 수단을 개량한 다극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극 커넥터는 특허문헌 1 에 서술되어 있고, 도 8 내지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C1) 와 상대 커넥터 (C2) 를 갖고 있어, 커넥터 (C1) 는 커넥터 본체 (100) 와 슬리브 (110) 와 스프링 부재 (120) 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 (100) 는 그 선측에 커넥터 끼워맞춤부 (101) 를 갖고 있고, 이 커넥터 끼워맞춤부 (101) 의 외주에는, 원고리형의 스프링 수좌(受座) (102) 와, 커넥터 삽입 발출(발 방향을 따른 돌기 (103) 와, 단부부 (105)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부 (101) 에는 그 둘레 방향의 한 곳에 볼록부 (104) 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 (110) 에는, 그 테두리부 (111) 의 둘레 방향의 한 곳에 오목부 (112)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 (112) 의 가로 폭은 돌기 (104) 의 가로 폭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 (110) 의 주벽의 180도 사이를 둔 두 곳에 나선 방향을 따른 장공 (長孔) (113)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 (113) 의 전측의 구멍 벽면이 가이드면 (114) 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 (110) 의 전단부 내주측에는 그 슬리브 (110) 의 전단면과 장공 (113) 의 가이드면 (114) 의 시부 (始部) 의 사이에 걸친 도입홈 (115)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브 (110) 는 끼워맞춤부 (101) 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어, 이 슬리브 (110) 의 테두리부 (111) 와 스프링 수좌 (102) 의 사이에 스프링 부재 (120) 가 개장(介裝)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 (104) 와 오목부 (112) 에 의해 위치 결정 기구가 구성되어 있어, 슬리브 (110) 가 후퇴하여 볼록부 (104) 에 오목부 (112) 가 끼워맞춤하였을 때에는 볼록부 (104) 와 오목부 (112) 의 사이에 빈틈이 형성되고, 그 빈틈이 여유 공간이 되어 슬리브 (110) 의 일정 각도 내에서의 여유 회전이 허용된다.
돌기 (104) 와 오목부 (112) 가 끼워맞추어져 있을 때에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10) 가 단부부 (105) 에 닿아, 그 후퇴 위치가 규제되고, 그 때의 위치가 슬리브 (110) 의 초기 위치로 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 (C2) 는,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상의 피끼워맞춤부 (121) 를 갖고 있고, 피끼워맞춤부 (121) 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180도 사이를 둔 두 곳에는 바깥을 향한 돌기 (123)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피끼워맞춤부 (121) 에는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으로 긴 홈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커넥터 (C1) 의 돌기 (103) 와 상대 커넥터 (C2) 의 홈부에 의해 끼워맞춤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 기구는 커넥터 (C1) 측의 끼워맞춤부 (101) 와 상대 커넥터 (C2) 측의 피끼워맞춤부 (121) 의 둘레 방향에서의 끼워맞춤위치를 규제하는 것이다.
커넥터 (C1) 측의 돌기 (103) 를 상대 커넥터 (C2) 측의 홈부에 위치 맞춤한 후, 그 끼워맞춤부 (101) 를 상대 커넥터 (C2) 의 피끼워맞춤부 (121) 에 꽂아 끼워맞추면, 상대 커넥터 (C2) 의 바깥을 향한 돌기 (123) 가 도입홈 (115) 을 지나,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110) 의 장공 (113) 에 끼워 넣어, 그 가이드면 (114) 의 시부에 도입된다. 이 때에, 가령, 슬리브 (110) 가 초기 위치에서 여유 회전하고 있다고 해도, 도입홈 (115) 의 작용에 의해서 상대 커넥터 (C2) 의 바깥을 향한 돌기 (123) 는 가이드면 (114) 의 시부에 도입된다.
로크 조작은 슬리브 (110) 를 회전시키는 조작으로 실시된다. 즉, 양 커넥터 (C1, C2) 를 접속한 후, 화살표 방향 (R) 으로 슬리브 (110) 를 회전시키면, 가이드면 (114) 이 바깥을 향한 돌기 (123) 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기 때문에, 슬리브 (110) 가 스프링 부재 (120) 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회전되면서 전진 변위한다. 이 때문에, 가이드면 (114) 과 바깥을 향한 돌기 (123) 의 걸어맞춤 위치 가 도 10 의 위치를 지나서 이동한 후, 도 11 및 도 12 와 같이 장공 (113) 이 바깥을 향한 돌기 (123) 에 걸려 로크 상태가 된다.
상기한 로크 조작을 실시하는 경우, 슬리브 (110) 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위치 결정 기구의 볼록부 (104) 에 오목부 (112) 가 끼워맞추어져 있다. 그 때문에, 슬리브 (110) 를 초기 위치에 위치시킨 채로 슬리브 (110) 를 상기 기술한 여유 회전의 범위를 넘어서 회전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양 커넥터 (C1, C2) 를 접속하였을 때에는, 상대 커넥터 (C2) 의 바깥을 향한 돌기 (123) 가 가이드면 (114) 의 시부에 도입되어 있기 때문에, 슬리브 (110) 를 회전시키면, 가아드면 (114) 이 바깥을 향한 돌기 (123)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슬리브 (110) 를 전진 변위시킨다. 이렇게 하여 슬리브 (110) 가 전진 변위되면, 도 11 과 같이 위치 결정 기구의 오목부 (112) 가 그 볼록부 (104) 로부터 빠져 나와 슬리브 (110) 의 회전 각도의 규제 상태 (위치 결정 상태) 가 해제된다. 따라서, 양 커넥터 (C1, C2) 를 접속한 후, 슬리브 (110) 를 회전시키는 것 만으로 로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다극 커넥터는, 특허문헌 2 에 서술되어 있고,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200) 에는 커플링 너트 (201) 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커플링 너트 (201) 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걸어맞춤 핀 (202) 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커플링 너트 (201) 는 바렐 (203) 에 대하여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210) 의 셸 (211) 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약 L 자 형상의 캠홈 (212) 이 형성되 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 (200) 를 도 14 의 화살표 방향으로 대략 직진적으로 리셉터클 (210) 에 걸어맞춘다. 그러면, 먼저, 각 걸어맞춤 핀 (202) 이 각 캠홈 (212) 의 도입부에 맞닿아 가이드되고, 커플링 너트 (201) 가 약간 각도 회전하며, 다음으로, 플러그 (200) 에 내장되고, 양단부가 각각 고정된 토션 코일 스프링 (도시 생략) 의 복원력에 의해, 커플링 너트 (201) 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각 걸어맞춤 핀 (202) 이 각 캠홈 (212) 의 로크부 (212A) 에 진입한다. 따라서, 플러그 (200) 와 리셉터클 (210) 은 결합하여, 토션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로크되도록 된다.
상기한 종래의 전자의 다극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한 로크 조작을 실시하는 경우, 슬리브 (110) 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위치 결정 기구의 볼록부 (104) 에 오목부 (112) 가 끼워맞추어져 있어, 슬리브 (110) 의 회전 각도의 규제 (위치 결정) 가 실시되어, 슬리브 (110) 를 전진 변위시킴으로써, 오목부 (112) 가 그 볼록부 (104) 로부터 빠져 나와 슬리브 (110) 의 회전 규제를 해제하여, 로크를 실시하도록 슬리브 (110) 를 회전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슬리브 (110) 의 초기 위치에서 슬리브 (110) 의 회전 각도의 규제 (위치 결정) 가 실시되고, 슬리브 (110) 를 전진 변위시킴으로써, 슬리브 (110) 의 회전 규제를 해제하고 있고, 이 슬리브 (110) 를 전진 변위시키는 동작이 있음으로써 끼워맞춤부 (101) 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후자의 다극 커넥터에 있어서는, 플러그 (200) 를 리셉터클 (210) 에 걸어맞추면, 먼저, 각 걸어맞춤 핀 (202) 이 각 캠홈 (212) 의 도입부에 맞닿아 가이드되고, 커플링 너트 (201) 가 약간의 각도로 회전하며, 다음으로, 양단부가 각각 고정된 토션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커플링 너트 (201) 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각 걸어맞춤 핀 (202) 이 각 캠홈 (212) 의 로크부 (212A) 에 진입하여, 토션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로크되는 것으로서, 이 토션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를 가지고 각 걸어맞춤 핀 (202) 을 각 캠홈 (212) 의 로크부 (212A) 에 진입시켜 로크하고 있어, 토션 코일 스프링을 고정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로크가 불완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토션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커플링 너트를 회전시키면, 파손되어버릴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다극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다극 커넥터는, 커넥터의 커넥터 끼워맞춤부를 상대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 하여,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가 각각 갖는 접촉 단자를 서로 접촉시켜, 로크 수단에 의해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에 결합시키도록 한 다극 커넥터로서, 커넥터 끼워맞춤부는, 커넥터 본체와, 이 커넥터 본체에 소정량 회전 가능하게 장치한 슬리브로 형성되어 있고, 로크 수단은, 슬리브에 형성된 로크부와, 상기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부에 형성된 로크용 홈부를 가지고 있으며, 로크용 홈부는, 슬리브가 회전함으로써 로크부를 유인하는 가이드 홈부와, 슬리브가 더욱 회전함으로써 로크부를 걸거나 벗길 수 있도록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홈부를 갖고 있어, 가이드 홈부의 입구 폭은, 걸어맞춤 홈부의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고, 피끼워맞춤시의 상기 슬리브의 회전량이 가이드 홈부로부터 걸어맞춤 홈부까지의 사이에 규제되는 슬리브 회전 규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넥터를 상대측 커넥터에 밀어 넣음으로써, 슬리브에 형성된 로크부를 로크용 홈부의 가이드 홈부에 삽입하여, 로크부가 가이드 홈부의 벽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슬리브가 회전한다. 이 상태로, 슬리브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크부를 걸어맞춤 홈부에 진입시켜 로크를 완료한다. 또한, 로크의 해제는 슬리브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로크부를 걸어맞춤 홈부를 지나 가이드 홈부로 탈출시킴으로써 실시한다.
따라서, 슬리브의 초기 위치에서 슬리브의 회전 각도의 규제 (위치 결정) 가 실시되고, 슬리브를 전진 변위시킴으로써, 슬리브의 회전 규제를 해제한다는 동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토션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가지고 각 걸어맞춤 핀을 각 캠홈의 로크부에 진입시켜 로크하는 것과 같은 경우가 없고, 토션 코일 스프링을 고정하는 공정이 없어, 조립이 용이하여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다극 커넥터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다극 커넥터에 있어서, 슬리브는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 가능하고, 로크 수단은 로크 고정 수단을 갖고 있으며, 걸어맞춤 홈부에는 캠부와 로크 착좌부가 형성되어 있고, 로크 고정 수단은 슬리브의 회전으로 로크부가 캠부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압축되는 스프링 부재를 갖고 있어, 스프링 부재는 그 스프링력으로 로크부를 로크 착좌부에 착좌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넥터를 상대측 커넥터에 밀어 넣음으로써, 슬리브에 형성된 로크부를 로크용 홈부의 가이드 홈부에 삽입하고, 슬리브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크부가 캠부로 슬라이딩 접촉하여 로크 착좌부에 달하면, 로크 고정 수단의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이 슬리브를 통해 로크부를 로크 착좌부에 착좌시켜 로크를 완료한다. 또한, 로크의 해제는, 슬리브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로크부를 로크 착좌부로부터 캠부를 지나 가이드 홈부에 탈출시킴으로써 실시한다.
따라서, 슬리브의 초기 위치에서 슬리브의 회전 각도의 규제 (위치 결정) 가 실시되어 슬리브를 전진 변위시킴으로써, 슬리브의 회전 규제를 해제한다는 동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토션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가지고 각 걸어맞춤 핀을 각 캠홈의 로크부에 진입시켜 로크하는 것과 같은 경우가 없고, 토션 코일 스프링을 고정하는 공정이 없어, 조립이 용이해 져, 완전한 로크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다극 커넥터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다극 커넥 터에 있어서, 커넥터는 커넥터셸을 갖고 있고, 이 커넥터셸의 외주부에 칸막이부를 형성하며, 슬리브는 그 단부에 지지부를 갖고 있어, 커넥터셸의 외주부에 슬리브를 그 지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치하여 슬리브의 내주면부에 칸막이부를 슬라이딩 접촉시킴과 함께, 커넥터셸의 외주부에 스토퍼를 형성하고, 지지부와 칸막이부의 사이에 스프링 부재를 개장하여, 이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으로 지지부를 스토퍼에 슬라이딩 접촉시켜 로크 고정 수단을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로크 고정 수단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는 로크부가 캠부에 올라 앉으면 압축되고, 로크부가 로크 착좌부에 달하면, 스프링력에 의해 로크부를 로크 착좌부에 밀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로크부를 로크 착좌부에 확실히 착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캠부가 로크부에 간섭하여 로크부의 이동이 없어, 로크를 완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더구나, 슬리브는, 스토퍼에 의해서 커넥터셸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분해시에 슬리브가 탈락하는 경우가 없어져, 분해 및 장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다극 커넥터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다극 커넥터에 있어서, 슬리브 회전 규제 수단은, 칸막이부에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 슬리브 회전 운동용 홈부를 형성하고, 지지부에 볼록부를 돌출 형성하고, 이 볼록부를 슬리브 회전 운동용 홈부에 삽입하여 슬리브의 회전 범위를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리브의 회전 범위를, 로크용 홈부의 위치에 따라 설 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다극 커넥터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다극 커넥터에 있어서, 가이드 홈부는,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부의 선단부로부터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깔때기형상을 이루고 있어, 가이드 홈부의 양측부는,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캠면부로 구성되어 있고, 걸어맞춤 홈부는,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일측면부는 일방의 경사 캠면부에 연속하고, 타측면부는 타방의 경사 캠면부에 연속하고 있으며, 일측면부에 팽출부(膨出部)를 형성하여, 이 팽출부를 캠부로 하고, 이 캠부에서 걸어맞춤 홈부의 종단측에 로크 착좌부를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넥터를 상대측 커넥터에 밀어 넣음으로써, 슬리브에 형성된 로크부가 로크용 홈부의 가이드 홈부에 삽입되고, 로크부가 일방 또는 타방의 경사 캠면부로 슬라이딩 접촉하여 슬리브가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슬리브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크부가 걸어맞춤 홈부에 삽입되어 캠부를 타고 넘어 로크 착좌부에 달하고,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이 로크부를 로크 착좌부에 착좌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캠부가 로크부에 간섭하여 로크부의 이동이 없어, 완전한 로크를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련된 다극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슬리브는 스토퍼에 의해 커넥터셸 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분해시에 슬리브가 탈락하는 경우가 없어져, 분해 및 장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다극 커넥터에 의하면, 슬리브의 회전 범위를 로크용 홈부의 위치에 따라 설정하여, 슬리브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다극 커넥터의 일부 파단한 분해 상태의 측면도, 도 2 는 커넥터 플러그의 정면도, 도 3 은 도 2의 V-V 선을를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극 커넥터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인 커넥터 플러그 (1) 와,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40) 을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플러그 (1) 는 커넥터 본체 (1A) 를 구비하고 있고, 이 커넥터 본체 (1A) 는, 커넥터셸인 금속제의 플러그셸 (2) 과, 이 플러그셸 (2) 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러그셸 (2) 과 함께 커넥터 끼워맞춤부 (15) 를 형성하는 슬리브 (3) 와, 플러그셸 (2) 내에 삽입되는 합성 수지제의 절연 케이스 (4) 로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셸 (2) 은, 그 외주부의 중간부에 칸막이부 (9) 를 갖고 있고, 이 칸막이부 (9) 보다 선측 (도 1 에서 좌측) 이 끼워맞춤면부 (10) 로 되어있고, 칸막이부 (9) 보다 후측 (도 1 에서 오른쪽) 이 코드관 접속부 (11) 로 되어 있다. 그리고, 칸막이부 (9) 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 90도의 범위에 이르러 슬리브 회전 운동용 홈부 (11A) 가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면부 (10) 에는 O링 삽입 홈부 (10A) 가 형성되어 있어, 또한, 끼워맞춤면부 (10) 에는, 그 선단 테두리부로부터 칸막이부 (9) 측에 걸쳐서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을 따른 끼워맞춤 위치 맞춤용 홈부 (10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드관 접속부 (11) 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지지부 (12) 와, 멈춤링 삽입 홈부 (12A) 와, 수나사부 (13)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플러그셸 (2) 의 내부에 절연 케이스 삽입부 (14) 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 (3) 는, 그 후 단부에 플랜지 형상의 지지부 (3A) 를 갖고 있어, 이 지지부 (3A) 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 (3b) 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지지부 (3A) 의 외주 테두리부는 모따기되어 있어, 이 모따기부가 링 슬라이딩 접촉부 (3c) 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3) 의 내주면부 (3a) 에는, 180도의 위상차이를 둔 위치에 걸어맞춤 돌기 형상의 로크부 (3B) 가 한 쌍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셸 (2) 의 O링 삽입 홈부 (10A) 에는 방수용 O링 (25) 이, 또한, 멈춤링 삽입 홈부 (12A) 에는 스토퍼를 구성하는 멈춤링 (26)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셸 (2) 에는 슬리브 지지부 (12) 에 지지부 (3A) 를 지지시켜 슬리브 (3) 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이 슬리브 (3) 의 내주면부에 칸막이부 (9) 의 주면이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다.
또한, 슬리브 (3) 의 볼록부 (3b) 가 칸막이부 (9) 의 슬리브 회전 운동용 홈부 (11A) 에 삽입되어 있어, 슬리브 (3) 의 링 슬라이딩 접촉부 (3c) 가 멈춤링 (26) 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슬리브 (3) 의 지지부 (3A) 와 칸막 이부 (9) 의 사이에 스프링 부재인 스프링 와셔 (29) 가 개장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플러그셸 (2) 의 외주부에, 슬리브 (3) 를 그 지지부 (3A) 에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슬리브 (3) 의 내주면부 (3a) 에 칸막이부 (9) 를 슬라이딩 접촉시킴과 함께, 플러그셸 (2) 의 멈춤링 삽입 홈부 (12A) 에 멈춤링 (26) 을 형성하고, 지지부 (3A) 와 칸막이부 (9) 의 사이에 스프링 와셔 (29) 를 개장하고, 이 스프링 와셔 (29) 의 스프링력으로 지지부 (3A) 의 링 슬라이딩 접촉부 (3c) 를 멈춤링 (26) 에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로크 고정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슬리브 (3) 의 볼록부 (3b) 를 칸막이부 (9) 의 슬리브 회전 운동용 홈부 (11A) 에 삽입함으로써, 슬리브 회전 규제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셸 (2) 의 절연 케이스 삽입부 (14) 에는 절연 케이스 (4) 가 삽입되어 있고, 이 절연 케이스 (4) 에는, 그 축선 방향을 따른 단자 삽입부 (17) 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셸 (2) 의 코드관 접속부 (11) 에는, 코드관 (5) 이 그 암나사부 (18) 를 수나사부 (13) 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코드관 (5) 에 형성된 O링 장착 홈부 (19) 에 장착한 방수용 O링 (19A) 이 코드관 접속부 (11) 의 단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어, 코드관 (5) 의 당접면부 (20a) 가 플러그셸 (2) 의 코드관 접속부 (11) 의 단면부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다. 또한, 코드관 (5) 의 내구부 (20) 에는 시일드 전선 (30) 이 삽입 통과되어 있고, 이 시일드 전선 (30) 의 단말부의 도체 (32) 의 노출 부분에는 접촉 단자인 자형 단자 (37) 가 접속되어 있고, 자형 단자 (37) 가 절연 케이스 (4) 의 단자 삽입부 (17) 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코드관 (5) 의 개스킷 장착부 (21) 에 개스킷 (7) 을 삽입하고, 코드관 (5) 의 수나사부 (23) 에 조임링 (24) 을 나사 결합하여 조임으로써, 이 조임링 (24) 의 내면부에 형성된 테이퍼부 (24B) 에서 코드 클램프 (8) 를 누르고, 이 코드 클램프 (8) 를 개스킷 (7) 측으로 이동하여 선단부에서 개스킷 (7) 을 가압하고 있다. 이 경우, 개스킷 (7) 은 반경 방향으로 변형되어 시일드 전선 (30) 을 압박하여 방수를 실시하고, 코드 클램프 (8) 는 반경 방향으로 변형되어 시일드 전선 (30) 을 파지하고 있다.
또한, 코드관 (5) 의 스프링 부재 장착부 (22) 에는, 접촉 스프링 부재 (6) 가 직경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고, 접촉 스프링 부재 (6) 가 시일드 전선 (30) 의 어스 금구 (36) 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플러그 (1) 에서는, 시일드 전선 (30) 의 시일드층 (34) 은, 어스 금구 (36), 접촉 스프링 부재 (6), 코드관 (5) 을 통해 플러그셸 (2) 에 도통하고 있다.
리셉터클 (40) 은, 도 1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리셉터클 (41) 과, 이 리셉터클 (41) 내에 삽입되는 합성 수지제의 절연 케이스 (42) 와, 이 절연 케이스 (42) 에 유지되는 복수개의 접촉 단자인 웅형 단자 (43) 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셸 (41) 은, 그 외주부의 중간부에 형성된 플랜지부 (44) 를 갖고 있고, 이 플랜지부 (44) 보다 전측 (도 1 에서 오른쪽) 이 통형상의 커넥터 끼워맞춤부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부: 46) 로 되어 있으며, 이 커넥터 끼워맞춤부 (46) 의 외주부에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용 홈부 (47) 가 180도의 위상 차이를 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로크용 홈부 (47) 는, 가이드 홈부 (47A) 와, 이 가이드 홈부 (47A) 에 연속해 있는 걸어맞춤 홈부 (47B)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홈부 (47A) 의 입구의 폭 (B1) 은 걸어맞춤 홈부 (47B) 의 폭 (B2) 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가이드 홈부 (47A) 는, 커넥터 끼워맞춤부 (46) 의 선단부 (전테두리부 :46a) 로부터 플랜지부 (44) 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이루고 있고, 가이드 홈부 (47A) 의 양측부는,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캠면부 (47A-1, 47A-2) 로 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 홈부 (47B) 는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일측면부 (47B-1) 는 가이드 홈부 (47A) 의 일방의 경사 캠면부 (47A-1) 에 연속하며, 또한, 걸어맞춤 홈부 (47B) 의 타측면부 (47B-2) 는 가이드 홈부 (47A) 의 타방의 경사 캠면부 (47A-2) 에 연속하고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홈부 (47B) 의 일측면부 (47B-1) 에는, 걸어맞춤 홈부 (47B) 의 입구에 근접하여 팽출부로 이루어지는 캠부 (47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캠부 (47a) 로부터 걸어맞춤 홈부 (47B) 의 종단면부 (47c) 의 사이가 로크 착좌부 (47b) 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부 (46) 의 내주면부에는,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을 따른 끼워맞춤 위치 맞춤용 돌기부 (47D)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 (44) 보다 후측 (도 1 에서 좌측) 의 통 형상부 (48) 에는, 수나사부 (48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41) 의 내부에 절연 케이스 삽입부 (49)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연 케이스 삽입부 (49) 에는 절연 케이스 (42) 가 삽입되어 있고, 이 절연 케이스 (42) 의 단자 삽입부 (50) 에는 웅형 단자 (43) 가 삽입 고정되어 있어, 웅형 단자 (43) 의 컨택트부 (43A) 는 커넥터 끼워맞춤부 (46) 내에 돌입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부 (46) 내에는 링 형상의 접촉 부재 (51) 가 삽입되어 있고, 이 접촉 부재 (51) 는 둘레 방향에 물결치는 파형 형상으로 되어있고, 이 접촉 부재 (51) 의 이면측이 리셉터클 (41) 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플러그 (1) 의 슬리브 (3) 에 형성된 로크부 (3B) 와, 리셉터클 (40) 의 커넥터 끼워맞춤부 (46) 에 형성된 로크용 홈부 (47) 와, 상기한 로크 고정 수단으로 로크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플러그 (1) 와 리셉터클 (40) 의 결합 및 이 결합의 해제를 설명한다.
리셉터클 (40)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셸 (41) 의 나사부 (48) 를, 예를 들어, 전기기기의 도전성의 케이스체 (도시 생략) 의 벽부 (60) 의 장착용 구멍 (61) 에 삽입하여 나사부 (48) 에 와셔 (63) 를 끼우고 조임용 너트 (64) 를 나사 결합하여, 이 조임용 너트 (64) 를 조임으로써, 플랜지부 (44) 와 와 셔 (63) 로 케이스체의 벽부 (60) 를 사이에 두고, 이 케이스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플랜지부 (44) 에 형성된 O링장착 홈부 (45) 에 장착한 방수용 O링 (52) 이 벽부 (60) 에 당접하게 된다.
끼워맞춤 위치 맞춤용 홈부 (10B) 와 끼워맞춤 위치 맞춤용 돌기부 (47D) 에 의해, 커넥터 플러그 (1) 와 리셉터클 (40) 의 끼워맞춤 위치 맞춤을 실시하여, 리셉터클셸 (41) 의 커넥터 끼워맞춤부 (46) 를 커넥터 플러그 (1) 의 커넥터 끼워맞춤부 (15) 에 끼워맞추어, 자형 단자 (37) 의 접속부를 웅형 단자 (43) 의 컨택트부 (43A) 에 접속하고, 플러그셸 (2) 의 선단부 (2A) 를 접촉 부재 (51) 를 통해 리셉터클셸 (41) 에 접촉시킨다.
이 경우에는, 상기한 로크 수단에 있어서는, 리셉터클셸 (41) 의 커넥터 끼워맞춤부 (46) 를 커넥터 플러그 (1) 의 커넥터 끼워맞춤부 (15) 에 끼워맞추는 경우에는, 먼저, 끼워맞춤 위치 맞춤용 홈부 (10B) 와 끼워맞춤 위치 맞춤용 돌기부 (47D) 에 의해, 커넥터 플러그 (1) 와 리셉터클 (40) 의 끼워맞춤 위치 맞춤을 실시하고, 슬리브 (3) 의 로크부 (3B) 를 커넥터 끼워맞춤부 (46) 의 로크용 홈부 (47) 의 가이드 홈부 (47A) 에 삽입하여, 슬리브 (3) 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크부 (3B) 를 걸어맞춤 홈부 (47B) 에 걸림 해제 가능하게 걸어맞춘다.
이 경우, 도 7 에서 화살표 가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부 (3B) 가 일방의 경사 캠면부 (47A-1)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걸어맞춤 홈부 (47B) 에 삽입되어 로크 착좌부 (47b) 에 달하는 경우와, 도 7 에서 화살표 나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부 (3B) 가 타방의 경사 캠면부 (47A-2)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걸어맞춤 홈부 (47B) 에 삽입되어 로크착좌부 (47b) 에 달하는 경우가 있고, 어떠한 경우도, 로크부 (3B) 가 로크 착좌부 (47b) 에 달하면 스프링 와셔 (29) 의 스프링력 (반발력) 이 슬리브 (3) 를 도 1 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누르도록 되어, 로크부 (3b) 가 로크 착좌부 (47b) 에 착좌한다.
이 상태에서, 슬리브 (3) 가 역회전하려고 해도 캠부 (47a) 가 로크부 (3B) 에 간섭하여, 슬리브 (3) 는 역회전하는 경우가 없다.
이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부 (46) 가 커넥터 끼워맞춤부 (15) 에 완전히 끼워맞춘 상태에서는, 플러그셸 (2) 의 선단부 (2A) 가 접촉 부재 (51) 를 통해 리셉터클 (41) 에 접촉한다. 따라서, 시일드 전선 (30) 의 시일드층 (34) 은, 어스 금구 (36), 접촉 스프링 부재 (6), 코드관 (5), 플러그셸 (2), 접촉 부재 (51), 리셉터클 (41) 을 통해 전기기기의 케이스체의 벽부 (60) 에 도통하게 된다.
커넥터 플러그 (1) 와 리셉터클 (40) 의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슬리브 (3) 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로크부 (3B) 를 캠부 (47a) 를 넘어서 걸어맞춤 홈부 (47B) 로부터 탈출시켜 가이드 홈부 (47A) 의 경사 캠면부 (47A-2) 에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커넥터 플러그 (1) 를 리셉터클 (40) 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슬리브 (3) 에 형성된 로크부 (3B) 를 로크용 홈부 (47) 의 가이드 홈부 (47A) 에 삽입하여 슬리브 (3) 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크부 (3B) 가 캠부 (47a)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로크 착좌부 (47b) 에 달하면, 스프링 와셔 (29) 의 스프링력이 슬리브 (3) 를 통해 로크부 (3B) 를 로크 착좌부 (47b) 에 착좌시켜 로크를 완료한다. 또한, 로크의 해 제는, 슬리브 (3) 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로크부 (3B) 를 로크 착좌부 (47b) 로부터 캠부 (47a) 를 지나서 가이드 홈부 (47A) 로 탈출시킴으로써 실시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슬리브의 초기 위치에서 슬리브의 회전 각도의 규제 (위치 결정) 가 실시되어, 슬리브를 전진 변위시킴으로써, 슬리브의 회전 규제를 해제하는 동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토션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갖고 각 걸어맞춤 핀을 각 캠홈의 로크부에 진입시켜 로크하는 것과 같은 경우가 없고, 토션 코일 스프링을 고정하는 공정이 없어,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러그셸 (2) 의 외주부에, 슬리브 (3) 를, 그 지지부 (3A) 에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슬리브 (3) 의 내주면부에 칸막이부 (9) 를 슬라이딩 접촉시킴과 함께, 플러그셸 (2) 의 멈춤링 삽입 홈부 (12A) 에 멈춤링 (26) 을 형성하고, 지지부 (3A) 와 칸막이부 (9) 의 사이에 스프링 와셔 (29) 를 개장하고, 이 스프링 와셔 (29) 의 스프링력으로 지지부 (3A) 를 멈춤링 (26) 에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로크 고정 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이 로크 고정 수단에 있어서, 스프링 와셔 (29) 는, 로크부 (3B) 가 캠부 (47a) 에 올라 앉으면 압축되고, 로크부 (3B) 가 로크 착좌부 (47b) 에 달하면, 스프링력으로 로크부 (3B) 를 로크 착좌부 (47b) 에 꽉 누르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로크부 (3B) 를 로크 착좌부 (47b) 에 확실히 착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캠부 (47a) 가 로크부 (3B) 에 간섭하여 로크부 (3B) 의 이동이 없어, 로크를 완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더구나, 슬리브 (3) 는, 멈춤 링 (26) 에 의해서, 플러그셸 (2) 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 (1) 의 분해시에 슬리브 (3) 가 탈락하는 경우가 없어져, 분해 및 장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칸막이부 (9) 에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 슬리브 회전 운동용 홈부 (11A) 를 형성하고, 지지부 (3A) 에 볼록부 (3b) 를 돌출 설치하며, 이 볼록부 (3b) 를 슬리브 회전 운동용 홈부 (11A) 에 삽입하여 슬리브 (3) 의 회전 범위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슬리브 (3) 의 회전 범위를 로크용 홈부 (47) 의 위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이드 홈부 (47A) 는, 커넥터 끼워맞춤부 (46) 의 선단부로부터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이루고 있어, 가이드 홈부 (47A) 의 양측부는,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캠면부 (47A-1, 47A-2) 로 구성되어 있고, 걸어맞춤 홈부 (47B) 는,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일측면부 (47B-1) 는 일방의 경사 캠면부 (47A-1) 에 연속하며, 타측면부 (47B-2) 는 타방의 경사 캠면부 (47A-2) 에 연속하고 있어, 일측면부 (47B-1) 에 팽출부를 형성하여, 이 팽출부를 캠부 (47a) 로 하고, 이 캠부 (47a) 에서 걸어맞춤 홈부 (47B) 의 종단측에 로크 착좌부 (47b) 를 위치시킴으로써 커넥터 플러그 (1) 와 리셉터클 (40) 을 끼워맞추면, 로크부 (3B) 가 일방 또는 타방의 경사 캠면부 (47A-1, 47A-2) 로 슬라이딩 접촉하여 도 7 의 위치에 달하고, 슬리브 (3) 를 회전시키면, 로크부 (3B) 는 걸어맞춤 홈부 (47B) 에 삽입되어 캠부 (47a) 를 뛰어 넘어 로 크 착좌부 (47b) 에 달하여, 스프링 와셔 (29) 의 스프링력이 로크부 (3B) 를 로크 착좌부 (47b) 에 착좌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캠부 (47a) 가 로크부 (3B) 에 간섭하여 로크부 (3B) 의 이동이 없고, 로크를 완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다극 커넥터는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더구나, 슬리브는 스토퍼에 의해서 커넥터셸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분해시에 슬리브가 탈락하는 경우가 없어져, 분해 및 장착이 용이해진다는 효과를 가져, 다극 커넥터 등의 전기 커넥터로서 유용하다.

Claims (5)

  1. 커넥터의 커넥터 끼워맞춤부를 상대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추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상대 커넥터가 각각 갖는 접촉 단자를 서로 접촉시켜 로크 수단에 의해 상기 커넥터를 상기 상대 커넥터에 결합시키도록 한 다극 커넥터로,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부는 커넥터 본체와 이 커넥터 본체에 소정량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슬리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수단은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로크부와, 상기 상대 커넥터 끼워맞춤부에 형성된 로크용 홈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로크용 홈부는 상기 슬리브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로크부를 유인하는 가이드 홈부와 또한, 상기 슬리브의 회전으로 상기 로크부를 걸거나 벗길 수 있도록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홈부를 갖고 있어, 상기 가이드 홈부의 입구의 폭은 상기 걸어맞춤 홈부의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고, 피끼워맞춤시의 상기 슬리브의 회전량이 상기 가이드 홈부로부터 상기 걸어맞춤 홈부까지의 사이에 규제되는 슬리브 회전 규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 가능하고, 상기 로크 수단은 로크 고정 수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걸어맞춤 홈부에는 캠부와 로크 착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고정 수단은 상기 슬리브의 회 전으로 상기 로크부가 상기 캠부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압축되는 스프링 부재를 갖고 있어, 상기 스프링 부재는 그 스프링력으로 상기 로크부를 상기 로크 착좌부에 착좌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셸을 갖고 있고 이 커넥터셸의 외주부에 칸막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슬리브는 그 단부에 지지부를 갖고 있어 상기 커넥터셸의 외주부에 상기 슬리브를 그 지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부에 상기 칸막이부를 슬라이딩 접촉시킴과 함께 상기 커넥터셸의 외주부에 스토퍼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칸막이부의 사이에 상기 스프링 부재를 개장하여 이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으로 상기 지지부를 상기 스토퍼에 슬라이딩 접촉시켜 상기 로크 고정 수단을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회전 규제 수단은 상기 칸막이부에 소정의 각도 범위에 이르러 슬리브 회전 운동용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에 볼록부를 돌출 설치하고, 이 볼록부를 상기 슬리브 회전 운동용 홈부에 삽입하여 상기 슬리브의 회전 범위를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커넥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부는 상기 상 대 커넥터 끼워맞춤부의 선단부로부터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이루고 있어, 상기 가이드 홈부의 양측부는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캠면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 홈부는 상기 커넥터 삽입 발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일측면부는 상기 일방의 경사 캠면부에 연속하며, 타측면부는 상기 타방의 경사 캠면부에 연속하고 있어, 상기 일측면부에 팽출부를 형성하여, 이 팽출부를 상기 캠부로 하고, 이 캠부에서 상기 걸어맞춤 홈부의 종단측에 상기 로크 착좌부를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커넥터.
KR1020050078684A 2004-08-30 2005-08-26 다극 커넥터 KR200600506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51007A JP4247542B2 (ja) 2004-08-30 2004-08-30 多極コネクタ
JPJP-P-2004-00251007 2004-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692A true KR20060050692A (ko) 2006-05-19

Family

ID=3543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684A KR20060050692A (ko) 2004-08-30 2005-08-26 다극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11544B1 (ko)
EP (1) EP1630905B1 (ko)
JP (1) JP4247542B2 (ko)
KR (1) KR20060050692A (ko)
DE (1) DE602005020553D1 (ko)
TW (1) TW2006184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005A (ko) * 2012-05-23 2015-01-29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6004768U1 (de) * 2006-03-25 2007-07-26 Tehalit Gmbh Bajonettverschluss mit Selbstkontaktierung
DK2220729T3 (da) * 2007-11-13 2017-11-20 Linak As Et aktuatorsystem
DE202007017488U1 (de) * 2007-12-14 2009-04-23 Grawe, Quirin Steckeranordnung
WO2012052870A1 (en) * 2010-10-19 2012-04-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pact replaceable led module
DE102011018993A1 (de) * 2011-04-28 2012-10-31 Mc Technology Gmbh Schirmkontaktfeder
CN102646888B (zh) * 2012-04-09 2014-02-05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插座及插座组件及连接器组件
US8608496B2 (en) 2012-04-25 2013-12-17 Pratt & Whitney Canada Corp. Connector for multi-phase conductors
TWI477013B (zh) * 2012-07-12 2015-03-11 Acbel Polytech Inc Power supply of the shell of the cable waterproof structure
JP6259969B2 (ja) * 2013-05-31 2018-01-17 丸一株式会社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のレリースワイヤ連結構造
CN203646503U (zh) * 2013-11-29 2014-06-18 刘秋明 一种电子烟装置
TWM520748U (zh) * 2015-10-16 2016-04-21 T Conn Prec Corp 圓形快速接頭
EP3420614A4 (en) 2016-02-25 2019-10-16 Molex, LLC ELECTRICAL CONNECTOR
CN105846244B (zh) * 2016-03-29 2018-02-1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CN106099569A (zh) * 2016-07-18 2016-11-09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热电偶电气连接器
DE102017118014B3 (de) * 2017-08-08 2018-07-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teil mit einem Verriegelungselement
US11165205B2 (en) * 2019-04-19 2021-11-02 Dana Tm4 Inc. Multi-phase connector for electric powertrain system
AT523135B1 (de) * 2019-11-14 2022-09-15 Neutrik Ag Kontaktträger für elektrische Steckverbinder und Steckverbinder hierfür
TWI728578B (zh) * 2019-11-28 2021-05-21 劉達民 具有迫緊與旋轉鎖定/解鎖之快速接頭結構
CN113067194B (zh) * 2021-03-19 2023-05-12 昆山欧德斯电子科技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及其电连接器组合
US11424574B1 (en) * 2021-03-23 2022-08-23 Kunshan Outdoor Solutions Electronics Co., Ltd.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reof
JP2024061383A (ja) 2022-10-21 2024-05-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
CN116315886B (zh) * 2023-05-22 2023-08-08 长春捷翼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圆形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2119A (en) * 1966-09-20 1970-05-12 Bunker Ramo Electrical connector
US5662488A (en) * 1996-10-31 1997-09-02 Alden; Peter H. Quick connect coupling system for rapidly joining connectors and/or other elongated bodies
JP3292462B2 (ja) 1998-05-29 2002-06-17 ホシデン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US6226068B1 (en) * 1999-08-27 2001-05-01 Amphenol Corporation Self-locking bayonet coupling mechanism
JP3388438B2 (ja) 2000-03-17 2003-03-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575786B1 (en) * 2002-01-18 2003-06-10 Adc Telecommunications, Inc. Triaxial connector and method
US6692285B2 (en) * 2002-03-21 2004-02-17 Andrew Corporation Push-on, pull-off coaxi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JP2003282193A (ja) * 2002-03-22 2003-10-03 Sharp Corp 同軸接栓およびこれを備えた衛星放送受信用コンバータ
US6866543B2 (en) * 2003-04-09 2005-03-15 Insert Enterprise Co., Ltd. Module type mini BNC connector
US6790083B1 (en) * 2003-07-10 2004-09-14 Chiung-Ling Chen Signal line connector
US6808407B1 (en) * 2003-08-22 2004-10-26 Agilent Technologies, Inc. Locking precision male BNC connector with latch mechanism allowing cable rotation
US6884113B1 (en) * 2003-10-15 2005-04-26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Apparatus for making permanent hardline connection
US6824392B1 (en) * 2003-10-27 2004-11-30 Pony Guo RCA connector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circuit board directly
US20050136735A1 (en) * 2003-12-17 2005-06-23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oaxial connector having improved locking sleeve
DE202004002078U1 (de) * 2004-02-11 2004-04-1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Universeller Steckerverbin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005A (ko) * 2012-05-23 2015-01-29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66354A (ja) 2006-03-09
US20060046566A1 (en) 2006-03-02
EP1630905A3 (en) 2006-03-15
JP4247542B2 (ja) 2009-04-02
EP1630905B1 (en) 2010-04-14
EP1630905A2 (en) 2006-03-01
DE602005020553D1 (de) 2010-05-27
TW200618413A (en) 2006-06-01
US7011544B1 (en) 2006-03-14
TWI314798B (ko) 200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0692A (ko) 다극 커넥터
US5595499A (en) Coaxial connector having improved locking mechanism
US6361348B1 (en) Right angle, snap o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CA2693713C (en) Connector
US3008116A (en) Moisture-proof quick-disconnect device
US9099808B2 (en) Shielded connector
US9325113B2 (en) Connector arrangement with self aligning features
DE602004004974T2 (de) Kabelverbinder mit einem Befestigungstück, um den Kontakt zu halten und um das Kabel zu befestigen
US7367833B2 (en) Connector with anti-rotation and anti-return mechanisms
EP2761703B1 (en) Connector assembly
GB2438478A (en) Connector with lock securing member having a lock releasing portion
TW201312888A (zh) 固鎖及密封連接器
WO2010119011A9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one
CN108604757A (zh) 电连接器
JPH07220801A (ja) コネクタ
EP3540868B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US20100130046A1 (en) Terminated plug connector for antenna equipment
TW200423489A (en) Connector
JP2009289644A (ja) コネクタ
KR101632708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09059510A (ja) 防水コネクタ
JP2024008643A (ja) 第1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20220139250A (ko) 단일조작으로 결합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
CN113437567A (zh) 连接器及包括其的连接器组件
GB2209887A (en) Electrical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