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574Y1 - 전기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574Y1
KR0135574Y1 KR2019960008572U KR19960008572U KR0135574Y1 KR 0135574 Y1 KR0135574 Y1 KR 0135574Y1 KR 2019960008572 U KR2019960008572 U KR 2019960008572U KR 19960008572 U KR19960008572 U KR 19960008572U KR 0135574 Y1 KR0135574 Y1 KR 01355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upper housing
lower housing
coupl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8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931U (ko
Inventor
유인모
Original Assignee
정기호
대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호, 대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기호
Priority to KR2019960008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574Y1/ko
Publication of KR9700599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9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5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5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접속구에는 금속의 접속단자와 접속편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탄성을 갖는 두 접속편을 통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의 중앙에는 부도체의 접속단락부를 형성 하면서 이의 양측에는 접속부를 위치시키면서 일체로 형성한 접속구를 통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형성된 삽입 돌기부와 돌기 관통부는 후면으로 형성된 돌기 삽입공와 볼트 관통공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면서 결합함으로써 복수개의 하우징의 결합은 물론, 별도의 측정이나 계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접속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전기 접속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삽입전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삽입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전기 접속 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하우징 4,14 : 접속단자
8a,17a : 삽입홈 9,18 : 삽입돌기 관통부
9a,18a : 볼트 관통공
본 고안은 전기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하우징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측정용 계기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또는 전기 접속장치는 암커넥터와 숫커넥터로 이루어져 기기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전기적인 신호를 상호 전달하도록한 것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종래의 커넥터 또는 전기 접속 장치는 암커넥터와 숫커넥터에 탄착편을 형성하고 이 탄착편에 걸릴 수 있는 암단자와 숫단자를 상기 암커넥터와 숫커넥터내에 설치하여 커넥터의 결합시 각 단자끼리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 접속 장치 또는 커넥터에 의하여서는, 단순히 전기나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 밖에 할 수 없었고, 또 복수개의 하우징을 일체로 결합할 수 없으며, 별도의 계기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없으므로 또 다른 커넥터나 전기 접속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순한 스위칭 역할에서 벗어나 복수개의 하우징의 결합은 물론, 별도의 측정이나 계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접속 장치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접속구에는 금속의 접속단자와 접속편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탄성을 갖는 두 접속편을 통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의 중앙에는 부도체의 접속단락부를 형성 하는 동시에 이의 양측에는 접속부를 위치시키면서 일체로 형성한 접속구를 통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형성된 삽입 돌기부와 돌기 관통부는 후면으로 형성된 돌기 삽입공과 볼트 관통공에 각각 삽입되도록 결합합으로써 복수개의 하우징의 결합은 물론, 별도의 측정이나 계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부 하우징(1)에 스큐루(20)로 고정 설치되는 접속구(2),(3)에는 케이블을 연결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접속구(2)에는 금속의 접속단자(4)와 접속편(5)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접속구(3)에는 금속의 접속단자(6)와 접속편(7)을 일체로 형성하여 탄성을 갖는 두 접속편(5),(7)을 통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1)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1)의 내부 중앙에는 금속으로 된 접속편(5),(7)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접속을 단락시킬 수 있는 부도체로 된 접속단락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단락부(12)의 양측에는 상기 금속의 접속단자(4),(6)에 각각 결합되는 접속부(13),(14)를 위치시키면서 이에 일체로 형성한 접속구(15),(16)를 통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상부 하우징(1) 및 하부 하우징(11)의 전면으로 각각 돌출형성된 삽입 돌기부(8),(17)는 후면으로 각각 형성된 돌기 삽입공(8a),(17a)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도록 하고, 상부 하우징(1) 및 하부 하우징(11)의 전면으로 각각 돌출형성된 돌기 관통부(9),(18)는 후면으로 각각 형성된 볼트 관통공(9a),(18a)에 삽입되면서 외부로부터 볼트(21), 너트(22)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상부 하우징(1) 및 하부 하우징(11)의 전면으로 돌출형성된 삽입 돌기부(8),(17)와 돌기 관통부(9),(18)를 후면으로 형성된 볼트 관통공(9a),(18a)과 돌기 삽입공(8a),(17a)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 후, 외부로부터 볼트(21), 너트(22)에 의해 체결하여 결합되도록 한 것으로,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하우징에(1)에 하부 하우징(11)을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된 접속단자(4)와 접속단자(6)는 접하지 않으므로 전기가 흐르지 않고, 탄성을 갖는 두 접속편(5),(7)을 통하여 전기가 흐르므로 접속구(2),(3)에 스큐루(20)에 의해 연결되는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하부 하우징(11)은 상부 하우징(1)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기가 전혀 흐르지 않는다.
한편, 상부 하우징(1)에 하부 하우징(11)을 결합한 경우에는 제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부 하우징(11)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접속단락부(12)가 상부 하우징(1)의 접속편(5),(7)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접속된 상태를 단락시키고, 상기 접속단락부(12)의 양측에 형성된 접속부(13),(14)가 상기 상부 하우징(1)의 접속단자(4),(6)에 각각 결합되면서 전기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접속부(13),(14)에 일체로 형성한 접속구(15),(16)를 통하여 전기가 흐르면서 이에 연결한 계측용 계기를 통해 측정이 가능함은 물론, 스위치 장치를 연결하여 전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부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접속구에는 금속의 접속단자와 접속편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탄성을 갖는 두 접속편을 통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의 중앙에는 부도체의 접속단락부를 형성하면서 이의 양측에는 접속부를 위치시키면서 일체로 형성한 접속구를 통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형성된 삽입 돌기부와 돌기 관통부는 후면으로 형성된 돌기 삽입공과 볼트 관통공에 각각 삽입되는 동시에 결합함으로써 복수개의 하우징의 결합은 물론, 별도의 측정이나 계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상부 하우징(1)의 접속구(2),(3)에는 접속단자(4),(6)와 접속편(5),(7)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탄성을 갖는 두 접속편(5),(7) 통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1)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1)의 내부 중앙에는 접속편(5),(7)의 접속을 단락시키는 부도체의 접속단락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단락부(12)의 양측에는 상기 금속의 접속단자(4),(6)에 각각 결합되는 접속부(13),(14)를 위치시키면서 이에 일체로 형성한 접속구(15),(16)를 통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 상부 하우징(1) 및 하부 하우징(11)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부(8),(17)는 후면으로 각각 형성된 돌기 삽입공 (8a),(17a)에 삽입되면서 결합하도록 하고, 상부 하우징(1) 및 하부 하우징(11)의 전면으로 각각 돌출형성된 돌기 관통부(9),(18)는 후면으로 각각 형성된 볼트 관통공(9a),(18a)에 삽입 되면서 외부로부터 볼트(21), 너트(22)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KR2019960008572U 1996-04-19 1996-04-19 전기 접속 장치 KR01355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572U KR0135574Y1 (ko) 1996-04-19 1996-04-19 전기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572U KR0135574Y1 (ko) 1996-04-19 1996-04-19 전기 접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931U KR970059931U (ko) 1997-11-10
KR0135574Y1 true KR0135574Y1 (ko) 1999-03-30

Family

ID=1945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8572U KR0135574Y1 (ko) 1996-04-19 1996-04-19 전기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5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243A (ko) 2015-08-07 2017-02-16 이해심 전기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243A (ko) 2015-08-07 2017-02-16 이해심 전기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931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6602A (en) Electrical jack
JPH09259964A (ja) 面接触コネクタ
MY116900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mproved retention means.
US5431585A (en) Car circuit adapter
KR960001068B1 (ko) 와이어 콘넥터(wire connecter)
US6383039B1 (en) Electrical connector
US4013330A (en) Dual-standard electric plug
EP1115178A3 (en) Connector for a cable and kit for assembling the same
US5906515A (en) Conductive plug device
US6753624B2 (en) Arc discharge prevention connector and arc discharge prevention circuit
US5513998A (en) Electrical plug assembly which accommodates multiple voltage
KR0135574Y1 (ko) 전기 접속 장치
US6743031B2 (en) Plug connector with a switch
US3516046A (en) Edg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NO985907L (no) HF-koaksial-vinkelkontakt
US5997356A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having card-biasing means
KR970077839A (ko) 컨넥터
KR890016709A (ko) 도체핀으로부터의 도체부재 언록킹 커넥터
JP2006048961A (ja) 電源コンセント
CN217768242U (zh) 一种断路器
HU209093B (en) Gear-shift lever particularly for the steering-post switch of vehicles
KR890002537Y1 (ko) 전선 접속 단자 장치
JPS5827491Y2 (ja) コンセント
US20020058427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for solderlessly electrically connecting to a printed circuit board
US5239145A (en) Pin j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