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12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127A
KR20060048127A KR1020050044756A KR20050044756A KR20060048127A KR 20060048127 A KR20060048127 A KR 20060048127A KR 1020050044756 A KR1020050044756 A KR 1020050044756A KR 20050044756 A KR20050044756 A KR 20050044756A KR 20060048127 A KR20060048127 A KR 20060048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fan
evaporator
defrost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1958B1 (ko
Inventor
요시후미 노구찌
쯔또무 사꾸마
미노루 뎀묘오
무네히로 호리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마케팅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마케팅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6004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4Control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4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the fans allowing rotation in revers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1Removal by evaporation
    • F25D2321/1413Removal by evaporation using heat from electric elements or using an electric field for enhancing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0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리 제거 운전시의 저장실의 온도 상승을 균일화하여, 난기에 의한 식품에의 악영향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D 센서(51)의 검출 온도가 서리 제거 종료 온도(8 ℃)에 도달할 때까지 서리 제거 히터(40)에 통전하고, F 증발기(16)를 서리 제거하는 서리 제거 운전 중에는 F 팬(16)을 정지시켜 두는 동시에, FD 센서(51)가 서리 제거 종료 온도(8 ℃)보다도 낮게 정한 설정 온도(2 ℃) 이상의 온도를 검출하였을 때에 소정 시간(1분), F 팬(16)을 역회전시킨다.
FD 센서, 서리 제거 히터, F 팬, 압축기, 응축기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낸 서리 제거 운전의 타임 차트.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냉장고를 도시한 정면도.
도3은 도2의 냉장고의 도어를 생략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4는 도1의 냉장고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냉동 사이클을 도시한 개략도.
도6은 종래의 서리 제거 운전을 나타낸 타임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본체
10 : 냉동 저장실
11 : 제1 냉동실
12 : 제빙실
14 : 제2 냉동실
15 : F 증발기
16 : F 팬
17 : 덕트
19 : 흡입구
20 : 냉장 저장실
21 : 냉장실
22 : 야채실
23 : 보틀실
32 : 냉동 사이클
33 : 압축기
34 : 응축기
40 : 서리 제거 히터
51 : FD 센서
52 : RD 센서
53 : F 센서
54 : R 센서
[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18884호 공보
본 발명은, 서리 제거 히터에 의해 서리 제거 운전을 행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저장실 내의 수분이 서리로서 증발기에 부착됨으로써 냉각 성능이 저하되므로 소정의 주기, 예를 들어 압축기의 적산 운전 시간이 8시간을 넘을 때마다 서리 제거 히터에 통전하여 증발기를 가열하는 서리 제거 운전이 행해지고 있다. 도6은 종래의 서리 제거 운전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타임 차트이지만, 서리 제거 운전에 tx의 타이밍에서 이행하면 냉기 공급용 팬은 정지시켜 두고, 증발기가 서리 제거 종료 온도 예를 들어 10 ℃ 이상에 도달한 경우에는, ty의 타이밍에서 부착된 서리가 융해되었다고 간주하여 서리 제거 히터로의 통전을 차단하고 서리 제거 운전을 종료한다. 또한, 냉동 사이클 내의 압력 밸런스를 위해 압축기는 tz의 타이밍으로부터 운전을 개시시키고 있다.
이 경우, 서리 제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서리 제거 운전의 후반에 팬을 단속적으로 역회전함으로써 서리 제거 히터열의 저장실 내로의 확산을 방지하고, 증발기로 반송하여 서리 제거를 빠르게 하는 동시에 냉동실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제어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18884호 공보
그러나, 서리 제거 히터에 의해 따뜻해진 난기는 상승하므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실의 상부 온도는 하부 온도에 비해 높아진다. 이 경우, 저장실의 상부 공간은 서리 제거 운전 중에 고온화되는 동시에, 냉각 운전을 재개해도 냉각이 느려 비교적 온도가 높은 상태가 지속되므로 식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문제점은, 특히 설정 온도가 낮은 냉동실에 있어서 그 저장실의 높이 치수가 높은 경우에 발생되기 쉽다.
특허 문헌 1의 구성에서는, 팬을 단속적으로 역회전시키고 있으므로 서리 제거 시간은 단축되지만, 회전 시간의 총계는 길어지기 때문에 지나치게 난기가 저장실에 송풍되어 버려 오히려 저장실 내의 평균 온도가 상승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증발기의 서리 부착량에 따라 서리 제거 완료까지의 시간은 다르지만, 팬의 역회전은 소정 시간(t) 경과 후에 행해지기 때문에 팬의 역회전을 행하거나, 역회전이 지나치게 길어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장실 내 온도가 상승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확실하게 서리 제거 운전시의 저장실의 온도 상승을 균일화하여, 난기에 의한 식품에의 악영향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를 환상으로 연결한 냉동 사이클과, 상기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에 송풍하는 팬과, 상기 증발기를 가열하는 서리 제거 히터와, 상기 증발기 또는 그 근방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 센서의 검출 온도가 서리 제거 종료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서리 제거 히터에 통전하여 상기 증발기의 서리 제거 운전을 행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팬은 서리 제거 운전 중에는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온도 센서가 상기 서리 제거 종료 온도보다도 낮게 정한 설정 온도 이상의 온도를 검출하였을 때에는, 소정 시간 상기 팬을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냉장고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3은 도2의 냉장고의 도어를 생략한 정면도이고, 도4는 냉동실을 도시한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냉장고 본체(1)는 냉동 저장실(10)과 냉장 저장실(20)을 좌우로 구획하여 배치하고 있고, 양 저장실은 냉기의 흐름을 서로 독립시키고 있다. 냉장고 본체(1)의 배면 바닥부에는 기계실(31)을 설치하고 있고, 압축기(33), 도시하지 않은 방열 팬, 응축기(34) 등을 배치하고 있다.
냉동 저장실(10)에는 상부로부터 차례로 제1 냉동실(11), 자동 제빙 장치(13)를 구비한 제빙실(12), 제2 냉동실(14)을 배치하고 있고, 각각의 개구부에는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회전식 도어(11a, 12a, 14a)를 설치하고 있다. 제2 냉동실(14)의 배면에는 냉동 저장실용 증발기(15)(이하, F 증발기라 함) 및 냉동 저장실용 팬(16)(이하, F 팬이라 함)을 F 증발기(15)의 상부에 배치하고 있고, 이 F 증발기(15)로부터 생성된 냉기는, 배면에 설치된 덕트(17)를 통해 F 팬(16)의 회전에 의해 상방으로 빨아 올려져, 각 저장실에 복수 형성한 취출구(18)로부터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각 실을 냉각 종료한 냉기는, 제2 냉동실(14)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19)로부터 F 증발기(15)로 흡입되고, 다시 F 증발기(15)와 열교환하여 각 실에 취출된다.
제1 냉동실(11)의 배면에는 저장실 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53)(이하, F 센서)를 설치하고 있고, 이 F 센서(53)의 검출 온도를 기초로 하여 압축기(33)나 F 팬(16) 등이 제어되어 냉동 저장실(10)은 설정 온도로 냉각된다.
F 증발기(15)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리 제거 히터(40)를 부착하고 있고, 통전에 의해 F 증발기(15)를 가열하여 서리 제거한다. 이 서리 제거 히터는, 예를 들어 복사열을 이용하는 유리관 히터나, 주로 열전도를 이용하는 파이프 히터로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이프 히터로 하고 있다.
냉장 저장실(20)에는 상부로부터 차례로, 회전 개방식 냉장실(21), 인출식 야채실(22) 및 보틀실(23)을 배치하고 있고, 각각의 개구부에는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도어(21a, 22a, 23a)를 설치하고 있다. 보틀실(23)의 배면에는, 냉장 저장실용 증발기(24)(이하, R 증발기라 함) 및 냉장 저장실용 팬(25)(이하, R 팬이라 함)을 전후에 배치하고 있고, 이 R 증발기(24)로부터 생성된 냉기는 배면에 설치된 덕트(26)를 통해 R 팬(25)의 회전에 의해 상방으로 빨아 올려져, 냉장실(21)에 복수 형성한 취출구(27)로부터 실내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냉장실(21)을 냉각 종료한 냉기는, 야채실(22) 및 보틀실(23)을 통해 보틀실(23)의 배면에 형성된 흡입구(28)로부터 R 증발기(24)측으로 빨아 올려지고, 다시 R 증발기(24)와 열교환하여 각 실에 취출된다.
냉장실(21)의 배면에는, 저장실 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54)(이하, R 센서)를 설치하고 있고, 이 R 센서(54)의 검출 온도를 기초로 하여 압축기(33)나 R 팬(25)이 회전 제어되어 냉장 저장실(20)은 설정 온도로 냉각된다.
본 발명에 관한 냉동 사이클(32)은, 개략도인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33)의 토출측에는 응축기(34) 및 유로 절환 장치인 삼방 밸브(35)를 차례로 접속하고 있고, 삼방 밸브(35)의 출구측 한 쪽에는 냉동용 모세관 튜브(36)와 F 증발 기(15)와 어큐뮬레이터(37)를 차례로 접속한 배관을 접속하고, 다른 쪽에는 제2 모세관 튜브(38)와 R 증발기(24)를 접속한 배관을 접속하고 있다. R 증발기(24)의 출구측 배관은 F 증발기(15)의 입구측과 접속시키고 있고, 어큐뮬레이터(37)의 출구측 배관은 압축기(41)의 흡입측과 접속시키고 있다.
어큐뮬레이터(37)에는 F 증발기(15)의 출구측 배관 온도를 검출하는 냉동용 서리 제거 센서(51)(이하, FD 센서라 함)를 부착하고 있고, R 증발기(24)의 출구 배관에는 R 증발기(24)의 배관 온도를 검출하는 냉동용 서리 제거 센서(52)(이하, RD 센서라 함)를 부착하고 있다.
다음에, 통상의 냉각 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F 센서(53)의 검출 온도가 온(ON) 온도, 예를 들어 -18 ℃ 이상이 되면 F 증발기(15)측으로 냉매가 흐르도록 삼방 밸브(35)를 조작하여 냉동 저장실(10)을 냉각한다(이하, F 냉각 모드라 함). 한편, R 센서(54)의 검출 온도가 온 온도, 예를 들어 5 ℃ 이상이 되면 R 증발기(24)측으로 냉매가 흐르도록 삼방 밸브(35)를 조작하여 냉장 저장실(20)을 냉각한다(이하, R 냉각 모드라 함). 이 R 냉각 모드에서는, R 팬(25)을 회전시켜 냉장 저장실(10)에 냉기를 공급하고, F 팬(16)은 정지시켜 둔다. F 냉각 모드에서는, F 팬(16)을 회전시켜 냉동 저장실(10)에 냉기를 공급하고, R 팬(25)은 R 증발기(24)의 서리 제거를 위해 RD 센서(52)의 검출 온도가 소정 온도, 예를 들어 3 ℃로 상승할 때까지 회전시켜 둔다.
이 경우, F 냉각 모드 중에 F 센서(53)의 검출 온도가 오프(OFF) 온도, 예를 들어 - 20 ℃ 이하가 되면 R 냉각 모드로 이행하고, R 냉각 모드 중에 R 센서(54) 의 검출 온도가 오프 온도, 예를 들어 1 ℃ 이하가 되면 F 냉각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오프 온도에 도달하지 않아도 한 쪽 냉각 시간이 장시간이 되면 다른 쪽이 냉각 부족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소정 시간마다 차례로 절환한다. 이들 구성에 의해 냉동 저장실(10)과 냉장 저장실(20)은 번갈아 냉각되어 평균적으로 각 설정 온도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F 증발기(15)의 서리 제거 운전에 대해 도1의 타임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1에는 타임 차트와 함께 냉동 저장실(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냉동실의 온도,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냉동실의 온도 및 FD 센서(51)의 검출 온도 변화도 나타내고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냉각 운전으로부터 ta의 타이밍에서 압축기(33)를 정지시키고, 서리 제거 히터(40)에 통전하여 F 증발기(15)를 가열하는 서리 제거 운전으로 이행한다. 이 서리 제거 운전은 소정의 주기로 행해지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기(33)의 운전 적산 시간이 8시간을 경과하여 F 냉각 모드가 종료한 시점에 이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서리 제거 운전 전에는 서리 제거 히터(40)의 가열에 의한 저장실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F 냉각 모드의 종료 설정 온도를 단계적으로 강하시키고, 냉동 저장실(10) 등을 강제적으로 냉각하는 프리쿨 운전을 행한다.
서리 제거 히터(40)의 가열에 의해, FD 센서(51)의 검출 온도는 서서히 상승하여 제1 설정 온도, 여기서는 2 ℃에 도달하면 tb의 타이밍에서 F 팬(16)을 소정 시간, 여기서는 1분간 역회전시키고, 이 1분간이 경과한 tc의 타이밍에서 정지시킨 다.
이는, 서리 제거 히터(40)의 가열에 의해 F 증발기(15)와 열교환하여 온도 상승한 공기가 덕트(17) 내를 상승해 가면, 냉동 저장실(10)의 상부, 여기서는 제1 냉동실(11)의 저장실 내 온도가 제2 냉동실(14)에 비해 서서히 높아진다. 이로 인해, 제1 냉동실(11)의 공기를 F 증발기(15)측으로 회수하여 제1 냉동실(11)만이 온도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1 설정 온도는 상하의 저장실 공간 온도를 균일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실험에 의해 제1 냉동실(11)의 온도 상승율이 제2 냉동실(14)과 비교하여 높아져 갈 때의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역회전의 회전 시간이 지나치게 길면, 난기가 제2 냉동실(12)에 송풍되어 현저히 온도 상승되어 버리므로 단시간, 예를 들어 10초 내지 2분간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FD 센서(51)의 검출 온도가 상승하여 제1 설정 온도보다 높게 설정한 제2 설정 온도, 여기서는 4 ℃에 도달하면, td의 타이밍에서 F 팬(16)을 소정 시간, 여기서는 1분간 역회전시키고, 소정 시간 경과한 te의 타이밍에서 F 팬(15)을 정지시킨다. 마찬가지로, 제2 설정 온도보다 높게 설정한 제3 설정 온도, 여기서는 6 ℃에 도달하면, tf의 타이밍에서 F 팬(16)을 소정 시간, 여기서는 1분간 역회전시키고, tg의 타이밍에서 F 팬(15)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높아지도록 복수의 설정 온도를 설정한 이유는, 실험에 의해 F 팬(16)을 역회전시킨 후에 있어서도 상하의 저장실 공간의 온도차가 커 져 가는 냉장고의 형태에서는, 다시 제1 냉동실(1l)의 난기를 회수함으로써 확실하게 상하의 저장 공간의 온도를 균일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FD 센서(51)의 검출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F 팬(16)을 역회전시키므로, 확실하게 상하의 저장실 공간에 온도차가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 난기를 회수할 수 있어, 제2 냉동실(14)을 불필요한 회전에 의해 온도 상승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th의 타이밍에서는 FD 센서(51)의 검출 온도가 서리 제거 종료 온도, 여기서는 8 ℃ 이상에 도달되어 있으면, 서리 제거가 완료 또는 그 후의 여열에 의해 서리 제거가 완료되었다고 간주하여, 서리 제거 히터(40)로의 통전을 차단하고 서리 제거 운전을 종료한다. 이 경우, 압축기(33)는 냉동 사이클(32)의 압력 밸런스 등을 위해 소정 시간, 예를 들어 6분 경과할 때까지 압축기(41)를 정지시켜 둔다. 소정 시간 경과한 ti의 타이밍에서는, 압축기(33)의 운전을 개시하는 동시에 F 팬(16)을 정회전에 의해 운전시켜 통상의 냉각 운전으로 이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리 제거 운전 중에서는 F 팬(16)을 정지시켜 두는 동시에, FD 센서(51)가 서리 제거 종료 온도보다도 낮게 정한 설정 온도 이상의 온도를 검출하였을 때에 소정 시간 F 팬(16)을 역회전시키고 있으므로, 하부의 저장 공간(14)에 비해 상부의 저장 공간(11)의 온도가 상승한 경우 또는 상승하기 전에, 정확하게 F 팬(16)을 역회전시켜 저장실 상부에 체류한 난기를 F 증발기(15)측으로 회수하므로 냉동 저장실(10)에 있어서의 제1 냉동실(11)과 제2 냉동실(14)과의 온도 상승을 균일화할 수 있어, 난기에 의한 식품에의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냉동실(11) 상부의 따뜻해진 공기는 F 팬(16)의 역회전에 의해 F 증발기(15)측으로 송풍되지만, 회전을 계속하면 제1 냉동실(11) 하부의 냉기가 송풍되므로, FD 센서(51)의 검출 온도는 일시적으로 상승한 후에 정체 또는 강하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F 팬(16)의 역회전의 종료 기준을 FD 센서(51)의 검출 온도로 하고 있으면, 상기한 이유에 의해 FD 센서(51)의 검출 온도가 불안정해지므로, 회전 시간이 극단적으로 짧아지거나 또는 길어질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역회전의 종료 기준을 실험에 의해 정해진 설정 시간으로 하고 있으므로, 정확하게 난기를 회수할 수 있는 동시에 불필요한 회전에 의해 제2 냉동실(14)을 현저하게 온도 상승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적으로 높아지도록 복수의 설정 온도를 설정하고, 온도 센서가 각각의 설정 온도 이상의 온도를 검출하였을 때에, F 팬(16)을 소정 시간 역회전시키고 있으므로, 적절하게 온도가 높은 실내 공기를 회수함으로써 확실하게 냉동 저장실(10)의 온도 상승을 균일화할 수 있는 동시에, 연속하여 회전시키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회전에 의해 제2 냉동실(14)을 현저하게 온도 상승시키는 것을 보다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 온도가 높아질수록 팬의 역회전의 소정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다. 설정 온도가 높아질수록 저장실의 상부 온도는 높아지므로, 동일한 회전 시간이라도 제2 냉동실(14)로의 온도 상승의 영향이 커진다. 따라서, 설정 온도가 높아질수록 팬의 역회전의 소정 시간을 짧게, 예를 들어 제1 설정 온도에서는 1분, 제2 설정 온도에서는 40초, 제3 설정 온도로서는 20초로 함으로써 비교적 온도가 높은 실내 공기의 침입을 억제하여 제2 냉동실(14)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F 팬(16)의 역회전 시간을 짧게 해도 복수회에 걸쳐 역회전시키고 있으므로, 확실하게 제1 냉동실(15)의 난기를 회수하여 상하의 저장실 공간의 온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FD 센서(51)의 검출 온도가 서리 제거 종료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는, F 팬(16)의 역회전을 정지시키면 된다. FD 센서(51)가 서리 제거 종료 온도를 검사한 경우에는, 서리 제거가 완료되어 있는 동시에 팬을 회전할 필요도 없어지는 것이고, 그 경우에는 소정 시간 중이라도 F 팬(16)의 역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여 제2 냉동실(14)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서리 제거 히터(40)는 열전도에 의해 증발기를 가열하는 히터인 경우에, 본 발명에 관한 팬의 역회전에 의한 난기의 회수는 효과적이다. 서리 제거 히터에 의해 따뜻해진 난기는 상승하지만, 복사열에 의한 서리 제거 히터는 일반적으로 증발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핀이나 파이프가 벽이 되므로, 증발기보다도 상부로는 상승하기 어렵다. 그러나, 파이프 히터 등 열전도에 의한 서리 제거 히터는 일반적으로 증발기의 외주에 압설되어 있으므로 방열 면적이 대부분, 특히 상방에 배치된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방열된다. 이로 인해, 따뜻해진 난기는 저장실의 상부로 상승하기 쉬워, 저장실의 상부 온도는 하부에 비해 현저히 높아진다.
즉, 서리 제거 히터가 열전도에 의한 히터인 경우에는, 보다 저장실의 상부 공간은 서리 제거 운전 중에 고온화되는 동시에, 냉각 운전을 재개해도 냉각이 느려 비교적 온도가 높은 상태가 지속되기 때문에 난기에 의해 식품에 악영향을 미치 게 된다. 따라서, 서리 제거 히터가 열전도에 의한 히터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관한 팬의 역회전에 의한 난기의 회수는 효과적이다.
또한, F 팬(16)의 역회전 중에는 서리 제거 히터(40)의 통전을 차단해 두면 좋다. F 팬(16)의 역회전에 의해, 서리 제거 히터(40)에 의해 따뜻해진 난기는 제2 냉동실(14)에 흡입구(19)로부터 취출되지만, 이 역회전 중에 서리 제거 히터(40)의 통전을 차단함으로써 제2 냉동실(14)에 취출되는 공기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어, 제2 냉동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서리 제거 히터(40)의 통전을 차단해도 저장실 상부에 체류한 난기를 회수하여 F 증발기(16)로 분출하므로, 서리 제거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이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R 증발기(24)는 R 팬(25)의 회전에 의한 서리 제거 방법으로 설명하였지만, R 증발기(24)도 F 증발기(15)와 마찬가지로 서리 제거 히터(40)에 의한 서리 제거 운전을 행하여 본 발명의 팬 제어를 행해도 좋다. 또한, 냉동 사이클(32)은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R 증발기(24)와 F 증발기(15)를 병렬로 접속시킨 소위 병렬 사이클이나 2단 압축기를 이용한 냉동 사이클, 또는 단일 증발기를 이용하여 냉장실(20)이나 냉동실(10)을 냉각하는 1 증발기 사이클 등이라도 좋다. 또한, 서리 제거 개시의 타이밍, 서리 제거 종료 온도, 설정 온도, 소정 시간, 소정의 주기 등은 냉장고의 형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서리 제거 히터에 의한 서리 제거 운전을 구비한 다양한 냉장고 에 적응 가능하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서리 제거 운전 중에 적절하게 팬을 역회전시켜 저장실 상부에 체류한 난기를 증발기측으로 회수하므로 저장실 내의 온도 상승을 균일화할 수 있어, 난기에 의한 식품에의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6)

  1.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를 환상으로 연결한 냉동 사이클과, 상기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로 송풍하는 팬과, 상기 증발기를 가열하는 서리 제거 히터와, 상기 증발기 또는 그 근방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 센서의 검출 온도가 서리 제거 종료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서리 제거 히터에 통전하여 상기 증발기의 서리 제거 운전을 행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팬은 서리 제거 운전 중에는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온도 센서가 상기 서리 제거 종료 온도보다도 낮게 정한 설정 온도 이상의 온도를 검출하였을 때에는, 소정 시간 상기 팬을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적으로 높아지는 복수의 설정 온도를 설정하고, 온도 센서가 각각의 설정 온도 이상의 온도를 검출하였을 때에 팬을 소정 시간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설정 온도가 높아질수록 소정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의 검출 온도가 서리 제거 종료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팬의 역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서리 제거 히터는 열전도에 의해 증발기를 가열하는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팬의 역회전 중에는 서리 제거 히터의 통전을 차단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50044756A 2004-05-28 2005-05-27 냉장고 KR100681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58491 2004-05-28
JP2004158491A JP2005337613A (ja) 2004-05-28 2004-05-28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127A true KR20060048127A (ko) 2006-05-18
KR100681958B1 KR100681958B1 (ko) 2007-02-15

Family

ID=3549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756A KR100681958B1 (ko) 2004-05-28 2005-05-27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337613A (ko)
KR (1) KR100681958B1 (ko)
CN (1) CN1333224C (ko)
TW (1) TW2006079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71339B (zh) * 2008-04-29 2012-08-29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冰箱除霜控制方法及应用该方法的冰箱
CN101846426A (zh) * 2010-03-31 2010-09-29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风冷冰箱冷冻蒸发风扇的运行控制方法和装置
JP2012063026A (ja) * 2010-09-14 2012-03-29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5417397B2 (ja) * 2011-09-12 2014-02-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N109059393A (zh) * 2014-02-28 2018-12-21 株式会社电装 调温贮藏装置
JP2015222131A (ja) * 2014-05-22 2015-12-10 ハイアールアジア株式会社 冷蔵庫
CN104833060B (zh) * 2015-05-22 2017-10-3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除霜控制方法和除霜控制装置
JP2017190936A (ja) * 2015-12-17 2017-10-19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冷蔵庫
US10612832B2 (en) 2015-12-17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defrost operation control
CN107763957B (zh) * 2017-09-14 2020-03-1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化霜控制方法、装置及应用该方法、装置的制冷设备
CN111094880A (zh) * 2017-09-20 2020-05-01 三菱电机株式会社 制冷机
CN110131951B (zh) * 2018-02-08 2021-06-04 日立环球生活方案株式会社 冰箱
CN109253561A (zh) * 2018-09-13 2019-01-22 北京中科华誉热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电磁除霜的空气源热泵及除霜方法
JP7293633B2 (ja) * 2018-12-17 2023-06-20 富士電機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CN114857844A (zh) * 2021-02-03 2022-08-05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化霜方法
CN113790571B (zh) * 2021-09-06 2022-05-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换热器的风扇控制方法、制冷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58616B (de) * 1978-09-18 1980-09-25 Wein Gedeon Einrichtung zum abtauen von verdampfern
JPH0618884U (ja) * 1992-08-05 1994-03-1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冷蔵庫の除霜装置
KR100400180B1 (ko) * 2001-09-07 2003-10-01 주식회사 세아이엔씨 쇼케이스에서 고내 온도 자동 조절 방법
JP2003279228A (ja) * 2002-03-22 2003-10-02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958B1 (ko) 2007-02-15
TW200607967A (en) 2006-03-01
CN1333224C (zh) 2007-08-22
CN1702411A (zh) 2005-11-30
JP2005337613A (ja)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958B1 (ko) 냉장고
KR100341234B1 (ko) 냉장고
KR100711653B1 (ko) 냉장고
JP4059474B2 (ja) 冷蔵庫
US10718562B2 (en) Refrigerator
US20080092569A1 (en) Cooling unit with multi-parameter defrost control
US2022017067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JP5105276B2 (ja) 冷蔵庫
JP3611447B2 (ja) 冷蔵庫
US2022023600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US20220235976A1 (en) Refrigerator
JP2019138513A (ja) 冷蔵庫
JP2007132571A (ja) 冷蔵庫
JP3350188B2 (ja) 冷凍冷蔵庫
JP4928720B2 (ja) 冷蔵庫
JP2007309530A (ja) 冷蔵庫
KR0154441B1 (ko)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JP4103384B2 (ja) 冷蔵庫
WO2020175824A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2002206840A (ja) 冷蔵庫
KR100425114B1 (ko) 2개의 증발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제상운전방법
JP2019138510A (ja) 冷蔵庫
US20220228792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3130535A (ja) 冷蔵庫
JP2005344941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