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988A - 부재 기울임 구조 및 미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재 기울임 구조 및 미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988A
KR20060049988A KR1020050061707A KR20050061707A KR20060049988A KR 20060049988 A KR20060049988 A KR 20060049988A KR 1020050061707 A KR1020050061707 A KR 1020050061707A KR 20050061707 A KR20050061707 A KR 20050061707A KR 20060049988 A KR20060049988 A KR 20060049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deflection
pivot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432B1 (ko
Inventor
아키라 후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Publication of KR2006004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4Outside rear view mirro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61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two co-operative parts each having both convex and concave inte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울임 구조는 오목 구면부를 갖는 하우징 리어, 볼록 구면부를 갖는 캡 지지체, 아크형 횡단면을 갖는 관형부인 피봇부(pivot portion)를 갖는 플레이트 피봇(plate pivot), 상기 피봇부가 상기 오목 구면부와 상기 볼록 구면부에 의해 유지되는 상태로 플레이트 피봇이 기울어지게 되도록 상기 하우징 리어쪽으로 상기 캡 지지체를 가압하는 스프링판, 상기 스프링판을 상기 하우징 리어에 고정시키기 위한 태핑 스크류(tapping screw), 및 반대가압방향으로 상기 스프링판의 변형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리어에 고정되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한다. 이 구조에 따르면, 스토퍼는 플레이트 피봇의 과도한 경사를 방지하기 위해 반대가압방향으로 상기 스프링판의 편향을 억제한다.
부재 기울임 구조, 미러 시스템, 미러면 각도조절유닛

Description

부재 기울임 구조 및 미러 시스템{Member Tilting Mechanism And Mirror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러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의 미러 시스템에서 미러면 각도조절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미러 시스템에서 미러면 각도조절유닛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의 미러 시스템에서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미러 시스템에서 미러면 각도조절유닛을 도시한 주요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의 미러 시스템에서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의 미러 시스템에서 스토퍼의 변형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끼움식 고정장치 부재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미러 시스템에 장착되는 미러면 각도조절유닛을 도시한 주요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예의 미러 시스템에서 끼움식 스토퍼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명세서에 참조되는 관련예의 미러 시스템에서 미러면 각도조절유닛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모터 2: 하우징 프론트
2a: 조절스크류 3: 하우징 리어(housing rear)
3a: 오목 구면부 3b: 지지관부
3c: 연결개구 4: 플레이트 피봇(plate pivot)
4a:피봇부 4b: 오목 조인트부
5: 캡 지지체 5a: 볼록 구면부
5b: 관통구멍 6: 스프링판
6a: 스프링 중앙부 6b: 편향부
7: 탭핑 스크류(tapping screw) 8: 스토퍼(stopper)
9: 조절너트 9a: 구형 조인트부
10: 웜 휠 11: 미러 홀더
12: 미러면 각도조절유닛 13: 전기 접이식 유닛
14: 차체부재 14a: 개구
15: 베이스 부재 16: 샤프트
17: 구동장치 18: 커넥터
19: 씰 커버(seal cover)
본 출원은 일본특허출원 제2004-203261호에 기초한 것으로, 상기 문헌은 참조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합체된다.
본 발명은 예컨대 차량 도어 또는 사이드 미러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미러 기울임 구조 및 상기 기울임 구조를 포함하는 미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울임 구조는 미러면을 비스듬하게 조절하기 위해, 예를 들어, 미러면을 수직 및 수평으로 기울이기 위한 차량 도어 또는 사이드 미러 시스템에 설치되도록 채택된다. 이러한 기울임 구조는 통상적으로 미러 하우징내에 형성되고 예컨대 JP-A-2003-194040(도 6 및 도 7)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이 기울임 구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부재(미도시)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 모터(1)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하우징 프론트(housing front)(2), 상기 하우징 프론트(2)에 의해 덮여지는 하우징 리어(housing rear)(3), 상기 하우징 리어(3)상에 장착되고 미러(미도시)가 설치되는 플레이트 피봇(plate pivot)(4), 및 그 사이에서 하우징 리어(3)와 함께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상기 플레이트 피봇(4)을 유지하는 대체로 반구형인 캡 지지체(5)를 포함한다.
지지관부(3b)는 상기 지지관부(3b)가 놓여지게 하거나 캡 지지체(5)의 관통구멍(5b)에 관통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탭핑 스크류(tapping screw)(7)가 상기 지지관부(3b)의 상단면상에 위치되는 엽상 스프링부재(leaf spring member)인 스프링판(6)을 갖는 지지관부(3b)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지지관부(3b)의 장착구멍으로 나 사고정되며, 이에 의해 상기 스프링판(6)이 적소에 고정된다. 스프링판(6)은 십자형으로 형성되고 스프링 중앙부(6a)는 상기 태핑 스크류(7)에 의해 지지관부에 고정되며, 4방향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중앙부(6a)로부터 뻗어있는 편향부(6b)의 선단부가 상기 캡 지지체(5)의 외부 에지부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캡 지지체(5)가 상기 하우징 리어(3)를 향해 가압하게 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볼록 구면부(5a)는 피봇부(4a)와 가압접촉되고, 차례로 오목 구면부(3a)와 가압접촉되며, 이에 의해 상기 볼록 구면부(5a)와 피봇부(4a)는 이러한 구면 접촉을 통해 상기 피봇부(4a)와 오목 구면부(3a) 각각에 대해 슬라이딩하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피봇(4)이 하우징 리어(3)에 대해 모든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지지된다.
또한, 조절 스크류(2a)가 돌출되게 하우징 프론트(2)에 형성되고, 조절너트(9)가 상기 조절 스크류(2a)에 나사고정된다. 모터(1)의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웜 휠(10)이 회전방향에 대해 상기 조절너트(9)의 외주면과 일체로 맞물리게 된다. 더욱이, 구형 조인트부(9a)가 조절너트(9)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그런 후 가압 끼움상태로 플레이트 피봇(4)에 형성된 오목 조인트부(4b)에 끼워진다.
따라서, 모터(1)를 구동함으로써, 조절너트(9)가 웜휠(10)을 통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조절너트(9)의 선단부가 끼워져 있는 플레이트 피봇(4)이 밀어지거나 당겨져, 이로 인해 상기 플레이트 피봇(4)이 미러(1)와 함께 전기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모터(1), 조절 스크류(2a), 조절너트(9), 웜휠(10) 및 오목 조인트부(4b)는 수직 및 수평조절을 위해 2개로 각각 제공됨을 유의하라.
그러나, 관련기술은 여전히 다음과 같은 해결해야 할 문제를 가지고 있다.
JP-A-2003-194040에 설명된 기울임 구조에서, 미러가 정비소 등에서 교체될 때, 미러가 도 10에 표시된 A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미러에 고정된 플레이트 피봇(4)도 또한 A 방향으로 당겨진다. 상기 플레이트 피봇(4)은 통상적으로 규제가 가해지는 위치로 편향될 수 있지만, 미러가 상기 조건으로부터 A 방향으로 계속 더 당겨지는 경우에, 스프링판(6)이 가압방향의 반대방향(반대가압방향 B)으로 편향되며, 이에 의해 미러와 플레이트 피봇(4)이 과도하게 편향되어, 종종 조절너트(9)가 조절 스크류(2a)로부터 탈구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조절너트(9)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동안 규제가 가해질 때까지 상기 플레이트 피봇(4)을 계속 미는 한편, 상기 플레이트 피봇(4)은 상기 스프링판(6)이 편향하게 되도록 지나치게 들어올려지며, 이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피봇(4)과 하우징 리어(3)가 서로 이격되어지고, 종종 느슨함(타격(beatign))이 미러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스프링 상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스프링판(6)이 편향되는 것을 어렵게 하는 방법이 고려되는 한편, 이 경우, 피봇부(4a)의 슬라이딩 저항도 또한 증가되며, 상기 슬라이딩 저항의 증가로 불편하게 오작동의 원인을 이루는 문제를 종종 일으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피봇부의 슬라이딩에 있어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스프링판의 편향을 억제할 수 있는 부재 기울임 구조 및 상기 부재 기울임 구조를 포함하는 미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의 구조를 채택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오목 구면부를 포함하는 제 1 부재, 볼록 구면부를 포함하는 제 2 부재, 상기 오목 구면부와 상기 볼록 구면부에 의해 유지되는 피봇부를 포함하는 제 3 부재, 상기 제 3 부재가 유지되면서 상대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 중 한 부재를 다른 부재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반대가압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구비하는 부재 기울임 구조가 제공된다.
이러한 부재 기울임 구조는 반대가압방향으로 탄성부재의 변형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 3 부재가 재 1 부재에 대하여 크게 기울이는 식으로 비교적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서도, 스프링판과 같은 탄성부재가 반대가압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경사면 중앙 부근에 고정되는 중앙 비편향부와, 선단부에서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 중 한 부재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비편향부로부터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재는 편향부의 선단부와 접하게 되어 반대가압방향으로 선단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부재 기울임 구조가 제공된다.
즉, 이러한 부재 기울임 구조에 따라, 규제부재는 편향부에서 가장 크게 편 향되는 선단부의 이동을 규제하며, 이로써 탄성부재의 편향변형이 더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따르면, 비편향부 상에 중앙부가 있는 외주면 에지부에 의해 상기 편향부의 선단부를 규제하는데 적합한 링 또는 디스크 형태로 규제부재가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부재 기울임 구조가 제공된다.
즉, 이러한 부재 기울임 구조에 따라, 링 또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 규제부재를 채택함으로써, 모든 편향부에서 발생하는 편향이 단일 규제부재의 외주면 에지부에 의해 용이하게 억제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편향부의 편향은 외주면 에지부의 전체 외주면을 따라 저지되기 때문에, 탄성부재가 외주방향으로 약간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서도, 양호한 편향 보호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따르면, 상기 규제부재는 규제를 수행하는 억제부와, 상기 억제부와 함께 소정 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억제부와 상기 고정부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 내지 제 3 태양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재 기울임 구조가 제공된다.
즉, 이러한 부재 기울임 구조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규제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만들어지는 규제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규제부재가 고정되는 동시에 고정되며, 이로써 양 부재들이 고도의 위치정확도로 고정될 수 있고 어셈블리 단계들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더욱이, 포함된 구성부품들의 개수도 줄어들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따르면, 미러면을 갖는 미러부재, 상기 미러부재를 지지하는 미러지지부재, 기울어지는 식으로 상기 미러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재 기울임 구조, 및 상기 부재 기울임 구조를 지지하는 차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부재는 제 1 부재 및 제 3 부재 중 하나에 고정되고, 차체부재는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3 부재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미러 시스템이 형성된다.
이러한 미러 시스템에 따르면, 미러 지지부와 미러부재는 탄성부재의 편향을 규제하면서 본 발명의 부재 기울임 구조에 의한 차체부재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에, 미러가 교체될 때 상기 미러 지지부재 및 상기 미러부재가 크게 기울어지거나 모터 등에 의해 부여된 전기력이 경사방향으로 크게 가해지는 방향으로 상기 미러 지지부재 및 상기 미러부재가 당겨지는 경우에서도, 상기 탄성부재의 편향으로 인해 고정된 상태로 있는 상기 부재들이 서로 탈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미러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제 1 부재 및 제 3 부재 중 하나가 차체부재에 고정된 제 1 부재 및 제 3 부재 중 다른 하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러부재 및 미러지지부재는 일체로 된 부재로 형성될 수 있음을 유의하라.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제 1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부재 기울임 동작 구조 및 미러 시스템의 제 1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 1 실시예의 미러 시스템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미러부재) M이 수직 및 수평으로, 즉, 상하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차량의 전기 접이식 도어(electric foldable door) 또는 사이드 미러 시스템이며, 미러면이 전면에 형성된 미러 M, 상기 미러 M을 지지하는 미러 홀더(미러 지지부재), 상기 미러 홀더가 장착되는 미러면 각도조절유닛(부재 기울임 구조)(12),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도어 또는 사이드 미러를 접기 위한 전기 접이식 유닛(13), 상기 전기 접이식 유닛(13)을 수용하는 지지부재(13A), 및 상기 미러면 각도조절유닛(12)과 상기 지지부재(13A)와 상기 전기 접이식 유닛(13)을 내부에 수용하고 닫혀진 상태를 만드는 식으로 미러 M과 미러 홀더(11)가 개구(14a)에 장착되는 차체부재(14)를 포함한다.
이 미러 시스템은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base member)(1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베이스 부재(15)에 장착된 샤프트(16)가 차체부재(14)의 기부 단부에 삽입되고 지지부재(13A)를 관통하여 전기 접이식 유닛(13)의 회전 샤프트(미도시)에 끼워지며, 이로써 전기 접이식 유닛(13)이 작동될 때, 전체 미러 시스템이 상기 지지부재(13A)와 함께 샤프트(16) 주위로 회전하여 상기 미러 시스템이 베이스 부재(15)의 측면(차체의 측면)으로 접혀질 수 있거나 작동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면 각도조절유닛(12)은 차체부재(14)에 고정되는 하우징 프론트(2), 상기 하우징 프론트(2)를 덮고 오목 구면부(3a)를 갖는 하우징 리어(제 1 부재)(3), 볼록 구면부(5a)를 갖는 캡 지지체(제 2 부재 )(5), 상기 오목 구면부(3a)와 상기 볼록 구면부(5a) 사이에 유지되는 아크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원통형 부분인 피봇부를 갖는(4a) 플레이트 피봇(4)(제 3 부재)(4), 상기 플레이트 피봇(4)이 상기 피봇부(4a)와 함께 모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유지될 수 있는 식으로 상기 하우징 리어(3)를 향해 캡 지지체(5)를 가압하는 스프링판(탄성부재)(6), 상기 하우징 리어(3)에 상기 스프링판(6)을 고정시키기 위한 패스닝 스크류(fastening screw) 및 상기 하우징 리어(3)에 고정되는 금속 스토퍼(stopper)(규제부재)(8)로서 기능을 하여 반대가압 방향으로의 상기 스프링판(6)의 변형을 저지하는 태핑 스크류(tapping screw)(7)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피봇(4)과 함께 미러 M 및 미러 홀더(11)를 수평 및 수직으로 기울이기 위한 한 쌍의 구동장치(17)가 하우징 프론트(2)내에 제공된다.
한 쌍의 구동장치(17)는 회전 샤프트상에 형성된 웜(1a)을 갖는 한 쌍의 구동모터(1), 돌출되게 상기 하우징 프론트(2)내에 제공된 한 쌍의 조절 스크류(2a), 상기 각각의 조절 스크류(2a)상에 나사고정되는 한 쌍의 조절너트(9), 및 웜 휠(10)이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면상에서는 회전방향으로 상기 각각의 조절너트(9)의 외주면과 일체로 맞물려지고 타측면상에서는 모터(1)의 웜(1a)에 치합(meshing fashion)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웜 휠(10)을 포함한다.
더욱이, 구면 조인트부(9a)는 조절유닛(9)의 선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모터 연결단자인 커넥터(18)가 하우징 프론트(2)의 밖에서 각 모터(1)에 연결된다.
실린더 지지관부(3b)는 오목 구면부(3a)의 중심축을 따라 돌출되게 상기 오목 구면부(3a)의 중심에 형성되고, 연결개구(3c)가 조절 스크류(2a) 쌍에 각각 대 응하는 위치의 하우징 리어(3)에 형성된다. 지지관부(3b) 및 한 쌍의 조절 스크류(2a) 사이의 위치관계는 미러 시스템이 차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절 스크류(2a) 중 하나는 그 축방향이 수평방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수평으로 지향되게 배치되어 있는 지지관부(3b)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반면에, 조절 스크류(2a)의 다른 하나는 수평방향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관부(3b)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음을 유의하라.
씰 커버(seal cover)(19)가 조절 너트(9)의 외주변을 덮도록 플레이트 피봇(4)과 하우징 리어(3) 사이의 각각의 연결개구(3c)에 제공된다.
캡 지지체(5)는 전면에 평면부(5c)를 가지고 있어 실질적으로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볼록 구형부(5a)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관통구멍(5b)이 중심축을 따라 캡 지지체(5)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부(3b)가 끼워지는 상태로 관통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캡 지지체(5)가 강체가 되도록 캡 지지체(5)의 내부에 복수의 리브(rib)가 형성된다.
플레이트 피봇(4)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판모양으로 형성되고, 구형의 오목한 조인트부(4b)가 플레이트 피봇(4)의 측면상에 형성되어 각각의 조절너트(9)의 구형 조인트부(9a)가 가압 끼움 상태(press fit state)로 끼워지게 하우징 리어(3)에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또한, 미러 홀더(11)의 맞물림 폴(engagement pawls)(미도시)이 맞물리게 맞물림 후미부(4c)가 플레이트 피봇(4)의 상단 좌우 및 하단 좌우의 4 위치에 제공된다.
더욱이, 피봇부(4a)는 하우징 리어(3)의 오목 구면부(3a)와 캡 지지체(5)의 볼록 구면부(5a)에 의해 유지되면서 상기 피봇부(4a)가 슬라이딩하고 기울어질 수 있도록 플레이트 피봇(4)에 형성된다. 이 피봇부(4a)는 아크형 횡단면을 갖는 관형부이고, 외주면이 오목 구면부(3a)와 구면접촉하게 되게 볼록 구면으로 형성되는 반면에, 내주면은 캡 지지체(5)의 볼록 구면부(5a)와 구면접촉하게 되게 오목 구면으로 형성된다.
4개의 리어측 맞물림부(3e)와 4개의 피봇측 맞물림부(4d)는 하우징 리어(3)와 플레이트 피봇(4)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양 부재상의 맞물림 부분들이 서로 맞물리게 하우징 리어(3)와 플레이트 피봇(4)상에 각각 형성된다.
태핑 스크류(7)는 엽상 스프링 부재인 스프링판(6)과 함께 상부로부터 지지관부(3b)에 나사고정되고, 지지관부(3b)가 놓여지게 하거나 캡 지지체(5)의 관통구멍(5)에 관통되는 상태로 상기 태핑 스크류(7)와 지지관부(3b) 사이에 보유되는 스프링판(6)에 배치된 스토퍼(8)에 나사고정된다.
스프링판(6)은 십자형으로 형성되고 플레이트 피봇(4)의 경사 중앙에 또는 그 부근에 고정되는 스프링 중앙부(비편향부)(6a)와 볼록 구면부(5a)의 외부 에지부 부근까지 4 방향으로 상기 스프핑 중앙부(6a)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뻗어있어 그 선단부에서 캡 지지체(5)를 가압하도록 하는 편향부(6b)를 갖는다.
구멍부(6c)는 태핑 스크류(7)가 통과되는 식으로 스프링 중앙부(6a)에 형성된다. 또한, 편향부(6b)는 캡 지지체(5)를 향해 만곡되는 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캡 지지체(5)를 상기 하우징 리어(3)를 향해 일방향으로 힘을 가하는데 적합하므로, 따라서 스프링판(6)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캡 지지체(5)가 상기 하우징 리어 (3)를 가압하게 한다. 또한, 편향부의 단부(6b)는 그 단부가 스토퍼(8)에 접하거나 접근하도록 길이를 따라 도중에 반대가압 방향으로 만곡된다.
설명된 구조에 따라, 캡 지지체(5)의 볼록 구면부(5a)는 스프링판(6)에 의해 피봇부(4a)와 가압접촉하게 되고, 피봇부(4a)는 차례로 하우징 리어(3)의 오목 구면부(3a)와 가압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볼록 구면부(5a), 피봇부(4a) 및 오목 구면부(3a)가 서로 표면접촉하게 되어, 피봇부(4a)가 슬라이딩하게 함으로써, 플레이트 피봇(4)이 하우징 리어(3)에 대해 모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상기 하우징 리어(3)에 의해 지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8)는 중심부가 스프링 중앙부(6a) 상에 배치되고 반대가압 방향으로 선단부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그 외주 에지부가 편향부(6b)의 선단부와 접하게 되어 있는 환형의 평평한 와셔(washer) 형태를 갖는다. 또한, 관통구멍(8a)은 태핑 스크류(7)가 관통하게 스토퍼(8)의 중심에 형성된다.
스토퍼(8)가 스프링판(6)의 변형을 규제하기 시작하는 경사각도는 편향부(6a)의 선단부와 스토퍼(8) 사이의 공간(틈)을 조절함으로써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음을 유의하라.
이러한 미러면 각도조절유닛(12)은 태핑 스크류인 유닛고정스크류(12a)에 의해 차체부재(14)에 고정된다.
다음으로는,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미러 시스템에서 미러면 각도조절유닛(12)의 기능이 설명된다.
먼저, 예를 들어, 미러를 교체할 때, 미러 M과 미러 홀더(11)가 장착되는 플 레이트 피봇(4)이 당겨지는 경우를 설명한다.
플레이트 피봇(4)이 도 3에 표시된 A 방향으로 당겨질 때, 상기 플레이트 피봇(4)은 회전중심 C (피봇부(4a), 볼록 구면부(5a) 및 오목 구면부(3a)의 구면중심, 즉, 경사중심) 주위로 회전이동되고, 이에 의해 플레이트 피봇(4)이 기울어진다. 상기 플레이트 피봇(4a)이 A 방향으로 더 당겨지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 피봇(4a)이 여전히 슬라이딩하게 되는 기준 규제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플레이트 피봇(4)이 회전이동을 계속 수행하는 동안, 스프링판(6)이 캡 지지체(5)를 가압하고 그런 후 도 3에 표시된 반대가압 방향(B)으로 편향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편향시키려고 하는 편향부(6b)의 선단부가 스토퍼(8)의 외주면 에지부와 맞닿게 되므로, 반대가압 방향 B로의 편향부(6b)의 이동이 규제되며, 이에 의해 스프링 판(6)의 편향(역 비틀림)이 억제된다. 즉, 플레이트 피봇(4)이 소정의 규제위치로부터 과도하게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절너트(9)의 구면 조인트부(9a)는 상기 구면 조인트부(9a)가 끼워지는 오목 조인트부(4b)로부터 탈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3을 참조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동안 수행되는 미러면 각도조절유닛(12)의 동작을 설명한다.
미러 M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모터(1)가 구동되면, 조절너트(9)가 웜(worm)(1a) 및 웜 휠(worm wheel)(10)을 통해 수직으로 이동된다. 조절너트(9)가 위로 이동될 때, 조절너트(9)는 플레이트 피봇(4)을 계속 가압하므로 피봇부(4a)가 여전히 슬라이딩하게 되는 기준규제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플레이트 피봇(4)을 기울 인다.
또한, 조절너트(9)가 플레이트 피봇(4)을 가압하도록 모터(1)가 구동되면, 스프링판(6)은 반대가압 방향으로 편향하려고 하는 반면에, 플레이트 피봇(4)은 들어올려지게 하며, 이에 의해 플레이트 피봇(4)이 하우징 리어(3)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그러나, 편향하도록 하는 편향부(6b)의 선단부가 스토퍼(8)의 외주면 에지부와 맞닿게 되므로, 반대가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며, 이에 의해 스프링판(6)의 편향이 억제된다. 즉, 플레이트 피봇(4)이 들어올려짐으로 인해 하우징 리어(3)로부터 플레이트 피봇(4)의 분리가 방지되며, 이로써 미러 M의 느슨해짐(타격)을 줄일 수 있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대가압방향으로 스프링판(6)의 변형을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8)가 제공되므로, 플레이트 피봇(4)이 하우징 리어(3)에 대해 크게 기울어지는 식으로 상대적인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서도, 반대가압방향으로의 스프링판(6)의 편향이 억제될 수 있다. 특히, 스프링판(6)의 편향 변형은 스토퍼(8)에 의해 규제되고, 편향값이 최대가 되는, 편향부(6b)의 선단부의 이동에 의해 더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판(6)의 편향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미러가 교체될 때 양호한 실행가능성이 보장될 수 있고, 느슨함이 없는 미러 M의 안정적인 기울임 상태가 보장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부재 기울임 구조 및 미러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음에 설명되는 제 3 실시예를 포함하는 아래의 설명에서,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생략됨을 유의하라.
제 1 실시예의 미러 시스템에서는, 미러면 각도조절유닛(12)의 스토퍼(8)는 단순히 환형의 평평한 와셔 형태로 형성되는 반면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8)의 외주면 에지부(18b)는 스프링판(6)을 향해 만곡되어, 이에 의해 편향부(6b)의 선단부에서 만곡부의 내부와 접하게 된다.
즉, 제 2 실시예에서, 스토퍼(18)는 만곡되는 외주면 에지부(18b)를 가지기 때문에, 스토퍼 자체의 강성(rigidity)이 증가되고, 스프링판(6)의 편향 규제가 더 지속되는 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강한 힘이 경사방향으로 가해지고, 이에 의해 편향부(6b)의 만곡부가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제 2 실시예에서는, 외주면 에지부가 편향부(6b)의 만곡부의 내부와 맞닿기 때문에, 상기 편향부(6b)의 만곡부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7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스토퍼(18)는 외주면 에지부(18b)가 만곡되는 와셔 형태로 형성되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스토퍼(28)는 십자형 스프링판(6)과 일치하는 십자형 형태로 형성된다.
변형예의 스토퍼(28)는 관통구멍(28a)을 갖는 중앙 환형부(28b)와 상기 중앙 환형부(28b)로부터 4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뻗어있는 억제부(28c)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억제부(28c)는 선단부에서 스프링판(6)을 향해 만곡된다. 또한, 이 스토 퍼(28)는 각각의 억제부(28c)가 각각의 편향부(6b)와 정렬되는 식으로 스프링판(6)상에 위치되어 각각의 억제부(28c)가 상기 각각의 편향부(6b)와 맞닿거나 접근하게 되며 그런 후 태핑 스크류(7)에 의해 적소에 고정된다.
각각의 억제부(28c)는 스프링판(6)의 편향부(6b)의 만곡부의 내부와 맞닿는 식으로 길이가 설정된다. 또한, 각각의 억제부(28c)의 폭은 편향부(6b)의 폭보다 더 넓게 설정되어, 스프링판(6)이 약간 원주방향에서 벗어나게 야기되는 경우에서도, 탈구됨이 없이 필요한 규제가 달성된다. 스토퍼(28)와 스프링판(6)의 외주면 상대 회전을 규제하기 위해 서로 맞물리는데 적합한 돌기부로서 편향방지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28)와 스프링판(6)에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의 스토퍼(28)의 사용으로, 그 강성은 와셔 형태의 스토퍼(18)보다 낮지만, 편향부(6b)의 만곡부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으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부재 기울임 구조 및 미러 시스템의 제 3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 3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는 다른데, 제 2 실시예에서는, 스프링판(6)과 스토퍼(18)가 고정부재로서 태핑 스크류(7)을 사용하여 지지관부(3b)에 고정되는 반면에,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서는, 스토퍼가 고정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스토퍼부재(규제부재)(38)에 의해 스프링판(6)의 고정과 편향부(6b)의 억제가 동시에 실행된다는 것이다.
즉, 제 3 실시예의 미러 시스템에서, 고정 관통구멍(3f)이 하우징 리어(3)의 지지관부(3b)에 형성되고, 고정 스토퍼부재(38)가 고정관통구멍(3f)에 끼워져 스프링판(6)이 적소에 고정되게 한다. 고정 스토퍼부재(38)는 외주 에지부(38a)가 스프링판(6)을 향해 만곡되는 디스크형 스토퍼부(규제부)와, 스프링판(6)을 향해 스토퍼부(38b)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하게 돌기하는 식으로 형성된 고정 삽입부(고정부)(38c)로 이루어진다. 고정 삽입부(38c)를 선단부에서 분리되어지게 하는데 적합한 슬릿(slit)(38d)이 축방향의 상기 고정 삽입부(38c)에 형성되고, 팽창부(38e)가 반경방향 외부로 팽창하는 식으로 상기 고정 삽입부(38c)의 선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삽입부(38c)의 외직경은 팽창부(38e)를 제외하고는 고정관통구멍(3f)보다 약간 작도록 설정되며, 상기 팽창부(38e)의 외직경은 고정관통구멍(3f)의 내직경보다 약간 더 크게 설정된다.
고정 스토퍼부재(38)의 재료에 대한 어떠한 규제도 부여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 스토퍼부재(38)는 필요한 고정 및 규제를 달성하는데 충분한 강성이 제공된다면 금속이나 수지(resin)의 형태일 수도 있음을 유의하라. 예를 들어, 고정 스토퍼부재(38)는 수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 스토퍼부재(38)는 다음과 같이 장착된다.
먼저, 고정 삽입부(38c)가 스프핑판(6)의 구멍부(6c)를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고정 관통구멍(38f)에 상기 고정 삽입부(38c)가 삽입된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슬릿(38d)이 제공되므로, 팽창부(38e)의 외직경은 삽입이 개시될 때 고정 관통구멍(3f)의 내직경보다 더 작아지며, 이에 의해 상기 고정 삽입부(38c)가 상기 고정 관통구멍(38f)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팽창부(38e)가 고정관통구멍 (3f)을 관통할 때, 상기 팽창부(38e)는 탄성력에 의해 초기 외직경을 복원하도록 하며, 이에 의해 상기 팽창부(38e)가 상기 하우징 리어상에 걸리는 상태로 두어지며, 이로써 상기 고정 스토퍼부재(38)가 적소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 스토퍼부재(38)가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스토퍼부(38b)의 외주면 에지부(38a)가 스프링판(6)의 편향부(6b)와 맞닿거나 접근하게 되어 편향부(6b)의 변형을 억제한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부(38b)가 상기 고정 삽입부(38c)와 일체로 된 고정부재(38)를 사용하여, 스프링판(6)이 하우징 리어(3)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스토퍼부(38b)가 또한 상기 하우징 리어(3)에 고정되며, 이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38b)와 상기 스프링판(6) 모두가 고도의 위치정확도로 상기 하우징 리어(3)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어셈블리 단계의 수가 줄어들 수 있고 부재의 수들도 또한 줄어들어, 이에 의해 제조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끼움식 타입의 장치 스크류의 형태를 취하는 고정 삽입부(38c)가 태핑 스크류를 사용하는 스크류 방법 대신에 고정수단으로서 채택되기 때문에, 고정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유의하라.
예를 들어, 각각의 실시예에서, 하우징 리어(3)는 오목 구면부(3a)를 구비하고 캡 지지체(5)는 볼록 구면부(5a)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플레이트 피봇(4)이 기울어지게 하는 식으로 상기 구면부들에 유지되는 반면에, 상기 오목 구면부와 상기 볼록 구면부는 반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오목 구면부가 하우징 리어상에 형성되고 상기 볼록 구면부가 상기 캡 지지체상에 형성되며, 이에 의해 볼록 구면부 및 오목 구면부에 해당하는 피봇부를 갖는 피봇 플레이트가 기울어지도록 상기 하우징 리어와 상기 캡 지지체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리어(3)와 하우징 프론트(2)가 차체부재(14)에 고정되고 미러 M가 플레이트 피봇(4) 측면에 부착되는 반면에, 관련 부재들이 반대로 고정되고 부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 피봇이 차체부재에 고정될 수 있고 미러가 하우징 리어 및 하우징 프론트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하우징 리어와 하우징 프론트는 플레이트 피봇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의 미러 시스템은 차량 도어 또는 사이드 미러 시스템으로서 채택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미러 시스템은 내부 리어뷰(rearview) 미러, 프론트 펜더(front fender) 상의 사이드 미러 등을 포함하는 다른 차량 미러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실시예의 부재 기울임 구조는 하우징 리어(3)에 대해 미러 M을 기울이게 하는 미러면 각도조절유닛(12)으로서 미러 시스템에 채택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부재 기울임 구조는 다른 부재를 기울이게 하는 구조로서 다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판이 베이스 테이블(base table)상에 지지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부재 기울임 구조는 베이스 테이블에 대한 디스플레이판을 기울이게 하는 부재 기울임 구조로서 채택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부재 기울임 구조 및 미러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부재 기울임 구조에 따르면, 반대가압방향으로 탄성부재의 변형을 규제하는 규제부재가 제공되기 때문에, 스프링판과 같은 탄성부재의 스프링 상수가 크게 증가될 필요가 없으며, 심지어 과도한 힘이 기울이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도, 탄성부재는 편향이 규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규제각도 이상의 미러지지부재 및 미러부재의 경사를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상기 부재 기울임 구조를 채택한 미러 시스템에 따르면, 피봇부의 양호한 슬라이딩 동작에 기초한 기울임 이동이 측정될 수 있고, 미러가 교체되거나 심지어 모터 등에 의해 큰 전기력이 기울이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도, 미러가 규제각도 이상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있는 다른 부재들도 서로 탈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미러가 교체될 때 양호한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미러지지부에 고정된 부재가 차체에 고정된 부재로부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서도 탈구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의해 미러의 느슨함(타격)이 줄어들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오목 구면부를 포함하는 제 1 부재;
    볼록 구면부를 포함하는 제 2 부재;
    상기 오목 구면부와 상기 볼록 구면부에 의해 유지되는 피봇부를 포함하는 제 3 부재;
    상기 제 3 부재가 유지되면서 상대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 중 한 부재를 다른 부재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반대가압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구비하는 부재 기울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경사면의 중심 부근에 고정되는 비편향부와, 선단부에서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 중 한 부재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비편향부로부터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편향부의 선단부와 접하게 되어 반대가압방향으로의 상기 선단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재 기울임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외주면 에지부에 의해 상기 편향부의 선단부를 규제하는데 적합한 링 형태로 형성되는 부재 기울임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외주면 에지부에 의해 상기 편향부의 선단부를 규제하는데 적합한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는 부재 기울임 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의 중심부가 상기 비편향부상에 배치되는 부재 기울임 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일치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부재 기울임 구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편향부의 선단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억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억제부의 폭은 상기 편향부의 선단부의 폭보다 더 넓은 부재 기울임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을 규제하는 억제부와, 상기 억제부와 함께 소정 위치에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억제부와 상기 고정부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부재 기울임 구조.
  9. 미러부재;
    상기 미러부재를 지지하는 미러지지부재;
    기울어지는 식으로 상기 미러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제 1 항에 따른 부재 기울임 구조; 및
    상기 부재 기울임 구조를 지지하는 차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부재는 제 1 부재 및 제 3 부재 중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차체부재는 상기 제 1 부재 및 제 3 부재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미러 시스템.
KR1020050061707A 2004-07-09 2005-07-08 부재 기울임 구조 및 미러 시스템 KR100630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03261A JP4289556B2 (ja) 2004-07-09 2004-07-09 部材傾動機構及びミラー装置
JPJP-P-2004-00203261 2004-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988A true KR20060049988A (ko) 2006-05-19
KR100630432B1 KR100630432B1 (ko) 2006-10-02

Family

ID=3506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707A KR100630432B1 (ko) 2004-07-09 2005-07-08 부재 기울임 구조 및 미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32102B2 (ko)
EP (1) EP1630040B1 (ko)
JP (1) JP4289556B2 (ko)
KR (1) KR100630432B1 (ko)
CN (1) CN100336679C (ko)
DE (1) DE602005002992T2 (ko)
TW (1) TWI2704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4184B1 (en) * 1998-12-04 2005-09-13 Tekele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database node access control functionality in a communications network routing node
WO2008017063A2 (en) * 2006-08-03 2008-02-07 Inphase Technologies, Inc. Miniature single actuator scanner for angle multiplexing with circularizing and pitch correction capability
US7532374B2 (en) * 2006-08-28 2009-05-12 Inphase Technologies, Inc. Shift tolerant lens optimized for phase conjugating holographic systems
WO2008042552A2 (en) * 2006-09-29 2008-04-10 Inphase Technologies, Inc. Magnetic field position feedback for holographic storage scanner
US20080239428A1 (en) * 2007-04-02 2008-10-02 Inphase Technologies, Inc. Non-ft plane angular filters
US8141782B2 (en) * 2007-07-10 2012-03-27 Inphase Technologies, Inc. Dual-use media card connector for backwards compatible holographic media card
JP2010533341A (ja) * 2007-07-10 2010-10-21 インフェイズ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ホログラフィック媒体の二重用途媒体カードコネクタとの後方互換可能化
NL1034697C2 (nl) * 2007-11-14 2009-05-20 Mci Mirror Controls Int Nl Bv Montageconstructie voor een buitenspiegeleenheid.
EP2517930B1 (en) * 2011-04-28 2015-11-04 Fico Mirrors, S.A. Mirror support and device to adjust the orientation of a mirror
US8657249B2 (en) * 2011-08-16 2014-02-25 Lang-Mekra North America, Llc Low profile pivoting detent joint for a vehicle mirror assembly
CN103802730B (zh) * 2014-02-25 2016-08-03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外后视镜档位机械机构
JP2016002878A (ja) * 2014-06-17 2016-01-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
CN107848463A (zh) * 2015-07-14 2018-03-27 株式会社东海理化电机制作所 车辆用目视确认装置
JP6666773B2 (ja) * 2016-03-31 2020-03-18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視認装置の視認角度調整機構
IT201900006822A1 (it) * 2019-05-14 2020-11-14 Lumatech S R L Retrovisore per veicolo.
JP7450498B2 (ja) * 2020-09-04 2024-03-15 株式会社ペンストン 車両用サイドミラー
CN115095599B (zh) * 2022-08-01 2024-04-30 重庆巅慧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偏转角度大抗振动能力强的双轴十字交叉簧铰链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98382B (de) * 1957-11-27 1961-01-26 Lemfoerder Metallwarengesellsc Abdichtung fuer Kugelgelenke, insbesondere wartungsfreie Gelenke fuer Lenkgestaenge von Kraftfahrzeugen
US4347014A (en) * 1979-07-30 1982-08-31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Hemispherical ball and socket joint
US4636045A (en) * 1983-09-01 1987-01-13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Manual adjusting device for tiltable outer mirror
IT217145Z2 (it) * 1989-07-14 1991-11-12 Peano Pmp Sas Specchietto retrovisore per autoveicoli a comando elettrico
KR950002901B1 (ko) * 1990-06-04 1995-03-28 브리탁스 레인즈포즈 피리와이 리미티드 스피곳형 분리거울
DE9111108U1 (de) * 1991-09-07 1991-11-21 Eugen Zipperle GmbH & Co KG, 7144 Asperg Innenrückblickspiegel für Kraftfahrzeuge
JPH08510194A (ja) * 1993-05-12 1996-10-29 ユナイテッド テクノロジーズ オートモーテイブ,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手動調整機構を備えた自動車用の外部ミラー組立体
JPH0911795A (ja) * 1995-06-29 1997-01-14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970044661A (ko) * 1995-12-30 1997-07-26 전성원 연료 분사량 제어장치
WO2000025164A1 (en) * 1998-10-23 2000-05-04 Magna Mirror Systems Inc. Shape memory alloy rearview mirror
US6082139A (en) * 1998-12-30 2000-07-04 Davidziak; Andre Jewelry article with universally moveable appendages
US6213612B1 (en) * 1999-01-11 2001-04-10 Donnelly Corporation Mirror actuator electrical connector
CN1212946C (zh) * 2001-10-02 2005-08-03 市光工业株式会社 车辆用镜装置
JP3911157B2 (ja) * 2001-12-25 2007-05-09 株式会社村上開明堂 傾動挟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18479A (zh) 2006-01-11
JP2006021704A (ja) 2006-01-26
CN100336679C (zh) 2007-09-12
EP1630040B1 (en) 2007-10-24
JP4289556B2 (ja) 2009-07-01
DE602005002992T2 (de) 2008-08-07
DE602005002992D1 (de) 2007-12-06
US20060006305A1 (en) 2006-01-12
TWI270484B (en) 2007-01-11
EP1630040A1 (en) 2006-03-01
TW200606047A (en) 2006-02-16
US7232102B2 (en) 2007-06-19
KR100630432B1 (ko) 2006-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432B1 (ko) 부재 기울임 구조 및 미러 시스템
US4135694A (en) Pivot support bracket
EP2514982B1 (en) Ball joint
JPS6348733B2 (ko)
US6857754B2 (en) Adjustment device of electric power mirrors
JP5717933B2 (ja) ヒンジ機構およびパネル装置
CN112399056B (zh) 拍摄设备
EP0269081B1 (en) Supporting device of a mirror element for a rearview mirror
WO2006040803A1 (ja) 鏡面角度調整装置
KR100330065B1 (ko) 엘.씨.디 모니터용 힌지 어셈블리
JP3929787B2 (ja) プリンタ用操作盤の支持装置
CN219054406U (zh) 一种魔方机器人
JPS6357352A (ja) 自動車用ミラ−装置
KR100497969B1 (ko)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EP0554909A2 (en) Brake caliper support structure for a bicycle
CN212055461U (zh) 转动防脱机构和后视镜
JP4502695B2 (ja) 電子機器の支持装置
JP3842797B2 (ja) ディスプレイの支持装置
KR100525202B1 (ko) 자동차의 틸트 스티어링 장치
KR101278765B1 (ko) 자동차의 틸트식 조향컬럼
CN115343818A (zh) 一种倍率镜安装架
JP6693157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527899B1 (ko) 스티어링 컬럼의 경사조절장치
JP2005329840A5 (ko)
JPH09236959A (ja) 機器の静止時の支持用フ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