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793A -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793A
KR20060048793A KR1020050068209A KR20050068209A KR20060048793A KR 20060048793 A KR20060048793 A KR 20060048793A KR 1020050068209 A KR1020050068209 A KR 1020050068209A KR 20050068209 A KR20050068209 A KR 20050068209A KR 20060048793 A KR20060048793 A KR 20060048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fishing line
fixed shaft
guide
b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9189B1 (ko
Inventor
코지 오치아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60048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라인 롤러와 제1 베일 지지 부재 간에 줄이 빠지는 것을 막는 것과 함께 낚싯줄의 손상이나 절단을 방지한다.
[해결 수단] 베일 암(34)은 베일(41)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선단(先端)이 고정된 고정축(43)과, 고정축(43)에 지지된 라인 롤러(44)와, 고정축(43)을 덮는 고정축 커버(46)를 가지고 있다. 라인 롤러(44)는 안내부(44a)와, 안내부(44a)의 제1 베일 지지 부재(40) 측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라인 롤러(44) 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환상(環狀)의 제1 돌출부(40e)의 외주(外周)를 덮는 플랜지부(44f)를 가지고 있다.
스피닝 릴, 베일 암, 베일, 제1 베일 지지 부재, 고정축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상기 스피닝 릴의 정면도.
도 4는 베일 암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상기 베일 암의 요부 종단면도.
도 6은 상기 베일 암의 요부 횡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스풀 31: 제1 로터 암
32: 제2 로터 암 34: 베일 암
37: 줄 씹힘 방지부 40: 제1 베일 지지 부재
40a: 암부 40b: 장착부
40c: 관통공 40e: 제1 돌출부
42: 제2 베일 지지 부재 41: 베일
43: 고정축 44: 라인 롤러
44a: 안내부 44b, 44c: 베어링
44d: 제1 통상부 44e: 제2 통상부
44f: 플랜지부 46: 고정축 커버
46a: 관통공 46b: 오목부
46d: 제2 돌출부
본 발명은 낚싯줄 안내 기구 특히 제1 로터 암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先端)에 줄 안내 자세와 줄 개방 자세 간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에는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 기구는 제1 로터 암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장착되어 로터와 함께 회전하고 또한 줄 개방 자세와 줄 안내 자세 간에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낚싯줄 안내 기구는 제1 베일 지지 부재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와,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선단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축과, 고정축의 타단에 고정된 고정축 커버와, 고정축 커버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축에 장착된 베일과, 고정축에 지지된 라인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베일의 일단은 고정축 커버에 삽입되어 고정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베일의 타단은 제2 베일 지지 부재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 다.
이와 같은 낚싯줄 안내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에서는, 낚싯줄을 스풀에 감을 때에, 베일을 줄 안내 자세 측으로 요동시켜 핸들을 돌린다. 그렇게 하면, 낚싯줄은 베일로 유도되고 라인 롤러의 외주면(外周面)에 안내되어 접촉한다. 그리고 낚싯줄은 라인 롤러로 안내되고 방향이 바뀌어 스풀 외주에 감긴다.
이와 같은 낚싯줄 안내 기구에서는, 라인 롤러의 단부와 제1 베일 지지 부재 간의 간극으로 줄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고정축 커버와 대향하는 측에 환상(環狀)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돌출부의 내주부(內周部)에 라인 롤러의 단부가 덮여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308444호 공보
상기 종래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라인 롤러의 단부가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돌출부에 의하여 덮여 있기 때문에, 라인 롤러의 단부와 제1 베일 지지 부재 간의 간극에 낚싯줄이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드랙이 작용하여 낚싯줄이 강한 힘으로 끌려갈 때, 낚싯줄은 라인 롤러를 경유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돌출부에 접촉하면서 방출된다. 이와 같이, 낚싯줄이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돌출부에 접촉하면서 방출되면, 낚싯줄이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돌출부에 스쳐, 낚싯줄이 손상되거나 절단되어 버리거나 할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라인 롤러와 제1 베일 지지 부재 간에 줄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낚싯줄의 손상이나 절단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제1 로터 암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줄 안내 자세와 줄 개방 자세 간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제1 로터 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환상의 제1 돌출부가 형성된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베일 지지 부재와, 제1 베일 지지 부재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축과, 고정축의 타단에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고정축 커버와,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둘레면으로 낚싯줄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안내부의 제1 베일 지지 부재 측 단부에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제1 돌출부의 외주를 덮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라인 롤러와, 제2 베일 지지 부재와 적어도 고정축 및 고정축 커버 중 어느 하나에 양단이 고정되며 스풀의 둘레 방향 외방으로 만곡(彎曲)하여 배치되어 낚싯줄을 라인 롤러로 유도하는 베일을 구비하고 있다.
이 낚싯줄 안내 기구에서는, 라인 롤러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제1 돌출부의 외주를 덮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라인 롤러의 단부와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제1 돌출부 간의 간극에 낚싯줄이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드랙이 작용하여 낚싯줄이 강한 힘으로 끌려갈 때, 낚싯줄 은 라인 롤러의 안내부를 경유하여 라인 롤러의 플랜지부에 접촉하면서 방출된다. 이때, 낚싯줄의 방출 방향으로 라인 롤러가 회전하여 낚싯줄이 제1 베일 지지 부재에 스치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낚싯줄의 손상이나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 1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라인 롤러는 안내부의 제1 베일 지지 부재 측 단부로부터 축 방향 외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며 제1 돌출부의 내주에 덮이는 제1 통상부(筒狀部)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라인 롤러의 제1 통상부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제1 돌출부의 내주에 덮여 있기 때문에 낚싯줄이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 1 또는 2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고정축 커버는 제1 돌출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된 환상의 제2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라인 롤러는 안내부의 제2 베일 지지 부재 측 단부로부터 축 방향 외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며 제2 돌출부의 내주에 덮이는 제2 통상부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라인 롤러의 제2 통상부는 고정축 커버의 제2 돌출부의 내주에 덮여 있기 때문에 낚싯줄이 고정축 커버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다른 부분보다 고정축 돌출 방향으로 돌출하고, 플랜지부의 외주를 덮도록 배치되어 플랜지부와 제1 돌출부 간에 낚싯줄이 씹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줄 씹힘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 우, 라인 롤러의 플랜지부의 외주는 줄 씹힘 방지부에 의하여 덮여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와 제1 돌출부 간에 낚싯줄이 씹혀 들어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 4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줄 씹힘 방지부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줄 씹힘 방지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 4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줄 씹힘 방지부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부품 점수의 감소에 의하여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다른 부분보다 고정축 돌출 방향으로 돌출하고, 줄 씹힘 방지부와 연속하도록 일체 성형되어 줄이 팽팽히 당겨지지 않고 느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줄 늘어짐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이 약해져 제1 베일 지지 부재로부터 제1 로터 암 측으로 비집고 들어가는 줄의 늘어짐이 생겨도, 줄 늘어짐 방지부에 의하여 낚싯줄을 라인 롤러로 복귀시킬 수 있다.
<실시예>
〔전체 구성 및 릴 본체의 구성〕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과,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 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는 것이며,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핸들(1)은 T자상의 손잡이부(1a)와, 선단에 손잡이부(1a)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L자상의 크랭크 암(1b)을 가지고 있다.
릴 본체(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부에 개구(開口)를 가지는 릴 보디(2a)와, 릴 보디(2a)로부터 비스듬히 상전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T자상의 장대 장착 다리(2b)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기구 장착용의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공간 내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로터(3)의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 간에 배치되어 있고, 이 스풀(4)의 중심부가 스풀축(15)의 선단부에 드랙 기구(60, 도 2 참조)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축(10)과,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10)의 양단은 베어링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축(10)의 양단에는 나사 방향 및 직경이 다른 암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양 암나사부에 핸들(1)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2)의 전부는 로터 (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너트(33)에 의하여 로터(3)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12)의 축 방향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4)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5)의 대략 직하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나선축(21)과, 나선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선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려 있다.
〔로터의 구성〕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에 고정된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과,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낚싯줄 안내 기구로서의 베일 암(34)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고 일체 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선단 중심 부분이 전술한 바와 같이 너트(33)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의 선단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베일 암의 구성〕
베일 암(34)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의 선단에 줄 안내 자세와 줄 개방 자세 간에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의 선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를 가지고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제1 로터 암(31)의 외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제2 로터 암(32)의 내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를 연결하는 베일(41)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선단이 고정된 고정축(43, 도 5 참조)과, 고정축(43)에 지지된 라인 롤러(44)와, 고정축(43)을 덮는 고정축 커버(46)를 더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고정축 커버(46), 베일(4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의 외형이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스테인리스 합금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 암(31)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암부(40a)와, 암부(40a)의 선단에 일체 성형된 링상의 장착부(40b)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40b)에는 단붙이 관통공(40c, 도 5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40c)에는 고정축(43)을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볼트(52)가 관통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공(40c)의 선단 주연부(周緣部)에는, 후술하는 고정축(43)의 제1 계합부(43d)가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 가능한 2개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제1 피계합부(40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축(43) 측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제1 돌출부(40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 와 같이, 암부(40a) 선단의 측부 내측 부분이 라인 롤러(44)의 외주를 따라 다른 부분보다 돌출하여 형성되고, 플랜지부(44f)와 제1 돌출부(40e) 간에 낚싯줄이 씹히는 것을 방지하는 줄 씹힘 방지부(37)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줄 씹힘 방지부(37)는 암부(40a)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융기하여 형성되어 있고,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라인 롤러(44)의 플랜지부(44f)의 외주부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베일(41)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베일 지지 부재(42) 및 고정축 커버(46)에 양단이 고정된 철사상의 스테인리스 합금제 부재이며, 스풀(4)의 둘레 방향 외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배치되어 있다. 베일(41)은 베일 암(34)이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안내 자세로 복귀하였을 때에 낚싯줄을 라인 롤러(44)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베일(4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축 커버(46)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고정축(43)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축 커버(46)와 별체로 형성된 볼트 형상의 부재이다. 고정축(43)은 고정축 커버(46) 장착 측으로부터 제1 베일 지지 부재(40)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선단이 고정 볼트(5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고정축(43)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부(43a)와, 외주에 라인 롤러(44)가 장착되는 축부(43b)를 가지고 있다. 머리부(43a)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43b)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고정축 커버(46)의 오목부(46b)에 전체가 수납되어 있다. 축부(43b)는 후술하는 고정축 커버(46)의 오 목부(46b)에 연통하는 관통공(46a)을 관통하여 고정축 커버(46)에 장착된다.
축부(43b)의 선단부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제1 피계합부(40d)에 각각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2개의 제1 계합부(43d)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계합부(43d)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외형이 제1 피계합부(40d)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축부(43b)의 기단부 외주에는 후술하는 고정축 커버(46)의 제2 피계합부(46c)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제2 계합부(43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계합부(43c)의 외형은 축 방향 단면이 비원형, 예를 들어, 대향하는 평행면을 가지는 타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2 계합부(43c)를 제2 피계합부(46c)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고정축(43)을 고정축 커버(46)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축부(43b)의 내주부에는 고정 볼트(52)의 수나사부(52a, 도 5 참조)가 나사 감합(嵌合)하는 암나사부(43e)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암나사부(43e)에 수나사부(52a)를 나사 감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고정축(43)에 고정하고 있다.
라인 롤러(44)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홈이 형성된 통상의 안내부(44a)와, 안내부(44a)의 내주 측에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베어링(44b, 44c)을 가지고 있다. 안내부(44a)는 이 2개의 베어링(44b, 44c)을 통하여 고정축(43)의 축부(43b)에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 하는 것)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안내부(44a)는 다른 부분보다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낚싯줄을 안내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라인 롤러(44)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부(44a)의 제1 베일 지지 부재(40) 측 단부에 형성된 통상의 제1 통상부(44d)와, 안내부(44a)의 고정축 커버(46) 측 단부에 형성된 통상의 제2 통상부(44e)와, 제1 통상부(44d)의 기단부(基端部)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제1 돌출부(40e)의 외주를 덮는 환상의 플랜지부(44f)를 가지고 있다. 제1 통상부(44d)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제1 돌출부(40e)의 내주에 덮이고, 제2 통상부(44e)는 후술하는 고정축 커버(46)의 제2 돌출부(46d)의 내주에 덮여 있다. 플랜지부(44f)는 안내부(44a), 제1 통상부(44d) 및 제2 통상부(44e)보다 대경으로 형성되며, 안내부(44a)의 제1 베일 지지 부재(40) 측 단부에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여 환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44f)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제1 돌출부(40e)의 외주를 덮고 있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부가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노출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44f)의 외주부는 줄 씹힘 방지부(37, 도 4 및 도 6 참조)에 일부가 덮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6)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축(43)의 기단에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장착부(40b)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6)는 선단부가 정점(頂点)으로 되는 대략 원추 사다리꼴 형상의 부재이며, 외형은 매끄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6)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축(43)이 선단부 측으로부터 장착 가능하게 선단부로부터 기단부를 향하여 관통하고 있다. 고정축 커버 (46)의 선단부에는, 바닥이 있는 통상으로 절삭 가공되어 고정축(43)의 머리부(43a)가 수납되는 오목부(46b)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6b)의 바닥 부분에는 고정축(43)의 축부(43b)가 장착되며, 오목부(46b)로부터 고정축 커버(46)의 기단부를 향하여 연통하는 소경(小徑)의 관통공(46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46a)의 내주부에는, 고정축(43)의 제2 계합부(43c)가 계합 가능한 제2 피계합부(46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피계합부(46c)의 외형은 제2 계합부(43c)의 외형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대향하는 평행면을 가지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축 커버(46)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인 롤러(44) 측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제2 돌출부(46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축 커버(46)의 선단부는 베일(41)의 일단과 일체 성형되어 있다. 베일(41)의 타단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베일 지지 부재(42)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베일 암(34)에서는, 라인 롤러(44)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제1 돌출부(40e)의 외주를 덮는 플랜지부(44f)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라인 롤러(44)의 단부와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제1 돌출부(40e) 간의 간극에 낚싯줄이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랙이 작용하여 낚싯줄이 강한 힘으로 끌려갈 때, 낚싯줄은 라인 롤러(44)의 안내부(44a)를 경유하여 라인 롤러(44)의 플랜지부(44f)에 접촉하면서 방출된다. 이때, 낚싯줄의 방출 방향으로 라인 롤러(44)가 회전하여, 낚싯줄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스치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낚싯줄의 손상이나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드랙형의 스피닝 릴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리어 드랙형의 스피닝 릴이나 드랙을 가지지 않는 스피닝 릴이나 레버 드랙형의 스피닝 릴 등의 임의의 스피닝 릴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축(43), 고정축 커버(46), 베일(4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였지만, 이들의 재질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알루미늄 합금이나 티탄 합금 등의 다른 금속제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베일(41)과 스테인리스 합금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었지만, 제2 베일 지지 부재(42)와 베일(41)을 별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일(41)은 고정축 커버(46)와 일체 성형되어 있었지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일(141´)과 고정축 커버(146´)를 별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축(43)과 고정축 커버(46)가 별체로 설치되어 있었지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축(143´)과 고정축 커버(146´)를 일체 성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줄 씹힘 방지부(37)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와 일체 성형되어 있었지만, 줄 씹힘 방지부(237″)와 제1 베일 지지 부재(240″)를 별체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줄 씹힘 방지부(237″)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부(40a) 내측의 고정축(43) 돌출 방향으로 다른 부분보다 돌출하여 형성되어 줄이 팽팽히 당겨지지 않고 느슨하게 된 낚싯줄을 라인 롤러(44)로 유도하기 위한 줄 늘어짐 방지부를 겸용한 리브여도 무방하다. 또한, 줄 씹힘 방지부 (237″)나 줄 늘어짐 방지부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라인 롤러(44)는 2개의 베어링(44b, 44c)을 가지고 있었지만, 1개의 베어링만 설치해도 무방하며, 안내부(44a)를 고정축(4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부시상으로 형성하고 베어링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통상부(44d) 또는 제2 통상부(44e)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제1 돌출부(40e) 또는 고정축 커버(46)의 제2 돌출부(46d)에 덮이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통상부(44d)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라인 롤러는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제1 돌출부의 외주를 덮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라인 롤러와 제1 베일 지지 부재 간에 줄이 빠지는 것을 막으면서 낚싯줄의 손상이나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제1 로터 암 및 제2 로터 암의 선단(先端)에 줄 안내 자세와 줄 개방 자세 간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터 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환상(環狀)의 제1 돌출부가 형성된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로터 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타단에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고정축 커버와,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둘레면으로 상기 낚싯줄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 측 단부에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의 외주(外周)를 덮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라인 롤러와,
    상기 제2 베일 지지 부재와 적어도 상기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 커버 중 어느 하나에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스풀의 둘레 방향 외방으로 만곡(彎曲)하여 배치되어 상기 낚싯줄을 상기 라인 롤러로 유도하는 베일
    을 구비한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롤러는 상기 안내부의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 측 단부로부터 축 방향 외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주(內周)에 덮이는 제1 통상부(筒狀部)를 더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 커버는 상기 제1 돌출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된 환상의 제2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라인 롤러는 상기 안내부의 상기 제2 베일 지지 부재 측 단부로부터 축 방향 외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의 내주에 덮이는 제2 통상부를 더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다른 부분보다 상기 고정축 돌출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제1 돌출부 간에 상기 낚싯줄이 씹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줄 씹힘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줄 씹힘 방지부는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 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줄 씸힘 방지부는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와 일체 성형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다른 부분보다 상기 고정축 돌출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줄 씹힘 방지부와 연속하도록 일체 성형되어 줄이 팽팽히 당겨지지 않고 느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줄 늘어짐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KR1020050068209A 2004-08-09 2005-07-27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KR100989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2007A JP4451743B2 (ja) 2004-08-09 2004-08-09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JP-P-2004-00232007 2004-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793A true KR20060048793A (ko) 2006-05-18
KR100989189B1 KR100989189B1 (ko) 2010-10-20

Family

ID=3575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209A KR100989189B1 (ko) 2004-08-09 2005-07-27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137585B2 (ko)
EP (1) EP1652426B1 (ko)
JP (1) JP4451743B2 (ko)
KR (1) KR100989189B1 (ko)
CN (1) CN1736187B (ko)
AT (1) ATE354949T1 (ko)
DE (1) DE602005000631T2 (ko)
MY (1) MY134761A (ko)
SG (1) SG120240A1 (ko)
TW (1) TWI3375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5653B2 (ja) * 2004-09-30 2010-10-0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7665683B2 (en) 2007-12-18 2010-02-23 Shimano Inc. Fishing line guiding mechanism of spinning reel
JP4943401B2 (ja) * 2007-12-18 2012-05-3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4963291B2 (ja) 2007-12-27 2012-06-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
US7967232B2 (en) * 2009-10-28 2011-06-28 Shimano Inc. Spinning-reel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JP5481228B2 (ja) * 2010-02-26 2014-04-2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US9363987B2 (en) * 2013-04-19 2016-06-14 Shimano Inc. Line roller and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using same
JP6345555B2 (ja) * 2014-09-11 2018-06-20 株式会社シマノ ラインローラ
US9750233B2 (en) * 2014-12-02 2017-09-05 Shimano Inc. Line roller unit and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JP6994932B2 (ja) 2017-12-22 2022-01-14 株式会社シマノ ラインローラ
JP7492435B2 (ja) 2019-11-26 2024-05-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糸案内機構
US11317614B2 (en) * 2019-11-26 2022-05-03 Shimano Inc. 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JP7476123B2 (ja) * 2021-02-12 2024-04-3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9396B (en) 1994-05-11 1998-11-18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JP2967913B2 (ja) * 1994-10-28 1999-10-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A2161748A1 (en) * 1994-10-31 1996-05-01 Masamitsu Miyajima Fishline guide arrangement for spinning reel
US5560561A (en) * 1995-01-27 1996-10-01 Abu Ab Bail mechanism in an open-face fishing reel of the fixed-spool type
JPH08308444A (ja) 1995-05-16 1996-11-2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3287389B2 (ja) * 1997-01-31 2002-06-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102334A (ja) * 1998-07-27 2000-04-11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US6227474B1 (en) * 1998-08-27 2001-05-08 Kabushiki Kaisha Johshuya Spinning reel with tension roller for preventing fishing line twist
JP4056217B2 (ja) * 2000-12-26 2008-03-0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934512B2 (ja) * 2002-08-28 2007-06-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4121166A (ja) * 2002-10-07 2004-04-2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27691A1 (en) 2006-02-09
TWI337527B (en) 2011-02-21
MY134761A (en) 2007-12-31
EP1652426A1 (en) 2006-05-03
JP2006042740A (ja) 2006-02-16
DE602005000631T2 (de) 2007-10-31
CN1736187A (zh) 2006-02-22
CN1736187B (zh) 2010-12-08
US7137585B2 (en) 2006-11-21
ATE354949T1 (de) 2006-03-15
JP4451743B2 (ja) 2010-04-14
DE602005000631D1 (de) 2007-04-12
SG120240A1 (en) 2006-03-28
TW200611639A (en) 2006-04-16
KR100989189B1 (ko) 2010-10-20
EP1652426B1 (en)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189B1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TWI395546B (zh) 紡車式捲線器的捲線器本體
KR10129317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1736785B1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JP596140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防水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スピニングリール
KR20060124572A (ko) 스피닝 릴
JP200819394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2008193949A5 (ko)
JP200621784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KR10104872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KR100656501B1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KR20040019947A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JP389269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US7007880B2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KR20070033885A (ko) 스피닝 릴의 스풀
JP390506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KR20040107386A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JP739106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18517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取付構造
JP2002000135A (ja) 魚釣用リール
JP387189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4222656A (ja) 釣用リールの注油構造
JP382537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H1120628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51898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