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894A - 전원 콘센트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콘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894A
KR20060048894A KR1020050069186A KR20050069186A KR20060048894A KR 20060048894 A KR20060048894 A KR 20060048894A KR 1020050069186 A KR1020050069186 A KR 1020050069186A KR 20050069186 A KR20050069186 A KR 20050069186A KR 20060048894 A KR20060048894 A KR 20060048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ircuit board
hole
partition wall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2835B1 (ko
Inventor
아츠시 요시다
코지 미즈노
Original Assignee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24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489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24601A external-priority patent/JP43901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24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901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24600A external-priority patent/JP439010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01R33/7678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having a separated part for spark pre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센서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음과 함께 센서와 수용 날과의 절연 거리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해결 수단
플러그 삽입구(6, 6) 사이에 투과구멍(7)을 형성하고, 투과구멍(7)의 안쪽에 플러그 날 사이에 발생하는 불꽃 방전을 검지하는 센서(16)를 배설하였다. 센서(16)는 수용 날(17, 17) 사이에 절연성의 격벽(13)을 기립 배치하여 그 내부에 수용하고, 센서의 일부가 상기 투과구멍에 면하도록 배치하였다. 콘센트 케이스는 수용 날(17)의 장착부 및 격벽(13)을 구비하는 중간 베이스체(5)와, 회로 기판(22)과 중간 베이스체(5)를 지지하는 본체(3)와, 본체(3)의 앞면을 덮는 커버체(4)로 형성되어 있다.
콘센트, 소켓

Description

전원 콘센트 장치{ELECTRIC SOCKE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전원 콘센트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중간 베이스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센서 부착부의 구성의 변경예를 도시한 전원 콘센트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중간 베이스체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센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센서의 부착 구조를 도시한 전원 콘센트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센서 부착부의 구성의 변경예를 도시한 전원 콘센트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센서 부착부의 구성의 변경예를 도시한 전원 콘센트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전원 콘센트 장치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부싱의 사시도.
도 12는 투과구멍 및 부싱의 변경예를 도시한 전원 콘센트 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a)는 전원 콘센트 장치의 정면도, (b)는 J부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a)는 전원 콘센트 장치의 정면도, (b)는 F부 확대도.
도 15의 (a)는 도 14의 C-C선 단면도, (b)는 G부 확대도.
도 16은 도 14의 부싱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a)는 전원 콘센트 장치의 정면도, (b)는 H부 확대도.
도 18은 (a)는 도 17의 D-D선 단면도, (b)는 I부 확대도.
도 19는 도 17의 부싱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전원 콘센트 장치의 정면도.
도 21은 도 20의 E-E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콘센트 케이스 3 : 본체
4 : 커버체 5 : 중간 베이스체
6 : 플러그 삽입구 7 : 투과구멍
13 : 격벽 14 : 구멍
15 : 센서 삽입구 16 : 센서
17 : 수용 날 30 : 격벽
52 : 콘센트 케이스 56 : 플러그 삽입구
57 : 투과구멍 62 : 수용 날
63 : 부싱 64 : 검출 구멍
67 : 센서 70 : 부싱
71 : 간극 72 : 센서
74 : 부싱 82 : 콘센트 케이스
86 : 플러그 삽입구 87 : 투과구멍
92 : 수용 날 93 : 투수체
97 : 센서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트래킹에 이르기 전에 발생하는 불꽃 방전을 검지하여 트래킹의 발생을 방지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종래, 트래킹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 콘센트 장치로서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의 기술은 전원 콘센트 장치 앞면의 플러그 삽입구에 도전판을 배치하고, 일단은 표면에서 돌출시키고, 또 일단은 어스 단자에 접속 시킴으로써, 트래킹에 이르기 전에 플러그 날 사이에 발생하는 누설 전류를 도전판을 통하여 어스 단자에 흐르게 하고, 누전 차단기에 누전 전류로서 검지시켜 전로(電路)를 차단시키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전원 콘센트 장치는 센서로서의 도전판이 전원 콘센트 장치의 커버 표면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도전성의 물체가 접촉한 때에 오동작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용자의 손(手) 등이 센서에 접촉되는 것도 고려되어, 바람직한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특허 문헌 2에서 센서를 전원 콘센트 장치의 커버 표면에 노출시키지 않고 투과구멍을 마련하여 트래킹 현상의 원인이 되는 플러그 날 사이의 불꽃 방전(신틸레이션)을 커버의 내측에서 검출할 수 있는 전원 콘센트 장치를 제안하였다. 이 전원 콘센트 장치는 센서의 마련 구조로서 커버 이면에 센서를 배치하고, 해당 센서의 배부(背部)를 수지 등의 절연체에 의해 덮어 고정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2001-35599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2004-327247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2의 구성은 좁은 스페이스에서 세밀한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다는 결점이 있고, 센서와 회로 기판의 접속은 리드 선을 통하여 행하고 있기 때문에 솔더링을 행할 필요가 있어 번거로웠다.
또한, 커버에 형성되는 투과구멍은 물이나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또한 센서로부터의 출력 전류를 작게 하여 앰프 회로의 부하를 경감하기 때문에,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2의 전원 콘센트 장치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제작된 커버의 성형성의 특성 때문에 투과구멍은 직경 0.5㎜ 정도가 한계이고, 투과구멍을 작게 하면 성형성이 나빠지고, 생산성이 악화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센서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음과 함께, 투과구멍을 한계까지 작게 형성하는 일 없이 양호한 방전 검지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전원 콘센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은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한 콘센트 케이스의 앞면에 한 쌍의 플러그 삽입구를 적어도 1개 구비함과 함께,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내측에 플러그의 날을 끼워 지지하는 쌍을 이루는 수용 날을 배설하고, 또한 콘센트 케이스 앞면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투과구멍을 가지며, 해당 투과구멍의 안쪽에 상기 플러그의 날 사이에 발생하는 불꽃 방전을 검지하는 센서를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날 사이에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격벽을 기립 배치하고, 해당 격벽 내에 상기 센서를 수용하고, 해당 센서의 일부를 상기 투과구멍에 면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센서는 접착 조작하는 일 없이 부착할 수 있고, 부착을 용 이하게 할 수 있다.
제 2항의 발명은,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콘센트 케이스는 수용 날 장착부 및 상기 격벽을 가지며, 센서를 지지하는 중간 베이스체와, 회로 기판 및 상기 중간 베이스체를 지지하는 본체와, 해당 본체의 앞면을 덮고 플러그 삽입구를 갖는 커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구성에 의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항의 발명은,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센서는 상기 격벽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구성에 의해 센서의 부착 작업을 없앨 수 있다.
제 4항의 발명은,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센서는 상기 격벽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구성에 의해 센서의 부착 작업을 없앨 수 있다.
제 5항의 발명은,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격벽에 센서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해당 센서 삽입구멍에 상기 센서를 삽입시켜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구성에 의해 삽입에 의해 센서를 부착할 수 있고, 센서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6항의 발명은,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격벽에 센서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해당 센서 삽입구멍에 상기 센서를 삽입시켜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구성에 의해 삽입에 의해 센서를 부착할 수 있고, 센서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7항의 발명은,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해당 회로 기판에 마련한 삽입부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구성에 의해 센서와 회로 기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8항의 발명은, 제 3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해당 회로 기판에 마련한 삽입부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발명에 의해, 센서와 회로 기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9항의 발명은, 제 4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해당 회로 기판에 마련한 삽입부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구성에 의해 센서와 회로 기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0항의 발명은, 제 5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해당 회로 기판에 마련한 삽입부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구성에 의해 센서와 회로 기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1항의 발명은, 제 6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해당 회로 기판에 마련한 삽입부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구성에 의해 센서와 회로 기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2항의 발명은,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상기 센서 후단 및 상기 회로 기판측의 센서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양자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발명의 구성에 의해 센서와 회로 기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3항의 발명은, 제 3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상기 센서 후단 및 상기 회로 기판측의 센서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양자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구성에 의해 센서와 회로 기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4항의 발명은, 제 4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상기 센서 후단 및 상기 회로 기판측의 센서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양자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구성에 의해 센서와 회로 기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5항의 발명은, 제 5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상기 센서 후단 및 상기 회로 기판측의 센서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양자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구성에 의해 센서와 회로 기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6항의 발명은, 제 6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상기 센서 후단 및 상기 회로 기판측의 센서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양자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구성에 의해, 센서와 회로 기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7항의 발명은,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한 콘센트 케이스의 앞면에 한 쌍의 플러그 삽입구를 적어도 1개 구비함과 함께,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내측에 플러그의 날을 끼워 지지하는 쌍을 이루는 수용 날을 배설하고, 또한 콘센트 케이스 앞면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투과구멍을 가지며, 해당 투과구멍의 안쪽에 상기 플러그의 날 사이에 발생하는 불꽃 방전을 검지하는 센서를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과구멍에는, 탄성을 갖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부싱이 압입됨과 함께, 해당 부싱은 압입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관통구멍을 가지며, 해당 관통구멍에 의해 상기 콘센트 케이스 표면과 상기 센서를 연통시켜 상기 센서가 불꽃 방전을 검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투과구멍을 한계까지 작게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콘센트 케이스의 성형성이 좋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검출 구멍의 구멍 지름을 작게 할 수 있고, 부싱은 탄성을 갖기 때문에 검출 구멍의 청소가 하기 쉽다. 또한, 부싱에 검출 구멍을 다수 형성하면, 불꽃 방전의 검지 범위를 확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8항의 발명은,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한 콘센트 케이스의 앞면에 한 쌍의 플러그 삽입구를 적어도 1개 구비하고,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내측에 플러그의 날을 끼워 지지하는 쌍을 이루는 수용 날을 배설하고, 또한 콘센트 케이스 앞면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투과구멍을 가지며, 해당 투과구멍의 안쪽에 상기 플러그의 날 사이에 발생하는 불꽃 방전을 검지하는 센서를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과구멍에는 탄성을 갖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부싱이 압입됨과 함께, 해당 부싱과 상기 투과구멍의 접촉면의 적어도 1개소에 간극을 가지며, 해당 간극에 의해 상기 콘센트 케이스 표면과 상기 센서를 연통시켜 상기 센서가 불꽃 방전을 검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투과구멍을 한계까지 작게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콘센트 케이스의 성형성이 좋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불꽃 방전을 검지하기 위한 간극은 용이하게 작게 할 수 있고, 부싱은 탄성을 갖기 때문에 간극의 청소가 용이하다.
제 19항의 발명은,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한 콘센트 케이스의 앞면에 한 쌍의 플러그 삽입구를 적어도 1개 구비하고,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내측에 플러그의 날을 끼워 지지하는 쌍을 이루는 수용 날을 배설하고, 또한 콘센트 케이스 앞면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투과구멍을 가지며, 해당 투과구멍의 안쪽에 상기 플러그의 날 사이에 발생하는 불꽃 방전을 검지하는 센서를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과구멍에는 절연성의 투수체(透水體)로 이루어지는 부싱이 매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투과구멍을 한계까지 작게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콘센트 케이스의 성형성이 좋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면(面)에서 검출하기 때문에 불꽃 방전의 검출 범위를 확대할 수 있고, 표면을 닦아도 검출부가 막히는 일이 없고 청소가 용이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원 콘센트 장치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그 A-A선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원 콘센트 장치(1)의 콘센트 케이스(2)는 앞면을 개구한 본체(3)와, 본체(3)의 앞면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부착되는 커버체(4)와, 본체(3)와 커버체(4)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중간 베이스체(5)로 구성되어 있다. 이 콘센트 케이스(2)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는 누전 검출 회로 및 전로를 차단하는 브레이커 등이 조립되어 있다.
커버체(4)는, 앞면에 플러그의 날(도시 생략)을 삽입하기 위한 한 쌍의 플러그 삽입구(6, 6)가 중앙과 하부의 2개소에 형성되고, 각각의 플러그 삽입구(6, 6) 사이의 중간 위치에 투과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4)의 상부에는, 트래킹시에 차단 동작한 브레이커의 복귀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 핸들(8), 누전 발생이나 트래킹 발생 등을 표시하는 표시 램프(9), 누전 차단 동작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버튼(10)을 구비하고 있다.
중간 베이스체(5)는, 도 3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고, 직사각형 판부(11)의 전둘레에 세움부(12)가 형성되고, 짧은 변 방향의 중간 위치에 커버체(4)의 이면까지 늘어나는 격벽(13)이 형성된다. 격벽(13)의 전단에는 커버체(4)의 투과구멍(7)과 대향하는 위치에 구멍(14)이 형성되고, 격벽(13)의 후단에는 구멍(14)에 연속하는 센서 삽입구멍(15)이 형성된다. 이 센서 삽입구멍(15)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센서(16)가 삽입되고, 센서(16)의 선단이 구멍(14)에 면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센서(16)의 후단은 중간 베이스체(5)의 배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센서(16)의 일부는 구멍(14)을 통하여 투과구멍(7)을 바라보도록 설치되고, 플러그의 날 사이에 발생하는 불꽃 방전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격벽(13)을 통하여 좌우 양측에는 플러그의 날을 끼워 지지하는 수용 날(17)이 세움부(12)와 격벽(13)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각각 배치되고, 상하의 수용 날(17) 끼리는 동극(同極)이기 때문에 연결부(1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수용 날(17)에는 분전반 등으로부터 늘어나는 케이블(19)이 접속되는 본체(3)의 삽입 단자(20)에 접속된 전선(21)이나 후술하는 회로 기판(22)에 일단이 접속된 전원용의 전선(23)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센서(16)는 격벽(13)에 인서트 성형하면, 장착의 수고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센서(16)는 금속판이 아니라도 도전 부재이면 좋다.
한편, 중간 베이스체(5)의 배부(背部)에 형성된 공간에는, 트래킹 검출 회로나 전원 회로 등의 각종 회로를 실장한 회로 기판(22)이 중간 베이스체(5)의 직사각형 판부(11)와 평행하게 수납되어 있다. 회로 기판(22)에는 일단이 센서(16)에 접속된 리드선(24)의 타단이 접속되고, 트래킹 검출 회로와 센서(1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중간 베이스체(5)의 상방에 형성된 공간에는, 브레이커(도시 생략)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전원 콘센트 장치(1)는, 다음과 같이 트래킹 검출 동작을 한다. 수용 날(17, 17)에 접속된 플러그의 날 사이에 먼지 등이 쌓이고, 이 먼지에 공기중의 습기를 흡수하면, 수분을 통하여 플러그의 날 사이에 미소한 전류가 흐른다. 이와 같이 하여 전하를 띤 수분이 기화(氣化)하면 불꽃 방전이 발생한다. 그리고, 발생한 불꽃 방전이 투과구멍(7)으로부터 진입하여 센서(16)에 접촉하면 미소한 전류가 센서(16)에 흐른다. 이 센서(16)의 출력 전류로부터 트래킹 검출 회로는, 트 래킹을 검출(정확하게는, 트래킹의 원인이 되는 불꽃 방전의 발생을 검지)하여 브레이커를 작동시킴과 함께, 표시 램프(9)에 의해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트래킹 발생 전에 생기는 불꽃 방전을 검지하여 콘센트 출력을 정지한다. 그리고, 센서는 중간 베이스체의 격벽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좋고, 센서의 부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센서와 수용 날과의 절연 거리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16)의 선단이 격벽(13)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도 4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16)의 선단을 격벽(13)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도 5는 센서(16)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의 센서(16)의 부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원 콘센트 장치 단면도이다. 센서(16)는 개략 ㄷ자 모양으로 펀칭된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2개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뒷 부분에는 중간 베이스체(5)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단자(16a)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회로 기판(22)의 앞면에는, 센서(16)의 단자(16a)와 대향하는 위치에 삽입 단자(27)가 마련되고, 센서(16)의 단자(16a)를 삽입 단자(27)에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회로 기판(22)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도 2, 도 3과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단자 구조로 하면, 삽입 조작만으로 센서와 회로 기판을 접속할 수 있고, 접속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5에서는 센서(16)는 2개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삽입 단 자(27)는 하나면 좋지만, 센서(16)를 수용 날(17)마다 하나씩 마련한 경우, 삽입 단자(27)의 수는 센서(16)의 수만큼 필요해진다.
도 7의 전원 콘센트 장치 단면도는, 센서 부착부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서는 센서(16)의 후단이 중간 베이스체(5)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고, 회로 기판(22)의 센서(16)의 후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탄성 변형 가능한 판스프링 형상의 접속 단자(2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2, 도 3과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로써, 전원 콘센트 장치(1)를 조립하면, 센서(16)의 후단이 접속 단자(28)에 접촉하고, 회로 기판(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센서와 회로 기판과의 접속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센서(16)의 후단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회로 기판(22)의 접속 단자(28)에 접촉시켜 양자를 접속시켜도 좋고, 쌍방을 탄성 변형시켜 접속하여도 좋다.
도 8의 전원 콘센트 장치 단면도는, 센서 부착부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서는, 커버체(4)의 이면에 격벽(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베이스체(5)의 짧은 변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관통구멍(31)이 형성되고, 조립시에 격벽(30)이 관통구멍(31)에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6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로써, 격벽의 구멍과 커버체의 투과구멍이 어긋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플러그(17)가 2개 접속할 수 있는 2구(口) 전원 콘센트 장치이지만, 1구 전원 콘센트 장치나 복수의 플러그가 접속할 수 있는 연장 탭 등이라도 좋고, 또한, 브레이커를 내장하여 전로를 차단하게 되어 있지만 트래킹 검출시의 동작에 관해 한정은 없다. 또한, 중간 베이스를 본체와 일체로 형성하는 등, 전원 콘센트 장치의 형상, 구조 및 기능 등,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실시 형태>
도 9, 도 10은 본 발명의 전원 콘센트 장치의 제 2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도 9는 정면도, 도 10은 B-B선 단면도이다. 전원 콘센트 장치(1)의 콘센트 케이스(52)는 앞면을 개구한 본체(53)와, 본체(53)의 앞면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부착되는 커버체(54)와, 본체(53)와 커버체(54)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중간 베이스체(55)로 구성된다. 이 콘센트 케이스(52)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는 누전 검출 회로 및 전로를 차단하는 브레이커 등이 조립되어 있다.
커버체(54)는, 앞면에 플러그의 날(도시 생략)을 삽입하기 위한 한 쌍의 플러그 삽입구(56, 56)가 중앙과 하부의 2개소에 형성되고, 각각의 플러그 삽입구(56, 56) 사이의 중간 위치에 투과구멍(57)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체(54)의 상부에는, 트래킹시에 차단 동작한 브레이커의 복귀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 핸들(58), 누전 발생이나 트래킹 발생 등을 표시하는 표시 램프(59), 누전 차단 동작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버튼(60)을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삽입구(56)의 내측에는 플러그의 날을 끼워 지지하는 수용 날(62)이 배설되고, 투과구멍(57)에는 도 11의 사시도에 도시한 부싱(63)이 부착된다. 부싱 (63)은 탄성을 갖는 연질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투과구멍(57)의 형상보다 외형이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투과구멍(57)에 맞추어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축상에 검출 구멍(6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단부가 투과구멍(57)에 확실하게 밀착하도록 플랜지부(63a)가 마련되어 있다.
이 부싱(63)은, 검출 구멍(64)에 의해 콘센트 케이스(52) 표면과 후술하는 센서(67)가 연통되도록 투과구멍(57)에 압입하여 장착되어 있다.
콘센트 케이스(52)의 내부에는, 투과구멍(57)의 내측에 센서(67)가 배설되어 있다. 센서(67)는 금속편 등의 도전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콘센트 케이스(52)의 내부에 배설된 회로 기판(68)의 트래킹 검출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전원 콘센트 장치(1)는, 다음과 같이 트래킹 검출 동작을 한다. 수용 날(62, 62)에 접속된 플러그의 날 사이에 먼지 등이 쌓이고, 이 먼지에 공기중의 습기를 흡수하면, 수분을 통하여 플러그의 날 사이에 미소한 전류가 흐른다. 이와 같이 하여 전하를 띤 수분이 기화하면 불꽃 방전이 발생한다. 그리고, 발생한 불꽃 방전이 투과구멍(57)에 마련한 부싱(63)의 검출 구멍(64)으로부터 진입하여 센서(67)에 접촉하면, 미소한 전류가 센서(67)에 흐른다. 이 센서(67)의 출력 전류로부터 트래킹 검출 회로는 트래킹을 검출하여 브레이커를 작동시켜 전로를 차단함과 함께 표시 램프(59)에 의해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검출 구멍을 갖는 부싱을 투과구멍에 장착하기 때문에, 투과구멍을 한계까지 작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고, 콘센트 케이스의 성형성을 개선할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검출 구멍의 구멍 지름은 용이하게 작게 할 수 있 고, 예를 들면 압입하여 장착함에 의해 부싱의 외형이 줄어드는 것을 이용하여 0.1㎜ 정도로 할 수 있다. 더구나, 부싱은 탄성을 갖기 때문에, 검출 구멍이 먼지 등으로 막혀 버린 경우에도 검출 구멍의 구멍 지름보다 조금 직경이 큰 바늘(針)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전원 콘센트 장치를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J부 확대도이다. 상기 도 9에 도시한 제 2 실시 형태와는 부싱(63)에 복수의 검출 구멍(64)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부싱에 검출 구멍을 다수 형성하면, 불꽃 방전을 면(面)으로 검지할 수 있고, 검지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및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 투과구멍(57)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부싱(63)을 거의 원주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과구멍(57) 및 부싱(63)은 한쪽 단을 지름을 넓힌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긴 구멍 형상이라도 좋고, 콘센트 케이스(52)의 투과구멍 및 부싱의 형상에 관해 한정은 없다.
<제 4 실시 형태>
도 14,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도 14의 (a)는 전원 콘센트 장치의 정면도, 도 14의 (b)는 F부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15의 (a)는 C-C선 단면도, 도 15의 (b)는 G부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에 도시한 제 2 실시 형태와는, 투과구멍(57) 및 부싱(70)의 구성, 또한 센서(72)의 형상이 다르다. 부싱(70)은 절연 재료에 의해 투과구멍(57)의 형상보다 외형이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도 16은 이 부싱(70)의 사시도이고, 투과구멍(57)에 맞추어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 단부의 주위에 계지 돌기(7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싱(70)을 투과구멍(57)에 삽입하면 계지 돌기(70a)가 투과구멍(57)의 단연(端緣)에 계지함에 의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도 9, 10에 도시한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부싱(70)을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부싱(70)의 주위가 되는 투과구멍(57)과 부싱(70)의 사이에, 콘센트 케이스(2)의 외면과 콘센트 케이스(2)의 내면을 연통시키는 간극(71)이 만들어지고, 후술하는 센서(67)가 불꽃 방전을 검출할 때의 구멍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센서(72)의 부싱(70)에 대치(對峙)하는 선단은 간극(71)의 형상에 맞추어 평탄하게 형성되고, 면으로 불꽃 방전을 검지 가능하게 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전원 콘센트 장치(1)의 트래킹 검출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수용 날(62, 62)에 접속된 플러그의 날 사이에 쌓인 먼지와 습기로 트래킹의 원인이 되는 불꽃 방전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불꽃 방전이 투과구멍(57)과 부싱(70)과의 간극(71)으로부터 진입하여 센서(72)에 접촉하면 미소한 전류가 흐른다. 이 센서(72)의 출력 전류로부터 트래킹 검출 회로는 트래킹을 검출하고, 콘센트 케이스(52)에 내장한 브레이커를 작동시켜 전로를 차단함과 함께 표시 램프(59)에 의해 표시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투과구멍에 부싱을 부착함에 의해 투과구멍의 구멍 지름을 작게 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콘센트 케이스의 성형성이 좋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센서의 검출용의 구멍으로서 이용하는 투과구멍과 부싱의 간극은 용이하게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제 5 실시 형태>
도 17,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도 17의 (a)는 전원 콘센트 장치의 정면도, 도 17의 (b)는 F부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18의 (a)는 D-D선 단면도, 도 18의 (b)는 I부 확대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14에 도시한 제 4 실시 형태와는, 주로 부싱(74) 형상이 다르다. 또한, 제 4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부싱(74)은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도 19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부싱(74)은 투과구멍(5)과 거의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부싱(74)의 투과구멍(57)과 접촉하는 면에 삽입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홈(7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74b)에 의해, 부싱(74)과 투과구멍(57)의 접촉면에 간극(71)이 형성되고, 간극(71)으로부터 불꽃 방전이 진입하여 센서(72)에 접촉하면 미소한 전류가 흐른다. 이 센서(72)의 출력 전류로부터 트래킹 검출 회로는 트래킹을 검출하고, 콘센트 케이스(52)에 내장한 브레이커를 작동시켜 전로를 차단함과 함께 표시 램프(59)에 의해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투과구멍에 부싱을 부착함에 의해 투과구멍의 구멍 지름은 작게 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콘센트 케이스의 성형성이 좋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센서의 검출용의 구멍으로서 이용하는 투과구멍과 부싱의 간극은 용이하게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홈(74b)은 부싱(74)이 아니라 투과구멍(57)의 부싱(74)과 접촉하는 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홈(74b)의 갯수는 1개라도 좋다. 다만, 홈(74b)은 복수개로 하면 센서(72)의 검출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제 5 실시 형태는 투과구멍(57)을 원형으로 형성하였지만,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투과구멍(57) 및 부싱(74)의 양자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면 형상에 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부싱(74)의 부착 구조에 관해서도 접착하여 부착하여도 좋고, 압입하여 마련하여도 좋다.
<제 6 실시 형태>
도 20, 도 2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도 20은 전원 콘센트 장치의 정면도, 도 21은 E-E선 단면도이다. 전원 콘센트 장치(1)의 콘센트 케이스(82)는 앞면을 개구한 본체(83)와, 본체(83)의 앞면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부착되는 커버체(84)와, 본체(83)와 커버체(84)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중간 베이스체(85)로 구성되어 있다. 이 콘센트 케이스(82)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는 누전 검출 회로 및 전로를 차단하는 브레이커 등이 조립되어 있다.
커버체(84)는, 앞면에 플러그의 날(도시 생략)을 삽입하기 위한 한 쌍의 플 러그 삽입구(86, 86)가 중앙과 하부의 2개소에 형성되고, 각각의 플러그 삽입구(86, 86) 사이의 중간 위치에 투과구멍(8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84)의 상부에는, 트래킹시에 차단 동작한 브레이커의 복귀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 핸들(88), 누전 발생이나 트래킹 발생 등을 표시하는 표시 램프(89), 누전 차단 동작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버튼(90)을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삽입구(86)의 내측에는, 플러그의 날을 끼워 지지하는 수용 날(92)이 배설되고, 투과구멍(87)은 수용 날(92)의 긴변 방향으로 병행하여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투과구멍(87)에는 도 11의 사시도에 도시한 절연성의 투수체(93)가 부착된다. 투수체(93)는 투과구멍(87)의 형상보다 외형이 약간 크고, 투과구멍(87)에 맞추어 형성되고, 예를 들면, 나무나 스펀지나 섬유 등이 사용된다. 이 투수체(93)는 투과구멍(87)에 압입하여 장착되어 있다.
콘센트 케이스(82)의 내부에는, 투과구멍(87)의 내측인 투수체(93)의 이면에 센서(97)가 배설되어 있다. 센서(97)는 금속판 등의 도전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콘센트 케이스(82)의 내부에 배설된 회로 기판(98)의 트래킹 검출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전원 콘센트 장치(1)의 트래킹 검출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수용 날(92, 92)에 접속된 플러그의 날 사이에서, 먼지와 습기에 의해 트래킹의 원인이 되는 불꽃 방전이 발생하면, 이 불꽃 방전이 투수체(93)에 접촉한다. 이때, 투수체(93)도 습기를 띠고 도전성을 갖기 때문에, 투수체(6)를 통하여 센서(97)에 전류가 흐른다. 이 센서(92)의 출력 전류로부터, 트래킹 검출 회로는 트래킹을 검출하고, 콘센트 케이스(82)에 내장한 브레이커를 작동시켜 전로를 차단함과 함께 표시 램프(89)에 의해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투과구멍에 투수체를 부착하기 때문에, 투과구멍의 구멍 지름을 작게 형성할 필요가 없고, 콘센트 케이스의 성형성이 좋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투과구멍 전체로 불꽃 방전을 검지할 수 있고, 불꽃 방전의 검출 범위를 확대할 수 있고, 투수체의 표면을 닦아내는 것만으로 청소할 수 있어,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 형태에서는, 투과구멍을 세로가 길다란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예를 들면, 원형 형상이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벽면에 설치하는 벽면 콘센트 구조로 나타냈지만, 복수개의 플러그가 접속할 수 있는 테이블 탭 등의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브레이커를 내장하여 전로를 차단하게 되어 있지만 트래킹 검출시의 동작에 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 1항 내지 제 16항의 발명에 의하면, 불꽃 방전을 검출하는 센서의 부착 및 센서와 회로 기판과의 접속이 용이하고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 17 내지 19항의 발명에 의하면, 투과구멍을 한계까지 작게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콘센트 케이스의 성형성이 좋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Claims (19)

  1.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콘센트 케이스의 앞면에 한 쌍의 플러그 삽입구를 적어도 1개 구비함과 함께,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내측에 플러그의 날을 끼워 지지하는 쌍을 이루는 수용 날을 배설하고, 또한 콘센트 케이스 앞면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투과구멍을 가지며, 해당 투과구멍의 안쪽에 상기 플러그의 날 사이에 발생하는 불꽃 방전을 검지하는 센서를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날 사이에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격벽을 기립 배치하고, 해당 격벽 내에 상기 센서를 수용하고, 해당 센서의 일부를 상기 투과구멍에 면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콘센트 케이스는, 수용 날 장착부 및 상기 격벽을 가지며, 센서를 지지하는 중간 베이스체와, 회로 기판 및 상기 중간 베이스체를 지지하는 본체와, 해당 본체의 앞면을 덮고 플러그 삽입구를 갖는 커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격벽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격벽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센서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해당 센서 삽입구멍에 상기 센서를 삽입시켜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센서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해당 센서 삽입구멍에 상기 센서를 삽입시켜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해당 회로 기판에 마련한 삽입부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해당 회로 기판에 마련한 삽입부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해당 회로 기판에 마련한 삽입부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해당 회로 기판에 마련한 삽입부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 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해당 회로 기판에 마련한 삽입부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상기 센서 후단 및 상기 회로 기판측의 센서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양자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상기 센서 후단 및 상기 회로 기판측의 센서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양자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상기 센서 후단 및 상기 회로 기판측의 센서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양자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1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상기 센서 후단 및 상기 회로 기판측의 센서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양자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1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격벽의 후방에 상기 회로 기판을 배설하고, 상기 센서 후단을 상기 회로 기판까지 연장하고, 상기 센서 후단 및 상기 회로 기판측의 센서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양자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17.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한 콘센트 케이스의 앞면에 한 쌍의 플러그 삽입구를 적어도 1개 구비함과 함께,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내측에 플러그의 날을 끼워 지지하는 쌍을 이루는 수용 날을 배설하고, 또한 콘센트 케이스 앞면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투과구멍을 가지며, 해당 투과구멍의 안쪽에 상기 플러그의 날 사이에 발생하는 불꽃 방전을 검지하는 센서를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과구멍에는, 탄성을 갖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부싱이 압입됨과 함께, 해당 부싱은 압입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관통구멍을 가지며, 해당 관통구멍에 의해 상기 콘센트 케이스 표면과 상기 센서를 연통시켜 상기 센서가 불꽃 방전을 검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18.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한 콘센트 케이스의 앞면에 한 쌍의 플러그 삽입구를 적어도 1개 구비하고,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내측에 플러그의 날을 끼워 지지하는 쌍을 이루는 수용 날을 배설하고, 또한 콘센트 케이스 앞면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투과구멍을 가지며, 해당 투과구멍의 안쪽에 상기 플러그의 날 사이에 발생하는 불꽃 방전을 검지하는 센서를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과구멍에는, 탄성을 갖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부싱이 압입됨과 함께, 해당 부싱과 상기 투과구멍의 접촉면의 적어도 1개소에 간극을 가지며, 해당 간극에 의해 상기 콘센트 케이스 표면과 상기 센서를 연통시켜 상기 센서가 불꽃 방전을 검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19.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한 콘센트 케이스의 앞면에 한 쌍의 플러그 삽입구를 적어도 1개 구비하고,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내측에 플러그의 날을 끼워 지지하는 쌍을 이루는 수용 날을 배설하고, 또한 콘센트 케이스 앞면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투과구멍을 가지며, 해당 투과구멍의 안쪽에 상기 플러그의 날 사이에 발생 하는 불꽃 방전을 검지하는 센서를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과구멍에는, 절연성의 투수체로 이루어지는 부싱이 매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콘센트 장치.
KR1020050069186A 2004-07-30 2005-07-29 전원 콘센트 장치 KR100892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4598A JP2006048961A (ja) 2004-07-30 2004-07-30 電源コンセント
JPJP-P-2004-00224598 2004-07-30
JPJP-P-2004-00224600 2004-07-30
JPJP-P-2004-00224599 2004-07-30
JP2004224601A JP4390110B2 (ja) 2004-07-30 2004-07-30 電源コンセント
JP2004224599A JP4390108B2 (ja) 2004-07-30 2004-07-30 電源コンセント
JPJP-P-2004-00224601 2004-07-30
JP2004224600A JP4390109B2 (ja) 2004-07-30 2004-07-30 電源コンセ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894A true KR20060048894A (ko) 2006-05-18
KR100892835B1 KR100892835B1 (ko) 2009-04-10

Family

ID=3575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186A KR100892835B1 (ko) 2004-07-30 2005-07-29 전원 콘센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17147B2 (ko)
KR (1) KR100892835B1 (ko)
TW (1) TW2006184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79Y1 (ko) * 2008-02-04 2011-01-13 김용택 접촉 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6010B2 (en) * 2006-10-27 2010-02-23 Leviton Manufacturing Company, Inc. Modular wiring system with locking elements
US7955096B2 (en) * 2006-10-27 2011-06-07 Leviton Manufacturing Company, Inc. Modular wiring system with locking elements
JP4976865B2 (ja) * 2007-01-26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セント
AU2008247297B2 (en) * 2007-05-04 2011-10-06 Commscope Technologies Llc Power outlet
CA124948S (en) 2007-09-01 2008-10-20 Leviton Manufacturing Co Electrical connector for outlet box
CA125027S (en) 2007-09-24 2009-04-06 Leviton Manufacturing Co Quick connect electrical receptacle
US20090180261A1 (en) * 2008-01-15 2009-07-16 Leviton Manufacturing Company, Inc. Fault circuit interrupter disposed inside a housing adapted to receive modular components
US8371863B1 (en) 2011-07-29 2013-02-12 Leviton Manufacturing Company, Inc. Modular wiring system
CN104767059B (zh) * 2014-01-08 2018-02-13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拼装插头
CN106299894A (zh) * 2015-05-22 2017-01-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源连接器线缆组件
US9923323B2 (en) * 2015-10-30 2018-03-20 Apple Inc. Cable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7000215B2 (ja) * 2018-03-20 2022-01-19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電源コンセント
DE102018109530A1 (de) * 2018-04-20 2019-10-24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astfreien Trennen einer Steckverbind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525B2 (ja) * 1991-07-03 2001-07-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放電対策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用シールド装置
US5342208A (en) * 1992-02-19 1994-08-30 Nec Corporation Package connector apparatus
JPH09213425A (ja) * 1996-02-02 1997-08-15 Toyohiro Fujii トラッキング現象とそれによる事故を防止する 接地極
JP3329435B2 (ja) * 1996-08-07 2002-09-30 ホシデン株式会社 接続器
JP2001035599A (ja) 1999-07-23 2001-02-09 Fujikura Ltd アース端子ピン付き電源プラグの差し込み用コンセント
US6659783B2 (en) * 2001-08-01 2003-12-09 Tyco Electronics Corp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variable resistance to reduce arcing
US6799983B2 (en) * 2002-06-28 2004-10-05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ctrical connector with static discharge feature
JP2004055354A (ja) * 2002-07-19 2004-02-19 Espec Corp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接続治具および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接続構造
JP4205478B2 (ja) 2003-04-24 2009-01-07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電源コンセント
JP2005005218A (ja) * 2003-06-13 2005-01-06 Fujitsu Ltd 接続装置及び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79Y1 (ko) * 2008-02-04 2011-01-13 김용택 접촉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17147B2 (en) 2007-05-15
KR100892835B1 (ko) 2009-04-10
TWI331830B (ko) 2010-10-11
TW200618418A (en) 2006-06-01
US20060030183A1 (en)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835B1 (ko) 전원 콘센트 장치
JP4175402B2 (ja) 電気機器における導電性部材間の絶縁構造
KR101324446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JP6074711B2 (ja) ケーブル保持部材、電気的接続装置、コネクタ装置
KR20130103552A (ko) 전자장치용 접속구조
JPH0718381U (ja) コネクタ
KR10064682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dmb수신안테나용 동축커넥터
JP2006048961A (ja) 電源コンセント
JP4390108B2 (ja) 電源コンセント
JP4390109B2 (ja) 電源コンセント
JP6700094B2 (ja) プラグ
KR20090057063A (ko) 모터 전자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연결 지지부
EP3863125A1 (en) Spring connector
KR200355205Y1 (ko) 방수형 커넥터
JP2000030811A (ja) 個別ledモジュ―ル追加型の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4390110B2 (ja) 電源コンセント
JP6854547B2 (ja) プラグ
KR20110120744A (ko) 전선 접속용 커넥터
JP2006040884A (ja) 端子付きプリント配線基板
JP2005019053A (ja) 電気コネクタ
KR200230613Y1 (ko) 플러그조립체
KR0135574Y1 (ko) 전기 접속 장치
KR100229454B1 (ko) 와이어 프로텍터
GB2327125A (en) Gas sensor with electrical connection socket
JP2020035764A (ja) コンセン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