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985A -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985A
KR20060047985A KR1020050041461A KR20050041461A KR20060047985A KR 20060047985 A KR20060047985 A KR 20060047985A KR 1020050041461 A KR1020050041461 A KR 1020050041461A KR 20050041461 A KR20050041461 A KR 20050041461A KR 20060047985 A KR20060047985 A KR 20060047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low
recipe
continuously variabl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8214B1 (ko
Inventor
요시아키 츠카다
히로유키 고지마
다카시 오제키
히로아키 우치사사이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30Control strategies involving selection of transmission gear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01Infinitely variable gearings
    • B60W10/107Infinite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61/6625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ontrolling of shifting being influenced by a signal derived from the engine and the main coupling
    • F16H61/66259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ontrolling of shifting being influenced by a signal derived from the engine and the main coupling 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al sensing or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45Characterized by control of gearing, e.g. control of transmission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배터리의 충전 잔량에 관계 없이 통상의 주행시와 같은 조작감을 얻을 수 있는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단계 S1에서는 배터리(74)의 충전 잔량(M)이 검지된다. 단계 S2에 있어서, 차량이 정차상태라 판정되면 단계 S3로 진행하여, 충전 잔량 (M)이 기준잔량(Mref)과 비교된다. 충전 잔량(M)이 기준잔량(Mref)을 하회하고 있으면 단계 S4로 진행하여, 현재의 변속 패턴이, 충전 잔량이 충분한 경우에 채용되는 제1 패턴 및 충전 잔량이 불충분한 경우에 채용되는 제2 패턴의 어느 것인가가 판정된다. 제2 패턴 이외이면 단계 S5로 진행하여, 변속 패턴이 현재의 제1 패턴으로부터 제2 패턴으로 변경된다.

Description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SHIFT CONTROL APPARATUS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이륜차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이륜차의 파워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변속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변속 패턴 제어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변속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변속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변속 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파워 유닛 12 : DBW 시스템
20 : 엔진 21b : 구동 모터
23 : 무단변속기 36 : 엔진회전수 센서
44 : 일방향 클러치 60 : 구동축
62 : 종동측 전동 풀리 77 : 변속 모터
본 발명은,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단변속기의 변속비를 엔진회전수와는 관계 없이 변속시키는 변속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를 동력으로 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동력으로 한 종래의 자동차에 비해 대기오염이 없고 소음 공해도 작고, 가감속의 응답성이 좋다고 하는 이점이 있어, 이러한 이점을 살리는 것으로 하여, 모터와 엔진을 탑재한 하이브리드차량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차량으로서는, 모터만을 동력으로 하고, 엔진은 배터리를 충전하는 발전용의 동력으로서만 사용하는「시리즈 하이브리드 방식」과, 차량의 동력으로서 모터 및 엔진을 병용하여, 양자를 주행 조건 등에 따라서 사용하는 「패러렐 하이브리드 방식」과, 상기 2방식을 주행상황에 따라서 구별 사용하는 「시리즈·패러렐 병용식」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차량에서는, 자동변속기로서 벨트식의 무단변속기가 채용되는 것이 많다. 벨트식 무단변속기는, 동력원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구동측 풀리와, 구동축으로 연결되는 종동측 풀리와, 이들의 풀리 사이에 걸쳐지는 무단 벨트로 구성되고, 출력축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으로 구동측 풀리의 반경을 변위시키는 것으로 변속비가 변화한다.
이러한 종래의 벨트식 무단변속기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는, 구동측 풀리의 반경을 변위시키는 변속 액추에이터를 별도로 마련하고, 벨트식 무단변속기의 변속비를 출력축의 회전수와는 관계 없이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전자제어식의 벨트식 무단변속기, 소위 전자 벨트 컨버터(electronic belt converter)가 개발되어 있다.
도 9는, 종래의 전자 벨트 컨버터의 변속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엔진회전수(Ne)와 차속(V)과 무단변속기의 변속비(R)와의 관계가 미리 등록되어 있다. 변속 패턴은, 변속비(R)가 소정의 로우 레시오(low ratio; Rlow)로 설정되어 엔진회전수(Ne)가 저회전영역에서 가변 제어되는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과, 변속비(R)가 소정의 톱 레시오(Rtop)로 설정되어 엔진회전수(Ne)가 고회전영역에서 가변 제어되는 톱 레시오 제어영역과, 엔진회전수(Ne)가 상기 저회전영역과 고회전영역의 경계에서 고정되어 변속비가 가변 제어되는 변속제어영역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4-116672호 공보
엔진의 동력으로 발전기를 구동하여 발전시켜, 이것을 배터리로 충전하는 시스템에서는,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적게 되어 충전 전류가 증가할수록 발전기의 구동 토크가 상승하여, 이것에 따라 엔진의 기계적인 부하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적은 경우에도 충전 잔량이 충분한 상시(常時)와 같은 주행 성능을 얻고자 하면, 운전자는 스로틀 그립(throttle grip)을 보다 크게 열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통상의 조작과는 다른 인상을 받는 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여, 배터리의 충전 잔량에 관계 없이 통상과 같은 조작감을 얻을 수 있는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엔진의 동력을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무단변속기와, 상기 무단변속기를 변속시키는 변속 액추에이터와, 상기 무단변속기의 변속비가 소정의 변속 패턴을 나타내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변속비 제어수단을 구비한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에 있어서, 이하 같은 수단을 강구한 점에 특징이 있다.
(1) 엔진에 연결된 발전기로 충전되는 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검지하는 배터리감시수단을 구비하고, 변속 패턴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잔량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부족할수록 변속비가 낮게 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변속 패턴이, 변속비가 소정의 로우 레시오로 설정되어 엔진회전수가 저회전영역에서 가변 제어되는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과, 변속비가 소정의 톱 레시오로 설정되어 엔진회전수가 고회전영역에서 가변 제어되는 톱 레시오 제어영역과, 엔진회전수가 상기 저회전영역과 고회전영역과의 경계에서 고정되어 변속비가 가변 제어되는 변속제어영역을 포함하고,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적을수록, 상기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이 엔진의 고회전측까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변속 패턴이, 변속비가 소정의 로우 레시오로 설정되어 엔진회전수가 저회전영역에서 가변 제어되는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과, 변속비가 소정의 톱 레시오 로 설정되어 엔진회전수가 고회전영역에서 가변 제어되는 톱 레시오 제어영역과, 엔진회전수가 상기 저회전영역과 고회전영역과의 경계에서 고정되어 변속비가 가변 제어되는 변속제어영역을 포함하고,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적을수록, 상기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의 변속비가 더욱 로우 레시오측으로 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변속 패턴이, 변속비가 소정의 로우 레시오로 설정되어 엔진 회전수가 저회전영역에서 가변 제어되는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과, 변속비가 소정의 톱 레시오로 설정되어 엔진회전수가 고회전영역에서 가변 제어되는 톱 레시오 제어영역과, 엔진회전수가 상기 저회전영역과 고회전영역과의 경계에서 고정되어 변속비가 가변 제어되는 변속제어영역을 포함하고,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적을수록, 상기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의 변속비가 더욱 로우 레시오측으로 변속되고, 또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이 엔진의 고회전측까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무단변속기가, 구동측 풀리 및 피동측 풀리 사이에 무단 벨트를 걸쳐서 구성되는 벨트식 무단변속기이고, 변속 액추에이터는, 상기 구동측 풀리 및 피동측 풀리의 적어도 한쪽의 벨트 감기 직경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주행중에는 변속 패턴이 변화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스쿠터형 하이브리드 차량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차체 전방에 전륜(WF)을 축지지하는 프론트 포크(1)를 갖고, 이 프론트 포크(1)는 헤드 파이프(2)에 피봇 지지되어 있고, 핸들(3)의 조작에 의해 조타가능하게 되고 있다. 헤드 파이프(2)로부터는 후방 또한 하방을 향하여 다운 파이프(4)가 장착되어 있고, 이 다운 파이프(4)의 하단에서는 중간 프레임(5)이 대략 수평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 프레임(5)의 후단으로부터는, 후방 또한 상방을 향해 후부 프레임(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체 프레임(10)에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 및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파워 유닛(11)의 일단이 피봇 고정되어 있다. 파워 유닛(11)은, 그 후방의 타단측에 구동륜인 후륜(WR)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후부 프레임(6)에 장착된 리어 쿠션에 의해 현가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10)의 외주는 차체 커버(13)로 덮어지고, 차체 커버(13)의 후방 또한 상면에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14)가 고정되어 있다. 시트(14)보다도 전방에는 탑승자가 발을 올려 놓는 스텝 플로어(15)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14)의 아래쪽으로는, 헬멧이나 짐 등을 수납하기 위한 유틸리티 공간(utility space)으로서 기능하는 수납 박스(100)가 마련되고 있다.
도 2는, 상기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상기 파워 유닛(11)은, 엔진(20)과, 엔진시동기 및 발전기로서 기능하는 ACG 스타터 모터(21a)와, 크랭크축(22)에 연결되어 엔진(20)의 동력을 후륜(WR)으로 전달하는 무단변속기(동력전달수단)(23)와, 상기 무단변속기(23)를 변속시키는 변속 액추에이터로서의 변속 모터(77)와, 크랭크축(22)과 무단변속기(23)의 입력축 사이의 동력전달을 단접(斷接)시키는 발진 클러치(40)와, 발동기 또는 발전기로서 기능하는 구동 모터(21b)와, 엔진(20) 및 구동 모터(21b)에서 후륜(WR)측에는 동력을 전달하지만, 후륜(WR)에서 엔진(20)측에는 동력을 전달하지 않은 일방향 클러치(44)와, 무단변속기(23)의 출력을 감속하여 후륜(WR)에 전달하는 감속기구(69)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20)의 회전수(Ne)는 엔진회전수 센서(36)에 의해 검지된다.
엔진(20)의 동력은, 크랭크축(22)으로부터 발진 클러치(40), 무단변속기(23), 일방향 클러치(44), 구동축(60) 및 감속기구(69)를 통해 후륜(WR)에 전달된다. 한편, 구동 모터(21b)의 동력은, 구동축(60) 및 감속기구(69)를 통해 후륜(WR)에 전달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축(60)이 구동 모터(21b)의 출력축을 겸하고 있다.
ACG 스타터 모터(21a) 및 구동 모터(21b)에는 배터리(74)가 접속되어 있다. 이 배터리(74)는, 구동 모터(21b)가 발동기로서 기능할 때, 및 ACG 스타터 모터(21a)가 시동기로서 기능할 때는, 이들 모터(21a, 21b)에 전력을 공급하고, ACG 스타터 모터(21a) 및 구동 모터(21b)가 발전기로서 기능할 때는, 이들의 회생 전력이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압 센서(37)는 상기 배터리(74)의 단자 데이터(Vbat)를 검지한다.
엔진(20)의 흡기관(16) 내에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스로틀 밸브(17)가 회동자유롭게 마련되고 있다. 이 스로틀 밸브(17)는, 탑승자가 조작하는 스로틀 그립(도시생략)의 조작량에 따라서 회동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DBW(드라이브·바이·와이어) 시스템(12)을 탑재하고, 상기 스로틀 밸브(17)는, 탑승자의 조작과는 관계 없이, 엔진회전수나 차속 등에 기초로 자동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로틀 밸브(17)와 엔진(20) 사이에는,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18)와, 흡기관 내의 부압을 검출하는 부압센서(19)가 배치되어 있다.
제어 유닛(7)은, 무단변속기(23)의 변속비가 소정의 변속 패턴을 나타내도록 변속 모터(77)를 제어하는 변속비 제어부(7a)와, 배터리(74)의 충전상태를, 상기 전압 센서(37)에 의해 검지되는 배터리전압(Vbat)에 기초로 판정하는 배터리감시부(7b)와, 무단변속기(23)의 변속 패턴이 등록된 변속 패턴 등록부(7c)를 포함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면서 엔진(20) 및 구동 모터(21b)를 포함하는 파워 유닛(11)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엔진(20)은, 크랭크축(22)에 커넥팅 로드(24)를 통해 연결된 피스톤(25)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25)은, 실린더 블록(26)에 마련된 실린더(27) 내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실린더 블록(26)은 실린더(27)의 축선이 대략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26)의 전면에는 실린더 헤드(28)가 고정되고, 실린더 헤드(28) 및 실린더(27) 및 피스톤(25)으로 혼합기를 연소시키는 연소실(20a)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28)에는, 연소실(20a)으로의 혼합기의 흡기 또는 배기를 제어하는 밸브(도시생략)와, 점화 플러그(29)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의 개폐는, 실린더 헤드(28)에 축지지된 캠축(30)의 회전에 의해 제어된다. 캠축(30)은 일단측에 종동 스프로켓(31)을 구비하고, 종동 스프로켓(31)과 크랭크축(22)의 일단에 마련된 구동 스프로켓(32) 사이에는 무단 형상의 캠 체인(33)이 걸쳐 있다. 캠축(30)의 일단에는, 엔진(20)을 냉각하는 워터펌프(34)가 마련되고 있다. 워터펌프(34)는, 그 회전축(35)이 캠축(3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있다. 따라서, 캠축(30)이 회전하면 워터펌프(34)를 가동시킬 수 있다.
크랭크축(22)을 축지지하는 크랭크케이스(48)의 차폭방향 우측에는 스테이터 케이스(49)가 연결되어 있고, 그 내부에 ACG 스타터 모터(21a)가 수납되어 있다. 이 ACG 스타타 모터(21a)는, 소위 아우터 로우터 형식의 모터이고, 그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케이스(49)에 고정된 티스(50)에 도선을 감아 건 코일(51)로 이루어진다. 한편, 아우터 로우터(52)는 크랭크축(22)에 고정되어 있고, 스테이터의 외주를 덮는 대략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아우터 로우터(52)의 내주면에는, 자석(53)이 배치되어 있다.
아우터 로우터(52)에는, ACG 스타터 모터(21a)를 냉각하기 위한 팬(54a)이 부착되고 있고, 이 팬(54a)이 크랭크축(22)에 동기하여 회전하면, 스테이터 케이스(49)의 커버(55)의 측면(55a)에 형성된 냉각풍 취입구로부터, 냉각용의 공기가 취입된다.
크랭크케이스(48)의 차폭방향 좌측에는 전동 케이스(59)가 연결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크랭크축(22)의 좌단부에 고정된 팬(54b), 발진 클러치(40)를 통해 크랭크축(22)에 구동측이 연결된 무단변속기(23), 무단변속기(23)의 종동측에 연결된 구동 모터(21b)가 수납되어 있다. 팬(54b)은, 전동 케이스(59) 내에 수용된 무단변속기(23) 및 구동 모터(21b)를 냉각하는 것이고, 무단변속기(23)에 대하여 구동 모터(21b)와 동측, 즉, 본 실시예에서는 모두 차폭방향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59)의 차체 전방 또한 좌측에는 냉각풍 취입구(59a)가 형성되어 있고, 크랭크축(22)에 동기하여 팬(54b)이 회전하면, 이 팬(54b)의 근방에 위치하는 냉각풍 취입구(59a)에서 전동 케이스(59) 내에 외기가 취입되고, 구동 모터(21b) 및 무단변속기(23)가 강제적으로 냉각된다.
무단변속기(23)는, 크랭크케이스(48)로부터 차폭방향으로 돌출한 크랭크축(22)의 좌단부에 발진 클러치(40)를 통해 장착된 구동측 전동 풀리(58)와, 크랭크축(22)과 평행한 축선을 갖고 전동 케이스(59)에 축지지된 구동축(60)에 일방향 클러치(44)를 통해 장착된 종동측 전동 풀리(62) 사이에, 무단형상의 V 벨트(무단 벨트)(63)를 감아 걸어 구성되는 벨트 컨베이어이다.
구동측 전동 풀리(58)는, 도 4의 주요부 확대도에 나타내도록, 슬리브(58d)를 통해 크랭크축(22)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 슬리브(58d) 상에 고착된 구동측 고정 풀리 반체(58a)와, 슬리브(58d)에 대하여, 그 축방향으로는 슬라이드 이동가능하지만 둘레방향으로는 회전불능으로 장착시켜진 구동측 가동 풀리 반체(58c)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측 가동 풀리 반체(58c)에는, 베어링(56)을 통해 변속 링(57)이 회전자유롭게 장착되고 있다.
상기 변속 링(57)에는, 그 외주 대직경부에 기어(61)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동시에, 내주에는 축방향을 따라 사다리꼴나사(6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다리꼴나사(65)에는, 베어링(66)을 통해 상기 슬리브(58d)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는 회전자유롭지만 축방향으로는 슬라이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사다리꼴나사(67)가 치합하고 있다. 상기 변속 링(57)의 기어(61)에는 웜 휠(75)이 치합하고, 이 웜 휠(75)에는, 변속비를 제어하는 변속 모터(77)의 회전축에 연결된 웜 기어 (76)가 치합하고 있다.
한편, 종동측 전동풀리(62)는, 슬리브(62d)를 통해 구동축(60)에, 그 축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은 규제되어 있지만 둘레방향에는 회전자유롭게 장착된 종동측 고정 풀리 반체(62a)와, 슬리브(62d) 상에, 그 축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종동측 가동 풀리 반체(62b)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들 구동측 고정 풀리 반체(58a)와 구동측 가동 풀리 반체(58c) 사이, 및 종동측 고정 풀리 반체(62a)와 종동측 가동 풀리 반체(62b) 사이에 각각 형성된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의 벨트 홈에, 무단형상의 V벨트(63)가 감아 걸어 있다.
종동측 가동 풀리 반체(62b)의 배면측(차폭방향 좌측)에는, 종동측 가동 풀리 반체(62b)를 종동측 고정 풀리 반체(62a)를 향하여 상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탄성부재)(64)이 배치되어 있다.
자동변속기(23)의 변속비를 변화시킬 때에는, 변속 모터(77)를 변속비의 업/다운에 따른 방향으로 구동한다. 변속 모터(77)의 구동력은 웜 기어(76) 및 웜 휠(75)을 통해 변속 링(57)의 기어(61)에 전달되고, 이 변속 링(57)을 회전시킨다. 변속 링(57)은 사다리꼴나사(65, 67)를 통해 슬리브(58d)와 치합하고 있기 때문에, 그 회전방향이 시프트 업(SHIFT UP) 방향이면, 변속 링(57)은 크랭크축(22) 위를 도면에서 왼쪽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동반하여 구동측 가동 풀리 반체(58c)가 구동측 고정 풀리 반체(58a)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슬라이드 이동한 만큼 구동측 가동 풀리 반체(58c)가 구동측 고정 풀리 반체(58a)에 근접하고, 구동측 전동 풀리(58)의 홈 폭이 감소하기 때문에, 구동측 전동 풀리(58)와 V벨트(63)와의 접촉 위치가 구동측 전동 풀리(58)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어긋나고, V 벨트(63)의 감아 걸기 직경이 증대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종동측 전동 풀리(62)에 있어서는, 종동측 고정 풀리 반체(62a)와 종동측 가동 풀리 반체(62b)에 의해 형성되는 홈 폭이 증가한다. 즉, 크랭크축(22)의 회전수에 따라서, V 벨트(63)의 감아 걸기 직경(전달 피치 직경)이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변속비가 자동적 또 무단계로 변화한다.
발진 클러치(40)는, 상기 슬리브(58d)에 고착된 컵 형상의 아우터 케이스(40a)와, 크랭크축(22)의 좌단부에 고착된 아우터 플레이트(40b)와, 아우터 플레이트(40b)의 외주부에 웨이트(40c)를 통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된 슈(40d)와, 슈(40d)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40e)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엔진회전수, 즉 크랭크축(22)의 회전수가 소정치(예컨대, 3000 rpm) 이하의 경우에는, 크랭크축(22)과 무단변속기(23) 사이의 동력 전달은 발진 클러치(40)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엔진회전수가 상승하여, 크랭크축(22)의 회전수가 상기 소정치를 초과하면, 웨이트(40c)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스프링(40e)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대항하여, 웨이트(40c)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슈(40d)가 아우터 케이스(40a)의 내주면을 소정치 이상의 힘으로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크랭크축(22)의 회전이 아우터 케이스(40a)를 통해 슬리브(58d)에 전달되고, 이 슬리브(58d)에 고정된 구동측 전동 풀리(58)가 구동된다.
일방향 클러치(44)는, 컵 형상의 아우터 클러치(44a)와, 이 아우터 클러치(44a)에 동축으로 삽입된 인너 클러치(44b)와, 이 인너 클러치(44b)에서 아우터 클 러치(44a)에 대하여 일방향만 동력을 전달가능하게 하는 롤러(44c)를 구비하고 있다. 아우터 클러치(44a)는, 구동 모터(21b)의 인너 로우터 본체를 겸하고, 인너 로우터 본체와 동일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무단변속기(23)의 종동측 전동 풀리(62)에 전달된 엔진(20)측에서의 동력은, 종동측 고정 풀리 반체(62a), 인너 클러치(44b), 아우터 클러치(44a) 즉 인너 로우터 본체, 구동축(60) 및 감속기구(69)를 통해 후륜(WR)에 전달되는데 반하여, 차량 가압 걸기시나 회생 동작시 등에 있어서의 후륜(WR)측에서의 동력은, 감속기구(69), 구동축(60), 인너 로우터 본체 즉 아우터 클러치(44a)까지는 전달되지만, 이 아우터 클러치(44a)가 인너 클러치(44b)에 대하여 공전하기 때문에, 무단변속기(23) 및 엔진(20)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전동 케이스(59)의 차체 후방측에는, 구동축(60)을 모터 출력축으로 하는 인너 로우터 형식의 구동 모터(21b)가 마련되고 있다. 인너 로우터(80)는, 무단변속기(23)의 출력축이기도 하는 구동축(60)과, 컵 형상을 하여 그 중앙부에 형성된 보스부(80b)에서 구동축(60)과 스플라인 결합된 인너 로우터 본체 즉 상기 인너 클러치(44b)를 구비하고, 이 인너 클러치(44b)의 개구측 외주면에 자석이 배치되어 있다.
도 3으로 되돌아가면, 감속기구(69)는, 전동 케이스(59)의 후단부 우측으로 연속하는 전달실(70) 내에 마련되어 있고, 구동축(60) 및 후륜(WR)의 차축(68)과 평행하게 축지지된 중간축(73)을 구비하는 동시에, 구동축(60)의 우단부 및 중간축(73)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제1 감속 기어 쌍(71)과, 중간축(73) 및 차축(68)의 좌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2 감속 기어 쌍(7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축(60)의 회전은 소정의 감속비로써 감속되고, 이것과 평행하게 축지지된 후륜(WR)의 차축(68)에 전달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차량에 있어서, 엔진 시동시는, 크랭크축(22) 상의 ACG 스타터 모터(21a)를 이용하여 크랭크축(22)을 회전시킨다. 이 때, 발진 클러치(40)는 접속되어 있지 않고, 크랭크축(22)으로부터 무단변속기(23)로의 동력 전달은 차단되어 있다.
스로틀 그립이 개방 조작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로틀 개도(θth)가 작은 사이는 구동 모터(21b)만이 동력으로 된다. 구동 모터(21b)에 의한 구동축(60)의 회전은, 일방향 클러치(44)에 의해 종동측 전동 풀리(62)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무단변속기(23)를 구동시키는 일은 없다. 이것에 의해, 구동 모터(21b)만으로 후륜(WR)을 구동하여 주행하는 경우에는, 에너지 전달 효율이 향상된다.
스로틀 개도(θth)가 커져 엔진회전수가 상승하고, 크랭크축(22)의 회전수가 소정치(예컨대, 3000 rpm)를 넘으면, 크랭크축(22)의 회전 동력이 발진 클러치(40)를 통해 무단변속기(23)에 전달되고, 일방향 클러치(44)에 입력된다. 일방향 클러치(44)의 입력측의 회전수와 출력측 즉 구동축(60)과의 회전수가 일치하면, 동력이 구동 모터(21b)에서 엔진(20)으로 절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변속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여기서는, 배터리(74)의 충전 잔량이 충분한 경우의 변속 패턴(제1 패턴)이 파선으로 도시되고, 충전 잔량이 불충분한 경우의 변속 패턴(제2 패턴)이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충전 잔량이 불충분하다고 판정되면,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을 엔진의 고회전측까지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특히 중속 주행 영역에 있어서, 배터리(74)의 충전 잔량이 불충분한 경우의 변속비를 충전 잔량이 충분한 경우의 변속비보다도 낮게 하고 있다.
도 6은, 변속 패턴을 배터리(74)의 충전 잔량(M)에 기초로 변경하는 변속 패턴 제어의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고, 주로 상기 제어 유닛(7)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단계 S1에서는, 상기 배터리 감시부(7b)에서, 상기 전압 센서(37)에 의해 검지되어 있는 배터리전압(Vbat) 또는 그 이력에 기초로 배터리(74)의 충전 잔량(M)이 검지된다. 단계 S2에서는, 차량이 정차상태에 있는지 여부가, 예컨대 차속(V)에 기초로 판정된다.
정차상태라 판정되면 단계 S3로 진행하고, 상기 충전 잔량(M)이, 변속 패턴을 변경하는 임계치로 하여 기등록된 기준잔량(Mref)과 비교된다. 여기서, 충전 잔량(M)이 기준 잔량(Mref)을 하회하고 있으면 단계 S4로 진행하고, 현재의 변속 패턴이, 충전 잔량이 충분한 경우에 채용되는 제1 패턴(도 5에 점선으로 도시한 변속 패턴) 및 충전 잔량이 불충분한 경우에 채용되는 제2 패턴(도 5에 실선으로 도시한 변속 패턴)의 어느 것인가가 판정된다. 제2 패턴 이외이면 단계 S5로 진행하여, 변속 패턴이 현재의 제1 패턴으로부터 제2 패턴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이 이후는 도 5에 실선으로 도시한 제2 패턴에 따라 변속비가 제어되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단계 S3에 있어서, 충전 잔량(M)이 기준잔량(Mref)을 하회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에서는, 변속 패턴이 제1 및 제2 패턴의 어느 것인가 판정된다. 변속 패턴이 제1 패턴 이외이면 단계 S7로 진행하여, 변속 패턴이 현재의 제2 패턴으로부터 제1 패턴으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터리(74)의 충전 잔량이 감소하여 변속 패턴이 제1 패턴으로부터 제2 패턴으로 변경되더라도, 그 후, 충전이 촉진되어 충전 잔량이 복귀하면, 변속 패턴이 제2 패턴으로부터 제1 패턴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이 이후는 도 5에 파선으로 도시한 제1 패턴에 따라 변속비가 제어되는 것으로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변속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여기서도,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충분한 경우의 변속 패턴(제 l 패턴)이 파선으로 도시되고, 충전 잔량이 불충분한 경우의 변속 패턴(제2 패턴)이 실선으로 도시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충전 잔량이 불충분하다고 판정되면,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의 변속비(Rlow)를, 충전 잔량이 충분하다고 판정된 경우보다도 더욱 낮게 하는 것에 의해, 특히 저속주행영역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불충분한 경우의 변속비를 충전 잔량이 충분한 경우의 변속비보다도 낮게 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변속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여기서도,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충분한 경우의 변속 패턴(제1 패턴)이 파선으로 도시되고, 충전 잔량이 불충분한 경우의 변속 패턴(제2 패턴)이 실선으로 도시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적을수록,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의 변속비(Rlow)를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더욱 로우 레시오측으로 변속하고,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을 엔진의 고회전측까지 확장하는 것에 의해, 저속 및 중속주행 영역의 쌍방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불충분한 경우의 변속비를 충전 잔량이 충분한 경우의 변속비보다도 낮게 하고 있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부족하면 제2 변속 패턴이 선택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부족하였을 때에 채용하는 변속 패턴을 충전부족의 정도에 따라서 복수 준비하고, 충전 잔량에 따라서 최적의 변속 패턴이 채용됨으로써, 충전 부족이 심각한 경우에는, 보다 낮은 변속비로 제어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l)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의 충전 잔량에 따라서 자동변속기의 변속 패턴이 변경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충분한 경우에 비교하여 변속비를 로우 레시오측으로 변속시키도록 하면,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부족하여 발전기의 구동 토크가 상승하고, 이것에 따라 엔진의 기계적인 부하가 커지더라도, 엔진의 토크 부족이 변속비로 보충되기 때문에, 통상의 주행시와 같은 조작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2)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적을수록 변속비가 낮 게 변속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부족하여 발전기의 구동 토크가 상승하고, 이것에 따라 엔진의 기계적인 부하가 커지더라도, 엔진의 토크 부족이 변속비로 보충되기 때문에, 통상의 주행시와 같은 조작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3)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적을수록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이 엔진의 고회전측까지 확장되어, 그 결과, 변속제어영역에서의 변속비가 낮게 변속하기 때문에, 특히 중속도 주행 영역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잔량에 관계 없이 통상의 주행시와 같은 조작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4)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적을수록,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의 변속비가 더욱 로우 레시오측으로 변속되기 때문에, 저속주행영역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불충분한 경우의 변속비를 충전 잔량이 충분한 경우의 변속비보다도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저속주행영역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잔량에 관계 없이 통상의 주행시와 같은 조작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5)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적을수록,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의 변속비가 더욱 로우 레시오측으로 변속되고, 또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이 엔진의 고회전측까지 확장되어, 그 결과, 저속 및 중속주행영역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불충분한 경우의 변속비를 충전 잔량이 충분한 경우의 변속비보다도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저속 및 중속주행영역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잔량에 관계 없이 통상의 주행시와 같은 조작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6)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벨트식 무단변속기 및 변속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기존의 차량에 있어서, 제어계통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배터리의 충전 잔량에 관계 없이 통상의 주행시와 같은 조작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7)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주행중에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임계치를 하회하더라도 변속 패턴이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주행중에 주행 감각이 변화하여 버리는 일이 없다.

Claims (7)

  1. 엔진의 동력을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무단변속기와,
    상기 무단변속기를 변속시키는 변속 액추에이터와,
    상기 무단변속기의 변속비가 소정의 변속 패턴을 나타내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변속비 제어수단을 구비한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연결된 발전기로 충전되는 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검지하는 배터리감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변속 패턴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잔량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패턴은,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부족할수록 변속비가 낮게 되도록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패턴은,
    변속비가 소정의 로우 레시오로 설정되어 엔진회전수가 저회전영역에서 가변 제어되는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과,
    변속비가 소정의 톱 레시오로 설정되어 엔진회전수가 고회전영역에서 가변 제어되는 톱 레시오 제어영역과,
    엔진회전수가 상기 저회전영역과 고회전영역과의 경계에서 고정되어 변속비 가 가변 제어되는 변속제어영역을 포함하고,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적을수록, 상기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이 엔진의 고회전측까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패턴은,
    변속비가 소정의 로우 레시오로 설정되어 엔진회전수가 저회전영역에서 가변 제어되는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과,
    변속비가 소정의 톱 레시오로 설정되어 엔진회전수가 고회전영역에서 가변 제어되는 톱 레시오 제어영역과,
    엔진회전수가 상기 저회전영역과 고회전영역과의 경계에서 고정되어 변속비가 가변 제어되는 변속제어영역을 포함하고,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적을수록, 상기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의 변속비가 더욱 로우 레시오측으로 변속(shif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패턴은,
    변속비가 소정의 로우 레시오로 설정되어 엔진회전수가 저회전영역에서 가변 제어되는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과,
    변속비가 소정의 톱 레시오로 설정되어 엔진회전수가 고회전영역에서 가변 제어되는 톱 레시오 제어영역과,
    엔진회전수가 상기 저회전영역과 고회전영역과의 경계에서 고정되어 변속비가 가변 제어되는 변속제어영역을 포함하고,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적을수록, 상기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의 변속비가 더욱 로우 레시오측으로 변속되고, 또 로우 레시오 제어영역이 엔진의 고회전측까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기는, 구동측 풀리 및 피동측 풀리 사이에 무단 벨트를 걸쳐서 구성되는 벨트식 무단변속기이고,
    상기 변속 액추에이터는, 상기 구동측 풀리 및 피동측 풀리의 적어도 한쪽의 벨트 감기 직경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행중에는 변속 패턴이 변화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KR1020050041461A 2004-08-05 2005-05-18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KR100688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29415 2004-08-05
JP2004229415A JP4360492B2 (ja) 2004-08-05 2004-08-05 ハイブリッド車両における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985A true KR20060047985A (ko) 2006-05-18
KR100688214B1 KR100688214B1 (ko) 2007-03-02

Family

ID=3575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461A KR100688214B1 (ko) 2004-08-05 2005-05-18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07462B2 (ko)
JP (1) JP4360492B2 (ko)
KR (1) KR100688214B1 (ko)
CN (1) CN100429433C (ko)
CA (1) CA2508971C (ko)
TW (1) TWI2803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7243A2 (en) * 2009-10-17 2011-04-21 Borgwarner Inc. Hybrid fan drive with cvt and electric mo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1505A1 (de) * 2005-01-13 2006-11-16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Schaltgetriebes bei unplanmäßigem Motorverhalten
JP4842741B2 (ja) * 2006-09-01 2011-12-2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2008155802A (ja) * 2006-12-25 2008-07-10 Toyota Motor Corp 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JP2008202628A (ja) * 2007-02-16 2008-09-04 Yamaha Motor Co Ltd 変速装置及び該変速装置を備えたエンジンユニット
JP4379484B2 (ja) 2007-04-06 2009-12-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システム
JP5230485B2 (ja) * 2009-02-28 2013-07-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ベルト式無段変速機
US8874290B2 (en) 2009-05-19 2014-10-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vehicle power transmission device
WO2010137653A1 (ja) * 2009-05-27 2010-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5006907B2 (ja) * 2009-06-12 2012-08-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CN101954856A (zh) * 2010-04-22 2011-01-26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摩托车双模驱动结构
US8684887B2 (en) * 2011-10-14 2014-04-01 Polaris Industries Inc. Primary clutch electronic CVT
US8919483B2 (en) 2012-01-03 2014-12-30 Hero Motorcorp, Ltd. Ridden vehicle with integrated fuel tank
US8950539B2 (en) 2012-01-03 2015-02-10 Hero Motorcorp Ltd. Lightweight integrated rear suspension and drive enclosure for a ridden motorized vehicle
US10648554B2 (en) 2014-09-02 2020-05-12 Polaris Industries In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GB2535701B (en) * 2015-02-20 2017-05-31 Ford Global Tech Llc A method for reducing the fuel consumption of a mild hybrid vehicle
BR112017025582B1 (pt) * 2015-06-03 2022-06-07 Nissan Motor Co., Ltd Dispositivo de controle de transição de modo para veículo híbrido
SE540521C2 (en) 2015-12-01 2018-09-25 Scania Cv Ab A method and system for gear shifting in a hybrid powertrain
TWI716276B (zh) * 2020-02-06 2021-01-11 彥豪金屬工業股份有限公司 變速器低電量控制方法
CN114379687B (zh) * 2020-10-16 2023-07-14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电动车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7374B2 (ja) * 1990-11-20 1999-10-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無段変速機
US6847189B2 (en) * 1995-05-31 2005-01-2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hybrid electric vehicle
US5959420A (en) * 1997-12-01 1999-09-28 Chrysler Corporation Heat engine and electric motor torque distribution strategy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US6459980B1 (en) * 1999-02-08 2002-10-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braked with motor torqu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1146121A (ja) * 1999-11-19 2001-05-29 Toyota Motor Corp 変速機付き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4244519B2 (ja) * 2000-12-28 2009-03-2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輌の制御装置
JP4152709B2 (ja) 2002-09-26 2008-09-17 ジヤトコ株式会社 V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EP1606134A4 (en) * 2003-03-19 2008-10-08 Univ California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RATE-SHIFTING SPEED I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063744B2 (ja) * 2003-09-24 2008-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輌の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7243A2 (en) * 2009-10-17 2011-04-21 Borgwarner Inc. Hybrid fan drive with cvt and electric motor
WO2011047243A3 (en) * 2009-10-17 2011-08-18 Borgwarner Inc. Hybrid fan drive with cvt and electric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46521A (ja) 2006-02-16
TW200606358A (en) 2006-02-16
TWI280328B (en) 2007-05-01
JP4360492B2 (ja) 2009-11-11
KR100688214B1 (ko) 2007-03-02
CN1730987A (zh) 2006-02-08
CN100429433C (zh) 2008-10-29
US20060030452A1 (en) 2006-02-09
CA2508971A1 (en) 2006-02-05
CA2508971C (en) 2008-02-05
US7407462B2 (en) 200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214B1 (ko)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KR100642103B1 (ko) 무단 변속 기구의 제어 장치
US7303504B2 (en) Power switchover apparatus for a hybrid vehicle
KR100652539B1 (ko) 전동 차량의 모터 냉각 구조
KR100671252B1 (ko)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KR100635364B1 (ko)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JP4248459B2 (ja) エンジン自動停止装置
KR100584227B1 (ko) 하이브리드 차량
JP4327055B2 (ja) 車両のエンジン出力制限装置
JP2006051853A (ja) 電動二輪車
JP396730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におけるパワーユニット
JP4270460B2 (ja) 無段変速機構の制御装置
JP2006262588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トラクショ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