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153A - 루프 형성 시스템 및 이런 시스템을 위한 싱커 - Google Patents

루프 형성 시스템 및 이런 시스템을 위한 싱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153A
KR20060050153A KR1020050063566A KR20050063566A KR20060050153A KR 20060050153 A KR20060050153 A KR 20060050153A KR 1020050063566 A KR1020050063566 A KR 1020050063566A KR 20050063566 A KR20050063566 A KR 20050063566A KR 20060050153 A KR20060050153 A KR 20060050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inker
forming system
compound
loop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7984B1 (ko
Inventor
우베 스팅겔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50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특히 콤파운드 니들(2)을 위한, 개선된 루프 형성 시스템(1)에서, 직조 동작 동안 콤파운드 니들은 비선형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이 경로는 루프일 수 있거나, 루프를 포함할 수 있거나, 루프 없이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왕복하는 니들 운동에 횡단 운동을 중첩시킴으로써 달성되며, 횡단 운동은 예로서, 콤파운드 니들(2)의 피봇팅 배향을 규정하면서 니들 트랙에 배치되어 있는 피봇가능하게 지지된 싱커에 의해 제어된다.
콤파운드 니들, 루프, 트랙, 싱커, 직조

Description

루프 형성 시스템 및 이런 시스템을 위한 싱커{LOOP-FORMING SYSTEM AND SINKER FOR SUCH A SYSTEM}
도 1은 두 개의 공급된 야안(yarns) 및 콤파운드 니들로부터 현수된 직조된 제품을 가지는, 직조 동작시의 루프 형성 시스템의 복수의 콤파운드 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상징적으로 그 곡선형 운동이 표시되어 있는, 도 1의 루프 형성 시스템의 콤파운드 니들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
도 3은 루프 형성 시스템을 통한 개략적인 부분 수직 단면도.
도 4는 싱커가 탄성적으로 예비응력이 부여되고, 콤파운드 니들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루프 형성 시스템을 통한 개략적인 부분 수직 단면도.
도 5는 싱커의 피봇팅 운동을 작동시키기 위해 제어 슬라이드를 가지는, 콤파운드 니들을 제거한 루프 형성 시스템의 변형 실시예를 통한 개략적인 부분 수직 단면도.
도 6은 방직 시스템의 니들 베드, 피봇팅 싱커 및 캠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
도 7은 웨지형 싱커를 갖는 방직 시스템의 변형 실시예를 통한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
도 8은 직조 실린더와 다이얼을 가지고, 콤파운드 니들이 피봇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방직 시스템을 통한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
도 9는 니들 베드내에 안내 컨튜어(guide contour)를 가지며, 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어 싱커를 구비하지 않은, 콤파운드 니들을 갖는 방직 시스템을 통한 부분 개략 수직 단면도.
1 : 루프-형성 시스템 2, 3, 4 : 방직 공구/콤파운드 니들
5 : 니들 본체 6 : 생크
7 : 후크 8 : 폐쇄 요소
9 : 후크 내부 11 : 폐쇄 요소의 버트
12 : 니들 버트 14 : 싱커
15 : 니들 트랙 16 : 니들 베드
17 : 니들 등부 18 : 하부
19 : 슬라이딩면(좁은 측면) 21 : 피봇 베어링
22 : 스프링 23 : 리세스
24, 25 : 좁은 측면 26 : 싱커 버트
27 : 스프링 28, 29 : 야안
31, 32 : 야안 가이드 33 : 싱커 스프링(프리스트레스 장치
34 : 환형 스프링 35 : 테이퍼형 콤파운드 니들
36 : 캠 37, 38, 39 : 제어 트랙
41, 42 : 제어면 43 : 다이얼
44 : 니들 실린더 45 : 싱커
46 : 측면 47 : 화살표
48 : 제어 프로파일 49 : 프로파일
A : 구역 L : 종방향/제 1 방향
S : 피봇 방향/제 2 방향 W : 경로
본 발명은 예로서, 방직 시스템(knitting system)으로서 사용되는 루프 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콤파운드 니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런 방직 시스템에 통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커에 관한 것이다.
원론적으로, 콤파운드 니들을 가지는 루프 형성 시스템은 래치(latch) 니들을 갖는 루프 형성 시스템으로부터 구별되어야 한다. 양자는 소위 상품(직조된 상품)을 생산하기 위해 대응하는 방직기에서 사용되며, 각각 그 소유의 특정 장점 및 단점을 갖는다. 원론적으로, 콤파운드 니들은 외부 제어식 폐쇄 요소를 가지며, 이는 후크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작용한다. 폐쇄 요소는 방직 시스템의 캠에 의해 작동되므로, 이에 관하여, 완전히 제어된 작업이 기대될 수 있다. 반대로, 래치 니들은 후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된 래치를 사용한다. 래치 운동은 일반적으로 외부적으로 제어되지 않거나, 달리 말해서, 방직기의 캠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지 않는다. 대신, 일반적으로, 운동은 니들 작동을 위해 제공된 브러쉬로부터 이용가능한 경우, 니들의 가속시 발생하는 래치상에 작용하는 힘과 니들 위로 통과하는 야안 루프(yarn loops)의 상호작용에 기인한다.
특히 소위 플레이트된(plated) 직조 상품을 제조하기 위해, 래치 니들이 설치된다. 플레이트된 상품에서, 직조된 상품은 두 개의 야안, 예로서, 울 야안 등 같은 플레이팅 야안과 탄성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 야안으로 형성되며, 이들 두 야안은 잇대어(jointly) 직조된다. 플레이팅 결함은 회피되어야만 한다. 플레이팅 결함은 예로서, 직조 니들의 후크에 의해 함께 취해진 그라운드(ground) 야안과 플레이팅 야안이 직조 프로세스내에서 위치 또는 장소를 교체할 때 발생한다. 이들 플레이팅 결함을 피하기 위해, 플레이팅을 위해 사용되는 야안은 가능한 한 분리되어, 즉, 후크 직전으로 전달된다. 이런 경우에, 래치 니들이 장점을 갖는다. 후크의 폐쇄는 래치의 피봇팅 위치에 의해 이루어지며, 후크내에 포획된 야안(그라운드 야안 및 플레이팅 야안)은 래치가 내향 피봇할 때 이미 접촉하며, 따라서, 지지 및 유지된다.
콤파운드 니들에서, 이 프로세스는 보다 중요하다. 이들에서, 래치의 회전 운동에 의해 래치 니들내에서 이루어지듯이, 콤파운드 니들은 야안의 공급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플레이팅되는 야안은 콤파운드 니들의 경우에는 최적으로 전달될 수 없으며, 따라서, 더 이상 견고한 플레이팅이 보증되지 않는다.
특히 후크의 개방 및 폐쇄에서 콤파운드 니들의 고유한 완전히 제어된 운동 때문에, 콤파운드 니들은 고유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야안이 포획될 때, 플레 이팅의 예에서의 상술한 단점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를 출발점으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파운드 니들 및 선택적으로, 래치 니들을 또한 사용하는 가능성을 확장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사용 가능성의 확장은 직조 속도 증가, 직조 동작의 안정화, 사용 스펙트럼의 확장, 직조 결함(flaws)의 감소, 외부 파라미터에 대한 적절한 직조 동작의 의존성의 저감 등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규정된 루프 형성 시스템 및 특히, 청구항 9에 규정된 싱커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루프 형성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콤파운드 니들을 포함하거나 래치 니들도 포함하며, 이들은 니들의 종방향 및 하나의 부가적인 방향 양자 모두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런 콤파운드 니들의 후크는 기존 유형의 루프 형성 시스템에서와는 달리, 선형 경로 뿐만 아니라, 다수의 다른 유형의 경로도 마찬가지로 왕복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예로서, 가장 단순한 경우에, 이는 굴곡된, 또는 간헐적으로 곡선형 경로를 따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후크를 루프형 경로, 즉, 2 차원 영역을 둘러싸는 경로를 따라 안내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후크는 적절한 야안 포획 운동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는 직조 속도를 증가시키고, 2-야안 상품의 경우에는 플레이팅 확실성을 향상시키며, 필요한 후크 크기를 감소시키고, 다른 장점을 도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래치 니들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제2 운동 구성요소의 사용시, 예로서, 포획 및 야안의 연계성(association)(동일 순서의 유지)의 확실성에 관한 장점이 얻어질 수 있다.
가장 단순한 경우에, 신규한 루프 형성 시스템의 콤파운드 니들은 2-운동 성분, 즉, 제1 방향으로의 선형 운동 및 제2 방향으로의 적어도 콤파운드 니들의 후크의 피봇팅 운동에 의해 얻어지는 운동을 갖는다. 단순히 말하면, 콤파운드 니들은 종방향 변위 및 피봇 양자 모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프로세스에서, 콤파운드 니들은 방직기의 니들 베드의 니들 트랙에 지지될 수 있으며, 니들 베드의 피봇 축은 고정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이는 모든 니들 트랙을 통해 횡단방향으로 연장한다. 피봇팅 운동은 5°이하 같은 단지 수 도(a few degrees)로 제한될 수 있다. 콤파운드 니들의 경우에, 통상적으로 비교적 큰 길이로 인해, 피봇팅 행정(stroke)은 그 소유의 치수의 크기 수준에 있는 후크의 운동을 유발할 수 있다. 이로부터, 심지어 비교적 미소한 피봇팅 운동도 루프 형성 작업에 현저한 영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피봇팅 또는 선형 운동 같은, 그 제2 방향으로의 콤파운드 니들의 부가적인 운동은 콤파운드 니들의 니들 등부(back)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야안 포획 프로세스에서 야안으로 후크가 이동할 때, 야안 포획의 개선이 얻어진다. 야안의 보다 확실한 포획에 관하여 콤파운드 니들을 가지는 루프 형성 시스템에 대한 개선은 콤파운드 니들과 연계된 기존의 다수의 단점을 제거한다. 예로서, 특정 용도에 따라, 콤파운드 니들의 동작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 보다 큰 확 실성으로 플레이트된 상품을 생성하는 것 및 야안을 포획하기 곤란한 응용처로의 기타의 방식으로의 확장도 가능해진다. 콤파운드 니들의 폐쇄 요소의 제어된 운동 및 따라서, 후크의 제어된 개방 및 폐쇄와 조합된 보다 확실한 야안의 포획은 이제, 심지어 곤란한 조건하에서도 고속의, 따라서, 매우 생산적인 루프 형성 시스템을 도출할 수 있다.
제1 방향(니들의 종방향)으로의 콤파운드 니들의 운동은 종래의 방식으로, 콤파운드 니들의 버트(butt) 및 상기 버트와 결합된 캠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피봇팅 운동 형태의 제2 방향으로의 콤파운드 니들의 운동은 콤파운드 니들이 예로서, 그 니들 등부가 배치되는 싱커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싱커는 니들 베드의 니들 트랙에 배치된다. 이는 콤파운드 니들이 그 니들 등부로 그 위에 배치되는 콤파운드 니들에 대한 좁은 슬라이딩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면은 콤파운드 니들의 종방향 배향을 결정한다. 따라서, 니들 트랙내의 싱커의 이동 또는 피봇팅은 또한 콤파운드 니들의 이동 또는 피봇팅을 유발한다.
싱커는 피봇 베어링을 구비하거나 그에 연결되어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싱커의 피봇팅 위치설정은 제어 버트와 같은 싱커상의 제어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캠 같은 방직기상의 제어 수단과 연계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별개의 폐쇄 요소에 의해 싱커의 위치설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폐쇄 요소는 순차적으로, 방직기의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바람직하게는, 콤파운드 니들의 피봇팅 운동은 단지 수 도에 이른다. 콤파운드 니들 및 그 폐쇄 요소의 버트는 또한 미소한 피봇팅 운동을 실행한다. 일반적으로, 이 운동은 니들 캠내의 유격(play)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필요시, 이들 버트는 다소 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캠의 각 대응 곡면에 니들의 피봇팅된 위치에 대응하는 경사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콤파운드 니들의 경사진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 명백한, 고정된 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싱커 및 콤파운드 니들 양자 모두에 예비 응력부여 장치가 할당될 수 있고, 이는 예로서, 적절한 스프링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은 콤파운드 니들 및/또는 싱커를 사전선택된 방향으로 예비응력을 부여하여, 콤파운드 니들 및 싱커를 위치설정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의 다른 세부사항은 도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루프 형성 시스템(1)이 부분적이고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직조된 상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따라서, 방직 시스템이라 지칭될 수 있다. 루프-형성 시스템은 복수의 콤파운드 니들(2, 3, 4) 및 도시되지 않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된 추가 콤파운드 니들을 갖는다. 모든 다른 콤파운드 니들과 유사하게 콤파운드 니들(2)은 후크(7)에서 종결하는 생크(shank)(6)가 그 위에 구현된 니들 본체(5)(도 3 참조)를 구비한다. 콤파운드 니들(2)은 또한 폐쇄 요소(8)를 가지고, 이는 도 2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후크(7)에 의해 둘 러싸여진 후크 내부(9)를 위한 폐쇄 부재로서 기능한다. 폐쇄 요소(8)는 생크(6)에 의해 형성된 종방향으로 생크(6)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는 생크(6)상에 또는 그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예로서, 생크(6)는 폐쇄 요소 슬롯(slot)을 구비할 수 있다.
폐쇄 요소(8)는 폐쇄 요소의 버트(butt)(11)를 구비하거나, 그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버트는 추가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방직기의 캠과 결합한다. 니들 본체(5)는 또한 니들 버트(12)를 구비하며, 이는 마찬가지로, 방직기의 캠과 결합한다. 폐쇄 요소의 버트(11) 및 니들 버트(12)의 운동의 결과로서, 콤파운드 니들(2)은 도 2에 화살표로 표시된 제1 방향(L)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니들의 종방향과 일치한다.
루프 형성 시스템(1)은 또한 싱커(14)를 포함하고, 이는 니들 베드(16)의 니들 트랙(15)내의 콤파운드 니들(2)과 결합 배치되어 있다. 니들 트랙(15)은 도시되지 않은 두 개의 측면부를 가지며, 이는 서로 평행하고, 좁은 홈을 형성한다. 콤파운드 니들(2) 및 싱커(14)는 두 개의 측면부 사이에서 유지된다. 싱커(14)는 니들 등부(17)와 니들 트랙(15)의 저면부(18) 사이에 배치된다. 이는 니들 등부(17)를 향해 배향된, 즉 스트립형 형태로 구현되고, 특히 니들의 종방향으로 상단부에서 직선인 좁은 슬라이딩면(19)을 가지며, 니들 등부(17)가 그 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면(19)은 콤파운드 니들(2)을 위한 위치설정 및 베어링면을 형성한다. 이는 밀착(cohesively) 구현되거나, 하나 이상의 중단부(interruption)를 가지고 구현될 수 있다.
싱커(14)는 니들 트랙(15)내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된 로커를 형성한다. 이 목적은 피봇 베어링(21)에 의해 서빙되며, 이는 예로서, 니들 트랙(15)을 통해서 횡단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프링(2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22)은 예로서, 탄성 링, 탄성 튜브 또는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각 니들 트랙(15)내에 개별적으로 배치되거나, 모든 니들 트랙(15)을 통해 연장하는 라운드형 저면부를 가지는 보어 또는 홈내에 배치될 수 있다. 싱커(14)는 굴곡된 에지를 가지는 리세스(23)를 구비하며, 이 리세스에서, 이는 미소한 유격으로 스프링(22)상에 배치된다. 싱커(14)의 좁은 측부(24, 25)는 리세스(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단지 미소하게 180°와 차이나는 둔각을 형성한다. 이와 달리, 싱커(14)는 평탄한 시트 금속 부분으로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후크(7)로부터 멀리 위치된 하단부상에서, 싱커(14)는 싱커 버트(26)를 구비하며, 이는 싱커(14)의 피봇팅 위치를 조절하도록 기능한다. 싱커(14)의 피봇팅의 결과로서, 콤파운드 니들(2) 및 특히, 그 후크(7)는 또한 여기서 피봇팅 방향(S)이라 지칭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방향은 도 2에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콤파운드 니들의 평탄한 측부에 평행하다. 도 3에는, 싱커 버트(26)의 운동을 위한 화살표(P)가 대응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루프 형성 시스템(1)은 스프링(27)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콤파운드 니들(2)을 싱커(14)와 접촉 상태로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니들 베드(16)가 니들 실린더로서 구현되는 경우, 또한 스프링(27)은 실린더 스프링이라 지칭된다. 또한, 이는 전체 실린더 둘레로 전체적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모든 니들과 결합할 수 있 거나, 이는 단지 하나 이상의 콤파운드 니들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까지 설명된 루프 형성 시스템(1)은 하기와 같이 기능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파운드 니들(2, 3, 4)은 야안 가이드(31, 32)에 의해 접어올린(tuck) 위치에서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야안(28, 29)을 파지하기 위해 하나씩 연장되고, 다시 수축된다. 도 1은 두 야안(29, 29)의 전달을 도시하며, 루프 형성 프로세스는 대응적으로 단 하나의 야안 또는 다수의 야안으로 수행될 수 있다. 콤파운드 니들은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L)으로 연장되고, 그후, 싱커(14)의 대응 작용에 의해 다소 피봇된다. 이 프로세스에서, 이들은 후크 내부(9)가 야안(28, 29)을 향해 이동되는 피봇팅 방향(S)으로 이동을 실행한다. 이 프로세스에서, 후크(7)는 도 2의 도면의 평면, 즉, 전체적으로 그것이 위치되는 평면내에서 위치된다. 야안(28, 29)을 향한 후크 내부(9)의 피봇팅 운동의 결과로서, 야안은 후크 내부(9)로 확실히 도입된다. 폐쇄 요소(8)는 이제, 후크(7)의 팁을 향해 그 단부를 이동시킴으로써 후크 내부를 폐쇄할 수 있다. 콤파운드 니들(2)의 역방향 행정이 또한 시작할 수 있으며, 또한, 역방향 피봇팅 운동을 동반할 수 있다. 종방향(L) 및 피봇팅 방향(S) 양방향으로의 콤파운드 니들(2)의 운동의 중첩(superposition)은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후크의 각 임의의 지점을 위한 경로(W)를 형성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경로(W)는 루프형 형태로 구현된다. 즉, 이는 영역 A를 둘러싼다. 따라서, 루프 형성 시스템의 특수한 특징은 후크(7)가 적어도 하나의 루프 형상 부분을 포함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는 것이다. 니들 실린더 같은 니들 캐리어의 회전 운동을 고려하여, 후크는 3차원 접어올 림 영역을 표시한다.
도 4는 니들 베드(16) 및 싱커(14)에 관하여 루프 형성 시스템(1)의 추가 특징을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을 제외하면, 상술한 설명이 대응하여 적용된다. 본 실시예의 특수한 특징은 싱커 스프링(33)에 의한 싱커(14)의 탄성 브레이싱(bracing)이다. 이는 위에서 로커로서 구현된 싱커(14)와 니들 베드(16) 사이에 작용한다. 이는 싱커 버트(26)의 근방에 배치되며, 판 스프링으로서 구현된다. 이는 싱커(14)상에 형성되거나, 그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별개의 판 스프링이 또한 용접 연결에 의해 싱커(14)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은 또한 싱커(14)내의 슬롯에 클램핑될 수도 있다. 또한, 니들 베드(16)에 결합되거나, 별개의 부분으로서 싱커 스프링(33)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의 실시예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싱커 스프링(33)은 또한 피봇 베어링(21) 위에 위치된 싱커(14)의 부분과 결합한다. 싱커 버트(33)는 순차적으로 싱커(14)의 일부가 되거나, 별개의 부품으로서 구현되어 니들 베드(16) 또는 싱커(14)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다른 변형에서, 싱커 버트(26)는 특수한 싱커 버트(26) 또는 모든 싱커 버트(26)를 스프링 부하하는 환형 스프링(34) 또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스프링 수단에 의해 일 방향으로 예비응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실시예에서, 싱커 스프링(33)의 작용 및 환형 스프링(34)의 작용 양자 모두의 결과로서, 싱커는 시계방향으로 피봇하는 경향을 갖는다. 실제 피봇팅 위치는 그후, 테이퍼형 콤파운드 니들(35)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는 폐쇄 요소의 도시되지 않은 버트에 의해 방직기의 캠과 소통한다. 테이퍼형 콤파운드 니들(35) 의 축방향 변위는 따라서, 싱커(14)의 피봇팅 운동으로 변환된다. 마찬가지로, 이 결과로서, 도 1 및 도 2와 연계하여 상술된 기능이 달성될 수 있다. 즉, 콤파운드 니들(2)의 피봇팅 운동이 달성될 수 있다.
도 6은 싱커(14)와 캠(36)의 일 실시예 사이의 상호작용을 예시하며, 이는 그 제1 방향으로 콤파운드 니들(2)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제어 트랙(37), 폐쇄 요소를 위한 제어 트랙(38), 싱커(14)를 이동시키기 위한 추가 제어 트랙(39)을 갖는다. 여기서 싱커 버트(26)는 이중 직각 밴드(double right-angle bend)로 구현되므로, 제어 트랙(39)은 싱커(14)의 피봇팅 운동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어 트랙은 두 개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제어면(41, 42)을 가지며, 그 사이에 제어 발부(foot)(26)가 각각 피봇팅 방향(S)으로, 그리고 그에 대향하여 미소한 유격으로 유지된다. 싱커(14)는 탄성 예비응력 없이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보강을 위해, 상술된 실시예 중 하나의 싱커 스프링(33)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8은 니들 실린더 및 다이얼을 위하여 구현된 루프 형성 시스템(1)을 도시한다. 콤파운드 니들 대신, 래치 니들이 제공된다. 도 8의 상단에 도시된 니들 베드(16)는 다이얼(43)을 형성하고, 우측에 도시된 니들 베드(16)는 니들 실린더(44)를 형성한다. 다이얼(43) 및 니들 실린더(44)는 원형 방직기의 일부이다. 이들 각각은 그 소유의 캠(36)을 가지며, 이는 예로서, 도 6의 예시적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현되어 있다. 루프 형성 작업은 실질적으로 종래의 원형 방직기에서와 같이 진행하며, 래치 니들(2)의 연장 및 수축 운동 각각은 그들상에 중첩된 제2 방향(S)으로의 피봇팅 운동을 가지므로, 콤파운드 니들(2)은 예로서, 도 2에서와 같이 경로(W) 를 횡단한다.
도 7은 현재까지 설명된 루프 형성 시스템(1)의 다른 변형을 도시한다. 이 변형에서, 제2 방향으로의 그 운동을 실행하기 위해, 콤파운드 니들(2)은 피봇되지 않으며, 오히려, 선형으로 변위된다. 이 때문에, 웨지로서 작용하는 싱커(45)가 니들 등부(17)와 저면부(1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싱커의 슬라이딩면(19) 및 저면부(18)를 향해 배향된 측부(46)는 서로 예각을 형성한다. 저면부(18)는 또한 대응적으로 콤파운드 니들(2)의 종방향으로부터 예각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도 7에 화살표(47)의 방향으로의 기타의 방식으로는 나타나지 않는 싱커 버트에 의해 제어되는 대응 운동은 그 종방향 위치에 무관하게 제2 방향(S)으로의 콤파운드 니들(2)의 이동을 유발한다. 달리 도시되어 있지 않은 스프링 수단은 싱커(45)에 대하여 콤파운드 니들(2)을 가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9에서, 루프 형성 시스템(1)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싱커 없이 수행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종방향(L) 및 그 제2 방향(S) 양자 모두로의 콤파운드 니들(2)의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니들 베드(16)의 저면부(18)는 예로서, 램프 형태의 제어 프로파일(48)을 구비한다. 예로서, 마찬가지로 램프 형태인 이에 상보적인 프로파일(49)이 니들 등부(17)상에 구현된다. 콤파운드 니들(2)이 이제 선형으로 이동할 때, 이는 먼저 종방향(L)(제 1 방향)의 방향으로의 선형 종방향 운동을 실행한다. 그러나, 그 프로파일(49)이 제어 프로파일(48)과 접촉하자마자, 프로파일(49)은 제어 프로파일(48)에 의해 형성된 램프 위로 이동하며, 결과적으로 콤파운드 니들(2)은 제2 방향(S)으로 부가적 인 운동을 실행한다. 이 부가적인 운동은 야안 파지 운동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특수한 특징은 그 단순성(simplicity)이다. 상술된 싱커(14 또는 45)는 생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역시 캠을 보다 단순해지게 한다. 그러나, 그렇게 되는 경우, 후크(7)의 경로(W)는 2차원 영역을 형성하지 않으며, 따라서 루프의 형상이 아니다. 그러나, 다수의 응용처에서, 콤파운드 니들의 순수 선형 운동에 비해 현저히 개선된 야안 포획 성능이 달성된다.
특히, 콤파운드 니들(2)을 위한 개선된 루프 형성 시스템(1)에서, 직조 작업 동안의 콤파운드 니들은 비선형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이 경로는 루프일 수 있거나, 루프를 포함할 수 있거나, 루프 없이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왕복하는 니들 운동상에 횡단 운동을 중첩시킴으로써 달성되며, 횡단 운동은 예로서, 피봇가능하게 지지된 싱커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이 싱커는 니들 트랙내에 배치되어 콤파운드 니들(2)의 피봇팅 배향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파운드 니들 및 선택적으로, 래치 니들을 사용하는 가능성을 확장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사용 가능성의 확장은 직조 속도 증가, 직조 동작의 안정화, 사용 스펙트럽의 확장, 직조 결함의 감소, 외부 파라미터에 대한 적절한 직조 동작의 의존성의 저감 등을 제공한다.

Claims (12)

  1. 일 단부에 후크(7)를 구비한 생크(shank)(6)와 상기 후크(7)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는 폐쇄 부재(8)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직조 툴(2)을 가지는 루프 형성 시스템(1)으로,
    루프 형성 시스템(1)의 콤파운드 니들(2)은 상기 직조 툴(2)의 종방향과 일치하는 제1 방향(L) 및 상기 제1 방향(L)에 횡단 배향된 제2 방향(S) 모두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루프 형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툴(2)은 콤파운드 니들이고, 그 폐쇄 부재는 상기 생크의 종방향(L)으로 이동할 수 있는 폐쇄 요소(8)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형성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 툴(2)은 래치(latch) 니들이고, 그 폐쇄 부재는 상기 생크의 종방향(L)에 횡단 배향된 축 둘레에서 피봇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래치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형성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콤파운드 니들(2)은 상기 제2 방향(S)으로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형성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S)은 후크 개방 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형성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형성 시스템(1)은 각 콤파운드 니들(2)을 위해, 좁은 홈으로서 구현된 하나의 니들 트랙(15)을 가지는 니들 베드(16)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트랙의 평행한 측면부들(flanks) 사이에서 상기 콤파운드 니들(2)이 변위가능하게 안내되며, 제1 방향(L) 및 제2 방향(S) 모두로의 상기 콤파운드 니들(2)의 운동은 상기 측면부에 평행하게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형성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싱커(14, 15)가 상기 니들 트랙(15)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고, 좁은 측부(19)를 가지며, 제2 방향(S)으로 콤파운드 니들(2)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콤파운드 니들(2)상에 구현된 니들 등부(17)가 그 좁은 측부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형성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형성 시스템(1)은 각 콤파운드 니들(2)을 위해 평행한 측면부들 및 저면부(18)를 가지는 좁은 홈으로서 구현된 하나의 니들 트랙(15)을 가지는 니들 베드(16)를 포함하고, 상기 저면부는 제2 방향(S)으로 콤파운드 니들(2)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어 프로파일(4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형성 시스템.
  9. 제 1 항에 따른 루프 형성 시스템을 위한 싱커에 있어서,
    상기 싱커(14)는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콤파운드 니들(2)을 지지하기 위한 좁은 슬라이딩면(19)을 가지며, 상기 루프 형성 시스템(1)은 상기 싱커(14)의 슬라이딩면(19)의 제어된 운동을 위한 조절 장치(3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커.
  10. 제 9 항에 있어서, 루프 형성 시스템(1)의 피봇 베어링(21)에 연결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커.
  11.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싱커 버트(2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커.
  12. 제 9 항에 있어서, 예비응력부여 장치(33)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커.
KR1020050063566A 2004-07-14 2005-07-14 루프 형성 시스템 및 이런 시스템을 위한 싱커 KR100767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16579A EP1616982B1 (de) 2004-07-14 2004-07-14 Maschinenbildungssystem und Platine für ein solches
EP04016579.7 2004-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153A true KR20060050153A (ko) 2006-05-19
KR100767984B1 KR100767984B1 (ko) 2007-10-18

Family

ID=3492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566A KR100767984B1 (ko) 2004-07-14 2005-07-14 루프 형성 시스템 및 이런 시스템을 위한 싱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47769B2 (ko)
EP (1) EP1616982B1 (ko)
JP (1) JP4219345B2 (ko)
KR (1) KR100767984B1 (ko)
CN (1) CN100554553C (ko)
DE (1) DE50200400767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7043B2 (en) 2004-11-30 2010-10-19 Canon Kabushiki Kaisha Radio frequency tag
JP2011017090A (ja) * 2007-11-06 2011-01-27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スペーサー・ファブリックの編成装置及び方法
DE102010054540A1 (de) * 2010-12-15 2012-06-21 Ulrich Hofmann Vereinfachte Single-Rundstrick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212462A (en) * 1912-05-25 1913-02-20 Wardle & Davenpor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ircular Knitting Machines.
GB191312462A (en) 1913-05-28 1914-05-28 Rudolf Kro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Weavable Threads from Strips of Paper and the Application thereof to the Manufacture of Woven Fabrics.
US1744789A (en) * 1926-09-15 1930-01-28 Max C Miller Knitting machine
US1877503A (en) * 1928-01-17 1932-09-13 Hemphill Co Knitting machine needle assemblage
GB483327A (en) * 1935-10-17 1938-04-19 Max Fritzsch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knitting machines and needles therefor
US3182471A (en) * 1960-11-18 1965-05-11 Fried Benjamin Striping device for a knitting machine
AT241668B (de) * 1963-04-22 1965-08-10 Sdruzeni Podniku Textilniho St Einrichtung zur Verstärkung und Netzmusterung von Strumpfware auf einer ein- oder mehrsystemigen Rundstrickmaschine
CH587371A5 (ko) * 1974-05-14 1977-04-29 Herstal Sa
DE2604433A1 (de) * 1976-02-05 1977-08-11 Ulrich Hofman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aschenbildung
CS216478B1 (en) * 1980-11-12 1982-10-29 Jan Ando Circular knitting machine
EP0189602B1 (fr) * 1985-01-29 1989-04-05 Atelier De Construction Steiger S.A. Machine à tricoter
JPS6221851A (ja) * 1985-07-18 1987-01-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を使用した横編機
DE3702019C1 (de) * 1987-01-24 1987-09-24 Groz & Soehne Theodor Zungennadel fuer maschenbildende Textilmaschinen
DE19954477A1 (de) * 1999-11-12 2001-06-07 Stoll & Co 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mhängen von Maschen auf einer Strick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10926A1 (en) 2006-01-19
EP1616982A1 (de) 2006-01-18
JP4219345B2 (ja) 2009-02-04
US7047769B2 (en) 2006-05-23
KR100767984B1 (ko) 2007-10-18
EP1616982B1 (de) 2008-07-23
CN100554553C (zh) 2009-10-28
CN1727544A (zh) 2006-02-01
DE502004007675D1 (de) 2008-09-04
JP2006028727A (ja)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919B1 (ko) 래치 니들을 구비한 싱커리스 편물기
TWI600812B (zh) 圓形針織機及用於圓形針織機之織針凸輪
US20190276957A1 (en) Needle for loop formation on a knitting or warp-knitting machine, knitting or warp-knitting machine having a plurality of such needles,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needle
KR100767984B1 (ko) 루프 형성 시스템 및 이런 시스템을 위한 싱커
JP2000282353A (ja) 複合針
US20060016227A1 (en) Needle for a loop-forming system
KR20060133017A (ko) 횡편기의 가동 싱커 장치 및 싱커
JPS6071747A (ja) 針床付き編機
KR20110068926A (ko) 코바늘 갤룬 기계용 플로팅 스티치 니들
JP4016028B2 (ja) 可動シンカー装置を備える横編機
JPS59137548A (ja) ハンドグラインダー及びそのための自動閉止弁
KR20090110893A (ko) 바늘 이동 기구
WO2005012613A1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KR101773765B1 (ko)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US7266978B2 (en) Knitting tool
JP4163085B2 (ja) 移動体連行状態切換え可能な横編機
JP3604199B2 (ja) 編み機のシンカ装置及び編み物成形方法
US6457333B1 (en) Latch needle
CN100478512C (zh) 用针在针织机上分线圈的方法以及所述针的用途
JPH10266049A (ja) 編目を形成する繊維機械のための舌針
KR102232288B1 (ko)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US20220235501A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oving the needle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4553412A (en) Flat bed knitting machine having high speed secondary stitch attachment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US7810357B2 (en) Knitting machine without holding-down sin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