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930A - 화상 합성 출력 장치, 화상 합성 표시 장치, 휴대통신기기,화상 합성 출력 방법 및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합성 출력 장치, 화상 합성 표시 장치, 휴대통신기기,화상 합성 출력 방법 및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930A
KR20060047930A KR1020050040512A KR20050040512A KR20060047930A KR 20060047930 A KR20060047930 A KR 20060047930A KR 1020050040512 A KR1020050040512 A KR 1020050040512A KR 20050040512 A KR20050040512 A KR 20050040512A KR 20060047930 A KR20060047930 A KR 20060047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de
unit
output
synthes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루토시 아게이시
유키야스 후카미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이루어지는 합성 화상을 얻는 단계에서의 전력 절약화를 달성하는 화상 합성 기술을 제공한다.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기억되는 입력 화상(41 또는 42)이, 제 1 소정 기간 내에 갱신되는 통상의 기간에서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는, 이것들의 화상(41, 42)을 합성하여 LCD 표시 패널(160)로 출력한다. 입력 화상(41, 42) 중 어느 하나가 제 1 소정 기간 내에 갱신되지 않으면,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는 합성한 화상을 출력할 뿐만 아니라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 기입한다. 제 1 및 제 2 입력 화상(41, 42)의 갱신이 없는 채로, 제 1 소정 기간 후에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는 입력 화상(41, 42)의 합성을 하는 일없이,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 기억되어 있는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LCD 표시 패널(160)로 출력한다.

Description

화상 합성 출력 장치, 화상 합성 표시 장치, 휴대통신기기, 화상 합성 출력 방법 및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IMAGE COMPOSITION OUTPUT DEVICE, IMAGE COMPOSITION DISPLAY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IMAGE COMPOSITION OUTPUT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IMAGE COMPOSITION OUTP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합성 표시 장치와 그 주변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도 1의 LCD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의 배치를 예시하는 화면도,
도 3은 도 1의 레이어 정보 작성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도 1의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도 1의 화상 합성부의 합성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
도 6은 도 1의 합성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
도 7은 도 1의 화상 합성부의 합성 기입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
도 8은 도 1의 화상 합성부의 판독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
도 9는 도 1의 화상 합성부의 동작 모드의 변천을 예시하는 타이밍도,
도 10은 도 1의 장치 중, 합성 모드에서 메모리 액세스의 대상으로 되는 메모리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1의 장치 중, 합성 기입 모드에서 메모리 액세스의 대상으로 되는 메모리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1의 장치 중, 판독 모드에서 메모리 액세스의 대상으로 되는 메모리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상 합성 표시 장치의 일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13의 레이어 정보 작성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화상 합성 표시 장치의 일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도 15의 레이어 정보 작성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은 도 15의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8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합성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전화 표시부(화상 합성 표시 장치)
109 : 입력 화상 120, 120A, 120B : 모드 제어부
122 :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 124 :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
126 : 무갱신 카운터 128, 128A, 128B : 동작 모드 전환부
130, 130A, 130B : 레이어 정보 작성부
131 : 합성 모드 지시부 132 :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
133 : 판독 모드 지시부 134 : 레이아웃 정보 생성부
135 : 소비 전력 판정부 140 : 외부 화상 메모리
142 : 레이어 정보 기억부
144 : 입력 화상 기억부(입력 화상 기억 장치)
146 : 합성 화상 기억부(합성 화상 기억 장치)
150 :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화상 합성부, 화상 합성 장치)
152 : 합성용 라인 메모리 154 : 합성 처리부
156 : 메모리 인터페이스 159 : 출력 화상
160 : LCD 표시 패널(표시 장치)
본 발명은,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 화상 합성 출력 방법, 화상 합성 출력용 프로그램 및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 화상을 생성하고, 또한 표시하는 화상 합성 표 시 장치 및 당해 화상 합성 표시 장치를 갖는 휴대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합성 표시 장치로서,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된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8는 이 컴퓨터 시스템(900)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컴퓨터 시스템(900)은 퍼스널 컴퓨터(이하, 「퍼스널 컴퓨터」라고 적절히 약기한다)(910)와 디스플레이 모니터(920)를 주요한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900)은 그 밖의 여러가지 구성 부분도 구비하고 있지만, 그들의 구성 부분은 본 발명과는 직접 관계하지 않기 때문에 생략하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900)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니터(920)의 다단계의 전력 절약 제어가 화상(본 명세서에서는, 화상을 표현하는 신호인 「화상 데이터」도 「화상」이라고 적절히 표현한다)을 묘화하기 위한 비디오 RAM(914)에의 기입 액세스의 유무를 나타내는 VRAM 상태 통지 신호(932)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퍼스널 컴퓨터(910)는 표시 제어부(912)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표시 제어부(912)는 표시 제어기(913)와 비디오 RAM(914)을 갖고 있다. 표시 제어부(912)는 표시용의 화상인 비디오 신호(931)와 동시에 VRAM 상태 통지 신호(932)를 디스플레이 모니터(920)로 송신한다.
표시 제어기(913)는, 디스플레이 모니터(920)에 의한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며, 일정한 화면 리프레시 레이트로 비디오 RAM(914)으로부터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한 화상을 표시용의 R-G-B로 이루어지는 3원색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931)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모니터(920)에 출력한다. 비디오 RAM(914)은 디스플 레이 모니터(920)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을 기억하는 것이며, 퍼스널 컴퓨터(910)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제어에 의해서 기입 액세스를 받는다. 이 비디오 RAM(914)에 기입 액세스에 의해서, 비디오 RAM(914)의 기억 데이터인 화상이 재기입되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 모니터(920)에 표시되는 화상이 갱신된다.
비디오 RAM(914)에 대하여 기입 액세스가 행하여지면, 상기 VRAM 상태 통지 신호(932)가 "0"에서 "1"로 변화된다. 그것에 의하여, 기입 액세스가 행하여진 것이 디스플레이 모니터(920)에 통지된다. 비디오 RAM(914)에 대한 기입 액세스가 종료하면, VRAM 상태 통지 신호(932)는 본래의 "0"으로 복귀한다.
퍼스널 컴퓨터(910)가 처리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한 묘화가 실행될 때마다, 비디오 RAM(914)에 대한 기입 액세스가 실행된다. 그러나, 퍼스널 컴퓨터(910)가 키 입력 대기 등의 아이들 상태(idle state)가 되면,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한 묘화 처리는 통상 실행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모니터(920)는 VRAM 상태 통지 신호(932)의 "0"에서 "1"로의 변화, 및 "1"에서 "0"으로의 복귀를 참조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910)에 의한 비디오 RAM(914)에 대한 기입 액세스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니터(920)는 퍼스널 컴퓨터(910)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외부 표시 장치이며, 예컨대 CRT 모니터이다. 디스플레이 모니터(920)는, 전력 절약 제어를 하기 위해서, 타이머(921) 및 파워다운 제어부(922)를 구비하고 있다. 타이머(921)는, 수신한 VRAM 상태 통지 신호(932)에 근거하여, 비디오 RAM(914)에 대한 기입 액세스가 정지한 후부터의 경과 시간, 즉 퍼스널 컴퓨터(910)가 아이들 상태 가 되는 것에 따라, 비디오 RAM(914)에 기억되는 화상이 갱신되지 않고, 그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니터(920)에 표시되는 화상이 갱신되지 않은 후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것이다.
타이머(921)는, VRAM 상태 통지 신호(932)가 "1"로 되거나, 또는 시스템 리셋 등에 의해서 리셋되면, 계시를 위한 카운트 동작을 시작한다. 이 카운트 동작은 다음에 "1"로 되는 VRAM 상태 통지 신호(932)를 수신할 때까지 계속된다. 파워다운 제어부(922)는, 타이머(921)에 의해서 계시되는 경과 시간, 즉 화상의 갱신이 행해지지 않은 후부터의 경과 시간의 길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니터(920)의 표시 상태를 다단계 제어하는 것이다. 즉, 화상의 갱신이 행해지지 않은 후부터의 경과 시간이 길어지는 데 따라서, 표시 상태가 통상 표시 상태로부터, 휘도 저하 상태, 표시 오프 상태, 전원 오프 상태로, 보다 낮은 소비 전력 상태로 단계적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900)에서는, 퍼스널 컴퓨터(910)는, 키 입력이 행해지지 않은 후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대신에, 비디오 RAM(914)에 대한 기입 액세스의 유무를, VRAM 상태 통지 신호(932)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모니터(920)에 통지한다. 디스플레이 모니터(920)는, 이 VRAM 상태 통지 신호(932)에 근거하여, 화상이 갱신되지 않은 후부터의 경과 시간, 즉 묘화을 위해 행하여지는 비디오 RAM(914)에의 기입 액세스가 정지한 후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고, 그 경과 시간에 따라서, 다단계의 파워세이브 제어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모니터(920)는, 자신의 주도로 자신의 표시 상태를 다단계로 제어할 수 있다. 그 결 과, 컴퓨터 시스템(900)은, 퍼스널 컴퓨터 주도의 제어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모니터(920)의 표시 상태를 결정하는 방식을 채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비해, 퍼스널 컴퓨터(910)의 처리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0-259140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화상 합성 표시 장치는, 단지 화상 표시 단계에서의 전력 절약 제어를 실행할 뿐으로서, 표시해야 할 화상을 합성하고 작성하는 단계에서의 전력 절약 제어를 고려한 것이 아니었다. 컴퓨터 시스템(900)에 내장된 화상 합성 표시 장치에 의거하여 말하면, 화상이 갱신되지 않을 때에 디스플레이 모니터(920)의 전력 절약 제어가 행하여지지만, 퍼스널 컴퓨터(910)에서의 표시 제어부(912)의 전력 절약화에 관해서는 하등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화상을 기억하는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이루어지는 합성 화상을 얻는 데 따르는 소비 전력을, 기억되어 있는 화상의 갱신이 행하여지지 않을 때에 절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 화상 합성 표시 장치, 휴대통신기기, 화상 합성 출력 방법, 화상 합성 출력용 프로그램 및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 중 제 1 형태에 따른 것은,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로서,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복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화상 합성부에 지시하는 모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의하면, 모드 제어부가,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갱신 기 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화상 합성부에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고,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무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판독 모드를 지시한다. 이 때문에, 예컨대 제 1 소정 기간 내에 계속적으로 새로운 화상의 입력이 있어,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이 제 1 소정 기간 내에 갱신되어 있는 기간에서는, 화상 합성부는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또한, 생성한 합성 화상을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한다. 그리고, 예컨대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 내에 새로운 화상의 입력이 없고, 그것에 의하여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이 제 1 소정 기간 내에 갱신되지 않으면, 화상 합성부는,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대신에,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출력한다. 화상 합성부의 동작 모드가 판독 모드에 이행한 후에, 새로운 화상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이 갱신되기 때문에, 동작 모드는 합성 기입 모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이 제 1 소정 기간을 경과하더라도 갱신되지 않는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화상 합성부는 입력 화상 기억부에의 액세스를 하지 않고, 또한 화상 합성 처리를 하지 않고, 합성 화상 기억부로부터의 판독만을 행한다. 그것에 의하여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입력 화상 기억부, 합성 화상 기억부 및 상기 화상 합성부의 전체에서의 소비 전력을, 종래 기술에 비해서 통상에 있어서 절감하면서,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얻어지는 합성 화상과 동일한 합성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중 제 2 형태에 따른 것은,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로서,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합성 모드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복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화상 합성부에 지시하는 모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 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의하면, 모드 제어부가,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화상 합성부에 합성 모드를 지시하여,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여,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과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무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판독 모드를 지시한다. 이 때문에, 예컨대 제 1 소정 기간 내에 계속적으로 새로운 화상의 입력이 있어,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이 제 1 소정 기간 내에 갱신되어 있는 기간에서는, 화상 합성부는,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예컨대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 내에 새로운 화상의 입력이 없고, 그것에 의하여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이 제 1 소정 기간 내에 갱신되지 않으면, 화상 합성부는,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또한, 생성한 합성 화상을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한다. 또한, 예컨대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 및 제 2 소정 기간을 경과하더라도 새로운 화상의 입력이 없으면, 화상 합성부는,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대신에,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출력한다. 화상 합성부의 동작 모드가 합성 기입 모드 또는 판독 모드에 이행한 후에, 새로운 화상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이 갱신되기 때문에, 동작 모드는 합성 모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이 제 1 소정 기간과 제 2 소정 기간을 경과하더라도 갱신되지 않는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화상 합성부는 입력 화상 기억부에의 액세스를 하지 않고, 또한 화상 합성 처리를 하지 않고, 합성 화상 기억부로부터의 판독만을 한다. 그것에 의하여,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입력 화상 기억부, 합성 화상 기억부 및 상기 화상 합성부의 전체에서의 소비 전력을, 종래 기술에 비해 통상에 있어서 절감하면서,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얻어지는 합성 화상과 동일한 합성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화상 합성부는, 무갱신 기간에 구비하여 행하여지는 합성 화상 기억부에의 합성 화상의 기록을, 무갱신 기간의 직전에 상당하는 기간에 있어서만 실행하고, 그 이전의 갱신 기간에 있어서는, 합성 화상 기억부에의 기록을 하지 않고, 화상 합성 처리만을 한다. 이 때문에, 갱신 기간에서의 소비 전력도 절감된다.
본 발명 중 제 3 형태에 따른 것은,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로서,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합성 모드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 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복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화상 합성부에 지시하는 모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화상 합성부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하는 데 필요한 제 1 소비 전력과, 상기 화상 합성부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로부터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는 데 필요한 제 2 소비 전력을 평가하여, 상기 제 1 소비 전력이 상기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소비 전력 판정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소비 전력 판정부가 긍정적인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소비 전력 판정부가 긍정적인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의하면, 모드 제어부가,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화상 합성부에 합성 모드를 지시하고,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제 1 및 제 2 소비 전력의 평가를 한다. 그리고, 모드 제어부는, 제 1 소비 전력이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크다고 판정하면, 그 후,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및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는, 화상 합성부에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고,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및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무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는 판독 모드를 지시한다.
이 때문에, 예컨대 제 1 소정 기간 내에 계속적으로 새로운 화상의 입력이 있어,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이 제 1 소정 기간 내에 갱신되어 있는 기간에서는, 화상 합성부는,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예컨대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 내에 새로운 화상의 입력이 없고, 그것에 의하여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이 제 1 소정 기간 내에 갱신되지 않으면, 제 1 소비 전력이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크다는 판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과 제 2 소정 기간을 경과할 때까지, 화상 합성부는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또한, 생성한 합성 화상을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한다. 그 후, 제 2 소정 기간을 경과하더라도 새로운 화상의 입력이 없으면, 화상 합성부는,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대신에,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출력한다. 화상 합성부의 동작 모드가 합성 기입 모드 또는 판독 모드에 이행한 후에, 새로운 화상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이 갱신되기 때문에, 동작 모드는 합성 모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때에, 제 1 소비 전력이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크다는 판정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경우에는,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이 제 1 소정 기간과 제 2 소정 기간을 경과하더라도 갱신되지 않는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화상 합성부는 입력 화상 기억부에의 액세스를 하지 않고, 또한 화상 합성 처리를 하지 않고, 합성 화상 기억부로부터의 판독만을 한다. 그것에 의하여,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입력 화상 기억부, 합성 화상 기억부 및 상기 화상 합성부의 전체에서의 소비 전력을 절감하면서,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얻어지는 합성 화상과 동일한 합성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화상 합성부는, 무갱신 기간에 구비하여 행하여지는 합성 화상 기억부에의 합성 화상의 기입을, 무갱신 기간의 직전에 상당하는 기간에 있어서만 실행하고, 그 이전의 갱신 기간에 있어서는, 합성 화상 기억부에의 기입을 하지 않고, 화상 합성 처리만을 한다. 이 때문에, 갱신 기간에서의 소비 전력도 절감된다. 또한, 합성 모드로부터 합성 기입 모드 및 판독 모드에의 이행이, 제 1 소비 전력이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큰 것, 즉 합성 모드보다도 판독 모드쪽이, 입력 화상 기억부, 합성 화상 기억부 및 화상 합성부의 전체의 소비 전력이 낮은 것을 조건으로 하여 행하여진다. 따라서, 입력된 화상의 데이터량 등에 따라서는 소비 전력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까지, 동작 모드를 천이시킨다고 하는 불합리가 회피된다.
본 발명 중 제 4 형태에 따른 것은 제 3 형태에 따른 화상 합성 출력 장치로서, 상기 소비 전력 판정부는,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의 데이터량에 비례한 양으로서 상기 제 1 소비 전력을 평가하여,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해야 할 상기 합성 화상의 데이터량에 비례한 양으로서 상기 제 2 소비 전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의하면, 소비 전력 판정부는, 입력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복수의 화상의 데이터량에 비례한 양으로서 제 1 소비 전력을 평가하여,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해야 할 합성 화상의 데이터량에 비례한 양으로서 제 2 소비 전력을 평가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소비 전력의 평가를 간단한 계산에 의해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다. 화상 합성부는 합성 모드에 있어서, 입력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복수의 화상을 취급하기 때문에, 제 1 소비 전력은 당해 복수의 화상의 데이터량에 비례한 양으로서 근사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상 합성부는 판독 모드에 있어서,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는 합성 화상을 취급하기 때문에, 제 2 소비 전력은, 합성 화상의 데이터량에 비례한 양으로서 근사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단, 쌍방의 동작 모드 사이에서 처리 내용은 다르기 때문에, 제 1 소비 전력과 복수의 화상의 데이터량간의 비례 계수와, 제 2 소비 전력과 합성 화상의 데이터량간의 비례 계수와는 일반적으로는 다른 값으로 된다. 본 구성은, 이러한 소비 전력과 데이터량간의 근사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소비 전력의 평가를, 비교적 양호한 정밀도로 또한 단시간에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 중 제 5 형태에 따른 것은 제 1 내지 4의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화상 합성 출력 장치로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화상 합성부가 상기 합성 화상의 1 프레임분을 출력하는 주기를 단위로 하여 상기 제 1 소정 기간을 계측하는 것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의하면, 화상 합성부가 합성 화상의 1 프레임분을 출력하는 주기를 단위로 하여 제 1 소정 기간이 계측되기 때문에, 화상 합성부의 프레임 단위의 동작에 정합하여 동작 모드의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 중 제 6 형태에 따른 것은 제 2 내지 4의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화상 합성 출력 장치로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화상 합성부가 상기 합성 화상의 1 프레임분을 출력하는 주기를 단위로 하여 상기 제 2 소정 기간을 계측하는 것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의하면, 화상 합성부가 합성 화상의 1 프레임분을 출력하는 주기를 단위로 하여 제 2 소정 기간이 계측되기 때문에, 화상 합성부의 프레임 단위의 동작에 정합하여 동작 모드의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 중 제 7 형태에 따른 것은 제 6 형태에 따른 화상 합성 출력 장치로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상기 주기와 동일 길이로 정해져 있는 것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의하면, 합성 화상의 1 프레임분이 출력되는 주기와 동일 길이로 제 2 소정 기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큰 합 성 기입 모드의 처리가 행하여지는 기간이 필요최소한의 길이로 억제된다.
본 발명 중 제 8 형태에 따른 것은 제 1 내지 7의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화상 합성 출력 장치로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화상의 각각의 입력에 따라 입력되는 갱신 통지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의 갱신이 있었던 것을 검지하는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의하면,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가 갱신 통지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의 갱신을 검지하기 때문에, 화상의 갱신의 유무의 판정이 간이하고 또한 단시간에 행하여진다.
본 발명 중 제 9 형태에 따른 것은 제 1 내지 8의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화상 합성 출력 장치로서,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는 각각, 단일의 메모리에 할당된 메모리 공간인 것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의하면, 입력 화상 기억부와 합성 화상 기억부가 각각 단일의 메모리에 할당된 메모리 공간이기 때문에, 이것들의 기억부를 저렴히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덧붙여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합성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합성 화상 기억부를 표시 장치의 측에 내장한 형태에 비해서, 단일의 메모리 내에 입력 화상 기억부와 함께 합성 화상 기억부가 할당된 본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 장치를 이용한 형태는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 중 제 10 형태에 따른 것은, 화상 합성 표시 장치로서, 제 1 내지 9 의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화상 합성 출력 장치와, 상기 화상 합성부가 출력하는 상기 출력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표시 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상 합성 출력 장치와 표시 장치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한 각 구성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중 제 11 형태에 따른 것은, 휴대통신기기으로서, 제 10 형태에 따른 화상 합성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구성의 휴대통신기기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상 합성 표시 장치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한 각 구성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휴대통신기기는 통상에 있어서 전지를 전원으로 하기 때문에, 본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전지의 수명을 높일 수 있어, 그것에 의하여 휴대성,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중 제 12 형태에 따른 것은,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방법으로서,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 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지시하는 모드 제어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 제어 공정은,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 공정과,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 방법에 의하면, 모드 제어 공정이, 입력 화상 기억 장치의 기억 내용의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화상 합성 장치에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여,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무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판독 모드를 지시한다. 이 때문에, 제 1 형태에 의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입력 화상 기억 장치, 합성 화상 기억 장치 및 상기 화상 합성 장치의 전체에서의 소비 전력을, 종래 기술에 비해서 통상에 있어서 절감하면서,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되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얻어지는 합성 화상과 동일한 합성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중 제 13 형태에 따른 것은,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방법으로서,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합성 모드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 장치에 기입한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 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지시하는 모드 제어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 제어 공정은,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모드 지시 공정과,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 공정과,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 방법에 의하면, 모드 제어 공정이, 입력 화상 기 억 장치의 기억 내용의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화상 합성 장치에 합성 모드를 지시하여,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고,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과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무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판독 모드를 지시한다. 이 때문에, 제 2 형태에 의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입력 화상 기억 장치, 합성 화상 기억 장치 및 상기 화상 합성 장치의 전체에서의 소비 전력을, 종래 기술에 비해 통상에 있어서 절감하면서,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되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얻어지는 합성 화상과 동일한 합성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갱신 기간에서의 소비 전력도 절감된다.
본 발명 중 제 14 형태에 따른 것은,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방법으로서,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합성 모드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 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 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지시하는 모드 제어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 제어 공정은,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모드 지시 공정과,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화상 합성 장치가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하는 데 필요한 제 1 소비 전력과, 상기 화상 합성 장치가 상기 합성 화상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는 데 필요한 제 2 소비 전력을 평가하여, 상기 제 1 소비 전력이 상기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소비 전력 판정 공정과,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소비 전력 판정 공정이 긍정적인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 공정과,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소비 전력 판정 공정이 긍정적인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 방법에 의하면, 모드 제어 공정이, 입력 화상 기억 장치의 기억 내용의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화상 합성 장치에 합성 모드를 지시하고,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제 1 및 제 2 소비 전력의 평가를 한다. 그리고, 모드 제어 공정은, 제 1 소비 전력이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크다고 판정하면, 그 후,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및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는, 화상 합성 장치에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고,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및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무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는 판독 모드를 지시한다. 이 때문에, 제 3 형태에 의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입력 화상 기억 장치, 합성 화상 기억 장치 및 상기 화상 합성 장치의 전체에서의 소비 전력을 절감하면서,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되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얻어지는 합성 화상과 동일한 합성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갱신 기간에서의 소비 전력도 절감된다. 또한, 입력된 화상의 데이터량 등에 따라서는 소비 전력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까지, 동작 모드를 천이시킨다고 하는 불합리가 회피된다.
본 발명 중 제 15 형태에 따른 것은,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합성 출력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화상 합성 출력 장치는,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 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 합성 출력용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를,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용 프로그램에 의하면,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가,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화상 합성부에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고,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무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판독 모드를 지시한다. 이 때문에, 제 1 형태에 의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입력 화상 기억부, 합성 화상 기억부 및 상기 화상 합성부의 전체에서의 소비 전력을, 종래 기술에 비해 통상에 있어서 절감하면서,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얻어지는 합성 화상과 동일한 합성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중 제 16 형태에 따른 것은,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합성 출력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화상 합성 출력 장치는,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합성 모드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 합성 출력용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를,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 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용 프로그램에 의하면,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가,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화상 합성부에 합성 모드를 지시하여,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고,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과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무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판독 모드를 지시한다. 이 때문에, 제 2 형태에 의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입력 화상 기억부, 합성 화상 기억부 및 상기 화상 합성부의 전체에서의 소비 전력을, 종래 기술에 비해 통상에 있어서 절감하면서,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얻어지는 합성 화상과 동일한 합성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갱신 기간에서의 소비 전력도 절감된다.
본 발명 중 제 17 형태에 따른 것은,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상 합성 출력용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화상 합성 출력 장치는,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합성 모드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 합성 출력용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를,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화상 합성부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하는 데 필요한 제 1 소비 전력과, 상기 화상 합성부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로부터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는 데 필요한 제 2 소비 전력을 평가하여, 상기 제 1 소비 전력이 상기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소비 전력 판정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소비 전력 판정부가 긍정적인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소비 전력 판정부가 긍정적인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상 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용 프로그램에 의하면,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가,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화상 합성부에 합성 모드를 지시하여,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제 1 및 제 2 소비 전력의 평가를 한다. 그리고, 컴퓨터는, 제 1 소비 전력이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크다고 판정하면, 그 후,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및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는, 화상 합성부에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여,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및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무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는 판독 모드를 지시한다. 이 때문에, 제 3 형태에 의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입력 화상 기억부, 합성 화상 기억부 및 상기 화상 합성부의 전체에서의 소비 전력을 절감하면서,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얻어지는 합성 화상과 동일한 합성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갱신 기간에서의 소비 전력도 절감된다. 또한, 입력된 화상의 데이터량 등에 따라서는 소비 전력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까지, 동작 모드를 천이시킨다고 하는 불합리가 회피된다.
본 발명 중 제 18 형태에 따른 것은,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 성 출력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로서, 상기 화상 합성 출력 장치는,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는, 상기 컴퓨터를,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에 의하면, 당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가,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화상 합성부에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고,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무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판독 모드를 지시한다. 이 때문에, 제 1 형태에 의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입력 화상 기억부, 합성 화상 기억부 및 상기 화상 합성부의 전체에서의 소비 전력을, 종래 기술에 비해 통상에 있어서 절감하면서,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얻어지는 합성 화상과 동일한 합성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중 제 19 형태에 따른 것은,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로서, 상기 화상 합성 출력 장치는,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합성 모드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는, 상기 컴퓨터를,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에 의하면, 당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가,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화상 합성부에 합성 모드를 지시하고,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며,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과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무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판독 모드를 지시한다. 이 때문에, 제 2 형태에 의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입력 화상 기억부, 합성 화상 기억부 및 상기 화상 합성부의 전체에서의 소비 전력을, 종래 기술에 비해 통상에 있어서 절감하면서,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얻어지는 합성 화상과 동일한 합성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갱신 기간에서의 소비 전력도 절감된다.
본 발명 중 제 20 형태에 따른 것은,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로서, 상기 화상 합성 출력 장치는,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합성 모드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는, 상기 컴퓨터를,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화상 합성부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하는 데 필요한 제 1 소비 전력과, 상기 화상 합성부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로부터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는 데 필요한 제 2 소비 전력을 평가하여, 상기 제 1 소비 전력이 상기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큰 지 여부를 판정하는 소비 전력 판정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소비 전력 판정부가 긍정적인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소비 전력 판정부가 긍정적인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이 구성의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에 의하면, 당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가, 입력 화상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 화상 합성부에 합성 모드를 지시하여,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제 1 및 제 2 소비 전력의 평가를 한다. 그리고, 컴퓨터는, 제 1 소비 전력이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크다고 판정하면, 그 후,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및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는, 화상 합성부에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고,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및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무갱신 기간이라 가칭함)에 있어서는 판독 모드를 지시한다. 이 때문에, 제 3 형태에 의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무갱신 기간에 있어서, 입력 화상 기억부, 합성 화상 기억부 및 상기 화상 합성부의 전체에서의 소비 전력을 절감하 면서,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얻어지는 합성 화상과 동일한 합성 화상을 출력 화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갱신 기간에서의 소비 전력도 절감된다. 또한, 입력된 화상의 데이터량 등에 따라서는 소비 전력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까지, 동작 모드를 천이시킨다고 하는 불합리가 회피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합성 표시 장치와 그 주변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화상 합성 표시 장치는,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휴대전화 표시부(100)로서 구체화되어 있다. 도 1에 그려지는 휴대전화 표시부(100)의 주변 부분은 휴대전화기 내의 장치 요소이다.
물론, 본 발명의 화상 합성 표시 장치는, 휴대전화기의 표시부로서 실현되는 것뿐만아니라, 예컨대 노트북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부, 예컨대 PDA 등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는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의 표시부, DVD 플레이어나 CD 플레이어 등을 비롯한 각종 오디오 비디오 기기의 표시부, 각종 가정용 전기기기의 표시부, 복사기나 팩시밀리 그 밖의 각종 사무용 전자기기의 표시부, 또는 기타 각종기기의 표시부로서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휴대전화기 또는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등의 휴대통신기기는, 전지를 전원으로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어, 그것에 의 하여 휴대성 및 유용성을 높일 수 있다.
휴대전화기의 전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휴대전화 표시부(100)뿐만아니라, 통신이나 통화를 하기 위한 여러가지 요소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것들의 요소는, 본 발명의 본질과 직접 관계하지 않고, 또한 종래 주지의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 내지 간략화한다.
휴대전화 표시부(100)는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 외부 화상 메모리(140),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 및 LCD 표시 패널(160)을 구비하고 있다. LCD 표시 패널(160)은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체예로서, CRT 표시 장치(음극 선관 표시 장치)나 EL이나 PDP(Plasma Display Panel)나, 기타 각종 표시 장치로 대체되더라도 좋다.
휴대전화 표시부(100)에는, LCD 표시 패널(160)에 표시하기 위한 복수 종류의 화상이 입력 화상(109)으로서 입력된다. 휴대전화 표시부(100)는, 이것들의 복수 종류의 입력 화상(109)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고, 당해 합성 화상을 LCD 표시 패널(160)에 표시한다. 도 1에 예시하는 휴대전화기는 카메라 장치(120)를 구비하고 있다. 그것에 의하여 휴대전화 표시부(100)에는 입력 화상(109)으로서, 대국 화상(對局 畵像), 자국 화상(自局 畵像), 및 배경 화상을 입력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2에 예시하듯이, LCD 표시 패널(160)에는, 대국 화상(11), 자국 화상(12) 및 배경 화상(13)을 합성하여 이루어지는 합성 화상이 표시된다. 대국 화상(11)은, 통신상대의 휴대전화기(대국이라고 함)의 카메라로 촬영되어, 무선 등 의 전송로를 통하여 송신되고, 또한 자신(자국이라고 함)이 수신 및 재생한 화상이다. 자국 화상(12)은 자국의 카메라로 촬영함으로써 얻어지는 모니터 화상이다. 배경 화상(13)은 대국 화상(11) 및 자국 화상(12)의 배경으로 되는 화상으로서, 전지 정보, 전파 상황 정보 등도 동시에 표시하는 화상이다.
도 1에 되돌아가, 외부 화상 메모리(140)는 입력 화상 기억부(144)와,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와, 합성 화상 기억부(146)를 주요한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입력 화상 기억부(144)는 입력 화상(109)을 기억한다. 입력 화상(109) 중 대국 화상(11)은 통신 장치(34), 대국 압축 화상 수신부(105), 대국 압축 화상 기억부(106) 및 대국 압축 화상 신장부(107)를 통하여 입력 화상 기억부(144)로 입력된다. 대국 압축 화상 수신부(105)는 데이터 압축한 형식으로 대국으로부터 송신된 화상을 수신한다. 대국 압축 화상 기억부(106)는 수신된 압축 화상을 기억한다. 대국 압축 화상 신장부(107)는 대국 압축 화상 기억부(106)에 기억된 압축 화상을 신장함으로써, 비압축형식의 대국 화상(11)을 얻는다.
입력 화상(109) 중 자국 화상(12)은 카메라 장치(102)에 의해서 생성된다. 카메라 장치(102)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부와 DMA(Direct Memory Access)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DMA 회로는 CPU를 개재하지 않고 메모리에 직접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이다. 입력 화상(109) 중 배경 화상(13)은 배경 화상 생성부(101)에 의해서 생성된다. 대국 화상(11)으로서 새로운 화상이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입력되면, 입력 화상 기억부(144)는 이미 기억하고 있는 대국 화상(11)을 갱신하는 형식으로 새로운 화상을 기억한다. 자국 화상(12) 및 배경 화상(13)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는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레이어 정보를 기억한다. 레이어 정보는, 입력 화상(109)이 포함하는 대국 화상(11) 등의 화상의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인 레이아웃 정보와,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동작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인 모드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합성 화상 기억부(146)는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기억되는 입력 화상(109)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합성 화상을 기억한다.
외부 화상 메모리(140)는, 데이터량이 큰 화상을 기억할 필요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대용량의 것을 저렴하게 입수 가능한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된다.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 입력 화상 기억부(144) 및 합성 화상 기억부(146)는,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RAM으로서의 외부 화상 메모리(140)에 할당된 메모리 공간이다. 그것에 의하여, 이들 복수의 기억부(142, 144, 146)를, 보다 저렴히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들의 메모리 공간은, 단일의 RAM으로서의 외부 화상 메모리(140)를 시분할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일부 내지 전부에 있어서 중복하는 것이 있더라도 상관없다. 각 기억부(142, 144, 146)에 단일 RAM의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는 형태에서는, 할당된 각 메모리 공간의 선두 어드레스를 지정함으로써, 각 기억부(142, 144, 146)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는 본 발명의 화상 합성부의 구체예에 해당하고,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 합성 처리부(154)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56)를 구비하고 있다. 그것에 의하여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는, 레이어 정보 기억부 (142)에 기억되는 모드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한다. 복수의 동작 모드는 합성 모드, 합성 기입 모드, 및 판독 모드를 포함하고 있다.
합성 모드에서는 합성 처리부(154)가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 화상(109)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159)으로서 LCD 표시 패널(160)로 출력한다. 합성 기입 모드에서는 합성 처리부(154)가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 화상(109)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159)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합성 화상을 합성 화상 기억부(146)로 기입한다. 판독 모드에서는, 합성 화상 기억부(146)가 기억하고 있는 합성 화상을 메모리 인터페이스(156)가 판독하고, 출력 화상(159)으로서 출력한다. 합성 처리부(154)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56)는, LCD 표시 패널(160)이 1 화면분을 주사하는 주기에 동기하여 출력 화상(159)을 출력한다. 합성 모드 및 합성 기입 모드에서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56)는 화상의 판독 동작을 정지하고, 판독 모드에서는, 합성 처리부(154)가 화상의 합성 처리를 정지한다.
합성 처리부(154)는, 입력 화상(109)으로부터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합성 처리를 할 때에,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에 기억되는 레이아웃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합성 화상 내의 각 입력 화상(109)의 배치, 사이즈, 중첩 부분에 있어서 상층에 표시해야 할 우선순위 등을 결정한다. 합성 처리부(154)는 입력 화상(109)을 1라인마다 또는 복수라인마다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에 기입하는 것에 의해 합성 처리를 한다. 합성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는, 데이터량이 비교적 작은 1라인 내지 복수라인분의 화상을 기억하면 충분한 한편, 기록 및 판독을 고속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된다. 합성 처리부(154)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56)는, 고속 처리를 할 필요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하드웨어 회로로 실현된다.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는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 무갱신 카운터(126), 및 동작 모드 전환부(128)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동작 모드 전환부(128)는 합성 모드 지시부(131),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132), 판독 모드 지시부(133), 및 레이아웃 정보 생성부(134)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들 중,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 무갱신 카운터(126), 합성 모드 지시부(131),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132), 및 판독 모드 지시부(133)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에 동작 모드를 지시하는 모드 제어부(120)를 구성한다.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는 입력 화상(109)을 구성하는 대국 화상(11), 자국 화상(12) 및 배경 화상(13)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갱신된 것을 검지한다. 대국 압축 화상 신장부(107)는, 대국 화상(11)이 갱신될 때마다, 갱신을 통지하는 통지 신호를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로 전달한다. 카메라 화상 입력 제어부(104)는 카메라 장치(102)를 제어하는 것이며, 카메라 장치(102)에 1 프레임분의 화상의 촬상을 지시할 때마다, 자국 화상(12)의 갱신을 통지하는 통지 신호를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로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배경 화상 입력 제어부 (103)는 배경 화상 생성부(101)를 제어하는 것이며, 배경 화상 생성부(101)에 새로운 배경 화상의 생성을 지시할 때마다, 배경 화상(13)의 갱신을 통지하는 통지 신호를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로 전달한다.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는, 이것들의 통지 신호에 근거하여,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 화상(109)에 갱신이 있었던 것을 검지한다. 또한,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는 입력 화상(109)에 갱신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하여의 판단 결과를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로 보낸다.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에 의한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무갱신 카운터(126)의 카운트값, 즉 계수값을 제어하고, 또한, 당해 카운트값과 소정의 값의 비교를 한다.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또한, 비교의 결과를 동작 모드 전환부(128)로 전달한다.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특히,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로부터 송신되는 판단 결과가 입력 화상(109)에 갱신이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카운트값을 리셋한다. 동작 모드 전환부(128)에 포함되는 합성 모드 지시부(131),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132), 및 판독 모드 지시부(133)는,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가 전하는 비교의 결과에 근거하여,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가 채용해야 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동작 모드를 채용하도록 지시하는 모드 지시 정보를 작성하여,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에 기입한다.
레이아웃 정보 생성부(134)는, 레이어원(근원) 정보 지정부(108)가 생성하는 레이어원 정보에 근거하여, 레이아웃 정보를 생성하여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에 기입한다. 휴대전화 표시부(100)의 주변 장치부에 속하는 레이어원 정보 지정부(108)는, 레이아웃 정보의 근원이 되는 정보인 레이어원 정보를 생성하여, 레이아웃 정보 생성부(134)에 입력한다. 레이어원 정보 지정부(108)는, 예컨대, 사용자의 키조작이 없으면 레이어원 정보로서 디폴트(초기 설정)의 내용을 생성하고, 또한, 사용자의 키조작이 있으면, 이것에 응답하여 레이어원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히 구성된다.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 배경 화상 입력 제어부(103), 카메라 화상 입력 제어부(104) 및 레이어원 정보 지정부(108)는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은 하드웨어로 구성하더라도 좋지만, 프로그램을 탑재한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컴퓨터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이, 보다 간소하고 또한 용이하다. 당해 컴퓨터는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중앙 연산 처리부), 이 CPU의 동작을 규정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도시하지 않은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ROM(Read Only Memory),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보관하는 도시하지 않은 RAM 등의 기억부를 갖는다.
상기 프로그램은, ROM, 플렉서블 디스크, CD-ROM 등의 기록 매체(31)를 통하여 공급하는 것도, 전화회선, 네트워크 등의 전송 매체(33)를 통하여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는, 기록 매체(31)로서 CD-ROM이 그려져 있고, 전송 매체(33)로서 무선의 전송 매체가 그려져 있다.
기록 매체(31)로서 CD-ROM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외부 장치로서의 CD-ROM 독해 장치(32)를 휴대전화기에 접속함으로써, 판독할 수 있고, 또한 휴대전화기가 갖는 도시하지 않은 RAM 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기록 매체(31)로서 ROM의 형태로 프로그램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당해 ROM을 휴대전화기에 탑재함으로써,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 등은 상기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 가능해진다.
전송 매체(33)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프로그램은 통신 장치(34)를 통하여 수신되어, 휴대전화기가 갖는 도시하지 않은 RAM 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에 저장된다. 전송 매체(33)는 상기와 같은 유선의 전송 매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송 매체(33)는 통신선로만이 아니고, 통신선로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 예컨대, 라우터 등의 통신 링크도 포함한다.
다음에, 휴대전화 표시부(100)의 동작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3은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용자에 의한 키조작 등에 의해 휴대전화 표시부(100)의 동작이 시작되면,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무갱신 카운터(126)의 카운트값을 리셋한다(S1). 카운트값은, 리셋에 의해 예컨대 "O"으로 설정된다. 다음에,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카운트값이 "0"이 된 것을 동작 모드 전환부(128)로 전달한다. 그것에 의하여, 합성 모드 지시부(131)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동작 모드를 합성 모드로 설정한다(S2). 즉, 합성 모드 지시부(131)는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모드 지시 정보를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에 기입한다.
다음에,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는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기억되는 입력 화상(109)에 갱신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 도 3의 루프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가 합성 화상의 1 프레임분을 출력 화상(159)으로서 출력하 는 주기, 즉 프레임 주기마다 일순한다. 그에 따른, 단계 S3의 처리는 프레임 주기마다 반복 실행된다.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가 입력 화상(109)의 갱신을 검지하고 있으면(S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로 되돌아가고,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카운터값의 여하에 관계없이, 카운터값을 리셋한다(S1). 한편,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가 입력 화상(109)의 갱신을 검지하지 않고 있으면(S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5로 이행한다. 단계 S5에서는,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카운트값을 증가한다. 일례로서, 카운트값의 가산폭은 "1"이라고 한다.
다음에,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카운트값이 소정값 T0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6). 카운트값은 프레임 주기를 단위로 하는 값이기 때문에, 소정값 T0은 소정의 기간에 대응한다. 이 소정의 기간을 제 1 소정 기간이라고 한다. 카운트값이 제 1 소정 기간 T0 이하이면(S6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으로 이행한다. 한편, 카운트값이 제 1 소정 기간 T0을 넘어 있으면(S6에서 "아니오"),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카운트값이 소정값 T0과 별도의 소정값 T1의 합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7). 소정값 T1은, 소정값 T0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기간에 대응한다. 이 소정의 기간을 제 2 소정 기간이라고 한다.
카운트값이 제 1 소정 기간 T0과 제 2 소정 기간 T1의 합 이하이면(S7에서 "예"),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그 취지의 판단 결과를 동작 모드 전환부(128)로 보낸다.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132)는, 송신된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동작 모드를 합성 기입 모드로 설정한다(S8). 즉,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132)는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모드 지시 정보를 레이어 정 보 기억부(142)에 기입한다. 한편, 카운트값이 제 1 소정 기간 T0과 제 2 소정 기간 T1의 합을 초과하고 있으면(S7에서 "아니오"),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그 취지의 판단 결과를 동작 모드 전환부(128)로 송신한다. 판독 모드 지시부(133)는 송신된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동작 모드를 판독 모드로 설정한다(S9). 즉, 판독 모드 지시부(133)는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모드 지시 정보를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에 기입한다. 단계 S8 또는 S9의 처리가 종료하면, 처리는 단계 S10으로 이행한다.
단계 S10에 있어서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는 처리를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사용자가 소정의 키조작을 하고 있는 등에 의해, 처리를 종료해야 할 때에는,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처리를 종료하지 않아야 할 때에는,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는 처리를 단계 S3으로 되돌린다.
이상과 같이,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는, 프레임 주기마다 단계 S1∼S4의 루프, 또는 단계 S3∼S10의 루프를 반복하여, 프레임 주기마다 변화되는 카운트값에 근거해서 3종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카운트값은, 입력 화상(109)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부터의 경과 기간에 대응한다. 따라서,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는, 최신 갱신시부터의 경과 기간의 길이에 따라서, 3종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제 1 소정 기간 T0 및 제 2 소정 기간 T1이, 프레임 주기를 단위로 하여 계측되기 때문에,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프레임 단위의 동작에 정합하여 동작 모드의 변경을 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합성 기입 모드에서는 다른 동 작 모드에 비해서 소비 전력이 통상에 있어서 크다. 제 2 소정 기간 T1을, 프레임 주기와 동일 길이로 설정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비교적 큰 합성 기입 모드의 기간을 필요최소한의 길이로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용자에 의한 키조작 등에 의해 휴대전화 표시부(100)의 동작이 시작되면, 합성 처리부(154)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56)는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에 기억되는 모드 지시 정보를 판독하여, 당해 모드 지시 정보가 판독 모드를 지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1).
모드 지시 정보가 판독 모드를 지시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S31에서 "아니오"), 모드 지시 정보는 합성 모드 또는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56)는 화상의 판독 동작을 하지 않고, 한편, 합성 처리부(154)는 입력 화상 기억부(144)로부터 입력 화상(109)을 판독한다(S32). 다음에, 합성 처리부(154)는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에 대한 기록 및 판독을 하는 것에 의해, 입력 화상(109)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한다(S33). 계속해서, 합성 처리부(154)는 생성한 합성 화상을 출력 화상(159)으로서 LCD 표시 패널(160)로 출력한다(S34).
다음에, 합성 처리부(154)는 모드 지시 정보가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5). 모드 지시 정보가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고 있으면(S35에서 "예"), 합성 처리부(154)는 단계 S33에서 생성한 합성 화상을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 기입한다(S36). 그 후, 처리는 단계 S39로 이행한다. 한편, 모 드 지시 정보가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고 있지 않으면(S35에서 "아니오"), 처리는 S31로 되돌아간다.
단계 S31의 판정에 있어서, 모드 지시 정보가 판독 모드를 지시하고 있으면(S31에서 "예"), 합성 처리부(154)는 화상의 합성 처리를 하지 않고, 한편, 메모리 인터페이스(156)는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 기억되는 합성 화상을 판독한다(S37). 다음에, 메모리 인터페이스(156)는 판독한 합성 화상을 출력 화상(159)으로서 LCD 표시 패널(160)로 출력한다(S38). 그 후, 처리는 단계 S39로 이행한다.
단계 S39에서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는 처리를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사용자가 소정의 키조작을 하고 있는 등에 의해, 처리를 종료해야 할 때에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처리를 종료하지 않아야 할 때에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는, 처리를 단계 S31로 되돌린다. 이상의 처리에서의 루프는, 화상의 1라인마다 또는 복수라인마다 반복된다.
도 5는 화상 합성부(150)의 합성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5의 예에서는, 입력 화상(109)으로서 제 1 입력 화상(41)과 제 2 입력 화상(42)의 두 가지의 화상이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기억되어 있다. 제 1 입력 화상(41)은 예컨대 대국 화상(11)이며, 제 2 입력 화상(42)은 예컨대 자국 화상(12)이다. 이 경우, 제 1 입력 화상(41) 및 제 2 입력 화상(42)은, 예컨대 풀컬러의 자연 화상이다. 도 5에서는 편의상, 제 1 입력 화상(41)으로서 히라가나의 「あ」라는 문자 화상을 예시하고, 제 2 입력 화상(42)으로서 히라가나의 「え」라는 문자 화상을 예시하고 있다.
입력 화상(109)을 구성하는 화상의 종류 및 그 수는, 예컨대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 1 입력 화상(41) 및 제 2 입력 화상(42)의 어느 하나가, 컴퓨터로 작성된 CG(computer graphics) 화상이 입력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제 1 입력 화상(41) 및 제 2 입력 화상(42)은 정지 화상과 동화상 중 어느 하나라도 좋고, 기타 여러가지 종류의 화상일 수 있다.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는, 제 1 입력 화상(41)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인 제 1 입력 화상 기억부(148)가 확보되고, 제 2 입력 화상(42)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인 제 2 입력 화상 기억부(149)가 확보된다. 제 1 입력 화상 기억부(148) 및 제 2 입력 화상 기억부(149)는, 입력 화상(109)을 구성하는 화상의 종류, 수, 및 사이즈(즉 데이터량)에 따라서, 단일의 RAM으로서의 외부 화상 메모리(140)내에 자유롭게 할당되는 메모리 공간이다. 그것에 의하여, 입력 화상 기억부(144)의 기억 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입력 화상 기억부(144)내에, 입력 화상(109)을 구성하는 최대수의 화상의 최대사이즈에 대응한 메모리 공간을 고정적으로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들의 메모리 공간은, 단일의 RAM으로서의 외부 화상 메모리(140)를 시분할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일부 내지 전부에 있어서 중복하는 것이 있더라도 상관없다. 각 기억부(148, 149)에 단일의 RAM의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는 형태에서는, 할당된 각 메모리 공간의 선두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것으로, 각 기억부(148, 149)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에는, 동작 모드 전환부(128)가 기입한 레이어 정보 (51)가 기억되어 있다. 이미 말했듯이 레이어 정보(51)는 레이아웃 정보와 모드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합성 화상 기억부(146)는 합성 화상(61)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지만, 합성 모드에서는 합성 화상 기억부(146)는 사용되지 않는다. 합성 모드에서는, 합성 처리부(154)는 레이어 정보(51)가 포함하는 레이아웃 정보에 근거하여, 제 1 입력 화상(41)과 제 2 입력 화상(42)을 입력 화상 기억부(144)로부터 판독하여 합성한다. 도 5의 예에서는, 레이아웃 정보는 제 1 입력 화상(41)(번호 "1"로 나타내고 있음)의 우/하단의 코너의 소구획의 위에 제 2 입력 화상(42)(번호 "2"로 나타내고 있음)을 겹쳐서 표시해야 한다고 지시하고 있다. 즉, 레이아웃 정보는, LCD 표시 패널(160)의 표시 화면 전체를 커버해야 할 "1"의 레이어와, 표시 화면의 우/하단에서, "1"의 레이어의 상층에 위치하는 "2"의 레이어의 2개의 레이어를 지시하고 있다.
도 6은 합성 처리부(154)의 화상 합성 처리를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6에 예시하듯이, 합성 처리부(154)는,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서 입력 화상 기억부(144)로부터 제 1 입력 화상(41)과 제 2 입력 화상(42)을 선택적으로 예컨대 1라인씩 판독하고,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에 기입한다. 합성 처리부(154)는 제 1 입력 화상(41)을 표시해야 할 영역에서는 제 1 입력 화상(41)을 판독하고, 제 2 입력 화상(42)을 거듭 표시해야 할 영역에서는 제 2 입력 화상(42)을 판독한다. 도 6의 예에서는,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는 합성 화상 7라인분의 기억 용량을 갖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1라인분 이상의 기억 용량을 갖고 있으면 좋다.
합성 처리부(154)는,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에 기억된 1라인분의 합성 화상을 FIFO(First Input First Output;선입력 선출력)의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판독하고, LCD 표시 패널(160)로 출력한다. 그 결과, 도 5에 예시하듯이, LCD 표시 패널(160)의 표시 화면의 전면에 제 1 입력 화상(41)인 히라가나의 「あ」를 확대한 화상이 표시되고, 표시 화면의 우/하단 영역에 제 2 입력 화상(42)인 히라가나의 「え」를 적절한 크기로 조정한 화상이 표시된다.
도 7은 화상 합성부(150)의 합성 기입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7의 예에서도 도 5와 마찬가지로, 입력 화상(109)으로서 제 1 입력 화상(41)과 제 2 입력 화상(42)의 두 가지의 화상이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기억되어 있다. 합성 기입 모드에서도 합성 모드와 마찬가지로, 합성 처리부(154)는 레이어 정보(51)가 포함하는 레이아웃 정보에 근거하여, 제 1 입력 화상(41)과 제 2 입력 화상(42)을 입력 화상 기억부(144)로부터 판독하여 합성한다. 또한,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합성 처리부(154)는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에 기억된 1라인분의 합성 화상을 FIFO의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판독하고, LCD 표시 패널(160)로 출력한다. 그 결과, 도 7에 예시하는 합성 화상이 LCD 표시 패널(160)에 표시된다.
합성 처리부(154)는, 합성 기입 모드에 있어서는 그것만으로 그치지 않고,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로부터 판독한 1라인분의 합성 화상을 또한 합성 화상 기억부(146)로 순차적으로 기입한다. 그 결과, 도 7에 예시하는 합성 화상(61)이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 기억된다.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의 합성 화상(61)의 기록은 합성 기입 모드의 후에 예정되는 판독 모드에의 준비로서 행하여지는 것이다.
도 8은 화상 합성부(150)의 판독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8의 예에 있어서도 도 5 및 도 7과 마찬가지로, 입력 화상(109)으로서 제 1 입력 화상(41)과 제 2 입력 화상(42)의 두 가지의 화상이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기억되어 있다. 판독 모드에서는, 합성 처리부(154)는 화상 합성 처리를 하지 않고, 메모리 인터페이스(156)가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 기억되어 있는 합성 화상(61)을 판독하고, LCD 표시 패널(160)로 출력한다. 그 결과, 도 8에 예시하는 합성 화상이 LCD 표시 패널(160)에 표시된다.
도 9는 화상 합성부(150)의 동작 모드의 변천을 예시하는 타이밍차트이다. 이하에서, 당해 타이밍차트를 참조하면서, 각 동작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의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화상(109)의 갱신이 제 1 소정 기간 T0 내에 행해지고, 그에 따른 LCD 표시 패널(160)에 표시되는 화상의 갱신이 행하여지고 있는 통상의 기간에 있어서는, 통상 모드에서 합성 모드가 선택·설정된다. 그 결과, 입력 화상(109)의 합성 처리가 행하여져, 합성 처리에 의해서 얻어지는 합성 화상이 LCD 표시 패널(160)에 표시된다.
이 합성 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단, 여기서 계산하는 소비 전력은 외부 화상 메모리(140)와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에서, 메모리 액세스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다. 다른 부분, 예컨대 LCD 표시 패널(160),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 및 그 밖의 부분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동작 모드와의 상관성이 낮기 때문에 계산 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
합성 모드에서의 메모리 액세스로서는, 외부 화상 메모리(140)의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대한 판독 액세스가 발생하고, 또한,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에 대한 기입 액세스와 판독 액세스가 발생한다. 즉, 합성 모드에서는 도 10의 블럭도에 있어서, 해칭을 부여한 부분에 대하여 메모리 액세스가 행하여진다. 합성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은, 이것들의 액세스에 따르는 소비 전력의 합계로 된다. 외부 화상 메모리(140)의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대한 판독 액세스에 의한 소비 전력과, 외부 화상 메모리(140)의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 대한 판독 액세스에 의한 소비 전력은 동일하며, 그 소비 전력을 W140이라고 하면, W140은 수학식 1로 인가된다.
Figure 112005025390019-PAT00001
또한,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에 대한 판독 액세스에 의한 소비 전력과 기입 액세스에 의한 소비 전력은 동일하며, 그 소비 전력을 W150이라고 하면, W150은 수학식 2로 인가된다.
Figure 112005025390019-PAT00002
수학식 1에 있어서, A1은 입력 화상 기억부(144)와 합성 화상 기억부(146)를 구성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 전류(A)이며, V1은 당해 메모리 소자에 공급하는 전압(V)이며, K3은 당해 메모리 소자의 기억 데이터가 변화되는 빈도를 나타내고, 수학식 3으로 인가된다.
Figure 112005025390019-PAT00003
수학식 3에 있어서, Ip1은 LCD 표시 패널(160)에 표시되는 화상, 즉 표시 화상의 픽셀(화소)수이며, fp1은 표시 패널(160)에서의 1초 동안의 화상 갱신 회수이며, f3은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가 1초 동안에 처리할 수 있는 최대 픽셀수이다.
또, 수학식 1에 있어서, C1은 외부 화상 메모리(140)와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접속 부분의 부유 용량(F)이며, Dbpp는 외부 화상 메모리(140)의 데이터 버스폭이며, Abpp는 외부 화상 메모리(140)의 어드레스 버스폭이며, K1은 외부 화상 메모리(140)의 데이터 버스값, 즉 데이터 버스상의 데이터의 변화 빈도이며, K2는 외부 화상 메모리(140)의 어드레스 버스값의 변화 빈도이다. A1을 30㎃, V1을 1.8V, Ip1을 240×320=76,800픽셀, fp1을 60프레임/초, f3을 100M픽셀, C1을 10㎊, Dbpp를 32, Abpp를 16, K1을 1/2, K2를 1/16으로 가정하여, 수학식 1과 수학식 3으로부터 W140을 계산하면, 대략 5㎽가 된다.
또, 수학식 2에 있어서, A2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를 구성하는 메모리 소자의 동작 전류(A)이며, V2는 당해 메모리 소자에 공급하는 전압(V)이며, K4는 당해 메모리 소자의 기억 데이터가 변화되는 빈도를 나타내고, 수학식 4로 인가된다.
Figure 112005025390019-PAT00004
수학식 4에 있어서, Ip2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가 처리하는 1 화면의 픽셀수이며, fp2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가 LCD 표시 패널(160)에 대하여 1초 동안에 화면 갱신하는 회수이며, f2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가 1초 동안에 처리 가능한 최대 픽셀수이다. A2를 60㎃, V2를 1.8V, Ip2를 240×320=76,800픽셀, fp2를 60프레임/초, f2를 100M픽셀이라고 가정하여, 수학식 2와 수학식 4로부터 W150을 계산하면, 대략 5㎽가 된다.
이상과 같이, 외부 화상 메모리(140)의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대한 판독 액세스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 W140은 대략 5㎽이다. 또한,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에 대한 기입 액세스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 W150도 대략 5㎽이다. 또한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에 대한 판독 액세스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 W150도 대략 5㎽이다. 이들을 합계하면, 대략 15㎽로 된다. 따라서, 합성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은 대략 15㎽로 된다.
도 9에 되돌아가, 입력 화상(109)의 갱신이 최신에 행하여지고 나서, 갱신이 없는 채로 제 1 소정 기간 T0이 경과했다고 가정한다. 이 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작 모드가 합성 모드로부터 합성 기입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소정 기간 T0은, 미리 정해진 시간으로서, 무갱신 카운터(126)에 의해서 카운트되는 시간이다. 동작 모드의 전환은, 상기와 같이, 동작 모드 전환부(128)에 의 해서 새로운 동작 모드가 선택되고, 선택된 동작 모드를 지시하는 모드 지시 정보가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에 입력되는 것에 따라 달성된다. 그 결과, 합성 기입 모드에 의한 화상 합성 처리와 합성 화상을 기입하는 처리와 표시 처리가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 기입 모드는, 화상 합성 처리에 의해 생성된 합성 화상(61)이 LCD 표시 패널(160)에 표시되는 동시에,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 기억되는 동작 모드이다. 따라서, 합성 기입 모드에서는, 합성 모드에서 행하여지는 메모리 액세스에 덧붙여,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의 기입 액세스가 행하여진다. 즉, 합성 기입 모드에서는, 도 11의 블럭도에 있어서, 해칭을 부여한 부분에 대하여 메모리 액세스가 행하여진다. 합성 기입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은 이것들의 액세스에 따른 소비 전력의 합계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화상 메모리(140)의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대한 판독 액세스에 의한 소비 전력과, 외부 화상 메모리(140)의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 대한 판독 액세스에 의한 소비 전력은 동일하다. 또한, 외부 화상 메모리(140)의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 대한 판독 액세스에 의한 소비 전력과 기입 액세스에 의한 소비 전력은 동일하다. 그래서, 그 소비 전력을 W140이라고 하면, W140은 수학식 1로 인가된다. 따라서, 합성 모드에서의 가정과 같은 가정 하에서, 합성 기입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계산하면, 합성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인 대략 15㎽에 대략 5㎽를 더한 대략 20㎽로 된다.
다시 도 9에 되돌아가, 입력 화상(109)의 갱신이 실행되지 않는 채로, 합성 기입 모드에 의한 처리가 시작되고 나서 제 2 소정 기간 T1이 경과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동작 모드는 합성 기입 모드로부터 판독 모드로 이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소정 기간 T1도, 제 1 소정 기간 T0과 마찬가지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으로서, 무갱신 카운터(126)에 의해서 카운트되는 시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독 모드는, 합성 화상 기억부(146)로부터 합성 화상이 판독되고, LCD 표시 패널(160)에 표시되는 동작 모드이다. 판독 모드에서는, 갱신되어 있지 않은 입력 화상(109), 즉 갱신되어 있지 않은 제 1 입력 화상(41)과 제 2 입력 화상(42)은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에 송신되지 않거나,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에 송신되어도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가 수신하지 않거나, 또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가 수신하더라도 하등의 처리에도 쓰이지 않는다.
판독 모드에서는,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 대한 판독 액세스는 행하여지지만, 입력 화상 기억부(144)와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에 대한 판독 액세스는 행하여지지 않아,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에 대한 기록·판독 액세스는 행하여지는 일이 없다. 즉, 판독 모드에서는, 도 12의 블럭도에 있어서, 해칭을 부여한 부분에 대하여 메모리 액세스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판독 모드에서는, 메모리 액세스에 필요한 전력소비를 크게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판독 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단, 여기서 계산하는 소비 전력도, 외부 화상 메모리(140)와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에 있어서, 메모리 액세스에 따라 소비되는 전력이다. 상기와 같이, 판독 모드에서의 메모리 액세스는 외부 화상 메모리(140)의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 대한 판독 액세스에 한정된다. 따라서, 계산해야 할 소비 전력은 이 메모리 액세스에 따른 소비 전력에 한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화상 메모리(140)의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대한 판독 액세스에 의한 소비 전력과, 외부 화상 메모리(140)의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 대한 판독 액세스에 의한 소비 전력은 동일하며, 그 소비 전력을 W140이라고 하면, W140은 수학식 1로 인가된다. 따라서, 합성 모드에서의 가정과 같은 가정 하에서, 소비 전력을 계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대략 5㎽가 된다. 즉, 판독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은 합성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의 대략 1/3인 것이 이해된다. 이와 같이 휴대전화 표시부(100)는, 표시해야 할 화상의 갱신이 행하여지지 않을 때에, 합성 화상을 얻는 단계에서의 전력 절약화를 실현한다.
판독 모드는, 도 9의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화상(109)에 대하여 새로운 갱신이 행하여질 때까지 계속된다. 입력 화상(109)의 갱신은 상기와 같이,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에 의해서 검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는, 입력 화상(109)의 갱신을 검출하면, 입력 화상(109)이 변경됐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로서, 「갱신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로 보낸다. 이 판단 결과를 수취한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무갱신 카운터(126)의 값을 예컨대 "0"으로 리셋한다. 그 결과, 동작 모드 전환부(128)는 합성 모드를 선택·설정한다.
(실시예 2)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상 합성 표시 장치의 일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합성 표시 장치도, 실시예 1와 마찬가지로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휴대전화 표시부로서 구체화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합성 표시 장치는,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가 도 13에 나타내는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A)로 대체되고 있는 점에서, 도 1의 휴대전화 표시부(100)와는 다르다.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A)가 구비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128A)는, 소비 전력 판정부(135)가 부가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의 동작 모드 전환부(128)와는 다르다. 소비 전력 판정부(135)는 합성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과 판독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도 13에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에 동작 모드를 지시하는 모드 제어부(120A)를 점선의 블럭으로 나타내고 있다. 모드 제어부(120A)는 본 발명의 모드 제어부의 구체예에 해당한다.
도 14는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A)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A)의 동작 순서는, 단계 S7과 단계 S8 사이에, 소비 전력 판정부(135)가 소비 전력을 비교하는 공정(S20)이 개재되고,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가 단계 S7과 단계 S9 사이에 동작 모드를 판정하는 공정(S21)이 개재되는 점에서, 도 3에 나타낸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의 동작 순서와는 다르다.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에 의한 단계 S7의 판정에 있어서, 카운트값이 제 1 소정 기간 T0과 제 2 소정 기간 T1의 합 이하이면(S7에서 "예"),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그 취지의 판단 결과를 동작 모드 전환부(128)로 전달한다. 소비 전력 판정부(135)는, 당해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합성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과 판독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을 비교한다(S20).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 전력 판정부(135)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가 입력 화상 기억부(144)로부터 입력 화상(109)을 판독하여 합성하는 데 필요한 제 1 소비 전력과,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가 합성 화상 기억부(146)로부터 합성 화상을 판독하는 데 필요한 제 2 소비 전력을 평가하여, 제 1 소비 전력이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학식 1∼4에 근거하는 수치예를 나타내었듯이, 통상에 있어서는 제 1 소비 전력이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크다. 그러나, 입력 화상(109)을 구성하는 제 1 입력 화상(41)이나 제 2 입력 화상(42) 등의 사이즈가 작아 데이터량이 작은 한편, LCD 표시 패널(160)에는, 이것들의 화상을 확대하여 표시해야 할 경우 등, 입력 화상(109)의 데이터량이 합성 화상의 데이터량보다도 현저히 작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데이터량의 차위에 따라서는, 제 1 소비 전력이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낮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소비 전력 판정부(135)는 데이터량에 의존하는 소비 전력을 평가하여 비교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먼저 나타낸 바와 같은 전제, 즉 입력 화상 기억부(144)로부터의 판독 액세스에 따른 소비 전력과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의 기록 및 판독하여 액세스에 따르는 소비 전력이 동일하다고 하는 전제를 세우는 일없이, 각각의 액세스에서의 데이터량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수학식 1∼4를 적용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소비 전력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간소한 평가 순서로서, 입력 화상 기억부(144)가 기억하고 있는 입력 화상(109)의 데이터량(I)에 비례한 양(a×I)으로서 제 1 소비 전력을 평가하고,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 기입해야 하는 합성 화상의 데이터량(U)에 비례한 양(b×U)으로서 상기 제 2 소비 전력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순서에 의하면, 소비 전력 판정부(135)는 제 1 및 제 2 소비 전력의 평가를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다. 소비 전력 판정부(135)는, 예컨대 입력 화상 기억부(144)의 어드레스값의 변화를 통하여 데이터량(I)을 검지할 수 있어, 예컨대 레이아웃 정보 생성부(134)가 생성하는 레이아웃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량(U)을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량(I), (U)는, 예컨대, 바이트 단위로 평가된다.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는 합성 모드에 있어서, 입력 화상 기억부(144)가 기억하고 있는 입력 화상(109)을 취급하기 때문에, 제 1 소비 전력은 입력 화상(109)의 데이터량에 비례한 양으로서 근사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는 판독 모드에 있어서, 합성 화상 기억부(146)가 기억하는 합성 화상을 취급하기 때문에, 제 2 소비 전력은, 합성 화상의 데이터량에 비례한 양으로서 근사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비례 계수(a) 및 (b)는, 실험, 시뮬레이션 또는 이론 계산에 의해서, 각각의 외부 화상 메모리(140) 및 합성용 라인 메모리(152)에 대하여 미리 구할 수 있다. 합성 모드와 판독 모드 사이에서 처리 내용은 다르기 때문에, 비례 계수(a)와 비례 계수(b)는 일반적으로 다른 값으로 된다. 소비 전력 판정부(135)는 이러한 소비 전력과 데이터량간의 근사적인 비례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소비 전력의 평가를, 비교적 양호한 정밀도로 또한 단시간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소비 전력 판정부(135)는 평가한 제 1 및 제 2 소비 전력을 서로 비교한다. 따라서, 소비 전력 판정부(135)는, a×I와 b×U를 계산하는 대신에, 별도의 비례 계수(K)를 이용한 K×I로서 제 1 소비 전력을 평가하여, U로서 제 2 소비 전력을 평가하더라도 좋다. 비례 계수(K)는, K=a/b의 관계에 있다. 비례 계수(K)는, 통상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 1 이하의 정의 값으로 되고, 예컨대 1/2 정도의 값이다. 이 경우에도, 제 1 및 제 2 소비 전력을 데이터량에 비례하는 양으로서 평가하는 점에 변함이 없다. 도 14의 단계 S20에는, 비례 계수(K)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 S20의 판정에 있어서, K·I> U인 경우, 즉 제 1 소비 전력이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큰 경우에는(S20에서 "예"),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132)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동작 모드를 합성 기입 모드로 설정한다(S8). 즉,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132)는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모드 지시 정보를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에 기입한다. 한편, K·I≤U인 경우, 즉 제 1 소비 전력이 제 2 소비 전력 이하인 경우에는(S20에서 "아니오"), 합성 기입 모드에의 동작 모드의 설정없이, 처리는 단계 S10으로 이행한다.
단계 S7의 판정에 있어서, 카운트값이 제 1 소정 기간 T0과 제 2 소정 기간 T1의 합을 넘는 경우에는(S7에서 "아니오"), 판독 모드 지시부(133)는, 동작 모드가 이미 합성 기입 모드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S21에서 "예"),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동작 모드를 판독 모드로 설정한다(S9). 즉, 판독 모드 지시부(133)는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모드 지시 정보를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에 기입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합성 표시 장치에서는,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기억되는 입력 화상(109)이 갱신되는 일없이 제 1 소정 기간 T0이 경과하면, 합성 모드보다도 판독 모드쪽이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하는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동작 모드가 합성 모드로부터 판독 모드의 준비단계로서의 합성 기입 모드로 이행한다. 그 후, 제 2 소정 기간 T1을 지나서도 입력 화상(109)의 갱신이 없으면, 동작 모드는 판독 모드로 이행한다. 따라서, 각 동작 모드에서 처리해야 할 데이터량에 의해서, 합성 모드로부터 판독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 전력 절약의 점에서 불리한 경우에는, 입력 화상(109)이 제 1 소정 기간 T0을 초과하여 갱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동작 모드는 이행하지 않고, 합성 모드로 그친다. 그것에 의하여, 보다 높은 전력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화상 합성 표시 장치의 일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합성 표시 장치도, 실시예 1 및 2와 마찬가지로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휴대전화 표시부로서 구체화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합성 표시 장치는,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가 도 15에 나타내는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B)로 치환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의 휴대전화 표시부(100)와는 다르다.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B)가 구비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128B)는, 합성 모드 지시부(131)가 제거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의 동작 모드 전환부(128)와는 다르다. 도 15에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에 동작 모드를 지시하는 모 드 제어부(120B)를 점선의 블럭으로 나타내고 있다. 모드 제어부(120B)는 본 발명의 모드 제어부의 구체예에 해당한다.
도 16는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B)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B)의 동작 순서는, 단계 S2가 단계 S41로 치환되고, 단계 S7∼S9가 단계 S42로 치환되어 있는 점에서, 도 3에 나타낸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의 동작 순서와는 다르다. 단계 S1에 있어서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가, 무갱신 카운터(126)의 카운트값을 리셋하면,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로부터 송신되는 그 취지의 정보에 근거하여,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132)는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동작 모드를 합성 기입 모드로 설정한다(S41). 즉,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132)는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모드 지시 정보를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에 기입한다. 그 후, 단계 S3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단계 S6의 판정에 있어서,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가, 카운트값이 소정값 T0을 넘는다고 판정하면(S6에서 "아니오"), 판독 모드 지시부(133)는,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로부터 송신되는 당해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동작 모드를 판독 모드로 설정한다(S42). 즉, 판독 모드 지시부(133)는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모드 지시 정보를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에 기입한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10으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S6의 판정에 있어서,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가, 카운트값이 소정값 T0 이하라고 판정하면(S6에서 "예"), 처리는 단계 S3으로 이행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서의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동작 순서를 나타 내는 흐름도이다. 이 동작 순서는, 단계 S35의 판정이 삭제되어 있는 점에서, 도 4의 동작 순서와는 다르다. 즉, 단계 S31의 판정에 있어서, 레이어 정보 기억부(142)에 기억되는 모드 지시 정보가 판독 모드를 지시하지 않는다는 판정 결과가 얻어지면(S31에서 "아니오"), 단계 S32∼S34 및 S36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합성 표시 장치에서는,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기억되는 입력 화상(109)이 갱신되는 일없이 제 1 소정 기간 T0이 경과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합성 모드가 아니라 합성 기입 모드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입력 화상(109)이 갱신되는 일없이 제 1 소정 기간 T0이 경과하면, 이미 합성 화상 기억부(146)에는 합성 화상이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동작 모드는 판독 모드로 이행한다. 판독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은, 합성 기입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보다도 낮고, 또한 통상에 있어서 실시예 1 또는 2의 합성 모드에서의 소비 전력보다도 낮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표시해야 할 화상의 갱신이 행하여지지 않을 때에, 화상을 합성하는 단계에서의 소비 전력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1)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는, 입력 화상(109)에 갱신이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도 3, 도 14 및 도 16의 단계 S3)을 프레임 주기, 즉,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가 합성 화상의 1 프레임분을 출력 화상(159)으로서 출력하는 주기마다 행했다. 그것에 의하여, 제 1 소정 기간 T0 및 제 2 소정 기간 T1이 프레임 주기를 단위로 하여 계측되기 때문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멀티레이어 화상 합성부(150)의 프레임 단위의 동작에 정합하여 동작 모드의 변경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당해 판단의 주기는, 일반적으로는 프레임 주기, 또는 그 정수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2)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무갱신 카운터(126)의 카운트값을 프레임 주기로 1씩 증가시켰다(도 3, 도 14 및 도 16의 단계 S5). 이것에 대하여,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카운트값을 1씩 감소시키고, 단계 S6 및 S7에 있어서 판별식의 부등호를 반대 방향으로 해도 좋다. 또한,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단계 S1에 있어서 카운트값을 "0" 이외의 다른 값으로 리셋하는 것이라도 좋다. 예컨대,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단계 S1에 있어서 카운트값을 정의 정수로 리셋하여, 단계 S5에서는 "1"만큼 감소시키고, 단계 S6에서는, 카운트값이 0이 됐는지 여부를 판단하더라도 좋다.
또는,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단계 S5에 있어서, 예컨대 밀리초 또는 마이크로초 또는 나노초 단위로 계측된 실제의 시간폭으로, 카운트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단계 S6 및 S7에 있어서 카운트값을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과 비교하더라도 좋다.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은, 예컨대, 50 프레임 상당 시간, 100 프레임 상당 시간, 또는 1000 프레임 상당 시간 등이더라도 좋고, 또는 100마이크로초, 10밀리초, 또는 200밀리초 등이더라도 좋다.
(3)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는, 카운트값을 리셋한 취지의 정보, 및 카운트값을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얻은 판단 결과를, 동작 모 드 전환부(128)로 전달하고, 합성 모드 지시부(131) 등이 이것들의 정보에 근거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했다. 이것에 대하여, 카운트값을 리셋한 때, 또는 카운트값을 비교하여 판단 결과를 얻었을 때에, 그것에 근거하여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 자신이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동작 모드 전환부(128)로 전달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합성 모드 지시부(131) 등은 결정된 결과에 따라서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또한,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가 카운트값을 리셋한 취지의 정보를 동작 모드 전환부(128)로 보내는 대신에,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가 입력 화상(109)의 갱신이 있었던 취지의 판단 결과를 무갱신 카운터 제어부(124)뿐만 아니라 동작 모드 전환부(128)에도 보내도록, 레이어 정보 작성부(130)를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동작 모드 전환부(128)의 합성 모드 지시부(131)는 이 정보에 근거하여 합성 모드를 선택·설정한다.
(4)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는, 배경 화상 입력 제어부(103), 카메라 화상 입력 제어부(104) 및 대국 압축 화상 신장부(107)로부터 송신되는 통지 신호에 근거하여,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기억되는 입력 화상(109)에 갱신이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도 3, 도 14 및 도 16의 단계 S3)을 했다. 이것에 비하여,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가, 통지 신호에 근거하는 일없이, 예컨대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의 기입 액세스의 유무를 검지함으로써, 입력 화상(109)의 갱신의 유무를 판정하더라도 좋다.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의 기입 액세스의 유무의 검지는, 예컨대 외부 화상 메모리(140) 중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할당되어 있는 메모리 공간에의 액세스의 유무를, 어드레스 신호 등에 근거하여 검지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122)는, 입력 화상 기억부(144)에 새롭게 기억되는 입력 화상(109)과, 그 이전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 화상(109)을 어드레스마다 비교하여, 데이터가 상위하는 어드레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입력 화상(109)의 갱신 유무를 판정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입력 화상(109)이 새롭게 입력되어도, 화상에 변화가 없으면 입력 화상(109)의 갱신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보다 실질적인 판단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상을 기억하는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이루어지는 합성 화상을 얻는 데 따르는 소비 전력을, 기억되어 있는 화상의 갱신이 행하여지지 않을 때에 절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산업상 유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화상을 기억하는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이루어지는 합성 화상을 얻는 데 따르는 소비 전력을, 기억되어 있는 화상의 갱신이 행하여지지 않을 때에 절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7)

  1.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로서,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복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화상 합성부에 지시하는 모드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부를 포함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
  2.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로서,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합성 모드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복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화상 합성부에 지시하는 모드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부를 포함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
  3.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로서,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합성 모드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복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화상 합성부에 지시하는 모드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화상 합성부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하는 데 필요한 제 1 소비 전력과, 상기 화상 합성부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로부터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는 데 필요한 제 2 소비 전력을 평가하여, 상기 제 1 소비 전력이 상기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소비 전력 판정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소비 전력 판정부가 긍정적인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소비 전력 판정부가 긍정적인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부를 포함하 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 전력 판정부는,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의 데이터량에 비례한 양으로서 상기 제 1 소비 전력을 평가하고,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해야 할 상기 합성 화상의 데이터량에 비례한 양으로서 상기 제 2 소비 전력을 평가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화상 합성부가 상기 합성 화상의 1 프레임분을 출력하는 주기를 단위로 하여 상기 제 1 소정 기간을 계측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화상 합성부가 상기 합성 화상의 1 프레임분을 출력하는 주기를 단위로 하여 상기 제 2 소정 기간을 계측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상기 주기와 동일 길이로 정해져 있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화상의 각각의 입력에 따라 입력되는 갱신 통지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의 갱신이 있었던 것을 검지하는 입력 화상 갱신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는 각각, 단일의 메모리에 할당된 메모리 공간인 화상 합성 출력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합성 출력 장치와,
    상기 화상 합성부가 출력하는 상기 출력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 하는 화상 합성 표시 장치.
  11. 청구항 10에 기재된 화상 합성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통신기기.
  12.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방법으로서,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 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지시하는 모드 제어 공정을 구비하되,
    상기 모드 제어 공정은,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 공정과,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 공정을 포함하는
    화상 합성 출력 방법.
  13.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방법으로서,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합성 모드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 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지시하는 모드 제어 공정을 구비하되,
    상기 모드 제어 공정은,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모드 지시 공정과,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 공정과,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 공정을 포함하는
    화상 합성 출력 방법.
  14.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방법으로서,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합성 모드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 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 장치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지시하는 모드 제어 공정을 구비하되,
    상기 모드 제어 공정은,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모드 지시 공정과,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화상 합성 장치가 상기 입력 화상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하는 데 필요한 제 1 소비 전력과, 상기 화상 합성 장치가 상기 합성 화상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는 데 필요한 제 2 소비 전력을 평가하여, 상기 제 1 소비 전력이 상기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소비 전력 판정 공정과,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소비 전력 판정 공정이 긍정적인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 공정과,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소비 전력 판정 공정이 긍정적인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 장치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 공정을 포함하는
    화상 합성 출력 방법.
  15.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로서,
    상기 화상 합성 출력 장치는,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는, 상기 컴퓨터를,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
  16.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로서,
    상기 화상 합성 출력 장치는,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합성 모드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는, 상기 컴퓨터를,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
  17. 복수의 화상의 입력을 받아, 이들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합성 출력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로서,
    상기 화상 합성 출력 장치는,
    입력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기억하는 입력 화상 기억부와,
    상기 합성 화상을 기억하는 합성 화상 기억부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합성 모드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함으로써,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고, 또한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에 기입하는 합성 기입 모드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가 기억하고 있는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여 상기 출력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판독 모드를 포함 하는 복수 모드의 사이에서 동작 모드가 천이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는, 상기 컴퓨터를,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이 최신으로 갱신된 때인 최신 갱신시로부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화상 합성부가 상기 입력 화상 기억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화상을 판독하여 합성하는 데 필요한 제 1 소비 전력과, 상기 화상 합성부가 상기 합성 화상 기억부로부터 상기 합성 화상을 판독하는 데 필요한 제 2 소비 전력을 평가하여, 상기 제 1 소비 전력이 상기 제 2 소비 전력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소비 전력 판정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소비 전력 판정부가 긍정적인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합성 기입 모드를 지시하는 합성 기입 모드 지시부와,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소비 전력 판정부가 긍정적인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에는, 상기 최신 갱신시로부터 상기 제 1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또한 상기 제 2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에 상기 판독 모드를 지시하는 판독 모드 지시부로서 기능 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
KR1020050040512A 2004-05-17 2005-05-16 화상 합성 출력 장치, 화상 합성 표시 장치, 휴대통신기기,화상 합성 출력 방법 및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 KR200600479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6284 2004-05-17
JP2004146284 2004-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930A true KR20060047930A (ko) 2006-05-18

Family

ID=3493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512A KR20060047930A (ko) 2004-05-17 2005-05-16 화상 합성 출력 장치, 화상 합성 표시 장치, 휴대통신기기,화상 합성 출력 방법 및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02022B2 (ko)
EP (1) EP1600938A2 (ko)
KR (1) KR20060047930A (ko)
CN (1) CN17002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564A (ko) * 2011-12-14 2014-09-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정지 이미지 파워 관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3066A (ja) * 2005-05-26 2006-12-07 Olympus Imaging Corp デジタルカメラ
KR100654455B1 (ko) * 2005-05-26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형 자막 파일을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JP2007041119A (ja) * 2005-08-01 2007-02-15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20070104390A1 (en) * 2005-11-08 2007-05-10 Fuji Xerox Co., Ltd. Methods for browsing multiple images
JP4582793B2 (ja) * 2005-12-06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8018472B2 (en) * 2006-06-08 2011-09-13 Qualcomm Incorporated Blending multiple display layers
CN101589420A (zh) * 2007-01-23 2009-11-25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显示设备的低功率刷新的方法和装置
CN101601084B (zh) * 2007-01-29 2011-09-07 三菱电机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以及图像显示方法
US20090213078A1 (en) * 2008-02-22 2009-08-27 Motorola, Inc. User interface devices and methods with alphanumeric character enlargement
JP2010026051A (ja) * 2008-07-16 2010-02-04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制御用のプログラム
CN102097084B (zh) * 2009-12-14 2014-10-08 无锡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装置
JP5882599B2 (ja) 2011-04-28 2016-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50033162A (ko) * 2013-09-23 2015-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포지터,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4951262B (zh) * 2014-03-31 2019-03-29 联想(北京)有限公司 多个图层的图像的显示方法以及电子设备
KR102287400B1 (ko) 2015-02-03 2021-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합성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TWI748651B (zh) 2019-09-17 2021-12-01 矽創電子股份有限公司 顯示器之更新畫面方法及其驅動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9933B2 (ja) * 1987-03-31 1997-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JPH07141250A (ja) * 1993-09-20 1995-06-02 Fujitsu Ltd メモリ制御装置
JPH07302473A (ja) * 1994-05-09 1995-11-14 Fujitsu Ltd 記憶装置及び記録再生システム
US5512921A (en) * 1994-06-22 1996-04-30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display system having low energy data storage subsystem with date compression capabilitie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3618442B2 (ja) * 1996-02-08 2005-02-09 株式会社東芝 マイクロプロセッサのパワーエスティメータ装置
JP2000259140A (ja) 1999-03-09 2000-09-22 Toshiba Corp 省電力制御方法および同方法を用い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
JP2001320519A (ja) * 2000-05-10 2001-11-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その電力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より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595342B1 (en) * 2000-12-07 2003-07-22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iometrically-secured self-service kiosk system for guaranteed product delivery and return
TWI299485B (en) * 2002-08-13 2008-08-01 Tpo Displays Corp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3756856B2 (ja) * 2002-08-19 2006-03-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4233742A (ja) * 2003-01-31 2004-08-19 Renesas Technology Corp 表示駆動制御装置および表示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3829829B2 (ja) * 2003-08-06 2006-10-0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564A (ko) * 2011-12-14 2014-09-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정지 이미지 파워 관리
US10082860B2 (en) 2011-12-14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Static image power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0299A (zh) 2005-11-23
EP1600938A2 (en) 2005-11-30
US20050253868A1 (en) 2005-11-17
US7502022B2 (en) 200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7930A (ko) 화상 합성 출력 장치, 화상 합성 표시 장치, 휴대통신기기,화상 합성 출력 방법 및 화상 합성 출력용 기록 매체
TWI471850B (zh) 畫像顯示裝置及電子機器
US6885377B2 (en) Image data output controller using double buffering
US200801746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power refresh of a display device
EP1585062B1 (en) Portable game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0668085B1 (ko) 호스트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dpvl 패킷생성방법
US10978027B2 (en) Electronic display partial image frame update systems and methods
CN113835656A (zh) 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H07306671A (ja) 映像データ転送装置
US9542721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ata processing system
JP5395539B2 (ja) 情報処理装置
CN108780348B (zh) 图像传输装置、图像传输系统、和控制图像传输装置的方法
JP4680660B2 (ja) 画像合成出力装置、画像合成表示装置、携帯通信機器、画像合成出力方法、画像合成出力用プログラム及び画像合成出力用記録媒体
US8878863B2 (en) Portable terminal
US6720974B2 (en) Arithmetic unit and arithmetic processing method
JP2002287726A (ja) 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H11231854A (ja) 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
JP200815881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0259143A (ja) マルチウィンドウ制御装置
JP4963005B2 (ja) 表示装置
CN114210049A (zh) 一种显示面板的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JP2007133295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4301906A (ja) 画像データ読み出し装置、携帯端末、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及び半導体装置
JP2011075698A (ja) 表示コントローラ、電子機器及び画像表示方法
JPH0683564A (ja) 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